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3827A -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3827A
KR19980013827A KR1019960032473A KR19960032473A KR19980013827A KR 19980013827 A KR19980013827 A KR 19980013827A KR 1019960032473 A KR1019960032473 A KR 1019960032473A KR 19960032473 A KR19960032473 A KR 19960032473A KR 19980013827 A KR19980013827 A KR 19980013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alkyl group
weight
film
inte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8050B1 (ko
Inventor
박명수
오명환
하승민
서양석
Original Assignee
백영배
동양나이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배, 동양나이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영배
Priority to KR1019960032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050B1/ko
Publication of KR19980013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6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28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 C08L2666/40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28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 C08L2666/52Metal-containing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이론 6을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물 100중량%에 대해 평균입경이 0.1∼6㎛, 표면적이 300m2/g 이상인 무기미립자가 0.03∼0.12중량%, 하기 구조식(Ⅰ),(Ⅱ)로 표시되는 6환과 5환으로 이루어진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와 하기 식(Ⅲ)의 글리세린모노지방산에스터를 30∼50/30∼50/0∼40의 중량비로 혼합한 비이온성 에스터계 계면활성제 0.01∼0.5중량%, 하기 식(Ⅳ)의 인산에스터염 또는 하기 식(Ⅴ)의 인산에스터가 0.00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제조되는 필름은 표면특성, 투명성, 대전방지성이 우수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제조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I)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5∼20의 알킬기,
n1, n2, n3은 각각 5∼20의 정수이다.)
(II)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5∼20의 알킬기,
n1,n2, n3는 각각 5~20의 정수이다.)
(III)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2∼20의 알킬기이다.)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2∼20의 알킬기,
n1, n2는 각각 2∼20의 정수
M+는 Na+또는 K+이다.)
(IV)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2∼20의 알킬기,
n1, n2는 각각 2∼20의 정수이다.)

Description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특성, 투명성, 및 대전방지성이 우수하고 폴리아미드 필름 사용자의 요구 물성에 적합한 필름으로 가공될 수 있는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 필름은 투명성, 내핀홀성, 기체차단성, 내열성, 내유성 등이 우수하여 주로 육가공식품 또는 레토르트식품 등의 식품포장분야 및 그밖의 공업제품 포장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폴리아미드 필름은 내한성, 내열성, 내유성, 내흡수성, 내충격성, 기체차단성, 인쇄성, 타필름에 대한 라미네이트성 등의 사용범위와 사용자의 요구 범위에 따라 2축연신 필름 성형방법, 성형조건 및 폴리아미드수지의 조성을 달리하여 제작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요구에 맞추어 폴리아미드 필름의 물성을 조절하여 생산하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일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특성, 투명성, 및 대전방지성이 우수하고 폴리아미드 필름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물성에 적합한 필름으로 가공될 수 있는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나이론 6을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물 100중량%에 대해 평균입경이 0.1∼6㎛, 표면적이 300m2/g 이상인 무기미립자가 0.03∼0.12중량%, 하기 구조식(Ⅰ),(Ⅱ)로 표시되는 6환과 5환으로 이루어진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와 하기 식(Ⅲ)의 글리세린모노 지방산에스터를 30∼50/30∼50/0∼40의 중량비로 혼합한 비이온성 에스터계 계면활성제 0.01∼0.5중량%, 하기 식(Ⅳ)의 인산에스터염 또는 하기 식(Ⅴ)의 인산에스터가 0.001∼5중량%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I)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5∼20의 알킬기,
n1, n2, n3은 각각 5∼20의 정수이다.)
(II)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5∼20의 알킬기,
n1, n2, n3은 각각 5∼20의 정수이다.)
(III)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2∼20의 알킬기이다.)
(IV)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2∼20의 알킬기,
n1, n2은 각각 2∼20의 정수
M+는 Na+또는 K+이다.)
(V)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2∼20의 알킬기,
n1, n2은 각각 2∼20의 정수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로는 나이론 6을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물을 사용한다. 나이론 6을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물은 ε-카프로락탐을 95∼99.9중량%, 헥사메틸렌디아민,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메타파라크실렌디아민, 아디프산 및 12-아미노도데칸산 또는 라우릴락탐 등의 혼합물을 0.1∼5중량%를 용융중합하여 얻은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이다.
나일론 6에 상기의 단량체를 주사슬(main chain)내에 도입하는 것은 나일론 6 필름이 갖는 고유의 물성을 헤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자들의 요구 물성에 적합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은 주사슬(main chain)이 홀수계 탄소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메틸기를 가지(branch)로 갖는 구조로 되어 있어 나일론 6의 주사슬의 결정화를 방해하여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타파라크실렌디아민은 방향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12-아미노도데칸산은 긴 알킬기를 가지고 있어 방습성이 강하며 저온에서도 필름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폴리아미드 공중합체는 나일론 6 단일 중합체보다 가공 온도범위가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아미드수지로 사용되는 나이론 6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들의 혼합비가 0.1중량% 미만이면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물성개량을 기할 수 없고, 이와 반대로 5중량%를 초과하면 제조원가가 상승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중합물 제조시에는 폴리아미드 필름의 내블록킹제로 무기미립자가 첨가되는데, 무기미립자는 평균입경 0.1∼6㎛, 표면적 300m2/g인 것을 중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0.03∼0.12중량%의 첨가량으로 사용한다. 상기 무기미립자의 첨가는 중합 초기, 중기, 말기중 어느 단계에서나 첨가할 수 있으나 무기미립자의 중합물 내에서의 고른 분산을 위해서는 중합 초기에 투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 무기미립자로는 Si, Al, Mg, Ca, Na 등의 산화물의 화합물의 혼합물로 구성된 실리카, 카올린, 탈크, 탄산칼슘, 기타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미립자의 첨가시에는 필름의 투명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폴리아미드수지와 굴절율이 유사한 특성을 가진 무기첨가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무기미립자의 함량이 0.03중량% 미만이면 내블록킹제로서의 역할이 미비하며, 0.12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의 광택도 및 투명도가 감소되고, 무기첨가제와 폴리아미드 사이의 공극에 의해 필름의 기계적 강도 및 기체차단성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서는 무기미립자 및 공지의 필름 첨가제로 알려진 지방족아미드나 알킬에스터염의 폴리아미드 칩과의 고른 혼합과 필름 가공중의 분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상기 식(Ⅰ), (Ⅱ)의 6환과 5환의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와 상기 식(Ⅲ)의 글리세린모노지방산에스테르의 비이온성 화합물들을 30∼50/30∼50/0∼40 중량비로 혼합한 비이온성 에스터계 계면활성제를 폴리아미드 수지에 대하여 0.01∼0.5중량% 첨가하여 사용한다.
비이온성 에스터계 계면활성제를 0.01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폴리아미드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고, 이들 비이온성 에스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폴리아미드 수지에 대하여 0.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아미드 필름과 무기미립자간의 계면이외의 부분에 존재하게 되어, 무기미립자가 서로 뭉치는 현상을 보여 필름 표면에 피쉬아이(Fish-eye)가 발생하고 슬립성이 저하된다.
한편, 폴리아미드 필름은 다른 플라스틱 필름과 마찬가지로 체적고유저항이 크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하여 필름 성형시에 또는 필름의 후가공시에 작업성이 불량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식 (Ⅳ)의 인산에스터염 또는 식 (Ⅴ)의 인산에스터를 대전방지제로 0.001∼5중량% 첨가하였다. 대전방지제가 전체 수지에 대해 0.001중량% 미만이면 대전방지성이 부족하게 되며 5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의 외관을 손상하고 필름의 강도를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방족 에스터계 계면활성제, 인산계 대전방지제의 폴리아미드수지에 대한 첨가 방법으로는 폴리아미드 중합단계에서 첨가하거나 폴리아미드 칩(Chip)과의 드라이블렌딩을 통해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기본 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는 공지의 활제로 쓰이는 지방족 아미드계 화합물, 스티어레이트산 염등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중합공정은 다음과 같다.
1) 먼저 아디프산과 지방족의 디아민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염의 수용액을 반응기에 투입한다. 이때 디아민으로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메타파라크실렌디아민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요구물성에 따라 12-아미노도데칸산 또는 라우릴락탐을 상기 단량체들과 혼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2) 일정비율의 카프로락탐을 반응기에 투입한다.
3) 반응을 위해서 가압하고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면서 물을 밖으로 방출하면서 일정 압력을 유지한다.
4) 중합물의 상대점도가 3.3∼3.8, 분자량 분포가 2∼4 범위를 갖는 수준으로 반응기 내부의 온도와 감압 조건을 설정하여 중합도를 결정한다.
5) 반응기 내부를 상압하고 일정 점도를 유지시키면서 배출한다.
6) 배출한 중합물을 칩으로 만든다.
7) 중합물의 열수추출분을 0.5% 이하로 관리하기 위하여 최대한의 욕비로 미반응 물질을 추출한 다음 건조하여 최종 폴리아미드 필름제조용 칩을 제조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칩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티-다이(T-die)법 또는 인플레이션(inflation)법에 의해 필름으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퍼를 통해 압출기내에 상기 칩을 공급하여 가열용융시키고 압출다이로부터 압축시킨 다음 이를 냉각고화시켜 미연신 원단을 제조하고, 이어서 필름의 진행방향(MD) 및 폭방향(TD)으로 동시 또는 축차 연신한후 열고정하여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필름의 성형후의 연신방법은 크게 튜블라법과 텐타법으로 나눌 수 있다. 텐터법은 필름의 대량 생산에 용이한 방법이지만, 가공 설비에 대한 많은 투자를 피할 수 없으며, 폭방향과 길이방향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필름을 연신하는 가공조건을 설정하기 어렵다. 이에 비해 튜블라법은 필름의 내부에 도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폭방향과 길이방향을 동시에 연신하여 폭방향과 길이방향의 연신비를 같이 가져갈 수 있기 때문에 필름의 광택도와 투명도 및 강도면에서 뛰어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튜블라법은 설비투자비가 저렴하며 좁은 공간에 설치가능하고 다종의 양질의 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필름 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은 단독으로 필름으로 가공되거나, 또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최종 필름의 기체차단성을 더욱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체차단성이 우수한 에틸렌비닐알콜공중합체(EVOH)와 공압출하여 성형되거나, 또는 그 기체차단성이 양호한 폴리염화비닐리덴(PVDC)을 코팅하는 방법에 의해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2축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또는 기타 필름과 라미네이션하여 제조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은 표면특성, 투명성, 슬립성 및 대전방지성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투명성, 내열성, 방습성, 저온안정성 등의 물성이 향상된 이점을 갖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뿐으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필름의 물성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평가 방법]
1. 열전이온도: 용융온도, 결정화온도, 저온결정화온도, 유리전이온도 등은 열분석기(Perkin-Elmer사의 DSC-7)로 승온 및 강온 속도를 20℃/min으로 하여 측정하였으며 결정 관련 전의 온도는 각각 피크의 최대점을, 유리전이온도는 열용량의 1/2 위치를 그 값으로 하였다.
2. 열수추출분: 폴리아미드수지를 추출장치(Soxhlet)로 100℃의 열수로 12시간 추출한 후의 무게 감량으로 측정하였다.
3. 상대점도: 폴리아미드수지를 0.25g/dl의 농도로 진한 황산(98%)에 녹인 후, 25℃의 항온조에서 캐논-펜스케(Cannon-Fenske)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대점도 = 용액의 낙류 초수(sec)/순수 황산의 낙류 초수(sec)
4. 분자량 분포: 워터(Water)사의 150-CALC 기종을 사용한 GPC분석으로 구하였으며, 용매 및 유동상은 메타크레졸을 사용하였고, 측정온도는 100℃에서 실시하였다.
분자량 분포 =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
5. 투명성: ASTM D-1003에 준하여 일본전기사의 헤이즈메터를 이용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6. 표면광택도: ASTM D-2457에 준하여 입사각을 20℃로 하여 표면광택도를 측정하였다.
7. 마찰계수: ASTM D-1894에 준하여 20℃, 상대습도 65% 분위기하에서 정마찰계수를 마찰계수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8. 겔수: 20cm × 20cm의 필름을 육안으로 정확하게 관찰하여 100㎛ 이상의 겔수를 계수하였다.
9. 인장강도: ASTM D-882에 준하여 20℃, 상대습도 65% 분위기하에서 만능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0. 열수수축율: 20cm × 20cm의 필름을 100℃의 열수에 30분간 담근 후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길이변화율을 측정하였다.
11. 내흡습성: 1cm × 15cm의 25℃의 물에 24시간 담근후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처리전, 후의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12. 표면고유저항: 타케다이연사의 고저항절연시험기를 이용하여 20℃, 상대습도 33% 분위기하에서 표면고유저항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리카(후지실리시아사, 평균 입경 1.4㎛, 표면적 300m2/g)를 ε-카프로락탐 50중량%의 수용액에 넣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한 분산 상태를 이루도록 2시간 이상 교반하여 실리카 분산액을 제조한다. 전체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수지 100중량%에 대해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티프산 염을 2중량% 반응기에 넣고, 표1에 나타낸 조성비에 맡도록 ε-카프로락탐과 미리 제조된 실리카 분산액을 투입하여 실리카의 함량이 0.07중량%인 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를 중합하여 이를 칩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100중량%에 대해 상기 일반식 (Ⅰ), (Ⅱ)의 구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20)솔비탄모노스티어레이트(일본유지사 제품), 상기 일반식 (Ⅲ)의 구조를 갖는 글리세린 모노스티어레이트(일본유지사 제품)가 40/40/20의 비로 혼합된 비이온성 에스터계 계면활성제 0.06중량%와 디라우릴포스페이트칼륨염 0.05중량%를 질소 분위기하에서 드라이 믹서로 고르게 혼합하여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압출기를 통해 255℃에서 직경 400㎜φ의 환형다이를 사용하여 하향압출하여 15℃의 물로 급냉하여 미연신 필름 원단을 수득하였다. 이 미연신 필름 원단을 속도가 다른 2조의 닙롤러 사이에서 가압 기체를 튜브내로 송입하여 MD/TD=3/3.2배로 동시 2축연신함으로써 필름 표면온도 70℃에서 필름직경 700㎜φ, 두께 15㎛인 2축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연신된 필름을 가이드롤러를 통해 열고정타워로 이송한 후, 필름 내부에 저압 기체를 송입하면서 튜브 상태로 이전의 연신공정과 연속적으로 열고정타워를 60m/분 속도로 통과시키면서 필름 표면온도가 180℃가 되도록 8초간 1차 열고정하고 접어 갠 후, 필름을 2장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필름을 2차 열처리롤러에 접촉시켜 90℃에서 3초간 2차 열고정한 다음 권취기에 권취하여 최종 폴리아미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폴리아미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6]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조성 및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조성에 따른 공정조건을 하기 표 1 및 표2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조건과 방법으로 폴리아미드 필름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1∼7]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조성 및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조성에 따른 공정조건을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외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조건과 방법으로 폴리아미드 필름을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함께 나타내었다.
a) 비이온성 에스터계 계면활성제 (Ⅰ)/(Ⅱ)/(Ⅲ)의 조성비
b) 디라우릴 포스페이트 칼륨

Claims (3)

  1. 나이론 6을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물 100중량%에 대해 평균입경이 0.1∼6㎛, 표면적이 300m2/g 이상인 무기미립자가 0.03∼0.12중량%, 하기 구조식(Ⅰ),(Ⅱ)로 표시되는 6환과 5환으로 이루어진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와 하기 식(Ⅲ)의 글리세린모노지방산에스터를 30∼50/30∼50/0∼40의 중량비로 혼합한 비이온성 에스터계 계면활성제 0.01∼0.5중량%, 하기 식(Ⅳ)의 인산에스터염 또는 하기 식(Ⅴ)의 인산에스터가 0.001∼5중량%를 포함하며, 상대점도 3.3∼3.8, 분자량분포 2∼4 범위이며, 열수추출분이 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
    (I)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5∼20의 알킬기,
    n1, n2, n3은 각각 5∼20의 정수이다.)
    (II)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5∼20의 알킬기,
    n1, n2, n3은 각각 5∼20의 정수이다.)
    (III)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2∼20의 알킬기이다.)
    (IV)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2∼20의 알킬기,
    n1, n2는 각각 2∼20의 정수
    M+는 Na+또는 K+이다.)
    (V)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2∼20의 알킬기,
    n1, n2는 각각 2∼20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론 6을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물이 a) 카프로락탐을 95-99.9중량% b) 헥사메틸렌디아민,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메타파라크실렌디아민, 아디프산, 12-아미노도데칸산 또는 라우릴락탐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혼합물을 0.01-5중량%를 용융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미립자가 실리카, 카올린, 탈크, 탄산칼슘, 알루미나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
KR1019960032473A 1996-08-03 1996-08-03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 KR0178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473A KR0178050B1 (ko) 1996-08-03 1996-08-03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473A KR0178050B1 (ko) 1996-08-03 1996-08-03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827A true KR19980013827A (ko) 1998-05-15
KR0178050B1 KR0178050B1 (ko) 1999-05-15

Family

ID=1946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473A KR0178050B1 (ko) 1996-08-03 1996-08-03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0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458A (ko) * 1999-12-30 2001-07-06 조 정 래 필름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378A (ko) 2018-10-22 2020-05-04 김유경 농업용 모종이식홈 성형기
KR20210069540A (ko) 2019-12-03 2021-06-11 김성림 농업용 모종이식홈 성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458A (ko) * 1999-12-30 2001-07-06 조 정 래 필름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8050B1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39886A (en) Block copolymer of polyamide and polyether, and its preparation and use
CA1222086A (en) Films from nylon blends
US4847142A (en) Moisture permeable film for lamination to a textile material
US6297345B1 (en) Polyamide having excellent stretching properties
US4098860A (en) Production of biaxially drawn film of polyamide blend
JPH0273858A (ja) ポリアミドシート製品の製造方法
JPS6024813B2 (ja) 樹脂組成物
KR19980013827A (ko)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
EP0011785B1 (en) Aromatic polyamide composition and processes for preparing film and fiber therefrom
US5039779A (en) Thermoplastically processible aromatic polyetheramide from 2,2-bis(4'-amino phenoxy phenyl) propane and terephthalic acid
KR100200046B1 (ko) 필름제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
KR19990042595A (ko) 필름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US3555114A (en) Polycaprolactam polymerized with diethanolamine
EP0182910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amide film
JPS6161967B2 (ko)
KR100240447B1 (ko) 필름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4209047B2 (ja) 滑り性の改良されたポリアミ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Liu et al. Structure and properties of oriented plasticized poly (vinyl chloride)
JPS6343217B2 (ko)
KR100213310B1 (ko) 폴리아미드 필름
IE67443B1 (en) Wholly aromatic polyamides preparation thereof and shaped structures therefrom
US4966955A (en) Aromatic copolyether amide which can be processed as a thermoplastic,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its use for the production of molding
KR20010058458A (ko) 필름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H11172022A (ja) 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ィルム
KR100200045B1 (ko) 필름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