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6641B1 - 전력 효율이 향상된 3 단 결합구조의 교통표지판 - Google Patents

전력 효율이 향상된 3 단 결합구조의 교통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6641B1
KR102676641B1 KR1020230090661A KR20230090661A KR102676641B1 KR 102676641 B1 KR102676641 B1 KR 102676641B1 KR 1020230090661 A KR1020230090661 A KR 1020230090661A KR 20230090661 A KR20230090661 A KR 20230090661A KR 102676641 B1 KR102676641 B1 KR 102676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light
light emitting
traffic sign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0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형
김지현
김재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지
Priority to KR1020230090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6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6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6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opt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효율이 향상된 3 단 결합구조의 교통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 투과를 위해 짧게 절단된 핀 구조의 광섬유를 사용함으로써 과도한 광섬유 사용을 제한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각각의 광섬유 다발을 하나의 발광부에 접속해 광 분배를 시키는 구조 대비 각각의 광섬유 핀을 발광부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고 또한 접속을 위한 집속, 선 정리 등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공정 및 구조가 대폭 간소화되며 특히, 단일의 고출력 발광부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적당한 출력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발광부 어레이 사용을 가능케해 낮은 광 출력으로도 충분한 야간 시인성을 확보해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태양광 발전 등과 같은 자체 발전시 저전력으로도 구동시킬 수 있어 전력 효율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 효율이 향상된 3 단 결합구조의 교통표지판{3-Assy type traffic sign with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전력 효율이 향상된 3 단 결합구조의 교통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 투과를 위해 짧게 절단된 핀 구조의 광섬유를 사용함으로써 과도한 광섬유 사용을 제한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각각의 광섬유 다발을 하나의 발광부에 접속해 광 분배를 시키는 구조 대비 각각의 광섬유 핀을 발광부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고 또한 접속을 위한 집속, 선 정리 등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공정 및 구조가 대폭 간소화되며 특히, 단일의 고출력 발광부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적당한 출력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발광부 어레이 사용을 가능케해 낮은 광 출력으로도 충분한 야간 시인성을 확보해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태양광 발전 등과 같은 자체 발전시 저전력으로도 구동시킬 수 있어 전력 효율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감전의 위험이 있거나 열에 의한 또는 습기가 많아 전자부품이 쉽게 적용되지 못하는 곳에는 대체로 광섬유 기술이 적용된 조명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가혹한 야외환경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장기간 사용되는 교통표지판을 예로 들 수 있다.
광섬유 조명장치는 광원으로부터 열을 제외하고 광만 전송할 뿐만 아니라 감전의 위험이 없어 수중 조명용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구조 안정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광섬유 조명장치는 광을 발생시키는 하나의 광원(Illuminator)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인입구로 전달받아 각기 다른 광섬유에 광을 전송하고, 이 전송된 광은 광섬유의 사용목적과 조사특성, 길이 등의 기준에 따라 적합한 조명으로 사용되며, 특히, 광섬유를 길이방향으로 설치해 외부로 노출시키면 선형 발광식의 조명을, 반대로 광 출력단을 외부로 노출시키면 점 발광식의 조명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광섬유 기술을 적용한 통상의 조명장치들은 하나의 광원에 수십 또는 수백 가닥의 광섬유 다발을 집속 연결하여 반대측 단부를 소켓으로 마감 처리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상의 특징으로 교통표지판에 사용됨에 있어 다양한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첫째,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각각의 광섬유로 분기시키는 구조상 도로 법규로 지정된 광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광원 자체의 출력을 고출력으로 사용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전력소모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는 적당한 출력의 광원을 여러개 사용하였을 때보다 더 큰 전력 소모를 야기한다.
특히, 전력 공급이 쉽지 않은 지역에 설치된 교통표지판들은 낮 시간대에 태양광이나 태양열 등으로 자체 발전을 한 뒤 야간에 방전을 수행해야 하는 구조상 큰 전력소모를 수용하기 어려운 사용구조상의 한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전력 소비 효율이 좋지 못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표지판 하우징 내부로 수백가닥의 광섬유를 집속해 수용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광섬유 다발이 불필요하게 많은 부피를 차지하게 되고, 이에 내부 구조 역시 복잡해져 유지보수가 힘들다는 점이 지적되어 왔다.
셋째, 교통표지판의 목적상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해 면적이 넓고, 광 방식으로 표시해야 하는 정보들도 다양해야 하므로, 이에 대응되게 많은 양의 광섬유가 소요되어 제조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넷째, 교통표지판 제조 과정에서 수백 가닥의 광섬유 다발을 집속, 절단,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 과정과 부재의 취급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작업을 위한 전문 인력과 장비를 요구하였다.
등록특허 10-1265495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광 투과를 위해 짧게 절단된 핀 구조의 광섬유를 사용함으로써 과도한 광섬유 사용을 제한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각각의 광섬유 다발을 하나의 발광부에 접속해 광 분배를 시키는 구조 대비 각각의 광섬유 핀을 발광부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고 또한 접속을 위한 집속, 선 정리 등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공정 및 구조가 대폭 간소화되며 특히, 단일의 고출력 발광부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적당한 출력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발광부 어레이 사용을 가능케해 낮은 광 출력으로도 충분한 야간 시인성을 확보해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태양광 발전 등과 같은 자체 발전시 저전력으로도 구동시킬 수 있어 전력 효율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표지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면이 개방 형성되는 함체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 광을 출력하는 발광부; 및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정면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복수의 점 형태로 투과시키는 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과부는, 복수 개의 결합공이 타공 형성되는 고정판; 및 원통 실린더 형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결합공 각각의 대응개소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투과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투과핀은 전, 후단이 각각 고정판의 정면과 후면으로 동시에 돌출이 되는 길이로 절단된 광섬유이며, 고정판의 정면과 후면으로 각각 돌출되는 길이는 1mm 내지 10mm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투과핀 각각의 후단은 발광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의 테두리 틀을 구성하는 프로파일; 프로파일의 배면에 결합되며, 정면으로 상기 발광부가 접착 가고정되는 배판; 및 가고정된 상기 발광부 정면으로 결합되어 배판에 발광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프로파일, 배판 및 투과부로 둘러 쌓인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배판에서 투과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격벽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격벽부재에 의해 구획된 개별 공간에서 서로 다른 색의 광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LED 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 투과를 위해 짧게 절단된 핀 구조의 광섬유를 사용함으로써 과도한 광섬유 사용을 제한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각각의 광섬유 다발을 하나의 발광부에 접속해 광 분배를 시키는 구조 대비 각각의 광섬유 핀을 발광부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고 또한 접속을 위한 집속, 선 정리 등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공정 및 구조가 대폭 간소화되며 특히, 단일의 고출력 발광부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적당한 출력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발광부 어레이 사용을 가능케해 낮은 광 출력으로도 충분한 야간 시인성을 확보해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태양광 발전 등과 같은 자체 발전시 저전력으로도 구동시킬 수 있어 전력 효율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표지판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통표지판의 개략적인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투과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투과부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격벽부재가 적용된 실시예에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차양프레임이 적용된 교통표지판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차양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프로파일이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프로파일, 실링테이프 및 투과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차양프레임이 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프로파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코너부재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프로파일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프로파일의 단면 요부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발명의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y), 좌우(x), 전후(z)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표지판은 크게 케이스(100), 발광부(30) 및 투과부(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케이스(100)는 교통표지판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로 발광부(30)를 내장하고, 외측으로 후술 될 차양프레임(40)을, 정면으로 투과부(20)를 지지한다.
케이스(100)는 도형 형태의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한 도면에서는 정삼각형 형태의 케이스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교통 법규에 따라, 원형,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00)는 도로면에서 일정 높이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별도 브라켓을 통해 행거, 지주 등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야외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스(100)의 정면은 개방 형성되고, 개방된 정면에 투과부(20)가 결합돼 내부를 밀폐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0)는 케이스(100)의 테두리 틀을 구성하는 프로파일(110), 프로파일(110)의 배면에 결합되며, 정면으로 상기 발광부(30)가 접착 가고정되는 배판(120) 및 가고정된 상기 발광부(30) 정면으로 결합되어 배판(120)에 발광부(30)를 고정시키는 고정지그(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프로파일(110)은 내부가 빈 일정 길이의 각파이프를 다수 회 절곡하고, 양 단부를 이음 결합하여 폐루프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케이스(100)의 테두리 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삼각형 형상의 케이스(100)의 실시예에서는 프로파일(110)을 적어도 3 부분에서 절곡하고 각각의 단부를 별도 브라켓을 이용해 연결하거나, 용접 또는 리벳 이음 등의 방식으로 연결 구성할 수 있다.
4 각 단면의 각파이프를 이용하여 프로파일(110)을 형성하게 될 경우 프로파일(110)은 내부 중공부위를 중심에 두고 외측 테두리부재(111), 배면부재(112), 내측 테두리부재(113), 정면부재(114)가 서로 90도 각도로 연결된 4 각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로파일(110)의 상단 외측 테두리부재(111)에는 외부홀(111a)이 타공 형성될 수 있고, 프로파일(110)의 상단 내측 테두리부재(113)에는 가둬진 발광부(30)로부터 방열되는 열기를 프로파일(110)의 내공간으로 유도하기 위한 내부홀(113a)이 타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홀(111a)과 내부홀(113a)은 서로 동일선상에 놓이지 아니하고 상하로 일정 거리 편심될 수 있으며, 예컨대, 내부홀(113a)을 외부홀(111a)보다 상부로 높은 지점에 이격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되면 발광부(30)에서 방열된 열기는 케이스(100)의 중심 밀폐공간에 가둬지지 아니하고 내부홀(113a)을 통해 프로파일(110) 내공간으로 배출되는 한편, 프로파일(110) 내공간의 열기는 다시 외부홀(111a)을 통해 외부로 배기 처리가 이루어져 교통표지판의 과열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외부홀(111a)을 그대로 노출시킴에 따라 외부홀(111a)을 통해 우수 등의 유입 가능성이 있는데, 외부홀(111a)로 우수가 유입되더라도 외부홀(111a)보다 내부홀(113a)이 상부로 이격 배치되어 있는 구조상 외부홀(111a)로 유입된 우수는 내부홀(113a)을 통해 케이스(100) 내부 밀폐공간으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프로파일(110)의 내공간을 따라 프로파일(110) 하부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때, 우수의 배수를 위하여 외측 테두리부재(111)의 하부 중심에는 배수홀(111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프로파일(110)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배판(120)은 틀 형태로 절곡 구성된 프로파일(110)의 개방된 배면을 폐쇄하는 구성으로, 프로파일(110)과 동일한 삼각형 판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프로파일(110)의 배면부재(112)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배판(120)의 정면으로는 복수 개의 발광부(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발광부(30)는 배판(120)의 정면에 접착제 등으로 가고정되어 1차적으로 대략적인 고정이 이루어지고, 후술 될 고정지그(130)를 통해 배판(120)과 고정지그(130) 사이에 가둬져 완전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지그(130)는 가고정된 발광부(30) 전방으로 결합되어 배판(120)에 발광부(3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고정지그(130)는 판상의 형태로서 복수 개의 발광부(30) 각각을 전방을 향해 노출시키게끔 발광부(30)의 대응위치에 복수 개의 삽입구(131)가 각각 관통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고정지그(130)는 발광부(30)의 광을 전방을 향해 확산 내지 반사할 수 있도록 정면에 반사지시트가 부착될 수 있다.
발광부(30)는 케이스(100)의 개방된 정면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 광을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발광부(30)는 LED 모듈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광을 출력할 수 있는 선에서 다양한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발광부(30)에는 광의 직진성을 높여주는 프로젝션 랜즈 또는 광을 주변으로 확산시키는 확산 렌즈가 결합될 수 있다.
발광부(30)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 될 투과부(22)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부(30)로부터 동시에 출력되는 광을 수광해 전방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0)는 프로파일(110), 배판(120) 및 투과부(20)로 둘러 쌓인 내부 밀폐공간을 구획하도록 배판에서 투과부(2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격벽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30)는 상기 격벽부재(140)에 의해 구획된 개별 공간에서 서로 다른 색(유색)의 광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LED 모듈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각각 구획된 개별 공간 내의 광 출력 색상이 서로 혼합되지 아니하고 보다 직관적인 색으로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투과부(20)는 케이스(100)의 개방된 정면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부(30)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복수의 점 형태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투과부(20)는 일정 크기로 재단된 판 형태, 예컨대, 케이스(100)와 동일한 삼각형 형태의 판상 구조로서, 정면에 표지패턴 이미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하고, 아울러, 타공된 구조로부터 발광부(30)의 광을 정면을 향해 점상으로 투과시키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투과부(20)는 프로파일(110)의 정면부재(114)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정면부재(114)에는 제3 체결홀(H3)이, 투과부(20)의 테두리 부위에는 제4 체결홀(H4)이 관통 형성되고, 별도의 체결부재(B1)가 상기 제3 체결홀(H3)과 제4 체결홀(H4)을 상호 관통해 결합하여 투과부(20)를 프로파일(11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는 제4 체결홀(H4)이 투과부(20)의 테두리 부위에만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투과부(20)의 고정력 향상을 고려해, 표지패턴 이미지를 회피한 투과부(20) 내측 지점에 제4 체결홀(H4)을 추가적으로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과부(20)는 크게 고정판(21) 및 투과핀(2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고정판(21)은 정면에 표지패턴 이미지를 가지고, 케이스(100)와 동일한 삼각형 형태를 가지는 판상의 구성으로서 복수 개의 결합공(21a)이 타공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경우에 따라 고정판(21)의 정면으로는 반사지 시트(21b)가 부착 구성될 수 있고, 이때 반사지 시트(21b)는 통상의 재귀 반사를 가능케 하는 반사지 시트(21b)를 이용할 수 있다. 반사지 시트(21b)는 고정판(21)의 정면 전체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반사지 시트(21b)를 이용할 수 있다.
고정판(21)은 불투명 알류미늄 패널을 이용할 수 있고, 전술한 제4 체결홀(H4)를 포함할 수 있다.
투과핀(22)은 투명 원통 실린더 형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결합공(21a) 각각의 대응개소에 삽입되어 발광부(30)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정면을 향해 점 형상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복수로 이루어진 각각의 발광부(30)가 서로 다른 유색광을 출력할 때 적어도 어느 하나의 투과핀(22)에는 서로 다른 색상이 혼재되지 아니하고 단일 색상의 광이 집광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전술한 격벽부재(140)를 통해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투과핀(22)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부(30)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수광해 투과시킨다는 의미는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혼합해 투과시키는 것이 아니라, 서로 같은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발광부(30) 대응 위치에서 단일 색상의 광을 전방으로 투과시킨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투과핀(22)은 투명 크리스탈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광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 개의 투과핀(22)은 전, 후단이 각각 고정판(21)의 정면과 후면으로 동시에 돌출이 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투과핀(22)은 일부분이 고정판(21)의 정면과 후면으로 동시에 돌출이 되도록 결합공(21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판(21)의 후면으로 노출돼 발광부(30)를 바라보는 투과핀(22)의 후면 돌출부위(22a)로는 각각의 투과핀(22)과 동일선상에 배치된 발광부(30)의 광 뿐만 아니라, 이에 편심된 다른 발광부(30)에서 다각도로 출력되는 광들을 집광하고, 고정판(21)의 정면으로 노출되는 정면 돌출부위(22b)로는 집광된 광들을 다각도로 확산해 면발광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통표지판 정면으로의 광 투과는 물론이고, 교통표지판을 측면에서 바라보더라도 돌출된 정면 돌출부위(22b)에 맺힌 광으로 측면 시인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투과핀(22)은 전, 후단이 각각 고정판(21)의 정면과 후면으로 동시에 돌출이 되는 한편, 고정판(21)의 정면과 후면으로 각각 돌출되는 길이는 1mm 내지 10mm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복수 개의 투과핀(22) 각각의 후단은 발광부(3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발광부(3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발광부(30)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집광시킬 수 있도록 한다.
만일, 고정판(21)의 정면과 후면으로 돌출되는 투과핀(22)의 길이가 1mm 이내일 경우 돌출량이 미비하여 측면에서 제공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집광하지 못하거나 혹은 측면으로의 광 전달이 미비하고, 돌출되는 투과판(22)의 길이가 반대로 10mm를 초과할 경우 불필요하게 긴 광섬유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로 인해 생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광섬유 특유의 연성으로 인해 투과핀(22) 자체가 곧게 펴지지 못하고 쉽게 늘어져 균일한 광 투과 효과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투과핀(22)은 통상의 광섬유를 이용한 조명장치에서 광섬유 다발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광섬유 사용을 제한할 수 있고, 각각의 투과핀(22)을 하나의 발광부(30)에 직접적으로 접속해 사용할 필요가 없고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도 충분한 집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결합공(21a)에 삽입된 각각의 투과핀(22)은 접착제(AD)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는데, 이때, 고정판(21) 정면으로 접착제(AD) 자국이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고정판(21)의 후면에서 접착제(AD) 작업을 수행하여 각각의 투과핀(22)을 결합공(21a)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고정판(21)과 발광부(30) 사이 공간에는 확산판(23)이 설치될 수 있으며, 확산판(23)은 각각의 투과핀(22) 후면으로 입사 전의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확산판(23)은 PMMA(Poly Methyl Meth Acrylate)수지 또는 PC(Polycarbonate)로 만들어진 백색 판상 구조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표면에 소정의 패턴이 각인된 구조로서 광을 다각도로 굴절시켜 전영역에 걸쳐 광을 균일하게 투과부(20)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투과부(20)의 다른 실시예로, 투과부(20)는 크게 제1 고정판(21-1), 제2 고정판(21-2) 및 투과핀(2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즉, 전술한 투과부(20)의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고정판(21)을 구성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판(21-1)과 제2 고정판(21-2)으로 분할하여 구성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다시, 제1 고정판(21-1)과 제2 고정판(21-2)은 각각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고정판(21-1)은 정면에 표지패턴 이미지를 가지고, 케이스(100)와 동일한 삼각형 형태를 가지는 판상의 구성으로서 복수 개의 제1 결합공(21-1a)이 타공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경우에 따라 제1 고정판(21-1)의 정면으로는 반사지 시트(21b)가 부착 구성될 수 있고, 이때 반사지 시트(21b)는 통상의 재귀 반사를 가능케 하는 반사지 시트(21b)를 이용할 수 있다. 반사지 시트(21b)는 고정판(21)의 정면 전체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반사지 시트(21b)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고정판(21-1)은 불투명 알류미늄 패널을 이용할 수 있고, 전술한 제4 체결홀(H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판(21-1)과 제2 고정판(21-2)은 각각 전후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되, 제1 고정판(21-1)이 제2 고정판(2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판(21-2)은 제1 고정판(21-1)과 동일한 삼각형 형태를 가지는 판상의 구성으로서 제1 결합공(21-1a)의 대응위치마다 제2 결합공(21-2a)이 타공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즉, 각각의 제1 결합공(21-1a)과 제2 결합공(21-2a)은 서로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연통된 지점에 투과핀(22)이 삽입되는 구조이다.
제2 고정판(21-2)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 예를 들어 전술한 확산판(23)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4 체결홀(H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판(21-2)은 제1 고정판(21-1)의 후방에서 확산판(23)을 향해 배치되어 확산판(23)을 통해 확산 투영된 광을 재차 확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고정판(21-2)은 유색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정면이나 배면에 컬러 필름이 부착되어 투영되는 광을 유색 필터링처리할 수 있다.
제1 고정판(21-1)과 제2 고정판(21-2) 사이에는 소정의 이동공간(24)을 부여할 수 있고, 상기 이동공간(24)으로 제2 고정판(21-2)을 통과한 광이 이동 확산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1 고정판(21-1)과 제2 고정판(21-2) 사이에 개재된 투과핀(22)의 중간부위(22c)에 전달되는 광의 균일도가 더욱 높아지게 될 수 있다.
투과핀(22)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겹쳐진 제1 고정판(21-1)과 제2 고정판(21-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되, 정면 일부는 제1 고정판(21-1)의 제1 결합공(21-1a)으로, 후면 일부는 제2 고정판(21-2)의 제2 결합공(21-2a)으로 각각 삽입고정이 될 수 있다.
즉, 투과핀(22)의 정면 돌출부위(22b)는 제1 결합공(21-1a)을 통해 제1 고정판(21-1)의 정면으로 돌출이 되고, 후면 돌출부위(22a)는 제2 결합공(21-2a)을 통해 제2 고정판(21-2)의 후면으로 돌출이 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고, 투과핀(22)의 중간부위(22c)는 제1 고정판(21-1)과 제2 고정판(21-2) 사이 공간인 이동공간(24)에 배치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이와 같은 구조가 되면 상기 투과핀(22)은 일부분이 제1 고정판(21-1)과 제2 고정판(21-2)의 정면과 후면으로 각각 동시에 돌출이 됨에 따라, 후면 돌출부위(22a)로는 각각의 발광부(30)에서 다각도로 출력되는 광들을 효율적으로 집광하고, 정면 돌출부위(22b)로는 집광된 광들을 다각도로 확산해 면발광 방식으로 출력하되 중간부위(22c)는 제1 고정판(21-1)과 제2 고정판(21-2) 사이에서 확산된 빛을 집광하여 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2 고정판(21-2) 자체가 투과핀(22)과 긴밀하게 맞닿아 접촉된 상태에서 전술한 확산판(23)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에 투과핀(22)의 후면 부위에 더 많은 양의 광을 집중시킬 수 있고, 또한, 유색 구조로서 교통표지판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각각의 투과핀(22) 가장 깊은 안쪽에 미묘한 컬러감을 형성해 심미감을 대폭 향상시키고 보다 다양한 교통 정보의 전달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투과부(20)를 케이스(100)에 결합할 때 정면부재(114)의 제3 체결홀(H3)에 제1 고정판(21-1)과 제2 고정판(21-2)의 제4 체결홀(H4)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B1)를 제3 체결홀(H3)과 제4 체결홀(H4)에 상호 나사 체결해 고정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제1 고정판(21-1)과 제2 고정판(21-2) 사이에 개재된 투과핀(22)에 별도의 접착제(AD) 처리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제1 고정판(21-1)과 제2 고정판(21-2) 사이에 투과핀(22)을 보다 강하게 끼움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어 별도 접착제(AD)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AD) 자국 등에 의해 마감이 저하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통표지판은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햇빛으로부터 상기 투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차양프레임(40) 및 차양프레임(40)과 케이스(100)를 상호 관통해 결합되어 상기 차양프레임(40)을 케이스(100) 상에 위치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고정핀(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야외에 설치되는 교통표지판의 사용환경 특성상 투과부가 강한 햇빛에 장기간 노출되면 전사, 인쇄, 스티커 부착 등의 방식으로 구현된 표지패턴 이미지가 도로의 각종 오염물질, 비, 햇빛의 자외선 등에 동시 복합적으로 장기간 노출되어 쉽게 산화되거나 열화되어 인쇄된 부분의 색상이 변질되거나, 부착면이 탈리되는 등 충분한 내구성을 보장하지 못하였고, 이에 따라, 도로 이용자가 잘못된 정보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차양프레임(40)은 투과부(20)로 가해지는 햇빛을 적절히 차단함으로써 차양프레임(40)으로 하여금 투과부(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차양프레임(40)은 케이스(100)의 프로파일(110) 외측으로 결합되되, 폐루프 형상의 프로파일(110)의 외측 둘레를 추종하는 프로파일(110)과 동일의 폐루프 구조로 이루어져 프로파일(110)을 사방에서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에 따라, 사각지대 없이 사방에서 햇빛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차양프레임(40)은 프로파일(110)에 대해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게 마련되어 투과부(20) 상에 일정 영역의 그늘영역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그늘영역은 투과부(20)의 테두리 부위에 중점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해, 투과부(20)의 테두리 부위의 열집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여름과 같이 대기 온도가 높은 계절에 금속 재질의 케이스(100) 및 투과부의 고정판가 햇빛에 장기간 노출되면 케이스(100)의 표면온도가 상당히 높은 온도까지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케이스(100)의 표면온도는 케이스(100), 특히 프로파일(110)의 정면부재(114)와 인접한 투과부(20)의 테두리 부위에 그대로 전도되어 투과부(20)의 온도상승을 초래한다.
아울러, 투과부(20) 정면 부위에서 적절한 햇빛을 차단하지 못하게 되면, 이 역시 투과부(20)의 온도상승을 유발하여 투과부(20)의 정면과 배면 양 쪽으로 열기가 전도돼 열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차양프레임(40)은 프로파일(110)의 외측 테두리부를 커버한 상태로 외측 테두리부재(111)를 추종하는 폐루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프로파일(110), 특히 외측 테두리부재(111)에 가해지는 외부 열기를 1차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투과부(20)의 테두리 부위에 그늘을 형성해 햇빛에 의한 복사열이 투과부(20)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아니하도록 한다.
이러한 차양프레임(40)은 전술한 프로파일(110)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일정 길의 판재를 복수 회 절곡해 프로파일(110)에 대응되는 삼각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차양프레임(40)의 양 단부는 전술한 프로파일(110)과 달리 별도 이음 결합하지 아니한 상태로, 프로파일(110) 외측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차양프레임(40)의 양 단부가 완전히 서로 고정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소정의 연성이 부여되어 프로파일(110) 외측에 차양프레임(40)을 결합하기 위한 차양프레임(40)의 조작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차양프레임(40)의 양 단이 완전히 고정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차양프레임(40)을 양 쪽으로 벌려 내측에 케이스(100)가 수용될 만한 충분한 공간을 형성한 후, 케이스(100) 외측으로 차양프레임(40)을 대략적으로 배치하면 케이스(100)와 차양프레임(40)의 결합을 위한 치수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아니하더라도 양자간의 결합을 손쉽게 할 수 있게 되어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차양프레임(40)의 전단에는 차양프레임(40)의 중심을 향해 수직으로 차양편(41)이 일정 길이 절곡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차양편(41)은 투과부(2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방에서 가해지는 햇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일몰 또는 일출과 같이 태양의 고도가 낮은 위치에서 가해지는 햇빛은 단순히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양프레임(40) 만으로 충분히 차단할 수 없는 구조로서, 이러한 낮은 고도에서 가해지는 햇빛의 경우 차양프레임(40)에 수직으로 배치된 차양편(41)을 통해 차단하고, 특히 차양편(41)에 의해 투과부(20)의 전방이 완전히 차단되지 아니하도록 차양편(41)의 길이를 적절히 설정하여 투과부(20)이 외부로 노출돼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고정핀(50)은 차양프레임(40)과 케이스(100)를 상호 관통해 결합되어 상기 차양프레임(40)을 케이스(100) 상에 위치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케이스(100)와 차양프레임(40)에는 각각 상기 고정핀(50)이 삽입 결합되는 제1 체결홀(H1)과 제2 체결홀(H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제1 체결홀(H1)은 프로파일(110)의 외측 테두리부재(111)에, 제2 체결홀(H2)은 제1 체결홀(H1)의 대응 위치의 차양프레임(4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50)은 통상의 볼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로파일(110)의 내측 중공부위에는 너트커플링이 내재되어 제1 체결홀(H1)을 통과한 고정핀(50)이 상기 너트커플링에 나사체결 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체결홀(H1)이 프로파일(110)의 외측 테두리부재(111)와 내측 테두리부재(113)를 연이어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핀(50)이 제1 체결홀(H1)을 통해 프로파일(110)을 완전히 관통하면, 프로파일(110)의 내측 테두리부재(113)로 노출된 고정핀(50) 상에 너트를 결합하여 고정핀(50)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 외에도 고정핀(50)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 체결홀(H1)의 경우 고정핀(50)을 일대일로 수용하는 일반적인 원형의 홀 구조를 하고 있는 반면, 차양프레임(40)에 형성된 제2 체결홀(H2)은 제1 체결홀(H1)의 대응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차양프레임(40)이 고정핀(50)에 의해 프로파일(110) 외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로 케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차양프레임(40)을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함에 따라 투과부(20)에 형성되는 그늘영역의 면적이 가변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양프레임(40)을 전방으로 치우쳐 위치시키게 되면 그 만큼 더 넓은 영영의 그늘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이와 같이, 상황에 맞게 차양프레임(4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통표지판이 설치되는 지리적, 지형적 특성과 계절에 따른 남중고도 등을 고려해 상황에 맞는 적절한 그늘영역의 형성을 가능케 하고, 이러한 차양프레임(40)의 위치 조절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110)은 각파이프를 복수 회 절곡하여 삼각형 형태의 틀구조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각파이프 소재를 예각으로 절곡하게 되면 절곡부위에서는 불규칙한 방향으로 소성변형이 발생한다.
예컨대, 각파이프를 절곡하면 절곡 방향의 반대되는 외측 테두리부재(111)에서는 연신이, 이를 제외한 배면부재(112), 내측 테두리부재(113), 정면부재(114) 등에서는 불규칙한 방향의 하중으로 인한 압축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로, 이를 감안한 높은 제조 난이도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파일(110)의 절곡 과정에서 이러한 불규칙한 소성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기 이전의 일직선 형태의 프로파일(110)(각파이프)의 길이방향 일정 구간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절개구(115)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구(115)가 형성된 구간을 프로파일(110)의 절곡지점으로 하여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구(115)가 형성된 방향으로 프로파일(110)을 절곡함으로써 불규칙한 형태변형 없이 프로파일(110)의 모서리 부위를 절곡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절개구(115)는 프로파일(110)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그 절개면적이 확장되는 형상, 예컨대,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구조를 갖추도록 하여 이에 따라, 프로파일(110)의 절곡시 이러한 절개구(115)로 인하여, 외측 테두리부재(111)의 절곡 변형을 제외한 배면부재(112), 내측 테두리부재(113), 정면부재(114)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차양프레임(40) 역시 전술한 프로파일(110)의 절곡 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절곡되기 이전의 일직선 형태의 차양프레임(40)에 마련된 차양편(41)의 길이방향 일정 구간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절개구(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절개구(115)에 의해 프로파일(110) 상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여, 이러한 미세한 틈에 의해 습기가 유입되어 내부 전기장치, 예컨대, 발광부(30)의 고장을 야기시킬 수 있는바, 정면부재(114) 상에는 띠 형상의 실링테이프(116)가 부착되어 상기 틈을 통한 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링테이프(116)는 상기 틈에 의한 습기유입 방지를 고려한 구성으로서, 정면부재(114)와 투과부(20) 사이에 개재되어 케이스(100) 내로의 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투과부(20)의 투과면적을 침해하지 아니하도록 정면부재(114)의 폭(W1)에 일치하는 전폭(W2)을 가지는 띠 형태로 이루어져 정면부재(114)에만 부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실링테이프(116)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정면부재(114)의 제3 체결홀(H3), 투과부(20)의 제4 체결홀(H4)과 연통하는 제5 체결홀(H5)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부재(B1)가 상기 제3 체결홀(H3), 제4 체결홀(H4) 및 제5 체결홀(H5)을 연이어 관통하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프로파일(11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프로파일(110)은 내부가 빈 일정 길이의 각파이프를 절곡하고, 양 단부를 이음 결합하여 폐루프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케이스(100)의 테두리 틀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였다면, 이하의 프로파일(110')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부재를 연결 결합하는 분해결합식으로 프로파일(110')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프로파일(110')은 일정 길이의 직선형 각파이프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파이프부재(111'), 일정 곡률로 절곡 구성되어 각각의 파이프부재(111')가 일정 각도를 가지고 이음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의 파이프부재(111') 단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코너부재(112') 및 상기 파이프부재(111')와 코너부재(112')를 상호 연결 고정하는 복수 개의 브라켓부재(11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파이프부재(111'), 코너부재(112') 및 브라켓부재(113') 각각을 서로 연결 결합하여 틀 형태의 프로파일(110')을 구성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부재들의 개수 등을 적절히 채택하여 다양한 도형 형태의 프로파일(110')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파이프부재(111') 또는 코너부재(112')의 테두리면과 정면에는 상기 고정핀(50)이 삽입 결합되는 제1 체결홀(H1)과 체결부재(B1)가 삽입 결합되는 제3 체결홀(H3)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파이프부재(111') 단부에는 제1 브라켓체결홀(BH1)이, 각각의 코너부재(112') 단부에는 제2 브라켓체결홀(BH2)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코너부재(112')는 전술한 프로파일(110')의 형성 방식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코너부재(112')는 절곡되기 이전의 일직선 형태의 각파이프의 길이방향 일정 구간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절개구(115)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구(115)가 형성된 구간을 절곡지점으로 하여 절개구(115)가 형성된 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불규칙한 형태변형 없이 코너부재(112')를 절곡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코너부재(112')에 형성된 절개구(115)는 전술한 프로파일(110)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절개구(115)와 동일한 기능 및 작용효과를 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브라켓부재(113')는 일정 면적의 판 형태로 예시될 수 있으며, 일측은 파이프부재(111')의 내부로, 타측은 코너부재(112')의 내부로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브라켓체결핀(114')에 의해 파이프부재(111')와 코너부재(112')에 각각 고정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브라켓부재(113')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브라켓체결홀(BH1)과 연통되는 제3 브라켓체결홀(BH3)이, 타측에는 제2 브라켓체결홀(BH2)과 연통되는 제4 브라켓체결홀(BH4)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체결핀(114')이 제1 브라켓체결홀(BH1)과 제3 브라켓체결홀(BH3) 및 제2 브라켓체결홀(BH2)과 제4 브라켓체결홀(BH4)에 상호 관통해 결합되어 파이프부재(111'), 코너부재(112') 및 브라켓부재(113')를 서로 일체로 결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프로파일(110')의 정면에도 전술한 실링테이프(116)와 동일한 구성의 실링테이프(116)가 부착되어 코너부재(112')의 절개구에 의한 틈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실링테이프(116)는 파이프부재(111')와 코너부재(112')를 아우르는 프로파일(110')의 정면과 투과부(20) 사이에 개재되어 케이스(100) 내로의 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투과부(20)의 투과면적을 침해하지 아니하도록 프로파일(110')의 폭(W1)에 일치하는 전폭(W2)을 가지는 띠 형태로 이루어져 프로파일(110')의 정면에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통표지판을 구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전술한 프로파일(110)을 마련하고, 프로파일(110) 배면부재(112)에 배판(120)을 결합시킨다.
이때 배판(120)은 체결부재나 별도의 용접 방식을 통해 배면부재(112) 상에 완전히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판(120)의 정면으로 발광부(30)를 접착제로 가고정한다. 이어서, 가고정된 상기 발광부(30) 정면으로 고정지그(130)를 결합하여 배판(120)에 발광부(30)를 완전히 위치고정시킨다. 고정지그(130)는 체결부재를 통해 배판(120)에서 전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케이스(100)는 정면이 개방된 상태로서, 개방된 정면으로 투과부(20)가 결합되어질 수 있다.
투과부(20)의 결합에 앞서, 프로파일의 정면에 실링테이프(116)를 라이닝하고, 투과부(20)의 테두리 부위를 상기 실링테이프(116)에 일치되도록 케이스(100)의 정면에 배치해 결합한다.
이어서, 차양프레임(40)을 케이스(100)의 외측에 결합하되, 설치환경에 맞게 차양프레임(40)의 전후 위치를 조절한 뒤, 고정핀(50)을 제2 체결홀(H2)과 제1 체결홀(H1)의 일치된 지점으로 삽입 결합하여 케이스(100)와 차양프레임(40)을 고정함으로써 교통표지판의 결합을 완료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투과부(20) 주변으로 적절한 그늘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야외에 장시간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투과부(20)가 강한 햇빛에 의해 산화되거나 열화되어 인쇄된 부분의 색상이 변질되거나, 탈리되는 등의 각종 변형을 억제하여, 도로 이용자에게 보다 객관적인 정보전달을 가능케 하고, 투과부(20)의 변형에 의한 불필요한 유지보수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교통표지판이 설치되는 지리적, 지형적 특성과 계절에 따른 남중고도 등을 고려해 상황에 맞는 적절한 그늘영역의 형성을 가능케 함으로써, 활용범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케이스
20: 투과부
30: 발광부

Claims (5)

  1. 정면이 개방 형성되는 함체 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 광을 출력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부; 및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정면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복수의 점 형태로 투과시키는 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과부는,
    복수 개의 결합공이 타공 형성되는 고정판; 및
    원통 실린더 형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결합공 각각의 대응개소에 삽입되어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수광해 투과시키는 복수 개의 투과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은
    정면에 반사지 시트가 부착되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제1 고정판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 고정판, 및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 사이에 이동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투과핀은 전단은 제1 고정판의 정면으로 돌출되고, 투과핀의 후단은 제2 고정판의 후면으로 돌출이 되는 길이로 절단된 광섬유이고,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의 정면과 후면으로 각각 돌출되는 길이는 1mm 내지 10mm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투과핀 각각의 후단은 발광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은 불투명 알루미늄 패널로 제작되고,
    상기 제2 고정판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프로파일, 배판 및 투과부로 둘러 쌓인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배판에서 투과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격벽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격벽부재에 의해 구획된 개별 공간에서 서로 다른 색의 광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LED 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판.
KR1020230090661A 2023-07-12 2023-07-12 전력 효율이 향상된 3 단 결합구조의 교통표지판 KR102676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661A KR102676641B1 (ko) 2023-07-12 2023-07-12 전력 효율이 향상된 3 단 결합구조의 교통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661A KR102676641B1 (ko) 2023-07-12 2023-07-12 전력 효율이 향상된 3 단 결합구조의 교통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6641B1 true KR102676641B1 (ko) 2024-06-19

Family

ID=9171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0661A KR102676641B1 (ko) 2023-07-12 2023-07-12 전력 효율이 향상된 3 단 결합구조의 교통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66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770B1 (ko) * 2009-08-07 2010-02-23 (주)다산에이디 엘이디를 이용한 발광사인물
KR102090042B1 (ko) 2019-07-22 2020-05-25 (주)인프라텍 직하형 교통표지판
KR102261117B1 (ko) 2020-08-31 2021-06-03 김정호 부착기반 조명식 표지판 어셈블리
KR102292725B1 (ko) 2020-12-21 2021-08-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광집중 발광장치를 이용한 발광식 도로표지 장치
KR102485103B1 (ko) * 2022-04-29 2023-01-06 주식회사 케이지 투과판, 이를 포함하는 교통표지판 및 이 교통표지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770B1 (ko) * 2009-08-07 2010-02-23 (주)다산에이디 엘이디를 이용한 발광사인물
KR102090042B1 (ko) 2019-07-22 2020-05-25 (주)인프라텍 직하형 교통표지판
KR102261117B1 (ko) 2020-08-31 2021-06-03 김정호 부착기반 조명식 표지판 어셈블리
KR102292725B1 (ko) 2020-12-21 2021-08-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광집중 발광장치를 이용한 발광식 도로표지 장치
KR102485103B1 (ko) * 2022-04-29 2023-01-06 주식회사 케이지 투과판, 이를 포함하는 교통표지판 및 이 교통표지판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9625A (en) Lighting system combining daylight concentrators and an artificial source
US9470833B1 (en) Backlight module and backlight system using same
US10385608B2 (en) Daylighting device
US9116273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KR100901093B1 (ko) 배광제어장치, 블라인드, 파티션, 커튼, 텐트 및 조명기
CN103148443A (zh) 一种用以获得均匀平行光束的双自由曲面厚透镜及其阵列
US8517588B2 (en) Integrally illuminated panel apparatus and methods
KR102676641B1 (ko) 전력 효율이 향상된 3 단 결합구조의 교통표지판
WO2013008665A1 (ja) 集光器、集光システム、太陽光発電装置、及び、ソーラーシステム
KR102676644B1 (ko) 저전력 고효율의 에너지 절약형 조명을 구비한 교통표지판
KR102089366B1 (ko) 후면 투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206176077U (zh) 一种平板式光纤导光照明装置
CN102494284A (zh) 提高led光效的侧入光式背光模组
KR101015880B1 (ko) 보안등 겸용 안내표시장치
KR102261117B1 (ko) 부착기반 조명식 표지판 어셈블리
US9022596B2 (en) Lighting arrangement comprising elongate light emitting members
JP200207642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太陽電池モジュールを屋根材として使用した建造物
JP6389445B2 (ja) 広告板サイン
KR101257751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안내표지판
KR20170078066A (ko) 광확산용 패널을 이용한 발광유리
CN216345728U (zh) 一种防眩光教室灯
TW201104286A (en) Light collecting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KR102577218B1 (ko) 교통표지판
CN212537620U (zh) 一种带格栅的侧发光面板灯
CN113867047B (zh) 一种异形背光源模组及控制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