KR19980020770U - 위생 마스크 - Google Patents

위생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770U
KR19980020770U KR2019960034018U KR19960034018U KR19980020770U KR 19980020770 U KR19980020770 U KR 19980020770U KR 2019960034018 U KR2019960034018 U KR 2019960034018U KR 19960034018 U KR19960034018 U KR 19960034018U KR 19980020770 U KR19980020770 U KR 199800207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oisture
breathing
air
yar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9815Y1 (ko
Inventor
김동암
Original Assignee
김동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암 filed Critical 김동암
Priority to KR2019960034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815Y1/ko
Publication of KR19980020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7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8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병균과 이물질이 호흡기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 마스크를 겸하는 통상의 위생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스크의 원단을 편직하되 인체와 접촉되는 내측면은 화학사층으로 구성되고 외측면은 순면사층으로 편지 구성되게 일체로 편직시켜 인체에서 배출되는 호흡 습기로 인한 착용감의 불쾌감을 방지하고 공기 유통이 원활히 될 수 있도록 한 위생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스크는 망형의 직물지를 여러겹 중첩 구성시켜서 구성됨으로서 흡수성이 뛰어난 효과에 의하여 호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중첩된 직물지를 지나면서 김서림의 성애가 발생되고 더운 공기가 외부의 찬 공기와 교차되면서 온도차로 생성되는 수분 및 입김 자체의 수분이 마스크의 원자재인 순면사에 직접 흡수되어 물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생성된 물막은 공기의 유동을 방지하여 통기성 저하를 야기함으로서 호흡의 곤란성으로 착용을 기피하게 되고 이와 함께 청량감이 매우 나쁜 단점과 같이 입김의 특성에 따른 악취와 끈적이는 불쾌감 및 먼지에 의한 병균의 서식과 같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공지의 편직 방법에 의하여 마스크를 편직하되 피부와 접촉되는 내측면은 나이론사인 화학사층(21)으로 편직하고 이와 일체로 편직되는 외측면은 습기를 잘 흡입하는 순면사층(22)이 일체로 편직하여 내측면의 화학사에서 발생된 수분이 흡수성이 없는 화학사층(21)에 있지 아니하고 흡수성이 양호한 순면사층으로 이동되며 또 호흡력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서 피부와 접촉되는 내측면에는 수분이 없어서 피부와 접촉될 때에 찬 냉기가 없고 호흡이 원활한 통기성을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위생 마스크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결상태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원단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위생마스크20 : 마스크부재
21 : 화학사층22 : 순면사층
본 고안은 호흡기로 침입하는 바이러스균의 침입방지와 작업장의 먼지 등 이물질이 호흡기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 마스크를 겸하는 통상의 위생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스크의 원단을 편직하되 인체와 접촉되는 내측면은 화학사층으로 구성되고 외측면은 순면사층으로 구성되게 일체로 편직시켜 인체에서 배출되는 호흡 습기로 인한 착용감의 불쾌감을 방지하고 공기 유통이 원활히 될 수 있도록 한 위생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위생 마스크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망사지(예로 붕대지)와 같은 다공의 통기성이 양호한 직물지를 여러겹 중첩시켜서 그 외주면을 가공함과 함께 밴드를 구성시켜 왔다.
이러한 종래의 마스크는 다공에 의한 통기성으로 호흡이 양호하고 먼지와 바이러스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필터링 효과에 의하여 병자와 같이 먼지가 많은 작업장의 작업인부가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스크는 흡수성이 양호한 순면사의 면직물로서 통기성과 필터효과가 양호한 반면에 흡수성도 뛰어나다. 따라서 사용자의 호흡으로 배출되는 더운 공기와 외부의 찬 공기가 교차될 때에 발생되는 김서림에 의해 발생된 수분을 흡수시켜 마스크에는 수분이 엉키게 된다.
이와 같이 면직물에 습기가 차게 되면 외부의 먼지가 습기에 엉키고 또한 습기와 함께 통기성을 떨어트려 착용자의 호흡곤란이 오고 습기로 인하여 그 착용감이 매우 불쾌한 폐단이 발생한다. 즉, 종래의 마스크는 망형의 직물지를 여러겹 중첩 구성시켜서 구성됨으로서 흡수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으면서 호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중첩된 직물지를 지나면서 냉각되어져 직물지에는 김서림과 성애가 발생될 때에 이 수분을 흡수하고 또 더운 공기가 외부의 찬 공기와 교차되면서 온도차로 생성되는 수분 및 입김 자체의 수분이 마스크의 원자재인 순면사에 직접 흡수되어서 직물지에는 물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마스크에 생성된 물막은 공기의 유동을 방지하여 마스크의 통기성 저하를 야기함으로서 착용자는 호흡의 곤란성으로 착용을 기피하게 되고 이와 함께 물기의 저온과 사용자의 따뜻한 피부가 접촉되는 청량감이 매우 나쁜 단점과 같이 입김의 특성에 따른 악취와 끈적이는 불쾌감 및 먼지에 의한 병균의 서식과 같은 단점이 있다.
또 한편으로는 면직물의 흡수성으로 마스크에는 수분의 양이 많이 생성되고 여러 겹으로 중첩되어져 쉽게 건조되지 않아 장시간 착용할 때에는 호흡의 곤란성이 가중되고 또는 벗었다 재착용을 할 때에는 체온과의 차이로 인한 불쾌감으로 마스크 착용을 기피하게 됨으로서 질병을 가진 병자는 균의 확산으로 전염병을 유발시키고 작업장의 인부는 통기성의 불량으로 힘든 작업을 할 수 없게 됨으로 마스크 착용을 하지 않으므로서 먼지를 대량흡입하여 건강을 해치는 폐단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마스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겹의 망사지를 중첩시켜 구성함으로서 인력으로 다수의 망사지를 절단하고 이를 정렬하여 봉재와 밴드를 구성하는 제작의 번잡성도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시정하여 사용자가 오랜 시간 동안 마스크를 착용함에도 호흡의 곤란성을 일으키지 않고 습기로 인한 온도차에서 오는 불쾌감을 해소함과 함께 호흡으로 발생된 습기를 자연 건조되어 쉽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한 목적의 고안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지의 편직 방법에 의하여 마스크를 편직하되 피부와 접촉되는 내측면은 나이론사인 화학사층(21)으로 편직하고 이와 일체로 편직되는 외측면은 습기를 잘 흡입하는 순면사층(22)이 일체로 편직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착용자가 호흡으로 배출하는 더운 공기가 공지와 같이 배출되면서 마스크를 지날 때에 성애가 생성되나 내측면의 화학사에서 발생된 수분이 흡수성이 없는 화학사층(21)에 있지 아니하고 흡수성이 양호한 순면사층으로 이동되며 또 호흡력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서 피부와 접촉되는 내측면에는 수분이 없어서 피부와 접촉될 때에 찬 냉기가 없고 호흡이 원활한 통기성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흡수성이 뛰어난 외측의 순면사층(22)은 내측의 화학사층(21)으로 인한 통기성과 외부의 공기 등으로 쉽게 건조되어진다. 외부의 순면사로 흡입된 수분은 내측의 화학사로 인한 통기성으로 공기의 흐름과 외부의 건조능력에 의하여 쉽게 건조되어 짐으로 사용자가 장시간 착용하여도 호흡으로 발생된 수분은 외부의 순면사층으로 이동됨과 같이 자연건조되고 건조능력을 향상시켜 사용중 발생되는 수분을 계속적으로 빨리 건조함으로 수분에 의한 호흡의 곤란성이 오지 않게 되는 것이며, 내, 외측으로 달리하는 원사를 공급하여 기다라게 편직된 마스크부재(20)를 사용 적당 크기로 절단하여 봉제함으로서 마스크의 제작이 용이한 장점도 같이 부여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결한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원단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0) 양측에 밴드(11)를 구성하여서 되는 통상의 위생 마스크에 있어서, 공지의 편직방법에 의하여 기다란 마스크부재(20)를 편직하되 피부와 접촉되는 마스크의 내측면에는 화학사층(21)으로 편직되고 외측면은 순면사층(22)이 되게 일체로 편직구성하여서 되는 마스크부재(20)를 구성시켜 절단가공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부재(20)에는 화학처리하여 수분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12는 봉재선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위생 마스크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원단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의 제2도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편직방법으로 마스크부재(20)를 편직하되 피부와 접촉되는 내측면은 화학사를 공급시켜 내측면이 화학사로 편직된 화학사층(21)이 형성되고 외측면은 편직기에 공급되는 순면사에 의하여 순면사층(22)으로 이중 편직된 마스크부재(20)를 구성함과 같이 마스크부재(20)에 수분의 이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화학처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편직에서 마스크부재(20)의 두께는 공지의 기술에 의하여 두께가 조절됨으로 마스크부재의 용도와 필터효과 등을 대비조절 될 수 있다.
상기의 마스크부재(20)를 공지와 같이 마스크 크기의 적당 크기로 절단하여 양측에 밴드(11)를 구비시켜 양단을 공지와 같이 봉재함으로서 제1도의 위생 마스크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위생 마스크를 공지와 같이 병약자나 또는 먼지가 많은 작업장의 작업인부가 착용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공지와 같이 착용하게 되면 착용자의 호흡으로 배출되는 더운 공기가 호흡기로부터 배출되면서 착용된 위생마스크(20)의 화학사층(21)과 순면사층(22)을 통과하면서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화학사층(21)과 순면사층(22)과 교차되면서 또는 외부의 찬 공기와 열 교환기 이루어지면서 온도차에 의한 성애가 마스크에 생성됨과 같이 습기는 물로 변하여 마스크에 엉키게 된다.
이때에 엉키는 물은 화학사에서는 화학사의 특성 즉 물을 흡입하지 않는 특성에 따라 흡수되지 않고 물방울로 형성되어 흡수성이 뛰어난 순면사층(22)으로 흡입되고 호흡배출공기의 힘으로 쉽게 이동되어 외측의 순면사층으로 쉽게 흡수된다. 따라서 화학사층(21)에는 습기가 없어 피부와 접촉에서 불쾌감을 주지 않고 공기의 통기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됨으로서 장시간 착용에서도 호흡의 곤란성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그리고 외측의 순면사층(22)으로 흡입된 수분은 외부의 공기와 같이 내부에서 배출하는 고온에 의하여 쉽게 증발되고 건조됨으로서 장시간 착용할 때에도 계속 흡수된 수분이 빨리 계속적으로 건조되어 마스크는 항상 통기성을 가지고 호흡수분에 의한 눅눅함이나 찬기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호흡으로 발생되는 수분을 빨리 외부로 배출시켜 건조하고 그 건조능력이 뛰어나 마스크의 통기성을 방해하지 않게 됨으로서 호흡의 곤란없이 사용자가 오랜시간 동안 착용할 수 있으며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화학사층(21)으로 피부와 접촉되는 내측면은 건조하여 수분으로 인한 불쾌감이 없어 병약자나 작업인부가 항상 위생 마스크를 착용함에 따라 건강을 해치는 일없이 건강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마스크(10) 양측에 밴드(11)를 구성하여서 되는 통상의 위생 마스크에 있어서, 공지의 편직방법에 의하여 기다란 마스크부재(20)를 편직하되 피부와 접촉되는 마스크의 내측면에는 화학사층(21)으로 편집되고 외측면은 순면사층(22)이 되게 일체로 편직구성하여서 되는 마스크부재(20)를 구성시켜 위생 마스크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위생 마스크.
KR2019960034018U 1996-10-16 1996-10-16 위생 마스크 KR200159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018U KR200159815Y1 (ko) 1996-10-16 1996-10-16 위생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018U KR200159815Y1 (ko) 1996-10-16 1996-10-16 위생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770U true KR19980020770U (ko) 1998-07-15
KR200159815Y1 KR200159815Y1 (ko) 1999-11-01

Family

ID=1946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018U KR200159815Y1 (ko) 1996-10-16 1996-10-16 위생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8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786B1 (ko) * 2001-04-24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정용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660Y1 (ko) * 2014-06-25 2016-02-22 성 엽 이 필터교체형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786B1 (ko) * 2001-04-24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정용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9815Y1 (ko)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4446B2 (ja) 加湿フェイス・マスク
US4891846A (en) Medical absorption garment
KR200316234Y1 (ko) 건강성유지를 이용한 마스크
KR20190032897A (ko)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
CN105722481A (zh) 医疗用石膏绷带及皮肤保护带
KR20070055065A (ko) 마스크
KR200159815Y1 (ko) 위생 마스크
JP3227258U (ja) マスク
KR101097903B1 (ko) 한지마스크
KR101077265B1 (ko) 자가점착 및 기능성 피부보호 붕대
CN212345425U (zh) 一种除湿口罩
CN215303195U (zh) 改进透气柔软蓬松性能的抗菌抗病毒口罩
KR20200140523A (ko)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
KR200438090Y1 (ko) 기저귀
JP6912761B1 (ja) マスク
KR20080004468U (ko) 대나무 섬유 마스크
KR102246413B1 (ko) 클러치가 부착된 기능성 속옷
KR101149884B1 (ko) 방제복
CN214710408U (zh) 一种除湿透气型内裤
CN212650429U (zh) 一种一次性口罩垫及口罩
KR200321925Y1 (ko) 통풍성 및 습도조절이 우수한 여성용팬티
CN213848912U (zh) 一种医用防水气无纺布口罩
JP7473957B2 (ja) マスク
KR20220013529A (ko) 브레스쿨 기능성 원단으로 제조된 마스크
KR200266966Y1 (ko) 메리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