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067U - 원통형 전지 - Google Patents

원통형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067U
KR19980020067U KR2019960033273U KR19960033273U KR19980020067U KR 19980020067 U KR19980020067 U KR 19980020067U KR 2019960033273 U KR2019960033273 U KR 2019960033273U KR 19960033273 U KR19960033273 U KR 19960033273U KR 19980020067 U KR19980020067 U KR 199800200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ver
cap
case
cylindrical battery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만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60033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067U/ko
Publication of KR19980020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067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캡커버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캡과 캡커버의 결합 구조가 변경된 원통형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원통형 전지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부에 상호 절연되게 형성된 양극판 및 음극판과, 이 두 기판 사이에 개제되어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격리판을 포함하는 극판군과;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된 캐스켓에 설치된 캡커버와; 양극판과 캡커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와; 캡커버와 결합되고 그 단부가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개스 방출공을 갖는 캡을 구비하며, 캡커버는 극판군과 마주하는 쪽면에 인입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통형 전지
본 고안은 원통형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캡커버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캡과 캡커버의 결합 구조가 변경된 원통형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는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제품으로서 각종 전자제품 및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건전지를 비롯하여 자동차용 배터리,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등에 사용되는 축전지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통형 전지를 보인 부분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전지는 원통형의 케이스(11)가 마련되고 그 케이스(11) 내부에는 롤(roll) 구조로 서로 나선형으로 감겨진 양극판(12)과 음극판(13)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양극판(12)과 음극판(13) 사이에는 격리판(14)이 위치되어 두 극판(12)(13)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 두 극판(12)(13)과 상기 격리판(14)의 하단에는 이를 지지하는 하부링부재(1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두 극판(12)(13)과 격리판(14)은 상기 케이스(11) 상단 소정 위치를 내측으로 구부려 형성된 비이딩(beading)부(16)에 의해 그 가장자리가 고정 지지된다. 상기 비이딩부(16) 위에는 관통공(17a)이 형성된 캡커버(17)가 위치된다. 이 캡커버(17)는 케이스(11)의 비이딩부(16)에 걸치도록 설치된 가스켓(18)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관통공(17a)을 밀폐하는 러버벤트(19)를 감싸는 캡(20)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캡커버(17)은 와이어(21)에 의해 상기 양극판(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는 종래의 캡과 캡커버의 결합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20)은 상기 캡커버(17)의 가장자리(17b)를 구부려 결합하는 크리밍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캡(20)에는 내압에 의해 상기 관통공(17a)을 통해 상기 캡커버(17)와 상기 캡(20) 사이의 여유공간에 개스를 방출할 수 있도록 된 방출공(20a)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원통형 전지는 상기 캡커버(17)에 관통공(17a)을 형성하고, 상기 캡커버(17)와 상기 캡(20) 사이에 러버벤트(19)를 개재시켜 상기 관통공(17a)을 밀봉함으로 상기 캡커버(17)가 휘지 않도록 상기 캡커버(17)를 구부러지게 가공하여야 하고, 크리밍방식에 의해 상기 캡커버(17)와 캡(20)을 결합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러버벤트를 배제함에 의해 캡커버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캡과 캡커버의 결합 구조가 변경된 원통형 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통형 전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원통형 전지의 일부분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의 일부분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케이스32...비이딩부33...캡
34...가스켓35...캡커버36...러버벤트
37...와이어40...극판군41...양극판
42...음극판43...격리판45...중앙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호 절연되게 형성된 양극판 및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격리판을 포함하는 극판군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된 개스켓에 설치된 캡커버와; 상기 양극판과 상기 캡커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캡커버와 결합되고 그 단부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개스 방출공을 갖는 캡을 구비하여 된 원통형 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커버는 상기 극판군과 마주하는 쪽면에 인입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스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커버는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캡과 캡커버는 용접에 의해 상호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분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케이스(31)가 마련되고 그 케이스(31) 내부에는 극판군(40)이 형성된다. 상기 극판군(40)은 산화니켈 등으로 구성된 양극판(41)과, 수소흡장합금등으로 구성된 음극판(42) 및 이 두 극판(41)(42) 사이에 개제되어 상기 양극판(41)과 음극판(42)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격리판(43)을 포함한다. 상기 극판군(40)은 롤 구조로 서로 나선형으로 감겨진다. 상기 극판군(4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31)의 하단 내측에는 상기 극판군(40)을 지지하는 하부링부재(33)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31)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비이딩부(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극판군(40)은 하부링부재(33)와 비이딩부(32)에 지지되어 상기 케이스(31) 내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31)의 상부에는 상기 양극판(41)과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31)를 밀봉할 수 있도록 와이어(38), 캡커버(35), 및 캡(37)이 형성된다.
상기 캡커버(35)는 상기 비이딩부(32) 상의 케이스(31) 내측 둘레에 형성된 가스켓(34)에 지지되어 상기 비이딩부(32)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고정된다. 이 캡커버(35)는 상기 극판군(40)이 위치된 상기 케이스(31)의 내부를 밀봉하며, 상기 와이어(38)를 통해 상기 극판군(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캡커버(3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극판군(40)과 마주하는 쪽면에 인입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스홈(35a)을 포함한다. 이 개스홈(35a)은 상기 케이스(31) 보다 약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1) 내부의 내압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증가되는 경우 터지며, 상기 케이스(31) 내의 개스 노출방향을 가이드한다. 이와 같이, 관통공(도2의 17a)을 개스홈(35a)으로 대체한 경우, 종래의 원통형 전지에 채용된 러버벤트의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상기 캡커버(35)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37)은 상기 캡커버(35)에 고정되며, 일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32)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캡(37)과 캡커버(37)는 상기한 바와 같이 크리밍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39)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37)은 상기 개스홈(35a)이 터져 개스가 누출된 경우, 이 누출 개스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된 방출공(37a)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전지는 케이스 내압 증가시 쉽게 터질 수 있도록 된 개스홈을 캡커버에 형성한 채로 밀봉함으로 러버벤트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캡커버의 구조를 평면으로 단순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과 캡커버의 결합을 용접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호 절연되게 형성된 양극판 및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제되어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격리판을 포함하는 극판군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된 개스켓에 설치된 캡커버와;
    상기 양극판과 상기 캡커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캡커버와 결합되고 그 단부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개스 방출공을 갖는 캡을 구비하여 된 원통형 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커버는 상기 극판군과 마주하는 쪽면에 인입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스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커버는 평면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전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캡커버는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전지.
KR2019960033273U 1996-10-09 1996-10-09 원통형 전지 KR199800200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273U KR19980020067U (ko) 1996-10-09 1996-10-09 원통형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273U KR19980020067U (ko) 1996-10-09 1996-10-09 원통형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067U true KR19980020067U (ko) 1998-07-15

Family

ID=53978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273U KR19980020067U (ko) 1996-10-09 1996-10-09 원통형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06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4551B1 (en) Hermetically sealed electrolytic capacitor
US8173296B2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KR100917742B1 (ko) 원통형 이차전지
KR20090081197A (ko) 이차 전지
US6207320B1 (en) Cap assembly of secondary battery
CN218005057U (zh) 一种盖板组件及电池
EP3739669A1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555959B1 (ko) 외부접속단자를 갖는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장치
CN207690845U (zh) 二次电池顶盖组件、二次电池及汽车
CN212303778U (zh) 纽扣电池或柱状电池
KR101446153B1 (ko) 이차 전지용 캡 조립체와 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이러한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JP2000100398A (ja) 二次電池のキャップ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20067U (ko) 원통형 전지
KR19980060785A (ko) 전지
KR20170025117A (ko) 이차 전지
KR100544106B1 (ko) 이차전지의 캔
KR20020070586A (ko) 이차전지
KR100319112B1 (ko) 이차 전지
KR100319107B1 (ko) 밀폐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217691388U (zh) 盖板、电池及电池组
KR19980030967A (ko) 원통형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42859U (ko) 2차 전지의 기밀유지 구조
KR19980021813U (ko) 2차 전지
KR101988628B1 (ko)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장치
KR102501502B1 (ko)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