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5355B1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5355B1
KR102675355B1 KR1020190178891A KR20190178891A KR102675355B1 KR 102675355 B1 KR102675355 B1 KR 102675355B1 KR 1020190178891 A KR1020190178891 A KR 1020190178891A KR 20190178891 A KR20190178891 A KR 20190178891A KR 102675355 B1 KR102675355 B1 KR 102675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requency
driving
unit
current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8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5629A (en
Inventor
강병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8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5355B1/en
Publication of KR20210085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6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535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3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controlling the sequence of the scanning lines with respect to the patterns to be displayed, e.g. to save pow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부화소가 마련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에 영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표시 패널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표시 패널,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 구동부 및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게이트 구동 전원을 모니터링하여 구동 주파수를 변경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 한다. 이에 따라, 저속 구동 주파수로 구동 시 전원부에서 출력 되는 게이트 구동 전원의 전류를 모니터링 하여 기준 전류 보다 큰 경우 더 높은 구동 주파수로 변경함으로써, 플리커 또는 화면 이상과 같은 구동 불량을 방지 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tha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bpixels to display an image, a data driver that supplies image data to the display panel, a gate driver that supplies a scan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 data driver, and a gate. It includes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a display panel, a data driver,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one or more of the gate driver and controller, and a monitoring unit that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by monitoring the gate driv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unit. Accordingly, when driving at a low driving frequency, the current of the gate driving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is monitored and changed to a higher driving frequency if i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thereby preventing driving defects such as flicker or screen abnormalities.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APPARATUS}

본 명세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게이트 전원의 전류에 따라 저속 구동 주파수를 제한하여 불량 발생을 방지 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play device that can prevent defects from occurring by limiting the low-speed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gate power supply.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영상 표시 장치는 정보 통신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경량 박형으로 제조 가능한 표시 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이 표시 장치는 자발광 소자로서, 저전압 구동에 따라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고속의 응답 속도, 높은 발광 효율, 시야각 및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도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연구되고 있다. 이 표시 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부화소들을 통해 영상을 구현한다. 다수의 부화소들 각각은 발광 소자와, 그 발광 소자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Video display devices that display various information on a screen are a core technology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ra and are developing into thinner, lighter, more portable, and higher performance. Accordingly, display devices that can be manufactured in a lightweight and thin form are receiving attention. This display device is a self-luminous device, and is not only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due to low voltage operation, but also has a high speed response speed, high luminous efficiency, and excellent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so it is being studied as a next-generation display. This display device implements images through multiple sub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plurality of transistors that independently drive the light emitting element.

이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appratus: LCD), 퀀텀 닷 표시장치(Quantum Dot Display Appratus: QD), 전계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apparatus: FE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지 않으며 장치의 컴팩트화 및 선명한 컬러 표시를 위한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스스로 발광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함으로써 응답 속도가 빠르고, 명암비(Contrast Ration),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 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Specific examples of such flat panel display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Appratus (LCD), Quantum Dot Display Appratus (QD), Field Emission Display Apparatus (FE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etc. Among thes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which do not require a separate light source and are in the spotlight as a means of compactizing devices and displaying clear colors, have a fast response speed by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hat emit light on their own. , it has the advantage of high contrast ratio, luminous efficiency, brightness, and viewing angle.

표시 장치는 프레임 리프레쉬가 60Hz인 구동 주파수를 기준으로 하여, 이보다 낮을 경우 저속 구동 일 수 있다. 특히, 소형 모바일 표시 장치의 경우 소비 전력을 저감하도록 구동 주파수를 가변 하여 저속 구동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구동 주파수를 가변하는 것은 게이트 구동부 등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 하여 구현 할 수 있는데, 이 때, 게이트 구동부가 기판의 내부에서 게이트 인 패널 형태로 구성 되는 경우, 게이트 구동부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 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be driven at a low speed if the frame refresh is lower than the driving frequency of 60Hz.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mall mobile display devices, a low-speed driving method can be applied by varying the driving frequency to reduce power consumption. Variable driving frequency can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gate driver, etc. In this case, if the gate driver is configured in a gate-in-panel form inside the substrate, the gate driver can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there is.

장기간 사용 시 게이트 구동부를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는 열화 발생으로 인해 동작 성능이 저하 될 수 있다. 특히 저속 구동 시 게이트 구동부의 열화는 더욱 취약 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의 열화는 회로의 누설 전류를 야기하여 공급 전원의 전류 증가를 유도하고, 게이트 구동부에 과전류가 인가 되어 동작 파형이 비정상적으로 출력 되며, 결과적으로 플리커 또는 화면 이상과 같은 구동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thin film transistor that makes up the gate driver may deteriorate and reduce its operating performance. In particular, when driving at low speeds, the gate driver may be more vulnerable to deterioration. Deterioration of the gate driver causes leakage current in the circuit,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current of the supply power. Overcurrent is applied to the gate driver, causing abnormal operation waveforms to be output, resulting in problems such as driving defects such as flicker or screen abnormalities. there is.

본 명세서는 상기 언급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표시 장치가 구동 주파수를 가변하도록 구동 시, 저속 구동 주파수에서 게이트 구동부로 공급 되는 게이트 전원의 전류를 모니터링 하여, 해당 구동 주파수의 기준 전류 보다 높은 전류가 발생 할 경우 더 높은 구동 주파수로 변경하여 구동 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is specification monitors the current of the gate power supplied to the gate driver at a low driving frequency when the display device is driven to vary the driving frequency, so that a current high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of the corresponding driving frequency is monitored. This relates to a display device that is driven by changing to a higher driving frequency when this occur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부화소가 마련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에 영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표시 패널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표시 패널,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 구동부 및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게이트 구동 전원을 모니터링하여 구동 주파수를 변경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 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tha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bpixels to display an image, a data driver that supplies image data to the display panel, a gate driver that supplies a scan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 data driver, and It may include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gate driver, a display panel, a data driver, a power supply that supplies power to one or more of the gate driver and controller, and a monitoring unit that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by monitoring the gate driv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부화소가 마련 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사용 환경에 따라 최소 소비 전류가 달라지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게이트 구동부에 게이트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 전원의 소비 전류 변화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변경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 할 수 있다.In additio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bpixels to display an image, a gate driver whose minimum current consumption varies depending on the usage environment, and a gate driver that supplies gate driving power to the gate driver. It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and a monitoring unit that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changes in current consumption of the gate driving power supply.

위에서 언급된 본 명세서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entioned above,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described below, or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such descriptions and description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들에 의하면, 저속 구동 주파수로 구동 시 전원부에서 출력 되는 게이트 구동 전원의 전류를 모니터링 하여 기준 전류 보다 큰 경우 더 높은 구동 주파수로 변경함으로써, 플리커 또는 화면 이상과 같은 구동 불량을 방지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driving at a low speed driving frequency, the current of the gate driving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is monitored and changed to a higher driving frequency when i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thereby preventing driving defects such as flicker or screen abnormalities. It can be prevented.

또한, 사용 환경 별로 각기 다른 밴드를 적용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하고, 각각의 사용 환경에 맞추어 저속 구동 주파수를 높이도록 변경하므로, 열화에 따른 누설 전류로 인한 구동 불량을 방지하고, 화상 품위를 향상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different bands for each usage environment,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and the low-speed driving frequency is changed to increase according to each usage environment, thereby preventing driving defects due to leakage current due to degradation and improving image quality. can do.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details exemplified above, and further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with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모니터링부의 세부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전압 모니터링부의 동작 파형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구동 주파수 제어부에 대한 상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구동 주파수 변경 동작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구동 주파수 변경 동작에 대한 도면이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3 is a diagram of an operation waveform of a voltage monitoring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4 is a detailed diagram of a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5 is a diagram of a driving frequency change operation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6 is a diagram of a driving frequency change operation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명세서의 일 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example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xample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complete, and are common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ith knowledge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of this specif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 size, ratio, angle, number,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and are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xampl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top,” “at the top,” “at the bottom,” “next to,” etc., “immediately” or “directly.” Unless used,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laced between the two parts.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with “after,” “sequentially,” “next,” “before,” etc., ‘immediately’ or ‘directly’ is not used. Cases that are not consecutive may also be included.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item 1, item 2, and item 3” means item 1, item 2, or item 3, respectively, as well as item 2 of item 1, item 2, and item 3. It can mean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본 명세서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xampl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partially or entire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various technolog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xample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dentical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the scal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has a different scale from the actual sca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s therefore not limited to the scale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일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일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다수의 데이터라인(DL1~DLm) 및 다수의 게이트라인(GL1~GLn)이 배치되고, 다수의 부화소(SP: Sub Pixel)이 배치된 표시 패널(110)과, 표시 패널(1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연결되고 다수의 데이터라인(DL1~DLm)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120)와, 다수의 게이트라인(GL1~GLn)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130)와,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40), 표시 패널(110)과 각 구동부(120, 130, 140) 등에 전원을 공급 하는 전원부(150) 및 모니터링부(160)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ncludes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and a plurality of subpixels (SP: A display panel 110 on which sub pixels are arranged, a data driver 120 connected to the top or bottom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driving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GL1 Power is supplied to the gate driver 130 that drives ~GLn), the data driver 120 and the controller 140 that controls the gate driver 130, the display panel 110, and each driver 120, 130, 140, etc. It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50 and a monitoring unit 160.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10)에는 다수의 부화소(SP)이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 a plurality of subpixels (SP) are arranged in a matrix type on the display panel 110.

따라서, 표시 패널(110)에는 다수의 부화소 라인(Sub Pixel Line)이 존재하는데, 부화소 라인은 부화소 행(Sub Pixel Row)일 수도 있고, 부화소 열(Sub Pixel Column)일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부화소 행을 부화소 라인으로 기재한다.Accordingly, there are multiple sub-pixel lines i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sub-pixel lines may be either sub-pixel rows or sub-pixel columns. Below, subpixel rows are described as subpixel lines.

데이터 구동부(120)는, 다수의 데이터라인(DL1~DLm)으로 데이터전 압을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라인(DL1~DLm)을 구동한다. 여기서, 데이터 구동부(120)는 소스 구동부라고도 한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다수의 게이트라인(GL1~GLn)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게이트라인(GL1~GLn)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여기서, 게이트 구동부(130)는 스캔 구동부 라고도 한다.The data driver 120 drives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by supplying a data voltage to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Here, the data driver 120 is also called a source driver. The gate driver 130 sequentially drives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by sequentially supplying scan signals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Here, the gate driver 130 is also called a scan driver.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로 각종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data driver 120 and the gate driver 130 by supplying various control signals to the data driver 120 and the gate driver 130.

컨트롤러(1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한다.The controller 140 starts scanning according to the timing implemented in each frame, converts the input imag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to fit the data signal format used by the data driver 120, and outputs the converted image data, Data operation is controlled at an appropriate time according to the scan.

게이트 구동부(130)는,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다수의 게이트라인(GL1~GLn)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다수의 게이트라인(GL1~GLn)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The gate driver 130 sequentially supplies scan signals of the on voltage or off voltage to a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to generate a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GL1~GLn) are operated sequentially.

게이트 구동부(130)는, 구동 방식이나 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표시 패널(110)의 일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 구동부(130)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구동부 집적회로(GDIC: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gate driver 130 may be located on only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as shown in FIG. 1, or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depending on the case, depending on the driving method or panel design method. Additionally, the gate driver 130 may include one or more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s (GDIC: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

데이터 구동부(120)는, 특정 게이트라인이 열리면, 컨트롤러(140)로부터 수신한 입력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데이터라인(DL1~DLm)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라인(DL1~DLm)을 구동한다.When a specific gate line is opened, the data driver 120 converts the input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40 into an analog data voltage and supplies it to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thereby generating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DL1~DLm).

데이터 구동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구동부 집적회로(SDIC: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다수의 데이터라인을 구동 할 수 있다.The data driver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and drive multiple data lines.

각 전술한 게이트 구동부 집적회로 또는 소스 구동부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 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표시 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 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Each of the aforementioned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s or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s is connected to a bonding pad of the display panel 110 using a tape automated bonding (TAB) method or a chip on glass (COG) method. , may be placed directly on the display panel 110, or in some cases, may be integrated and placed on the display panel 110.

각 소스 구동부 집적회로는, 쉬프트 레지스터, 래치 회로 등을 포함하는 로직부와,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AC: Digital Analog Converter)와, 출력 버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부화소의 특성(예: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Vth),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문턱 전압(Vth), 부화소의 휘도 등)을 보상하기 위하여 부화소의 특성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제어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Each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may include a logic unit including a shift register, a latch circuit, etc., a digital analog converter (DAC), an output buffer, etc., and in some ca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pixel ( A sensing control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to sen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pixel to compensate for (e.g., threshold voltage (Vth) of the transistor, threshold voltage (Vth)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brightness of the sub-pixel, etc.).

또한, 각 소스 구동부 집적회로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소스 구동부 집적회로의 일 단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Source Printed Circuit Board)에 본딩되고, 타단은 표시 패널(110)에 본딩된다.Additionally, each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may be implemented using a chip on film (COF: Chip On Film) method. In this case, one end of each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is bonded to at least one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other end is bonded to the display panel 110.

한편, 컨트롤러(140)는, 입력 영상 데이터와 함께,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데이터 인에이블(DE: Data Enable)신호, 클럭 신호(CLK) 등을 포함하는 각종 타이밍 신호들을 외부(예: 호스트 시스템)로부터 수신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140 generates various signals including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n input data enable (DE: Data Enable) signal, and a clock signal (CLK), along with input image data. Timing signals are received from an external source (e.g., host system).

컨트롤러(14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 이외에,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DE 신호, 클럭(DCLK) 등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아, 각종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로 출력한다.The controller 140 converts imag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to suit the data signal format used by the data driver 120 and outputs the converted image data, and also operates the data driver 120 and the gate driver 130. In order to control, timing signals such a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n input DE signal, and a clock (DCLK) are input, and various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to generate the data driver 120 and the gate driver 130. ) is output.

예를 들어, 컨트롤러(140)는, 게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Gat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각종 게이트 제어 신호(GCS: Gate Control Signal)를 출력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uses a gate start pulse (GSP), a gate shift clock (GSC), and a gate output enable signal (GOE) to control the gate driver 130. Outputs various gate control signals (GCS: Gate Control Signal) including Gate Output Enable.

여기서,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게이트 구동부(13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구동부 집적회로의 동작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 구동부 집적회로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로서, 스캔 신호(게이트 펄스)의 쉬프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구동부 집적회로의 타이밍 정보를 지정하고 있다.Here, the gate start pulse (GSP) controls the operation start timing of one or more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s constituting the gate driver 130. The gate shift clock (GSC) is a clock signal commonly input to one or more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s, and controls the shift timing of a scan signal (gate pulse). The gate output enable signal (GOE) specifies timing information of one or more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s.

또한,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구동부(120)를 제어하기 위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소스 샘플링 클럭(SSC: Source Sampling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 Souc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제어 신호(DCS: Data Control Signal)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uses a source start pulse (SSP), a source sampling clock (SSC), and a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to control the data driver 120. Outputs various data control signals (DCS: Data Control Signal) including Enable).

여기서,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구동부(12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구동부 집적회로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소스 구동부 집적회로 각각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 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는 데이터 구동부(12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Here, the source start pulse (SSP) controls the data sampling start timing of one or mor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s constituting the data driver 120.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is a clock signal that controls the sampling timing of data in each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The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controls the output timing of the data driver 120.

컨트롤러(14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구동부 집적회로가 본딩된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연성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또는 연성 인쇄 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결 매체를 통해 연결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ontrol Printed Circuit Board)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is a control connected to a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t least on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is bonded and a connection medium such as a flexible flat cable (FFC: Flexible Flat Cable)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It can be plac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또한, 컨트롤러(1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판 외부에서 별도로 형성 될 수 있고, 데이터 구동부(120)와 일체화 되어 형성 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구동부(120)는 소스 구동부 집적회로가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 될 수 있고, 또는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기판 상에 구현 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ler 140 may be formed separately outside the substrate,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formed integrated with the data driver 120. At this time, the data driver 120 may be implemented as a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using a chip on film (COF: Chip On Film) method, or may be implemented on a substrate using a chip on glass (COG: Chip on Glass) method. .

이러한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데이터 구동부(120), 게이트 구동부(130) 등으로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해주거나, 공급할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부(150)를 포함한다. 전원부(150)는 표시 패널(110),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 등으로 구동 전압을 포함하여, 각종 전압이나 전류를 공급하거나 공급되는 전압이나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This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50 that supplies various voltages or currents to the display panel 110, the data driver 120, the gate driver 130, etc., or controls the various voltages or currents to be supplied. The power supply unit 150 can supply various voltages or currents, including driving voltages, to the display panel 110, the data driver 120, and the gate driver 130, or control the supplied voltages or currents.

전원부(150)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전원(Vin)이 UVLO(Under Voltage Lock Out) 레벨 이상일 때 동작하기 시작하고, 소정의 시간이 지연된 후부터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전원부(150)의 출력 신호는 게이트 하이 전압(VGH), 게이트 로우 전압(VGL), 로직 전압(VCC) 및 공통 전압(GN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하이 전압(VGH)은 표시 장치(100)의 부화소(SP)에 형성된 트랜지스터(TFT)들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이상으로 설정된 전압이다. 게이트 로우 전압(VGL)은 표시 장치(100)의 부화소(SP)에 형성된 트랜지스터(TFT)들의 문턱 전압 보다 낮은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게이트 하이 전압(VGH)과 게이트 로우 전압(VGL)은 게이트 구동부(130)에 공급된다. 또한, 전원부(150)는 표시 패널(110)에 고전위 전원(EVDD) 및 저전위 전원(EVSS) 등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unit 150 starts operating when the input power (Vin) supplied from the host system is above the UVLO (Under Voltage Lock Out) level,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delay. The output signal of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include a gate high voltage (VGH), a gate low voltage (VGL), a logic voltage (VCC), and a common voltage (GND). The gate high voltage (VGH) is a voltage set above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transistors (TFTs) formed in the subpixel (SP)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gate low voltage VGL may be set to a voltage low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transistors TFT formed in the subpixel SP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gate high voltage (VGH) and the gate low voltage (VGL) are supplied to the gate driver 130. Additionally,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supply high-potential power (EVDD) and low-potential power (EVSS) to the display panel 110 .

모니터링부(160)는 전원부(150)에서 출력되는 게이트 구동 전원(VGH, VGL)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unit 160 can monitor the gate driving power (VGH, VGL)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전원부(150)에서 출력 되는 게이트 구동 전원(VGH, VGL)의 전압 레벨은 열화로 인한 누설 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일정한 전압 레벨로 출력하도록 동작하므로, 게이트 구동부(130)의 동작 성능이 저하 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부(160)는 게이트 구동 전원(VGH, VGL)의 전류 변화량(Isense)을 모니터링 하여 일정 수준 이상 증가 될 경우에 저속 구동 모드를 변경하도록 스캔 신호의 타이밍 정보(TS)를 출력 할 수 있다.Since the voltage level of the gate driving power supply (VGH, VGL)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operates to be output at a constant voltage level even if leakage current occurs due to deterioration,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gate driving unit 130 may deteriorate. Therefore, the monitoring unit 160 monitors the amount of current change (Isense) of the gate driving power supplies (VGH, VGL) and outputs timing information (TS) of the scan signal to change the low-speed driving mode when it increases above a certain level. .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로서, 각 부화소(SP)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TFT) 등의 회로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화소(SP)을 구성하는 회로 소자의 종류 및 개수는, 제공 기능 및 설계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each subpixel (SP)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drives the same. It is composed of circuit elements such as transistors (TFTs). The type and number of circuit elements constituting each subpixel (SP) may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rovided function and design method.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모니터링부의 세부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모니터링부(160)는 센싱 저항(Rsense), 게인 저항(Rgain), 인에이블 스위치(161), 계측 증폭기(162), 기준 전압 참조부(163),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4), 제 1 메모리(165), 구동 주파수 제어부(166), 제 2 메모리(167) 및 모드 변경부(168)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monitoring unit 160 includes a sensing resistor (Rsense), a gain resistor (Rgain), an enable switch 161, a measurement amplifier 162, a reference voltage reference unit 163,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 164), a first memory 165, a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166, a second memory 167, and a mode change unit 168.

기판의 내부에서 게이트 인 패널 형태로 구성 되는 게이트 구동부(130)의 경우, 장기간 사용 시 게이트 구동부(130)를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는 문턱전압 이하의 전압의 오프 동작에서도 누설 전류를 발생하므로, 이에 따른 열화로 인해 동작 성능이 저하 될 수 있다. 특히, 소비 전력을 저감 하도록 저속 구동 주파수로 구동 하는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내부 회로 업데이트 주기가 길어지므로 게이트 구동부(130)의 열화가 더욱 심화 될 수 있다. 이 때, 전원부(150)에서 게이트 구동부(130)로 인가 하는 게이트 구동 전원(VGH, VGL)은 열화가 발생 하더라도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지만, 열화로 인한 누설 전류에 따라 게이트 구동 전원(VGH, VGL)의 소비 전류가 상승 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gate driver 130 configured in the form of a gate-in panel inside the substrate,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thin film transistor constituting the gate driver 130 generates leakage current even when turned off at a voltage below the threshold voltage. Operational performance may deteriorate due to deterioration. In particular, when driving at a low driving frequency to reduce power consumption, the update cycle of internal circuits such as thin film transistors becomes longer, so deterioration of the gate driver 130 may further intensify. At this time, the gate driving power supply (VGH, VGL)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to the gate driver 130 maintains a constant voltage even if deterioration occurs, but the gate driving power supply (VGH, VGL) depends on the leakage current due to deterioration. Current consumption may increase.

따라서, 저속 구동 주파수로 구동 시 전원부(150)에서 출력 되는 게이트 구동 전원(VGH, VGL)의 전류를 모니터링 하여 기준 전류(도 4a; Iref) 보다 큰 경우 더 높은 구동 주파수로 변경함으로써, 플리커 또는 화면 이상과 같은 구동 불량을 방지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driven at a low driving frequency, the current of the gate driving power supply (VGH, VGL)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is monitored and changed to a higher driving frequency when i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FIG. 4a; Iref), thereby preventing flicker or screen Driving defects such as the above can be prevented.

센싱 저항(Rsense)은 일단이 전원부(150)에 접속 되고, 타단이 표시 패널(110)에 접속 될 수 있다. 센싱 저항(Rsense)은 전원부(150)로부터 게이트 구동 전원(VGH, VGL)와 동작 인에이블 신호(EN)를 인가 받아 전류(Isense)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센싱 저항(Rsense)에 흐르는 전류(Isense)는 게이트 구동부(130)의 열화에 따라 증가 할 수 있다.One end of the sensing resistor Rsense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10. The sensing resistor (Rsense) receives gate driving power (VGH, VGL) and an operation enable signal (EN)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can monitor changes in current (Isense). The current (Isense) flowing through the sensing resistor (Rsense) may increase as the gate driver 130 deteriorates.

인에이블 스위치(161)는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마주보도록 형성 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전원부(150)에 드레인 전극이 접속 되고, 다른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표시 패널(110)에 드레인 전극이 접속 될 수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들은 계측 증폭기(162)의 입력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게이트 전극이 상호 공통으로 접속 되어 표시 장치 구동 시에 인가 되는 동작 인에이블 신호(EN)를 통해 턴 온 또는 턴 오프 될 수 있다.The enable switch 161 may be formed so that two thin film transistors face each other. One thin film transistor may have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the other thin film transistor may have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10. In addition, the source electrodes of the thin film transistors are each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nstrumentation amplifier 162, and the gate electrodes are common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turn on or off through the operation enable signal EN applied when driving the display device. It can be.

게인 저항(Rgain)은 계측 증폭기(162)의 음극 입력 단자들 사이에 배치되어 증?i률을 조정 할 수 있다. 게인 저항(Rgain)의 저항값이 커질수록 증폭률도 커지는 비례 관계 일 수 있다.A gain resistor (Rgain) is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input terminals of the instrumentation amplifier 162 to adjust the increase rate. There may be a proporti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 amplification rate increases a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gain resistance (Rgain) increases.

계측 증폭기(162)에서 양극 입력 단자들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들에 각각 접속 되고, 음극 입력 단자는 게인 저항(Rgain)이 접속 된다. 또한, 출력 단자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4)에 접속 될 수 있다. 계측 증폭기(162)는 높은 입력 임피던스와 높은 공통모드제거비(CMRR)을 가지고 있으며, 두 양극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전위차를 취하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할 수 있다.In the instrumentation amplifier 162, the positive input terminal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s of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negativ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 gain resistor (Rgain). Additionally, the output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64. The instrumentation amplifier 162 has a high input impedance and a high common mode rejection ratio (CMRR), and can take the potential difference of a signal input through two positive input terminals, amplify the signal, and output it.

기준 전압 참조부(163)은 계측 증폭기(162)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4) 사이에 병렬로 배치 되어 계측 증폭기(162)에서 출력 되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The reference voltage reference unit 163 may be arranged in parallel between the measurement amplifier 162 and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64 to remove noise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measurement amplifier 162.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4)는 계측 증폭기(162)에서 수신한 아날로그 전압 레벨의 출력 신호를 8bit 또는 16bit 등의 디지털 전류값으로 변환 하여 출력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4)에서 변환 하여 출력 된 디지털 전류 값(Id)은 구동 주파수 제어부(166)로 인가 되며, 예를 들어, 8bit의 디지털 동작 신호(Id)인 경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4)와 구동 주파수 제어부(166) 사이에 8 개의 라인이 접속 되어 디지털 전류 값(Id)을 전달 할 수 있다.The analog-digital converter 164 can convert the output signal of the analog voltage level received from the instrumentation amplifier 162 into a digital current value such as 8 bit or 16 bit and output it. The digital current value (Id) converted and output from the analog-digital converter 164 is applied to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166.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8-bit digital operation signal (Id), the analog-digital converter 164 Eight lines are connected between and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166 to transmit a digital current value (Id).

제 1 메모리(165)는 온도, 조도 등의 사용 환경에 따른 모드를 구분하고, 각 모드의 구동 주파수 별 기준 전류(Iref)를 룩 업 테이블로 저장 할 수 있다.The first memory 165 can classify modes according to usage environments such as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and store the reference current (Iref) for each driving frequency of each mode as a look-up table.

구동 주파수 제어부(166)는 현재 동작 중인 저속 구동 모드의 제1 구동 주파수에 해당 하는 제1 기준 전류 (Iref1)를 제 1 메모리(165)로부터 참조하여, 입력 된 디지털 전류 값(Id)이 제1 기준 전류 (Iref1) 보다 큰 경우, 현재의 제1 구동 주파수 보다 큰 저속 구동 주파수로 변경 하도록 주파수 변경 신호를 출력하고, 동시에 변경 된 제2 구동 주파수의 제2 기준 전류 (Iref2)로 판단 기준을 업데이트 한다. 구동 주파수 제어부(166)의 상세 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166 refers to the first reference current (Iref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of the currently operating low-speed driving mode from the first memory 165, and sets the input digital current value (Id) to the first reference current (Iref1). If i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Iref1), a frequency change signal is output to change to a low-speed driving frequency greater than the current first driving frequency, and at the same time, the judgment standard is updated with the second reference current (Iref2) of the changed second driving frequency. do. Detailed operations of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166 will be described later.

제 2 메모리(167)는 온도, 조도 등의 사용 환경 및 구동 주파수에 따라 선택 되는 복수의 스캔 신호의 타이밍 정보(TS)를 저장 할 수 있다. 제 2 메모리(167)에 저장 된 각각의 스캔 신호의 타이밍 정보(TS)는 각기 다른 게이트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결정 할 수 있다.The second memory 167 may store timing information (TS) of a plurality of scan signals selected according to the driving frequency and usage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The timing information (TS) of each scan signal stored in the second memory 167 can determine the operation timing of each different gate driver 130.

모드 변경부(168)은 구동 주파수 제어부(166)에서 출력 되는 주파수 변경 신호에 따라, 제 2 메모리(167)에 저장 된 여러 스캔 신호 타이밍 정보(TS) 중 하나를 선택하여 컨트롤러(140) 또는 게이트 구동부(130)로 출력 할 수 있다.The mode change unit 168 selects one of several scan signal timing information (TS) stored in the second memory 167 according to the frequency change signal output from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166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40 or the gate. It can be output to the driving unit 130.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160)는 전원부(150)에서 출력 전압 중 일부를 모니터링 하여, 누설 전류 등으로 인한 전류 변화가 발생 할 경우, 현재의 저속 구동 주파수 보다 높은 구동 주파수로 변경하여 구동함으로써 이상 동작을 방지 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onitors a portion of the output voltage from the power unit 150, and when a current change occurs due to leakage current, etc., the monitoring unit 160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to a higher driving frequency than the current low-speed driving frequency. By operating it, abnormal operation can be prevented.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전압 모니터링부의 동작 파형에 대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of an operation waveform of a voltage monitoring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3을 참조하면, 모니터링부(160)의 입력부에서 게이트 구동 전원(VGH, VGL)을 인가 받을 때, 센싱 저항(Rsense)의 앞 단에서의 전압(Va)은 열화 발생 전과 열화 발생 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전원부(150)에서 출력 되는 게이트 구동 전압(VGH, VGL)은 열화 발생과 무관하게 출력 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when the gate driving power (VGH, VGL) is applied to the input unit of the monitoring unit 160, the voltage (Va) at the front end of the sensing resistor (Rsense) is constant before and after the deterioration occurs. It can be seen that the gate driving voltages (VGH, VGL)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are output regardless of the occurrence of deterioration.

동작 인에이블 신호(EN)는 표시 장치(100)가 구동 될 때 로직 하이 레벨로 인가 되어, 인에이블 스위치(161)에 구성 된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턴 온 시킨다. 동작 인에이블 신호(EN)는 표시 장치(100)의 구동 중에 로직 하이 레벨로 유지 될 수 있다.The operation enable signal EN is applied at a logic high level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driven, turning on the two thin film transistors configured in the enable switch 161. The operation enable signal EN may be maintained at a logic high level while the display device 100 is driven.

동작 인에이블 신호(EN)가 로직 하이 레벨인 구간에서 인 인에이블 스위치(161)는 턴 온 상태이므로, 계측 증폭기(162)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4) 등의 내부 회로를 통해 센싱 저항(Rsense)에 흐르는 전류(ISense)를 감지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 변화량(Isense)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 할 경우 계측 증폭기(162)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4)는 센싱 저항(Rsense)에 흐르는 전류(Isense)를 디지털 전류 값(Id)으로 변환 할 수 있다. 이 때 디지털 전류 값(Id)은 센싱 저항(Rsense)에 흐르는 전류(Isense)와 달리 디지털 변환 된 값이며, 전류(Isense) 변화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변경 될 수 있다.Since the enable switch 161 is turned on in the section where the operation enable signal (EN) is at a logic high level, the sensing resistance (Rsense) is applied through internal circuits such as the measurement amplifier 162 and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64. ) can detect the current (ISense) flowing through the Therefore, when the current change amount (Isense) increases above a certain level, the instrumentation amplifier 162 and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64 convert the current (Isense) flowing through the sensing resistor (Rsense) into a digital current value (Id). You can. At this time, the digital current value (Id) is a digitally converted value, unlike the current (Isense) flowing through the sensing resistor (Rsense), and can be changed on a frame-by-frame basi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urrent (Isense).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구동 주파수 제어부에 대한 상세 도면이다.Figure 4 is a detailed diagram of a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4a는 구동 주파수 제어부(166)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4b은 1Hz 내지 4Hz로 저속 구동 시의 파형도 이다.FIG. 4A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166, and FIG. 4B is a waveform diagram when driving at a low speed of 1Hz to 4Hz.

도 4a를 참조하면, 구동 주파수 제어부(166)는 판별부(166a) 및 변경부(166b)를 포함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166 may include a determination unit 166a and a change unit 166b.

판별부(166a)는 제 1 메모리(165)를 참조하여, 현재 저속 구동 주파수에 해당 하는 기준 전류(Iref)와, 센싱 저항(Rsense)에 흐르는 전류(Isense)를 디지털 변환한 디지털 전류 값(Id)을 비교 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166a refers to the first memory 165 and digitally converts the reference current (Iref)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w-speed driving frequency and the current (Isense) flowing through the sensing resistor (Rsense) into a digital current value (Id). ) can be compared.

변경부(166b)는 판별부(166a)의 비교 결과에 따라, 현재 구동 중인 저속 구동 주파수를 유지하거나 또는 그보다 더 높은 구동 주파수로 변경하도록 변경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 한다.The change unit 166b outputs a control signal to maintain the current low-speed driving frequency or change it to a higher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166a.

도 4b를 참조하면, 1Hz 내지 3Hz 저속 구동 시에 누설 전류로 인한 불량이 발생하며, 4Hz에서는 정상 동작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1Hz 내지 3Hz의 저속 구동 시 누설 전류로 인한 불량이 동일 시점에서 발생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4b, it can be seen that defects due to leakage current occur when driving at low speeds of 1Hz to 3Hz, and operate normally at 4Hz.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defects due to leakage current occur at the same time when driving at low speeds of 1Hz to 3Hz.

예를 들어, 현재 동작 중인 저속 구동 모드의 제1 구동 주파수가 1Hz로 동작하고 있을 때, 1Hz에 해당 하는 값을 제1 기준 전류(Iref)로 가질 수 있다. 이 때, 표시 장치(100)가 열화로 인해 누설 전류가 발생 하게 되면, 센싱 저항(Rsense)에 흐르는 전류(Isense)는 정상 구동 시 보다 커질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driving frequency of the currently operating low-speed driving mode is operating at 1 Hz, the first reference current (Iref) may have a value corresponding to 1 Hz. At this time, if leakage current occurs in the display device 100 due to deterioration, the current (Isense) flowing through the sensing resistor (Rsense) may be larger than during normal operation.

따라서, 도 4a의 동작 순서도와 같이, 계측 증폭기(162)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64)를 통해 디지털 변환 된 디지털 전류 값(Id)을, 판별부(166a)에서 1Hz의 제1 구동 주파수에 해당 하는 제1 기준 전류(Iref1)와 비교 할 경우 더 큰 값을 가지므로, 변경부(166b)는 더 높은 구동 주파수, 예를 들어 2Hz의 제2 구동 주파수로 변경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 함과 동시에 판별부(166a)의 판단 기준 전류(Iref)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the operation flowchart of FIG. 4A, the digital current value (Id) converted to digital through the instrumentation amplifier 162 and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64 corresponds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of 1 Hz in the determination unit 166a. Since it has a larger value compared to the first reference current (Iref1), the change unit 166b outputs a control signal to change to a higher driving frequency, for example, a second driving frequency of 2 Hz, and simultaneously determines The judgment reference current (Iref) of the unit 166a may be updated.

이어서, 변경된 제2 구동 주파수에 따라 다음 프레임은 2Hz로 구동이 될 수 있다. 센싱 저항(Rsense)에 흐르는 전류(Isense)를 계속 하여 모니터링 하고, 판별부(166a)는 업데이트 된 제2 기준 전류(Iref2)와 현재 2Hz로 저속 구동하는 제2 구동 주파수의 디지털 전류 값(Id)를 비교 할 수 있다. 이 때 여전히 제2 기준 전류(Iref2) 보다 디지털 전류 값(Id)이 더 크면 변경부(166b)를 통해 더 높은 구동 주파수로 변경 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next frame may be driven at 2Hz according to the changed second driving frequency. The current (Isense) flowing through the sensing resistor (Rsense) is continuously monitored, and the determination unit 166a determines the updated second reference current (Iref2) and the digital current value (Id) of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currently driven at a low speed of 2 Hz. can be compared. At this time, if the digital current value (Id) is still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current (Iref2), the driving frequency can be changed to a higher driving frequency through the change unit (166b).

이와 같이, 센싱 저항(Rsense)에 흐르는 전류(Isense)를 모니터링 하고 디지털 전류 값(Id)과 기준 전류(Iref)의 크기 비교를 반복함으로써, 디지털 전류 값(Id)이 기준 전류(Iref) 보다 작게 되어, 누설 전류로 인한 구동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4Hz까지 구동 주파수를 상승 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변경 되는 저속 구동 주파수의 단위를 1Hz 단위로 설명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다르게 적용 될 수 있다.In this way, by monitoring the current (Isense) flowing through the sensing resistance (Rsense) and repeating the size comparison between the digital current value (Id) and the reference current (Iref), the digital current value (Id)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Iref). Therefore, the driving frequency can be increased to 4Hz, where driving defects due to leakage current do not occur.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nit of the low-speed driving frequency that is changed is described in units of 1 Hz,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ase.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구동 주파수 변경 동작에 대한 도면이다. Figure 5 is a diagram of a driving frequency change operation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5를 참조하면, 구동 주파수는 미리 셋팅 된 주파수로만 동작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5, the driving frequency can only operate at a preset frequency.

모니터링부(160)의 세부 구성은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하지 않고, 구동 주파수의 변경 동작에 대해서만 기술하기로 한다.Sinc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unit 160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redundant description will not be provided, and only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driving frequency will be described.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한 된 구동 주파수 만으로 동작 하므로, 이에 따른 기준 전류(Iref)도 적은 수 만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룩 업 테이블 형태로 구동 주파수에 따른 기준 전류(Iref)를 저장 하는 제 1 메모리(165)가 작은 용량을 가질 수 있다.Sinc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operates only with a limited driving frequency, it may also have only a small number of reference currents (Iref). Accordingly, the first memory 165, which stores the reference current (Iref) according to the driving frequency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may have a small capacity.

예를 들어, 일반적인 구동 모드를 60Hz 라고 할 때, 저속 구동 모드에서의 구동 주파수는 1Hz, 10Hz, 30Hz 이고, 고속 구동 모드에서의 구동 주파수는 90Hz, 120Hz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구동 주파수는 각 구동 주파수에 해당 하는 기준 전류(Iref)를 가질 수 있다. 만약 현재 동작 중인 저속 구동 모드의 제1 구동 주파수가 10Hz 인 경우, 이에 해당 되는 제1 기준 전류(Iref1)는 16진수 값으로 표현 할 경우 “10”일 수 있다. 이 때, 누설 전류로 인한 구동 불량이 발생 할 수 있고, 모니터링부(160) 내부 회로의 동작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변경 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general driving mode is 60Hz, the driving frequencies in the low-speed driving mode may be 1Hz, 10Hz, and 30Hz, and the driving frequencies in the high-speed driving mode may be 90Hz and 120Hz. Accordingly, each driving frequency may have a reference current (Iref) corresponding to each driving frequency. I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of the currently operating low-speed driving mode is 10Hz, the corresponding first reference current (Iref1) may be “10” when expressed as a hexadecimal value. At this time, driving failure may occur due to leakage current, and the driving frequency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circuit of the monitoring unit 160.

모니터링부(160) 내부의 판별부(166a) 및 변경부(166b)는 디지털 전류 값(Id)이 제1 구동 주파수인 10Hz에 해당하는 제1 기준 전류(Iref1)인 “10”보다 큰 경우에 제1 구동 주파수보다 큰 30Hz의 제2 구동 주파수로 변경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 함과 동시에 판별부(166a)의 판단 기준 전류(Iref)를 30Hz의 구동 주파수에 해당하는 제2 기준 전류(Iref2)인 “19”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166a and the change unit 166b inside the monitoring unit 160 determine if the digital current value (Id) is greater than “10”, which is the first reference current (Iref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of 10Hz. A control signal is output to change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of 30 Hz, which is greater than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nd at the same time, the judgment reference current (Iref) of the determination unit 166a is changed to the second reference current (Iref2)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frequency of 30 Hz. It can be updated to “19”.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한 된 구동 주파수 만을 이용하므로, 룩 업 테이블 형태로 구동 주파수에 따른 기준 전류(Iref)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165)가 작은 용량을 가질 수 있고, 구동 주파수를 반복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한번만 변경 하더라도 누설 전류로 인한 구동 불량이 해소 될 수 있으므로, 화상 품위를 빠르게 향상 시킬 수 있다.Sinc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uses only a limited driving frequency, the first memory 165 that stores the reference current (Iref) according to the driving frequency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may have a small capacity, Since driving defects due to leakage current can be resolved by changing the driving frequency only once, rather than repeatedly changing the driving frequency, image quality can be quickly improved.

도 6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구동 주파수 변경 동작에 대한 도면이다. Figure 6 is a diagram of a driving frequency change operation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6을 참조하면, 온도, 조도 등의 사용 환경이나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표시 장치(100)의 최대 휘도가 다르고, 게이트 구동부(130)에서 사용 되는 최소 전압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소비 전류 최적화를 위해 각 사용 환경에 따라 밴드(Band)를 구분 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밴드(Band)는 구동 주파수 마다 다른 기준 전류(Iref)를 갖도록 구성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maximum luminance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usage environment or application, such as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and the minimum voltage used in the gate driver 130 may also vary. Therefore, in order to optimize current consumption, bands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each usage environment, and each band can be configured to have a different reference current (Iref) for each driving frequency.

모니터링부(160)의 세부 구성은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하지 않고, 밴드(Band) 간 구동 주파수의 변경 동작에 대해서만 기술하기로 한다.Sinc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unit 160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redundant description will not be provided, and only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driving frequency between bands will be described.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동일 밴드(Band) 내에서의 구동 주파수 변경뿐만이 아니라, 밴드(Band)의 변경과 구동 주파수의 변경이 함께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n embodiment in which not only the driving frequency is changed within the same band, but also the band change and the driving frequency change are performed together.

예를 들어, 첫번째 밴드(Band 1)는 야외 활동 시의 주변 조도에 따라 높은 최대 휘도를 요구하는 상황의 설정 일 수 있다. 두번째 밴드(Band 2)는 사무 환경 등과 같은 실내 공간에서의 설정 일 수 있다. n번째 밴드(Band n)는 야간 환경에서의 설정 일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사용 환경 및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각각의 밴드가 구분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band (Band 1) may be a setting for a situation that requires high maximum luminance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illumination during outdoor activities. The second band (Band 2) may be set in an indoor space such as an office environment. The nth band (Band n) may be set in a night environment. In addition, each band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various usage environments and applications.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실내에서 10Hz의 저속 구동 모드로 사용 도중, 외부로 이동을 하는 동시에 열화에 따른 불량 방지를 위해 현재 동작 중인 저속 구동 모드의 구동 주파수를 변경하여 더 높은 구동 주파수로 변경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 환경에 따른 적용 밴드(Band) 및 구동 주파수를 함께 변경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ile the user is using the display device 100 indoors in a low-speed drive mode of 10 Hz, the user moves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currently operating low-speed drive mode to prevent defects due to deterioration. Can be changed to a higher driving frequency.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band and driving frequency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따라서, 모니터링부(160)의 동작에 따라 디지털 전류 값(Id)이 현재 동작 중인 저속 구동 모드의 제1 구동 주파수에 해당 하는 제1 기준 전류(Iref1)인 “0E” 보다 큰 경우 제1 구동 주파수는 30Hz의 제2 구동 주파수로 상승 한다. 이 때 바뀐 사용 환경에 따라 두번째 밴드(Band 2)에서 첫번째 밴드(Band 1)로 바뀌더라도 첫번째 밴드(Band 1)의 제2 기준 전류(Iref2)인 “19”은 두번째 밴드(Band 2)에서의 제2 기준 전류(Iref2)인 “16”보다 높으므로 문제 되지 않는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unit 160, when the digital current value (Id) is greater than “0E”, which is the first reference current (Iref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of the currently operating low-speed driving mode, the first driving frequency rises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of 30Hz. At this time, even if the second band (Band 2) is changed to the first band (Band 1) according to the changed usage environment, “19”, the second reference current (Iref2) of the first band (Band 1),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band (Band 2). It is not a problem because it is higher than “16”, which is the second reference current (Iref2).

반대의 경우에서, 외부 환경에 대한 첫번째 밴드(Band 1)에서 실내 환경의 두번째 밴드(Band 2)로 이동하는 경우 최대 휘도가 낮아지고, 이에 따라, 각 구동 주파수에서의 기준 전류(Iref) 값도 낮아 질 수 있다. 만약, 현재 동작 중인 저속 구동 모드의 제1 구동 주파수 10Hz에서 디지털 전류 값(Id)이 “17”인 경우, 첫번째 밴드(Band1)에서는 30Hz의 제2 구동 주파수에 해당 하는 제2 기준 전류(Iref2) 인 “19” 보다 작은 값을 가지므로, 30Hz 저속 구동을 지속 할 수 있다. In the opposite case, when moving from the first band (Band 1) for the outdoor environment to the second band (Band 2) for the indoor environment, the maximum luminance decreases, and accordingly, the reference current (Iref) value at each driving frequency also decreases. It can be lowered. If the digital current value (Id) is “17”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of 10Hz in the currently operating low-speed driving mode, the second reference current (Iref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of 30Hz in the first band (Band1) Since it has a value smaller than “19”, 30Hz low speed operation can be continued.

그러나, 사용자가 외부에서 실내로 이동함에 따라 사용 환경도 함께 변경 되었으므로, 적용 밴드(Band)도 변경 되어야 한다. 이 때, 두번째 밴드(Band2)에서는 30Hz의 제2 구동 주파수에 해당 하는 제2 기준 전류(Iref2)는 “16”이므로, 이는 현재 동작 중인 10Hz 저속 구동 모드의 제1 구동 주파수에서 디지털 전류 값(Id)인 “17” 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변경 하여 적용 되는 구동 주파수는 제3 구동 주파수로 상승하게 되며, 이 때, 제3 구동 주파수는 저속 구동 모드가 아닌 60Hz의 일반적인 구동 주파수 일 수 있다.However, as the user moves from outside to indoors, the usage environment also changes, so the application band must also change. At this time, in the second band (Band2), the second reference current (Iref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of 30Hz is “16”, so this is the digital current value (Id) at the first driving frequency of the currently operating 10Hz low-speed driving mode. ) can be smaller than “17”. Accordingly, the driving frequency that is finally changed and applied increases to the third driving frequency. At this time, the third driving frequency may be a general driving frequency of 60Hz rather than a low-speed driving mode.

또한, 표시 장치(100)의 구동 중 열화로 인해 구동 주파수를 높이도록 현재 동작 중인 저속 구동 모드의 구동 주파수에 제한이 발생 하였더라도, 온도, 조도 등의 사용 환경이 변화하여 누설 전류로 인한 불필요한 전류 증가가 발생하지 않고, 변경 된 밴드에서의 기준 전류(Iref) 보다 낮은 디지털 전류 값(Id)으로 유지 되면, 구동 주파수의 상승 없이 현재 동작 중인 저속 구동 모드의 구동 주파수를 계속 유지하도록 동작 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currently operating low-speed driving mode is limited due to deterioration during driv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to increase the driving frequency, unnecessary current increases due to leakage current due to changes in the usage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and illuminance. If does not occur and the digital current value (Id) is maintained low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Iref) in the changed band, the drive frequency of the currently operating low-speed drive mode can be maintained without increasing the drive frequency.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사용 환경 별로 각기 다른 밴드(Band)를 적용하므로, 소비 전력을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사용 환경에 맞추어 게이트 구동부(130) 열화에 따른 구동 불량을 방지하도록, 전원부(150)에서 출력되는 게이트 구동 전압(VGH, VGL)을 모니터링 하여, 기준 전류(Iref)보다 큰 전류가 감지 될 시 현재 동작 중인 저속 구동 모드의 구동 주파수를 상승하도록 변경하므로, 열화에 따른 누설 전류로 인한 구동 불량을 방지하고, 화상 품위를 향상 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applying different bands to each usage environment.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driving defects due to deterioration of the gate driver 130 according to each usage environment, the gate driving voltages (VGH, VGL)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are monitored to ensure that a current great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Iref) When detected,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currently operating low-speed driving mode is changed to increase, preventing driving defects due to leakage current due to deterioration and improving image quality.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부화소가 마련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에 영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표시 패널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표시 패널,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 구동부 및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게이트 구동 전원을 모니터링하여 구동 주파수를 변경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 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tha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bpixels to display an image, a data driver that supplies image data to the display panel, a gate driver that supplies a scan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 data driver, and It may include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gate driver, a display panel, a data driver, a power supply that supplies power to one or more of the gate driver and controller, and a monitoring unit that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by monitoring the gate driv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모니터링부는, 일단이 전원부에 접속되고, 타단이 표시 패널에 접속된 센싱 저항, 센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산출하는 계측 증폭기, 구동 주파수별 기준 전류를 룩 업 테이블로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계측 증폭기에서 산출 된 전류를 디지털 전류 값으로 변환하여 기준 전류의 비교 결과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변경하는 구동 주파수 제어부 및 구동 주파수 제어부의 주파수 변경에 따라, 스캔 신호 타이밍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모드 변경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onitoring unit includes a sensing resistor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a measurement amplifier that calculat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nsing resistor, and a lookup reference current for each driving frequency. A first memory to store as a table, a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that converts the current calculated from the instrumentation amplifier into a digital current value and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reference current, and according to the frequency change of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scan signal timing inform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mode change unit that changes and outputs .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구동 주파수 제어부는, 디지털 전류 값과, 현재 동작 중인 제1 구동 주파수에 따른 제1 기준 전류를 비교하는 판별부 및 판별부의 판단에 따라 제1 구동 주파수 보다 큰 제2 구동 주파수로 변경하는 변경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igital current value and the first reference current according to the currently operating first driving frequency are compared,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determining unit, the driving frequency is set to higher than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t may further include a change unit that changes to a large second driving frequency.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변경부는 제1 구동 주파수를 제2 구동 주파수로 변경 시에 판별부의 기준 전류를 제2 구동 주파수에 해당하는 제2 기준 전류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change unit changes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he reference current of the determination unit may be updated to the second referenc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구동 주파수 제어부는, 현재 동작 중인 구동 주파수의 디지털 전류 값이 판별부에서 업데이트 된 기준 전류 보다 낮은 값을 가질 때까지 반복 하여 구동 주파수를 증가 시킬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may repeatedly increase the driving frequency until the digital current value of the currently operating driving frequency has a lower value than the reference current upda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구동 주파수 제어부는, 표시 패널을 동작하는 복수의 구동 주파수가 미리 설정되고, 복수의 구동 주파수 중 현재 동작 중인 제1 구동 주파수의 디지털 전류 값이 제1 기준 전류 보다 큰 경우,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동 주파수 중 제1 구동 주파수 보다 큰 제2 구동 주파수로 변경 할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lurality of driving frequencies for operating the display panel are preset in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and the digital current value o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currently operating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frequencies is set as the first reference. If the current is greater than the current, it can be changed to a second driving frequency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mong a plurality of preset driving frequencie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 1 메모리는 온도 또는 조도에 따라 구동 주파수 별 기준 전류가 다르게 설정 된 밴드로 구분 하여 룩업 테이블로 저장 할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memory may be divided into bands with different reference currents for each driving frequency depending on temperature or illuminance and stored in a lookup tabl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구동 주파수 제어부는 디지털 전류 값이 동일 하더라도 밴드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다르게 적용 할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ler may apply a different driving frequency depending on the band even if the digital current value is the sam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부화소가 마련 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을 구동하고, 열화 발생 시 소비 전류가 증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게이트 구동부에 게이트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게이트 구동 전원의 소비 전류 변화를 모니터링 하여 구동 주파수를 변경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 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bpixels to display an image, a gate driver that drives the display panel, and a gate driver whose current consumption increases when deterioration occurs, and a gate drive power supply to the gate driver. It may include a monitoring unit that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by monitoring changes in current consump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gate driving powe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모니터링부는, 일단이 전원부에 접속 되고, 타단이 표시 패널에 접속 된 센싱 저항, 센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산출 하는 계측 증폭기, 센싱 저항과 계측 증폭기 사이에 접속 되어 동작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턴 온 되는 인에이블 스위치, 계측 증폭기에서 산출 된 전류를 디지털 전류값으로 변환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구동 주파수 별 기준 전류를 룩 업 테이블로 저장 하는 제 1 메모리, 복수의 스캔 신호의 타이밍 정보를 저장 하는 제 2 메모리, 디지털 전류값으로 변환 된 전류가 상기 기준 전류 보다 큰 경우 구동 주파수를 변경 하는 구동 주파수 제어부 및 구동 주파수 제어부의 주파수 변경 신호에 따라, 제 2 메모리에 저장 된 여러 스캔 신호 타이밍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모드 변경부를 포함 할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onitoring unit includes a sensing resistor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a measurement amplifier that calculat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nsing resistor,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sensing resistor and the measurement amplifier. an enable switch that turns 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enable signal,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that converts the current calculated from the instrumentation amplifier into a digital current value, a first memory that stores the reference current for each driving frequency as a look-up table, and a plurality of A second memory that stores the timing information of the scan signal, a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that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when the current converted to a digital current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and a frequency change signal from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stored in the second memory. It may include a mode changer that selects and outputs one of several scan signal timing information.

상술한 본 명세서의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명세서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exampl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d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xample.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exemplified in at least one example of this specification can be combined or modified for other exampl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pertains.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명세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will be obvious to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10: 표시 패널
120: 데이터 구동부
130: 게이트 구동부
140: 컨트롤러
150: 전원부
160: 모니터링부
110: display panel
120: data driving unit
130: Gate driver
140: controller
150: power unit
160: Monitoring unit

Claims (16)

복수의 부화소가 마련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영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표시 패널, 상기 데이터 구동부, 상기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컨트롤러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게이트 구동 전원의 전류 변화량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류가 일정 수준 이상 증가될 경우 스캔 신호 타이밍 정보를 컨트롤러 또는 게이트구동부로 출력하여 구동 주파수를 변경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 display pane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bpixels to display an image;
a data driver that supplies image data to the display panel;
a gate driver that supplies a scan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data driver and the gate driver;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one or more of the display panel, the data driver, the gate driver, and the controller;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a change in current of the gate driv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by outputting scan signal timing information to a controller or a gate driving unit when the current increases above a certain lev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일단이 상기 전원부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표시 패널에 접속된 센싱 저항;
상기 센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산출하는 계측 증폭기;
구동 주파수별 기준 전류를 룩 업 테이블로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상기 계측 증폭기에서 산출 된 전류를 디지털 전류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기준 전류의 비교 결과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변경하는 구동 주파수 제어부; 및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의 주파수 변경에 따라, 스캔 신호 타이밍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모드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ing unit,
a sensing resistor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an instrumentation amplifier that calculate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nsing resistor;
a first memory that stores reference currents for each driving frequency as a look-up table;
a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that converts the current calculated from the instrumentation amplifier into a digital current value and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of the reference current; and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mode changer that changes and outputs scan signal tim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frequency of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전류 값과, 현재 동작 중인 제1 구동 주파수에 따른 제1 기준 전류를 비교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보다 큰 제2 구동 주파수로 변경하는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a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digital current value with a first reference current according to a currently operating first driving frequency; and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change unit that changes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o a second driving frequency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를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로 변경 시에 상기 판별부의 기준 전류를 상기 제2 구동 주파수에 해당하는 제2 기준 전류로 업데이트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hange unit updates the reference current of the determination unit to a second referenc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when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s changed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는,
상기 현재 동작 중인 구동 주파수의 디지털 전류 값이 상기 판별부에서 업데이트 된 기준 전류보다 낮은 값을 가질 때까지 반복 하여 구동 주파수를 증가 시키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A display device that repeatedly increases the driving frequency until the digital current value of the currently operating driving frequency has a lower value than the reference current updated in the determination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을 동작하는 복수의 구동 주파수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주파수 중 현재 동작 중인 제1 구동 주파수의 디지털 전류 값이 상기 제1 기준 전류보다 큰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동 주파수 중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보다 큰 제2 구동 주파수로 변경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A plurality of driving frequencies for operating the display panel are set in advance,
When the digital current value of the currently operating first driving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frequencies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current, changing to a second driving frequency greater than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preset driving frequencies, display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는 온도 또는 조도에 따라 구동 주파수 별 기준 전류가 다르게 설정 된 밴드로 구분 하여 룩업 테이블로 저장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memory is divided into bands with different reference currents for each driving frequency depending on temperature or illuminance and stored in a lookup tab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전류 값이 동일 하더라도 상기 밴드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다르게 적용하도록 구현된,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is implemented to apply a different driving frequency depending on the band even if the digital current value is the same.
복수의 부화소가 마련 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고, 열화 발생 시 소비 전류가 증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게이트 구동부에 게이트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 전원의 소비 전류 변화를 모니터링 하여 상기 소비 전류 변화가 기준 전류보다 큰 경우 상기 게이트구동부 또는 상기 전원부에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 주파수를 변경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 display pane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bpixels to display an image;
a gate driver that drives the display panel and increases current consumption when deterioration occurs;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gate driving power to the gate driving unit;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a change in current consumption of the gate driving power supply and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by applying a signal to the gate driving unit or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change in current consumption is greater than a reference curren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일단이 상기 전원부에 접속 되고, 타단이 상기 표시 패널에 접속 된 센싱 저항;
상기 센싱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산출 하는 계측 증폭기;
상기 센싱 저항과 상기 계측 증폭기 사이에 접속 되어 동작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턴 온 되는 인에이블 스위치;
상기 계측 증폭기에서 산출 된 전류를 디지털 전류 값으로 변환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구동 주파수 별 기준 전류를 룩 업 테이블로 저장 하는 제 1 메모리;
복수의 스캔 신호의 타이밍 정보를 저장 하는 제 2 메모리;
상기 디지털 전류 값으로 변환 된 전류가 상기 기준 전류 보다 큰 경우 구동 주파수를 변경 하는 구동 주파수 제어부; 및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의 주파수 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 된 여러 스캔 신호 타이밍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모드 변경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monitoring unit,
a sensing resistor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an instrumentation amplifier that calculat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nsing resistor;
an enable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sensing resistor and the instrumentation amplifier and turned on according to an operation enable signal;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that converts the current calculated from the instrumentation amplifier into a digital current value;
A first memory that stores reference currents for each driving frequency as a look-up table;
a second memory storing tim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can signals;
a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that changes the driving frequency when the current converted to the digital current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mode changer that selects and outputs one of several scan signal tim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memory according to a frequency change signal from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전류 값과, 현재 동작 중인 제1 구동 주파수에 따른 제1 기준 전류를 비교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구동 주파수 보다 큰 제2 구동 주파수로 변경 하는 변경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a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digital current value with a first reference current according to a currently operating first driving frequency;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hange unit that changes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o a second driving frequency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는 상기 제1 구동 주파수를 상기 제2 구동 주파수로 변경 시에 상기 판별부의 기준 전류를 상기 제2 구동 주파수에 해당 하는 제2 기준 전류로 상기 판별부를 업데이트 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change unit updates the reference current of the determination unit with a second referenc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when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s changed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는,
상기 현재 동작 중인 구동 주파수의 디지털 전류 값이 상기 판별부에서 업데이트 된 기준 전류 보다 낮은 값을 가질 때까지 반복 하여 구동 주파수를 증가 시키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A display device that repeatedly increases the driving frequency until the digital current value of the currently operating driving frequency has a lower value than the reference current upda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는,
상기 표시 패널을 동작하는 복수의 구동 주파수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주파수 중 현재 동작 중인 제1 구동 주파수의 디지털 전류 값이 제1 기준 전류 보다 큰 경우, 미리 설정된 복수의 구동 주파수 중 제1 구동 주파수 보다 큰 제2 구동 주파수로 변경 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A plurality of driving frequencies for operating the display panel are set in advance,
When the digital current value o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currently operating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frequencies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current, the display device changes to a second driving frequency greater than the first driving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preset driving frequenci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는 온도 또는 조도에 따라 구동 주파수 별 기준 전류가 다르게 설정 된 밴드로 구분 하여 룩업 테이블로 저장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first memory is divided into bands with different reference currents for each driving frequency depending on temperature or illuminance and stored in a lookup tabl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전류 값이 동일 하더라도 상기 밴드 에 따라 구동 주파수가 다르게 적용 할 수 있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driving frequency control unit may apply a different driving frequency depending on the band even if the digital current value is the same.
KR1020190178891A 2019-12-31 Display apparatus KR1026753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91A KR102675355B1 (en) 2019-12-31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91A KR102675355B1 (en) 2019-12-31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629A KR20210085629A (en) 2021-07-08
KR102675355B1 true KR102675355B1 (en) 2024-06-13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8607A1 (en) 2014-12-05 2016-06-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Load driving device and in-vehicle control device us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8607A1 (en) 2014-12-05 2016-06-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Load driving device and in-vehicle control device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9795B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102482335B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10249063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087698B2 (en) Display device
US869885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low power driving method thereof
JP561131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527847B1 (en) Display apparatus
KR102647169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20210083644A (en) OLE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US11967284B2 (en) Display apparatus
KR20160030597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80003402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111883053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842694B2 (en) Display device
KR20220048220A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14694578A (en) Display device
JP4981108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1883035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604472B1 (en) Display device
KR102417424B1 (en) Tiled display and luminance compensation method thereof
CN115273742A (en) Gate drive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3717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Sensing Method For Electric Characteristics Of The Same
KR20220030344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20080117196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604731B1 (en)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