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105U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105U
KR19980015105U KR2019960028311U KR19960028311U KR19980015105U KR 19980015105 U KR19980015105 U KR 19980015105U KR 2019960028311 U KR2019960028311 U KR 2019960028311U KR 19960028311 U KR19960028311 U KR 19960028311U KR 19980015105 U KR19980015105 U KR 199800151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electric heater
electrical equipment
heater rod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28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105U/ko
Publication of KR199800151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105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05B6/6485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further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히터봉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별도의 팬이 필요없이 컨백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는 전장품실(3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350)과 인접하게 조리실(200)에 전기히터봉(400)을 설치하였다. 따라서 전기히터봉(4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순환되어 조리물이 균일하게 조리되고, 또한 이러한 컨백션 기능을 위해 별도의 순환팬이 필요없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렌지
본 고안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봉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에서 기본파 2450MHz의 고주파를 조리실 내부로 방사하여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 변환시킴으로써, 음식물이 조리되는 기구이다. 한편,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의해 조리실 내부에 별도로 열을 발생하는 전기히터봉이 설치된 일종의 컨백션 전자렌지가 시판되고 있는데, 이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보인 바와 같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백션 전자렌지는 본체(10)의 내부에 턴테이블 방식의 조리접시(21)가 설치된 조리실(20)과 각종 전장품이 설치되는 전장품실(30)이 구획되게 형성되어 있다. 조리실(20)의 상부에는 절곡형성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봉(4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전기히터봉(40)에서 발생된 열을 조리실(20)내부에서 강제순환시키는 순환팬(50)이 후방에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22는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 수증기 등이 외부로 빠져 나가는 토출공이며, 이와 대각선 방향에는 전장품실(30)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장품실(30)에는 고주파를 발진하여 조리실(20)로 방사하는 마그네트론(32)과 열을 발생하는 전장품을 냉각시키는 냉각팬(31)이 설치되며, 마그네트론(32)을 거치면서 열교환된 공기의 대부분을 유입공(미도시)을 통해 조리실(20)로 보내는 덕트(미도시)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백션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32)에서 고주파가 발진되어 조리실(20)로 방사됨으로써 피조리물이 조리되고, 아울러 전기히터봉(40)에서 발생되는 열은 순환팬(50)에 의해 조리실(20)내부에서 순환되어 피조리물이 고르게 조리한다. 아울러 전장품실(30)에 설치된 냉각팬(31)의 흡입 송풍력에 의해 외기의 공기는 흡입되어 마그네트론(32)을 냉각시키고, 열교환된 공기는 대부분이 덕트(미도시)와 유입공(미도시)을 거쳐 조리실(20) 내부로 보내진다. 한편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 수증기 등은 토출공(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피조리물은 마그네트론(32)에서 방사되는 고주파에 의해 조리가 되는데, 조리실(30) 내부에는 별도로 전기히터봉(40)과 순환팬(50)에 의해 열이 순환, 즉 대류현상에 의해 고르게 조리된다.
그러나 이러한 컨백션 전자렌지는 조리실(20)의 상부면에 인접하게 설치된 전기히터봉(40)에서 발생되는 열을 조리실(20)내부에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해 별개의 순환팬(50)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아울러 순환팬(50)의 설치공간이 필요하여 전자렌지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조리실(20) 후방에 이와 구획되게 별개로 팬모터(미도시)와 순환팬(50)을 설치하여야 하고, 또한 이 조리실(20) 공간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순환팬(50)과 모터(미도시)가 본체(10)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본체(10)가 크게 형성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장품실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조리실 측면에 유입공을 형성하고, 조리실 내부에 이 유입공과 인접하게 전기히터봉을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팬을 설치하지 않고도 전기히터봉에서 발생되는 열을 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조리실 내부에서 순환시켜 컨백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컨백션 전자렌지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전자렌지의 전장품실을 절개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의 조리실 내부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본체 200:조리실 210:조리접시 300:전장품실 310:냉각팬 320:마그네트론 350:유입공 400:전기히터봉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조리실이 마련된 본체, 조리실과 구획되게 형성되어 전장품이 설치되는 전장품실, 전장품실에 설치되어 전장품을 냉각시키는 냉각팬, 조리실의 측면에 천공되어 전장품실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 조리실에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전기히터봉을 구비하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전기히터봉은 열이 유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조리실 내부에서 대류하도록 유입공과 인접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전자렌지의 전장품실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의 조리실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는 본체(100) 내부가 조리실(도 3참조,200)과 전장품실(300)로 구획되게 형성되어 있다. 전장품실(300)에는 고주파를 발진하여 조리실(200)로 방사하는 마그네트론(320)과 고압트랜스(330), 외기의 공기를 흡입하여 마그네트론(320) 등을 냉각시키는 냉각팬(310)이 후방에 설치된다. 그리고 전장품실(300)과 조리실(200)을 구획하는 조리실(200) 측면에는 서로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유입공(350)과 이와 인접한 전장품실(300)에 덕트(340)가 형성되어 있어서, 냉각팬(310)의 흡입 송풍력에 의해 마그네트론(320)과 열교환된 공기는 덕트(340)와 유입공(350)을 통해 대부분이 조리실(200)로 보내진다. 미설명부호 220은 조리실(200)을 개폐하는 도어이고, 230은 전기능을 조작하는 콘트롤부이다.
한편, 조리실(200)에는 텐테이블방식의 조리접시(2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장품실(210)과 구획하는 측면 상부에 다수의 유입공(350)이 형성되어 있는데,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로 유입공(350)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수회 절곡된 전기히터봉(40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전기히터봉(400)은 열을 발산하여 고주파 이외에 대류현상에 의해서도 피조리물이 조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유입공(350)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발생되는 열은 전장품실(300)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조리실(200) 전체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피조리물을 조리접시(210)에 놓고 도어(220)를 닿은 후 콘트롤부(230)를 작동하게 되면, 마그네트론(320)에서 기본파 2450 MHz의 고주파가 조리실(200)로 방사되어 피조리물에 함유된 분자배열이 순간적으로 반복 변환되면서 이들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가 수행되며, 전장품실(300)에 설치된 냉각팬(310)이 회전하여 마그네트론(320)을 냉각시키고, 이와 열교환된 공기의 대부분은 덕트(340)와 유입공(350)을 통해 조리실(200)로 유입된다. 이 때, 조리실(200)에는 유입공(350)과 인접하게 절곡된 전기히터봉(400)이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데, 유입공(350)을 통해 강제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열은 조리실(200) 전체로 전달되어 조리접시(210)에 놓인 피조리물을 조리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히터봉(4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대류시키는 별도의 순환팬 없이도, 열이 전달되어 컨백션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피조리물이 균일하게 조리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는 전장품실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과 인접하게 조리실에는 전기히터봉을 설치하였다.
따라서 전기히터봉에서 발생되는 열이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순환되어 조리물이 균일하게 조리되고, 또한 이러한 컨백션 기능을 위해 별도의 순환팬이 필요없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조리실(200)이 마련된 본체(100), 상기 조리실(200)과 구획되게 형성되어 전장품이 설치되는 전장품실(300), 상기 전장품실(300)에 설치되어 전장품을 냉각시키는 냉각팬(310), 상기 조리실(200)의 측면에 천공되어 상기 전장품실(3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350), 상기 조리실(200)에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전기히터봉(400)을 구비하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봉(400)은 열이 상기 유입공(35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조리실(200) 내부에서 대류하도록 상기 유입공(350)과 인접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2019960028311U 1996-09-05 1996-09-05 전자렌지 KR199800151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311U KR19980015105U (ko) 1996-09-05 1996-09-05 전자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311U KR19980015105U (ko) 1996-09-05 1996-09-05 전자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105U true KR19980015105U (ko) 1998-06-25

Family

ID=5397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311U KR19980015105U (ko) 1996-09-05 1996-09-05 전자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10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8505A (en) Microwave oven with upwardly directed air discharge duct
US6953920B2 (en) Combination microwave oven and steamer
EP1437922B1 (en) Cooking appliance and a motor mounting unit therefore
US6768090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KR100402587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19980015105U (ko) 전자렌지
EP1560464B1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KR200175396Y1 (ko) 붙박이식 전자렌지의 공기흐름 개선구조
KR200344734Y1 (ko) 전자레인지
KR100420336B1 (ko) 빌트인 전자레인지
KR100813728B1 (ko) 전자레인지
KR0113760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냉각장치
KR100595261B1 (ko) 컨벡션형 전자레인지
KR200150819Y1 (ko) 매트장치채용 전자렌지
KR100286178B1 (ko) 전자레인지
KR0130653Y1 (ko) 열풍순환식 전기오븐
KR100277964B1 (ko) 전자렌지
KR200204137Y1 (ko) 전자렌지의 열감지스위치
KR100399319B1 (ko) 냉각성능이 향상된 전자레인지
KR20000005833U (ko) 전자레인지
EP0468640A1 (en)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KR19980017807U (ko) 전자레인지
KR19990014038U (ko) 붙박이식 전자렌지의 전장부품 냉각구조
KR20050030668A (ko) 컨벡션형 전자 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