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2140B1 - 수매통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수매통의 배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2140B1
KR102682140B1 KR1020230146491A KR20230146491A KR102682140B1 KR 102682140 B1 KR102682140 B1 KR 102682140B1 KR 1020230146491 A KR1020230146491 A KR 1020230146491A KR 20230146491 A KR20230146491 A KR 20230146491A KR 102682140 B1 KR102682140 B1 KR 102682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ater
closing slide
contain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동
Original Assignee
정길동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동 filed Critical 정길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2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2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2Ramp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6Devices for loading or unloading and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rollers, conveyors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인 벼를 운반 및 보관하는 벼 수매통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로 쉽게 운반과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매통에 담긴 벼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 량의 곡물이 채워지는 수매통을 구비하되 상기 수매통은 사각 형태의 수매상통과 하측이 중앙으로 모아지는 형태의 수매하통을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매하통에는 측면으로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져 수매통을 들어 올리는 포크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수매하통의 하부에는 격자 형태의 받침틀을 설치하되 상기 받침틀과 수매하통 사이에는 받침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 프레임을 타고 이동하는 개폐 슬라이드를 설치하여 수매하통의 하측을 개폐 슬라이드로 개폐시키게 하고, 상기 개폐 슬라이드에는 받침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매통의 배출장치{Discharging apparatus of grain container}
본 발명은 곡물인 벼를 운반 및 보관하는 벼 수매통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로 쉽게 운반과 이동하고, 수매통을 적층 보관하는 한편 수매통에 담긴 벼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종래에 벼, 콩, 팥 등과 같은 곡물을 담아서 운반 및 일정기간 동안 저장할 때 톤 백(Ton bag)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톤 백은 상부가 개방된 자루 형태를 취하고 있고, 상단 테두리에는 2개 내지 3개의 걸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는 톤 백의 외면을 따라 재봉 되는 띠를 연장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톤 백을 이용하여 곡물을 처리할 때에는 먼저 톤 백 내에 내용물을 채운 후 지게차의 포크를 톤 백의 걸고리에 걸어서 차량 상/하차, 구내운송, 포장기계 등으로 운반하게 된다.
이러한 톤 백은 걸고리를 지게차의 포크에 걸어주고 벗기기 위한 쉽지 않은 작업을 필요로 하고, 톤 백은 마대 원단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여러 번 사용이 어렵고, 톤 백에 곡물을 채운 채로 적층하여 보관하는 경우에는 무너질 수 있는 위험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사각 함체 형태의 수매통을 구비하여 각종 곡물을 채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매통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는 포크홀을 형성함으로써, 곡물이 채워진 수매통을 지게차의 포크를 포크홀에 끼워서 수매통을 들어 올린 후 운반과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상기 수매통은 지게차의 포크에 끼운 채로 지게차의 로테이트 기능을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수매통에 채워진 곡물을 쏟아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된 방식은 수매통에 채워진 곡물을 쏟아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게차의 로테이트 기능을 이용해야 하고, 곡물을 쏟기 위하여 수매통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곡물의 쏟아짐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수매통의 회전 과정에서 균형이 맞지 않게 곡물이 쏟아질 때에는 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문헌1] 특허등록 10-2142047호(2020.08.06. 공고) [문헌2] 특허등록 10-2160901호(2020.09.29. 공고) [문헌3] 특허등록 10-2514927호(2023.03.29. 공고)
본 발명은 톤 백을 대신하는 수매통에 채워진 곡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지게차의 로테이트 기능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한편 수매통의 회전 과정에서 중심이 무너질 우려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매통에 지게차의 포크를 끼워서 운반 및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되 수매통의 하부를 곡물이 중앙으로 모아지는 깔대기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수매통의 저면 배출구는 슬라이드 도어로 개폐시키도록 함으로써, 지게차로 수매통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슬라이드 도어를 조작하여 수매통에 채워진 곡물을 간단히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 량의 곡물이 채워지는 수매통을 구비하되 상기 수매통은 사각 형태의 수매상통과 하측이 중앙으로 모아지는 형태의 수매하통을 상,하로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매하통에는 측면으로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져 수매통을 들어 올리는 포크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수매하통의 하부에는 격자 형태의 받침틀을 설치하되 상기 받침틀과 수매하통 사이에는 11자 형태의 받침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 프레임을 타고 이동하며 절반은 수매하통의 배출구를 막아주는 받침판이 형성되고 나머지 절반은 개방홀로 이루어지는 개폐 슬라이드를 설치하여 수매하통의 하측 배출구를 개폐 슬라이드로 개폐시키게 하고, 상기 개폐 슬라이드에는 받침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매통에 곡물을 채운 후 포크 프레임에 지게차의 포크를 끼워 수매통을 이동시키되 받침 프레임에 설치된 개폐 슬라이드로 수매통의 곡물 배출을 선택하게 되며, 상기 개폐 슬라이드는 고정수단에 의해 개폐 상태를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수매통은 측면과 정면으로 상,하측에 곡물 확인창을 설치하는 한편 수매통의 내부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받치는 보강대를 설치하며, 개폐 슬라이드는 일측으로 이동시 수매하통의 저면을 막아주는 한편 타측으로 이동시에는 수매하통의 저면을 개방시키게 되며, 상기 개폐 슬라이드는 베어링에 받쳐진 상태에서 받침 프레임을 타고 이동하면서 수매하통의 저면 배출구를 개폐시키게 되고, 수매통에 채워진 곡물은 개폐 슬라이드를 이동시켜 수매하통의 저면이 개방되게 할 때 배출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수매통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수매하통의 경사진 부분이 수매상통의 내측으로 끼워지며, 수매하통 저면의 받침틀이 수매상통의 내부로 끼워져 보강대에 받쳐지면서 두 개의 수매통이 적층되게 한다.
본 발명의 고정수단은 수매하통의 저면 배출구를 막아준 상태를 유지할 때 개폐 슬라이드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 개폐 슬라이드의 이동을 원할 때는 고정수단을 해제시켜 개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수매통은 포크 프레임에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한 상태에서 쉽게 운반할 수 있는 것으로, 트럭에 수매통을 실은 상태에서 콤바인 등에 의해 수확된 벼 등의 곡물을 채울 수 있고, 트럭을 이용하여 목적지에 운반한 후에는 지게차의 포크를 포크 프레임에 끼워서 수매통을 쉽게 트럭에서 내릴 수 있으며, 특히, 수매통을 회전시켜 곡물을 배출시키지 않고, 수매통을 들은 상태에서 저면의 개폐 슬라이드를 이동시킴으로써 수매통에 채워진 곡물이 하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수매통 회전시 나타날 수 있는 따른 위험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매통은 수평을 유지한 채로 운반과 이동 및 곡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 방식과 같이 지게차의 로테이트 기능을 이용하여 수매통을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위험을 해소시키는 것으로, 수매통을 수매상통과 수매하통의 결합으로 제작하는 한편 수매상통과 수매하통에 수평 방향의 절곡을 주어, 수매통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수매통의 조립에 있어서, 용접을 하지 않고 육각볼트나 근각볼트를 이용한 체결 방식으로 조립을 할 수 있는 것이어서, 조립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특히, 근각볼트의 접시형 헤드부가 수매통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곡물이 근각볼트의 헤드부로 인하여 정체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매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폐 슬라이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페 슬라이드를 보인 요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개폐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개폐 슬라이드가 수매하통의 저면을 일부 막아준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개폐 슬라이드가 수매하통의 저면을 완전히 막아준 상태에서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는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고정수단의 실시예를 보인 요부 설명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도 7의 측면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받침틀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삿갓을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받침봉 사용 상태를 보인 실시예 평면도
본 발명은 콤바인으로 수확된 벼 등의 곡물을 쉽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지게차의 포크를 끼울 수 있는 포크 프레임이 구비된 수매통의 저면으로 개폐 슬라이드를 설치하여 수매통에 채워진 곡물을 저면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기존의 포크 프레임이 구비된 수매통을 이용하게 되면, 지게차의 로테이트 기능을 이용하여 수매통을 회전시켜 수매통에 채워진 곡물을 배출시킬 때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매통은 지게차를 이용하여 트럭의 적재함에 싣거나, 적재함에서 내려서 이동함에 있어서, 수매통에 채워진 곡물을 배출할 때, 수매통을 기울이거나 뒤집지 않고도 내부에 채워진 곡물을 저면에 설치된 개폐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완전히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각 형태를 갖는 수매상통(10)과 하부가 중앙으로 모아지는 깔대기 형태를 갖는 수매하통(20)을 상하로 결합시켜 수매통(30)을 완성하되 상기 수매하통(20)의 바닥은 곡물 배출이 이루어지게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수매통(30)을 구성하는 수매상통(10)과 수매하통(20)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이 이루어진 철판을 이용하여 조립하는 것으로, 용접을 하지 않고 육각볼트나 근각볼트를 이용한 체결 방식으로 간단히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근각볼트는 헤드부가 접시형태를 갖는 것으로, 수매통(30)의 조립 과정에서 근각볼트의 헤드부가 수매통(30)의 내부에 위치하게 체결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수매통(30)에 채워진 곡물을 배출할 때 근각볼트의 헤드부에 의해 정체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수매상통(10)과 수매하통(20)을 조립하기 위한 측면판과 전면판은 각각 강도 보강을 위하여 수평 방향으로 절곡을 하고, 각각의 결합부위와 수매상통(10) 및 수매하통(20)의 결합부위는 외부로 돌출시켜 맞물리게 하거나, 접어서 밀착시킨 상태에서 근각볼트를 체결하여 고정되게 하며, 상기 수매하통(20)에는 측면으로 관통되는 포크 프레임(40)을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포크 프레임(40)에는 내측으로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게 되고, 상기 포크 프레임(40)은 수매하통(20)의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써, 지게차의 포크를 포크 프레임(40)에 끼울 때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포크 프레임(40)이 끼워지는 부위에는 수매통(30)의 내,외측으로 별도의 보강판을 밀착시켜 고정시켜 포크 프레임(40)이 설치되는 부위에서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는 것을 보강시킴으로써 포크 프레임(40)에 포크를 끼워서 수매통(30)을 들어 올릴 때 수매통(30)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측면판이 찢어지는 경우를 없애도록 한다.
본 발명의 포크 프레임(40)은 수매통(30)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역브이자 형상의 삿갓(50)을 설치하여 곡물의 배출이 이루어질 때 포크 프레임(40)의 상측에 곡물이 적체되지 않고, 완전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에서 수매통(30)의 수매상통(10)과 수매하통(20)에는 내부에 채워진 곡물의 량을 확인할 수 있는 곡물 확인창(11)(21)을 설치하는 한편, 수매상통(10)의 내측에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보강대(15)(25)를 설치하여 수매상통(1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하여 변형이나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보강대(15)(25)는 수매통(30)이 상,하로 적층될 때 받침틀(70)을 받쳐서 수매통(30)의 적층되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수매하통(20)의 저면은 받침틀(70)에 11자 형태로 고정된 받침 프레임(71)의 상측에 받쳐진 상태에서 수매하통(20)의 저면과 받침 프레임(71)의 상측이 육각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받침 프레임(71)에는 내측으로 개폐 슬라이드(60)의 저면을 받치는 베어링(73)을 설치함으로써, 개폐 슬라이드(60)가 베어링(73)을 타고 전,후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개폐 슬라이드(60)의 양측에는 손잡이(61)를 설치하여 양쪽 방향으로 쉽게 당길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받침 프레임(71) 사이에는 개폐 슬라이드(60)를 받치는 받침 베어링(73)을 설치하거나, 받침봉(72)을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개폐 슬라이드(60)의 부드러운 이동을 위해서는 받침 프레임(71) 사이에 설치된 여러 개의 받침 베어링(73)에 받쳐지게 하는 것이 좋으나, 수매하통(20)의 저면에만 받침 베어링(73)을 설치하고, 그 외측으로 받침봉(72)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받침봉(72) 또는 받침 베어링(73)에 받쳐진 채로 이동하는 개폐 슬라이드(60)는 한 쪽은 수매하통(20)의 저면에 형성된 곡물 배출구를 막아주는 받침판(62)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쪽은 수매하통(20)의 하부를 막아주지 않는 개방홀(63)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손잡이(61)를 잡고 개폐 슬라이드(60)를 슬라이드시켜 받침판(62)이 수매하통(20)의 저면 배출구에 위치되게 하면 곡물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고, 반대로 개방홀(63)이 수매하통(20)의 저면 배출구에 위치되게 하면 곡물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개폐 슬라이드(60)는 바닥이 양분되어 받침판(62)과 개방홀(63)로 이루어지게 되고, 개폐 슬라이드(60)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곡물이 배출되게 하거나, 곡물 배출을 차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개폐 슬라이드(60)는 고정수단에 의해 슬라이드가 이루어지게 하거나 슬라이드가 이루어지지 않게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수단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81)를 회동시켜 스프링(82)의 탄성력을 받는 누름구(83)가 개폐 슬라이드(60)의 상부를 압착하며 눌러주게 함으로써 개폐 슬라이드(60)의 슬라이드 움직임을 고정시키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림 방지용 스프링(91)에 탄지되고, 받침 프레임(71)에 용접으로 고정된 너트(94)에 끼워진 고정볼트(92)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볼트(92)의 선단이 개폐 슬라이드(60)의 상부를 압착되게 눌러서 슬라이드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수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81)를 도면의 우측으로 회동시키면 스프링(82)의 탄성력을 받게 되면서 누름구(83)가 개폐 슬라이드(60)의 상부를 압착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레버(81)를 도면의 좌측으로 회동시키면 스프링(82)의 탄성력이 일부만 작용하여 누름구(83)가 개폐 슬라이드(60)를 약한 힘으로 눌러주기 때문에 좌우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고정볼트(92)는 받침 프레임(71)에 용접으로 고정된 너트(94)에 끼워진 상태에서 풀림 방지용 스프링(91)에 탄지되는 고정볼트(92)를 좌,우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볼트(92)가 개폐 슬라이드(60)의 상부를 압착하여 슬라이드를 고정시키거나 압착을 해제하여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수단의 누름구(83)나 고정볼트(92)의 선단은 개폐 슬라이드(60)의 상면을 하측으로 압착시켜 고정시킬 때 받침봉(72) 또는 받침 베어링(73)의 상부에서 밀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누름구(83)나 고정볼트(92)가 개폐 슬라이드(60)의 측면 상측을 하부 방향으로 압착시킬 때 받침봉(72)이나 받침 베어링(73)에 의해 개폐 슬라이드(60)가 하부로 밀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개폐 슬라이드(6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받침봉(72) 또는 받침 베어링(73)에 받쳐지기 때문에 손잡이(61)를 잡고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나, 수매통(30)에 채워진 곡물이 배출되지 않게 하는 경우에는 개폐 슬라이드(60)의 받침판(62)이 수매하통(20)의 저면 배출구를 막아준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수매하통(20)의 저면 배출구를 개방하여 곡물을 배출시킬 때는 고정수단을 해제하여 개폐 슬라이드(60)의 개방홀(63)을 통하여 곡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개폐 슬라이드(60)를 이동시켜 받침판(62)이 수매하통(20)의 저면 배출구를 막아주고 있는 상태에서는 받침판(62)에 가해지는 무게로 인하여 받침판(62)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 프레임(71) 사이의 중앙에 고정 프레임(74)을 설치한 후 상기 고정 프레임(74)의 측면으로 베어링(75)을 설치하되 상기 베어링(75)이 받침판(62)의 중앙을 받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폐 슬라이드(60)가 곡물의 무게로 인하여 하부로 쳐지는 현상을 베어링(75)으로 방지하게 되며, 이러한 고정 프레임(74)에 받쳐지는 베어링(75)으로 받침판(63)을 받치는 구성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포크 프레임(40)의 내측으로 지게차의 포크를 끼워서 수매통(30)을 트럭의 적재함에 싣거나 내리는 한편 가까운 거리는 운반 이동시키게 되는 것으로, 빈 수매통(30)을 트럭의 적재함에 실은 후 벼의 수확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이동한 다음 콤바인으로 수확한 벼를 수매통(30)에 채우게 된다.
이때, 수매통(30)의 개폐 슬라이드(60)를 이동시켜 받침판(62)이 수매하통(20)의 저면 배출구를 막아준 형태가 되게 한 후 고정수단인 고정볼트(92)로 고정되게 하거나, 레버(81)를 눌러 누름구(83)가 개폐 슬라이드(6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매통(30)에 채워진 곡물은 개폐 슬라이드(60)의 받침판(62)에 받쳐져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매통(30)은 통상 1톤 트럭의 적재함에 두 개를 실을 수 있으며, 기존과 같이 톤 백을 사용하지 않아, 톤 백에 벼를 담기 어려운 문제와 이동 및 적층의 어려움을 없애게 된다.
본 발명은 트럭에 적재된 수매통(30)을 벼를 베는 현장으로 이동시킨 후 콤바인에 모아진 벼를 수배통(30)에 채우며, 이 과정에서 수매통(30)의 상부가 항시 개방된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기존의 톤 백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콤바인의 벼를 쉽게 채울 수 있다.
수매통에 벼가 채워지게 되면, 트럭을 이용하여 RPC(미곡종합 처리장: Rice Processing Complex)로 이동하게 되고, RPC에서는 지게차를 운전하여 포크가 포크 프레임(40)에 끼워지게 한 상에서 수매통(30)을 적재함에서 내리게 되고, 지게차로 들려진 수매통(30)은 바닥에 설치되는 입구로 이동시킨 후 고정수단을 해제한 다음 손잡이(61)를 이용하여 개폐 슬라이드(60)를 슬라이딩 시켜 개방홀(63)을 수매하통(20)의 저면으로 서서히 이동시켜 수매통(30)에 채워진 벼가 개폐 슬라이드(60)의 개방홀(63)을 통하여 배출되게 하며, 개폐 슬라이드(60)의 개방홀(63)이 수매하통(20)의 저면 배출구에 위치되면 수매통(30)의 벼는 완전히 배출되어 RPC의 벼 보관장소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수매통(30)은 벼를 배출할 때 기존 방식과 같이 벼가 투입되는 입구로 벼가 배출되게 수매통을 뒤집는 형태로 회전시키지 않고, 개폐 슬라이드(60)를 이동시킴에 따라 간단히 벼를 배출시킬 수 있으며, 수매하통(20)이 중앙을 향하여 경사진 깔대기 형태를 갖기 때문에 벼가 정체되지 않고 완전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수매통(30)의 벼가 완전 배출되면, 다시 개폐 슬라이드(60)를 슬라이딩시켜 받침판(62)이 수매하통(20)의 저면 배출구를 막아준 상태가 되게 한 후 고정수단인 고정볼트(92)를 돌려 고정되게 하거나, 레버(81)를 눌러 누름구(83)가 개폐 슬라이드(60)가 움직이지 않도록 밀착되게 한 다음 지게차로 수매통(30)을 트럭의 적재함에 실어준 후 지게차의 포크를 포크 프레임(40)에 빼내게 되면 작업이 완료된다.
보통 트럭 1대에 두 개의 수매통(30) 적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두 번에 걸친 수매통(30)의 벼 배출이 이루어진 후에는 다시 빈 수매통(30)을 트럭에 싣고 벼 수확 장소로 이동한 다음 새로이 수확된 벼를 수매통(30)에 채워서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벼가 채워진 수매통(30)을 RPC에 내려놓은 후 새로운 수매통(30)을 실고, 벼를 채울 수 있으며, 어떤 형태이든지 관계없이 수매통(30)을 이용하여 수확된 벼를 담아 운반 이동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벼가 채워진 수매통(30)을 보관하거나, 벼를 배출한 빈 수매통(30)을 보관할 수 있으며, 빈 수매통(30)은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수매통(30)의 상측에 수매통(30)을 보관할 때 받침틀(70)이 하부에 위치한 수매하통(20)이 수매상통(10)의 내부에 설치된 보강대(15)(25)에 받쳐지게 함으로써, 수매통(30)은 상,하로 서로 적층된 상태로의 보관이 가능하다.
10 : 수매상통 20 : 수매하통
30 : 수매통 40 : 포크 프레임
60 : 개폐 슬라이드 62 : 받침판
63 : 개방홀 70 : 받침틀
71 : 받침 프레임 72 : 받침봉
73 : 받침 베어링 81 : 레버
82 : 스프링 83 : 누름봉
92 : 고정볼트

Claims (4)

  1. 일정 량의 곡물이 채워지는 수매통(30)을 구비하되 상기 수매통(30)은 사각 형태의 수매상통(10)과 하측이 중앙으로 모아지는 형태의 수매하통(20)을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매하통(20)에는 측면으로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져 수매통(30)을 들어 올리는 포크 프레임(40)을 설치하되 수매통(30)을 관통하여 형성하고,
    상기 수매하통(20)의 하측에는 격자 형태의 받침틀(70)을 설치하되 상기 받침틀(70)에는 수매하통(20)의 저면으로 11자 형태의 받침 프레임(71)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 프레임(71)을 타고 이동하는 개폐 슬라이드(60)를 설치하여 수매하통(20)의 저면 배출구를 개폐 슬라이드(60)로 개폐시키게 하되 상기 개폐 슬라이드(60)는 받침 프레임(71)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봉(72)이나 받침 베어링(73)에 양측 저면이 받쳐지며 슬라이드 되게 하고,
    상기 개폐 슬라이드(60)는 양쪽으로 손잡이(61)를 형성하여 받침봉(72)이나 받침 베어링(73)에 받쳐진 개폐 슬라이드(60)를 양쪽에서 당기게 하고,
    상기 개폐 슬라이드(60)는 바닥을 양분하여 받침판(62)과 개방홀(63)을 형성시키되 개폐 슬라이드(60)의 받침판(62)이나 개방홀(63)을 수매하통(20)의 배출구에 위치시킴에 따라 곡물 배출을 선택하고,
    상기 개폐 슬라이드(60)에는 받침 프레임(71)에서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매통의 배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개폐 슬라이드(60)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은 레버(81)를 회동시켜 스프링(82)의 탄성력을 받는 누름구(83)가 개폐 슬라이드(60)의 상면을 압착하여 고정시키거나, 스프링(91)에 탄지된 고정볼트(92)를 회전시켜 개폐 슬라이드(60)의 상면을 압착시켜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고정수단의 누름구(83)나 고정볼트(92)의 선단은 개폐 슬라이드(60)를 압착시킬 때 받침봉(72)이나 받침 베어링(73)의 상부에서 압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매통의 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수매통(30)에는 내부 곡물의 잔량을 확인하는 곡물 확인창(11)(21)을 설치하는 한편 수매통(30)의 내부에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보강대(15)(25)를 설치하며, 수매통(30)의 받침틀(70)이 수매통(30)의 보강대(15)(25)에 받쳐지는 형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매통의 배출장치.
KR1020230146491A 2023-10-30 수매통의 배출장치 KR102682140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2140B1 true KR102682140B1 (ko) 2024-07-08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6830B2 (ja) * 1996-08-23 2005-05-11 ゼオン化成株式会社 粒状物用折り畳み式コンテ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6830B2 (ja) * 1996-08-23 2005-05-11 ゼオン化成株式会社 粒状物用折り畳み式コンテ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4338B2 (en) Bulk material shipping container unloader
US5803296A (en) Collapsible, stackable, hard-sided container
US4726616A (en) Dumpster-type trash container
EP2785616B1 (en) Container system comprising a "big bag", a support and a rope
US8529160B2 (en) Bulk abrasive hopper
WO2007061310A1 (en) Container
US20070206886A1 (en) Large capacity waste disposal bag
US5531360A (en) Metering pallet
US9067524B2 (en) Container having a downwardly pivotable ramp wall, and method
US6390675B1 (en) Bag
US6955520B2 (en) Refuse collection vehicle and method with stackable refuse storage container
AU2005201608A1 (en) Portable tilting container loader
KR102682140B1 (ko) 수매통의 배출장치
US9481513B2 (en) Waste container
AU2013391422B2 (en) Improved container construction and method
KR101199565B1 (ko) 수거용기 하역장치가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US6276829B1 (en) Transport bag
WO20020403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ackaging cocoa beans and such natural products
US20050100248A1 (en) Easy-to-transport sack
US20040045963A1 (en) Device and method for packaging transporting and storing products, in particular bulk goods
DE102019001802A1 (de) Hubeinheit zum Heben und Kippen eines Behälters, mit wenigstens einer Hubeinheit ausgestattete Kippstation oder mit einer Hubeinheit ausgestatteter Behälter und Verfahren zum Kippen eines Behälters, der mit wenigstens einer Hubeinheit ausgestattet ist
KR20210002645U (ko) 벼톤통
US2978139A (en) Leakproof sump-type containers
GB2078683A (en) Stackable and Nestable Container for Handling Loose Materials
NZ264606A (en) Bulk storage of fluid; frame supports plastics material silo with a hopper at the bottom with a gate valve, frames stackable one on an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