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9387B1 - 케이크 받침대 - Google Patents

케이크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9387B1
KR102679387B1 KR1020210104593A KR20210104593A KR102679387B1 KR 102679387 B1 KR102679387 B1 KR 102679387B1 KR 1020210104593 A KR1020210104593 A KR 1020210104593A KR 20210104593 A KR20210104593 A KR 20210104593A KR 102679387 B1 KR102679387 B1 KR 102679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sensor
content
cake
cake stand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2612A (ko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김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식 filed Critical 김성식
Priority to KR1020210104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9387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9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9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provided with transient audible or visual signaling means, e.g. for indicating dispensing, or other illuminating or acoustic devices, e.g. whist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케이크 받침대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조작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이한 제2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전방에 설치되어, 이벤트 주인공의 케이크에 대한 액션을 센싱하도록 구성된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상기 액션이 센싱되면, 상기 제2 컨텐츠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케이크 받침대{SUPPORTING PANEL OF CAKE}
본 발명은 케이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다양한 이벤트 연출이 가능한 케이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성장과 더불어 삶의 여유를 추구하려는 분위기가 사회적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파티행사나 이벤트 문화가 보편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케이크는 이러한 각종 파티행사나 이벤트에 있어서 빠질 수 없는 주요 아이템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 의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대표적으로, 생일 축하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 밖에도 합격, 취업, 결혼 등의 다양한 이벤트에서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케이크에 꽂는 초의 경우에도, 기존에는 생일 축하 용도만으로 크기에 따라, 십의 단위, 일의 단위로 분류되어, 생일자의 나이에 대응되는 갯수만큼의 꽂는 정도였으나, 최근에는, 숫자 형태 또는 축하 메시지를 담는 문자 형태의 초 등 다양한 초가 등장하여, 다양한 이벤트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케이크를 이용한 이벤트의 진행은 통상, 이벤트 주인공을 제외한 참여자들이 노래 또는 메시지를 전하며, 이후, 이벤트의 주인공이 케이크에 꽂힌 초를 불어 끄거나, 또는 케이크를 커팅하는 등의 액션을 하면, 그에 따른 참여자들의 박수, 노래 또는 메시지 등이 이어지는 순으로 진행된다.
다만, 다수의 참여자가 참석한 이벤트의 경우, 누군가 주도적으로 이벤트를 진행해야 하는 부담이 있고, 생일 축하와 같은 일반적인 이벤트의 경우에도, 통일적으로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이벤트를 이루는 각종 노래, 메시지 등은 컨텐츠로서 취급되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이벤트 진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벤트 진행에 있어, 정형화된 컨텐츠가 아닌, 사용자 맞춤형의 컨텐츠의 제공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서, 케이크를 이용한 이벤트의 진행을 원활히 하고, 이벤트의 주인공의 액션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의 컨텐츠의 제공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케이크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케이크 받침대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조작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이한 제2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전방에 설치되어, 이벤트 주인공의 케이크에 대한 액션을 센싱하도록 구성된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상기 액션이 센싱되면, 상기 제2 컨텐츠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는 각각 음성 신호로 구성되고, 멜로디, 노래, 효과음, 및 음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전방을 기준으로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방의 일 면과 상기 조작부가 형성된 측면이 만나는 꼭지점 영역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조작부에 의한 조작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초음파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의 센싱 방향은 전방을 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의 센싱 방향은 전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제1 각도만큼 틸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는 제1 초음파 센서 및 제2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초음파 센서 및 제2 초음파 센서는 상기 전방의 일 면의 양 끝 영역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초음파 센서 및 제2 초음파 센서의 센싱 방향은 각각 중심에서부터 전방으로 제2 각도만큼 틸팅되어 전방을 향하여 서로 교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초음파 센서 및 제2 초음파 센서의 센싱 방향은 각각 추가로 전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제1 각도만큼 틸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크 받침대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다양한 이벤트의 연출이 가능하며, 이벤트 주인공의 액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이벤트의 진행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대를 포함한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크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크 받침대에 실장된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양 구성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며, 또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기능적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대를 포함한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대(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는 음성을 포함한 컨텐츠, 예를 들어, 멜로디, 노래, 효과음, 음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는 케이크(10)에 대한 이벤트 주인공의 액션에 대응하여 이벤트 진행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액션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는 사용자 액션을 감지하기 전에 출력할 제1 컨텐츠, 및 사용자 액션을 감지한 후에 출력할 제2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를 통해 이벤트 주인공을 위한 이벤트를 준비하는 자(이하, '사용자'라 칭함.)가 소유하고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서, 사용자가 웹(Web), 앱(Application) 또는 웹앱의 형태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웹(Web), 앱(Application) 또는 웹앱에서 별도로 지원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멜로디, 노래, 효과음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마이크 등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육성을 녹음함으로써, 이벤트 주인공에 대한 메시지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를 각각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컨텐츠는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은 하나의 단말인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이벤트에 참여하는 다수의 이벤트 참여자가 각각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이벤트 참여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이벤트 주인공에 대한 메시지를 녹음하여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는 다수의 이벤트 참여자로부터의 메시지를 취합하여 하나의 컨텐츠로 편집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이벤트를 주관하는 하나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다수의 이벤트 참여자에게 웹, 앱 또는 웹앱을 통해 메시지 녹음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다수의 이벤트 참여자로부터 메시지가 녹음되어 수신되면, 웹, 앱 또는 웹앱을 통해 다수의 메시지를 취합한 하나의 메시지를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요청 메시지의 전송 및 메시지의 수신은 기존의 SNS, 메신저 등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테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이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200) 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근거리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고,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을 패어링하여 블루투스 연결하며,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되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밖에 네트워크로는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대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크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크 받침대에 실장된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에는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되는 전자 장치(150)가 실장되며, 상면에 케이크가 놓여지게 된다. 상기 케이트 받침대(100)는 사각 판형의 종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올려지는 케이크(10)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판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크 받침대(100)는 원형, 삼각형, 별모양 등 다양한 형태의 판면을 가질 수 있으며, 종이 재질이 아닌 다양한 소재의 판면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사각 판형의 구조를 갖는 케이크 받침대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의 내부에는 전자 장치(150)가 실장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홈부는 사각 판형의 4개의 꼭지점 중 하나의 꼭지점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부는 이벤트 주인공을 향하는 방향(x축 방향)의 일면과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조작부가 위치하는 측면이 만나는 꼭지점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5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하여 컨텐츠를 제공받고, 이벤트 주인공의 액션에 대응하여 제공받은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의 액션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자 장치(15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이 이루어지는 조작부(110),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신호처리부(120) 및 이벤트 주인공의 액션을 인식하도록 구성된 초음파 센서(13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110)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간단히 조작할 수 있는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벤트 주인공의 액션이 감지되기 전에 출력하는 제1 컨텐츠의 재생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성된 재생 버튼(1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재생 버튼(112)은,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의 전방(x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제한된 영역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는, 케이크 받침대를 들고, 이벤트 주인공을 향해 이동하는 사용자가 케이크 받침대를 든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11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의 일 영역에 상기 조작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재생 버튼(112)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재생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25)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110)는 전원의 온오프(On-Off)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버튼(111), 볼륨(Volumn)의 업다운(Up-Down) 기능을 수행하는 음량 조절 버튼(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11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의 일부 영역에 일정 이상의 가압을 하면, 클릭 동작되도록 구성된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조작부(1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조작 신호 및 후술하는 초음파 센서(130)로부터 수신된 센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신호처리부(120)는, 통신부(121), 음성신호 출력부(122), 메모리부(123), 배터리부(124) 및 제어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21)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21)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일 수 있다.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122)는 음성신호로 구성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122)는 상기 케이크 받침부(100)의 일 꼭지점 영역에 실장되며, 음성 송출 부위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음성을 포함한 컨텐츠, 예를 들어, 멜로디, 노래, 효과음,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122)는 상기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24)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122)는 공기 전도(Air Conduction) 방식의 일반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3)는 내장형 메모리 칩으로 이루어져 인쇄 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로 내장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이와 달리, 외장형 메모리 카드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에 착탈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메모리홈(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부(123)는 상기 메모리홈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3)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가 저장되고,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124)는 전자 장치(150)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부(124)는 2차 전지인 리튬이온 전지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에 내장된다. 즉, 배터리부(124)를 수용한 상태에서 커버에 의해 덮임으로써, 상기 배터리부(124)가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124)는 상기 제어부(125)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부(124)는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져 외부로 노출된 충전단자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충전단자는 외부의 충전기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충전기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제어부(125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25)는 충전기로부터의 전력을 배터리부(124)에 공급하여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단자는 상기 메모리부(123)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5)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칩으로 이루어져 다른 구성과 함께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로 상기 홈부에 실장되며,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25)는 전원 버튼(111)을 통한 전원 온/오프 명령 입력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5)는 재생 버튼(112)을 통한 재생 명령 입력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선택된 제1 컨텐츠를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생일 축하를 예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생일 축하 노래일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어부(125)는 후술할 초음파 센서(130)를 통해 이벤트 주인공으로부터의 케이크에 대한 액션을 감지하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선택된 제2 컨텐츠를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상기 제1 컨텐츠의 출력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이벤트 주인공의 액션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25)는 상기 제1 컨텐츠의 출력을 종료시키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생일 축하를 예로 설명하면, 상기 제2 컨텐츠는 박수 소리, 또는 사용자에 의해 녹음된 메시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컨텐츠의 노래와 상이한 노래가 출력될 수도 있다.
이 때, 제어부(125)는 음량 조절 버튼(113)을 통한 음량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12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메시지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130)는, 이벤트 주인공으로부터의 케이크에 대한 액션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크에 대한 액션은 이벤트 주인공이 케이크에 꽂힌 초에 붙인 불을 끄기 위해 상체를 숙여 케이크에 접근하거나, 또는 이벤트 주인공이 칼을 든 팔을 케이크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커팅을 시도하는 동작일 수 있다. 즉, 이벤트 주인공이 케이크에 대해 접근을 시도할 때, 상기 초음파 센서(130)는, 일정 센싱 거리 내의 이벤트 주인공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25)에 센싱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130)는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의 전방의 일 면 상의 가운데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초음파 센서(130)의 센싱 방향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어부(125)는 사용자로부터 재생 버튼(112)이 조작되면, 그 시점으로부터의 초음파 센서(130)를 활성화 시켜, 센싱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컨텐츠가 출력되기 전에 상기 제2 컨텐츠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3자에 대한 원치 않는 감지에 의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대(100)는 실장된 음성 신호 출력부(122)를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부의 스피커와 통신부(121)를 통해 블루투스 연결되어,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대(100)는,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다양한 이벤트의 연출이 가능하며, 동시에 이벤트 주인공의 액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컨텐츠를 끊김없이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이벤트의 진행이 가능하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대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대는 도 2에 도시된 케이크 받침대와 초음파 센서의 배치만을 달리할 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초음파 센서의 위치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130)는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의 전방의 일 면 상의 가운데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초음파 센서(130)의 센싱 방향은 전방에서의 z축으로 α각도만큼 틸팅되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초음파 센서(130)가 단순히 이벤트 주인공이 전방에 위치할 때, 오동작으로 감지하는 것을 방지하고, 초를 불기위해 상면 쪽으로 몸이 기울어졌을 때, 케이크 커팅을 위해 케이크에 상면에 손이 올라왔을 때, 상면 방향으로의 이벤트 주인공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크 받침대는 이벤트 주인공의 보다 정확한 동작을 감지하여, 이벤트의 진행을 행할 수 있다.
상기 α각도는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 상에 놓여진 케이크(10)의 높이 대비 통상적으로 초를 불기 위해 위치하는 얼굴의 위치와 센싱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는 초음파 센서(130)가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의 내부에 실장된 상태에서 틸팅각을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 틸팅 가이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케이크의 높이를 고려하여 틸팅 가이드부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정밀하게 동작하는 틸팅각을 사전에 셋팅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대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받침대는 도 2에 도시된 케이크 받침대와 초음파 센서의 구성만을 달리할 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초음파 센서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130a, 130b)는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의 전방의 일 면 상의 양 끝 영역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초음파 센서(130a, 130b)의 센싱 방향은 각각 중심에서부터 전방인 x축으로 β각도만큼 틸팅되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초음파 센서(130a, 130b)의 센싱 방향은 전방으로 어느정도 떨어진 지점에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둘 중 하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센싱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으며, 모든 초음파 센서로부터 센싱 신호가 감지되어야 상기 제2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또 다른 실시예의 케이크 받침대는 교차된 2개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센싱 거리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음파 센서의 센싱 거리에 상관없이 원하는 지점까지 이벤트 주인공이 가깝게 위치한 경우에서야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크 받침대는 이벤트 주인공의 보다 정확한 동작을 감지하여, 이벤트의 진행을 행할 수 있다.
상기 β각도는 이벤트 주인공의 위치 지점에 대해 동작시키고자 하는 센싱 거리에 따라 결정되며, 케이크 받침대(100)는 초음파 센서(130a, 130b)가 상기 케이크 받침대(100)의 내부에 실장된 상태에서 틸팅각을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 틸팅 가이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케이크 전방에 위치할 이벤트 주인공의 위치를 고려하여 틸팅 가이드부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정밀하게 동작하는 틸팅각을 사전에 셋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으로 β각도만큼 틸팅된 초음파 센서(130a, 130b)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초음파 센서에 도 4를 통해 설명한 z축으로 α각도만큼 틸팅되는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 초음파 센서(130a, 130b)의 센싱 방향은 각각 중심에서부터 전방인 x축으로 β각도만큼 틸팅되어 전방을 향하는 동시에, 전방에서의 z축으로 α각도만큼 틸팅되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원하는 높이와 센싱 거리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케이크 받침대
110: 조작부
120: 전자 장치
130: 초음파 센서
200: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케이크 받침대로서,
    사용자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조작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1 컨텐츠와 상이한 제2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전자 장치; 및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이벤트 주인공의 케이크에 대한 액션을 센싱하도록 구성된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로부터 상기 액션이 센싱되면, 상기 센싱된 액션이 기 설정된 액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제1 컨텐츠의 출력을 종료시킨 후, 상기 제2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기 설정된 액션은,
    상기 이벤트 주인공이 상기 케이크에 꽂힌 초에 붙인 불을 끄기 위해 상체를 숙여 접근하는 액션 및 상기 이벤트 주인공이 칼을 든 팔을 상기 케이크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커팅을 시도하는 액션을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는,
    상기 이벤트 주인공의 액션을 감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각도로 틸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받침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및 상기 제2 컨텐츠는 각각 음성 신호로 구성되고, 멜로디, 노래, 효과음, 및 음성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받침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받침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전방을 기준으로 양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받침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방의 일 면과 상기 조작부가 형성된 측면이 만나는 꼭지점 영역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받침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조작부에 의한 조작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초음파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받침대.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의 센싱 방향은 전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제1 각도만큼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받침대.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는 제1 초음파 센서 및 제2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초음파 센서 및 제2 초음파 센서는 상기 전방의 일 면의 양 끝 영역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초음파 센서 및 제2 초음파 센서의 센싱 방향은 각각 중심에서부터 전방으로 제2 각도만큼 틸팅되어 전방을 향하여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케이크 받침대.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초음파 센서 및 제2 초음파 센서의 센싱 방향은 각각 추가로 전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제1 각도만큼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받침대.
KR1020210104593A 2021-08-09 2021-08-09 케이크 받침대 KR102679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593A KR102679387B1 (ko) 2021-08-09 2021-08-09 케이크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593A KR102679387B1 (ko) 2021-08-09 2021-08-09 케이크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612A KR20230022612A (ko) 2023-02-16
KR102679387B1 true KR102679387B1 (ko) 2024-07-01

Family

ID=85326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593A KR102679387B1 (ko) 2021-08-09 2021-08-09 케이크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93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166Y1 (ko) * 2005-06-21 2005-09-07 문승국 케익상자
KR101382029B1 (ko) * 2012-11-05 2014-04-04 김태현 주변 상황에 따른 이벤트 제공 장치
KR101494199B1 (ko) * 2013-12-16 2015-02-23 주식회사 인루츠 쌍방향 통신기능과 영상 음향 기능을 내장한 영상 선물 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166Y1 (ko) * 2005-06-21 2005-09-07 문승국 케익상자
KR101382029B1 (ko) * 2012-11-05 2014-04-04 김태현 주변 상황에 따른 이벤트 제공 장치
KR101494199B1 (ko) * 2013-12-16 2015-02-23 주식회사 인루츠 쌍방향 통신기능과 영상 음향 기능을 내장한 영상 선물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612A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535B1 (ko) 장치들 및 주변장치들에 감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9729687B2 (en)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US8260883B2 (en) File sharing between devices
CN102662474B (zh) 控制终端的方法、装置和终端
CN108668009B (zh) 输入操作控制方法、装置、终端、耳机及可读存储介质
US9632649B2 (en) Methods and devices to allow common user interface mode based on orientation
WO2015188745A1 (en) Audio playback control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5955700A (zh) 一种音效调节方法及用户终端
WO2017215660A1 (zh) 一种场景音效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TW200929902A (en) Cellular communication device with wireless pointing device function
CN106126160A (zh) 一种音效调节方法及用户终端
WO2021012908A1 (zh) 消息发送方法及移动终端
CN106506437B (zh) 一种音频数据处理方法,及设备
CN111124345A (zh) 一种音频源处理的方法及移动终端
CN107635065A (zh) 一种截屏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679387B1 (ko) 케이크 받침대
CN106375960B (zh) 一种向在线好友账号发送离别提醒的方法、客户端和系统
KR101302091B1 (ko) 보드게임장치
WO2018191897A1 (zh) 卡托、插接装置及终端
CN108307053A (zh) 电子装置、跌落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6454421A (zh) 一种时钟调节方法、装置、终端及多媒体同步播放系统
CN108563650B (zh) 一种音频文件播放进度的调节方法及移动终端
CN206894871U (zh) 一种外接声频定向扬声器
CN113055774A (zh) 一种无线话筒、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06375824A (zh) 一种时钟调节方法、装置、终端及多媒体同步播放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