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7464B1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7464B1
KR102677464B1 KR1020217008711A KR20217008711A KR102677464B1 KR 102677464 B1 KR102677464 B1 KR 102677464B1 KR 1020217008711 A KR1020217008711 A KR 1020217008711A KR 20217008711 A KR20217008711 A KR 20217008711A KR 102677464 B1 KR102677464 B1 KR 102677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ignal
level
switching eleme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523A (ko
Inventor
김도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8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7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85Partially controlled brid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0Arrangements incorporating converting means for enabling loads to be operated at will from different kinds of power supplies, e.g. from ac or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6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booting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1/0054Transistor switching lo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9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는, 제1 저항 소자를 이용하여,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제1 전압 검출부와, 커패시터 소자와 제2 저항 소자를 구비하는 미분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제2 전압 검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입력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컨버터와, 제1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자와, 제2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건물 내 또는 건물 외에 설치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에 대해, 자가 발전을 이용하여 교류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통상, 그리드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의 파형은 정현파 형태이나, 자가 발전을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압은, 정현파가 아닌 구형파 등일 수도 있다.
한편, 자가 발전 등에 의해, 정현파가 아닌 교류 전압이, 영상표시장치에 공급되는 경우, 기존 회로 구성에 의하면, 교류 전압의 공급을 인식하지 못하여, 전원이 온 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는, 제1 저항 소자를 이용하여,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제1 전압 검출부와, 커패시터 소자와 제2 저항 소자를 구비하는 미분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제2 전압 검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입력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컨버터와, 제1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자와, 제2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현파인 경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하며, 입력 교류 전압이 구형파인 경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제1 신호의 레벨이 제1 기준 레벨과 크로싱되는 경우,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제2 신호의 레벨이 제2 기준 레벨과 크로싱되는 경우,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압 검출부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현파인 경우, 제1 기준 레벨과 크로싱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며, 입력 교류 전압이 구형파인 경우, 제1 기준 레벨 보다 높은 레벨의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압 검출부는,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 소자와, 제2 노드와 접지단 사이에 접속되는 다이오드 소자와, 제2 노드와 제3 노드 사이에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 소자와, 제3 노드와 접지단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저항 소자와, 제3 노드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며, 접지단에 소스 단자가 접속되는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 교류 전압이 구형파인 경우, 구형파 내의 정극성 레벨의 일부에 기초하여, 제2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며, 제2 전압 검출부는, 제2 스위칭 소자의 턴 온시, 로우 레벨을 출력하며, 제2 스위칭 소자의 턴 오프시, 하이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로우 레벨은, 제2 기준 레벨 보다 작으며, 제2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하이 레벨은 제2 기준 레벨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입력 교류 전압이 구형파인 경우, 구형파에 기초하여, 커패시터 소자가 충전되며, 제2 다이오드 소자는, 구형파 내의 정극성 레벨만 바이패스하고, 부극성 레벨은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압 검출부는, 제3 노드와 접지단 사이에, 제너 다이오드 소자를 더 포함하며, 제너 다이오드 소자에 의해 클램핑된 전압이, 제2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제2 전압 검출부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극성 레벨과 부극성 레벨을 가지는 구형파인 경우, 정극성 레벨에 일부 딜레이된 하이 레벨을 가지며, 부극성 레벨에 대응하여 하이 레벨을 그대로 유지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압 검출부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현파인 경우, 제2 스위칭 소자의 연속 턴 오프에 따라, 하이 레벨을 유지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는,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는, 커패시터 소자와 저항 소자를 구비하는 미분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입력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컨버터와,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자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전압 검출부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극성 레벨과 부극성 레벨을 가지는 구형파인 경우, 정극성 레벨에 일부 딜레이된 하이 레벨을 가지며, 부극성 레벨에 대응하여 하이 레벨을 그대로 유지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제어부는, 전압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전압 검출부로부터의 신호가 기준 레벨과 크로싱되는 경우,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전압 검출부로부터의 신호가 기준 레벨과 크로싱되는 경우,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는, 제1 저항 소자를 이용하여,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제1 전압 검출부와, 커패시터 소자와 제2 저항 소자를 구비하는 미분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제2 전압 검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입력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컨버터와, 제1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자와, 제2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다양한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현파인 경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하며, 입력 교류 전압이 구형파인 경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제1 신호의 레벨이 제1 기준 레벨과 크로싱되는 경우,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제2 신호의 레벨이 제2 기준 레벨과 크로싱되는 경우,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전압 검출부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현파인 경우, 제1 기준 레벨과 크로싱되는 제1 신호를 출력하며, 입력 교류 전압이 구형파인 경우, 제1 기준 레벨 보다 높은 레벨의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전압 검출부는,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 소자와, 제2 노드와 접지단 사이에 접속되는 다이오드 소자와, 제2 노드와 제3 노드 사이에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 소자와, 제3 노드와 접지단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저항 소자와, 제3 노드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며, 접지단에 소스 단자가 접속되는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 교류 전압이 구형파인 경우, 구형파 내의 정극성 레벨의 일부에 기초하여, 제2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며, 제2 전압 검출부는, 제2 스위칭 소자의 턴 온시, 로우 레벨을 출력하며, 제2 스위칭 소자의 턴 오프시, 하이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로우 레벨은, 제2 기준 레벨 보다 작으며, 제2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하이 레벨은 제2 기준 레벨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입력 교류 전압이 구형파인 경우, 구형파에 기초하여, 커패시터 소자가 충전되며, 제2 다이오드 소자는, 구형파 내의 정극성 레벨만 바이패스하고, 부극성 레벨은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전압 검출부는, 제3 노드와 접지단 사이에, 제너 다이오드 소자를 더 포함하며, 제너 다이오드 소자에 의해 클램핑된 전압이, 제2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전압 검출부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극성 레벨과 부극성 레벨을 가지는 구형파인 경우, 정극성 레벨에 일부 딜레이된 하이 레벨을 가지며, 부극성 레벨에 대응하여 하이 레벨을 그대로 유지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전압 검출부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현파인 경우, 제2 스위칭 소자의 연속 턴 오프에 따라, 하이 레벨을 유지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는, 커패시터 소자와 저항 소자를 구비하는 미분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입력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컨버터와,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자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전압 검출부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극성 레벨과 부극성 레벨을 가지는 구형파인 경우, 정극성 레벨에 일부 딜레이된 하이 레벨을 가지며, 부극성 레벨에 대응하여 하이 레벨을 그대로 유지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제어부는, 전압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컨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다양한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전압 검출부로부터의 신호가 기준 레벨과 크로싱되는 경우,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전압 검출부로부터의 신호가 기준 레벨과 크로싱되는 경우,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는 전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9는 도 8의 컨버터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10a 내지 도 13b는 도 8의 영상표시장치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다양한 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액정표시패널(LCD 패널),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 무기발광패널(LED 패널)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180)가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유기발광패널(210)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18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LET)에 접속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며,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LET)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한편, 건물 내 또는 건물 외에 설치 가능한 영상표시장치(100)에 대해, 자가 발전을 이용하여 교류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즉, 도면에서의 콘센트(outlet)(LET)가 자가 발전 교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가 발전을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압은, 정현파가 아닌 구형파 등일 수도 있다.
한편, 자가 발전 등에 의해, 정현파가 아닌 교류 전압이, 영상표시장치(100)에 공급되는 경우, 기존 회로 구성에 의하면, 교류 전압의 공급을 인식하지 못하여, 전원이 온 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19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Sa,Sb)를 구비하며, 스위칭 소자(Sa,Sb)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입력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여, 직류 전원(Vdc)을 출력하는 컨버터(700)를 포함하며, 컨버터(700)의 출력단(nc-nd)의 부하(900)에 따라, 스위칭 소자(Sa,Sb)가 연속 스위칭하는 제1 모드와, 스위칭 소자(Sa,Sb)가 연속 스위칭하다가 스위칭을 중지하는 제2 모드로 구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모드에 의하면, 제1 모드에 비해, 스위칭을 덜하게 되므로, 스위칭 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19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Sa,Sb)를 구비하며, 스위칭 소자(Sa,Sb)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입력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여, 직류 전원(Vdc)을 출력하는 컨버터(700)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 스위칭 소자(Sa,Sb)가 연속 스위칭하는 제1 모드와, 스위칭 소자(Sa,Sb)가 연속 스위칭하다가 스위칭을 중지하는 제2 모드로 구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에 따라,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모드에 의하면, 제1 모드에 비해, 스위칭을 덜하게 되므로, 스위칭 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의 다양한 동작방법에 대해서는, 도 9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한편,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TV, 모니터,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튜너부(110), 복조부(120)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셋탑 박스(5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미도시)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포맷터(360)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 / 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a의 (b)), 앞뒤(도 4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5),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5)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패널 기반의 디스플레이(180)는, 유기발광패널(210), 제1 인터페이스부(230), 제2 인터페이스부(231), 타이밍 컨트롤러(232), 게이트 구동부(234), 데이터 구동부(236), 메모리(240), 프로세서(270), 전원 공급부(290), 전류 검출부(1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 및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하고,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 내의 제1 인터페이스부(230)는, 제어부(170)로부터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류 전원(V1)은, 디스플레이(180) 내의 전원 공급부(290), 및 타이밍 컨트롤러(232)의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제2 인터페이스부(231)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직류 전원(V2)은, 디스플레이(180) 내의 데이터 구동부(236)에 입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부(230)가 입력되는 영상 신호(Vd)를 변환하여 변환된 영상 신호(va1)를 출력하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변환된 영상 신호(va1)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제어부(170)로부터의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234)의 동작을 위한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부(236)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구동 신호(Sda)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게이트 구동부(234)에 제어 신호(Cs)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는, 타이밍 컨트롤러(232)로부터의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 신호(Sda)에 따라, 각각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유기발광패널(21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210)은 소정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유기발광패널(210)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유기 발광층에 대응하는 각 화소에,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구동부(236)는, 제2 인터페이스부(231)로부터의 제2 직류 전원(V2)에 기초하여, 유기발광패널(210)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각종 전원을,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에 공급할 수 있다.
전류 검출부(111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되는 전류는, 누적 전류 연산을 위해, 프로세서(270) 등에 입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각 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전류 검출부(1110)로부터,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에 흐르는 전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에 흐르는 전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의 누적 전류를 연산할 수 있다. 연산되는 누적 전류는, 메모리(24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각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의 누적 전류가, 허용치 이상인 경우, 번인(burn in)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각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의 누적 전류가, 300000 A 이상인 경우, 번인된 서브픽셀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각 유기발광패널(210)의 서브픽셀 중 일부 서브픽셀의 누적 전류가, 허용치에 근접하는 경우, 해당 서브픽셀을, 번인이 예측되는 서브픽셀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전류 검출부(1110)에서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가장 누적 전류가 큰 서브픽셀을, 번인 예측 서브픽셀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전류 검출부(1110)에서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유기발광패널(210) 내의 번인 서브픽셀 또는 번인 예측 서브픽셀을 연산하고, 연산된 번인 서브픽셀 또는 번인 예측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에, 할당된 전류 보다 낮은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번인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의 번인(burn in)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유기발광패널(210)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연산된 번인 서브픽셀에, 할당된 전류 보다 높은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산된 번인 서브픽셀 주변에 낮은 전류가 흘러, 휘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유기발광패널(210) 내에, 번인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번인 예측되는, 번인 예측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에, 할당된 전류 보다 낮은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함으로써, 번인 예측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의 번인(burn in)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유기발광패널(210)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연산된 번인 서브픽셀 또는 번인 예측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에, 할당된 데이터 전압 보다 낮은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유기발광패널(210) 내에, 번인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번인 예측되는, 번인 예측 서브픽셀에도, 할당된 전류 보다 낮은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함으로써, 번인 예측 서브픽셀의 번인(burn in)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유기발광패널(210)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연산된 번인 서브픽셀 또는 번인 예측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 중 제1 서브픽셀 보다 더 먼 제2 서브픽셀에, 제1 레벨 보다 높은 제2 레벨의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면, 수명이 더 길계 예측되는 제2 서브 픽셀에, 더 높은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휘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전류 검출부(1110)에서 검출된 전류에 기초하여, 유기발광패널(210) 중 누적 전류량이 가장 큰 서브픽셀을 연산하고, 누적 전류량이 가장 큰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에, 할당된 전류 보다 낮은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유기발광패널(210)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누적 전류량이 가장 큰 서브픽셀에, 가까울수록, 누적 전류량이 가장 큰 서브픽셀 주변의 서브픽셀에, 더 낮은 레벨의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함으로써, 유기발광패널(210)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는, 유기발광패널(210) 내의 픽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패널(210)은, 복수의 스캔 라인(Scan 1 ~ Scan n)과, 이에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R1,G1,B1,W1 ~ Rm,Gm,Bm,Wm)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패널(210) 내의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픽셀(subpixel)이 정의된다. 도면에서는, RGBW의 서브픽셀(SR1,SG1,SB1,SW1)을 구비하는 픽셀(Pixel)을 도시한다.
도 6b은, 도 6a의 유기발광패널의 픽셀(Pixel) 내의 어느 하나의 서브픽셀(sub pixel)의 회로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서브픽셀(sub pixell) 회로(CRT)는, 능동형으로서, 스위칭 트랜지스터(SW1), 저장 커패시터(Cst), 구동 트랜지스터(SW2), 유기발광층(OLED)을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1)는, 게이트 단자에 스캔 라인(Scan line)이 접속되어, 입력되는 스캔 신호(Vdscan)에 따라 턴 온하게 된다. 턴 온되는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Vdata)를 구동 트랜지스터(SW2)의 게이트 단자 또는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저장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SW2)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 레벨과, 저장 커패시터(Cst)의 타단에 전달되는 직류 전원(VDD) 레벨의 소정 차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가, PAM(Plu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레벨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다른 예로, 데이터 신호가 PWM(Plu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펄스폭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구동 트랜지스터(SW2)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원 레벨에 따라 턴 온된다. 구동 트랜지스터(SW2)가 턴 온하는 경우, 저장된 전원 레벨에 비례하는, 구동 전류(IOLED)가 유기발광층(OLED)에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OLED)은 발광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유기발광층(OLED)은, 서브픽셀에 대응하는 RGBW의 발광층(EML)을 포함하며, 정공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정공 저지층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브픽셀(sub pixell)은, 유기발광층(OLED)에서 모두 백색의 광을 출력하나,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색상 구현을 위해, 별도의 컬러필터가 구비된다. 즉,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각각 녹색,적색,청색 컬러필터를 더 구비한다. 한편, 백색 서브픽셀의 경우, 백색광을 출력하므로, 별도의 컬러필터가 필요 없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1)와 구동 트랜지스터(SW2)로서, p타입의 MOSFET인 경우를 예시하나, n타입의 MOSFET이거나, 그 외, JFET, IGBT, 또는 SIC 등의 스위칭 소자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픽셀(Pixel)은, 단위 표시 기간 동안, 구체적으로 단위 프레임 동안, 스캔 신호가 인가된 이후, 유기발광층(OLED)에서 계속 발광하는 홀드 타입의 소자이다.
한편, 도 6b에 도시되는 각 서브필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OLED)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발광을 한다.
도 7은 전원 공급부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는 전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Ta 시점에 교류 전원이 전원 공급부(190)에 공급되는 경우, Px 기간 이후의 Tb 시점에, 디스플레이(180)의 패널(210)에 동작 전원(VDD)이 공급되어 턴온된다.
한편, Tc 시점에, 교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Td 시점에, 패널(210)에 인가되는 전압이 그라운드 전압(GND)까지 하강하게 된다.
그 이후, Te 시점에, 교류 전원이 전원 공급부(190)에 다시 공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의 패널(210)에 공급되는 전압이 상승하여, Tf 시점에, 디스플레이(180)의 패널(210)에 동작 전원(VDD)이 공급되어 턴온된다.
이때, Td 시점부터 Tf 시점까지의 기간, 또는 Tc 시점부터 Tf 시점까지의 기간은, 패널 보호 등을 위해, 최소 온 대기 기간과 동일하거나,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8의 영상표시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90), 마이컴(750), 릴레이(755), 타이밍 컨트롤러(232), 패널(210), 제1 전압 검출부(A1), 제2 전압 검출부(A2)를 구비할 수 있다.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LET)에 접속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Vac)이 공급되며, 플러그(PLG)가 콘센트(outlet)(LET)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Vac)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710),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제1 dc/dc 컨버터(715), 제2 dc/dc 컨버터(720), 전원 오프시, 스탠바이 전원을 공급하는 스탠바이부(725), 제어부(91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ac/dc 컨버터(710), 제1 dc/dc 컨버터(715), 제2 dc/dc 컨버터(720), 스탠바이부(725)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파워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릴레이(755)가 동작하며, 동작 신호(RL)가 마이컴(750)에 입력될 수 있다.
마이컴(750)은,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동작 전원(V1)을 입력받아, 동작하며, 전원 제어 신호(VDD_CL)를 전원 공급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전원 제어 신호(VDD_CL)에 응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232)로 동작 전원(VDD)을 출력하며,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패널(210)로 동작 전원(VDD)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압 검출부(A1)는, 제1 저항 소자(Rm1)를 이용하여,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제1 전압 검출부(A1)는, 정현파(sine wave)의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2 전압 검출부(A2)는, 커패시터 소자(C1)와 제2 저항 소자(R2)를 구비하는 미분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제2 전압 검출부(A2)는, 구형파(square wave)의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10)는, 제1 전압 검출부(A1)로부터 검출되는 제1 신호(Vac1)를 수신하는 제1 단자(Pn1)와, 제2 전압 검출부(A2)로부터 검출되는 제2 신호(Vac2)를 수신하는 제2 단자(Pn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10)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현파인 경우, 제1 신호(Vac1)에 기초하여, 컨버터(700)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하며, 입력 교류 전압이 구형파인 경우, 제2 신호(Vac2)에 기초하여, 컨버터(700)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910)는, 제1 신호(Vac1) 또는 제2 신호(Vac2)에 기초하여, 입력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컨버터(700)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910)는, 제1 신호(Vac1)의 레벨이 제1 기준 레벨(Vref1)과 크로싱되는 경우, 컨버터(700)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910)는, 제2 신호(Vac2)의 레벨이 제2 기준 레벨(Vref2)과 크로싱되는 경우, 컨버터(700)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8의 컨버터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190)는, 입력 교류 전원(Vac)(705)을 직류 전원(Vdc)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700)와, 컨버터(700)를 제어하는 제어부(91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190)는, 제1 저항 소자(Rm1)를 이용하여,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제1 전압 검출부(A1), 커패시터 소자(C1)와 제2 저항 소자(R2)를 구비하는 미분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제2 전압 검출부(A2), 컨버터(700)의 출력단(nc-nd)에 접속되는 커패시터(Ca), 컨버터(700)의 출력단(nc-nd)의 전압을 검출하는 dc단 전압 검출부(B), 컨버터(70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압 검출부(A1)는, 입력 교류 전원(Vac)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압(Vac)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전압 검출부(A1)는 저항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되는 제1 신호(Vac1)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제어부(910)에 입력될 수 있다.
제2 전압 검출부(A2)는, 입력 교류 전원(Vac)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압(Vac)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전압 검출부(A2)는 커패시터 소자(C1)와 제2 저항 소자(R2)를 구비하는 미분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되는 제2 신호(Vac2)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제어부(910)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제1 전압 검출부(A1)와, 제2 전압 검출부(A2)는, 노드 n1,n2 양단의 입력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압 검출부(A1)와, 제2 전압 검출부(A2)는, 서로 병렬 접속되며, 입력 교류 전원(705)과 컨버터(700) 사이에, 서로 병렬 접속될 수 있다.
전류 검출부(C)는, 컨버터(700)에 흐르는 전류(Ipf)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류 검출부(C)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되는 전류(Ipf)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제어부(910)에 입력될 수 있다.
dc 단 전압 검출부(B)는 커패시터(Ca)의 양단(nc-nd단)인 dc 단 전압(Vdc)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c 단 전압 검출부(B)는 저항 소자,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되는 dc 단 전압(Vdc)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제어부(910)에 입력될 수 있다.
컨버터(70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Sa,Sb)를 구비하며, 스위칭 소자(Sa,Sb)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입력 전원(Vac)의 레벨을 변환하여, 직류 전원(Vdc)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버터(700)는, 풀 브릿지 형태의 4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버터(700)는, 하프 브릿지 형태의 2개의 스위칭 소자와 2개의 다이오드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프 브릿지 형태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컨버터(700)는,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1 다이오드 소자(Da)와 제1 스위칭 소자(Sa)와, 제1 다이오드 소자(Da) 및 제1 스위칭 소자(Sa)와 병렬 접속되며,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 소자(Db)와 제2 스위칭 소자(S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컨버터(700)는, 제1 다이오드 소자(Da)와 제1 스위칭 소자(Sa) 사이의 제1 노드(na)와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인덕터(La)와, 제2 다이오드 소자(Db)와 제2 스위칭 소자(Sb) 사이의 제2 노드(nb)와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인덕터(L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덕터(La)와, 제2 인덕터(Lb)는 서로 병렬 접속될 수 있다.
전류 검출부(C)는, 컨버터(700)에 흐르는 전류(Ipf) 검출시, 제1 인덕터(La)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제2 인덕터(Lb)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컨버터(700)는, 입력 교류 전원(705)과 제1 인덕터(La)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오드 소자(D1), 입력 교류 전원(705)과 제2 인덕터(Lb)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오드 소자(D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이오드 소자(D1)와 다이오드 소자(D2)는 서로 병렬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에서의 소비 전력 저감을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컨버터(700)의 출력단(nc-nd)의 부하(900)에 따라, 스위칭 소자(Sa,Sb)가 연속 스위칭하는 제1 모드와, 스위칭 소자(Sa,Sb)가 연속 스위칭하다가 스위칭을 중지하는 제2 모드로 구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 모드에 의하면, 제1 모드에 비해, 스위칭을 덜하게 되므로, 스위칭 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910)는, 컨버터(700)의 출력단(nc-nd)의 부하(900)에 따라, 스위칭 소자(Sa,Sb)가 연속 스위칭하는 제1 모드와, 스위칭 소자(Sa,Sb)가 연속 스위칭하다가 스위칭을 일시 중지하는 제2 모드로 구분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10)는, 컨버터(700)의 출력단(nc-nd)의 부하(900)가, 제1 레벨 이상인 경우, 제1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부하(900)가, 제1 레벨 미만인 경우, 제2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부하(900)가, 제1 레벨 미만인 경우, 제2 모드에 의해 스위칭을 수행하므로, 스위칭 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910)는, 제1 전압 검출부(A1)로부터 검출되는 제1 신호(Vac1)를 수신하는 제1 단자(Pn1)와, 제2 전압 검출부(A2)로부터 검출되는 제2 신호(Vac2)를 수신하는 제2 단자(Pn2)를 포함하는 제어부(9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10)는, 제1 신호(Vac1) 또는 제2 신호(Vac2)에 기초하여, 컨버터(700)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다양한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910)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현파인 경우, 제1 신호(Vac1)에 기초하여, 컨버터(700)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하며, 입력 교류 전압이 구형파인 경우, 제2 신호(Vac2)에 기초하여, 컨버터(700)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910)는, 제1 신호(Vac1) 또는 제2 신호(Vac2)에 기초하여, 입력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컨버터(700)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910)는, 제1 신호(Vac1)의 레벨이 제1 기준 레벨(Vref1)과 크로싱되는 경우, 컨버터(700)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910)는, 제2 신호(Vac2)의 레벨이 제2 기준 레벨(Vref2)과 크로싱되는 경우, 컨버터(700)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3b는 도 8의 영상표시장치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a는 제1 전압 검출부(A1)의 회로도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전압 검출부(A1)는, 입력 교류 전압(Vac)의 검출을 위해, 저항 소자(Rm1,Rm2)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전압 검출부(A1)가, 역류 방지를 위한, 다이오드 소자(Dm1)와 저항 소자(Rm1)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1 전압 검출부(A1)는, 다이오드 소자(Dm2)와 저항 소자(Rm2)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다이오드 소자(Dm2)와 저항 소자(Rm2)는, 다이오드 소자(Dm1)와 저항 소자(Rm1)에 병렬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다이오드 소자(Dm1,Dm2)는, 하프 브릿지 형태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제1 전압 검출부(A1)에서 검출되는 제1 신호(Vac1)는, 제어부(910)의 제1 단자(pn1)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0a의 제1 전압 검출부(A1)에, 도 10b의 (a)와 같은 정현파의 입력 전압(Vaca)이 입력되는 경우, 다이오드 소자(Dm1,Dm2)는, 입력 전압(Vaca)의 부극성의 레벨은 차단하며, 정극성의 레벨만 통과시킨다.
따라서, 제1 전압 검출부(A1)는, 도 10b의 (b)와 같이, 전파 정류된 제1 신호(Vpa)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전압 검출부(A1)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현파인 경우, 제1 기준 레벨(Vref1)과 크로싱되는 제1 신호(Vac1)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10)는, 제1 신호(Vpa)의 레벨이 제1 기준 레벨(Vref1)과 크로싱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하는 경우, 즉, 제1 신호(Vpa)의 레벨이 제1 기준 레벨(Vref1)과 크로싱되는 경우, 교류 입력 전압(Vaca)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컨버터(700)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10a의 제1 전압 검출부(A1)에, 도 10c의 (a)와 같은 구형파의 입력 전압(Vacb)이 입력되는 경우, 다이오드 소자(Dm1,Dm2)는, 입력 전압(Vacb)의 부극성의 레벨은 차단하며, 정극성의 레벨만 통과시킨다.
따라서, 제1 전압 검출부(A1)는, 도 10c의 (b)와 같이, 전파 정류된 제2 신호(Vpb)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전압 검출부(A1)는, 입력 교류 전압이 구형파인 경우, 제1 기준 레벨(Vref1) 보다 높은 레벨의 제2 신호(Vpb)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10)는, 제2 신호(Vpb)의 레벨이 제1 기준 레벨(Vref1)과 크로싱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하지 않는 경우, 즉, 제2 신호(Vpb)의 레벨이 제1 기준 레벨(Vref1)과 크로싱되지 않는 경우, 교류 입력 전압(Vacb)이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컨버터(700)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c와 같이, 구형파의 입력 전압(Vacb)이 입력되는 경우, 제1 전압 검출부(A1)만으로는, 구형파 입력 전압을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전압에 대응가능하도록, 특히, 구형파 입력 전압을 검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1 전압 검출부(A1)와 병렬 접속되는 제2 전압 검출부(A2)를 제안한다. 제2 전압 검출부(A2)의 회로의 일예는 도 11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910)는, 제1 전압 검출부(A1)로부터 검출되는 제1 신호(Vac1)와, 제2 전압 검출부(A2)로부터 검출되는 제2 신호(Vac2)를 각각 별도로 수신하기 위해, 도 10d와 같이, 제1 전압 검출부(A1)로부터 검출되는 제1 신호(Vac1)를 수신하는 제1 단자(Pn1)와, 제2 전압 검출부(A2)로부터 검출되는 제2 신호(Vac2)를 수신하는 제2 단자(Pn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로 입력되는 제1 신호(Vac1)와 제2 신호(Vac2)에 기초하여, 다양한 입력 전압의 파형을 검출하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압 검출부(A2)의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압 검출부(A2)는,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pd) 사이에 접속되는 커패시터 소자(C1)와, 제2 노드(npd)와 접지단(GND) 사이에 접속되는 다이오드 소자(D1)와, 제2 노드(npd)와 제3 노드(npb) 사이에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 소자(D2)와, 제3 노드(npb)와 접지단(GND)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저항 소자(R2)와, 제3 노드(npb)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며, 접지단(GND)에 소스 단자가 접속되는 제2 스위칭 소자(SW)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압 검출부(A2)는,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pd) 사이에 접속되며, 커패시터 소자(C1)에 직렬 접속되는 저항 소자(R1)와, 제2 노드(npd)와 접지단(GND) 사이에 접속되며, 다이오드 소자(D1)에 병렬 접속되는 커패시터 소자(C2)와, 제3 노드(npb)와 접지단(GND) 사이에 접속되며 제2 저항 소자(R2)에 병렬 접속되는 커패시터 소자(C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압 검출부(A2) 내의, 커패시터 소자(C1)와, 제2 저항 소자(R2)는 미분 회로를 구성하며, 입력 교류 전압의 dv/dt를 이용하여 커패시터 소자(C1)에 입력 교류 전압이 충전(charginh)된다.
특히, 입력 교류 전압이 구형파 전압인 경우, dv/dt를 이용하여 커패시터 소자(C1)에 입력 교류 전압이 충전(charginh)된다.
그리고, 다이오드 소자(D2)에 의해, 부극성의 레벨은 차단되며, 정극성의 레벨만 전달된다.
한편, 제2 전압 검출부(A2)는, 제3 노드(npb)와 접지단(GND) 사이에, 제너 다이오드 소자(D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너 다이오드 소자(D3)에 의해 클램핑된 전압이, 제2 스위칭 소자(SW)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제2 스위칭 소자(SW)의 드레인 단자는, 노드 npcdp 접속되며, 접속 단자(Ted)를 통해, 제2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2 전압 검출부(A2)의 접속 단자(Ted)는, 외부의 제어부(910)의 제2 단자(Pn2)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11의 제2 전압 검출부(A2)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3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입력 교류 전압이 정극성 레벨과 부극성 레벨을 가지는 구형파 전압(Vacc)인 경우, dv/dt를 이용하여 커패시터 소자(C1)에 입력 교류 전압이 충전(charginh)된다.
커패시터 소자(C1)에 충전된 전압 파형(Vnpa)은, 입력 교류 전압의 정극성 레벨 인가 시점인 ta1 부터 ta2 동안 정극성의 레벨을 가지며, 입력 교류 전압의 부극성 레벨 인가 시점인 tb1 부터 tb2 동안 부극성의 레벨을 가진다.
그 이후, 커패시터 소자(C1)에 충전된 전압 파형(Vnpa)은, tc1 부터 tc2 동안 정극성의 레벨을 가지며, 입력 교류 전압의 부극성 레벨 인가 시점인 td1 부터 td2 동안 부극성의 레벨을 가진다.
다음, 커패시터 소자(C1)에 충전된 전압 파형(Vnpa)은, 다이오드 소자(D2)에 의해, 부극성의 레벨은 차단되며, 정극성의 레벨은 바이패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오드 소자(D2)를 통과한 전압 파형(Vnpb)은, 입력 교류 전압의 정극성 레벨 인가 시점인 ta1 부터 ta2 동안 정극성의 레벨을 가지며, 그 이후, tc1 부터 tc2 동안 정극성의 레벨을 가진다.
다음, 제3 노드(npb)와 접지단(GND) 사이에 접속되는, 제너 다이오드 소자(D3)에 의해, 클램핑된 전압이, 제2 스위칭 소자(SW)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핑된 전압에 따라, 제2 스위칭 소자(SW)가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결국, 제2 스위칭 소자(SW)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극성 레벨과 부극성 레벨을 가지는 구형파(Vacc)인 경우, ta1 시점 부터 ta3 시점까지 턴 온되며, ta3 시점부터 tc1 시점까지 턴 오프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tc1 시점 부터 tc3 시점까지 턴 온될 수 있다.
한편, ta3 시점은, 도 12의 ta2 시점과 동일할 수도 있다. 즉, 제2 스위칭 소자(SW)의 턴 온 기간은, 커패시터 소자(C1)에 충전된 전압 파형(Vnpa) 중 정극성 레벨 기간 또는 다이오드 소자(D2)를 통과한 전압 파형(Vnpb) 중 정극성 레벨 기간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제2 스위칭 소자(SW)의 턴 온시, 소스 단자의 접속된 접지단(GND) 전압이, 노드 npc에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제2 스위칭 소자(SW)의 턴 온시, 노드 npcdml 전압은 로우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2 스위칭 소자(SW)의 턴 오프시, 노드 npc의 레벨은 하이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특히, 제2 스위칭 소자(SW)의 턴 오프시, 노드 npc의 레벨이 디폴트로, 하이 레벨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드 npc의 전압 파형(Vnpc)은, 도 12와 같이, 제2 스위칭 소자(SW)의 턴 온시, 로우 레벨을 가지며, 제2 스위칭 소자(SW)의 턴 오프시, 하이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전압 검출부(A2)는, 도 13a의 (a)와 같이 입력 교류 전압이 구형파(Vacc)인 경우, 제2 스위칭 소자(SW)의 턴 온시, 로우 레벨을 출력하며, 제2 스위칭 소자(SW)의 턴 오프시, 하이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a의 (a)와 같이 입력 교류 전압이 구형파(Vacc)인 경우, 제2 스위칭 소자(SW)에 흐르는 전류 파형(Iswa)은, 도 13a의 (b)와 같이, ta1 부터 ta3 까지 하이 레벨(Lm)을 유지하며, ta3 부터 tc1 까지 로우 레벨을 유지하다가, tc1 부터 tc3까지 하이 레벨(Lm)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 또는 도 13a의 (c)와 같이, 노드 npc의 전압 파형(Vnpc)은, 입력 교류 전압이 정극성 레벨과 부극성 레벨을 가지는 구형파(Vacc)인 경우, 정극성 레벨에 일부 딜레이된 하이 레벨을 가지며, 부극성 레벨에 대응하여 하이 레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정극성 레벨에 일부 딜레이된 하이 레벨의 의미는, ta1 시점이 아닌 ta3 시점부터 하이 레벨을 가지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제2 전압 검출부(A2)에서 출력되는 로우 레벨은, 제2 기준 레벨(Vref2) 보다 작으며, 제2 전압 검출부(A2)에서 출력되는 하이 레벨은 제2 기준 레벨(Vref2)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910)는, 제2 신호(Vac2)의 레벨이 제2 기준 레벨(Vref2)과 크로싱되는 경우, 컨버터(700)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형파의 교류 전압 인가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b의 (a)와 같이, 입력 교류 전압이 정현파(Vacd)인 경우, 제2 전압 검출부(A2) 내의 제2 스위칭 소자(SW)가 연속하여 턴 오프된다.
따라서, 도 13b의 (b)와 같이, 제2 스위칭 소자(SW)에 흐르는 전류 파형(Iswb)은, 도 13a의 (b)와 같이, 연속하여 로우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b의 (c)와 같이, 노드 npc의 전압 파형(Vnpc)은, 하이 레벨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910)는, 제2 전압 검출부(A2)로부터, 도 13b의 (c)와 같은, 제2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기준 레벨(Vref2)과 크로싱을 검출할 수 없게된다.
다만, 제어부(910)는, 제1 전압 검출부(A1)로부터, 정현파에 대한 제1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 기준 레벨(Vref1)과 크로싱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컨버터(700) 내의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1 전압 검출부(A1)와, 제2 전압 검출부(A2)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입력 전압 파형에 대해 검출 가능하며, 따라서, 컨버터(700) 등을 비롯한 전원 공급부(190)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제1 저항 소자를 이용하여, 정현파 기반의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제1 전압 검출부;
    커패시터 소자와 제2 저항 소자를 구비하는 미분 회로를 이용하여, 구형파 기반의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제2 전압 검출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정현파 기반의 입력 교류 전압 또는 상기 구형파 기반의 입력 교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컨버터;
    상기 제1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2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 내의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의 출력단의 부하가, 제1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가 연속 스위칭하는 제1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부하가, 상기 제1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가 연속 스위칭하다가 스위칭을 중지하는 제2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 입력되는 입력 교류 전압이 상기 정현파인 경우,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 내의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입력 교류 전압이 상기 구형파인 경우,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 내의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에 입력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버터 내의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의 레벨이 제1 기준 레벨과 크로싱되는 경우, 상기 컨버터 내의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2 신호의 레벨이 제2 기준 레벨과 크로싱되는 경우, 상기 컨버터 내의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 입력되는 입력 교류 전압이 상기 정현파인 경우, 제1 기준 레벨과 크로싱되는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입력 교류 전압이 상기 구형파인 경우, 상기 제1 기준 레벨 보다 높은 레벨의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 검출부는,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상기 커패시터 소자;
    상기 제2 노드와 접지단 사이에 접속되는 다이오드 소자;
    상기 제2 노드와 제3 노드 사이에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 소자;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접지단 사이에 접속되는 상기 제2 저항 소자;
    상기 제3 노드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접지단에 소스 단자가 접속되는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에 입력되는 입력 교류 전압이 상기 구형파인 경우, 상기 구형파 내의 정극성 레벨의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며,
    상기 제2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턴 온시, 로우 레벨을 출력하며,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턴 오프시, 하이 레벨을 출력하며,
    상기 제2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로우 레벨은, 제2 기준 레벨 보다 작으며, 상기 제2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하이 레벨은 상기 제2 기준 레벨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접지단 사이에, 제너 다이오드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너 다이오드 소자에 의해 클램핑된 전압이,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 입력되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극성 레벨과 부극성 레벨을 가지는 상기 구형파인 경우, 상기 정극성 레벨의 일부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 상기 정극성 레벨의 다른 일부에 대응하는 하이 레벨, 및 상기 부극성 레벨에 대응하는 상기 하이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커패시터 소자와 저항 소자를 구비하는 미분 회로를 이용하여, 구형파 기반의 입력 교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구형파 기반의 입력 교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컨버터;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자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 입력되는 입력 교류 전압이 정극성 레벨과 부극성 레벨을 가지는 상기 구형파인 경우, 상기 정극성 레벨의 일부에 대응하는 로우 레벨, 상기 정극성 레벨의 다른 일부에 대응하는 하이 레벨, , 및 상기 부극성 레벨에 대응하는 상기 하이 레벨을 포함하는 검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의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 내의 상기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삭제
KR1020217008711A 2019-10-25 2019-10-25 영상표시장치 KR102677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4219 WO2021080060A1 (ko) 2019-10-25 2019-10-25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523A KR20220086523A (ko) 2022-06-23
KR102677464B1 true KR102677464B1 (ko) 2024-06-20

Family

ID=7562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711A KR102677464B1 (ko) 2019-10-25 2019-10-25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30426B2 (ko)
EP (1) EP4050593A4 (ko)
KR (1) KR102677464B1 (ko)
WO (1) WO202108006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19528A1 (en) 2018-04-11 2019-10-17 Tdk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a Measuring and Calculating Process for the Switching Tim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181B1 (ko) 2005-11-17 201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버터 회로, 백라이트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액정표시장치
KR20070081935A (ko) * 2006-02-14 2007-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전압 안정화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구동 장치
KR20080109551A (ko) 2007-06-13 2008-12-17 주식회사 아이윈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구동 드라이버
GB201113523D0 (en) * 2011-08-05 2011-09-21 Edwards Ltd A controller for a voltage converter
CN102843836B (zh) * 2012-08-28 2014-06-25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适应可控硅的led驱动电路、驱动方法及应用其的开关电源
KR20140144885A (ko) 2013-06-12 2014-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회로부, 그 전원공급방법 및 그것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US9436255B2 (en) * 2013-11-18 2016-09-06 Dell Products Lp DC-powered system side control of AC-DC adapter primary side switching circuitry
KR102708696B1 (ko) * 2016-04-21 202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
KR102431503B1 (ko) * 2017-10-18 2022-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US11411509B2 (en) * 2020-10-16 2022-08-09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input power of different typ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19528A1 (en) 2018-04-11 2019-10-17 Tdk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a Measuring and Calculating Process for the Switching Tim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0593A4 (en) 2023-06-21
US20220375406A1 (en) 2022-11-24
EP4050593A1 (en) 2022-08-31
KR20220086523A (ko) 2022-06-23
WO2021080060A1 (ko) 2021-04-29
US11830426B2 (en)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442B1 (ko) 영상표시장치
KR20200117491A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US1078988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210026293A (ko) 영상표시장치
KR20200032584A (ko) 영상표시장치
KR102642615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1097799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638182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390902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366403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677464B1 (ko) 영상표시장치
CN114554122B (zh) 图像显示设备
KR10257038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59138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1159417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588780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21013878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72248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210148378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