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9999B1 -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 - Google Patents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9999B1 KR102689999B1 KR1020220136288A KR20220136288A KR102689999B1 KR 102689999 B1 KR102689999 B1 KR 102689999B1 KR 1020220136288 A KR1020220136288 A KR 1020220136288A KR 20220136288 A KR20220136288 A KR 20220136288A KR 102689999 B1 KR102689999 B1 KR 1026899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
- wearing means
- heavy object
- load support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4260 weight control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4819 Mobility Lim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21 sense of bal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와, 몸체에 결합되고, 트랙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부를 포함하고, 하중 지지부는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중지지 프레임과, 하중지지 프레임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고 하중을 지지하는 중량물의 무게 조절이 이루어지는 중량 조절부와, 하중지지 프레임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착용수단 결합부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착용수단 결합부에 체결되는 착용수단을 포함하는,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중 부하를 감소시켜, 몸이 불편한 환자들도 보행 및 런닝을 통해 근력강화 및 재활을 가능하도록 보조 가능한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다리로 체중을 지지하고 걷는 직립보행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고도의 발달된 운동이다.
이러한 직립보행은 사용자의 신체를 구성하는 모든 근육, 뼈, 신경, 평형감각 등이 정상상태여야 이루어질 수 있는 운동으로, 사고 또는 병으로 인해 거동이 불편했던 환자의 경우 치료가 완료된 이후에도 보행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환자들의 보행을 돕기위한 재활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환자들의 재활훈련을 보조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의 무중력 트레드밀의 경우 공기/물로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여, 보행 시 사용자의 하체에 인가되는 부하를 최소화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단가가 높아 일부 병원에서만 재활치료 장비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무중력 트레드밀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하중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은, 트랙(110)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상기 트랙(110)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 지지부(200)는 상기 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중지지 프레임(210)과,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중량물의 무게 조절이 이루어지는 중량 조절부(220)와,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착용수단 결합부(230);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상기 착용수단 결합부(230)에 체결되는 착용수단(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중 지지부(200)는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을 상기 몸체(100) 측면에 힌지 결합하는 힌지 결합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용수단 결합부(230)는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과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착용수단 결합부(230)에 결합되는 처짐 방지바(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 조절부(220)는 중량물이 끼워지는 중량물 끼움바(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착용수단 결합부(2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착용수단 높이조절모듈(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용수단 높이조절모듈(400)은 하중지지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일측을 연결하는 하중지지 바(1)에 결합되는 높이조절 롤러(410); 상기 몸체(10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브라켓(420); 상기 실린더 브라켓(420)을 회전시켜 상기 실린더 브라켓(420)의 상기 높이조절 롤러(410) 하중지지 유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실린더(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 조절부(22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중량물(222); 상기 중량물(222)의 이동을 상하방향으로 제한하는 중량물 이동방향 조절수단(223);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에 의해 리프팅되는 중량물의 무게를 조절하는 리프팅 중량 조절수단(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물(222)은 상기 리프팅 중량 조절수단(224)과 마주보는 일측에 형성되는 중량조절 홀; 상기 리프팅 중량 조절수단(224)은 상기 중량조절 홀에 끼워지는 홀 체결 바(224-1)와, 상기 홀 체결 바(224-1)의 길이 및 높이를 조절하는 바 움직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은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리프팅 롤러(211);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물 조절부(220)는 상기 중량 조절수단(224) 하측에 상기 리프팅 롤러(211)가 위치되는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리프팅 롤러(211) 상측에 리프팅 롤러(211)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하중지지 프레임(2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은, 중량물의 무게로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장치의 구조가 단순화되므로 제조 단가가 낮아져 일반 가정에서도 부담없이 구매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높이 조절이 이루어져도 처짐 방지바에 의해 착용수단 결합부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므로, 장치 사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자동으로 중량물 무게를 조절 가능하므로, 장치 사용 중에도 상황에 맞춰 중량물 무게를 손쉽게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트랙 작동 전에 높이조절모듈이 중량물 무게를 보상하여 착용수단 결합부 높이가 상승하는 것을 제한하므로, 착용수단을 손쉽게 착용수단 결합부에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을 나타낸 평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의 착용수단 및 착용수단 결합부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의 높이조절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을 나타낸 평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의 착용수단 및 착용수단 결합부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의 높이조절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의 착용수단 및 착용수단 결합부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의 높이조절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1000)은 트랙(110)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상기 트랙(110)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트랙(110)이 일정한 경로를 선회하여 사용자가 트랙(110) 위에서 걷거나 달리는 모션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하중지지부(200)에서 트랙(110) 위에서 걷거나 달리는 사용자의 체중 일부를 받쳐줌으로써, 걷거나 달리는 모션 수행 시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몸체(100)는 내부에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가 수용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트랙(110)을 입력된 속도로 일정하게 선회시킬 수 있어야 하고, 이러한 제어는 도면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몸체(100)에 형성된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를 입력하면, 제어부에서 모터 회전을 입력된 속도로 조절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속도 입력은 사용자가 입력장치에 형성된 버튼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 외에도 입력장치와 통신하는 리모컨을 이용해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간접 입력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는 좌측과 우측에 손잡이(101)가 형성되어, 트랙(110) 위를 걷거나 달리는 사용자가 손잡이(101)를 이용하여 쉽게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하중 지지부(200)는 상기 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중지지 프레임(210)과,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고 하중을 지지하는 중량물의 무게 조절이 이루어지는 중량 조절부(220)와,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착용수단 결합부(230)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상기 착용수단 결합부(230)에 체결되는 착용수단(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을 상기 몸체(100)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중량 조절부(220) 상의 중량물 무게가 늘어나면 중량물 무게가 늘어나는만큼 착용수단 결합부(230)가 상승하려는 힘이 커지게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들어올려 사용자의 하체에 인가되는 부하를 저감한 것이다.
다시한번 설명하면, 상기 착용수단(2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H)의 신체에 착용 또는 결합되어 체중을 지지할 수 있는 하네스, 바지 등의 장치로, 착용수단(240)에는 버클과 같은 제1 체결수단(241)이 형성되어 있어 착용수단 결합부(230)에 형성된 제2 체결수단(231)에 제1 체결수단(241)을 결합 시, 사용자의 신체가 착용수단 결합부(230)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착용수단 결합부(230)는 착용수단(240)을 착용한 사용자가 트랙(110)을 통해 다가올 시 마주보는 후측이 개방되고, 전측/좌측/우측에 상기 제2 체결수단(231)이 형성되는 것을 권장하고, 착용수단(240)의 전측/좌측/우측에도 제2 체결수단(231)과 결합될 수 있는 제1 체결수단(241)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체중 지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권장한다.
상기 제1 체결수단(241)과 제2 체결수단(231)은 서로 체결 가능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로는 서로 체결 가능한 버클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중 지지부(200)는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을 상기 몸체(100) 측면에 힌지 결합하는 힌지 결합부(250)를 포함할 수 있고, 힌지 결합부(250)는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하중지지 프레임(210)과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몸체(100) 측면에 고정 결합 가능한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수단 결합부(230)과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에 고정 결합되어 있을 경우, 하중지지 프레임(210)의 기울기가 변화할 시 이에 대응하여 착용수단 결합부(230)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용수단(240)을 착용수단 결합부(230)에 결합하기 어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울어진 착용수단 결합부(230) 때문에 사용자가 편안한 운동자세를 취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착용수단 결합부(230)를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였고, 이러한 결합 형태는 힌지결합 방식일 수 있다.
그리고, 하중지지 프레임(210)에 착용수단 결합부(230)를 힌지결합할 경우, 하중지지 프레임(210)이 자중에의해 처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처짐 방지바(300)를 착용수단 결합부(230)를 결합하여 착용수단 결합부(230)가 처지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처짐 방지바(300)는 하중지지 프레임(210)과 함께 이동하는 착용수단 결합부(23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움직일 수 있어야 하므로,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각각 몸체(100)와 착용수단 결합부(230)에 힌지결합 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기 중량 조절부(220)는 무게조절 방식에 따라 다양한 TYPE으로 분류될 수 있고, 일 실시예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중량물 끼움바(221)에 중량물을 직접 끼워 무게를 조절하는 제1 TYPE과,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호 입력에 의해 자동으로 리프팅되는 중량물 무게가 조절되는 제2 TYP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TYPE의 경우 상기 중량물 끼움바(221)에 사용자가 직접 중량물(222)을 끼우는 형태로, 중량물 끼움바(221)에 중량물을 끼울경우 착용수단 결합부(230)가 상승하여, 사용자가 착용수단(240)을 착용수단 결합부(230)에 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몸체(100)에 착용수단 결합부(2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착용수단 높이조절 모듈(400)이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도 1,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착용수단 높이조절 모듈(400)의 경우 하중지지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일측을 연결하는 하중지지 바(1)에 결합되는 높이조절 롤러(410)와, 상기 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브라켓(420)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420)을 회전시켜 상기 실린더 브라켓(420)의 상기 높이조절 롤러(410) 하중지지 유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실린더(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실린더 브라켓(420)이 상기 몸체(100)에 공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 실린더(430)의 길이가 늘어나며 실린더 브라켓(420)을 밀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 브라켓(42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높이조절 롤러(410)의 하중을 지지하게되고, 상기 높이조절 실린더(430)의 길이가 짧아지며 실린더 브라켓(420)을 당기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브라켓(42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높이조절 롤러(410)의 하중을 지지하는 힘이 감소되는 것이다.
이때, 실린더 브라켓(420)은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 롤러(410) 지지유무가 결정될 수 있도록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권장하고, 일 실시예로는 'V'자 형상일 수 있으며, 몸체(100)에는 실린더 브라켓(420)이 일정한 위치에서 공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브라켓 회전축 형성수단(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 실린더(430)는 전동실린더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린더일 수 있고, 실린더의 축이 상기 실린더 브라켓(420)과 힌지결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실린더 브라켓(420)이 높이조절 롤러(410)를 지지하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상기 착용수단 결합부(230)의 높이가 낮아지고, 실린더 브라켓(420)의 높이조절 롤러(410)를 지지하는 높이가 낮아질수록 착용수단 결합부(230)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사용자가 높이조절 실린더(430)를 작동시켜 착용수단 결합부(230)의 높이를 자신의 키에 적합한 높이로 조절 가능하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 실린더(430) 길이조절을 통한 착용수단 결합부(230)의 높이조절은 몸체(100) 상에 형성된 입력장치나,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장치, 리모컨, 사용자의 음성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 하측에는 쿠션(4)이 위치되어 높이조절 실린더(430)가 급격하게 하강할 시 지면과 부딪히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쿠션의 경우 고무, 스폰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2 TYPE의 경우 상기 중량 조절부(22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중량물(222)과, 상기 중량물(222)의 이동을 상하방향으로 제한하는 중량물 이동방향 조절수단(223)과,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에 의해 리프팅되는 중량물의 무게를 조절하는 리프팅 중량 조절수단(2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리모콘 또는 입력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중량을 입력하면, 제어부에서 상기 중량 조절수단(224)을 움직여 사용자가 입력한 만큼의 중량물(222)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복수개의 중량물(222)이 들어올려질 시, 상기 이동방향 조절수단(223)이 중량물의 리프팅이 상하방향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한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중량물(222)은 상기 리프팅 중량 조절수단(224)과 마주보는 일측에 형성되는 중량조절 홀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중량 조절수단(224)은 상기 중량조절 홀에 끼워지는 홀 체결 바(224-1)와, 상기 홀 체결 바(224-1)의 길이 및 높이를 조절하는 바 움직임 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중량물 무게를 입력하면 상기 바 움직임 조절장치가 홀 체결 바(224-1)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홀 체결 바(224-1)의 길이를 늘려 홀 체결 바(224-1)가 마주보는 중량물(222)의 중량조절 홀에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바 움직임 조절장치는 홀 체결 바(224-1)의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 이동을 조절 가능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로는 상기 홀 체결 바(224-1)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래크, 상기 래크에 결합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모터로 구성되는 전후방향 이동조절장치와, 상기 전후방향 이동조절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스톤과 실린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하방향 이동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물 이동방향 조절수단(223)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일 실시예로는 상기 중량물(22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바(223-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은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리프팅 롤러(211)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물 조절부(220)는 상기 중량 조절수단(224) 하측에 상기 리프팅 롤러(211)가 위치되는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리프팅 롤러(211) 상측에 리프팅 롤러(211)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하중지지 프레임(22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 조절부(220)는 복수개의 중량물(222) 하측에 위치된 베이스 플레이트(5)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 높이를 조절하는 하중조절 실린더(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장치 사용을 시작하면 상기 하중조절 실린더(6)가 중량물(222)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5)를 상승시켜, 사용자가 착용수단(240)을 착용수단 결합부(23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부하를 줄여줄 하중을 입력하면, 바 움직임 조절장치가 홀 체결 바(224-1)를 선택되는 무게의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는 중량조절 홀에 홀 체결 바(224-1)를 삽입한다.
그리고, 중량조절 홀에 홀 체결 바(224-1)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중조절 실린더(6) 길이가 줄어들고 베이스 플레이트(5)가 하강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무게를 가지는 중량물의 하중이 하중지지 프레임(210)에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중지지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전달되는 중량물의 무게가 길이방향 타측 착용수단 결합부(230)에 착용수단(240)을 통해 결합된 사용자를 들어올리는 힘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하중조절 실린더(6)의 길이조절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베이스 플레이트(5)의 상하방향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하중조절 실린더(6)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가이드 바(7)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는 가장자리가 상기 가이드 바(7)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결합 되는 것을 권장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몸체 110 : 트랙
200 : 하중지지부 210 : 하중지지 프레임
211 : 리프팅 롤러
220 : 중량조절부 221 : 중량물 끼움바
222 : 중량물 223 : 중량물 이동방향 조절수단
224 : 리프팅 중량 조절수단 224-1 : 홀 체결 바
225 : 하중지지 프레임 230 : 착용수단 결합부
240 : 착용수단 250 : 힌지 결합부
300 : 처짐 방지바
400 : 높이조절모듈 410 : 높이조절 롤러
420 : 실린더 브라켓 430 : 높이조절 실린더
200 : 하중지지부 210 : 하중지지 프레임
211 : 리프팅 롤러
220 : 중량조절부 221 : 중량물 끼움바
222 : 중량물 223 : 중량물 이동방향 조절수단
224 : 리프팅 중량 조절수단 224-1 : 홀 체결 바
225 : 하중지지 프레임 230 : 착용수단 결합부
240 : 착용수단 250 : 힌지 결합부
300 : 처짐 방지바
400 : 높이조절모듈 410 : 높이조절 롤러
420 : 실린더 브라켓 430 : 높이조절 실린더
Claims (10)
- 트랙(110)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상기 트랙(110)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 지지부(200)는 상기 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중지지 프레임(210)과,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중량물의 무게 조절이 이루어지는 중량 조절부(220)와,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착용수단 결합부(230);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상기 착용수단 결합부(230)에 체결되는 착용수단(240);을 포함하고,
상기 중량 조절부(220)는 중량물이 끼워지는 중량물 끼움바(221);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수단 결합부(2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착용수단 높이조절모듈(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착용수단 높이조절모듈(400)은 하중지지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일측을 연결하는 하중지지 바(1)에 결합되는 높이조절 롤러(410)와, 상기 몸체(10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브라켓(420)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420)을 회전시켜 상기 실린더 브라켓(420)의 상기 높이조절 롤러(410) 하중지지 유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실린더(430);를 포함하는,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부(200)는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을 상기 몸체(100) 측면에 힌지 결합하는 힌지 결합부(250);를 포함하는,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수단 결합부(230)는 상기 하중지지 프레임(210)과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
- 제 3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착용수단 결합부(230)에 결합되는 처짐 방지바(300);를 포함하는,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6288A KR102689999B1 (ko) | 2022-10-21 | 2022-10-21 |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6288A KR102689999B1 (ko) | 2022-10-21 | 2022-10-21 |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6087A KR20240056087A (ko) | 2024-04-30 |
KR102689999B1 true KR102689999B1 (ko) | 2024-07-29 |
Family
ID=9088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6288A KR102689999B1 (ko) | 2022-10-21 | 2022-10-21 |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999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51988A (zh) | 2012-01-19 | 2012-07-11 | 杨式宁 | 一种外骨骼型台式下肢体康复练习机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9618849U1 (de) * | 1996-10-29 | 1997-11-27 | Woodway AG, Schönenberg | Laufbandeinrichtung |
KR101283250B1 (ko) | 2011-11-22 | 2013-07-11 | 권대규 | 체중부하 감소를 위한 4정점 리프트 제어용 무중력 트레드밀의 보행분석시스템 |
US9498696B1 (en) * | 2014-09-07 | 2016-11-22 | Eli Razon | Body support system for gait training exercise on a treadmill |
KR20200005362A (ko) | 2018-07-06 | 2020-01-15 | 박홍석 | 무중력 트레드밀 |
KR102173809B1 (ko) * | 2018-10-12 | 2020-11-03 | 장용수 | 상하체 운동기구 |
-
2022
- 2022-10-21 KR KR1020220136288A patent/KR1026899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51988A (zh) | 2012-01-19 | 2012-07-11 | 杨式宁 | 一种外骨骼型台式下肢体康复练习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6087A (ko) | 2024-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48071B1 (en) | Walking, rehabilitation and exercise machine | |
US10792209B2 (en) | Wearable assistive device that efficiently delivers assistive force | |
US8313448B2 (en) | Walking assistance device | |
US8114034B2 (en) | Walking assisting device | |
US6080087A (en) | Method and apparatus to exercise developmentally delayed persons | |
EP3539526B1 (en) | Wearable assistive device performing protection operation for drive system | |
US6855098B2 (en) | Low-resistance exercise and rehabilitation chair | |
US8002719B2 (en) | Walking assistance device | |
EP3539527B1 (en) | Controlling position of wearable assistive device depending on operation mode | |
US20050268397A1 (en) | Apparatus for assisting a person to stand and walk | |
CN104203187A (zh) | 站立训练器 | |
CN106137575B (zh) | 一种站立式生活自理车 | |
Mori et al. | Development of a standing style transfer system" ABLE" for disabled lower limbs | |
KR102098959B1 (ko) | 착석형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 |
JP2012115566A (ja) | 下肢屈伸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 |
KR101299351B1 (ko) | 휠체어 결합형 하지 운동/재활훈련 장치 | |
TW200934552A (en) | Exercise assisting system | |
CN113580100A (zh) | 一种被动式负重机动外骨骼 | |
CN106137576A (zh) | 一种新型站立轮椅车 | |
KR102689999B1 (ko) | 중량물을 이용한 무중력 트레드밀 | |
US8485994B1 (en) | Physical therapy system | |
KR101205343B1 (ko) |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 |
KR20200005362A (ko) | 무중력 트레드밀 | |
JP2010246626A (ja) | 起立補助装置 | |
US6045521A (en) | Orthotic apparatus for paraplegic pati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