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121A - Garage adjuster - Google Patents

Garage adju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121A
KR19980016121A KR1019960035637A KR19960035637A KR19980016121A KR 19980016121 A KR19980016121 A KR 19980016121A KR 1019960035637 A KR1019960035637 A KR 1019960035637A KR 19960035637 A KR19960035637 A KR 19960035637A KR 19980016121 A KR19980016121 A KR 19980016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shock absorber
garag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6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192319B1 (en
Inventor
배성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35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319B1/en
Publication of KR19980016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1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319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에서 자동차의 바디까지의 높이를 조정하는 차고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고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에어스프링에 배설되며 로드부 및 구획부로 이루어져 차체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수단과, 상기 피스톤수단의 구획부에 의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가 구획되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오일이 충만된 쇽업소버와, 상기 쇽업소버의 하부챔버의 유압이 높을 경우 에어공급수단의 에어가 상기 에어스프링으로 공급되도록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과, 상기 쇽업소버의 상부챔버의 유압이 높을 경우에는 상기 에어스프링의 에어가 배출되도록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제어수단로 이루어진 차고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와 같은 고가의 레벨링밸브를 사용함이 없이 유공압에 의해서 용이하게 차고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써 구조가 콤팩트화되어 제작시 제조코스트가 다운되고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from a ground to a vehicle body, and more particularly, A shock absorber in which an upper chamber and a lower chamber are partitioned by a partition of the piston means and filled with oil to absorb an impact, and air of an air supply means when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lower chamber of the shock absorber is high, A first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air to be supplied to the air spring and a seco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air so that the air of the air spring is discharged when the oil pressure in the upper chamber of the shock absorber is hig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gulating devic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gulating device, I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garage is to be written structure is compact and the manufacturing cost when building down increases productivity.

Description

차고조정장치Garage adjuster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차고조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FIG. 1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height adjustment device applied to a conventional example; FIG.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고조정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height adjustment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제어수단이 배설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control mea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FIG.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제어수단이 배설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ontrol mea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에어스프링20:피스톤수단10: air spring 20: piston means

21:로드부22:구획부재21: rod section 22: partition member

30:쇽업소버31:상부챔버30: shock absorber 31: upper chamber

32:하부챔버40:에어공급수단32: lower chamber 40: air supply means

50:제1제어수단51:제1피스톤부재50: first control means 51: first piston member

52:제1로드부재53:제1제어부재52: first rod member 53: first control member

54:제1탄성부재60:제2제어수단54: first elastic member 60: second control means

61:제2피스톤부재62:제2로드부재61: second piston member 62: second rod member

63:제2에저부재64:제2탄성부재63: second ears member 64: second elastic member

본 발명은 지상에서 자동차의 바디까지의 높이를 조정하는 차고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유공압의 흐름에 의해서 바디의 높낮이를 콘트롤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를 콤팩트화시킴으로써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고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age fastening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body of an automobil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height of the body by the flow of hydraulic flui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age height adjusting device capable of being used.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자동차의 바디까지의 높이를 조정하는 차고조정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로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Generally, a garage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body of a car is variously proposed in various forms.

이와 같은 종래의 차고조정장치의 일예로써는 일본국에서 1986년 11월 19일자로 실용신안공고된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소 61-40574호가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garage height adjusting device,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61-40574, published on Nov. 19, 1986, as a utility model, is available in Japan.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소 61-40574호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바디(1')와 액슬(2')의 사이에 개장된 에어스프링(3')과, 상기 에어스프링(3')으로 급배되는 압축공기의 급배를 제어하는 레벨링밸브(5')와, 상기 레벨링밸브(5')를 차고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작동시켜 표준차고로 유지되도록 조정하는 조정수단과, 상기 레벨링밸브(5')를 운전석의 수동스위치(25')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강제적으로 작동시켜서 상기 에어스프링(3')에서 압축공기를 배출시켜 차고를 저하시키는 강제저하수단을 구비한 차고조정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정지상태를 전기신호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출력신호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상기 강제저하수단의 작동을 금지하는 수단과, 상기 강제저하수단이 작동상태에 있을 경우 차량의 주행을 금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Japanese Utility Model Provisional Publication No. 61-40574 discloses an air spring 3 'that is opened between a body 1' and an axle 2 'of a vehicle as shown in FIG. 1, A leveling valve 5 'for controlling the supply and discharge of compressed air fed to the leveling valve 5'; an adjusting means for automatically operating the leveling valve 5 ' (5 ') is forcibly operated by operating the manual switch (25') of the driver's seat so as to discharge the compressed air from the air spring (3 ') to lower the height of the garage Means for inhibiting operation of the forced lowering means when no output signal is present to the sensor; means for prohibiting running of the vehicle when the forced lowering means is in an operating state; Equipped with means for .

또, 상기 센서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센서(29')이고, 차량의 주행을 금지하는 수단을 전기적으로 엔진시동장치를 차단하는 장치 또는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장치이다.The sensor is a vehicle speed sensor 29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is a device for electrically blocking the engine starting device or a device for operating the brake.

이와 같은 종래의 차고조정장치는, 차고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에어스프링(3')의 내부의 에어를 가감하는 레벨링밸브(5') 등의 고가의 부품이 소요됨으로써 구조가 복잡해서 제작시 제조코스트가 상승되고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height adjustment device requires expensive parts such as a leveling valve 5 'for increasing / decreasing the air inside the air spring 3' so that the height of the garage is kept constan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가의 레벨링밸브 등의 부품을 사용함이 없이 차고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하여 구조를 콤팩트화시킴으로써 제작시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고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height of the garage without using expensive parts such as leveling valv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height adjus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 vehicle heigh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고조정장치는, 차고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에어스프링에 배설되며 로드부 및 구획부로 이루어져 차체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수단과, 상기 피스톤수단의 구획부에 의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가 구획되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오일이 충만된 쇽업소버와, 상기 쇽업소버의 하부챔버의 유압이 높을 경우 에어공급수단의 에어가 상기 에어스프링으로 공급되도록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과, 상기 쇽업소버의 상부챔버의 유압이 높을 경우에는 상기 에어스프링의 에어가 배출되도록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제어수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ight adjustment device comprising: piston means disposed on an air spring that maintains a height of a garage constantly and composed of a rod portion and a partition portion and moved by a pressure applied by a vehicle body; A shock absorber in which an upper chamber and a lower chamber are partitioned by a partition of the lower chamber of the shock absorber and filled with oil to absorb an impact, And a seco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ir so that the air of the air spring is discharged when the oil pressure of the upper chamber of the shock absorber is high.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고조정장치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고가의 레벨링밸브를 사용함이 없이 유공압에 의해서 용이하게 차고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구조가 콤팩트화되어 제작시 제조코스트가 다운되고 생산성이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ight of the garage can be easily adjusted by the pneumatic pressure without using an expensive leveling valve as in the prior art, the structure is made compac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during manufacture, .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고조정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고조정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제어수단이 배설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제어수단이 배설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trol mea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ontrol means is disposed.

제2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10)은 차고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에어가 충만된 에어스프링으로써, 그 내부에는 차체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피스톤수단(20)이 배설되어 있다.2 to 4,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n air spring in which air is filled so that the height of a garage is kept constant, and in the inside thereof, a piston means (not shown), which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pressure generated by a load of the vehicle body, (20) is disposed.

또, 상기 피스톤수단(20)은, 차체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로드부(21)와, 상기 로드부(2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부(21)와 연동하여 이동되는 구획부(22)로 이루어진다.The piston means 20 includes a rod portion 21 which is vertically moved by a pressure generated by a load of the vehicle body and a rod portion 21 integrally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rod portion 21, (Not shown).

또한, 피스톤수단(20)의 구획부(22)는, 충격을 흡수완화시키는 쇽업소버(30)의 내부에 배설되어서 상기 쇽업소버(30)의 내부를 상부챔버(31)와 하부챔버(32)로 구획시킨다.The partitioning portion 22 of the piston means 20 is disposed inside the shock absorber 30 for absorbing and absorbing impact so that the inside of the shock absorber 30 is divided into the upper chamber 31 and the lower chamber 32, .

또, (40)은 차고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에어스프링(10)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이고, (50)은 차고의 높이가 낮아질 경우 상기 에어공급수단(40)의 에어가 상기 에어스프링(10)으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이며, (60)은 차고의 높이가 높아질 경우 상기 에어스프링(10)의 에어가 배출되도록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제어수단이다.Reference numeral 40 denotes an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spring 10 so that the height of the garage is kept constant. Reference numeral 50 denotes an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spring 10 when the height of the garage is lowered. The first control means 60 controls the flow of the air so that the air is supplied to the air spring 10, and the flow control means 60 controls the flow of the air so that the air of the air spring 10 is discharged when the height of the car is increased And second control means.

또한, 상기 제1제어수단(50)은, 상기 쇽업소버(30)의 하부챔버(32)에 충만된 유압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1파이프(1)와, 상기 에어공급수단(40)에서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2파이프(2)와, 상기 에어스프링(10)으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에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3파이프(3)에 배설되어서 상기 쇽업소버(30)의 하부챔버(32)의 압력이 높아질 경우 상기 제어공급수단(40)에서 발생된 에어가 상기 제2파이프(2) 및 상기 제3파이프(3)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에어스프링(10)으로 공급되도록하여 차고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한다.The first control means 50 includes a first pipe 1 for guiding the flow of the hydraulic pressure filled in the lower chamber 32 of the shock absorber 30, And a third pipe 3 for guiding the air flow so that the air is supplied to the air spring 10 so that the lower chamber 2 of the shock absorber 30, The air generated by the control supply means 40 is guided by the second pipe 2 and the third pipe 3 to be supplied to the air spring 10 when the pressure of the garage 32 is increased, So that the height is kept constant.

즉, 상기 제1제어수단(50)은, 상기 쇽업소버(30)의 하부챔버(32)의 압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상기 제1파이프(1)에 배설된 제1피스톤부재(51)와, 상기 제1피스톤부재(51)에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상기 제1피스톤부재(5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로드부재(52)와, 상기 제1로드부재(52)와 연동하여 작동되어서 상기 제2파이프(2)와 상기 제3파이프(3)의 연결부위를 개폐시켜서 상기 에어공급수단(40)에서 상기 에어스프링(10)으로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재(53)와, 상기 제1제어부재(53)에 의해서 상기 제2파이프(2)와 상기 제3파이프(3)의 연결부위가 폐쇄되어서 상기 에어공급수단(40)에서 발생된 에어가 상기 에어스프링(10)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제1제어부재(53)를 제어하는 제1탄성부재(54)로 이루어져 있다.That is, the first control means 50 includes a first piston member 51 disposed on the first pipe 1 to be moved by the pressure of the lower chamber 32 of the shock absorber 30, A first rod member 52 integrally formed on the first piston member 51 so as to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piston member 51 and a second rod member 52 integrally formed on the first piston member 51 and operatively associated with the first rod member 52, A first control member 53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means 40 to the air spring 10 by opening and closing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ipe 2 and the third pipe 3,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econd pipe 2 and the third pipe 3 is closed by the first control member 53 so that the air generated by the air supply means 40 flows into the air spring 10 And a first elastic member 54 for controlling the first control member 53 so as not to be supplied.

또, 상기 제2제어수단(60)은, 상기 쇽업소버(30)의 상부챔버(31)에 충만된 유압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5파이프(5)와, 상기 에어스프링(10)에 충만된 에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6파이프(6)와, 상기 제6파이프(6)를 통과한 에어가 배출되도록 에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7파이프(7)에 배설되어서, 상기 쇽업소버(30)의 상부챔버(31)의 압력이 높아질 경우 상기 에어스프링(10)에 충만된 에어가 상기 제6파이프(6) 및 상기 제7파이프(7)에 가이드되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차고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한다.The second control means 60 includes a fifth pipe 5 for guiding the flow of the hydraulic pressure filled in the upper chamber 31 of the shock absorber 30, A sixth pipe 6 for guiding the flow of air and a seventh pipe 7 for guiding the flow of air so as to discharg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ixth pipe 6, The air filled in the air spring 10 is guided by the sixth pipe 6 and the seventh pipe 7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pressure of the upper chamber 31 of the garage is increased, .

즉, 상기 제2제어수단(60)은, 상기 쇽업소버(30)의 상부챔버(31)의 압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상기 제6파이프(6)에 배설된 제2피스톤부재(61)와, 상기 제2피스톤부재(61)에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상기 제2피스톤부재(6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2로드부재(62)와, 상기 제2로드부재(62)와 연동하여 작동되어서 상기 제6파이프(6)와 상기 제7파이프(7)의 연결부위를 개폐시켜서 상기 에어스프링(10)에 충만된 에어가 배출되도록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재(63)와, 상기 제2제어부재(63)에 의해서 상기 제6파이프(6)와 상기 제7파이프(7)의 연결부위가 폐쇄되어서 상기 에어스프링(10)에 충만된 에어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제어부재(63)를 제어하는 제2탄성부재(64)로 이루어져 있다.That is, the second control means 60 includes a second piston member 61 disposed on the sixth pipe 6 to be moved by the pressure of the upper chamber 31 of the shock absorber 30, A second rod member 62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piston member 61 so as to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piston member 61 and a second rod member 62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piston member 61 and operatively associated with the second rod member 62, A second control member (63)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ir so as to open and close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pipe (6) and the seventh pipe (7) to discharge the air filled in the air spring (10) The connection member between the sixth pipe 6 and the seventh pipe 7 is closed by the member 63 so that the air filled in the air spring 10 is not discharged, And a second elastic member 64 for controlling the second elastic member 64.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차고조정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차체의 중량이 무거워져 차고의 높이가 낮아지면, 상기 피스톤수단(20)이 제2도에 도시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피스톤수단(20)의 구획부(22)에 의해 구획된 상기 쇽업소버(30)의 하부챔버(32)의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First, when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becomes heavy and the height of the garage becomes low, the piston means 2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shown in FIG. 2, and is divided by the partition portion 22 of the piston means 20 The pressure of the lower chamber 32 of the shock absorber 30 is increased.

또, 상기 쇽업소버(30)의 하부챔버(32)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하부챔버(32)의 오일이 상기 제1파이프(1)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제1제어수단(50)의 제1피스톤부재(51)를 제3도에 도시한 화살표 B방향을 작동시킨다.When the pressure in the lower chamber 32 of the shock absorber 30 is increased, the oil in the lower chamber 32 is guided to the first pipe 1 so that the first piston 1 of the first control means 50, The member 51 is op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제1제어수단(50)의 제1피스톤부재(51)가 화살표 B방향으로 작동되면 상기 제1로드부재(52) 및 상기 제1제어부재(53)가 연동하여 작동되어 상기 제2파이프(2)와 상기 제3파이프(3)를 개방시키게 된다.When the first piston member 51 of the first control means 50 is op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the first rod member 52 and the first control member 53 ar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e pipe 2 and the third pipe 3 are opened.

또, 상기 제1제어수단(50)에 의해 상기 제2파이프(2)와 상기 제3파이프(3)가 개방되면 상기 에어공급수단(40)에서 발생된 에어가 상기 제2파이프(2)와 상기 제3파이프(3)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에어스프링(10)으로 공급됨으로써 차고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When the second pipe (2) and the third pipe (3) are opened by the first control means (50), the air generated by the air supply means (40) Is guided by the third pipe (3) and supplied to the air spring (10), so that the height of the garage is kept constant.

즉, 차고의 높이가 낮아질 경우에는 상기 제1제어수단(50)에 의해서 상기 제2파이프(2)와 상기 제3파이프(3)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에어공급수단(40)에서 발생된 에어가 상기 에어스프링(10)으로 공급되어 차고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height of the garage is lowered, the second pipe (2) and the third pipe (3) are opened by the first control means (50) So that the height of the garage is maintained constant.

한편, 차고의 높이가 높아질 경우에는 상기 피스톤수단(20)이 제2도에 도시한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피스톤수단(20)의 구획부(22)에 의해 구획된 상기 쇽업소버(30)의 상부챔버(31)의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When the height of the garage is increased, the piston means 2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arrow D shown in FIG. 2, and the shock absorber 30, which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ortion 22 of the piston means 20, So that the pressure of the upper chamber 31 of the valve body 31 becomes higher.

또, 상기 쇽업쇼버(30)의 상부챔버(31)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상부챔버(31)의 오일이 상기 제5파이프(5)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제2제어수단(60)의 제2피스톤부재(61)를 제4도에 도시한 화살표 C방향으로 작동시킨다.When the pressure in the upper chamber 31 of the shock absorber 30 is increased, the oil in the upper chamber 31 is guided to the fifth pipe 5 so that the second piston of the second control means 60, The member 61 is op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제2제어수단(60)의 제2피스톤부재(61)가 화살표 C방향으로 작동되면 상기 제2로드부재(62) 및 상기 제2제어부재(63)가 연동하여 작동되어서 상기 제6파이프(6)와 상기 제7파이프(7)를 개방시키게 된다.When the second piston member 61 of the second control means 60 is op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the second rod member 62 and the second control member 63 ar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e pipe 6 and the seventh pipe 7 are opened.

또, 상기 제2제어수단(60)에 의해 상기 제6파이프(6)와 상기 제7파이프(7)가 개방되면 상기 에어스프링(10)에 충만된 에어가 상기 제6파이프(6)와 상기 제7파이프(7)에 가이드되어서 배출됨으로써 차고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When the sixth pipe (6) and the seventh pipe (7) are opened by the second control means (60), air filled in the air spring (10) flows through the sixth pipe Is guid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seventh pipe (7) so that the height of the garage is kept constant.

즉, 차고의 높이가 높아질 경우에는 상기 제2제어수단(60)에 의해서 상기 제6파이프(6)와 상기 제7파이프(7)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에어스프링(40)에 충만된 에어가 배출되어 차고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height of the garage is increased, the sixth pipe (6) and the seventh pipe (7) are opened by the second control means (60) to discharge the air filled in the air spring The height of the garage is kept constant.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고조정장치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고가의 레벨링밸브를 사용함이 없이 유공압에 의해서 용이하게 최고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구조가 콤팩트화되어 제작시 제조코스트가 다운되고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ight can be easily adjusted by the pneumatic pressure without using an expensive leveling valve as in the prior art, the structure is made compac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Claims (7)

차고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에어스프링에 배설되며 로드부 및 구획부로 이루어져 차체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수단과,A piston means which is disposed on an air spring which keeps the height of the garage constant and which is moved by a pressure applied by the vehicle body, 상기 피스톤수단의 구획부에 의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가 구획되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오일이 충만된 쇽업소버와,A shock absorber in which an upper chamber and a lower chamber are partitioned by a partition of the piston means and filled with oil to absorb an impact, 상기 쇽업소버의 하부챔버의 유압이 높을 경우 에어공급수단의 에어가 상기 에어스프링으로 공급되도록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과,First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ir so that air of the air supply means is supplied to the air spring when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lower chamber of the shock absorber is high, 상기 쇽업소버의 상부챔버의 유압이 높을 경우에는 상기 에어스프링의 에어가 배출되도록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고조정장치.And seco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air so that the air of the air spring is discharged when the oil pressure of the upper chamber of the shock absorber is hi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수단은,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쇽업소버의 하부챔버에 충만된 유압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1파이프와,A first pipe for guiding the flow of the hydraulic pressure filled in the lower chamber of the shock absorber, 상기 제어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에어희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2파이프와,A second pipe for guiding the air flow supplied from the control supply means, 상기 에어스프링으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에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3파이프에 배설되어서,And a third pip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so that air is supplied by the air spring, 상기 쇽업소버의 하부챔버의 압력이 높아질 경우 상기 에어공급수단에서 발생된 에어가 상기 제2파이프 및 상기 제3파이프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에어스프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차고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고조정장치.When the pressure of the lower chamber of the shock absorber is increased, the air generated by the air supply means is guided by the second pipe and the third pipe to be supplied to the air spring so that the height of the garage is kept constant Features a garage adju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수단은, 상기 쇽업소버의 하부챔버의 압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제1파이프에 배설된 제1피스톤부재와,2.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means comprises: a first piston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pipe to be moved by the pressure of the lower chamber of the shock absorber; 상기 제1피스톤부재에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상기 제1피스톤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로드부재와,A first rod member integrally formed on the first piston member to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piston member, 상기 제1로드부재와 연동하여 작동되어서 제2파이프와 제3파이프의 연결부위를 개폐시켜서 상기 에어공급수단에서 상기 에어스프링으로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재와,A first control member which is operated in interlock with the first rod member to open and close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econd pipe and the third pipe to control the flow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means to the air spring, 상기 제1제어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2파이프와 상기 제3파이프의 연결부위가 폐쇄되어서 상기 에어공급수단에서 발생된 에어가 상기 에어스프링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제1제어부재를 제어하는 제1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고조정장치.A first elastic member for controlling the first control member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econd pipe and the third pipe is closed by the first control member so that the air generated by the air supply means is not supplied to the air spring,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수단은,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쇽업소버의 상부챔버에 충만된 유압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5파이프와,A fifth pipe for guiding the flow of the hydraulic pressure filled in the upper chamber of the shock absorber, 상기 에어스프링에 충만된 에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6파이프와,A sixth pip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filled in the air spring, 상기 제6파이프를 통과한 에어가 배출되도록 에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7파이프에 배설되어서,A sixth pipe which is arranged on a seventh pip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so as to discharg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ixth pipe, 상기 쇽업소버의 상부챔버의 압력이 높아질 경우 상기 에어스프링에 충만된 상기 제6파이프 및 상기 제7파이프에 가이드되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차고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차고조정장치.Wherein when the pressure of the upper chamber of the shock absorber is increased, the sixth pipe and the seventh pipe filled in the air spring are guid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height of the garage is kept consta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수단은,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쇽업소버의 상부챔버의 압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제6파이프에 배설된 제2피스톤부재와,A second piston member disposed on the sixth pipe to be moved by the pressure of the upper chamber of the shock absorber, 상기 제2피스톤부재에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상기 제2파스톤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2로드부재와,A second rod member integrally formed on the second patton member to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piston member, 상기 제2로드부재와 연동하여 작동되어서 상기 제6파이프와 상기 제7파이프의 연결부위를 개폐시켜서 상기 에어스프링에 충만된 에어가 배출되도록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재와,A second control member that is operated in cooperation with the second rod member to open and close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ixth pipe and the seventh pipe to control the flow of air so that the air filled in the air spring is discharged; 상기 제2제어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6파이프와 상기 제7파이프의 연결부위가 폐쇄되어서 상기 에어스프링에 충만된 에어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제어부재를 제어하는 제2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고조정장치.And a second elastic member for controlling the second control member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ixth pipe and the seventh pipe is closed by the second control member so that the air filled in the air spring is not discharged. A garage adjust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차고의 높이가 낮아질 경우에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height of the garage is lowered, 상기 제1제어수단에 의해서 제2파이프와 제3파이프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에어공급수단에서 발생된 에어가 상기 에어스프링으로 공급되어 차고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고조정장치.Wherein the second pipe and the third pipe are opened by the first control means so that the air generated by the air supply means is supplied to the air spring so that the height of the garage is kept constant. 제1항에 있어서, 차고의 높이가 높아질 경우에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height of the garage is increased, 상기 제2제어수단에 의해서 제6파이프와 제7파이프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에어스프링에 충만된 에어가 배출되어 차고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고조정장치.And the sixth pipe and the seventh pipe are opened by the second control means, whereby the air filled in the air spring is discharged, so that the height of the garage is kept constant.
KR1019960035637A 1996-08-27 1996-08-27 High control system KR1001923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637A KR100192319B1 (en) 1996-08-27 1996-08-27 High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637A KR100192319B1 (en) 1996-08-27 1996-08-27 High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121A true KR19980016121A (en) 1998-05-25
KR100192319B1 KR100192319B1 (en) 1999-06-15

Family

ID=1947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637A KR100192319B1 (en) 1996-08-27 1996-08-27 High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31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2319B1 (en)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7069A (en)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with vehicle height control
US5295563A (en) Active suspension actuator with control flow through the piston rod
US6321887B1 (en)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JPH10252803A (en) Shock absorber
CN103307168B (en) Damping-adjustable shock absorber
CN110017349A (en) A kind of automobile-used rigidity controllable magnetic rheology damper and rigidity regulate and control method
CA2361322A1 (en) Improved shock absorber
US4568093A (en) Method of operating vehicle height adjusting apparatus
EP0397702B1 (en) A variable rate shock absorber and system therefor
KR19980016121A (en) Garage adjuster
JPH0154202B2 (en)
GB2272499A (en) An air spring unit
CN211501444U (en) Electromagnetic valve type shock absorber with built-in hollow piston rod
JPS61235212A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JP2000337425A (en) Damping force developing structure for hydraulic buffer
JPH09222146A (en) Damping force adjusting type hydraulic buffer
KR100444456B1 (en) leveling system for air suspension vehicles
CN218625206U (en) Adjustable shock absorber and vehicle
CN217926910U (en) Shock absorber
KR200230300Y1 (en) Gas Shock Absorber Using Gas Control Device for Automobile
JPH05141468A (en) Damping force adjustable type hydraulic shock absorber
KR0119439Y1 (en) Damper
JPH0434298Y2 (en)
JPH0571572A (en) Shock absorber device
KR100475914B1 (en) leveling system for air suspension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