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3774A - DHA-강화 우유 생산용 배합사료 조성물(Composition of dairy compound feed for high DHA milk production) - Google Patents

DHA-강화 우유 생산용 배합사료 조성물(Composition of dairy compound feed for high DHA milk prod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3774A
KR19980013774A KR1019960032407A KR19960032407A KR19980013774A KR 19980013774 A KR19980013774 A KR 19980013774A KR 1019960032407 A KR1019960032407 A KR 1019960032407A KR 19960032407 A KR19960032407 A KR 19960032407A KR 19980013774 A KR19980013774 A KR 19980013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ha
milk
composition
bra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선
Original Assignee
김기용
주식회사 퓨리나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용, 주식회사 퓨리나 코리아 filed Critical 김기용
Priority to KR101996003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3774A/ko
Publication of KR19980013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774A/ko

Links

Landscapes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우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유내 오메가-3 지방산, 특히 도코사헥산산(Docosahexanoic Acid: DHA)의 강화를 위하여 젖소에게 급여하는 유우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합사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옥수수, 밀 및 밀가루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 공급원 20-50%, 면실박 및 대두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 공급원 10-25%, 어분 5-10%, 대두피 10-20%, 밀기울 10-15%, 중조 0.8-1.5%, 산화마그네슘 0.3-1.0%, 미네랄 및 비타민 5-15%를 함유하는 유우용 배합사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DHA-강화 우유 생산용 배합사료 조성물
본 발명은 유우(乳牛)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유내 오메가-3 지방산, 특히 도코사헥산산(Docosahexanoic Acid: DHA)의 강화를 위하여 젖소에게 급여하는 유우용 배합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 통계에 따르면 지방을 과다하게 섭취하는 현대인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심장질환 발생율이 어류나 어류가공식품을 많이 섭취하는 경우 현저히 저하되는 점을 들어 어류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오메가-3 다중불포화지방산이 혈장내의 총지방과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킴을 발견하였다.
이처럼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가진 오메가-3 지방산의 대표적인 예로는,
리놀렌산[Linolenic Acid: LNA(18:3W3)]
아이코사펜탄산[Eicosapentaenoic Acid: EPA(20:5W3)]
도코사펜탄산[Docosapentanoic Acid: DPA(22:5W3)]
도코사헥산산[Docosahexanoic Acid: DHA(22:6W3)]
아이코사트리엔산(Eicosatrienoic Acid)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지방산은 들깨유, 아마인유와 같은 몇몇 특수한 식물성 기름과 어유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사람이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계란이나 육류 등에는 이러한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낮아, 계란과 육류, 특히 돼지고기와 닭고기에서 이의 함량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며, 일부는 이미 성공하여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또한 소고기나 우유와 같은 생산물에도 시도되었으나, 돼지와 닭이 단위가축인데 비해 비육우나 유우는 반추가축이므로 독특한 소화기관 구조를 가져 그 시도가 무산되었거나, 성공한 경우에도 효율이 낮아 상업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최근 들어 이러한 오메가-3 지방산중 DHA는
1) 분유에 비해 모유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2) 뇌의 두뇌조직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성장기 유아의 두뇌 발달에 필수적인 지방산으로 인식되어, 우유내 DHA 농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행해졌다.
초기에는 일반 어유에서 정제한 DHA를 우유 가공 시에 첨가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이 경우
1) 외부 첨가 지방산의 산패 위험 증가와,
2) 우유 맛의 변화
라는 결점이 나타나 그 이용이 제한되었다.
또한, 유우가 섭취하는 사료 내에 DHA를 첨가하여 생산되는 우유내 DHA 농도를 높이고자 하는 시도도 있었으며, 그 중 일부는 성공하여 우유내 지방산중 DHA 농도가 0.1%까지 증가되는 것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를 산업상 이용하는 경우,
1) 불충분한 DHA 농도의 증가
2) 유지율 저하
3) 생산비의 증가
등의 문제가 있어 실제 적용시 어려운 점이 많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유내 성장기 유아에게 필요한 DHA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유우용 배합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배합사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옥수수, 밀 및 밀가루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 공급원 20-50%, 면실박 및 대두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 공급원 10-25%, 어분 5-10%, 대두피 10-20%, 밀기울 10-15%, 중조 0.8-1.5%, 산화마그네슘 0.3-1.0%, 미네랄 및 비타민 5-15%를 함유하는 유우용 배합사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n-3 지방산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어분은 천연적으로 어유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DHA가 많이 함유된 어유는 1)산소에 노출되어 산패의 위험이 증가하며, 2)반추위 내에서 노출되는 어유는 반추위 미생물에 피막을 형성하며 유지율을 저하시키나, 어분 내에 함유된 어유는 대부분이 세포조직에 의해 외부 산소로부터 격리되어 산패의 발생 위험이 적으며, 반추위내 미생물의 분해에도 잘 견뎌냄으로써 소장으로 이동되는 비율이 높다.
완충제 역할을 하는 중조와 가소화 섬유소인 대두피는 배합사료에 첨가되어 반추위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고 반추위의 미생물 생산성을 최대로 유지시킴으로써, 유우로서의 생산성(유량, 유지율)을 유지시켜 우유내 DHA-농도 증가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시켜 준다.
본 발명의 배합사료 조성물은 미네랄과 비타민을 함유하며, 특히 비타민 E와 Se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타민 E는 일단 체내에 흡수된 DHA가 다른 형태의 지방산으로 변화되는 것을 막아주어, 유선세포에 도달하는 DHA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의 첨가 농도는 전체 배합사료를 기준으로 100-500ppm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합사료는 일반적인 사료 제조 방법에 따라, 가루 또는 분말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의 조성에 따른 원료를 각각 분쇄하고 혼합한 후, 스팀 하에서 고온/고압 처리하면 펠렛 형태의 배합사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합사료 조성물을 유우에 급여시, 배합사료급여 개시후 8주부터 우유내 지방산중 DHA 함량이 약 0.2% 정도의 고농도로 나타나기 시작함으로써(표2) DHA 강화 우유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 1의 원료를 각각 분쇄한 후 혼합하고, 스팀 하에서 고온/고압 처리하여 펠렛 형태의 배합사료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Kg)
옥수수 227.5
100
밀가루 100
밀기울 133
대두피 150
면실박 81
대두박 50
어분 60
중조 8
50% 산화 마그네슘 3
석회석 22
향미제 0.37
비타민 E 0.2
0.1% Se 0.13
기타 미네랄/비타민 첨가제 64.8
시험예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배합사료를 8개의 농장의 유우(평균 15두/농장)에 공급하여, 두당 1일 평균 12 Kg 정도의 사료를 섭취하게 하였다. 급여 개시 후 2주부터 18주까지 2주 간격으로 생산된 우유의 샘플을 취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유지방 중 DHA함량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DHA-강화 우유 생산 배합사료 급여 후 유지방내 DHA 농도(단위: 유지방 중 중량%)
급여개시후농장 2주 4주 6주 8주 12주 16주 18주
1 0.10 0.13 0.10 0.19 0.20 0.24 0.27
2 - 0.11 0.21 0.27 0.27 0.27 0.27
3 0.05 0.07 0.12 0.17 0.17 0.16 0.15
4 0.09 0.13 0.18 0.21 - 0.22 0.23
5 0.05 0.08 0.10 0.20 0.21 0.20 0.18
6 0.05 0.05 0.06 0.14 0.18 0.19 0.20
7 0.06 0.08 0.09 0.16 0.21 0.18 0.16
8 0.08 0.08 0.12 0.22 0.21 0.21 0.21
주: - 는 샘플 채취 실패로 인하여 데이터가 없음
표 2의 결과를 보면, 배합사료 급여 개시후 8주부터 우유내 지방산중 DHA 함량이 약 0.2% 정도로 나타나, 본 발명에 의한 배합사료를 유우에 급여할 경우 DHA가 강화된 우유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합사료 조성물을 유우에 급여하면, 오메가-3 지방산, 특히 도코사헥산산이 강화된 우유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배합사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옥수수, 밀 및 밀가루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 공급원 20-50%, 면실박 및 대두박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 공급원 10-25%, 어분 5-10%, 대두피 10-20%, 밀기울 10-15%, 중조 0.8-1.5%, 산화마그네슘 0.3-1.0%, 미네랄 및 비타민 5-15%를 함유하는 유우용 배합사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비타민E가 100-500ppm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우용 배합사료 조성물.
KR1019960032407A 1996-08-02 1996-08-02 DHA-강화 우유 생산용 배합사료 조성물(Composition of dairy compound feed for high DHA milk production) KR19980013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407A KR19980013774A (ko) 1996-08-02 1996-08-02 DHA-강화 우유 생산용 배합사료 조성물(Composition of dairy compound feed for high DHA milk pro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2407A KR19980013774A (ko) 1996-08-02 1996-08-02 DHA-강화 우유 생산용 배합사료 조성물(Composition of dairy compound feed for high DHA milk prod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774A true KR19980013774A (ko) 1998-05-15

Family

ID=6624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407A KR19980013774A (ko) 1996-08-02 1996-08-02 DHA-강화 우유 생산용 배합사료 조성물(Composition of dairy compound feed for high DHA milk prod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37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947B1 (ko) * 1999-10-21 2002-01-18 손 경 식 유지방 함량이 높은 우유 생산을 위한 젖소용 사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028A (ko) * 1992-01-23 1993-08-26 이순목 n-3 지방산이 축적된 우육 생산용 사료 조성물
KR960014849A (ko) * 1994-10-21 1996-05-22 프리패브 냉각 저장고 부착 오픈 쇼케이스
JPH08275734A (ja) * 1995-04-07 1996-10-22 Meiko Trading Kk 飼料添加物の製造方法
KR970001316A (ko) * 1995-06-01 1997-01-24 카바메이트 및 비대칭 우레아의 개선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028A (ko) * 1992-01-23 1993-08-26 이순목 n-3 지방산이 축적된 우육 생산용 사료 조성물
KR960014849A (ko) * 1994-10-21 1996-05-22 프리패브 냉각 저장고 부착 오픈 쇼케이스
JPH08275734A (ja) * 1995-04-07 1996-10-22 Meiko Trading Kk 飼料添加物の製造方法
KR970001316A (ko) * 1995-06-01 1997-01-24 카바메이트 및 비대칭 우레아의 개선된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947B1 (ko) * 1999-10-21 2002-01-18 손 경 식 유지방 함량이 높은 우유 생산을 위한 젖소용 사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4819B1 (en) Animal feed supplement
EP0680318B1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feed conversion in animals
US7771752B2 (en) Animal feed supplement for the nutritional enrichment of animal produce
EP1392127B1 (en) A method of improving the flavor, tenderness and overall consumer acceptability of poultry meat
CA2055042C (en) Eggs compatible with cholesterol-reducing die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U736043B2 (en) Method for enriching docosahexaenoic acid in expressed milk of dairy cattle
US6316041B1 (en) Poultry egg with beneficial health and nutritive values
EP2408316B1 (en) Poultry feed comprising beneficial fatty acids
BE1013997A6 (nl) Antimicrobiele samenstelling voor dieren.
Jenkins Feeding oleamide to lactating Jersey cows 1. Effects on lactation performance and milk fatty acid composition
Buckiuniene et al. EFFECT OF SUNFLOWER AND RAPESEED OIL, ORGANIC AND INORGANIC SELENIUM AND VITAMIN E IN THE DIET ON YOLK FATTY ACIDS PROFILE, MALONDIALDEHYDES CONCENTRATION AND SENSORY QUALITY OF LAYING HENS EGGS.
Babalola et al. Effect of β‐xylanase supplementation of boiled castor seed meal‐based diets on the performance, nutrient absorbability and some blood constituents of pullet chicks
Kostadinović et al. Effect of extruded flaxseed in broiler diets on blood oxidative stability and meat fatty acid composition
KR940007396B1 (ko) 오메가란 및 오메가 가금육, 이의 생산방법 및 이의 생산용 배합사료
Nogalski et al. Fatty acid profile of intramuscular fat in the Longissimus lumborum and Semimembranosus muscles of bulls fed diets based on Virginia fanpetals, grass and maize silages
KR19980013774A (ko) DHA-강화 우유 생산용 배합사료 조성물(Composition of dairy compound feed for high DHA milk production)
Lipstein et al. The effect of dietary fish oil soapstock on the performance, carcass fat and flavour of broilers
CA2260513A1 (en) Method of enriching docosahexaenoic acid in expressed milk of dairy cattle
Williams et al. Sensory and fatty acid profile of eggs from commercial hens fed rendered spent hen meal
EP1641475B1 (en) Lipids from methanotrophic bacteria for cholesterol reduction
KR101684457B1 (ko) 감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 첨가제
KR101684458B1 (ko) 감을 먹여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은 육류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
Ahmed et al. Effect of encapsulated organic acid (GALLINAT+) supplementation with diet on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performance of broiler at different ages.
Szumacher-Strabel et al. Effect of protected fat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level in meat and milk of sheep
AU2008202737A1 (en) Animal Feed Supplement for the nutritional Enrichment of Animal Produ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