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3008U - Power Window Remote Control - Google Patents

Power Window Remote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3008U
KR19980013008U KR2019960026597U KR19960026597U KR19980013008U KR 19980013008 U KR19980013008 U KR 19980013008U KR 2019960026597 U KR2019960026597 U KR 2019960026597U KR 19960026597 U KR19960026597 U KR 19960026597U KR 19980013008 U KR19980013008 U KR 199800130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ndow
unit
remote control
control signal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65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맹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6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3008U/en
Publication of KR199800130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008U/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 구비되는 파워윈도우를 리모콘에 의해 원격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윈도우 개폐버튼의 업/다운조작에 따라 스위칭되는 다수개의 스위치(10a∼10h)로 구성된 근거리 조작을 위한 스위치부(10)와 그 스위치부(1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구동되는 다수개의 모터(20a, 10b, 20c, 20d)로 구성된 모터부(20)를 갖춘 파워윈도우 작동장치에 있어서, 원거리에서 파워윈도우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콘(30)과,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0),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기초로 파워윈도우의 업방향 또는 다운방향을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50), 상기 제어부(5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윈도우의 원격개폐를 위한 전원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 상기 수동식 스위치부(40)와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파워윈도우에 대한 수동/자동개폐경로를 스위칭하는 제 1릴레이 스위치부(70A) 및 제 2릴레이 스위치부(70A')로 구성되어, 자동차에 구비되는 파워윈도우를 리모콘에 의해 원격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파워윈도우의 개폐기능에 관한 편리함이 배가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evice of a power window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remotely by a remote control the power window provided in the vehicle, a plurality of switches (10a to 10h) that is switched in accordance with the up / down operation of the window opening and closing button Power window operating device having a motor unit 20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tors (20a, 10b, 20c, 20d)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unit 10 and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10 for the near field operation A remote control unit 30 for outpu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manipulating a power window at a long distance, a receiving unit 40 for receiv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and an up or down direction of a power window based on the remote control signal Control relay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setting the control relay, control relay for setting the power path for the remo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wer window based on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50 A first relay switch 70A and a second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on unit 60, the manual switch unit 40, and the control relay switch unit 60 to switch the manual / automatic opening / closing path for the power window; Consisting of the relay switch unit 70A ', it is possible to remotely open and close the power window provided in the vehicle by the remote control, so that the convenience regarding the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of the power window can be doubled.

Description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Power Window Remote Control

본 고안은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파워윈도우를 리모콘에 의해 원격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power wind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power window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remotely by the remote control of the power window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윈도우에 있어서는 도어의 내측에 설치된 윈도우 개폐레버를 회동시켜 도어트림과 외부 도어패널 사이에 설치된 윈도우글래스가 결합된 크랭크 부재를 신축작용시킴으로써 그 윈도우글래스가 승강되도록 하는 수동식 윈도우 개폐장치가 채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 그러한 수동식 윈도우 개폐방식에 따르면 윈도우 개폐레버의 회동에 따른 크랭크 부재의 신축작용에 의해 윈도우글래스가 승강작용을 하여 윈도우의 개폐가 행해지게 된다.In general, in the window of the vehicle manual window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rotate the window opening and closing lever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door to expand and retract the crank member coupled to the window glass installed between the door trim and the outer door panel to raise and lower the window glass. According to the manual window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window glass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rank memb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indow opening and closing lever.

그러나, 그러한 수동식 개폐장치에서는 자동차가 정차중인 경우에는 윈도우의 개폐동작이 그다지 어렵지 않지만, 자동차의 주행도중에 윈도우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핸들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윈도우 개폐레버를 회동시켜야만 하므로 운전에 지장을 받을 수 있게 된다.However, in such a manual switching devic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window is not very difficult when the vehicle is stopped. However,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the window opening and closing lever must be rotated while the driver is holding the steering wheel. I can receive it.

따라서, 현재에는 크랭크 부재의 신축동작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모터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윈도우 개폐버튼을 운전석의 부근에 설치하여 윈도우를 그 윈도우 개폐버튼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된 파워윈도우 제어장치가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whil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crank member can be perform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a window opening / closing butto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motor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driver's seat and the window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window opening / closing button. Power window control device that is to be opened and closed by using.

그러한 종래 파워윈도우 제어장치의 회로구성을 살펴보면, 참조번호 10은 파워윈도우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윈도우 개폐버튼에 연동하는 스위치부로서, 그 스위치부(10)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어 다수(통상 4)의 파워윈도우를 업(Up)/다운(Down)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소자(10a,10b;10c,10d;10e,10f;10g,10h)를 갖추어 구성된다.Looking at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such a conventional power window control device,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switch unit linked to a window opening and closing button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power window, the switch unit 10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usually And the switch elements 10a, 10b; 10c, 10d; 10e, 10f; 10g, and 10h for driving up / down the power window of 4).

여기서, 각 스위치소자(10a∼10h)의 공통접점은 전원(B+)과 접지전위사이에서 스위칭되어 파워윈도우의 개폐를 위한 전원경로를 설정하게 되는 바, 상기 스위치 소자(10a, 10c, 10e, 10g)는 예컨대 파워윈도우의 업방향(즉 폐쇄방향)의 동작시 도 1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경로(즉, 접지전위)에 접속되는 반면 스위치소자(10b, 10d, 10f, 10h)도 업방향 동작시 도 1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경로에 접속되고, 파워윈도우의 다운방향(즉, 개방방향)의 동작시 각 스위칭소자(10a∼10h)는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경로로 스위칭접속되게 된다.Here, the common contact point of each of the switch elements 10a to 10h is switched between the power source B + and the ground potential to set a power pat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ower window. The switch elements 10a, 10c, 10e, and 10g. ) Is connected to the path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e, the ground potential) in FIG. 1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window in the up direction (ie, the closing direction), while the switch elements 10b, 10d, 10f, and 10h also operate in the up direction. The switching elements 10a to 10h are connected to the path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n FIG. 1 when connected to the path indicated by the solid line at 1 and in the down direction (ie, the open direction) of the power window.

또한, 참조번호 20은 상기 스위치부(10)의 업/다운 조작에 따라 파워윈도우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모터(20a, 20b, 20c, 20d)로 구성된 모터부로서, 각 모터(20a, 20b, 20c, 20d)는 상기 스위치소자(10a,10b;10c,10d;10e,10f;10g,10h)에 의해 형성가능한 전원경로상에 개재되어 윈도우 개폐버튼의 조작에 대응하여 파워윈도우의 개폐를 구동하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mot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motors 20a, 20b, 20c, and 20d for driving a power window according to an up / down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10. Each motor 20a, 20b, 20c and 20d are interposed on a power path that can be formed by the switch elements 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to driv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wer window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window opening and closing button. Will perform the action.

이러한 종래의 파워윈도우 기능이 채용된 자동차에 의하면, 상기 스위치부(10)의 스위치소자(10a, 10b)가 운전석측 파워윈도우의 개폐에 적용됨과 더불어 모터부(20)의 모터(20a)가 운전석측 파워윈도우의 개폐구동에 적용된 경우, 운전자가 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윈도우 개폐버튼에서 운전석측 윈도우 개폐버튼을 업방향(즉, 파워윈도우의 폐쇄)으로 조작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10)의 스위치소자(10a, 10b)의 공통접점은 도 1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접점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모터(20a)가 시계방향(예컨대 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운전석측 파워윈도우는 닫히게 된다.According to the vehicle employing such a conventional power window function, the switch elements 10a and 10b of the switch unit 10 are appli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river's side power window and the motor 20a of the motor unit 20 is the driver's seat. When appli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of the side power window, the driver operates the driver's side window opening and closing button in the up direction (that is, the closing of the power window) in the window opening and closing button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switch element of the switch unit 10) The common contact of 10a and 10b maintains the contact state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FIG. 1, and thus the driver's seat side power window is closed as the motor 20a rotates clockwise (for example, in the forward direction).

반면에, 운전자가 운전석측 파워윈도우를 개방시키기 위해 윈도우 개폐버튼을 다운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스위치소자(10a,10b)의 공통접점은 도 1에서 점성으로 표시된 경로로 스위칭접속되고, 그에 따라 상기 모터(20a)가 반시계방향(예컨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운전석측 파워윈도우는 열리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window opening / closing button in the down direction to open the driver's side power window, the common contact of the switch elements 10a and 10b is switched in the path indicated by the viscosity in FIG. The motor 20a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for example, a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driver's seat side power window is opened.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10)의 스위치소자(10c,10d;10e,10f;10g,10h)와 대응하는 모터(20b,20c,20d)를 자동차에 구비되는 파워윈도우에 적용하게 되면 운전석측 파워윈도우에 대한 개폐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switch elements 10c, 10d; 10e, 10f; 10g and 10h of the switch unit 10 and the motors 20b, 20c and 20d corresponding to the switches are applied to the power windows provided in the vehicle, the driver's seat side power window It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by the same action as the opening and closing.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일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제어장치에서는 자동차에 갖추어지는 파워윈도우에 대해 간단한 버튼의 조작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게 되지만, 예컨대 파워윈도우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자동차의 시동을 오프시키거나 장시간 주차에 의해 자동차의 실내온도가 상승됨에 의해 실내의 환기가 필요한 경우에도 운전자는 자동차에 접근하여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된 윈도우개폐버튼을 직접 조작해야만 파워윈도우의 개폐가 가능하게 되고, 그 점에서 파워윈도우의 개폐에 관한 원격제어가 편리성의 면에서 절실하게 요구되는 상황이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ower window control apparatus,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power window provided in the vehicle by simple button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power window is opened, the driver may turn off the vehicle. In the case that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car is increased by parking for a long time or the vehicle needs to be ventilated, the driver must access the car and directly operate the window open / close button installed in the car to open and close the power window. Remote control of opening and closing of power windows is urgently needed in terms of convenienc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에 구비되는 파워윈도우를 리모콘에 의해 원격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power window that allows a power window provided in a vehicle to be opened and closed remotely by a remote controll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는, 윈도우 개폐버튼의 업/다운조작에 따라 스위칭되는 다수개의 스위치로 구성된 근거리 조작을 위한 스위치수단과 그 스위치수단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구동되는 다수개의 모터로 구성된 모터수단을 갖춘 파워윈도우 제어장치에 있어서, 원거리에서 파워윈도우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콘과,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기초로 파워윈도우의 업방향 또는 다운방향을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윈도우의 원격개폐를 위한 전원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릴레이스위치수단, 상기 수동식 스위치수단과 상기 제어릴레이스위치수단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파워윈도우에 대한 원격/근거리조작에 의한 개폐경로를 스위칭하는 제 1릴레이스위치수단 및 제 2릴레이 스위치수단을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a power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means for short-range operation and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means, which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witches that are switched according to an up / down operation of a window opening / closing button. A power window control apparatus having a motor mean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tors driven accordingly, the power window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remote controller for outpu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a power window at a long distance; a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Control means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setting the up or down direction of the power window based on the control means, a control relay switch means for setting a power path for remo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wer window based on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Interposed between the manual switch means and the control relay switch means And a first relay switch means and a second relay switch means for switching the opening / closing path by a remote / near-range operation for the power window.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수단은 상기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호 역동작하여 파워윈도우의 원격개폐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및 제 2전자석과, 전원단에 상시접속되어 상기 제 1 및 제 2전자석에 의해 파워윈도우의 원격개폐를 위한 전원경로(제 1접점/제 2접점)를 스위칭하는 공통접점을 갖추어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relay switch means i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magnets for controlling the remote opening and closing path of the power window by mutually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power window, and always at the power stage And a common contact which is connected to switch the power path (first contact / second contact) for remo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wer window b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magnets.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릴레이 스위치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석과, 상기 근거리조작 스위치수단에 접속된 제 1접점 및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수단의 제 1 및 제 2접점에 대응적으로 접속된 제 2접점을 갖추어 구성된다.Further, the first and second relay switch means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operated by a remot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a first contact point connected to the near field operation switch means, and first and second of the control relay switch means. It is comprised with the 2nd contact correspondingly connected to the contac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파워윈도우를 닫고자 업버튼을 누르면 원격제어신호(업신호)가 제어수단으로 송신되고, 그 원격제어신호를 기초로 제어수단에서 제어릴레이 스위치수단과 제 1릴레이 스위치수단으로 제어신호(업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제어릴레이 스위치수단의 공통접점이 제 1접점(업방향 접점)으로 스위칭됨과 더불어 상기 제 1릴레이 스위치수단이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수단의 제 1접점측으로 접속되며, 그에 따라 전원단으로부터의 전원이 모터수단에 인가되어 파워윈도우가 닫혀지게 되는 반면, 상기 원격제어신호로서 파워윈도우의 폐쇄를 위한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수단의 공통접점이 제 2접점(다운방향 접점)으로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제 2릴레이 스위치수단의 공통접점이 그 제어릴레이 스위치수단의 제 2접점에 접속되고, 그에 따라 상기 모터수단이 파워윈도우를 열어주도록 작용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presses the up button to close the power window from a long distance, a remote control signal (up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eans, and the control relay switch means from the control means based on the remote control signal. And b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up signal) to the first relay switch means, the common contact point of the control relay switch means is switch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up-direction contact point) and the first relay switch means is connected to the control relay switch mean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side, whereby power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is applied to the motor means to close the power window, while the control signal for closing the power window is applied as the remote control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The common relay of the control relay switch means is connected to a second contact (downward contact) and the second relay The common connection of the locat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of the relay switch control means, said motor means is a function to give the opening the power window accordingly.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파워윈도우 제어장치를 나타낸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ower window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xample,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의 블럭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power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와 제어릴레이 스위치부 및 제 1 및 제2릴레이 스위치부의 전기적인 결선상태를 대표적으로 나타낸 도면,3 is a view representatively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a control unit, a control relay switch unit, and first and second relay switch units shown in FIG. 2;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 device of a power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수동식 스위치부, 20:모터부,10: manual switch unit, 20: motor unit,

30:리모콘, 40:수신부,30: remote control, 40: receiver,

50:제어부, 60:제어릴레이 스위치부,50: control unit, 60: control relay switch unit,

70A, 70A':제 1 및 제 2릴레이 스위치부.70A, 70A ': First and second relay switch sec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의 블럭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와 제어릴레이 스위치부 및 제 1 및 제 2릴레이 스위치부에 대한 전기적인 결선상태를 대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device of a power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lectrical diagram of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relay switch unit, and the first and second relay switch units shown in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nnection state typically.

도 2와 도 3에서, 참조번호 30은 원거리에서 파워윈도우를 구동시키기 위한 윈도우개폐버튼을 갖추고서 자동차의 파워윈도우를 원격개폐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리모콘을 나타내며, 40은 자동차에 설치되어 상기 리모콘(30)으로부터 송신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나타낸다.2 and 3, 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 remote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remotely opening and closing the power window of the vehicle having a window opening and closing button for driving the power window at a long distance, 4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30 is shown.

또한, 50은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바, 그 제어부(50)는 상기 수신부(40)에서 수신되어 인가되는 원격제어신호를 기초로 파워윈도우의 동작방향을 판단하여 파워윈도우의 업방향 또는 다운방향을 설정하는 제어신호(UP, DN)를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50 represents a control unit a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func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corresponding power window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the control unit 50 is a remote control received and applied by the receiving unit 40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power window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gnal to output control signals UP and DN for setting the up or down direction of the power window.

60은 다수의 파워윈도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전원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대표적인 제어릴레이 스위치부를 나타내는 바, 도 3에서 그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는 상기 제어부(5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UP)에 의해 활성화되는 제 1전자석(S1)과 상기 제어부(5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DN)에 의해 활성화되는 제 2전자석(S2), 전원단(B+)에 상시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전자석(S1,S2)의 활성화상태에 따라 파워윈도우의 원격폐쇄를 위한 제 1접점(W1)과 파워윈도우의 원격개방을 위한 제 2접점(W2)의 사이에서 스위칭되면서 전원경로를 설정하는 공통접점(t1)을 갖추어 구성된다.60 shows a representative control relay switch for setting a power path for remo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power windows. In FIG. 3, the control relay switch 60 is a control signal UP applied from the controller 50. The first electromagnet S1 activated by the first electromagnet S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S2 activated by the control signal DN applied from the controller 50 and the power terminal B + are always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activation state of the second electromagnet (S1, S2) is switched between the first contact point (W1) for the remote closing of the power window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W2) for the remote opening of the power window to set the power path It is comprised with the common contact t1.

참조번호 70A와 70A'는 파워윈도우의 근거리조작을 위한 스위치부(도 1에서 '10'으로 표시;이하 근거리조작 스위치부로 칭함)와 파워윈도우의 원격조작을 위한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의 사이에 개재되어 파워윈도우의 근거리제어 또는 원격제어의 전원경로를 스위칭적으로 설정하는 제 1 및 제 2릴레이 스위치부를 나타낸다. 그 중, 상기 제 1릴레이 스위치부(70A)는 상기 제어부(50)의 원격폐쇄를 위한 제어신호(UP)에 의해 활성화되는 전자석(S3)과, 상기 모터부(20)에 포함된 모터(예컨대 20a)의 일단에 접속된 공통접점(t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공통접점은(t2)은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의 제 1접점(W1)에 접속된 제 1접점(W3)과 상기 근거리조작 스위치부(10)의 예컨대 파워윈도우의 자동폐쇄에 적용되는 스위치소자(10b)의 공통접점에 접속된 접점(W3')의 사이에서 스위칭작용하게 된다.Reference numerals 70A and 70A 'denote a switch unit for short-range operation of a power window (indicated by' 10 'in FIG.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hort-range operation switch unit) and the control relay switch unit 60 for remote operation of a power window.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lay switch for setting the power path of the near-field control or remote control of the power window to switch. Among them, the first relay switch unit 70A includes an electromagnet S3 activated by a control signal UP for remote closing of the controller 50, and a motor (eg, included in the motor unit 20). And a common contact t2 connected to one end of 20a, and the common contact t2 is the first contact point W3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W1 of the control relay switch 60. And the contact W3 'connected to the common contact of the switch element 10b applied to the automatic closing of the power window, for example, of the short-range operation switch unit 10.

또, 상기 제 2릴레이 스위치부(70A')는 상기 제어부(50)의 원격개방을 위한 제어신호(DN)에 의해 활성화되는 전자석(S4)과, 상기 모터부(20)에 포함된 모터(예컨대 20a)의 타단에 접속된 공통접점(t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공통접점(t4)은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의 제 2접점(W2)에 접속된 제 1접점(W4)과 상기 근거리조작 스위치부(10)의 예컨대 파워윈도우의 자동개방에 저용되는 스위치소자(10a)의 공통접점에 접속된 접점(W4')의 사이에서 스위칭작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relay switch unit 70A 'includes an electromagnet S4 activated by a control signal DN for remotely opening the control unit 50, and a motor (for example, a motor included in the motor unit 20). And a common contact t4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20a, and the common contact t4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W4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int W2 of the control relay switch 60. For example, the short-range operation switch unit 10 switches between the contacts W4 'connected to the common contact of the switch element 10a stored in the automatic opening of the power window.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power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4.

먼저, 도 3에 도시된 근거리조작 스위치부(10)의 스위치소자(10a, 10b)와 모터부(20)의 모터(20a),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 제 1 및 제 2릴레이 스위치부(70A, 70A')가 운전석 파워윈도우의 근거리 및 원격제어에 적용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상기 근거리조작 스위치부(10)의 스위치소자(10a, 10b)의 공통접점이 접지전위로 상시접속된 상태로 유지됨과 더불어 상기 제 1 및 제 2릴레이 스위치부(70A, 70A')의 공통접점(t3, t4)은 각기 제 2접점(W3', W4')측에 상시접속된 상태로 유지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근거리조작 스위치부(10)에서 운전석측 파워윈도우의 폐쇄를 위해 윈도우개폐버튼이 업방향조작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소자(10b)의 공통접점이 전원(B+)측으로 스위칭접속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위치소자(10b)의 공통접점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B+)이 상기 제 1릴레이 스위치부(70A)의 공통접점(t2)을 통해 상기 모터부(20)의 모터(20a)에 인가되므로, 그 모터(20a)가 정회전하게 되어 파워윈도우가 폐쇄되게 된다.First, the switch elements 10a and 10b of the near field operation switch unit 10 shown in FIG. 3, the motor 20a of the motor unit 20, the control relay switch unit 60, and the first and second relay switches. Assuming that the units 70A and 70A 'are applied to near and remote control of the driver's seat window, the common contact point of the switch elements 10a and 10b of the near field switch unit 10 is always connected to the ground potential. And the common contacts t3 and t4 of the first and second relay switch units 70A and 70A 'are alway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s W3' and W4 ', respectively. In this state, when the window opening / closing button is operated in the short-range operation switch unit 10 to close the driver's seat side power window, the common contact of the switch element 10b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B + side, Accordingly, the power source B + applied through the common contact of the switch element 10b is the first reel. Since the applied to the motor (20a) of a common contact point (t2) of the switch unit (70A), the motor unit 20, the motor (20a) is securely forward rotation is a power window to be closed.

그에 대해, 상기 윈도우개폐버튼이 다운방향조작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조작 스위치부(10)의 스위치소자(10a)의 공통접점이 상기 전원(B+)측으로 스위칭되고, 그에 따라 전원(B+)이 그 스위치소자(10a)의 공통접점과 상기 제 2릴레이 스위치부(70A')의 공통접점(t3)을 통해 상기 모터부(20)의 모터(20a)에 인가되고, 그게 따라 상기 모터(20a)가 역회전하게 되어 파워윈도우는 개방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ndow opening / closing button is operated in the down direction, the common contact point of the switch element 10a of the short-range operation switch section 10 is switched to the power supply B + side, whereby the power supply B + switches the switch element. The motor 20a of the motor unit 20 is applied to the motor 20a through the common contact t3 of the second relay switch unit 70A 'and the common contact of 10a. The power window is opened.

그리고, 도 4의 단계 82에서 리모콘으로부터 원격적으로 파워윈도우를 개폐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그 원격제어신호는 자동차에 설치된 수신부(40)에서 수신되어 상기 제어부(50)로 전송된다.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for remotely opening and closing the power window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in step 82 of FIG. 4,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received by the receiver 40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50.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단계 84에서 그 원격제어신호가 파워윈도우를 폐쇄하기 위한 제어신호(즉, 업방향 조작신호)인 가를 판단하게 되고, 그 판단결과 파워윈도우의 폐쇄를 위한 제어신호(즉, 단계 84에서 'YES')인 경우에는 단계86으로 이행하여 상기 릴레리 스위치부(60)와 상기 제 1릴레이 스위치부(70A)에 제어신호(UP)를 인가하게 된다.Therefore, the controller 50 determines whether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a control signal for closing the power window (that is, an up-direction operation signal) in step 84, and as a result, the control signal for closing the power window ( That is, in the case of 'YES' in step 84,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86 to apply the control signal UP to the relay switch unit 60 and the first relay switch unit 70A.

따라서, 단계 86에서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의 전자석(S1)이 활성화되어 그 공통접점(t1)이 제 1접점(W3)측으로 접속된다. 그 경우, 상기 제 2릴레이 스위치부(70A')의 공통접점(t3)는 제 2접점(W4')에 접속되어 유지되고, 상기 근거리조작 스위치부(10)의 스위치소자(10a, 10b)의 공통접점은 접지전위로 유지된다.Therefore, in step 86, the electromagnet S1 of the control relay switch unit 60 is activated and its common contact t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W3. In that case, the common contact t3 of the second relay switch section 70A 'is connected to and maintained at the second contact W4', and the switch elements 10a and 10b of the short range operation switch section 10 are maintained. The common contact is kept at ground potential.

따라서, 전원(B+)이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와 상기 제 1릴레이 스위치부(70A)를 통해 상기 모터부(20)의 모터(20a)에 인가되고 나서 상기 제 2릴레이 스위치부(70A')와 상기 스위치소자(10a)를 통해 접지측으로 흐르게 되고, 그게 따라 상기 모터(20a)가 정회전하게 되어 파워윈도우는 폐쇄되게 된다(단계 98 및 단계 90).Therefore, the power supply B + is applied to the motor 20a of the motor unit 20 through the control relay switch unit 60 and the first relay switch unit 70A,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unit 70A. ') And the switch element 10a flow to the ground side, whereby the motor 20a is rotated forward so that the power window is closed (steps 98 and 90).

반면에, 상기 단계 84에서의 판단결과 리모콘으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가 파워윈도우의 개방을 위한 원격제어신호이면 상기 제어부(50)는 단계 92로 진행하여 파워윈도우의 개방을 위한 제어신호(UP)를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와 상기 제 2릴레이 스위치부(70A')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의 전자석(S2)가 활성화되어 그 공통접점(t1)이 제 2접점(W2)측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릴레이 스위치부(70A')의 전자석(S4)이 활성화되어 그 공통접점(t3)이 제 1접점(W4)측으로 스위칭접속되게 된다. 그 경우, 상기 제 1릴레이 스위치부(70A)의 공통접점(t2)은 제 2접점(W3')에 접속되어 유지되고, 상기 근거리조작 스위치부(10)의 스위치소자(10a, 10b)는 접지전위로 유지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remote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i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opening the power window, the controller 50 proceeds to step 92 and determines the control signal UP for opening the power window. The control relay switch unit 60 and the second relay switch unit 70A 'are applied. Accordingly, the electromagnet S2 of the control relay switch unit 60 is activated and its common contact t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W2 side, and the electromagnet S4 of the second relay switch unit 70A 'is connected. Is activated so that the common contact t3 is switched to the first contact W4 side. In that case, the common contact t2 of the first relay switch unit 70A is connected to and maintained at the second contact W3 ', and the switch elements 10a and 10b of the near field switch unit 10 are grounded. Is maintained at a potential.

따라서, 전원(B+)이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와 상기 제 2릴레이 스위치부(70A')를 통해 상기 모터부(20)의 모터(20a)에 인가되고 나서 상기 제 1릴레이 스위치부(70A)와 상기 스위치소자(10b)를 통해 접지측으로 흐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모터(20a)가 역회전하게 되어 파워윈도우는 개방되게 된다(단계 94 및 단계 96).Therefore, the power source B + is applied to the motor 20a of the motor unit 20 through the control relay switch unit 60 and the second relay switch unit 70A 'and then the first relay switch unit ( 70A) and the switch element 10b flow to the ground side, whereby the motor 20a is reversely rotated to open the power window (step 94 and step 96).

그리고, 이상에서는 본 고안이 운전석측 파워윈도우의 개폐동작에 대해서만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어부(50)의 제어하에 파워윈도우의 원격개폐를 위한 전원경로를 형성하는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와 상기 제 1 및 제 2릴레이 스위치부(70A, 70A')를 해당하는 차량에 갖추어진 전체의 파워윈도우에 대해 동일하게 구성되도록 해서 각 파워윈도우에 대해 근거리 및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l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river's seat side power window, but the control relay switch unit 60 for forming a power path for remo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wer window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The first and second relay switch units 70A and 70A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for the entire power windows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vehicle, thereby enabling short-range and remote control of each power window. to b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에 따르면, 자동차에 구비되는 파워윈도우를 리모콘에 의해 원격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파워윈도우의 개폐기능에 관한 편리함이 배가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power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being able to remotely open and close the power window provided in the vehicle by the remote control, the convenien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of the power window can be doubled.

Claims (3)

윈도우 개폐버턴의 업/다운조작에 따라 스위칭되는 다수개의 스위치(10a∼10h)로 구성된 근거리 조작을 위한 스위치부(10)와 그 스위치부(1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구동되는 다수개의 모터(20a, 20b, 20c, 20d)로 구성된 모터부(20)를 갖춘 파워윈도우 제어장치에 있어서, 원거리에서 파워윈도우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콘(30)과,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40),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기초로 파워윈도우의 업방향 또는 다운방향을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50), 상기 제어부(5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윈도우의 원격개폐를 위한 전원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 상기 수동식 스위치부(40)와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파워윈도우에 대한 수동/자동개폐경로를 스위칭하는 제 1릴레이 스위치부(70A) 및 제 2릴레이 스위치부(70A')를 추가로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Switch unit 10 for short-range opera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witches 10a to 10h switched according to the up / down operation of the window opening / closing button and a plurality of motors 20a driven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10. A power window control apparatus having a motor unit 20 including 20b, 20c, and 20d, comprising: a remote controller 30 for outputt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a power window at a distance, and for receiv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40, the control unit 50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setting the up or down direction of the power window based on the remote control signal, the remote control of the power window based on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50 Interposed between the control relay switch unit 60, the manual switch unit 40 and the control relay switch unit 60 for setting the power pat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witch to switch the manual /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path for the power window Called remote control apparatus of a power window according to claim 1 consisting equipped with relay switching unit (70A) and second adding the relay switch unit (70A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는 상기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호 역동작하여 파워윈도우의 원격개폐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 1전자석(S1) 및 제 2전자석(S2)과, 전원단(B+)에 상시접속되어 상기 제 1전자석(S1) 및 제 2전자석(S2)에 의해 파워윈도우의 원격개폐를 전원경로(제 2접점/제 2접점)를 스위칭하는 공통접점(t1)을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The first and second electromagnets S1 and S2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relay switch 60 reversely acts on the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power window to control the remote opening and closing path of the power window. ) And a common contact which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B + at all times and switches the power path (second contact / second contact) for remo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wer window by the first electromagnet S1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S2.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power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t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릴레이 스위치부(70A, 70A')는 상기 제어부(50)로부터의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석(S3, S4)과, 상기 스위치부(10)에 접속된 제 1접점(t2, t3) 및 상기 제어릴레이 스위치부(60)의 제 1 및 제 2접점(w1, w2)에 대응적으로 접속된 제 2접점(W3, W4)을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윈도우의 원격제어장치.3. The switch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elay switch units 70A and 70A 'are provided with electromagnets S3 and S4 operated by a remot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50, and the switch unit 10. And a second contact point (W3, W4)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ct point (t2, t3)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ints (w1, w2) of the control relay switch unit (60). Power window remot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2019960026597U 1996-08-29 1996-08-29 Power Window Remote Control KR1998001300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597U KR19980013008U (en) 1996-08-29 1996-08-29 Power Window Remote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597U KR19980013008U (en) 1996-08-29 1996-08-29 Power Window Remote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008U true KR19980013008U (en) 1998-06-05

Family

ID=5397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6597U KR19980013008U (en) 1996-08-29 1996-08-29 Power Window Remote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3008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929B1 (en) * 2000-01-28 2002-03-13 김형곤 Control circuit of transmitting level in remote control transmitter
KR100407266B1 (en) * 2000-12-19 2003-11-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remoting move device of window class for vehic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929B1 (en) * 2000-01-28 2002-03-13 김형곤 Control circuit of transmitting level in remote control transmitter
KR100407266B1 (en) * 2000-12-19 2003-11-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remoting move device of window class for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4875A (en)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multifunctional button for a remote controller
US7268506B2 (en) Power window system
US5656868A (en) Remote vehicle starter for a standard transmission vehicle
US6246564B1 (en) Activating device
KR19980013008U (en) Power Window Remote Control
US4833376A (en) Motor drive circuit
KR100355157B1 (en) Control circuit for opening/closing devise in a vehicle
JP2008019625A (en) Vehicular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US6315418B1 (en) Method and device for heating a motor vehicle driving mirror
JPH06307316A (en) Remote controlled engine starting system
KR200280623Y1 (en) An apparatus for driving power window by remote control
JPH0235828B2 (en)
KR100443995B1 (en) Door glass on-off controller in a car
KR100349860B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vehicle
KR100193440B1 (en) How to control power window drive of car
KR0145661B1 (en) Auto closing system for window of a car
KR200313244Y1 (en) Automatic window closing device at start-off in the car
KR20030086384A (en) Automatic closing system for window glass of vehicle
US20040201276A1 (en) Communication circuit and a control switch for vehicle window-opening mechanisms
KR960014381B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car
JPH1080169A (en) Motor controller
KR20020085944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window in accordance with rain
JPH0521818Y2 (en)
KR19980023655A (en) Vehicle window one-touch open device
KR200171657Y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window for a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