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9263B1 - 이중 마루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마루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9263B1
KR102679263B1 KR1020240040380A KR20240040380A KR102679263B1 KR 102679263 B1 KR102679263 B1 KR 102679263B1 KR 1020240040380 A KR1020240040380 A KR 1020240040380A KR 20240040380 A KR20240040380 A KR 20240040380A KR 102679263 B1 KR102679263 B1 KR 102679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pper support
flange
shaft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정
윤창열
Original Assignee
정윤정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정 filed Critical 정윤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9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9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완충부재(700); 중앙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결합 플랜지(110)와, 상기 결합 플랜지(110)의 원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중 분산부(120)와, 상기 하부 완충부재(700)와 결합되며, 상기 하중 분산부(120)의 원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받침 플랜지(130)를 포함하는 하부 받침부(100); 상기 결합 플랜지(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 조절축(200); 상기 높이 조절축(200)의 외주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축 고정부재(300); 상기 축 고정부재(300)가 삽입되고, 장선(10)이 삽입되는 인입홈(520)과, 상기 인입홈(520)의 바닥면 중앙부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축 고정부재(300)가 결합되는 상부 지지 플랜지(530)와, 상부 받침부(500)의 바닥면 및 측면부에 각각 구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적어도 2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부 받침부(5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되는 바닥 받침부재 및 상부 받침부(500)의 측면부에 돌출되게 구성되는 측부 받침부재로 구성되는 받침부재(510)를 포함하는 상부 받침부(500); 상기 상부 받침부(5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풀림 방지 수단(400); 및 상기 인입홈(500)에 삽입되며, 상기 장선(1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을 흡수하는 상부 완충부재(600);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마루 받침장치{Double flooring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이중 마루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충재 및 장선이 삽입되는 상부 받침부가 다양한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높이로 이중 마루 바닥의 시공이 가능하고, 상부 받침부의 외측 양측부에 장선, 합판부재 및 플로우 패널의 하중 지지력을 극대화시키고, 마루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하부 받침부에서 흡수 및 분산시켜 충격 흡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당의 체육관이나 학교의 교실과 복도 및 오피스텔, 무용연습실 등의 실내 바닥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목재바닥으로 이루어지는 마루가 시공된다.
이러한 마루는 콘크리트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시공되어야 하며, 불규칙한 콘크리트 바닥으로부터 바닥을 구성하는 합판이나 플로어링 보드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받침장치를 통해 일정한 수평 높이로 시공되고, 경기중 운동선수 및 무용수의 움직임 동작에 의해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0291호에는, 반구형 지지체와, 상기 반구형 지지체의 하단 가장자리로 수평 절곡되는 받침체와, 상기 반구형 지지체의 중앙으로 형성된 받침단관의 내주면으로 나사공이 형성된 철재의 하부 받침부와; 상기 하부 받침부의 하단에 받침 설치되어 콘크리트 바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분산하기 위한 탄성 고무재의 하부 완충부와; 마루 시공을 위한 각재가 올려지는 바닥면의 양단 상측으로 양 지지날개가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철재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바닥면 중앙 하부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부 받침체의 반구형 지지체로 형성된 받침단관의 나사공에 대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나사 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 받침부와; 상기 나사축에 관통 구멍이 승강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하부 받침부에 대한 상부 받침부의 높낮이 조절상태를 규제하기 위한 풀림 방지편과; 상기 상부 받침부의 지지 브라켓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에 올려지는 각재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각재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분산하기 위한 탄성 고무재의 받침블록으로 이루어진 상부 완충부;를 포함하는 마루 받침장치가 게재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하부 받침부의 지지체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일정 하중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거나, 반복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지지체가 찌그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결국 최초 조절된 높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마루 바닥의 시공 안전성을 크게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잦은 유지보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 받침부의 바닥면과 상부 완충부의 하부면 사이에 나사 축의 결합 방식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이격 공간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상부 완충부가 훼손되면서 완충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마루를 이루는 각재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상부 받침부에 삽입된 나사 축의 축 중심이 흔들리면서 이 나사 축과 연결되는 하부 받침부와의 고정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받침장치의 지지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들에 노출될 수 밖에 없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0291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완충재 및 장선이 삽입되는 상부 받침부가 다양한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높이로 이중 마루 바닥의 시공이 가능한 이중 마루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받침부의 외측 양측부에 장선, 합판부재 및 플로우 패널의 하중 지지력을 극대화시키고, 마루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하부 받침부에서 흡수 및 분산시켜 충격 흡수 효율을 향상시켜 시공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받침부와 높이 조절축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장시간 안정적으로 마루 받침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마루 상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상부 받침부와 높이 조절축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안착되며, 소정의 완충력을 제공하는 하부 완충부재(700); 중앙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결합 플랜지(110)와, 상기 결합 플랜지(110)의 원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 플랜지(1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 분산부(120)와, 상기 하부 완충부재(700)와 결합되며, 상기 하중 분산부(120)의 원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중 분산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을 상기 하부 완충부재(700)로 전달하는 받침 플랜지(130)를 포함하는 하부 받침부(100); 하단부에 상기 결합 플랜지(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충격, 진동 및 하중을 상기 결합 플랜지(110)로 전달하는 축 결합 플랜지(210)가 구성되는 높이 조절축(200); 상기 높이 조절축(200)의 외주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축 고정부재(300); 상기 축 고정부재(300)가 삽입되고, 장선(10)이 삽입되는 인입홈(520)과, 상기 인입홈(520)의 바닥면 중앙부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축 고정부재(300)가 결합되는 상부 지지 플랜지(530)와, 상부 받침부(500)의 바닥면 및 측면부에 각각 구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적어도 2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부 받침부(5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되는 바닥 받침부재 및 상부 받침부(500)의 측면부에 돌출되게 구성되는 측부 받침부재로 구성되는 받침부재(510)를 포함하는 상부 받침부(500); 상기 상부 받침부(5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풀림 방지 수단(400); 및 상기 인입홈(500)에 삽입되며, 상기 장선(1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을 흡수하는 상부 완충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완충부재(700)는, 상기 하부 받침부(100)의 상기 받침 플랜지(130)가 안착되는 안착부(710)와, 상기 안착부(710)의 내측면에 구성되고, 상기 받침 플랜지(130)가 삽입 및 고정되는 플랜지 고정홈(7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받침부(100)에는 결합 플랜지(110)에 삽입되는 고정핀(140)이 더 구성되고, 상기 하부 완충부재(700)는 상기 고정핀(140)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핀 결합부(72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 결합부(720)는, 높이 조절축(2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축 안착홈(724)과, 상기 축 안착홈(724)으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결합 플랜지(110)와 하중 분산부(120)의 경계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공간부(7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 고정부재(300)는, 상기 상부 받침부(500)의 상부 지지 플랜지(53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높이 조절축(200)의 외주면에 대한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수용홀(340)과, 상기 수용홀(340)의 상부에 형성되고, 높이 조절축(200)과 결합되는 체결홀(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받침부(500)에는, 전, 후방측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 완충부재(6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54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부 받침부재는, 상기 상부 받침부(500)의 측면부에 대한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받침부(500)에는 상기 측부 받침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의 요홈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이탈 방지홈(5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완충부재(600)에는, 양측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탈 방지홈(550)에 삽입되는 삽입 완충부(62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완충부재(600)에는, 상기 상부 받침부(500)의 상부 지지 플랜지(5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 플랜지(530)의 상부홈에 긴밀하게 삽입 및 밀착되는 연장 완충부(63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완충부재(600)에는 상기 축 고정부재(3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제거하고, 상기 상부 받침부(5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으로 인해 상기 높이 조절축(200)의 축 중심이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부재(80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받침부(500)에는, 상기 상부 받침부(500)의 높이를 연장시키는 연장 받침부(90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받침부(10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완충재 및 장선이 삽입되는 상부 받침부가 다양한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높이로 이중 마루 바닥의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받침부의 외측 양측부에 장선, 합판부재 및 플로우 패널의 하중 지지력을 극대화시키고, 마루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하부 받침부에서 흡수 및 분산시켜 충격 흡수 효율을 향상시켜 시공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받침부와 높이 조절축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장시간 안정적으로 마루 받침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마루 상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상부 받침부와 높이 조절축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 받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 받침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 받침장치의 상부 받침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마루 받침장치의 상부 받침부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하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식별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부호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일 뿐, 그 식별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마루 받침장치는 콘크리트 등과 같은 지면에 안착되며, 소정의 완충력을 제공하는 하부 완충부재(700)와, 이 하부 완충부재(7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마루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부 받침부(100)와, 하단부가 하부 받침(1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받침장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높이 조절축(200)과, 높이 조절축(200)의 외주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고정부재(300)와, 축 고정부재(300)의 하단부가 결합되고, 마루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에 대한 소정의 지지력을 제공하는 상부 받침부(500)와, 상부 받침부(500)의 높이를 제한하는 풀림 방지 수단(400)과, 상부 받침부(500)의 내부에 삽입되며, 마루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상부 완충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 받침부(100)는 그 중앙부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높이 조절축(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결합 플랜지(110)와, 이 결합 플랜지(110)의 원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어 높이 조절축(200) 및 결합 플랜지(1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 분산부(120)와, 하중 분산부(120)의 원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어 하중 분산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을 하부 완충부재(700)로 전달하는 받침 플랜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 받침부(10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결합 플랜지(110) 및 하중 분산부(120)만 탄탄성패널로 구성되되,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받침 플랜지(130)는 하중 분산부(120)와 나사 결합 방식, 또는 끼움 결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하부 받침부(100)는 다단 구조로 구성되면서, 높이 조절축(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이 결합 플랜지(110), 하중 분산부(120) 및 받침 플랜지(130)를 통해 분산되면서 하부 완충부재(700)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부 받침부(100)는 높이 조절축(200)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충격, 진동 및 하중이 전달된다 하더라도 하부 받침부(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높이 조절축(200)의 조절 위치 및 받침장치의 받침 지지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하부 완충부재(700)는 콘크리트 등과 같은 지면에 안착되며, 하부 받침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의 완충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받침장치의 고정된 위치가 임의적으로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부 완충부재(700)는 상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전술한 하부 받침부(100)의 받침 플랜지(130)가 안착되는 안착부(710)가 형성되며, 이 안착부(710)의 내측면에 소정의 요홈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받침 플랜지(130)의 끝단부가 삽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플랜지 고정홈(712)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부재(100) 및 하부 완충부재(7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하부 받침부재(1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에 대한 분산 및 흡수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하부 받침부(100)에는 하부 완충부재(700)와의 결합력을 더욱 긴밀하게 유지하고, 높이 조절축(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에 의해 하부 완충부재(700)와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핀(14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받침부(100)는 고정핀(140)이 삽입되어 하부 완충부재(7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핀 삽입홀(150)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핀 삽입홀(150)은 하부 받침부(100)의 결합 플랜지(110)의 상부 원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완충부재(700)는 고정핀(140)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핀 결합부(72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핀 결합부(720)는 전술한 안착부(710)의 끝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결합 플랜지(110)의 하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핀(140)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핀 결합홈(7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핀 결합부(720)는 그 상부면이 결합 플랜지(110)와 밀착된 상태로 구성됨에 따라 이 결합 플랜지(1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의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핀 결합부(720)에는 후술할 높이 조절축(200)의 축 결합 플랜지(2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축 안착홈(724)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 조절축(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이 결합 플랜지(110) 및 축 안착홈(724)을 통해 핀 결합부(720)로 분산되게 전달되면서 지면으로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의 흡수력은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달율이 저하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핀 결합부(720)는 축 안착홈(724)으로부터 대향하는 일면이 결합 플랜지(110)와 하중 분산부(120)의 경계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면서 하중 분산부(120)의 하부로 소정의 공간부(726)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공간부(726)는 하중 분산부(120)로 상기 충격, 진동 및 하중이 전달되는 경우, 이 하중 분산부(120)의 탄성력에 의한 휨 작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하중 분산부(120)에서의 충격, 진동 및 하중에 대한 분산 효율성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높이 조절축(200)은 하단부가 하부 받침부(100)의 결합 플랜지(110)와 결합되고, 상부가 축 고정부재(300)와 결합되면서 상부 받침부(500)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부 받침부(5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높이 조절축(200)은 결합 플랜지(110)와의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부 받침부(5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을 하부 받침부(100)의 결합 플랜지(110)로 전달하는 축 결합 플랜지(2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축 결합 플랜지(210)에는 결합 플랜지(110)의 내주면이 삽입되는 축 결합홈(212)이 형성된다.
축 고정부재(300)는 하단부가 상부 받침부(500)와 결합되고, 내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높이 조절축(200)에 결합되어 높이 조절축(200)과 상부 받침부(500)를 연결하는 한편, 상부 받침부(500)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축 고정부재(300)는 상부 받침부(500)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상부 지지 플랜지(530)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하부 지지 플랜지(310)와, 하부 지지 플랜지(3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하부 지지 플랜지(310)에 안착된 상부 지지 플랜지(53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축 고정부재(300)와 상부 받침부(500)를 결합하는 가압돌기(330)와, 축 고정부재(300)의 관통된 중앙부에 형성되며, 높이 조절축(200)이 삽입되는 수용홀(340) 및 축 고정부재(300)의 상부 내주면으로 형성되며, 수용홀(340)을 통과하는 높이 조절축(200)이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체결홀(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 지지 플랜지(310)와 가압돌기(330) 사이에는 상부 지지 플랜지(530)의 끝단부가 삽입되어 가압돌기(330)에 의해 축 고정부재(300)와 상부 받침부(500)가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삽입홈(320)이 형성된다.
또한, 수용홀(340)은 그 직경이 높이 조절축(200)의 외주면에 대한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그 상측 끝단부에 높이 조절축(20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350)을 형성한다.
이러한 축 고정부재(300)는 상부 받침부(5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인입홈(520)의 중앙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부 지지 플랜지(530)의 하부로 하향 돌출되게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축 고정부재(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받침부(50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축 고정부재(300)는 상부 받침부(500)의 상부 지지 플랜지(530)의 끝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면으로 수용홀(340) 및 체결홀(350)이 형성되고, 인입홈(520)의 중앙부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풀림 방지 수단(400)은 높이 조절축(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받침부(5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높이 조절축(200)과 결합되고, 높이 조절축(200)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높이 조절이 완료된 상부 받침부(500)의 하부면에 밀착되면서 마루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에 의해 상부 받침부(500)가 임의적으로 하향 이동하면서 조절된 높이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풀림 방지 수단(400)은 높이 조절축(200)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410)와, 높이 조절축(200)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고, 손잡이(4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풀림 방지 수단(40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회전이 완료되면, 높이 조절축(200)의 나사산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상부 받침부(500)의 결정된 높이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받침부(500)는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부 완충부재(600) 및 장선(10)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입홈(520)이 형성되고,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 받침부(500)로 가해지는 충격, 진동 및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받침부재(510)와, 하측 중앙부에 형성되며, 축 고정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 지지 플랜지(530)와, 인입홈(520)에 삽입된 상부 완충부재(600)가 임의적으로 인입홈(5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이탈 방지 부재(540)는 상부 받침부(500)의 전, 후방측 중앙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상부 받침부(5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부 받침부(500)의 전, 후방측 양측부에 각각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지지 플랜지(530)는 상부 받침부(500)의 하측 중앙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이 상부 받침부(500)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중앙부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지지 플랜지(530)는 축 고정부재(300)의 하부 지지 플랜지(3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축 고정부재(30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받침부재(510)는 상부 받침부(500)의 바닥면 및 측면부에 각각 구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적어도 2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받침부재(510)는 상부 받침부(5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되면서 이 상부 받침부(500)의 바닥면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바닥 받침부재와, 상부 받침부(500)의 측면부에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부 받침부(500)의 측면부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측부 받침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측부 받침부재는 상부 받침부(500)의 측면부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상부 받침부(500)의 전체 높이의 50% 이하의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받침부(500)의 측면부에 대한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부 받침부(500)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510)와 대향하는 위치, 즉 상부 받침부(500)의 내면부에는 받침부재(5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소정의 요홈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부 완충부재(600)가 삽입 및 고정되는 이탈 방지홈(55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부 받침부(500)는 상부 완충부재(600)와 이격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상부 완충부재(600)의 완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탈 방지홈(5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받침부(500)의 높이를 연장시키는 연장 받침부(9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연장 받침부(900)의 연결핀(930)이 삽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 받침부(900)는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부 받침부(50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연결 플랜지(910)와, 상부 받침부(500)의 이탈 방지홈(550)에 삽입되며, 연장 받침부(900)와 상부 받침부(500)를 연결하는 연결핀(930)과, 연결핀(930)이 삽입되고, 이탈 방지홈(550)의 개방된 외면을 밀폐시켜 연결 받침부(900)와 상부 받침부(500)의 결합이 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연결 지지부(9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 플랜지(910)는 상부 받침부(50)의 이탈 방지 부재(540) 및 이탈 방지홈(550)이 모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면이 이탈 방지 부재(54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홈(912)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 지지부(920)는 연결핀(930)이 삽입 및 관통하면서 이탈 방지홈(55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연장 받침부(900)는 상부 받침부(500)의 이탈 방지 부재(5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탈 방지 패널(940)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부 완충부재(600)는 상부 받침부(500)의 인입홈(520)에 삽입되어 마루, 또는 장선(1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을 흡수하여 높이 조절축(20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부 완충부재(600)는 그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어 축 고정부재(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축 관통홀(610)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완충부재(600)는 양측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부 받침부(500)에 형성된 이탈 방지홈(550)에 삽입되어, 상부 받침부(500)와 상부 완충부재(600) 간의 보다 긴밀한 결합 및 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삽입 완충부(62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완충부재(600)는 하부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부 받침부(500)의 상부 지지 플랜지(530)의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상부 지지 플랜지(530)의 상부홈에 긴밀하게 삽입 및 밀착이 이루어지면서 상부 받침부(500)와 상부 완충부재(6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제거하는 연장 완충부(63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완충부재(600)는 축 고정부재(300)와의 보다 긴밀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으로 인해 축 고정부재(300)와 결합된 높이 조절축(200)의 축 중심이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부재(8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완충부재(600)에는 밀착부재(800)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축 고정부재(300)와의 긴밀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고, 이 밀착부재(800)의 상부면과 상부 완충부재(600)의 상부면이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밀착 지지홈(6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재(800)는 상부 원주면에 형성되며, 상부 완충부재(600)에 구성되는 밀착 지지홈(612)에 삽입되는 밀착 플랜지(810)와, 밀착부재(800)의 중앙부를 관통하면, 축 고정부재(300) 및 이 축 고정부재(300)를 관통하는 높이 조절축(2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축 삽입홀(820)과, 밀착부재(800)의 내면부를 이루며, 축 삽입홀(820)의 하부에 형성되고, 축 고정부재(300)의 외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축 고정부재(300)의 외면부가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밀착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축 삽입홀(820)는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높이 조절축(200)이 축 삽입홀(820)을 관통할 때 나사 결합 방식으로 축 삽입홀(820)과도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상부 완충부재(600)와도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부 받침부 110: 결합 플랜지
120: 하중 분산부 130: 받침 플랜지
140: 고정핀 200: 높이 조절축
210: 축 결합 플랜지 212: 축 결합홈
300: 축 고정부재 310: 하부 지지 플랜지
320: 삽입홈 330: 가압돌기
340: 수용홀 350: 체결홀
400: 풀림 방지 수단 410: 손잡이부
420: 위치 고정부 500: 상부 받침부
510: 받침부재 520: 인입홈
530: 상부 지지 플랜지 540: 이탈 방지 부재
550: 이탈 방지홈 600: 상부 완충부재
610: 축 관통홀 612: 밀착 지지홈
620: 삽입 완충부 630: 연장 완충부
700: 하부 완충부재 710: 안착부
712: 플랜지 고정홈 720: 핀 결합부
722: 핀 결합홈 724: 축 안착홈
726: 공간부 800: 밀착부재
810: 밀착 플랜지 820: 축 삽입홀
830: 밀착부 900: 연장 받침부
910: 연결 플랜지 912: 연결홈
920: 연결 지지부 922: 연결 안내홈
930: 연결핀 940: 이탈 방지 패널

Claims (12)

  1. 지면에 안착되며, 소정의 완충력을 제공하는 하부 완충부재(700);
    중앙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결합 플랜지(110)와, 상기 결합 플랜지(110)의 원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 플랜지(1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 분산부(120)와, 상기 하부 완충부재(700)와 결합되며, 상기 하중 분산부(120)의 원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중 분산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을 상기 하부 완충부재(700)로 전달하는 받침 플랜지(130)를 포함하는 하부 받침부(100);
    하단부에 상기 결합 플랜지(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충격, 진동 및 하중을 상기 결합 플랜지(110)로 전달하는 축 결합 플랜지(210)가 구성되는 높이 조절축(200);
    상기 높이 조절축(200)의 외주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축 고정부재(300);
    상기 축 고정부재(300)가 삽입되고, 장선(10)이 삽입되는 인입홈(520)과, 상기 인입홈(520)의 바닥면 중앙부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축 고정부재(300)가 결합되는 상부 지지 플랜지(530)와, 상부 받침부(500)의 바닥면 및 측면부에 각각 구성되되,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적어도 2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부 받침부(5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되는 바닥 받침부재 및 상부 받침부(500)의 측면부에 돌출되게 구성되는 측부 받침부재로 구성되는 받침부재(510)를 포함하는 상부 받침부(500);
    상기 상부 받침부(5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풀림 방지 수단(400); 및
    상기 인입홈(520)에 삽입되며, 상기 장선(1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을 흡수하는 상부 완충부재(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완충부재(700)는,
    상기 하부 받침부(100)의 상기 받침 플랜지(130)가 안착되는 안착부(710)와,
    상기 안착부(710)의 내측면에 구성되고, 상기 받침 플랜지(130)가 삽입 및 고정되는 플랜지 고정홈(7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부(100)에는
    결합 플랜지(110)에 삽입되는 고정핀(140)이 더 구성되고,
    상기 하부 완충부재(700)는 상기 고정핀(140)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핀 결합부(72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 결합부(720)는,
    높이 조절축(2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축 안착홈(724)과,
    상기 축 안착홈(724)으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결합 플랜지(110)와 하중 분산부(120)의 경계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공간부(72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고정부재(300)는,
    상기 상부 받침부(500)의 상부 지지 플랜지(530)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높이 조절축(200)의 외주면에 대한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수용홀(340)과, 상기 수용홀(340)의 상부에 형성되고, 높이 조절축(200)과 결합되는 체결홀(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부(500)에는,
    전, 후방측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 완충부재(6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54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받침부재는,
    상기 상부 받침부(500)의 측면부에 대한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부(500)에는
    상기 측부 받침부재와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의 요홈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이탈 방지홈(55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완충부재(600)에는,
    양측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탈 방지홈(550)에 삽입되는 삽입 완충부(62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완충부재(600)에는,
    상기 상부 받침부(500)의 상부 지지 플랜지(5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 플랜지(530)의 상부홈에 긴밀하게 삽입 및 밀착되는 연장 완충부(63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완충부재(600)에는
    상기 축 고정부재(3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제거하고, 상기 상부 받침부(5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진동 및 하중으로 인해 상기 높이 조절축(200)의 축 중심이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부재(80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부(500)에는,
    상기 상부 받침부(500)의 높이를 연장시키는 연장 받침부(90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부(10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루 받침장치.

KR1020240040380A 2024-03-25 이중 마루 받침장치 KR102679263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9263B1 true KR102679263B1 (ko) 2024-06-26

Family

I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217B1 (ko) 2010-02-23 2011-01-19 양병남 플로어용 지지장치
KR101426758B1 (ko) 2013-07-08 2014-08-05 김상현 마루바닥 시공장치
KR101805802B1 (ko) 2016-07-07 2017-12-07 지희선 마루틀 지지대
KR101881477B1 (ko) 2017-08-03 2018-07-24 대성산업 주식회사 마루 받침장치
KR102244149B1 (ko) 2020-03-24 2021-04-30 박덕수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217B1 (ko) 2010-02-23 2011-01-19 양병남 플로어용 지지장치
KR101426758B1 (ko) 2013-07-08 2014-08-05 김상현 마루바닥 시공장치
KR101805802B1 (ko) 2016-07-07 2017-12-07 지희선 마루틀 지지대
KR101881477B1 (ko) 2017-08-03 2018-07-24 대성산업 주식회사 마루 받침장치
KR102244149B1 (ko) 2020-03-24 2021-04-30 박덕수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81960B (en) Fittings for joining members and structure and method for joining longitudinal frame members of upper and lower floors
CN102791938A (zh) 隔音和减震橡胶垫以及用其安装隔音和减震地板的方法
KR102679263B1 (ko) 이중 마루 받침장치
CA2928680A1 (en) Post holder
US8919060B1 (en) Connector and foundation for manufactured building
KR101459559B1 (ko) 스토퍼일체형 장선지지부를 적용한 면탄성 시스템 마루
US20220212049A1 (en) A trampoline frame structure and trampoline
KR10098363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마루틀 고정장치
US5131133A (en) Water heater support system and methods
KR102310694B1 (ko) 내진형 천장 구조물
KR102184096B1 (ko)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CN104831878A (zh) 吊索钢结构楼梯
KR102059195B1 (ko) 물탱크용 조립식 기초 패드장치
KR101294337B1 (ko) 비계 버팀대
CN112253680B (zh) 具有侧向抗震安装机构的不锈钢玻璃栏杆支架
CN216075982U (zh) 一种轻钢结构玻璃雨棚节点
KR101712994B1 (ko) 레저 스포츠용 클라이밍 암벽 로프 거치대
CN211498554U (zh) 一种防噪声污染的多功能声屏障
CN210797991U (zh) 一种石材幕墙转角结构
KR20040082920A (ko)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100740707B1 (ko) 마루널 고정장치
EP1464773B1 (en) Construction kit with a construction element and a spacer
CN205820625U (zh) 一种经久耐用的传菜电梯
CN216042050U (zh) 一种具有手控调节机构的楼承板
JP2008175020A (ja) 連結金具および基礎と柱の連結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