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363U - 자동차의 실린더블록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실린더블록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363U
KR19980020363U KR2019960033581U KR19960033581U KR19980020363U KR 19980020363 U KR19980020363 U KR 19980020363U KR 2019960033581 U KR2019960033581 U KR 2019960033581U KR 19960033581 U KR19960033581 U KR 19960033581U KR 19980020363 U KR19980020363 U KR 199800203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lock
main bearing
bearing cap
bolt
cylind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정
Original Assignee
김영석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석,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석
Priority to KR2019960033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363U/ko
Publication of KR199800203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363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실린더블록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블록에 분리결합되는 실린더헤드 및 메인베어링캡을 단일 결합수단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조립구조 및 공정을 단순화되어 라이너의 변형량이 감소되고 블로바이기스와 같은 이미션 및 오일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엔진 성능이 향상되는 바, 그 기술적인 수단으로는 나사부가 실린더헤드 상측으로 끼움체결되어 실린더블록을 통과하여 각 메인베어링캡 양측으로 돌출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나사부 끝단에 결합고정되는 너트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실린더블록 결합장치
본 고안은 실린더블록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블록에 분리결합되는 실린더헤드 및 메인베어링캡을 단일 결합수단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하여 조립구조 및 공정을 단순화시킨 자동차의 실린더블록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듯이, 실린더블록은 기관 본체의 기초가 되는 부분으로 기관 전채의 수명을 좌우하며, 4-6개의 실린더를 일체로 주조한 블록구조로 되고 있고, 도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것에 의해 실린더헤드(20)가 조립되며, 재료로는 주철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이것은 내마모성,내부식성이 좋고 주조나 기계가공이 용이하며 값이 싼 것 등의 조건을 충족하며, 그리고 주물의 균열을 방지하고 마모에 때한 저항을 높이기 위해 열처리가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블록(10) 내의 하부 횡방향으로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크랭크샤프트가 횡설되어 메인베어링에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크랭크샤프트는 크랭크저널이라고 불리우는 주축과 커넥팅로드가 부착되어 있는 크랭크핀과 암 그리고 이것과 중량 밸런스를 잡기 위한 카운터웨이트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실린더블록(10)은 그 위쪽에 엔진의 머리부분으로 기밀과 수밀을 유지하여 열에너지를 얻는 실린더헤드(20)와 볼트결합되어 있으며, 아울러 그 아래쪽에는 크랭크샤프트의 운동을 부드럽게 해주는 메인베어링을 지지하는 메인베어링캡(30)과 역시 볼트결합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블록(10)을 중심으로 실린더헤드(20)와 각 메인베어링캡(30)이 각각 별도의 볼트(24)(34)로써 결합고정되어 있다.
즉, 실린더블록(10)의 상하측에 실린더헤드(20)와 각 메인베어링캡(30)을 별도의 조립공정으로 결합시켜야 하므로 그 조립공정이 늘어나면서 아울러 구성부품도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 특히 해당 부위의 결합상태가 느슨해질 경우에 엔진 작동시에 라이너의 변형량이 증가되어 블로바이기스와 같은 이미션(emission) 및 오일 소모량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린더블록에 분리결합되는 실린더헤드 및 메인베어링캡을 단일 결합수단으로 결합시켜 그 조립구조 및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실린더블록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실린더블럭 분리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실린더블록 결합상태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실린더블록 결합상태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실린더블록 결합수단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린더블록20 : 실린더헤드
30 : 메인베어링캡40 : 볼트
45 : 너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 본 고안은, 나사부가 실린더헤드 상측으로 끼움체결되어 실린더블록을 통과하여 각 메인베어링캡 양측으로 돌출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나사부 끝단에 결합고정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실린더블록 결합장치를 이룬다.
이와 같이 실린더블록 결합수단을 단일화시킨 본 고안은, 실린더헤드 상측의 각 볼트공으로 볼트의 나사부를 끼움체결하여 실린더블록의 각 볼트공을 통과시켜 해당 메인베어링캡 양측의 각 볼트공으로 상기 볼트의 나사부 끝단을 돌츨시킨 다음, 상기 해당 볼트의 나사부 끝단에 각각 너트를 체결하여 결합고정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명기한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실린더블록(10)과 그 상하쪽에 놓여지는 실린더헤드(20) 및 각 메인베어링캡(30)은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따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단일 결합수단에 의해 단일 결합공정으로 조립되는데, 상기 실린더블록(10)을 중심으로 실린더헤드(20)와 메인베어링캡(30)을 함께 결합시킬 수 있을 정도의 나사부(42) 길이를 갖는 볼트(40)와, 상기 볼트(40)의 나사부(42) 끝단에 체결되는 너트(4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블록(10) 아래쪽의 메인베어링캡(30)은 실린더가 4개인 실린더블록(10)의 경우 통상 5개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실린더블록(10)을 중심으로 상기 각 메인베어링캡(30)과 실린더헤드(20)와의 결합수단에 사용되는 볼트(40)와 너트(45)는 10개 준비되며, 이때 상기 볼트(40)의 나사부(42)는 그 끝단 부위에 나사가 형성되고 머리부(41)쪽으로는 밋밋한 면을 이루어 각 결합요소로의 끼움체결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각 볼트공과의 수밀을 높히도록 할 수 있으며, 더불어 해당 볼트공(12)(22)(32)도 나사를 형성하지 않은 밋밋한 관통구멍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시킨 본 고안은, 실린더헤드(20) 상측의 각 볼트공(22)으로부터 볼트(40)를 끼움체결시켜 실린더블록(10)의 각 볼트공(12)을 통과하여 해당 메인베어링캡(30) 각 양측의 볼트공(32)으로 돌출된 상기 볼트(40)의 나사부(42) 끝단에 각각 너트(45)를 체결하여 결합고정시키게 되면, 단일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실린더블록(10)에 실린더헤드(20)와 메인베아링캡(30)을 단일 조립공정으로 결합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함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린더블록에 분리결합되었던 실린더헤드 및 메인베어링캡을 단일 결합수단으로 결합고정시킴으로써, 그 조립구조 및 공정이 단순화되는 것을 물론, 특히 해당 부위의 결합상태가 단일 결합에 의해 확실해져 엔진 작동시에 발생되는 라이너의 변형량을 감소시켜 블로바이기스와 같은 이미션 및 오일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엔진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나사부(42)가 실린더헤드(20) 상측으로 끼움체결되어 실린더블록(10)을 통과하여 각 메인베어링캡(30) 양측으로 돌출되는 볼트(40)와, 상기 볼트(40)의 나사부(42) 끝단에 결합고정되는 너트(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린더블록 결합장치.
KR2019960033581U 1996-10-11 1996-10-11 자동차의 실린더블록 결합장치 KR199800203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581U KR19980020363U (ko) 1996-10-11 1996-10-11 자동차의 실린더블록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581U KR19980020363U (ko) 1996-10-11 1996-10-11 자동차의 실린더블록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363U true KR19980020363U (ko) 1998-07-15

Family

ID=5397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581U KR19980020363U (ko) 1996-10-11 1996-10-11 자동차의 실린더블록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36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3216A (en) Crankshaft bearing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KR890001732B1 (ko) 다기통 내연기관의 크랭크축 지지장치
EP0038560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2218304A1 (en) Engine for vehicle
EP0204048B1 (en) Crankshaft supporting and lubricating structure in plural-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706624B1 (en) Fastening structure for cylinder head and divided type cylinder block of engine
SE9202019D0 (sv) Foerfarande foer styrning av arbetsfoerloppet i en foerbraenningskolvmotor samt motor foer genomfoerande av foerfarandet
CA2472573A1 (en) Engine fastening structure
KR19980020363U (ko) 자동차의 실린더블록 결합장치
US4567865A (en) Crankcas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1247742A (ja) 軽金属製ハウジング部品を有する内燃機関
JPS591085Y2 (ja) 内燃機関のシリンダブロツク
GB2164389A (en) Crankcase for a multi-cylinder piston engine
JPS59103946A (ja) 往復動ピストン型内燃機関
KR0128638Y1 (ko) 개선된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지지체
JPH0133815Y2 (ko)
JPS6224773Y2 (ko)
JP3157175B2 (ja) エンジンのブロック構造
DE50206969D1 (de) Pleuelstange mit einem verbundenen oberen Pleuelkopf
JPS5752610A (en) Cam shaft support device for overhead cam shaft type engine
JPS642780B2 (ko)
JPS5856410Y2 (ja) 往復動式内燃機関の吊メタル式主軸受構造
JPH04117162U (ja) エンジン構造
KR200141254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베어링 체결구조
KR940002795Y1 (ko) 왕복식 내연기관의 피스톤과 연접봉(Connecting Rod)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