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5496B1 - 배전반의 소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소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5496B1
KR102675496B1 KR1020210145034A KR20210145034A KR102675496B1 KR 102675496 B1 KR102675496 B1 KR 102675496B1 KR 1020210145034 A KR1020210145034 A KR 1020210145034A KR 20210145034 A KR20210145034 A KR 20210145034A KR 102675496 B1 KR102675496 B1 KR 10267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unit
switchboard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375A (ko
Inventor
김성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동인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동인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동인덱스
Priority to KR102021014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54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5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05C19/16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electromagnet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F1/00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by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소화재를 수용하고 배전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소화기부; 상기 소화기부의 소화재가 분사되도록 동작시키는 소화 동작부; 배전반 내부에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배전반의 도어에 대한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부; 상기 화재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통해 화재 발생을 판단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도어개폐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통해 상기 도어가 잠김 상태이면 상기 소화 동작부를 동작시고, 상기 도어가 오픈 상태이면 상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 잠금부; 및 상기 도어 잠금부와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잠금부의 동력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잠금시키는 도어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반의 소화시스템{Fire extinguishing system of Switchboard}
본 발명은 배전반, 분전반, 분배전반(이하 통칭하여 '배전반'이라 한다)의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재 발생 감지시에 배전반의 도어가 오픈된 상태이면 도어를 자동으로 잠금한 후에 소화제 분사하는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에는 각종 전력장치와 배선이 설치되어 건물 내의 다른 시설에 비해 화재의 위험성이 높다. 이러한 이유로 배전반에는 화재를 감시하는 장치와 화재를 진압(소화)하는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잦다.
예컨대, 국내등록특허 제10-1880864호(발명의 명칭: 배전반 화재 관리시스템)에는 온도, 연기, 이산화 탄소량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배전반 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시하고 화재 발생시에 화재가 발생 부품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부품에 소화분말이 집중 분사되도록 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411958호(발명의 명칭: 소화기가 구비된 분전반)에는 분전반의 내부 온도가 72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화재의 발생 여부에 ㄹ관계없이 분전반 케이스의 중앙 상부에 구비된 통공을 통해 소화기의 소화제가 분사되게 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소화 기능을 가진 배전반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화재 발생에 따라 배전반 내부에 소화제를 분사할 때 관리 소홀 등의 이유로 인하여 배전반의 도어가 오픈되어 있으면, 분사된 소화제 중 다량의 소화제가 도어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제대로 된 화재 진압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1. 국내등록특허 제10-1411958호 (등록일, 2012.09.13) 2. 국내공개특허 제10-1880864호 (등록일, 2018.07.16)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배전반의 도어가 개폐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오픈시 도어를 자동으로 잠금하는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의 도어가 잠금 상태인 경우에만 소화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은 내부에 소화재를 수용하고 배전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소화기부; 상기 소화기부의 소화재가 분사되도록 동작시키는 소화 동작부; 배전반 내부에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배전반의 도어에 대한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부; 상기 화재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통해 화재 발생을 판단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도어개폐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통해 상기 도어가 잠김 상태이면 상기 소화 동작부를 동작시고, 상기 도어가 오픈 상태이면 상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 잠금부; 및 상기 도어 잠금부와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잠금부의 동력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잠금시키는 도어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개폐 감지부는 상기 도어의 일측 끝단면에 설치된 수광소자 및 발광소자 중 하나와, 상기 도어의 일측 끝단면과 마주하는 면에 설치된 다른 하나로 구성된 포토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소자와 상 수광소자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에 설치된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설치된 위치에 설치되어 도체인 상기 체결부재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 감지부는 상기 도어에 설치된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설치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재에 의한 압력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 감지부는 상기 상기 도어 연결부의 이동 또는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상기 도어가 닫힌 경우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열 때 상기 도어 연결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연결부는 제2 극성의 자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잠금부는 상기 도어에 힌지로 연결된 제1 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제2 극성의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어 연결부는 상기 도어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도어 잠금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잠금부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도어 연결부를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도어를 닫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 감지시에 배전반의 도어가 오픈 상태이면 자동으로 도어를 잠근 후에 소화제를 배전반 내부에 분사하여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 비해 신속하게 화재가 진압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에서 소화기부의 설치위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에서 도어 연결부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에서 도어 연결부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에서 도어 연결부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소화시스템(100)은 소화기부(110), 소화 동작부(120), 화재 감지부(130), 도어개폐 감지부(140), 도어 잠금부(150), 도어 연결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한편, 전자장치(센서, 제어부 등)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전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전원부의 존재는 당연한 것이므로 도 1에서는 생략하였다.
소화기부(110)는 소화제를 내장하고 있는 소화기(미도시)와 소화기를 배전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소화기는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모든 종류의 소화기와 더불어, 화재 진압을 위해 분사되는 액체 또는 분말의 소화제를 내장하고 있는 자체 제작된 형태의 소화기를 포함한다.
소화 동작부(120)는 소화기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소화기가 내장된 소화제를 분사하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일 예로,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일반 소화기의 경우에, 소화 동작부(120)는 소화기의 안전핀을 뽑고, 소화기의 손잡이를 눌러 소화제가 분사되게 한다. 다른 일 예로서, 소화제가 내장된 자체 제작된 소화기의 경우에 소화 동작부(120)는 소화기를 터뜨리거나 분사 노즐에 구멍을 내는 등의 동작을 하여 내부 압력에 의해 소화제가 외부로 분사되게 한다.
화재 감지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감지한 신호로 화재 발생을 감지한다. 이때 센서는 온도 센서, 불꽃 센서, 연기 센서, 습도 센서, 열감지 센서 등이다.
도어개폐 감지부(140)는 배전반의 도어(210)가 열려 있는지 닫혀 있는지를 감지한다. 도어개폐 감지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도어(210)의 개폐를 감지한다. 도어개폐 감지부(140)의 센서는 홀 센서(Hall sensor), 광 센서(포토 커플러), 압력 센서, 이동감지 센서 등이 이용되며, 이외에 두 개의 물체에 대해 밀착하고 있는지 또는 떨어져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사용이 가능하다.
홀 센서는 도체가 멀리 있으면 반응을 하지 않아 전압을 발생하지 않고, 도체가 가까이 있으면 전압을 발생시키는 센서이다. 그러므로, 도어개폐 감지를 위해서 홀 센서는 도어(210)에 설치된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설치된 위치에 설치된다. 즉, 도어(210)가 닫힌 경우에는 도어(210)의 체결부재가 배전반의 결합부재에 맞닿아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고, 도어(210)가 열린 경우에는 도어(210)의 체결부재가 결합부재에 떨어져 있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결합부재가 설치된 위치 즉, 결합부재의 뒤편에 홀 센서를 설치하고, 체결부재를 도체로 구성하게 되면, 홀 센서는 체결부재가 결합부재에 맞닿아 있으면 신호를 출력하여 도어(210)가 잠김 상태임을 알리고, 체결부재가 결합부재에 떨어져 있으면 신호를 출력하지 않아 열린 상태임을 알린다.
다른 예로, 홀 센서는 도어(210)와 배전반(200)을 연결하는 힌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힌지에는 도체가 설치되는데, 도체는 도어(210)가 잠김 상태일 때에 홀 센서에 가장 가깝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홀 센서는 도어(210)가 닫힌 경우에 힌지의 도체가 가까이 있어서 신호를 출력하고, 도어(210)가 열린 경우에 힌지의 도체가 멀어지므로 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광 센서인 포토 커플러는 수광소자와 발광소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광소자는 광을 조사하고, 수광소자는 발광소자에서 조사한 광을 수신한다. 이러한 포토 커플러는 수광소자에서 광을 수신하면 신호를 출력하고, 수광소자에서 광을 수신하지 못하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러한 포토 커플러를 도어개폐 감지부(140)에 적용하면, 도어(210)의 일측 끝단면에 수광소자(또는 발광소자)를 설치하고, 도어(210)가 잠김 상태에서 상기 도어(210)의 일측 끝단면과 마주하는 면에 발광소자(또는 수광소자)를 설치한다. 이때 도어(210)가 잠김 상태에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도어(210)는 힌지가 설치된 끝단면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끝단면이 도어 오픈시 배전반과 이격된다. 포토 커플러의 수광소자(또는 발광소자)는 도어 오픈시 배전반과 이격되는 3개의 끝단면 중 하나에 설치된다. 물론 2개의 끝단면 또는 3개의 끝단면에 수광소자(또는 발광소자)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외부에서 누르는 힘(압력)을 감지한다. 이러한 압력 센서를 도어개폐 감지부(140)에 적용하면, 압력 센서는 도어(210)에 설치된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설치된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어(210)가 닫힌 경우에는 도어(210)의 체결부재가 배전반의 결합부재에 맞닿아 압력 센서를 누르게 되어 압력 센서가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도어(210)가 열린 경우에는 도어(210)의 체결부재가 결합부재에 떨어져 있어 압력 센서에 힘이 작용하지 않아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그 외에 압력 센서는 도어(210)가 닫힌 상태일 때 압력 센서에 힘이 가해지는 위치 어디든 설치될 수 있다.
이동감지 센서는 도어 연결부(160)의 이동 또는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도어가 닫힌 경우 상태에서 도어를 열 때 도어 연결부(160)가 도어(210)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도어(210)의 이동을 감지하여 도어 오픈일 때에 신호를 출력한다.
도어 잠금부(150)는 동력을 발생하여 도어 연결부(160)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도어 연결부(160)에 연결된 도어(210)가 잠기게 한다. 도어 잠금부(150)는 전자석에 의해 동력 또는 모터 등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어 연결부(160)는 도어 잠금부(150)에서 발생한 동력에 의해 이동하여 도어(210)를 닫는다.
도어 잠금부(150)와 도어 연결부(16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화재 감지부(130)와 도어개폐 감지부(140)의 출력을 수신하여 화재 감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화재 감지부(130)의 온도 센서에서 측정한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면 화재 발생이라고 판단하거나, 화재 감지부(130)의 불꽃 센서에서 불꽃을 감지하는 경우이면 화재 발생이라고 판단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화재 감지부(130)의 연기 센서를 통해 공기 중의 연기량이 설정량 이상이면 화재 발생이라고 판단하거나, 화재 감지부(130)의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의 출력 신호를 통해 배전반(200)의 내부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고 습도가 설정값 이하이면 화재 발생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170)는 배전반(200) 내부에 화재가 발생 또는 발생될 것이라고 판단하면, 소화 동작부(120)를 동작시키거나, 도어 잠금부(150)를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화재 감지부(13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도어개폐 감지부(140)를 동작시키고 도어개폐 감지부(140)의 출력을 통해 도어 개폐 여부를 파악하며, 도어가 열려진 상태이면 도어 잠금부(150)를 동작시켜 도어(210)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에서 소화기부의 설치위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200)에서 소화기부(110)는 배전반(200)의 외부에 설치되거나, 배전반(2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에서 도어 연결부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도어 잠금부(150)는 힌지에 의해 도어(210)에 연결된 면(이하 "제1 면"이라 함)에 설치되고, 도어 연결부(160)는 도어 잠금부(150)에 이격되어 도어(210)에 설치된다. 이때 도어 잠금부(150)와 도어 연결부(160)는 도어(210)가 최대로 열었을 때에 서로 근접 또는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도어 잠금부(150)는 전원부에서 공급하는 전원에 의해 특정 극성의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을 포함한다. 도어 잠금부(150)는 일반적인 상황(제어부(170)의 제어를 받지 않는 상황)인 경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로 동작 즉, 자력을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동작한다. 또는 도어 잠금부(150)는 일반적인 상황(제어부(170)의 제어를 받지 않는 상황)인 경우에 제1 극성의 자력을 발생하는 상태로 동작한다.
그리고, 도어 잠금부(150)는 화재가 발생 또는 예측되는 상황에서 수신된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전원에 의해 제2 극성의 자력을 발생한다.
도어 연결부(160)는 제2 극성의 자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어 잠금부(150)는 도어(210)가 열린 상태에서 제어부(170)의 제어를 받으면, 제2 극성의 자력을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도어 연결부(160)는 도어 잠금부(150)에서 발생한 자력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자력을 발생하므로, 잠금부(150)에서 발생한 자력에 대해 척력이 발생하여 도어(210)를 이동시켜 닫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에서 도어 연결부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도어 연결부(160)는 배전반(2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설치된다. 도어 연결부(160)는 전체적으로 직선의 막대 형태 또는 곡선 형태 등을 나타내며, 일단이 도어(210)의 내부면 일부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도어 잠금부(150)의 모터에 연결된다.
일 예로, 도어 연결부(160)는 와이어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에 도어 잠금부(150)에 설치된 감김부재(미도시)에 감겨져 도어 잠금부(150)의 모터에 연결되며, 모터는 감김부재를 회전시켜 도어 연결부(160)를 감김부재에 감아 도어를 당겨 잠근다.
다른 예로, 도어 연결부(160)는 딱딱한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에 도어 잠금부(150)의 모터에 연결된 이동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는 도어(21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고, 모터는 동작시 이동부를 당겨 도어를 잠근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에서 도어 연결부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도어 연결부(160)는 배전반(200)의 외부에 위치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도어 연결부(160)는 전체적으로 곡선 형태 등을 나타내며, 일단이 도어(210)의 외부면 일부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도어 잠금부(150)의 모터에 연결된다. 도어 연결부(160)는 와이어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성되거나 딱딱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 연결부(160)와 연결되는 도어 잠금부(150)는 배전반(200)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배전반(2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어 연결부(160)와 도어 잠금부(150) 간의 연결 관계는 제2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소화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설정된 시간마다 화재 감지부(130)는 배전반(200)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S610).
제어부(170)는 화재 감지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 화재가 발생 또는 발생될 것이라고 판단하면, 도어개폐 감지부(140)를 동작시킨다(S620).
도어개폐 감지부(140)는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을 시작하고, 동작 시작과 함께 센서를 통해 도어(210)가 닫혀 있는지 또는 열려 있는지를 파악하며, 파악한 결과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S630).
제어부(170)는 도어개폐 감지부(14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도어(210)가 닫혀 있는지 또는 열려 있는지를 판단하며(S640), 도어(210)가 닫혀 있는 경우이면 소화 동작부(120)를 동작시키는 소화 제어를 수행하고(S660), 그에 따라 소화기부(110)에서 소화액을 배전반(200)의 내부로 분사되게 한다(S670).
한편, 제어부(170)는 도어개폐 감지부(14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도어(210)가 열려 있다고 판단하면(S660), 도어 잠금부(150)를 동작시키는 도어 잠금 제어를 수행한다(S650).
이러한 도어 잠금 제어에 의해서, 제1 실시 예의 경우에, 도어 잠금부(150)에 전원이 공급되어 도어 연결부(170)와 반대인 극성을 가지는 전자석으로 동작하고, 그에 따라 도어 잠금부(170)는 도어(210)에 설치된 도어 연결부(170) 즉, 영구자석을 끌어당겨 도어(210)를 닫는다.
제2 및 제3 실시 예의 경우에, 도어 잠금부(150)의 모터가 동작하고, 이에 따라 모터에 연결된 도어 연결부(170)가 모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도어(210)를 닫는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 예와 같이 도어 연결부(160)가 내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모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도어 연결부(160)가 도어(210)를 당겨 도어(210)를 닫고, 제3 실시 예와 같이 도어 연결부(160)가 외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모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도어 연결부(160)가 도어(210)를 밀게 되어 도어(210)를 닫는다.
제어부(170)는 도어(210)의 닫힘을 감지할 때까지 도어개폐 감지부(140)를 동작시키며, 도어 잠금 제어를 통해 도어(210)가 닫히면 도어개폐 감지부(140)는 도어(210)의 닫힘을 제어부(170)에 알린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도어(210)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라고 판단하면 도어개폐 감지부(140)를 비활성화시킨 후, 소화 동작부(120)를 동작시켜 소화기부(110)에서 소화제가 배전반(200)의 내부로 분사되게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소화시스템 200: 배전반
110: 소화기부 120: 소화 동작부
130: 화재 감지부 140: 도어개폐 감지부
150: 도어 감금부 160: 도어 연결부
170: 제어부 210: 도어

Claims (7)

  1. 내부에 소화재를 수용하고 배전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소화기부;
    상기 소화기부의 소화재가 분사되도록 동작시키는 소화 동작부;
    배전반 내부에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배전반의 도어에 대한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부;
    상기 화재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통해 화재 발생을 판단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도어개폐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통해 상기 도어가 잠김 상태이면 상기 소화 동작부를 동작시고, 상기 도어가 오픈 상태이면 상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도어 잠금부; 및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잠금부의 동력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잠금시키는 도어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개폐 감지부는 홀 센서, 압력 센서 및 이동감지 센서 중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도어에 설치된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설치된 위치에 설치되어 도체인 상기 체결부재를 감지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도어에 설치된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설치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재에 의한 압력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이동감지 센서는 상기 도어 연결부의 이동 또는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상기 도어가 닫힌 경우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열 때 상기 도어 연결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배전반의 소화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연결부는 제2 극성의 자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잠금부는 상기 도어에 힌지로 연결된 제1 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제2 극성의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배전반의 소화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연결부는 상기 도어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도어 잠금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잠금부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도어 연결부를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도어를 닫게 하는,
    배전반의 소화시스템.
KR1020210145034A 2021-10-27 2021-10-27 배전반의 소화시스템 KR10267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034A KR102675496B1 (ko) 2021-10-27 2021-10-27 배전반의 소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034A KR102675496B1 (ko) 2021-10-27 2021-10-27 배전반의 소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375A KR20230060375A (ko) 2023-05-04
KR102675496B1 true KR102675496B1 (ko) 2024-06-14

Family

ID=8637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034A KR102675496B1 (ko) 2021-10-27 2021-10-27 배전반의 소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54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544B1 (ko) * 2009-10-30 2010-06-21 창성전기 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209288B1 (ko) * 2012-09-14 2012-12-11 (주)금정기전 누설전류의 검진 기능을 갖춘 수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420B1 (ko) * 2010-01-28 2011-08-09 오석환 자동문을 구비한 배전반
KR101411958B1 (ko) 2012-05-09 2014-06-27 주식회사 태건상사 소화기가 구비된 분전반
KR101880864B1 (ko) 2017-11-24 2018-07-20 이황희 배전반 화재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544B1 (ko) * 2009-10-30 2010-06-21 창성전기 주식회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209288B1 (ko) * 2012-09-14 2012-12-11 (주)금정기전 누설전류의 검진 기능을 갖춘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375A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083B1 (ko) 분배전반 자동 소화 장치
KR101824100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경보시스템
CA2227802A1 (en) Alarms for monitoring operation of sensors in a fire-suppression system
US11406855B2 (en) Dynamic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i'hereof
KR101856103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소화장치 안내경보시스템
KR102064947B1 (ko) 동파방지구조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217553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물 안전장치
KR102165093B1 (ko) 건축물의 화재감시 소방시스템
KR102675496B1 (ko) 배전반의 소화시스템
KR20040027534A (ko) 선형 화재감지튜브 및 무전원 자동 소화시스템
KR200427720Y1 (ko)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KR102374201B1 (ko) 공동주택의 소방배관 시스템
KR101720184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알림장치
JP2016047313A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US7591322B2 (en) Fiber-optic based automatic fire-suppression controller
JP2014087416A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KR102362326B1 (ko) 스마트 소화방재장치
KR20090080273A (ko) 소방관리용 가스 소화설비 시스템
KR102003331B1 (ko) 도어락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 조립체
KR101880756B1 (ko)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안전 전원공급장치
KR101887616B1 (ko)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KR102379362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컨트롤장치
US7591102B1 (en) Emergency door opening actuator
KR102160459B1 (ko) 건축물과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활용한 소방안전 장치
KR200185266Y1 (ko) 소화설비용 수동 조작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