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098A - Seat belt adjuster for automobiles - Google Patents

Seat belt adjuster for automobi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098A
KR19980016098A KR1019960035614A KR19960035614A KR19980016098A KR 19980016098 A KR19980016098 A KR 19980016098A KR 1019960035614 A KR1019960035614 A KR 1019960035614A KR 19960035614 A KR19960035614 A KR 19960035614A KR 19980016098 A KR19980016098 A KR 19980016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extension plate
adjuster
button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35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6098A/en
Publication of KR1998001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098A/en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벨트 어져스터에 관한 것으로, 버튼(1)에 일체로 연결된 ㄷ자형상의 연장판(2)과, 이 연장판(2)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주기 위해 연장판(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 복귀스프링(3) 및, 상기 연장판(2)에 순차적으로 치합되는 다수개의 기어(4,5,6)를 갖추고서 연장판(2)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버튼장치와 슬립가이드를 상승시켜 줌으로써 어져스터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리프팅수단(4,5,6,7,8)을 갖춘 구조로 되어, 록킹해제동작이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adjuster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belt adjuster for an automobile, which comprises a C-shaped extension plate 2 integrally connected to a button 1 and an extension plate 2 And a plurality of gears (4, 5, 6) sequentially engaged with the elongated plate (2), and the rectilinear motion of the elongated plate (2) is rotationally moved (4, 5, 6, 7, 8) fo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adjuster by raising the button device and the slip guide by converting the lock device to the lock device, have.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벨트 어져스터Seat belt adjuster for automobiles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어져스터의 버튼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FIG.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button device of a seat belt adjus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of FIG. 1,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어져스터의 버튼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button device of a seat belt adju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버튼2-연장판1-button 2-extended version

3-복귀스프링4,5,6-기어3-return spring 4, 5,

6a-축7-지지판6a-axis 7-support plate

8-회전판9-슬립가이드8-Spindle 9-Slip Guid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벨트 어져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튼에 의해 연동되는 다수개의 기어를 매개로 버튼장치가 리프트되어 록킹이 해제됨에 따라 록킹해제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작동소음도 발생될 염려가 없도록 된 자동차의 시트벨트 어져스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adjuster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belt adjuster for a vehicle, in which a button device is lifted via a plurality of gears interlocked by butt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adjuster of a vehicle which is not provided with a seat belt.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객이 탑승해서 안락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차실내부의 전후방으로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이 승객이 자동차에 탑승하여 시트에 착석할 경우에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될 수 있는 여러가지 위험으로부터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각 시트에는 통상적으로 시트벨트가 구비되어 있다.In general, a seat is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a vehicle interior so that a passenger can ride and feel a comfortable ride. In this way, when a passenger seated on a seat is seated on the seat, various risks Each seat is usually provided with a seat belt.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트벨트는 차실내의 좌/우측 하단부에 고정되어 웨빙을 탄력적으로 감아 수용하는 리트렉터와, 이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된 웨빙을 좌/우측 트림부에 걸어주는 행거, 이 행거를 통과한 웨빙에 섭동가능하게 끼워진 텅부재, 이 텅부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웨빙이 탑승자의 신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고정시켜주는 버클로 구성되어 있다.The above conventional seat belt is fix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vehicle cabin and resiliently winds and accommodates the webbing, a hanger for hanging the webbing drawn out from the retractor to the left and right trim portions, A tongue member pivotably fitted to the passed webbing, and a buckle detachably coupled to the tongue member to fix the webbing so as to be arranged in a direction across the body of the occupant.

따라서 시트에 앉은 승객은 상기 리트렉터로부터 신장되어 행거를 거쳐나온 웨빙에 끼워진 텅부재를 자신의 가슴부위로 지나도록 한 다음 시트의 측부에 고정된 버틀에 체결시키게 되면, 착석자의 신체가 상기 웨방에 의해 시트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지지되게 있다.Accordingly, when a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tries to pass a tongue member extended from the retractor through the webbing passed through the hanger to the chest area of his / her chest and then fastened to a seatbelt fixed to the side of the seat,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sheet.

그리고 상기 행거를 통해 연장되어 나가는 웨빙의 높낮이를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시트벨트의 착용감을 좋게 하면서 지나친 압박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어져스터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 어져스터는 차체의 센터필라에 장착된 상부트림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됨과 더불어 통상적으로 측면에 부착되는 버튼의 조작으로 록킹이 해제되게 되어 있다.An adjuster is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ebbing extending through the hanger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wearer so as to improve the fit of the seat belt while not feeling an excessive feeling of pressure. Is mounted movably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upper trim mounted on the pillar, and the locking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a button normally attached to the side.

상기와 같은 종래 어져스터의 버튼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져스터 하우징(101)의 측면에 버튼(102)이 복귀스프링(103)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고, 이 버튼(102)에는 속이 빈 폐다각형 형상의 연장판(104)이 일체로 연결되며, 이 연장판(104)의 하면에는 제2도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05)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1 and 2, the button device of the conventional adjuster is provided with a button 102 on the side of the adjuster housing 101 so as to be elastically supported via a return spring 103 An extended plate 104 of hollow hollow polygonal shape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utton 10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ded plate 104, as shown in FIG. 2, the projection 105 is moved downward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버튼장치에는 제1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이 관통해서 연장되는 슬립 가이드(106;slip guide)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The button device is integrally coupled to a slip guide (106) extending through the webbing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이에 따라 어져스터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102)을 화살표(B)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연장판(104)의 돌기(105)가 지지판(107)을 타고 위로 올라가게 되면서 슬립 가이드와 버튼장치의 전체가 화살표(C) 방향으로 리프트되어 록킹이 해제되게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시트벨트의 착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적합하게 어져스터를 상하로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에 버튼(102)을 놓아주게 되면, 버튼장치가 복귀스프링(103)의 탄성복원력으로 원래의 위치로 밀려지면서 다시 록킹되게 되어 있다.2, when the button 102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the protrusion 105 of the extension plate 104 is pressed against the support plate 107 as shown in FIG. 2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djuster The slip guide and the button device are lif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to release the locking. In this state, the wearer of the seat belt adjusts the adjuster up and down to an appropriate position The button device is pushed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103 to be locked again.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버튼의 횡방향 조작운동이 돌기(105)에 의한 버튼장치의 상승운동으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힘전달관계가 원할하지 못하고, 또 돌기가 파손되어 작동이 불가능하게 될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소음으로 인해 착용자 등에게 불쾌감을 준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ateral movement of the button is changed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button device by the protrusion 105, the force transmission relation is unfavorable and the protrusion is broken and the operation becomes impossible And there is a drawback that it gives an uncomfortable feeling to the wearer due to operation nois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버튼에 의해 연동되는 다수개의 기어를 매개로 버튼장치가 리프트되어 록킹이 해제됨에 따라 록킹해제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작동소음도 발생될 염려가 없도록 된 자동차의 시트벨트 어져스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k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eat belt adjuster for a vehicle,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튼에 일체로 연결된 ㄷ자형상의 연장판과, 이 연장판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주기 위해 연장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 복귀스프링 및, 상기 연장판에 순차적으로 치합되는 다수개의 기어를 갖추고서 연장판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버튼장치와 슬립가이드의 조립체를 상승시켜 줌으로써 어져스터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리프팅수단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shion device comprising: a C-shaped extension plate integrally connected to a button; a return spring install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extension plate to return the extension plate to an original position; And a lifting means for releasing locking of the adjuster by raising the assembly of the button device and the slip guide by converting a linear motion of the extension plate into a rotary motion with a plurality of gears sequentially engaged with the extension plate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프팅수단이 상기 연장판의 선단 양측 상면에 래크기어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래크 기어에 제1기어가 치합됨과 더불어 이 제1기어에는 제2기어가 나란하게 치합되며, 상기 제2기어에는 제3기어가 하방으로 경사지게 치합되는 한편, 상기 제3기어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축에는 축의 회전운동으로 어져스터 하우징에 형성된 지지판에 맞닿아서 그 반력으로 버튼장치와 슬립가이드를 상승시키는 원호형상의 회전판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means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plate, and the first gear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and the second gear is supported by the first gear The third gear is meshed with the second gear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On the shaft integrally connecting the third gear, the shaft abuts against a support plate formed on the adjuster housing, And an arc-shaped rotary plate for raising the slip guide are integrally formed.

이에 따라 상기 버튼의 횡방향 해제조작력은 다수개의 기어를 통해 회전운동으로 전환되면서 버튼장치와 슬립가이드를 상승시켜 록킹상태를 해제시킴에 따라 해제동작이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As a result, the lateral release operation force of the button is converted into rotational mo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gears, and the button device and the slip guide are raised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so that the release operation is smooth without generating nois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3도는 본 발명에 다른 시트벨트 어져스터의 버튼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인 바, 즉 하우징에 장착되는 버튼(1)에 일체로 연결된 ㄷ자형상의 연장판(2)과, 이 연장판(2)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주기 위해 연장판(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 복귀스프링(3) 및, 상기 연장판(2)에 순차적으로 치합되는 다수개의 기어(4,5,6) 및, 상기 연장판(2)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버튼장치와 슬립가이드를 리프팅해 줌으로써 어져스터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리프팅수단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button device of a seat belt adju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that is, a U-shaped extension plate integrally connected to a button 1 mounted on a housing, A return spring 3 provided to resiliently support the extension plate 2 to return the extension plate 2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a return spring 3 arranged to sequentially engage the extension plate 2, And lifting means fo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adjuster by shifting the linear motion of the extension plate 2 into rotational motion and lifting the button device and the slip guide .

여기서 상기 리프팅수단은 상기 연장판(2)의 선단 양측 상면에 래크기어(2a)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래크기어(2a)에 제1기어(4)가 치합됨과 더불어 이 제1기어(4)에는 제2기어(5)가 나란하게 치합되며, 상기 제2기어(5)에는 제3기어(6)가 하방으로 경사지게 치합되는 한편, 상기 제3기어(6)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축(6a)에는 축(6a)의 회전운동으로 어져스터 하우징에 형성된 지지판(7)에 맞닿아서 그 반력으로 버튼장치와 슬립가이드를 상승시키는 원호형상의 회전판(8)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The lifting means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 pair of gear teeth 2a on the upp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extension plate 2. The first gear 4 is meshed with the gear teeth 2a, The second gear 5 is meshed with the third gear 6 in an inclined manner while the third gear 6 is engaged with the third gear 6 integrally with the second gear 5, The shaft 6a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arc-shaped rotary plate 8 which abuts against the support plate 7 formed on the adjuster housing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6a and raises the button device and the slip guide by the reaction force thereof .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어져스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adju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착용자가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버튼(1)을 눌러주게 되면, 이 버튼(1)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연장판(2)이 화살표(B)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 연장판(2)의 전진운동으로 연장판과 치합된 제1기어(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더불어 이 제1기어와 치합된 제2기어(5)는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한편, 이 제2기어(5)와 치합된 제3기어(6)는 제1기어(4)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The extension plate 2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utton 1 advanc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when the wearer pushes the button 1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The first gear 4 engaged with the extension plate is rotated clockwise and the second gear 5 engaged with the first gear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gain, 5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the first gear 4.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3기어(6)가 회전되게 되면, 이 제3기어(6)의 축(6a)에 일체로 장착된 회전판(8)은 화살표(C)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판(7)과 맞닿게 되는 데, 이 상태에서 회전판(8)의 회전운동은 저지됨과 동시에 그 반력으로 제3기어(6)를 포함하는 버튼장치와 슬립가이드(9)의 전체 조립체가 화살표(D)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윗쪽으로 상승되면서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When the third gear 6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the rotary plate 8 integrally mounted on the shaft 6a of the third gear 6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s shown by the arrow C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ry plate 8 is stopped and at the same time the entire assembly of the button device including the third gear 6 and the slip guide 9 And is lifted upward as shown by the arrow D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즉 버튼의 전진운동은 이 버튼과 순차적으로 치합된 다수개의 기어(4,5,6)를 통해 회전운동으로 전환되어 버튼장치를 상승시켜 록킹상태를 해제시킴에 따라 버튼과 기어사이의 원활한 힘전달로 해제동작이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orward movement of the button is switched to the rotational mo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gears (4,5,6) sequentially engaged with the button, so that the button device is lifted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The releasing operation is performed smoothly without generating noise.

한편, 상기 버튼(1)을 놓아주게 되면, 상기 복귀스프링(3)의 탄성복원력으로 연장판(2)과 버튼(1)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과 더불어 연장판(2)의 복귀운동은 기어(4,5,6)들을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판(8)이 들어올려지게 됨으로써, 어져스터의 록킹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button 1 is released, the extension plate 2 and the button 1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3, 4, 5 and 6 ar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lift the rotary plate 8, thereby locking the adjust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벨트 어져스터에 의하면, 버튼의 횡방향 해제조작력이 다수개의 기어를 통해 회전운동으로 회전되면서 버튼장치와 슬립 가이드를 상승시켜 록킹을 해제시킴에 따라 원할한 힘전달로 록킹해제동작이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at belt adjuster of the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ateral release force of the button is rotated through the plurality of gears to rotate, the button device and the slip guide are raised to release the lock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n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smoothly without generating noise by the force transmission.

Claims (2)

버튼(1)에 일체로 연결된 ㄷ자형상의 연장판(2)과, 이 연장판(2)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주기 위해 연장판(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 복귀스프링(3) 및, 상기 연장판(2)에 순차적으로 치합되는 다수개의 기어(4,5,6)를 갖추고서 연장판(2)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을 변환시켜 버튼장치와 슬립가이드(9)를 상승시켜 줌으로써 어져스터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리프팅수단을 갖춘 자동차의 시트벨트 어져스터.Shaped extension plate 2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utton 1 and a return spring 3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extension plate 2 in order to return the extension plate 2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a plurality of gears 4, 5 and 6 which are engaged with the extension plate 2 in sequence so as to convert the linear motion of the extension plate 2 into a rotational motion to raise the button device and the slip guide 9 A seat belt adjuster for a vehicle having a lifting means for releasing locking of the adju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수단이 상기 연장판(2)의 선단 양측 상면에 래크기어(2a)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래크기어(2a)에 제1기어(4)가 치합됨과 더불어 이 제1기어(4)에는 제2기어(5)가 나란하게 치합되며, 상기 제2기어(5)에는 제3기어(6)가 하방으로 경사지게 치합되는 한편, 상기 제3기어(6)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축(6a)에는 축(6a)의 회전운동으로 어져스터 하우징에 형성된 지지판(7)에 맞닿아서 그 반력으로 버튼장치와 슬립 가이드(9)를 리프팅시키는 원호형상의 회전판(8)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벨트 어져스터.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lifting means is formed integrally with upper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leading end of said elongated plate (2), said first gear (4) The third gear 6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5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while the third gear 6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5,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7 formed on the adjuster housing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6a and lifting the button device and the slip guide 9 by the reaction force thereof, 8) ar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KR1019960035614A 1996-08-27 1996-08-27 Seat belt adjuster for automobiles KR199800160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614A KR19980016098A (en) 1996-08-27 1996-08-27 Seat belt adjuster for automobi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614A KR19980016098A (en) 1996-08-27 1996-08-27 Seat belt adjuster for automobi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98A true KR19980016098A (en) 1998-05-25

Family

ID=6625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614A KR19980016098A (en) 1996-08-27 1996-08-27 Seat belt adjuster for automobi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609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2613B1 (en) Safety seat of automobile for children
US6631952B1 (en) Automobile seat
US4231612A (en) Baby carrier and car seat
CA2466468C (en) An infant seat with armrests for motorcars
EP0594543B1 (en) A headrest for motor vehicle seats, particularly for rear seats
US6250680B1 (en) Passenger safety belt restraint arrangement
US4552408A (en) Adjustable anchor mounting device
KR19980016098A (en) Seat belt adjuster for automobiles
JPH0231967A (en) Device for sliding seat
JP2013544705A (en) A height-adjustable turning device for a three-point belt, a vehicle seat with a three-point belt, and a method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n upper holding point of a three-point belt
KR0119895B1 (en) Lever device of sliding seat for a car
JPS6040370Y2 (en) seat belt anchor device
KR200147887Y1 (en) Car front seat for the disabled
KR19980016097A (en) Seat belt adjuster for automobiles
KR0177463B1 (en) Vehicle seat belt convenience lock
CN216994229U (en) Car seat belt direction and back unblock structure
KR20230142052A (en) Height adjustment apparatus for seat belt of vehicles
KR100786894B1 (en) A recliner lock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KR100456556B1 (en) Buckle of rear-seat for automobile
KR0118676B1 (en) Back and forth transfer control device of front seat for a car
KR100195037B1 (en) Position adjustment device before and after headrest of car
KR0126085Y1 (en) Buckle structure for a vehicle seat belt
KR0115643Y1 (en)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belt
KR19990024390U (en) Seat belt tongue plate of car
JPH0143957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