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2090B1 - 자동 약물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약물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2090B1
KR102682090B1 KR1020230044957A KR20230044957A KR102682090B1 KR 102682090 B1 KR102682090 B1 KR 102682090B1 KR 1020230044957 A KR1020230044957 A KR 1020230044957A KR 20230044957 A KR20230044957 A KR 20230044957A KR 102682090 B1 KR102682090 B1 KR 102682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drug
flexible element
housing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호
박성준
황인호
김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엘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2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2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61M2005/202Having specific accessories cocking means, e.g. to bias the main drive spring of an inj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Abstract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튜브형 하우징; 약물을 저장하는 약물 저장부와 피부를 침습하여 약물 저장부에 저장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주사 바늘을 구비하며 튜브형 하우징에 고정된 약물 용기; 튜브형 하우징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초기 위치에서 근위 단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활성화 부재; 활성화 부재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 약물 용기 내로 슬라이드하며 약물을 가압하는 플런저; 활성화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플런저를 락킹하며, 활성화 부재의 이동에 의해 플런저를 활성화 시키는 트리거 하우징; 플런저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 및 근위 단부가 트리거 하우징에 결합되며, 원위 단부는 반경 방향 이동이 가능한 판 요소;를 포함하고, 트리거 하우징은 근위 단부가 자유단으로 반경 방향 이동하며 판 요소를 미는 가요성 요소를 구비하고, 가요성 요소는 플런저가 활성화 되어 플런저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할 때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며, 플런저의 이동이 종료된 후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며, 판 요소는 가요성 요소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트리거 하우징의 외주면과 부딪혀 약물 종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약물 주입 장치{AUTO-INJECTOR}
실시예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과 같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병이나, 알러지 환자의 과민성 쇼크와 같이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한 급성 발작의 경우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사용자가 스스로 주사액을 주입할 수 있는 자가 주사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휴대하고 다니다가 조건에 맞는 주사 주입 위치에 찔러넣으면 자동으로 바늘이 근육으로 삽입되고, 주사액이 스프링 등의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주입될 수 있는 펜 니들 형태의 오토 인젝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오토 인젝터의 경우, 약물의 주입 시작 여부나 약물의 주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약물 주입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뽑아내었을 때, 오토 인젝터의 바늘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사액의 주입이 완료된 후 주사 바늘을 락킹하는 구조나, 주사액의 주입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피드백 구조를 가지는 오토 인젝터가 다수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9765호에는 자동 피드백 기구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1)는 근위 단부(3a) 쪽으로 바이어스되도록 배치된 플런저 로드(11)와, 플런저(13)와, 기단 방향에서 플런저 로드(11)를 바이어스시키도록 배치되며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는 제 1 탄성 부재, 즉 에너지 축적 부재(15)와, 기단 방향에서 약물 전달 부재 커버(7)를 바이어스시키도록 배치된 제 2 탄성 부재 또는 에너지 축적 부재(9)와, 플런저 로드(11) 및 제 1 에너지 축적 부재(15)를 수용하도록 배치된 관형 회전자(17)와, 하우징(3)에 대해 축방향으로 및 회전방향으로 고정된 관형 연장 부재(5)와, 후방 단부 캡(7)의 일부분 및 플런저 로드(11)를 수용하도록 배치되며 하기에서 관형 회전자(17)라고 불리는 관형 작동 부재(17)와, 제 1 에너지 축적 부재(15)를 수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로드(19)와, 이후에 "U-브래킷"이라 불려지는 U-형상 브래킷으로 이후에 예시되는 신호 발생 부재(21)를 더 포함한다. 예시된 약물 전달 장치(1)는 약물 용기 홀더(23) 및 니들(25a)이 제공된 약물 용기(25)를 더 포함한다. 플런저(13)는 플런저 로드(11)의 선형 변위에 의해 약물 용기(25) 내를 주행하여, 니들(25a)을 통해 약물을 방출하도록 배치된다.
플런저 로드(11), 관형 연장 부재(5), 관형 작동 부재(17), 에너지 축적 부재(15) 및 신호 발생 부재(21)는 약물 전달 장치(1)에 대한 자동 피드백 기구(12) 또는 단순히 피드백 기구를 형성한다. 피드백 기구(12)는 사용자에게 약물 용기(25)로부터의 약물의 방출의 시작을 알리도록 배치된다.
사용하기 전에, 플런저 로드는 초기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치된다. 약물 전달 장치가 작동될 때, 즉 사용자가 약물 전달을 개시할 때, 플런저 로드는 초기 위치로부터 해제되고, 에너지 축적 부재에 의해 기단 방향으로 가압된다. 플런저 로드가 약물 방출의 개시를 위해 필요한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변위되면, 플런저 로드의 제 1 섹션과 신호 발생 부재 사이의 접촉이 중단될 것이다. 따라서, 플런저 로드와 신호 발생 부재는, 플런저 로드의 초기 위치에서의 제 1 섹션 및 신호 발생 부재의 축방향 중첩이 상기 거리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제 1 섹션은 약물 방출의 개시를 위해 필요한 거리에 대응하는 플런저 로드 거리의 축방향 변위 동안에 신호 발생 부재만을 지지한다. 플런저 로드가 이러한 거리에 대응하는 양만큼 변위되면, 신호 발생 부재는 그 반경방향으로 바이어스되지 않은 상태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질 것이다. 이에 의해, 신호 발생 부재는 관형 연장 부재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따라서, 제 1 에너지 축적 부재에 의해 원위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신호 발생 부재는 관형 연장 부재에 의해 더 이상 유지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관형 연장 부재의 원위 내부 표면을 향하여 던져질 것이다. 이로 인해 "클릭(click)" 소리가 들리며, 또한 사용자에게 촉감을 준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경우, 락킹을 해제하고 플런저 로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부재와, 약물의 주입이 종료된 후 약물 용기 홀더를 락킹하기 위한 부재, 피드백을 발생하기 위한 부재를 각각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수를 절감하고 조립이 용이하면서, 락킹과 피드백이 가능한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050273054A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8294호
실시예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수를 절감하고 조립이 용이하면서, 약물 주입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피드백이 가능한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튜브형 하우징; 약물을 저장하는 약물 저장부와 피부를 침습하여 약물 저장부에 저장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주사 바늘을 구비하며 튜브형 하우징에 고정된 약물 용기; 튜브형 하우징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초기 위치에서 근위 단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활성화 부재; 활성화 부재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 약물 용기 내로 슬라이드하며 약물을 가압하는 플런저; 활성화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플런저를 락킹하며, 활성화 부재의 이동에 의해 플런저를 활성화 시키는 트리거 하우징; 플런저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 및 근위 단부가 트리거 하우징에 결합되며, 원위 단부는 반경 방향 이동이 가능한 판 요소;를 포함하고, 트리거 하우징은 근위 단부가 자유단으로 반경 방향 이동하며 판 요소를 미는 가요성 요소를 구비하고, 가요성 요소는 플런저가 활성화 되어 플런저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할 때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며, 플런저의 이동이 종료된 후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며, 판 요소는 가요성 요소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트리거 하우징의 외주면과 부딪혀 약물 종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플런저는 플런저 로드 및 플런저 로드와 반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플런저 파이프를 구비하고, 플런저 파이프는 홀, 요홈부 또는 돌출부와 같은 하나 이상의 형상 요소를 구비하고, 가요성 요소는 형상 요소와 접촉하는 내측 돌기를 구비하며, 형상 요소의 이동에 의해 가요성 요소가 반경 방향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플런저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요성 요소의 돌기는 홀을 빠져나와 플런저 파이프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약물 주입 완료 시 플런저 파이프의 원위 단부가 가요성 요소의 돌기보다 더 기단 방향에 위치하면서 가요성 요소의 돌기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플런저 로드는 외주를 따라 돌출된 환형 지지부를 구비하며, 플런저 로드의 환형 지지부와 플런저 파이프가 강제 압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판 요소는 가요성 요소보다 외측에 설치되며, 가요성 요소의 근위 단부 외측면에는 판 요소와 접촉하며 판 요소를 밀어주는 외측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판 요소의 원위 단부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제공하는 약물 주입 장치는 부품수를 절감하고 구조를 단순하면서, 시각적, 촉각적,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작동 전 각 부품들의 초기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트리거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안전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피드백 요소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피드백 요소의 약물 종료음 발생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하며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근위 단부"는 약물 방출이 제공될 수 있는 약물 전달 장치의 그 단부를 지칭한다. 따라서, 이는 주사 또는 방출 부위를 향해 뾰족해지는 약물 전달 장치의 그 단부이다. 이러한 정의는 또한, 약물 전달 장치의 임의의 내부 또는 외부 구성요소까지 확장하는데, 즉, 임의의 구성요소의 근위 단부는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단부에 가장 가까운 단부이다. "원위 단부"는 근위 단부에 대해 반대쪽 단부이다.
"기단 방향"이란 약물 전달 장치의 중심축을 따라 원위 단부로부터 근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원위 방향"이란 "기단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초기 위치"란 사용자가 사용하기 전 부품들의 위치로, 조립을 완료했을 때 각 부품들의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튜브형"이라는 말은 전체적으로 튜브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튜브 또는 원통의 일부에 슬릿, 홀, 홈, 절개부 등이 형성되거나, 돌기, 돌출부, 플랜지 형상을 포함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작동 전 각 부품들의 초기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트리거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안전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튜브형 하우징(100) 내에 약물을 저장하는 약물 저장부(710)와 피부를 침습하여 약물 저장부(710)에 저장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주사 바늘(720)을 구비하는 약물 용기가 약물 홀더(7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튜브형 하우징(100) 내에서 약물 용기의 근위 측에는 활성화 부재(200)와 활성화 부재(200)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300)가 설치되고, 약물 용기의 원위 측에는 약물을 가압하는 플런저(400)와 플런저(400)를 비활성화하고 있다가 활성화 부재(200)의 이동에 의해 활성화시키는 트리거 모듈(420, 500, 600, 800)이 설치된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튜브형 하우징(100)을 구비하고, 튜브형 하우징(100)의 근위 단부 측에는 내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 활성화 부재(200)와, 활성화 부재(200)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300)를 포함한다. 튜브형 하우징(100)의 원위 단부는 원위 캡(120)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근위 단부는 근위 캡(110)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활성화 부재(200)의 근위 단부(210)는 약물 주입 전 튜브형 하우징(100)의 근위 단부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데, 의도치 않게 활성화 부재(200)가 눌려 플런저(400)가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근위 캡(110)이 활성화 부재(200)를 이동하지 않도록 감싸며 튜브형 하우징(100)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약물을 주입하고자 할 때 근위 캡(110)을 제거하고 활성화 부재(200)를 원하는 위치에 대고 누르면 자동 약물 주입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튜브형 하우징(100)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는 원위 캡(120)은 후술할 트리거 모듈(420, 500, 600, 800)이 트리거 해제 후 튜브형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초기 상태에서 플런저(400)는 트리거 모듈(420, 500, 600, 700)에 의해 락킹되어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활성화 부재(200)의 이동에 의해 트리거 모듈(420, 500, 600, 700)의 트리거가 해제되면 플런저(400)가 활성화되어 약물 저장부(710) 내에서 슬라이드 하며 약물을 가압한다.
튜브형 하우징(100) 내에서 원위 단부(120) 근처에는 트리거 모듈(420, 500, 600, 800)이 설치되며, 트리거 모듈은 트리거 하우징(500)과, 트리거 하우징(500)에는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400)와, 트리거 하우징(500)과 플런저(400) 사이에서 압축 설치되는 제2 탄성 부재(600)와, 플런저(400)가 트리거 하우징(500)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안전핀 모듈(800)로 이루어진다.
제2 탄성 부재(600)의 근위 단부는 플런저(400)에 지지되고, 원위 단부는 트리거 하우징(500)에 의해 지지되며, 플런저(400)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제2 탄성 부재(600)는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다.
활성화 부재(200)가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트리거 모듈의 트리거를 해제하기 전까지 플런저(400)는 제2 탄성 부재(600)의 압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도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락킹이 이루어져 있다.
활성화 부재(200)는 근위 단부(210)는 튜브형으로 근위 단부(210)의 말단에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한다. 접촉면의 중앙에는 홀이 구비되어 활성화 부재(200)의 후퇴 시에 주사 바늘(720)이 홀을 통해 노출된다.
활성화 부재(200)는 근위 단부(210)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활성화 암(220)를 더 포함한다. 활성화 암(220)은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안전핀 모듈(800)을 원위 방향으로 밀어내어 트리거 모듈(420, 500, 600, 800)의 락킹을 해제하고 플런저(400)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활성화 부재(220)의 원위 방향에 활성화 슬리브(250)를 추가로 구비하고, 활성화 암(220)이 활성화 슬리브(250)를 밀고, 활성화 슬리브(250)가 안전핀 모듈(800)을 밀어내는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활성화 슬리브(250)를 생략하고 활성화 암(220)이 직접 안전핀 모듈(800)을 밀어내는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플런저(400)는 약물 용기(710) 내로 슬라이드 하며 약액을 주입하하는 플런저 로드(410)와, 플런저 로드(410)의 원위 단부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트리거 암(420), 플런저 로드(410)와 간격을 두고 플런저 파이프(430)를 구비한다. 플런저 로드(410)의 근위 단부 부근에는 상기한 제2 탄성 부재(600)를 지지하기 위한 환형 지지부(412)가 형성되며, 환형 지지부(412)가 플런저 파이프(430)에 압입되어 결합한다. 복수 개의 트리거 암(420)은 플런저 로드(410)의 원위 단부의 외주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트리거 암(420)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간격 내로는 후술할 안전핀 모듈(800)의 안전핀(830)이 삽입된다. 트리거 암(420)의 원위 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트리거 돌기(422)가 형성된다. 또한, 후술할 약물 저장부(710)에 삽입되어 플런저(400)가 이동할 때 약물이 누액되지 않고 주사 바늘(720)을 통해 주입되도록 패킹하는 패킹부(440)가 플런저 로드(410)의 근위 단부에 설치된다.
트리거 하우징(500)는 튜브형의 몸체(502)를 구비하며, 원위 단부측에 몸체(502)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의 걸림턱(520)이 형성된다. 걸림턱(520) 가운데의 중공을 통해 트리거 암(420)의 원위 단부가 트리거 하우징(500)을 관통한다.
안전핀 모듈(800)은 튜브형 하우징(100)의 원위 단부에 결합된다. 안전핀 모듈(800)은 튜브형 몸체(810), 튜브형 몸체(810)의 원위 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부(820) 및 헤드부(820)로부터 기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트리거 암(420)들 사이 간격으로 삽입되는 안전핀(830)을 구비한다.
트리거 하우징(500)는 튜브형 하우징(100)에 고정된 상태로, 트리거 하우징(500)의 원위 단부는 안전핀 모듈(800) 내, 즉, 튜브형 몸체(810) 내에 위치한다.
트리거 암(420)의 트리거 돌기(422)는 안전핀(830)이 삽입되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트리거 하우징(500)의 걸림턱(520)과 락킹이 이루어진다. 안전핀 모듈(800)의 안전핀(830)이 트리거 암(420)들 사이의 공동으로부터 제거되지 않는 한 트리거 하우징(500)와 트리거 암(420)의 락킹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때, 트리거 암(420)은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안전핀(830)이 트리거 암(420)들의 중간으로 삽입되지 않은 경우, 트리거 돌기(422)의 돌출 반경이 트리거 하우징(500)의 걸림턱(520) 내주면 지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안전핀(830)이 제거되면, 트리거 암(420)이 원 위치로 이동하면서 걸림턱(520)과 트리거 돌기(422)의 락킹이 쉽게 해제된다.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활성화 부재(200)가 초기 위치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면 안전핀 모듈(800)은 트리거 모듈을 락킹하는 제1 위치에서 트리거 모듈의 트리거를 해제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한다.
튜브형 하우징(100)에는 약물을 저장하는 약물 저장부(710)와 약물 저장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사 바늘(720)을 구비하는 약물 용기(700)가 설치된다. 약물 용기(700)는, 활성화 부재(200)나 플런저(400)의 이동과 무관하게 튜브형 하우징(100)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플런저(400)의 근위 단부는 약물 저장부(710) 내에 소정 깊이 삽입된 상태로 조립되어, 제2 탄성 부재(600)가 플런저(400)를 가압할 때 약물 저장부(710) 내에서 플런저(400)가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약물이 주사 바늘(720)을 통해 사용자의 체내로 주입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피드백 요소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트리거 하우징(500)에는 약물 종료음을 생성하는 피드백 발생부품인 판 요소(900)가 결합된다. 트리거 하우징(500)의 근위 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530)가 구비되며, 판 요소(900)의 근위 단부는 트리거 하우징(500)의 플랜지부(530)에 고정되는 고정단(910)이다. 판 요소(900)의 고정단(910)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자유단(920)은 트리거 하우징(500)의 플랜지부(530)를 관통하며,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가능하다. 자유단(920)은 후술할 트리거 하우징(500)의 가요성 요소(510)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면서 신호음을 발생시킨다.
자유단(920)는 고정단(910)으로부터 절곡 형성된 근위부(922)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는 경사부(924), 트리거 하우징(500)의 몸체(502)의 외주면에 접하는 원위부(926)를 구비한다.
트리거 하우징(500)은 트리거 몸체(502)와 원위 단부가 연결되며, 근위 단부는 자유단인 가요성 요소(510)를 구비한다. 가요성 요소(510)는 근위 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 돌기(512)와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돌기(514)를 구비한다.
플런저 파이프(430)는 초기 위치에서 가요성 요소(510)의 내측 돌기(512)가 삽입되는 홀(432)을 구비한다. 가요성 요소(510)의 내측 돌기(512)가 홀(432)에 삽입되어 있을 때, 외측 돌기(514)와 판 요소(900)의 근위부(922)가 접하며, 원위부(926)와 트리거 몸체(502)가 접하고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피드백 요소의 약물 종료음 발생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플런저의 트리거가 해제되면, 플런저 로드(410)와 플런저 파이프(430)는 모두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가요성 요소(510)의 내측 돌기(512)는 홀(432)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플런저 파이프(430)와 가요성 요소(510)의 내측 돌기(512)가 접하면서, 가요성 요소(510)의 근위 단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요성 요소(510)의 외측 돌기(514)와 접하는 판 요소(900)의 근위부(922)가 접하고 있기 때문에, 판 요소(900)의 자유단(920) 전체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도면 상에서 파란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가 플런저가 약물 저장부(710) 내에서 슬라이드하며 약물 주입 중인 때, 즉 가요성 요소(510)의 내측 돌기(512)와 플런저 파이프(430)의 외주면이 접촉하고 있을 때의 모습이다.
플런저가 기단 방향으로 최종 위치까지 이동하면, 플런저 파이프(430)의 원위 단부가 가요성 요소(510)의 내측 돌기(512)보다 더 기단 방향에 위치하게 되면서 플런저 파이프(430)와 가요성 요소(510)의 내측 돌기(512)가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가요성 요소(510)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며 다시 원 위치로 복원된다. 한편, 가요성 요소(510)의 외측 돌기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난 판 요소(900)의 자유단(920)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원위부(926)가 트리거 몸체(502)와 부딪히면서 타격음을 발생시킨다. 이 타격음은 약물 주입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청각적 피드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플런저 파이프(430)에 홀(432)이 형성되고, 초기 위치에서 가요성 요소(510)의 내측 돌기(512)가 홀(432) 내에 삽입된 형태이나, 플런저 파이프에 홀(432)이 아니라 홈이 구비될 수도 있고, 플런저 파이프(430)의 원위 단부에 돌기를 구비하여 약물 종료 시에 판 요소(900)를 이용한 청각적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즉, 플런저 파이프(430)는 형상 요소를 구비하고, 가요성 요소(510)가 플런저 파이프(430)의 형상 요소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하며, 가요성 요소(510)의 반경 방향 이동에 의해 판 요소(900)가 트리거 하우징(500)의 몸체(502)와 부딪히며 신호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Claims (6)

  1. 외관을 형성하는 튜브형 하우징;
    약물을 저장하는 약물 저장부와 피부를 침습하여 약물 저장부에 저장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주사 바늘을 구비하며 튜브형 하우징에 고정된 약물 용기;
    튜브형 하우징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초기 위치에서 근위 단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활성화 부재;
    활성화 부재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 부재;
    약물 용기 내로 슬라이드하며 약물을 가압하는 플런저;
    활성화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플런저를 락킹하며, 활성화 부재의 이동에 의해 플런저를 활성화 시키는 트리거 하우징;
    플런저를 기단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 및
    근위 단부가 트리거 하우징에 결합되며, 원위 단부는 반경 방향 이동이 가능한 판 요소;를 포함하고,
    트리거 하우징은 근위 단부가 자유단으로 반경 방향 이동하며 판 요소를 미는 가요성 요소를 구비하고,
    가요성 요소는 플런저가 활성화 되어 플런저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할 때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며, 플런저의 이동이 종료된 후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며,
    판 요소는 가요성 요소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트리거 하우징의 외주면과 부딪혀 약물 종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플런저는 플런저 로드 및 플런저 로드와 간격을 두고 반경 방향 외측에 결합되는 플런저 파이프를 구비하고,
    플런저 파이프는 홀, 요홈부 또는 돌출부와 같은 하나 이상의 형상 요소를 구비하고,
    가요성 요소는 형상 요소와 접촉하는 내측 돌기를 구비하며,
    형상 요소의 이동에 의해 가요성 요소가 반경 방향 외측 및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플런저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요성 요소의 돌기는 홀을 빠져나와 플런저 파이프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약물 주입 완료 시 플런저 파이프의 원위 단부가 가요성 요소의 돌기보다 더 기단 방향에 위치하면서 가요성 요소의 돌기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플런저 로드는 외주를 따라 돌출된 환형 지지부를 구비하며,
    플런저 로드의 환형 지지부와 플런저 파이프가 강제 압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판 요소는 가요성 요소보다 외측에 설치되며,
    가요성 요소의 근위 단부 외측면에는 판 요소와 접촉하며 판 요소를 밀어주는 외측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판 요소의 원위 단부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KR1020230044957A 2023-04-05 자동 약물 주입 장치 KR102682090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2090B1 true KR102682090B1 (ko) 2024-07-05

Family

I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580B1 (ko) 2010-03-31 2017-04-10 에스에이치엘 그룹 에이비 약물 주입 장치
JP6166322B2 (ja) 2015-10-02 2017-07-19 ベクトン ディキンソン フランス 注射完了を知らせる可聴指摘音発生型可聴式自動注射器具
US20180214637A1 (en) 2015-06-03 2018-08-02 Sanofi-Aventis Deutschland Gnbh Drug delivery device
JP2019524237A (ja) 2016-07-14 2019-09-05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薬物送達デバイスの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機構
CN113209422A (zh) 2021-05-20 2021-08-06 宁波睿爱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具有声音提示功能的注射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580B1 (ko) 2010-03-31 2017-04-10 에스에이치엘 그룹 에이비 약물 주입 장치
US20180214637A1 (en) 2015-06-03 2018-08-02 Sanofi-Aventis Deutschland Gnbh Drug delivery device
JP6166322B2 (ja) 2015-10-02 2017-07-19 ベクトン ディキンソン フランス 注射完了を知らせる可聴指摘音発生型可聴式自動注射器具
JP2019524237A (ja) 2016-07-14 2019-09-05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薬物送達デバイスの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機構
CN113209422A (zh) 2021-05-20 2021-08-06 宁波睿爱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具有声音提示功能的注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1989B1 (en) Injection device
JP4865863B2 (ja) 制止された保護位置を有する針保護装置
JP4977209B2 (ja) 制止された保護位置を有する針保護装置
US8491530B2 (en) Autoinjector with trigger positionable in active position by movement of a safety shield and indication of the active position
EP2131899B1 (en) Improved autoinjector
US20050101919A1 (en) Device for an injector
JP2017529941A (ja) 注入装置
US20090292246A1 (en) Cassette for a hidden injection needle
US20220241506A1 (en) Drive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JP2011524792A (ja) 前面支持壁を有する自動注射機構
CN109069745B (zh) 注射装置
KR102105750B1 (ko) 약물 전달 장치
JP4306994B2 (ja) ロック保護シースを備えた使い捨て皮下注射器
WO2019192971A1 (en) Autoinjection device having a memory element
CN113209421B (zh) 自动注射装置
US20210361878A1 (en) Automatic feedback mechanism and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with user feedback capability
KR102682090B1 (ko) 자동 약물 주입 장치
CN110022917B (zh) 用于药剂输送装置的反馈元件
JP2017525419A (ja) 自己注射器
KR102676490B1 (ko) 자동 약물 주입 장치
KR102682089B1 (ko) 자동 약물 주입 장치
KR102676491B1 (ko) 자동 약물 주입 장치
KR102682092B1 (ko) 자동 약물 주입 장치의 트리거 구조
WO2023072578A1 (en) A cover structure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EP4072625B1 (en) Assembly, cassette and medicament deliver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