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302U - 착유기의 호퍼구조 - Google Patents

착유기의 호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302U
KR19980015302U KR2019960028519U KR19960028519U KR19980015302U KR 19980015302 U KR19980015302 U KR 19980015302U KR 2019960028519 U KR2019960028519 U KR 2019960028519U KR 19960028519 U KR19960028519 U KR 19960028519U KR 19980015302 U KR19980015302 U KR 199800153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ing
hopper
sesame
container
rotating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복
김재칠
김옥수
Original Assignee
이창복
김재칠
김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복, 김재칠, 김옥수 filed Critical 이창복
Priority to KR2019960028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302U/ko
Publication of KR19980015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302U/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개의 착유통을 회전축관에 축착시킨 회전원판에 원주방향으로 설치하여 착유통이 회전되면서 그 상하부에 설치된 상, 하 가압봉의 동시 승강으로 착유통내의 깨를 압착하여 착유하는 로타리식 착유기의 호퍼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착유기는 많은 양의 깨를 착유통에 투입하여 한꺼번에 압착하는 것이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호퍼는 단순히 깨를 투입하는데 필요한 깔대기의 역할을 하는데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본출원인이 개발한 로타리식 착유기는 착유통이 연속회전되면서 압착되어 착유하므로 착유통에 일정량의 깨를 정확하게 투입하지 않으면 연속적 착유작업이 불가능하므로 깨를 담는 호퍼의 기능외에 정량을 공급하는 구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이에 부응하고자 안출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착유기의 호퍼구조
제 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착유기의 예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판2; 하판
3.3'; 지주봉4; 회전축관
5.5'; 착유통6; 회전원판
7,8; 안내레일9; 상부가압봉
10; 하부가압봉11; 투입구
12; 토출부13; 토출공
14; 호퍼14'; 외벽
15; 고정간16; 보온실
17; 히터18; 여과망
본 고안은 다수개의 착유통을 회전축관에 축착시킨 회전원판에 원주방향으로 설치하여 착유통이 회전되면서 그 상하부에 설치된 상,하가압봉의 동시 승강으로 착유통내의 깨를 압착하여 착유하는 로타리식 착유기의 호퍼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착유기는 많은 양의 깨를 착유통에 투입하여 한꺼번에 압착하는 것이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호퍼는 단순히 깨를 투입하는데 필요한 깔대기의 역할을 하는데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개발한 로타리식 착유기는 착유통이 연속회전되면서 압착되어 착유하므로 착유통에 일정량의 깨를 정확하게 투입하지 않으면 연속적 착유작업이 블가능하므로 깨를 감는 호퍼의 기능외에 정량을 공급하는 구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이에 부응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판(1)과 하판(2)을 지주봉(3)(3')으로 고정 설치하고 그 중심에 축설된 회전축관(4)에 다수개의 착유통(5)(5')이 설치된 회전원판(6)과 그 상하부에 상,하판(1)(2)의 안내레일(7)(8)을 따라 승강자재하는 상부가압봉(9)과 하부가압봉(10)을 수직입설한 것에 있어서 상부에 투입구(11)가 형성된 하부의 토출부(12)를 본체보다 길고 좁게 내측으로 돌출시켜 그 저면에 착유통(5)(5')과 일치하는 크기의 토출공(13)을 뚫은 호퍼(14)를 지주봉(3)(3') 사이의 고정간(15)에 횡착시켜 토출부(12)를 회전원판(6)의 상면에 슬라이딩되게 접면시키고 호퍼(14)의 외벽(14')을 내부에 보온실(16)이 형성되게 이중벽으로 구성하여 보온실(16)에 히터(17)를 설치하여 호퍼(14)의 내부에 여과망(18)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8은 호퍼(14) 내부에 설치된 여과망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상면에 투입구(11)가 형성된 호퍼(14)를 저부의 토출부(12)가 호퍼 본체보다 돌출되도록 길고 좁게 내측으로 형성하되 저면의 토출공(13)이 회전되는 착유통(5)(5')과 일치하는 크기로 구성하여 지주봉(3)(3') 사이의 고정간(15)에 횡착하고 토출공(13)이 뚫린 토출부(12)를 회전원판(6)의 상면과 슬라이딩되도록 접면시킨 것이므로, 호퍼(14)는 고정상태에서 회전원판(6)이 회전축관(4)에 의거 회전되면 착유통(5)(5')이 하향입설된 회전원판(6)의 상면은 토출부(12)의 저면과 슬라이딩 접찰되면서 회전되다닥 착유통(5)95')의 입구가 토출부(12)의 토출공(13) 저면과 연통되는 시점부터 착유통(5)(5')이 토출공(13)을 벗어날 때까지 호퍼(14)의 내부에 투입시킨 깨가 자동으로 하강되어 착유통(5)(5')의 내부에 투입된다.
따라서, 착유통(5)(5')에 투입시킬 깨의 양을 회전원판(6)의 회전속도로서 조절하게 되면 회전원판(6)이 일정소도로 회전되면서 이에 비례하여 일정량의 깨가 착유통(5)(5')내에 투입되므로서 일정량의 기름을 정확히 착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토출부(12)는 토출공(13)이 저면에 뚫려 회전원판(6)의 상면과 접찰되므로 착유통(5)(5')이 토출공(13)과 연통될 때에만 깨 토출되고 그 이외에는 토출공(13)이 회전원판(6)의 상면과 당접되어 일체 배출되지 아니할 뿐 아니라, 착유통(5)(5')의 내부에 토출되던 깨도 토출부(12)의 저면과 면접촉으로 완전히 차단되므로 일정량의 깨가 회전되는 착유통(5)(5')의 내부에 정확히 투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호퍼(14)의 외벽(14')을 보온실(16)이 형성되게 이중벽으로 구성하여 보온실(16)에 히터(17)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므로 착유작업시 호퍼(14)의 히터(17)를 가열시키게 되면 보온식(16)의 내부공기가 가열되므로 호퍼(14)에 투입시킨 볶은 깨가 식지않을 뿐 아니라 자동 온도 조절장치로서 항상 착유에 적합한 온도로 따뜻하게 가열시킬 수 있어 착유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되며, 특히 호퍼(14)의 내부에 여과망(18)이 설치되어 깨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위생적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로타리식으로 회전되는 착유통에 일정량의 깨를 정확하게 투입시킬 수 있고 호퍼를 보온과 함께 가열하여 깨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므로서 높은 착유효율을 얻을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크다.

Claims (1)

  1. 상판(1)과 하판(2)을 지주봉(3)(3')으로 고정 설치하고 그 중심에 축설된 회전축관(4)에 다수개의 착유통(5)(5')이 설치된 회전원판(6)과 그 상하부에 상,하판(1)(2)의 안내레일(7)(8)을 따라 승강자재하는 상부가압봉(9)과 하부가압봉(10)을 수직입설한 것에 있어서 상부에 투입구(11)가 형성된 하부의 토출부(12)를 본체보다 길고 좁게 내측으로 돌출시켜 그 저면에 착유통(5)(5')과 일치하는 크기의 토출공(13)을 뚫은 호퍼(14)를 지주봉(3)(3') 사이의 고정간(15)에 횡착시켜 토출부(12)를 회전원판(6)의 상면에 슬라이딩되게 접면시키고 호퍼(14)의 외벽(14')을 내부에 보온실(16)이 형성되게 이중벽으로 구성하여 보온실(16)에 히터(17)를 설치하여 호퍼(14)의 내부에 여과망(18)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의 호퍼구조.
KR2019960028519U 1996-09-05 1996-09-05 착유기의 호퍼구조 KR199800153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519U KR19980015302U (ko) 1996-09-05 1996-09-05 착유기의 호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519U KR19980015302U (ko) 1996-09-05 1996-09-05 착유기의 호퍼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302U true KR19980015302U (ko) 1998-06-25

Family

ID=53975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519U KR19980015302U (ko) 1996-09-05 1996-09-05 착유기의 호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30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3291A1 (en) * 2000-12-30 2002-07-11 Hyun Jun Powtech Co., Ltd. Crus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3291A1 (en) * 2000-12-30 2002-07-11 Hyun Jun Powtech Co., Ltd. Cru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1787B2 (ja) 抽出飲料を調製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5028753A (en) Microwaveable coffee maker
RU2689611C2 (ru) Кофе-машин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чашки кофе
US6047632A (en) Device for condensing cooking steams and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CN108324086A (zh) 一种煲仔饭机
RU2670863C9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варного напитка
KR960001210B1 (ko) 추출장치
KR19980015302U (ko) 착유기의 호퍼구조
KR200177765Y1 (ko) 착유기의 호퍼구조
CA1184771A (en) Coffeemaker with coffee spreader
AU2003223793B2 (en) Apparatus for cooking and dispensing food products
EP2386232B1 (en) Electric automatic machine for roasting chestnuts
CN210446658U (zh) 一种全自动沥米饭制备系统
US2866400A (en)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U2021201331A1 (en) Apparatus for the vacuum packaging of food
WO2001025709A1 (en) Batch sludge dehydrator
CN111938429A (zh) 一种咖啡机的萃取装置
US1358048A (en) Apparatus for making soluble coffee and other products
CN220631006U (zh) 一种电卤锅
KR102597803B1 (ko) 가정용 열풍하향식 원두가공기
CN105249511B (zh) 一种具有自动送料自动甩干的卤制装置使用方法
KR200478131Y1 (ko) 낙수방지장치가 구비된 식품발효기
US3272599A (en) Rendering cooker with hydrostatic charging head
CN220044866U (zh) 一种用于带汁卤蛋加工的卤制装置
CN209693952U (zh) 一种恒温熟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