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526U - 피뢰기의 소자 접점 구조 - Google Patents

피뢰기의 소자 접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526U
KR19980014526U KR2019980004177U KR19980004177U KR19980014526U KR 19980014526 U KR19980014526 U KR 19980014526U KR 2019980004177 U KR2019980004177 U KR 2019980004177U KR 19980004177 U KR19980004177 U KR 19980004177U KR 19980014526 U KR19980014526 U KR 199800145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ester
ptc
ground
contac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84145Y1 (ko
Inventor
안평래
Original Assignee
안평래
한성만
주식회사 신도세라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평래, 한성만, 주식회사 신도세라믹스 filed Critical 안평래
Priority to KR2019980004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145Y1/ko
Publication of KR199800145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5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1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H01C7/12Overvoltage protection resistors
    • H01C7/126Means for protecting against excessive pressure or for disconnecting in case of fail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00Details of spark gaps
    • H01T1/14Mean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park gap for protecting it against overload or for disconnecting it in case of fail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8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otec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기기에 있어 낙뢰등에 의해 발생되는 서지전압(surge voltage)을 방전시켜 서지전압으로 부터 통신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기기 보호장치인 피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한 어레스터(arrester)의 접지(ground) 접점구조 및 피티씨(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의 접점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절연부재의 구조에 의해 접점이 이루어지는 시간이 느리고, 접점이 불확실하여 발화의 소지가 있으며, 또한 PTC의 결합에 있어서도, PTC를 상하 고정시키며, 접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별개로 이루어져 볼트등으로 고정시켜야 하므로써, 그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어레스터 및 PTC를 고정 및 접점 시키기 위한 각각의 기구물을 일체화시켜 기기에 장착시킬 핀이 구성된 잭(jack)에 구성하고, 구성된 각 기구물에 상기 어레스터 및 PTC를 결합고정시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회로를 구현하도록 하므로써, 어레스터 및 PTC결합의 용이함은 물론 어레스터 및 PTC의 확실한 접점을 통하여 기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피뢰기의 소자 접점 구조.
본 고안은 통신기기에 있어 낙뢰등에 의해 발생되는 서지전압(surge voltage)을 방전시켜 서지전압으로 부터 통신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기기 보호장치인 피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한 어레스터(arrester)의 접지(ground) 및 피티씨(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의 접점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등에는 낙뢰 또는 이상전압등에 의해 발생되는 서지전압으로 인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뢰기를 장착하게 되며, 이와 같은 피뢰기는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방전시켜 기기의 접지로 흐르도록 함을 주 작용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피뢰기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이 피뢰기는 외선(국선)(L1,L2)과 내선(S1,S2)사이에 어레스터(AR)와 PTC가 구성되어, 발생되는 서지전압으로 부터 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어레스터(AR)는 과전압 및 이상전압이 발생하게 되면, 이로 인하여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접지와 접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발생된 이상전압이 접지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PTC는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저항값이 상승하여 전류를 억제하고, 원상회복이 되면 본래의 저항값으로 되돌아오는 작용을 하는 소자로서, 과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상기와 같은 소자 특성에 따라서 내선(S1,S2)을 통해 과전류가 기기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어레스터 및 PTC의 접점 결합 구조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 피뢰기의 어레스터 접지 접점구조는 먼저 PTC의 구조를 살펴보면, PTC의 상하 양극에 각각의 인쇄회로기판(PCB)과의 접속판을 구성하고, 상하 각 극에 접속된 접속판을 절연을 확보한 볼트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한 구조이다.
그리고, 어레스터의 접점구조는 통신선로로 부터의 외선과 접점을 이루는 어레스터의 양측 극에, 열에 의해 녹는 플라스틱 재질의 절연부재를 접착시키고, 어레스터의 양측 극에 접착되어 있는 절연부재의 상측으로 접지와 접점을 이루는 접속판을 밀착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어레스터가 발열하게 됨에 따라서, 절연부재가 녹아 접속판이 어레스터의 양측 극과 접점이 이룰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짐에 있어, 상기 PTC는 접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정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는 접속판이 별개로 구분되어 있으며, 또한 이를 볼트 등으로 고정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결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어레스터의 접점 구조에 있어서는 발열에 의하여 녹는 속도의 더딤 및 이에 따른 접점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연속 방전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어레스터 및 PTC를 고정 및 접점 시키기 위한 각각의 기구물을 일체화시켜 기기에 장착시킬 핀이 구성된 잭(jack)에 구성하고, 구성된 각 기구물에 상기 어레스터 및 PTC를 결합고정시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회로를 구현하도록 하므로써, 어레스터 및 PTC결합의 용이함은 물론 어레스터 및 PTC의 확실한 접점을 통하여 기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피뢰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배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있어서, 어레스터와 접지접속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에 있어서, 어레스터와 접지접속판이 접속한 상태의 접점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서, PTC 접점부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PTC 고정접속판을 절개한 부분 절개사시도.
본 고안 피뢰기의 소자 접점 구조를 첨부된 도2∼도 6에 도시된 그 실시예로써,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로 좌우 대칭형상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여 상호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어레스터 결합부(11)를 형성하고, 형성된 어레스터 결합부(11)의 그 일측으로 마주보는 방향의 그 타측으로 각각의 PTC 접점부(12)를 형성한 두개의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에 구성된 각각의 PTC 접점부(12)의 외측으로 삽입된 PTC(20)를 고정접점시키는 PTC고정접속판(30)과,
상기 두개의 지지판(10) 사이에 구성되며, 어레스터 결합부(11)에 결합삽입되는 어레스터(40)의 접지와 접점을 이루는 접지접점부(50)와,
상기 두개의 지지판(10)에 의해 형성되는 어레스터 결합부(11)에 결합되는 어레스터(40)의 접지단에 형성된 접지돌기(41)에 결합되는 접지홀(61)을 갖으며, 어레스터(40)와의 결합시 접지홀(61)을 중심으로 디귿자 형태로 어레스터(40)를 감싸면서 그 끝단이 어레스터(40)의 양측 극과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어레스터 결합부(11)에 어레스터(40)와 결합한 상태로 결합시 상기 접지접점부(50)에 접점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바이 메탈(bimetal)소자로 이루어져 어레스터(4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그 끝단이 일측으로 휘어져 상기 어레스터(40)의 양측 극과 끝단이 접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접지접속판(60)과,
두개의 지지판(10), 각 PTC 고정접속판(30) 및 접지접점부(50)를 연결고정하며,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각 구성수단의 접속구조에 의해 연결되는 회로구성을 완료하여 지지판(10)은 외선(L1,L2)단의 핀과 PTC 고정접속판(30)은 내선(S1,S2)단의 핀과 접지접점부(50)는 접지(G)단의 핀과 그 전기적인 연결을 갖도록 하는 잭(70)과,
상기 구성 수단의 보호 및 외부와의 절연을 위한 케이스(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판의 어레스터 결합부(11)는 결합고정되는 어레스터(40)의 양측 극과 각 지지판(10)이 각각 접점을 이루면서, 어레스터(40)에 결합된 접지접속판(60)과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하여 양측 극과 접점을 이루는 부분에 있어 접지접속판(60)이 위치하게 될 부분에 형성되는 절연홈(11a)과, 그 끝단으로는 어레스터(40)가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어지지 않도록 가이드돌기(11b)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접점부(50)는 접지접속판(60)을 결합한 상태에서 결합되는 어레스터(40)의 접지돌기(41)가 체결되어 접지와의 확실한 접점의 제공 및 어레스터(40)의 좌우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홀(51)이 구성된다.
상기 PTC 접점부(12)는 PTC 고정접속판(30)에 의해 고정 및 접속되는 PTC(20)의 확실한 접점 및 PTC(20)의 적절한 방열을 위하여 일정 수의 작은 돌기(embossment)(12a)와, 고정되는 PTC(20)의 좌우 유동 및 충격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된 PTC(20)의 그 외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2b)로 구성된다.
상기 PTC 고정접속판(30)은 고정되는 PTC(20) 측으로 일정 탄성곡면을 갖고 꺽어져 그 끝단이 PTC(20)가 삽입되는 입구의 타측으로 형성되며, 이후 케이스(80)를 닫았을때, 케이스(80)의 내측면에 그 탄성곡면이 닿도록 형성되는 탄성편(31)을 갖도록 함을 특징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레스터(40)의 양측 극과 일정거리를 유지하게 되는 접지접속판(60)의 그 끝단에는 어레스터(40)의 발열시 어레스터(40)의 양 끝단과의 확실한 접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접점돌기(62)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접점부(50)와 지지판(10)의 사이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물로 이루어지는 고정지지대(90)를 끼워 각 지지판(10)과 접지접점부(50)와의 절연을 확보하도록 하며, 상기 끼워지는 고정지지대(9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지접점부(50)에 결합홀(52)을 형성시키고, 고정지지대(90)의 내측으로 결합돌기(91)를 형성시켜 상기 결합홀(52)과 결합돌기(91)를 체결하여 고정지지대(90)를 결합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피뢰기의 소자 접점 구조는 기기에 장착되는 잭(70)의 상에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두개의 지지판(10)과 PTC 고정접속판(30) 및 접지접속판(30)과 접지접점부(50)를 구성하여, PTC(20) 및 어레스터(40)의 접점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도 1의 회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서지 전압 및 과도하게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어레스터(40) 및 PTC(20)의 신뢰성 있는 동작 및 이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먼저, 어레스터(40)의 접점구조를 살펴보면,
잭(70)의 중앙으로는 서로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호 대칭으로 구성되는 지지판(10)이 구성되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판(10)은 상호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어레스터 결합부(1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어레스터 결합부(11)의 일측까지 즉, 지지판(10)의 사이로는 접지(G)단과 전기적인 도통상태인 접지접점부(50)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어레스터 결합부(11)에는 어레스터(40)가 어레스터(40)에서 발생되는 열에 따라 양측 극을 상기 접지접점부(50)와 전기적인 도통상태가 될 수 있도록 작용하는 접지접속판(60)을 체결한 상태에서 결합되는 바,
접지접속판(60)은 도 4a에서와 같이, 중앙에 접지홀(51)을 형성하고 있어, 어레스터(40)의 접지단에 형성된 접지돌기(41)가 이곳에 체결되어진다.
이와 같이 접지돌기(41)를 접지홀(51)에 결합시키게 되면, 도 4b에서와 같이, 접지접속판(60)의 양 끝단이 어레스터(40)의 양측 극과 일정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즉, 평상시에는 전기적으로 절연상태를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접속판(60)의 양 끝단면에는 접점돌기(62)가 형성되어 있어, 어레스터(40)의 발열시 어레스터(40)의 극과의 확실한 접점을 제공하도록 하여, 불확실한 접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스파크(spark)에 의한 발화를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어레스터(40)와 접지접속판(60)을 결합시킨후, 양 지지판(10)에 의해 구성되는 어레스터 결합부(11)를 살짝 벌리고 어레스터(40)를 내측으로 밀어넣어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접지접속판(60)의 접지홀(61)을 통과한 어레스터(40)의 접지돌기(41)는 접지접점부(50)의 어레스터(40)가 끼워지는 측면으로 형성된 접지홀(51)에 끼워지게 되므로써, 어레스터(40)의 고정 및 어레스터(40)에 결합된 접지접속판(60)과의 확실한 접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지접점부(50)의 타측으로 즉, 지지판(10)의 최 외각으로는 끼워진 어레스터(40)의 면을 잡아 외부로 이탈되어지지 않도록 가이드돌기(11b)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된 어레스터(40)의 외면을 가이드돌기(11b)가 잡아 고정시키게 된다.
즉, 어레스터 결합부(11)에 결합되는 어레스터(40)는 상기 가이드돌기(11b)와 접지돌기(41)가 끼워지는 접지접점부(50)의 접지홀(51)에 의해 고정 및 그 접점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어레스터(40)의 양측 극은 지지판(10)의 양 내면과 각각 접하게 되는 데, 그렇게 되면, 어레스터(40)의 양측 극 면으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접지접속판(60)의 양 끝단과 지지판(10)은 접점(short)을 이루게 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어레스터(40)의 양측 극 중앙으로 위치하는 접지접속판(60)의 양측 끝단이 위치하는 부분이 외부로 도출되어질 수 있도록 지지판(10)의 각 위치에는 절연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어레스터(40)를 어레스터 결합부(11)에 결합시키게 되면, 어레스터(40)의 양측 극은 지지판(10)과 각각 접점을 이루게 되며, 절연홈(11a)에 의해 접지접속판(60)은 지지판(10)과 그 접점을 이루지 않게 된다.
한편, 그 일측으로 양 지지판(10)의 서로 마주보는 그 타측외면에 형성되는 PTC 접점부(12)와 그 외측으로 구성되는 PTC 고정접속판(30)의 사이에 PTC(20)가 끼워져 PTC(20)의 양극이 각각 PTC 접점부(12)와 PTC 고정접속판(30)에 그 접점을 이루게 된다.
상기 PTC 접점부(12)의 면에는 작은 돌기(12a)가 형성되어 있어, PTC(20)의 일측극과 확실한 접점을 제공하며, 또한 PTC(20)와 PTC 접점부(12)와의 공간을 형성시켜 과전류에 의한 PTC(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적절하게 방사시키므로써, PTC(20)의 신뢰높은 동작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PTC 고정접속판(30)에는 PTC(20)로 곡면을 갖는 탄성편(31)이 형성되어 있어, PTC(20)를 일정한 탄성으로 눌러 PTC(20)의 확실한 접점을 제공하도록 하며, 또한 그 곡면이 PTC(2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므로써, PTC(2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PTC 고정접속판(30)에 형성된 탄성편(31)은 이후 케이스(80)를 닫았을 때, 케이스(80)의 내측면에 닿도록 형성되므로써, 탄성편(31)의 탄성변화를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PTC 고정접속판(30)은 항상 일정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써, PTC(20)의 고정 및 접점을 확실하게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PTC 접점부(50)에는 삽입된 PTC(20)의 원주를 따라서 일정위치에 가이드돌기(12b)가 형성되어 있어, 삽입되어진 PTC(2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접점부(50)와 지지판(10)의 사이에는 디귿자 형상의 고정지지대(90)가 끼워지게 되는 바,
상기 접지접점부(50)에 형성된 결합홀(52)에 고정지지대(90)의 내측 부위에 형성된 결합돌기(91)를 체결시켜 고정지지대(90)를 접지접점부(5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는 지지판(10)과 접지접점부(50)의 접점(short)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으로, 특히 양측의 지지판(10)은 각 서로의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면서, 어레스터(40)를 고정시키고 있으므로, 어레스터(40)를 제거하게 되면 접지접점부(50)와 지지판(10)은 접점을 이루게 되므로써, 어레스터(40)를 제거한 후의 피뢰기 특성실험을 실행하게 될때, 상기와 같은 작용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며, 잭(70)의 내부 구조에 의해 상기 지지판(10)은 각 국선으로 연결되는 외선(L1,L2)과 연결되며, PTC(20)의 일측 극과 연결되는 PTC 고정접속판(30)은 각각 내선(S1,S2)과 연결되며, 상기 접지접점부(50)는 접지(G)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피뢰기가 기기에 장착되었을때, 서지전압 및 과도한 전압에 의해 어레스터(40)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과도하게 열이 발생하게 되면, 어레스터(40)에 접해져있는 접지접속판(60)에 이와 같이 발생된 열이 전달된다.
접지접속판(60)은 바이 메탈 소자로 이루어져 있어, 열이 전달되면, 일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어 어레스터(40)의 양측 극에 접속하게 되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끝단에 형성된 접점돌기(62)에 의해 확실하게 그 접점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스파크에 의한 발화는 방지된다.
이와 같이, 어레스터(40)의 양측 극과 접지접속판(60)이 접점을 이루게 되면, 접지접속판(60)과 접점을 이루고 있는 접지접점부(50)를 통해 접지(G)단으로 연결되므로써, 상기와 같은 서지 전압 및 과도하게 인가되는 전압은 기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일반적으로, 바이 메탈 소자는 열팽창 계수가 각기 다른 두개의 판을 붙인 원리의 소자로서, 열팽창 계수가 작은 판을 휘어질 부분으로 설계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PTC 접점부(12)에 형성되는 돌기(12a)에 의해 PTC(20)와 PTC 접점부(12)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PTC(20)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사되어지는 바,
상기 PTC(20)의 방열작용에 따라서, PTC(20)의 동작시간 및 그 과전류 제한 작용이 달라지게 되는 데, 형성되는 돌기(12a)의 수와 그 크기 및 갯수를 조절하여, PTC(20)와 PTC 접점부(12)의 사이 공간을 조절하면, PTC(20)의 동작시간 및 이의 작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레스터 및 PTC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레스터 및 PTC의 확실한 접점이 제공되므로써, 기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서로 좌우 대칭형상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여 상호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어레스터 결합부(11)를 형성하고, 형성된 어레스터 결합부(11)의 그 일측으로 마주보는 방향의 그 타측으로 각각의 PTC 접점부(12)를 형성한 두개의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에 구성된 각각의 PTC 접점부(12)의 외측으로 삽입된 PTC(20)를 고정접점시키는 PTC고정접속판(30)과,
    상기 두개의 지지판(10) 사이에 구성되며, 어레스터 결합부(11)에 결합삽입되는 어레스터(40)의 접지와 접점을 이루는 접지접점부(50)와,
    상기 두개의 지지판(10)에 의해 형성되는 어레스터 결합부(11)에 결합되는 어레스터(40)의 접지단에 형성된 접지돌기(41)에 결합되는 접지홀(61)을 갖으며, 어레스터(40)와의 결합시 접지홀(61)을 중심으로 디귿자 형태로 어레스터(40)를 감싸면서 그 끝단이 어레스터(40)의 양측 극과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어레스터 결합부(11)에 어레스터(40)와 결합한 상태로 결합시 상기 접지접점부(50)에 접점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바이 메탈(bimetal)소자로 이루어져 어레스터(4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그 끝단이 일측으로 휘어져 상기 어레스터(40)의 양측 극과 끝단이 접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그 끝단에는 어레스터(40)의 발열시 어레스터(40)의 양 끝단과의 확실한 접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접점돌기(62)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접지접속판(60)과,
    두개의 지지판(10), 각 PTC 고정접속판(30) 및 접지접점부(50)를 연결고정하며,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각 구성수단의 접속구조에 의해 연결되는 회로구성을 완료하여 지지판(10)은 외선(L1,L2)단의 핀과 PTC 고정접속판(30)은 내선(S1,S2)단의 핀과 접지접점부(50)는 접지(G)단의 핀과 그 전기적인 연결을 갖도록 하는 잭(70)과,
    상기 구성 수단의 보호 및 외부와의 절연을 위한 케이스(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판의 어레스터 결합부(11)는 결합고정되는 어레스터(40)의 양측 극과 각 지지판(10)이 각각 접점을 이루면서, 어레스터(40)에 결합된 접지접속판(60)과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하여 양측 극과 접점을 이루는 부분에 있어 접지접속판(60)이 위치하게 될 부분에 형성되는 절연홈(11a)과, 그 끝단으로는 어레스터(40)가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어지지 않도록 가이드돌기(11b)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접지접점부(50)는 접지접속판(60)을 결합한 상태에서 결합되는 어레스터(40)의 접지돌기(41)가 체결되어 접지와의 확실한 접점의 제공 및 어레스터(40)의 좌우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홀(51)이 구성되고,
    상기 PTC 접점부(12)는 PTC 고정접속판(30)에 의해 고정 및 접속되는 PTC(20)의 확실한 접점 및 PTC(20)의 적절한 방열을 위하여 일정 수의 작은 돌기(embossment)(12a)와, 고정되는 PTC(20)의 좌우 유동 및 충격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된 PTC(20)의 그 외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2b)로 구성되며,
    상기 PTC 고정접속판(30)은 고정되는 PTC(20) 측으로 일정 탄성곡면을 갖고 꺽어져 그 끝단이 PTC(20)가 삽입되는 입구의 타측으로 형성되며, 이후 케이스(80)를 닫았을때, 케이스(80)의 내측면에 그 탄성곡면이 닿도록 형성되는 탄성편(31)을 갖도록 하며,
    상기 접지접점부(50)와 지지판(10)의 사이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물로 이루어지는 고정지지대(90)를 끼워 각 지지판(10)과 접지접점부(50)와의 절연을 확보하도록 하며, 상기 끼워지는 고정지지대(9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지접점부(50)에 결합홀(52)을 형성시키고, 고정지지대(90)의 내측으로 결합돌기(91)를 형성시켜 상기 결합홀(52)과 결합돌기(91)를 체결하여 고정지지대(90)를 결합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의 소자 접점 구조.
KR2019980004177U 1998-03-20 1998-03-20 피뢰기의 소자 접점 구조 KR200184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177U KR200184145Y1 (ko) 1998-03-20 1998-03-20 피뢰기의 소자 접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177U KR200184145Y1 (ko) 1998-03-20 1998-03-20 피뢰기의 소자 접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526U true KR19980014526U (ko) 1998-06-05
KR200184145Y1 KR200184145Y1 (ko) 2000-06-01

Family

ID=19532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177U KR200184145Y1 (ko) 1998-03-20 1998-03-20 피뢰기의 소자 접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1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115B1 (ko) * 2002-01-30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지 보호용 인렛 소켓을 갖는 전자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115B1 (ko) * 2002-01-30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지 보호용 인렛 소켓을 갖는 전자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145Y1 (ko) 200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6621A (en)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s circuit
US4191985A (en) Interrupter
CA1067953A (en) Line protector for communication circuit
US4161762A (en) Gas tube arrester prot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protector
US4723190A (en) Safety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CA2176772C (en) Connecting block protector device
US5027100A (en) Gas tube fail safe device for telephone protector modules
RU2012149008A (ru) Элемент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я
JPH0922647A (ja) 極性依存型保安器
US4944003A (en) Solid state telephone protector module
US5793274A (en) Surface mount fusing device
KR20000075515A (ko) 외부 단락 장치를 갖는 가스 충전식 서지 프로텍터
US3436712A (en) Thermal circuit breaker
KR100302219B1 (ko) 페일-세이프장치가구비된과전압보호플러그
US5844785A (en) Protector device with isolated ground connector
US4910489A (en) Gas tube fail-safe device for telephone protector modules
KR200184145Y1 (ko) 피뢰기의 소자 접점 구조
RU2180153C2 (ru) Защитный штепсельный разъем
US4069509A (en) Three element gas tube protector module
EP0471006B1 (en) Gas tube fail safe device for telephone protector modules
US5734312A (en) Overtemperature protection assembly for an appliance
KR920003693Y1 (ko) 가스 봉입형 삼국 피뢰기의 단락기구
GB2146490A (en) Electrical components incorporating a temperature responsive device
KR890006878Y1 (ko) 보안기용 플러그의 과전압 및 과전류 단락장치
KR200163077Y1 (ko) 피뢰기의 소자 접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