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350U - 전화기의 새로운 한글입력방식 ii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새로운 한글입력방식 ii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350U
KR19980014350U KR2019980003305U KR19980003305U KR19980014350U KR 19980014350 U KR19980014350 U KR 19980014350U KR 2019980003305 U KR2019980003305 U KR 2019980003305U KR 19980003305 U KR19980003305 U KR 19980003305U KR 19980014350 U KR19980014350 U KR 199800143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nsonants
syllable
continuous
conso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규
Original Assignee
최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규 filed Critical 최병규
Priority to KR2019980003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350U/ko
Publication of KR199800143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350U/ko

Links

Abstract

실용신안 2225호의 한글입력방식과는 다르게 기존의 방식대로 '연속적 버튼 사용'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도 있다.
연속적으로 버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첫번째는 연속적버튼사용의 시간차이를 결정하는 문제이다. 왜냐하면 전화기버튼 한개에 여러 개의 한글 자모 혹은 영문 알파베트를 배정할 경우, 연속적 버튼 사용의 시간을 결정하지 않는다면 한 가지 버튼에 배정된 한글 자모 혹은 영문 알파베트를 다시 입력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영문의 경우 2 번 버튼에 abc가 배정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a, a, a를 입력하기를 원할때 연속적으로 세 번의 버튼을 누르면 a, a, a가 아니라 그냥 c를 입력하는 것으로 혼동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 개의 버튼을 누른 후, 얼마의 시간이 지나면 입력이 완성된 것으로 보는 가를 결정해야 한다. 이 문제는 역시 얼마나 빠르게 눌려진 버튼을 '연속적 버튼'으로 보느냐의 문제이기도 하다.
빠른 입력을 위해서는 '연속적 버튼'의 시간을 짧게 보는 것이 효율적이겠지만, 익숙치 못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는 비교적 긴 시간이 바람직할 것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컴퓨터 마우스의 더블클릭시간을 고려할 때 0.5초내외를 '연속적 버튼'으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서 또 한가지 중요한 것이 버튼에 배열된 한글 자모의 식별의 편의성이다. 한글 자모를 식별하기 어렵다면 빠른 '연속적 버튼'사용이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음과 모음을 분리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글 자음모음 순서에 따라서 도면과 같이 한글 자/모를 전화기버튼에 배열하였다. ㅋ..과 ㄲ..에는 ㅋㅌㅍㅊ와 ㄲㄸㅃㅆㅉ가 배정되어 있는데, 이들 자음은 받침으로 사용되는 빈도가 적기 때문에 각각 한 개의 버튼에 배정하였다. ㅋㅌㅍㅊ와 ㄲㄸㅃㅆㅉ은 각각 연속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연속적 버튼'의 결정시간을 약간 길게 잡아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모음의 경우도 'ㅏㅐ(ㅏㅒ)', 'ㅓㅔ(ㅕㅖ)', 'ㅗㅜㅡ' 등은 같은 버튼에 배정된 모음끼리 조합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연속적 버튼의 결정시간을 역시 길게 잡아도 무방하다.
이렇게 '연속적 버튼'의 결정시간이 중요한 것은 한글의 경우, 자음이 전음절의 받침과 후음절의 초성으로 모두 쓰일 수 있는데 만약 전음절의 받침과 후음절의 초성이 같은 버튼에 배정된 자음들이라면, 예를 들어 '반갑다'처럼 '바'다음에 'ㄴ'받침이 들어오고 다시 2번 버튼에 배정된 'ㄱ'초성이 들어오는 경우, '연속적 버튼'의 시간을 정해두지 않으면 마치 '반ㄱ'이 아니라 '받'으로 잘못 입력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문제는 역시 받침처리 문제이다. '연속적 버튼' 사용의 장점은 한글자음중 ㅋㅌㅊㅍ와 ㄲㄸㅃㅆㅉ를 모두 전화기 버튼에 올리는 것인데, 이러다 보니 실용신안 2225호의 장/단 버튼 방식보다 전화기버튼에 올라가는 자음의 수가 많아져 어쩔 수 없이 한 개의 버튼에 3, 4, 5개의 자음이 배열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초성의 경우, 모든 자음이 모두 올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받침의 경우 올 수 있는 자음과 올 수 없는 자음이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용신안 2225호에서는 모음 다음에 들어오는 자음이 딱 한 개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가능여부에 따라서 전음절의 받침 혹은 후음절의 초성으로 일단 판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속적 버튼'사용방식의 경우, 모음 다음에 들어오는 자음이 전화기 버튼에 배열된 3, 4, 5개의 자음 중 어느 것인지 확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전음절의 받침인지 후음절의 초성인지를 결정할 수가 없었다.
예를 들어 '비탈길'의 경우 '비' 다음에 'ㅌ'이 들어오면 '비'에는 'ㅌ'받침이 없기때문에 전음절을 구성할 수가 없었다.
결국 이 문제가 '연속적 버튼' 사용방식의 최대의 문제점이었다.
그러나 꼭 전음절의 받침을 구성할 필요는 없다.
모음 다음에 들어오는 자음은 일단 후음절의 초성으로 간주하면 문제는 해결된다. 모음 다음에 들어오는 자음을 일단 후음절의 초성으로 간주하고 다음에 다시 자음이 들어오면 먼저 들어온 자음은 전음절의 받침으로 보내면 되는 것이다. 복자음받침의 문제도 역시 그렇다. 모음 후에 연속적으로 세 개의 자음이 입력되면 먼저 두 개의 자음을 전음절의 받침으로 보는 것이다. 왜냐하면 현대 한글에서는 초성에 복자음받침이 오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책상
5번버튼 4번 : ㅋ→ㅌ→ㅍ→ㅊ
7번버튼 2번 : 차→채
2번버튼 1번 : 채ㄱ
4번버튼 1번 : 책ㅅ
7번버튼 1번 : 책사
1번버튼 1번 : 책사ㅇ
이 방식의 문제는 모음으로 끝나지 않고 받침으로 끝나는 글자의 받침처리와 전화기 LCD의 맨 마지막에 구성되는 글자의 문제이다.
첫번째, 받침으로 끝나는 글자의 경우 글자 다음에 스페이스키나 쉼표, 마침표 기타 특수부호가 입력되면 모음 다음에 들어오는 자음을 마지막 입력된 글자의 받침으로 보는 것이다.
두번째, LCD의 맨 마지막에 구성되는 글자의 경우는 더이상 들어올 글자는 없으므로 모음다음에 입력되는 받침은 전부 그 음절의 받침으로 간주하면 된다.
기타 한글 조합방식에 대해서는 실용신안 2225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Description

전화기에서의 한글 입력에 관한 새로운 방식 II
LGP-5000H PCS폰
한글 입력시 글자완성키를 누르지 않는다.
전화기 버튼에 한글자모를 배열하는 방식
한글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기존의 방식보다 빠르게 입력한다.
한글 자음 中 ㅋ, ㅌ, ㅍ, ㅊ와 ㄲ, ㄸ, ㅃ, ㅆ, ㅉ를 종류별로 묶어서 처리하고 모음 다음에 들어오는 자음을 일단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본다.
모음 다음에 들어오는 자음을 일단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봄으로써 종성처리가 수월해짐.
전화기에서 적은 버튼사용으로 한글 입력

Claims (2)

  1. 전화기에서의 한글 자모 배열 방식
  2. 제 1 항에 있어서의 한글 조합 방식
KR2019980003305U 1998-03-04 1998-03-04 전화기의 새로운 한글입력방식 ii KR199800143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305U KR19980014350U (ko) 1998-03-04 1998-03-04 전화기의 새로운 한글입력방식 i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305U KR19980014350U (ko) 1998-03-04 1998-03-04 전화기의 새로운 한글입력방식 ii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350U true KR19980014350U (ko) 1998-06-05

Family

ID=6971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305U KR19980014350U (ko) 1998-03-04 1998-03-04 전화기의 새로운 한글입력방식 ii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350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789B1 (ko) * 2000-07-21 2002-06-15 대표이사 서승모 문자입력을 위한 키패드 배열 구조
KR100439000B1 (ko) * 2002-07-23 2004-07-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동일한 입력키에 배치된 문자를 연달아 입력하는 방법
KR100517029B1 (ko) * 2000-01-17 2005-09-26 김민겸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WO2005112407A1 (en) * 2004-04-12 2005-11-24 Min Ho Kim Keypad having ⊂-shaped button arrangement and method of inputting letters using the same
KR100594081B1 (ko) * 1998-12-30 2006-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 장치에서 문자 입력 방법_
KR100848727B1 (ko) * 2000-01-17 2008-07-25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855410B1 (ko) * 2000-01-17 2008-08-29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한국어를 포함한 글자 입력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081B1 (ko) * 1998-12-30 2006-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 장치에서 문자 입력 방법_
KR100517029B1 (ko) * 2000-01-17 2005-09-26 김민겸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KR100848727B1 (ko) * 2000-01-17 2008-07-25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855410B1 (ko) * 2000-01-17 2008-08-29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한국어를 포함한 글자 입력방법
KR100340789B1 (ko) * 2000-07-21 2002-06-15 대표이사 서승모 문자입력을 위한 키패드 배열 구조
KR100439000B1 (ko) * 2002-07-23 2004-07-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동일한 입력키에 배치된 문자를 연달아 입력하는 방법
WO2005112407A1 (en) * 2004-04-12 2005-11-24 Min Ho Kim Keypad having ⊂-shaped button arrangement and method of inputting letters using the same
GB2422579A (en) * 2004-04-12 2006-08-02 Min Ho Kim Keypad having C-shaped button arrangement and method of inputting letters using the same
GB2422579B (en) * 2004-04-12 2007-08-15 Min Ho Kim Keypad having c-shaped button arrangement and method of inputting letters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20994B2 (e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EP3518083A1 (en) Multilingual character input device
WO20040666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CA3036940C (en) Device with character input user interface
KR19980014350U (ko) 전화기의 새로운 한글입력방식 ii
KR20120003327U (ko) 한 손 자판
CN106155347B (zh) 汉语拼音输入键盘
KR20010039239A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100404752B1 (ko) 다접점스위치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다접점스위치의문자배열방법
CN101414232A (zh) 计算机系统
KR19990009719U (ko) 한글 가상 키보드
RU2344564C2 (ru) Раскладки знаков, способы в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KR100709309B1 (ko) 한글 자음 입력장치
TW201005592A (en)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and input device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448370B1 (ko) 전화기 키패드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KR1005568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CN105320292A (zh) 利用键盘的文字输入方法
KR101017777B1 (ko) 영어 단어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
JPS5816342A (ja) 日本語ワ−ドプロセツサ
KR20050061011A (ko) 전화기를 이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
NZ751167B2 (en) Character input device
JPH01145199A (ja) 辞書付き筆記用具
KR100995732B1 (ko) 키패드에서의 중국어 병음을 포함한 로마알파벳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058638B1 (ko) 버튼의 3번 연속눌러짐에 의한 알파벳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