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949B1 - Gate drive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Gate drive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949B1
KR102673949B1 KR1020190151744A KR20190151744A KR102673949B1 KR 102673949 B1 KR102673949 B1 KR 102673949B1 KR 1020190151744 A KR1020190151744 A KR 1020190151744A KR 20190151744 A KR20190151744 A KR 20190151744A KR 102673949 B1 KR102673949 B1 KR 102673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area
signals
shif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7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3166A (en
Inventor
권오건
황지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1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949B1/en
Publication of KR2021006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1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94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프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시프트레지스터, 및 시프트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영역과 제2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순차적으로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되, 제1기간에는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에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제2기간에는 제1영역과 제2영역 중 제1영역에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게이트드라이버,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shift register that sequentially outputs shift signals, and a shift signal that receives the shift signals and sequentially supplies gate signals to a plurality of gate lines arranged i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display panel. A gate driver including a switch unit that sequentially supplies a gate signal to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n a first period, and sequentially supplies a gate signal to the first area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n a second perio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n be provided.

Description

게이트 드라이버,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GATE DRIVE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Gate driver,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GATE DRIVE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본 명세서는 게이트 드라이버,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전력을 줄이고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게이트 드라이버,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gate driver,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gate driver,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display various images.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퀀텀닷 발광표시장치(Q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타입의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images is increasing in various form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s) an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s (QLEDs).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re being used.

표시장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복수의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표시장치는 사진, 게임, 동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데, 기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되는 프레임의 수가 많을수록, 즉, 한 프레임의 시간이 짧을 수록,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게임, 동영상이 보다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by sequentially displaying a plurality of frames for a preset time.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can display photos, games, and videos. The greater the number of frames displayed during a preset time, that is, the shorter the time of one frame, the more naturally the games and video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You can.

표시장치가 하나의 구동주파수에 따라 동작하게 되면, 불필요한 소비전력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구동주파수를 조절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게이트드라이버,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발명하였다. When a display device operates at a single driving frequency, there is a problem in tha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ncreases. 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is specification have invented a gate driver,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adjusting the driving frequency.

기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의 수가 많으면, 즉, 한 프레임의 시간이 짧을 수록, 표시장치는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사진과 같은 정지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되는 프레임의 수가 적어도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프레임의 수를 많게 할 필요가 없다.If the number of frames of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during a preset time increases, that is, the shorter the time of one frame, the display device has a problem of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Also, when a still image such as a photo is displayed,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can be displayed naturally even if the number of frames displayed during the preset time is small.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unnecessarily increase the number of frames when displaying a still image.

또한, 표시장치가 스마트폰, 테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 적용된 경우,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모바일 기기 사용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장치는 낮은 계조를 이용하여 간단한 정보만 표시되는 저전력표시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저전력표시모드 역시 기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되는 프레임의 수를 많게 할 필요가 없다. Additionally, when the display device is applied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using the mobile device, the display device switches to a low-power display mode in which only simple information is displayed using low gradations. It can operate as . Low-power display mode also does not require increasing the number of frames displayed during a preset time.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수를 조절하여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게이트드라이버,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발명하였다. 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invented a gate driver with a new structure,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at can minimize power consumption by adjusting the number of frames of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과제는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게이트 드라이버,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gate driver,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과제는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여 구동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gate driver,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at set a different driving frequency in response to a displayed imag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적어도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며, 제1영역과 제2영역에서 각각 서로 다른 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서로 다른 구동주파수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데이터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는 제1영역과 제2영역에 대응하는 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데이터신호와 게이트신호를 제1영역과 제2영역에 공급하며, 데이터드라이버와 게이트드라이버는 타이밍컨트롤러에서 제어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divided into at least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includes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images corresponding to different driving frequencies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respectively. In order to display images corresponding to different driving frequencies in the first and second areas on the display panel, the data driver and gate driver generate data signals and gate signals in response to the driving frequenci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reas. It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areas, and the data driver and gate driver are controlled by the timing controller.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드라이버는 시프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시프트레지스터 및 시프트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영역과 제2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순차적으로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스위치부는 제1기간에는 제1영역과 제2영역에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제2기간에는 제1영역과 제2영역 중 제1영역에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The gate d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ceives a shift register and shift signals that sequentially output shift signals, and sequentially supplies gate signals to a plurality of gate lines arranged i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display panel. It includes a switch unit that does. The switch unit sequentially supplies gate signals to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n the first period, and sequentially supplies the gate signal to the first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in the second period.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영역에서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영역에서 제1구동주파수와 주파수가 다른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a first driving frequency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performs a second driving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panel. Displays images according to frequency.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드라이버,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구비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By providing a gate driver,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또한, 상기의 게이트드라이버,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영상을 표시하더라도 화질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Additionally, by using the gate driver,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image quality does not deteriorate even when various images are displayed.

본 명세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화면을 분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게이트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구동주파수가 120Hz인 경우와 구동주파수가 60Hz인 경우에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영역별로 다른 구동주파수에 대응한 구동주파수선택신호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ixe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image displayed by dividing a screen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gate signal output in response to a driving frequency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graph compa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isplay device when the driving frequency is 120Hz and when the driving frequency is 60Hz.
Figure 6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gate driv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timing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a gate driv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driving frequency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different driving frequency for each area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specification pertains is provid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is specif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shape, size, ratio, angle, number,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top', 'on the top', 'on the bottom', 'next to', etc., 'immediately' Alternatively,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parts plac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as ‘after’, ‘after’, ‘after’, ‘before’, etc., ‘immediately’ or ‘directly’ Non-consecutive cases may also be included unless ' is used.

신호의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A 노드에서 B 노드로 신호가 전달된다'는 경우에도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은 이상, A 노드에서 다른 노드를 경유하여 B 노드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signal flow relationship, for example,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node A to node B', unless 'immediately' or 'directly' is used, it is transmitted from node A via another node. This may include cases where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 node.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entirely, and various technolog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It may b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데이터드라이버(120), 게이트 드라이버(130), 타이밍 컨트롤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10, a data driver 120, a gate driver 130, and a timing controller 140.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1방향(A)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DL1 내지 DLm)과 제2방향(B)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A)과 제2방향(B)은 직교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display panel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B). Here, the first direction (A) and the second direction (B) are shown a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의 화소(101)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101)는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에 연결되고, 연결된 게이트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게이트신호에 대응하여 연결된 데이터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신호를 전달받아 동작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isplay panel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101. The pixel 101 is connected to a data line and a gate line, and can operate by receiving a dat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ed data line in response to a gat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ed gate line.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적어도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으로 구분되며,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에서 각각 서로 다른 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영역(110a)과제2영역(110b) 중 구동주파수가 높은 영역은 한 프레임의 기간이 짧아 화면전환이 빠른 영역이고, 구동주파수가 낮은 영역은 한 프레임의 기간이 길어 화면전환이 느린 영역일 수 있다. 화면전환이 빠르면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반면 동영상 또는 게임과 같은 경우 영상이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110 is divided into at least a first area (110a) and a second area (110b), and the first area (110a) and the second area (110b) display images corresponding to different driving frequencies, respectively. You can. Among the first area (110a) and the second area (110b), the area with a high driving frequency is an area where the screen change is fast because the period of one frame is short, and the area with a low driving frequency is an area where the screen change is slow because the period of one frame is long. You can. Faster screen transitions increase power consumption, while in the case of videos or games, images can be displayed naturally.

데이터드라이버(120)는 복수의 데이터라인(DL1 내지 DLm)과 연결되고 데이터신호를 복수의 데이터라인(DL1 내지 DLm)을 통해 복수의 화소에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드라이버(120)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는 각각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20)에 의해 전달되는 데이터신호는 화소에 인가될 수 있다. The data driver 12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and can supply data signals to a plurality of pixels through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The data driver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urce drivers. Each of the plurality of source drivers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circuit. The data signal transmitted by the data driver 120 may be applied to the pixel.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과 연결되고 게이트 신호를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공급할 수 있다. 게이트 라인을 통해 게이트 신호를 전달받은 화소는 데이터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The gate driver 13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and may supply gate signals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A pixel that receives a gate signal through a gate line can receive a data signal.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배치되는 게이트신호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복수의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The gate driver 130 is shown as being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panel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ate driver 130 may include a gate signal generator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110. . Additionally, the gate driver 130 may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integrated circuits.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양측에 배치되고, 좌측에 배치된 게이트 드라이버는 홀수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우측에 배치되는 게이트 드라이버는 짝수번째 게이트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te driver 130 is shown as being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gate driver disposed on the left is odd-numbered. The gate driver connected to the gate line and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even-numbered gate line.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데이터드라이버(120)와 게이트 드라이버(130)를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데이터드라이버(120)에 데이터제어신호를 공급하고 게이트 드라이버(130)에 게이트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제어신호 또는 게이트제어신호는 클럭,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스타트 펄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타이밍 컨트롤러(14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timing controller 140 can control the data driver 120 and the gate driver 130. The timing controller 140 may supply a data control signal to the data driver 120 and a gate control signal to the gate driver 130. The data control signal or gate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clock,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start pulse. However, the signal out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데이터드라이버(120)에 영상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드라이버(12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신호와 데이터제어신호를 통해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데이터라인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iming controller 140 may supply an image signal to the data driver 120. The data driver 120 can generate a data signal through the video signal and dat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 and supply the data signal to a plurality of data line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Figure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ixe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화소(101)는 제1트랜지스터(M1), 제2트랜지스터(M2), 제3트랜지스터(M3),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pixel 101 may include a first transistor (M1), a second transistor (M2), a third transistor (M3), a storage capacitor (Cst),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제1트랜지스터(M1)의 제1전극은 제1전원(EVDD)이 전달되는 제1노드(N1)에 연결되고, 제2전극은 제2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은 제3노드(N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트랜지스터(M1)는 게이트전극에 전달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제1노드(N1)에 공급되는 제1전원(EVDD)에 의해 구동전류를 제2전극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M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through which the first power EVDD is transmitted,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The gate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M1)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node (N3). The first transistor M1 may cause a driving current to flow to the second electrode by the first power source EVDD supplied to the first node N1 in response to the voltage delivered to the gate electrode.

제2트랜지스터(M2)의 제1전극은 기준전압(Vref)을 전달하는 기준전압라인(VL2)에 연결되고, 제2전극은 제3노드(N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전극은 제1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제1게이트라인(GL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M2)는 제1게이트신호를 전달받아 기준전압라인(VL2)에 전달되는 기준전압을 제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할 수 있다. 제1게이트신호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드라이버(130)에서 공급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M2 may be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line VL2 that transmits the reference voltage Vref,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node N3. Additionally, the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M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ate line GL1 that supplies the first gate signal. The second transistor M2 may receive the first gate signal and supply the reference voltage transmitted to the reference voltage line VL2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M1. The first gate signal may be supplied from the gate driver 130 shown in FIG. 1.

제3트랜지스터(M3)의 제1전극은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되고, 제2전극은 제2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전극은 제2게이트라인(GL2)에 연결될 수 있다. 제3트랜지스터(M3)는 제2게이트신호를 전달받아 데이터라인(DL)에 전달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전압을 제1트랜지스터(M1)의 제2전극에 인가할 수 있다. 제2게이트신호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드라이버(130)에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신호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드라이버(120)에서 공급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of the third transistor M3 may be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Additionally, the gate electrode of the third transistor M3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gate line GL2. The third transistor M3 may receive the second gate signal and apply a dat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data line DL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M1. The second gate signal may be supplied from the gate driver 130 shown in FIG. 1. Additionally, the data signal may be supplied from the data driver 120 shown in FIG. 1.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1전극이 제3노드(N3)에 연결되고, 제2전극은 제2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제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과 제1트랜지스터(M1)의 제2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제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과 제1트랜지스터(M1)의 제2전극 간의 전압차이가 유지되게 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node N3,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That is, the storage capacitor Cst is dispos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M1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M1.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can be maintained.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은 제2노드(N2)에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은 제2전원(EVSS)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전원(EVSS)의 전압레벨은 제1전원(EVDD)의 전압레벨보다 낮을 수 있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전극에서 캐소드전극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여 발광할 수 있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은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node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and the cathode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ource (EVSS).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power source (EVSS) may be lower than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power source (EVDD).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can emit light in response to current flowing from the anode electrode to the cathode electrode.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may include a light-emitting layer that emits light by current flowing between an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The light emitting layer may include an organic lay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소(101)에서 제1트랜지스터(M1) 및 제2트랜지스터(M2)는 N 모스 타입의 트랜지스터이고, 제3트랜지스터(M3)는 P 모스 타입의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내지 제3트랜스터들(M1 내지 M3)의 제1전극과 제2전극은 각각 드레인전극과 소스전극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ixel 10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ransistor M1 and the second transistor M2 may be N MOS type transistors, and the third transistor M3 may be a P MOS type transisto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dditionall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f the first to third transtors (M1 to M3) may be a drain electrode and a source electrode, respectively.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제1트랜지스터(M1)에서 공급하는 구동전류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대응하여 흐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riving current supplied from the first transistor M1 may flow in accordance with Equation 1 below.

Figure 112019120682519-pat00001
Figure 112019120682519-pat00001

여기서, Id는 제1트랜지스터(M1)에서 공급하는 구동전류의 양을 나타내고, Vgs는 제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과 소스전극의 전압차이를 의미하며, Vth는 제1트랜지스터(M1)의 문턱전압을 의미한다. 또한, k는 이동도를 의미한다. Here, Id represents the amount of driving current supplied by the first transistor (M1), Vgs represents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M1), and Vth represents the amount of driving current supplied by the first transistor (M1). ) means the threshold voltage. Also, k means mobility.

상기의 수학식 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구동전류는 제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의 전압차이에 대응하기 때문에, 제2전극이 소스전극인 경우, 소스전극에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전압(Vdata)이 전달되고 게이트전극에 기준전압(Vref)이 전달되게 되면, 구동전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여 흐르게 될 수 있다. As shown in Equation 1 above, the driving current corresponds to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M1), so when the second electrode is the source electrode, the source electrode corresponds to the data signal. When the data voltage (Vdata) is transmitted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is transmitted to the gate electrode, the driving current may flow in response to the data signal.

또한, 화소(101)는 제4트랜지스터(M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트랜지스터(M4)의 제1전극은 제1전원(EVDD)을 공급하는 제1전원라인(VL1)에 연결되고, 제2전극은 제1노드(N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전극은 발광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발광제어신호선(EML)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제어신호선(EML)은 도 1에 도시된 게이트드라이버(130)에 연결되고, 게이트드라이버(130)로부터 발광제어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4트랜지스터(M4)는 발광제어신호에 의해 턴온되면, 제1전원(EVDD)의 전압을 제1노드(N1)에 인가할 수 있다. 제4트랜지스터(M4)는 N 모스 타입의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pixel 101 may include a fourth transistor (M4). The first electrode of the fourth transistor M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line VL1 that supplies the first power EVDD,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Additionally, the gate electrode of the fourth transistor M4 may be connected to the emission control signal line (EML) that transmits the emission control signal. The emission control signal line (EML) is connected to the gate driver 130 shown in FIG. 1 and can receive an emission control signal from the gate driver 130. When the fourth transistor M4 is turned on by the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 the voltage of the first power source EVDD can be applied to the first node N1. The fourth transistor M4 may be an N MOS type transisto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가 영역별로 구분되어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how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divided by region.

도 3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에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1영역(110a), 제2영역(110b), 제3영역(110c) 및 제4영역(110d)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display device 100, one display panel 110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110a, a second area 110b, a third area 110c, and a fourth area 110d. You can. Here, it is disclosed that one display panel 110 is divided into four areas, but this i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제1영역(110a)은 표시장치(100)가 스마트폰인 경우, 현재 시간, 통신상태, 배터리정보를 나타낸다. 제2영역(110b)과 제3영역(110c)은 인터넷 웹페이지를 나타내며, 제2영역(110b)은 웨페이지에서 주소창, 웹페이지의 이름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제3영역(110c)은 검색창과 검색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4영역(110d)은 게임 또는 동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다양한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a smartphone, the first area 110a indicates the current time, communication status, and battery information. The second area 110b and the third area 110c represent Internet web pages. The second area 110b can display the address bar and the name of the web page on the web page, and the third area 110c can display A search window and search results can be displayed. Additionally, the fourth area 110d may display games or videos. That is, various screens can be provided on one display panel 110.

이때, 제1영역 내지 제4영역(110d)이 모두 동일한 구동주파수에 의해 구동되면, 제1영역(110a) 내지 제4영역(110d)은 모두 동일한 한 프레임의 기간을 갖고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4영역(110d)에 표시되는 영상을 기준으로 구동주파수를 설정하게 되면, 제1영역 내지 제3영역(110c)은 불필요한 화면전환이 발생하게 되어 표시장치(100)의 소비전력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first to fourth areas 110d are all driven by the same driving frequency, the first areas 110a to fourth areas 110d all have the same one frame period and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0. ) can be displayed. At this time, if the driving frequency is set based on the image displayed in the fourth area (110d), unnecessary screen switching occurs in the first to third areas (110c), resulting in an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Problems may arise.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1영역(110a)은 화면전환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구동주파수를 1Hz로 설정하고, 제2영역(110b)은 제1영역(110a)보다 화면전환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구동주파수를 30Hz로 설정하고, 제3영역(110c)은 제2영역(110b)보다 화면전환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구동주파수를 60Hz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4영역(110d)은 화면전환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구동주파수를 120Hz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구동주파수는 각 영역에 설정된 주파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first area 110a is set to 1 Hz because screen switching rarely occurs, and the screen switching occurs more frequently in the second area 110b than in the first area 110a. The driving frequency can be set to 30Hz, and since screen switching occurs more frequently in the third area (110c) than in the second area (110b), the driving frequency can be set to 60Hz. Additionally, because screen changes occur most frequently in the fourth area 110d, the driving frequency can be set to 120Hz. Here, the driving frequency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requency set in each region.

상기와 같이 제1영역 내지 제4영역(110a 내지 110d)에서 구동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하게 되면, 제1영역(110a) 및 제2영역(110b)과 같이 화면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되지 않는 영역에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전환이 보다 빈번하게 발생되는 제3영역(110c) 및 제4영역(110d)은 구동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화면전환이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If the driving frequency is set differently in the first to fourth areas (110a to 110d) as above, consumption is consumed in areas where screen switching does not occur frequently, such as the first area (110a) and the second area (110b). Power can be saved. In addition, the third area 110c and the fourth area 110d, where screen changes occur more frequently, have a high driving frequency, so screen changes can be displayed naturally.

또한, 제1영역 내지 제4영역(110a 내지 110d)의 크기는 고정된 것이 아니며 가변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전체에서 제1영역 내지 제4영역(110a 내지 110d)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izes of the first to fourth regions 110a to 110d are not fixed and may vary. Additionally, the display device 100 may display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areas 110a to 110d on the entire display panel 11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게이트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고, 도 5는 구동주파수가 120Hz인 경우와 60Hz인 경우에서 소비전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FIG. 4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gate signal output in response to a driving frequency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graph comparing power consumption when the driving frequency is 120 Hz and 60 Hz. .

도 4를 참조하면, (a)는 구동주파수가 120Hz 인 경우에 게이트신호를 나타내고, (b)는 구동주파수가 60Hz인 경우에 게이트신호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ure 4, (a) represents the gate signal when the driving frequency is 120Hz, and (b) represents the gate signal when the driving frequency is 60Hz.

(a)와 (b)에서 제1게이트신호(gs1)는 도 2에 도시된 화소(101)의 제2트랜지스터(M2)를 턴온/턴오프시키는 신호이고, 제2게이트신호(gs2)는 도 2에 도시된 화소(101)의 제3트랜지스터(M3)를 턴온/턴오프시키는 신호이다.In (a) and (b), the first gate signal (gs1) is a signal that turns on/off the second transistor (M2) of the pixel 101 shown in FIG. 2, and the second gate signal (gs2) is a signal that turns on/off the second transistor (M2) of the pixel 101 shown in FIG. This is a signal that turns on/off the third transistor (M3) of the pixel 101 shown in Figure 2.

도 2에서는 제1트랜지스터(M1)와 제2트랜지스터(M2)는 N 모스 트랜지스터이고, 제3트랜지스터(M3)는 P 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어서, 제1게이트신호는 하이신호로 전달되고 제2게이트신호는 로우상태로 전달될 수 있다. In Figure 2, the first transistor (M1) and the second transistor (M2) are shown as N MOS transistors, and the third transistor (M3) is shown as a P MOS transistor, so the first gate signal is transmitted as a high signal and the second transistor is transmitted as a high signal. The gate signal may be transmitted in a low state.

그리고,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Hz로 구동되는 제1게이트신호(gs1)의 주기는 60Hz로 구동되는 제2게이트신호(gs2)보다 더 짧아 제1게이트신호(gs1)가 제2게이트신호(gs2) 보다두배 더 많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게이트신호(gs1)가 전달되는 경우는 제2게이트신호(gs2)가 전달되는 경우보다 데이터신호가 화소(101)에 기입되는 수가 두 배 더 많을 수 있다. And, as shown in (a) and (b), the period of the first gate signal (gs1) driven at 120Hz is shorter than the second gate signal (gs2) driven at 60Hz, so the first gate signal (gs1) is It can be seen that twice as much is generated as the second gate signal (gs2). That is, when the first gate signal gs1 is transmitted, the number of data signals written to the pixel 101 may be twice as large as when the second gate signal gs2 is transmitted.

여기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30Hz로 구동되는 경우 제1게이트신호가 4번 발생되는 동안 한번 발생될 수 있고, 1Hz로 구동되는 경우 제1게이트신호가 12번 발생되는 동안 한번 발생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here, when driven at 30Hz, the first gate signal may be generated once while being generated 4 times, and when driven at 1Hz, it may be generated once while the first gate signal is generated 12 times.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주파수가 120Hz인 경우(a)와 구동주파수가 60Hz인 경우(b)의 표시장치(100)의 소비전력를 비교하면, (a)와 (b)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표시장치(100)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은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와 데이터드라이버(120), 게이트드라이버(130)와 같은 로직회로(Logic)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점선(L1)은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과 로직회로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구분한 것으로 구동주파수가 120Hz인 경우(a)와 구동주파수가 60Hz인 경우(b)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에서 발생된 소비전력의 크기는 동일하지만, 로직회로(Logic)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의 크기는 (b)가 (a) 보다 적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100)는 구동주파수가 120Hz인 경우(a)가 구동주파수가 60Hz인 경우(b) 보다 소비전력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5, when compa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when the driving frequency is 120Hz (a) and when the driving frequency is 60Hz (b), (a) and (b) are shown. Likewise, the power consumed by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the power consumed by logic circuits such a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data driver 120, and the gate driver 130. The dotted line (L1) divides the power consumed by th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the power consumed by the logic circuit. Th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has a driving frequency of 120Hz and (b) has a driving frequency of 60Hz. The size of power consumption generated by (OLED) is the same, but the size of power consumption consumed by logic circuit (Logic) may be less in (b) than (a).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y device 100 consumes more power when the driving frequency is 120 Hz (a) than when the driving frequency is 60 Hz (b).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일부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Figure 6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a gate driv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시프트레지스터(610)와 스위치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시프트레지스터(610)가 8개의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6, the gate driver 130 may include a shift register 610 and a switch unit 620. Here, the shift register 610 is shown as including eight registers,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시프트레지스터(610)는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복수의 시프트신호(sr1 내지 sr8)를 출력할 수 있다. 시프트레지스터(610)는 복수의 레지스터들(611 내지 618)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hift register 610 can output a plurality of shift signals (sr1 to sr8) that are output sequentially. The shift register 6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gisters 611 to 618.

복수의 레지스터(611 내지 618)는 각각 제1클럭라인(601) 또는 제2클럭라인(602)을 통해 제1클럭(CLK1) 또는 제2클럭(CLK2)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레지스터(611 내지 618)는 제1클럭(CLK1) 또는 제2클럭(CLK2)을 공급받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레지스터(611 내지 618)의 각각의 레지스터는 제1클럭(CLK1)과 제2클럭(CLK2)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클럭(CLK1)과 제2클럭(CLK2)은 타이밍컨트롤러(140)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스타트 펄스(SP)는 타이밍컨트롤러(140)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lurality of registers 611 to 618 may receive a first clock (CLK1) or a second clock (CLK2) through the first clock line 601 or the second clock line 602, respectively. Here, the plurality of registers 611 to 618 are shown as being supplied with the first clock (CLK1) or the second clock (CLK2),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each register of the plurality of registers 611 to 618 Can receive the first clock (CLK1) and the second clock (CLK2). The first clock (CLK1) and the second clock (CLK2) may be transmitt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 Additionally, the start pulse (SP) may be transmitt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제1레지스터(611)는 스타트펄스(SP)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1레지스터(611)는 제1클럭라인(601)을 통해 전달되는 제1클럭(CLK)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1레지스터(611)는 전달받은 스타트펄스(SP)와 제1클럭(CLK1)에 대응하여 제1시프트신호(sr1)를 출력할 수 있다. 제1시프트신호(sr1)가제1게이트라인(GL1)에 전달되면 제1게이트신호(gs1)가 될 수 있다. The first register 611 can receive a start pulse (SP). Additionally, the first register 611 can receive the first clock (CLK)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lock line 601. The first register 611 may output the first shift signal (sr1) in response to the received start pulse (SP) and first clock (CLK1). When the first shift signal sr1 is transmitted to the first gate line GL1, it may become the first gate signal gs1.

제2레지스터(612)는 제1레지스터(611)에서 출력된 제1시프트신호(sr1)와 제2클럭라인(602)을 통해 전달되는 제2클럭(CLK2)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레지스터(612)는 전달받은 제1시프트신호(sr1)와 제2클럭(CKL2)에 대응하여 제2시프트신호(sr2)를 출력할 수 있다. 제2레지스터(612)는 제1시프트신호(sr1)를 전달받아 제2시프트신호(sr2)를 출력하기 때문에, 제2시프트신호(sr2)는 제1시프트신호(sr1)가 지연된 신호일 수 있다.The second register 612 can receive the first shift signal sr1 output from the first register 611 and the second clock CLK2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clock line 602. The second register 612 may output the second shift signal sr2 in response to the received first shift signal sr1 and the second clock CKL2. Since the second register 612 receives the first shift signal sr1 and outputs the second shift signal sr2, the second shift signal sr2 may be a delayed signal of the first shift signal sr1.

제3레지스터(613)는 제2레지스터(612)에서 출력된 제2시프트신호(sr2)와 제1클럭라인(601)과 제2클럭라인(602)을 통해 전달되는 제1클럭(CKL1)과 제2클럭(CKL2)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3레지스터(613)는 전달받은 제2시프트신호(sr2)와 제1클럭(CKL1) 및 제2클럭(CKL2)에 대응하여 제3시프트신호(sr3)를 출력할 수 있다. 제3레지스터(613)는 제2시프트신호(sr2)를 전달받아 제3시프트신호(sr3)를 출력하기 때문에, 제3시프트신호(sr3)는 제2시프트신호(sr2)가 지연된 신호일 수 있다.The third register 613 includes the second shift signal (sr2) output from the second register 612 and the first clock (CKL1)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lock line 601 and the second clock line 602. The second clock (CKL2) can be transmitted. The third register 613 may output the third shift signal sr3 in response to the received second shift signal sr2 and the first and second clocks CKL1 and CKL2. Since the third register 613 receives the second shift signal sr2 and outputs the third shift signal sr3, the third shift signal sr3 may be a delayed signal of the second shift signal sr2.

제4레지스터(614)는 제3레지스터(613)에서 출력된 제3시프트신호(sr3)와 제1클럭라인(601)과 제2클럭라인(602)을 통해 전달되는 제1클럭(CLK1)과 제2클럭(CLK2)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4레지스터(614)는 전달받은 제3시프트신호와 제1클럭(CKL1) 및 제2클럭(CKL2)에 대응하여 제4시프트신호(sr4)를 출력할 수 있다. 제4레지스터(614)는 제3시프트신호(sr3)를 전달받아 제4시프트신호(sr4)를 출력하기 때문에, 제4시프트신호(sr4)는 제3시프트신호(sr3)가 지연된 신호일 수 있다.The fourth register 614 includes the third shift signal (sr3) output from the third register 613 and the first clock (CLK1)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lock line 601 and the second clock line 602. The second clock (CLK2) can be received. The fourth register 614 may output the fourth shift signal sr4 in response to the received third shift signal and the first clock (CKL1) and second clock (CKL2). Since the fourth register 614 receives the third shift signal sr3 and outputs the fourth shift signal sr4, the fourth shift signal sr4 may be a delayed signal of the third shift signal sr3.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5레지스터 내지 제8레지스터(615 내지 618)는 제5시프트신호 내지 제8시프트신호(sr5 내지 sr8)를 출력할 수 있다. In the same manner as above, the fifth to eighth registers 615 to 618 can output the fifth to eighth shift signals (sr5 to sr8).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제1레지스터 내지 제8레지스터(611 내지 618)를 포함하는 시프트레지스터(610)는 제1시프트신호 내지 제8시프트신호(sr1 내지 sr8)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For the above reason, the shift register 610 including the first to eighth registers 611 to 618 can sequentially output the first to eighth shift signals sr1 to sr8.

스위치부(620)는 순차적으로 전달받은 복수의 시프트신호(sr1 내지 sr8)를 스위칭동작에 의해 복수의 게이트라인(GL1 내지 GL8)에 전달함으로써 복수의 게이트신호(gs1 내지 gs8)가 게이트라인(GL1 내지 GL8)에 순차적으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620)는 복수의 시프트신호(sr1 내지 sr8)를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스위칭동작에 의해 복수의 게이트라인(GL1 내지 GL8)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복수의 게이트신호(gs1 내지 gs8)가 게이트라인(GL1 내지 GL8)에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The switch unit 620 transfers a plurality of sequentially received shift signals (sr1 to sr8) to a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8) through a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gate signals (gs1 to gs8) are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1). to GL8) can be delivered sequentially. In addition, the switch unit 620 sequentially receives a plurality of shift signals (sr1 to sr8) and prevents them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8) through a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gate signals (gs1 to gs8) are transmitted.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gate lines (GL1 to GL8).

스위치부(620)는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를 포함하며, 제1스위치(SW1)는 제1레지스터(611)의 출력단과 제1게이트라인을 연결하고, 제2스위치(SW2)는 제2레지스터(612)의 출력단과 제2게이트라인(GL2)을 연결하며, 제3스위치(SW3)는 제3레지스터(613)의 출력단과 제3게이트라인(GL3)을 연결하며, 제4스위치(SW4)는 제4레지스터(614)의 출력단과 제4게이트라인(GL4)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5스위치(SW5)는 제5레지스터(615)의 출력단과 제5게이트라인(GL5)을 연결하고, 제6스위치(SW6)는 제6레지스터(616)의 출력단과 제6게이트라인(GL6)을 연결하며, 제7스위치(SW7)는 제7레지스터(617)의 출력단과 제7게이트라인(GL7)을 연결하며, 제8스위치(SW8)는 제8레지스터(618)의 출력단과 제8게이트라인(GL8)을 연결할 수 있다. The switch unit 620 includes first to eighth switches (SW1 to SW8), where the first switch (SW1)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register 611 and the first gate line, and the second switch ( SW2)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gister 612 and the second gate line (GL2), and the third switch (SW3)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register 613 and the third gate line (GL3), The fourth switch SW4 may connect the output terminal of the fourth register 614 and the fourth gate line GL4. In addition, the fifth switch (SW5)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fth register 615 and the fifth gate line (GL5), and the sixth switch (SW6)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the sixth register 616 and the sixth gate line ( GL6), the seventh switch (SW7)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venth register 617 and the seventh gate line (GL7), and the eighth switch (SW8)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of the eighth register 618 and the seventh gate line (GL7). 8 gate lines (GL8) can be connected.

그리고,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는 다중주파수선택신호라인(603)을 통해 전달되는 주파수선택신호(MULTI)에 대응하여 동시에 턴온/턴오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to eighth switches (SW1 to SW8) may be turned on/off simultaneously in response to the frequency selection signal (MULTI) transmitted through the multi-frequency selection signal line 603.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제1기간(T1)은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에 배치된 제1게이트라인 내지 제8게이트라인(GL1 내지 GL8)에 게이트신호가 인가되는 구간이고, 제2기간(T2)은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에 배치된 제1게이트라인 내지 제8게이트라인(GL1 내지 GL8)에 게이트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나타내는 기간인 것으로 설명을 한다. 7 and 8 are timing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a gate driv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eriod (T1) is a period in which the gate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to eighth gate lines (GL1 to GL8) arranged in the first area (110a) and the second area (110b), and the second period ( T2) is explained as a period indicating that a gate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to eighth gate lines GL1 to GL8 arranged in the first area 110a and the second area 110b.

도 7을 참조하면, 제1영역(110a)의 구동주파수가 제2영역(110b)의 구동주파수 보다 더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을 한다. 제1기간(T1)에서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는 하이상태를 유지하여 도 6에 도시된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는 턴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t is assumed that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first area 110a is set higher than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second area 110b. In the first period (T1), the multi-control signal (MULTI) is maintained in a high state, so that the first to eighth switches (SW1 to SW8) shown in FIG. 6 can be maintained in a turned-on state.

제1기간(T1)에서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에 배치된 제1게이트라인 내지 제8게이트라인(GL1 내지 GL8)은 시프트레지스터(610)로부터 제1시프트신호 내지 제4시프트신호(sr1 내지 sr4)를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제1게이트신호 내지 제8게이트신호(gs1 내지 gs8)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In the first period T1, the first to eighth gate lines GL1 to GL8 disposed in the first area 110a and the second area 110b receive the first to second shift signals from the shift register 610. By sequentially receiving 4 shift signals (sr1 to sr4), the first to eighth gate signals (gs1 to gs8) can be sequentially output.

그리고, 제2기간(T2) 중 첫번째 제2기간(T2a)에서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는 하이상태를 유지하고 두번째 제2기간(T2b)에서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는 로우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in the first second period (T2a) of the second period (T2), the multi-control signal (MULTI) maintains a high state, and in the second second period (T2b), the multiple multi-control signal (MULTI) maintains a low state. do.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에 의해 첫번째 제2기간(T2a)에서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는 턴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두번째 제2기간(T2b)에서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는 턴오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irst to eighth switches SW1 to SW8 can be maintained in the turn-on state in the first second period T2a by the multi-control signal MULTI. And, in the second second period (T2b), the first to eighth switches (SW1 to SW8) may maintain the turn-off state.

첫번째 제2기간(T2a)에서 시프트레지스터(610)으로부터 제1시프트신호 내지 제4시프트신호(sr1 내지 sr4)가 전달되고 두번째 제2기간(T2b)에서 시프트레지스터(610)으로부터 제5시프트신호 내지 제8시프트신호(sr5 내지 sr8)가 전달될 수 있다. In the first second period (T2a), the first to fourth shift signals (sr1 to sr4) are transmitted from the shift register 610, and in the second second period (T2b), the fifth to fourth shift signals are transmitted from the shift register 610. The eighth shift signal (sr5 to sr8) may be transmitted.

제2기간(T2)에서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는 제1시프트신호 내지 제8시프트신호(sr1 내지 sr8)를 전달받을 수 있지만, 첫번째 제2기간(T2a)에서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가 턴온상태를 유지하고 두번째 제2기간(T2b)에서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가 턴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가 전달받은 제1시프트신호 내지 제8시프트신호(sr1 내지 sr8) 중 제5시프트신호 내지 제8시프트신호(sr4 내지 sr8)는 제5게이트라인 내지 제8게이트라인(GL5 내지 GL8)에 전달되지 않아 제5게이트신호 내지 제8게이트신호(gs5 내지 gs8)는 출력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제5게이트신호 내지 제8게이트신호(gs5 내지 gs8)가 출력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제5게이트신호 내지 제8게이트신호(gs5 내지 gs8)는 점선으로 표시를 하였다. In the second period (T2), the first to eighth switches (SW1 to SW8) may receive the first to eighth shift signals (sr1 to sr8), but in the first second period (T2a), the first to eighth switches (SW1 to SW8) may receive the first to eighth shift signals (sr1 to sr8). The switches SW1 to SW8 maintain the turn-on state and the first to eighth switches (SW1 to SW8) maintain the turn-off state in the second second period (T2b), so that the first to eighth switches Among the first to eighth shift signals (sr1 to sr8) received by the 8 switches (SW1 to SW8), the 5th to 8th shift signals (sr4 to sr8) are the 5th to 8th gate lines ( Since they are not transmitted to GL5 to GL8), the fifth to eighth gate signals (gs5 to gs8) may not be output. Here, the fifth to eighth gate signals (gs5 to gs8) are indicated with dotted lines to indicate that the fifth to eighth gate signals (gs5 to gs8) are not output.

여기서,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는 제2기간(T2)에서 제4게이트신호(gs4)와 제5게이트신호(gs5) 사이에서 하이상태에서 로우상태로 변화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의 폭은 가변되어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의 폭에 의해 제2기간(T2)에서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라인의 수는 제어될 수 있다. Here, the multi-control signal MULTI is shown changing from a high state to a low state between the fourth gate signal gs4 and the fifth gate signal gs5 in the second period T2, but is limited thereto. This does not mean that the width of the multi-control signal MULTI is variable, so that the number of gate lines outputting the gate signal in the second period T2 can be controlled by the width of the multi-control signal MULTI.

제1영역(110a)은 동일한 기간 내에 제2영역(110b) 보다 더 많은 수의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어 제1영역(110a)이 제2영역(110b) 보다 더 높은 구동주파수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e first area 110a can sequentially output a greater number of gate signals than the second area 110b within the same period, so the first area 110a corresponds to a higher driving frequency than the second area 110b. A video can be displayed.

도 8을 참조하면, 제1영역(110a)의 구동주파수가 제2영역(110b)의 구동주파수 보다 더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을 한다. 제1기간(T1) 중 첫번째 제1기간(T1a)에서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는 로우상태를 유지하고 제1기간(T1) 중 두번째 제1기간(T1b)에서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는 하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t is assumed that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first area 110a is set lower than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second area 110b. In the first first period (T1a) of the first period (T1), the multiple multi control signal (MULTI) remains low, and in the second first period (T1b) of the first period (T1), the multiple multi control signal (MULTI) remains low. can remain high.

따라서, 첫번째 제1기간(T1a)에서 도 6에 도시된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는 턴오프상태를 유지하고 두번째 제1기간(T1b)에서도 6에 도시된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는 턴온상태를 유지할수 있다.Therefore, in the first first period (T1a), the first to eighth switches (SW1 to SW8) shown in FIG. 6 maintain the turn-off state, and in the second first period (T1b), the first to eighth switches (SW1 to SW8) shown in FIG. 6 remain in the turn-off state. The eighth switch (SW1 to SW8) can maintain the turn-on state.

첫번째 제1기간(T1a)에서 시프트레지스터(610)으로부터 제1시프트신호 내지 제4시프트신호(sr1 내지 sr4)가 전달되고 두번째 제1기간(T1b)에서 시프트레지스터(610)으로부터 제5시프트신호 내지 제8시프트신호(sr5 내지 sr8)가 전달될 수 있다.In the first first period (T1a), the first to fourth shift signals (sr1 to sr4) are transmitted from the shift register 610, and in the second first period (T1b), the fifth to fourth shift signals are transmitted from the shift register 610. The eighth shift signal (sr5 to sr8) may be transmitted.

제1기간(T1)에서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는 제1시프트신호 내지 제8시프트신호(sr1 내지 sr8)를 전달받을 수 있지만, 첫번째 제1기간(T1a)에서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가 턴오프상태를 유지하고 두번째 제1기간(T1b)에서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가 턴온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가 전달받은 제1시프트신호 내지 제8시프트신호(sr1 내지 sr8) 중 제1시프트신호 내지 제4시프트신호(sr1 내지 sr4)는 제1게이트라인 내지 제4게이트라인(GL1 내지 GL4)에 전달되지 않아 제1게이트신호 내지 제4게이트신호(gs1 내지 gs4)는 출력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게이트신호 내지 제4게이트신호(gs1 내지 gs4)가 출력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제1게이트신호 내지 제4게이트신호(gs1 내지 gs4)는 점선으로 표시를 하였다. In the first period (T1), the first to eighth switches (SW1 to SW8) may receive the first to eighth shift signals (sr1 to sr8), but in the first period (T1a), the first to eighth switches (SW1 to SW8) may receive the first to eighth shift signals (sr1 to sr8). The switches SW1 to SW8 maintain the turn-off state and the first to eighth switches (SW1 to SW8) maintain the turn-on state in the second first period (T1b), so that the first to eighth switches Among the first to eighth shift signals (sr1 to sr8) received by the 8 switches (SW1 to SW8), the first to fourth shift signals (sr1 to sr4) are the first to fourth gate lines ( Since they are not transmitted to GL1 to GL4), the first to fourth gate signals (gs1 to gs4) may not be output. Here, the first to fourth gate signals (gs1 to gs4) are indicated with dotted lines to indicate that the first to fourth gate signals (gs1 to gs4) are not output.

그리고, 제2기간(T2)에서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는 하이상태를 유지하여 도 6에 도시된 제1스위치 내지 제8스위치(SW1 내지 SW8)는 턴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nd, in the second period (T2), the multi-control signal (MULTI) maintains the high state, so that the first to eighth switches (SW1 to SW8) shown in FIG. 6 can maintain the turn-on state.

제2기간(T2)에서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에 배치된 제1게이트라인 내지 제8게이트라인(GL1 내지 GL8)은 시프트레지스터(610)으로부터 제1시프트신호 내지 제4시프트신호(sr1 내지 sr4)를 순차적으로 전달받아 제1게이트신호 내지 제8게이트신호(gs1 내지 gs8)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In the second period T2, the first to eighth gate lines GL1 to GL8 disposed in the first area 110a and the second area 110b receive the first to second shift signals from the shift register 610. By sequentially receiving 4 shift signals (sr1 to sr4), the first to eighth gate signals (gs1 to gs8) can be sequentially output.

여기서,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는 제1기간(T1)에서 제4게이트신호(gs4)와 제5게이트신호(gs5) 사이에서 로우상태에서 하이상태로 변화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의 폭은 가변되어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의 폭에 의해 제1기간(T1)에서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라인의 수는 제어될 수 있다. Here, the multi-control signal MULTI is shown changing from a low state to a high state between the fourth gate signal gs4 and the fifth gate signal gs5 in the first period T1, but is limited to thi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width of the multi-control signal MULTI is variable, so that the number of gate lines outputting the gate signal in the first period T1 can be controlled by the width of the multi-control signal MULTI.

제1영역(110a)은 동일한 기간 내에 제2영역(110b) 보다 더 적은 수의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어 제1영역(110a)이 제2영역(110b) 보다 더 낮은 구동주파수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area 110a can sequentially output fewer gate signals than the second area 110b within the same period, so the first area 110a corresponds to a lower driving frequency than the second area 110b. A video can be display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100)는 적어도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영역(110a)에서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900)Referring to FIG. 9 , th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10 divided into at least a first area 110a and a second area 110b. And, the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can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 the first area 110a of the display panel 110 (S900).

그리고,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2영역(110b)에서 제1구동주파수와 주파수가 다른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910)In addition, the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can display an image in the second area 110b of the display panel 110 in response to a second driving frequency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riving frequency (S910).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100)는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드라이버(130)를 포함하고, 게이트드라이버(130)는 시프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시프트레지스터(610) 및 시프트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에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순차적으로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되, 제1기간에는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에 각각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제2기간에는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치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드라이버(130)는 시프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시프트레지스터(610) 및 시프트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에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순차적으로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되, 제1기간에는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제2기간에는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에 각각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치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includes a gate driver 130 that outputs a gate signal, and the gate driver 130 includes a shift register 610 that sequentially outputs a shift signal and a display device that receives the shift signal. Gate signals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a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arranged in the first area 110a and the second area 110b of the panel 110, and in the first period, the first area 110a and A switch unit 620 sequentially supplies gate signals to each of the second areas 110b, and sequentially supplies gate signals to either the first area 110a or the second area 110b during the second period. ) may include. In addition, the gate driver 130 includes a shift register 610 that sequentially outputs shift signals and a plurality of devices arranged in the first area 110a and the second area 110b of the display panel 110 to receive the shift signals. A gate signal is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gate lines GL1 to GLn, and during the first period, the gate signal is sequentially supplied to either the first area 110a or the second area 110b, and the gate signal is sequentially supplied to either the first area 110a or the second area 110b during the first period. may include a switch unit 620 that sequentially supplies gate signals to the first area 110a and the second area 110b, respectively.

제1구동주파수가 제2구동주파수보다 주파수가 더 높으면, 제1영역(110a)은 제1기간과 제2기간에서 각각 게이트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제2영역(110b)은 제1기간과 제2기간 중 어느 하나의 기간에서 게이트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I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s higher than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he first area 110a can receive the gate signal in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respectively, and the second area 110b can receive the gate signal in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The gate signal can be received in any one of the second periods.

제1기간에서 스위치부(620)를 제어하는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는 하이상태로 전달되어 스위치부(620)는 턴온상태가 되고, 제2기간에서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는 로우상태로 전달되어 스위치부(620)는 턴오프상태가 될 수 있다. 제1기간에서 스위치부(620)는 턴온상태이기 때문에 시프트레지스터(610)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시프트신호는 게이트라인에 전달되어 게이트신호가 복수의 게이트라인(GL1 내지 GLn)에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반면, 제2기간에서 스위치부(620)는 턴오프상태이기 때문에 시프트레지스터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시프트신호는 게이트라인에 전달되지 않아 게이트신호가 복수의 게이트라인(GL1 내지 GLn)에 전달되지 않게될 수 있다. In the first period, the multi-control signal (MULTI) controlling the switch unit 620 is transmitted in a high state, so that the switch unit 620 is turned on, and in the second period, the multiple multi-control signal (MULTI) is in a low state. The switch unit 620 may be turned off. Since the switch unit 620 is turned on in the first period, the shift signal sequentially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610 is transmitted to the gate line, so that the gate signal can b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there i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witch unit 620 is turned off in the second period, the shift signal sequentially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is not transmitted to the gate line, so the gate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You can.

또한, 제1구동주파수가 제2구동주파수보다 주파수가 더 낮으면, 제1영역(110a)은 제1기간과 제2기간 중 어느 하나의 기간에서 게이트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제2영역(110b)은 제1기간과 제2기간에서 각각 게이트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s lower than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he first area 110a can receive the gate signal in any one of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and the second area (110a) can receive the gate signal in either the first period or the second period. 110b) can receive gate signals in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respectively.

제1기간에서 스위치부(620)를 제어하는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는 로우상태로 전달되어 스위치부(620)는 턴오프상태가 되고, 제2기간에서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는 하이상태로 전달되어 스위치부(620)는 턴온상태가될 수 있다. 제1기간에서 스위치부(620)는 턴오프상태이기 때문에 시프트레지스터(610)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시프트신호는 게이트라인에 전달되지 않아 게이트신호가 복수의 게이트라인(GL1 내지 GLn)에 전달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반면, 제2기간에서 스위치부(620)는 턴온상태이기 때문에 시프트레지스터(610)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시프트신호는 게이트라인에 전달되어 게이트신호가 복수의 게이트라인(GL1 내지 GLn)에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In the first period, the multi-control signal (MULTI) controlling the switch unit 620 is transmitted in a low state, so that the switch unit 620 is turned off, and in the second period, the multiple multi-control signal (MULTI) is transmitted in a high state. The switch unit 620 may be turned on. Since the switch unit 620 is turned off in the first period, the shift signal sequentially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610 is not transmitted to the gate line, preventing the gate signal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It can b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witch unit 620 is turned on in the second period, the shift signal sequentially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610 is transmitted to the gate line, and the gate signal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It can be.

따라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의해, 표시장치(100)의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은 서로 다른 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의 폭을 조절하여 제1영역(110a)과 제2영역(110b)의 크기는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를 이용하여 표시장치(100)의 영역의 수를 제어할 수 있다. 다중멀티제어신호(MULTI)는 도 1에 도시된 타이밍컨트롤러(140)에서 출력될 수 있다. Accordingly, depending on the dri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the first area 110a and the second area 110b of the display device 100 can display images corresponding to different driving frequencies. The dri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llows the sizes of the first area 110a and the second area 110b to be varied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multi-control signal MULTI. Additionally, the number of areas of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using the multi-control signal (MULTI). The multi-control signal (MULTI) may be out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 shown in FIG. 1.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is specification.

100: 표시장치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데이터 드라이버
130: 게이트 드라이버
140: 타이밍 컨트롤러
100: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nel
120: data driver
130: gate driver
140: Timing controller

Claims (16)

적어도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에서 각각 서로 다른 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드라이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데이터드라이버와 상기 게이트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n개의 시프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n개의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시프트레지스터; 및
상기 n개의 레지스터의 출력단과 n개의 게이트라인을 연결하며, 폭이 가변되는 다중멀티제어신호에 의해 동시에 제어되는 n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제1기간에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에 상기 n개의 시프트신호에 대응되는 n개의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제2기간에는 상기 다중멀티제어신호의 폭을 가변함으로써 상기 n개의 시프트신호 중에서 m(n보다 작은 자연수)개의 시프트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중 상기 제1영역에 n-m개의 시프트신호에 대응되는 n-m개의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divided into at least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displaying images corresponding to different driving frequencies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respectively;
a data driver that supplies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mage to the display panel;
A gate driver that supplies a gat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nd
Including a timing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data driver and the gate driver,
The gate driver is
A shift register including n registers that sequentially output n shift signals; and
A switch unit connecting the output terminals of the n registers and the n gate lines and including n switches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a multi-control signal with a variable width,
In the first period, n gat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n shift signals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in the second period, the width of the multiplex control signal is varied to shift the n number of shifts. A display device that blocks m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n) shift signals among signals and sequentially supplies nm gate signals corresponding to nm shift signals to the first reg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구동주파수가 상기 제2영역의 구동주파수 보다 더 높게 설정되어 있으면,
제1기간에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순차적으로 상기 n개의 게이트신호를 출력하고,
제2기간에서 상기 제1영역은 순차적으로 상기 n-m개의 게이트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2영역은 게이트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f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first area is set higher than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second area,
In a first period,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sequentially output the n gate signals,
In a second period, the nm gate signals ar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first region and the gate signals are not transmitted to the second reg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지스터는 상기 n개의 시프트신호 중 제1시프트신호를 출력하는 제1회로부와,
상기 제1회로부로부터 상기 제1시프트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n개의 시프트신호 중 제2시프트신호를 출력하는 제2회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hift register includes a first circuit unit that outputs a first shift signal among the n shift signal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circuit unit that outputs a second shift signal among the n shift signals when receiving the first shift signal from the first circuit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n개의 시프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n개의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시프트레지스터; 및
상기 n개의 레지스터의 출력단과 n개의 게이트라인을 연결하며, 폭이 가변되는 다중멀티제어신호에 의해 동시에 제어되는 n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되,
제1기간에는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상기 n개의 시프트신호에 대응되는 n개의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제2기간에는 상기 다중멀티제어신호의 폭을 가변함으로써 상기 n개의 시프트신호 중에서 m(n보다 작은 자연수)개의 시프트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중 상기 제1영역에 n-m개의 시프트신호에 대응되는 n-m개의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게이트드라이버.
A shift register including n registers that sequentially output n shift signals; and
A switch unit connecting the output terminals of the n registers and the n gate lines and including n switches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a multi-control signal with a variable width,
In the first period, n gat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n shift signals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in the second period, the width of the multi-control signal is varied to select among the n shift signals. A gate driver that blocks m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n) shift signals and sequentially supplies nm gate signals corresponding to nm shift signals to the first region among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게이트라인 중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된 게이트라인들이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된 게이트라인들보다 게이트신호를 먼저 공급받는 게이트드라이버.
According to clause 9,
A gate driver in which gate lines arranged in the first area among the n gate lines are supplied with a gate signal before gate lines arranged in the second are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게이트라인 중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된 게이트라인들이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된 게이트라인들보다 게이트신호를 늦게 공급받는 게이트드라이버.
According to clause 9,
A gate driver in which gate lines arranged in the first area among the n gate lines receive a gate signal later than gate lines arranged in the second area.
제1기간에 n개의 시프트신호에 대응하는 n개의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영역에서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제2기간에 n개의 레지스터와 n개의 게이트라인을 연결하는 n개의 스위치를 동시에 제어하는 다중멀티제어신호의 폭을 가변함으로써, 상기 n개의 시프트신호 중에서 m(n보다 작은 자연수)개의 시프트신호를 차단하고, n-m개의 시프트신호에 대응하는 n-m개의 게이트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영역에서 상기 제1구동주파수와 주파수가 다른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 first driving frequency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panel by sequentially supplying n gate signals corresponding to n shift signals in a first period; and
By varying the width of the multi-control signal that simultaneously controls n switches connecting n registers and n gate lines in the second period, m (a natural number smaller than n) shift signals are blocked among the n shift signals. and supplying nm gate signals corresponding to nm shift signals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a second driving frequency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주파수가 상기 제2구동주파수보다 더 높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1영역에서 상기 제2영역 방향으로 게이트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According to clause 12,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s higher than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gate signal is sequentially supplied from the first area to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pane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주파수가 상기 제2구동주파수보다 더 높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제1영역 방향으로 게이트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According to clause 12,
The first driving frequency is higher than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gate signal is sequentially supplied from the second area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pane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1기간과 상기 제2기간에 상기 n개의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전달받고,
상기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2구동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제1기간과 상기 제2기간 중 어느 하나의 기간에 대응하여 상기 n-m개의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전달받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According to clause 12,
In response to the first driving frequency,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panel sequentially receives the n gate signals in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In response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panel sequentially transmits the nm gate signals in response to any one of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in response to the second driving frequency. How to drive the receiving display device.
삭제delete
KR1020190151744A 2019-11-22 Gate drive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KR1026739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744A KR102673949B1 (en) 2019-11-22 Gate drive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744A KR102673949B1 (en) 2019-11-22 Gate drive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166A KR20210063166A (en) 2021-06-01
KR102673949B1 true KR102673949B1 (en) 2024-06-10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651B1 (en) An image display apparatus
US7425937B2 (en)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6801180B2 (en) Display device
JP5482393B2 (en)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layout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417965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CN112397020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605351B2 (en) Display panel having a compensation unit for leakage current,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190055304A (en) Display device
JP2005099712A (en) Driving circuit of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210073188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the pixel driving circuit
KR101324553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538379B2 (en) Foldable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2581907A (en) Display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KR20180049850A (en) Display apparatus
JP7262562B2 (en) Display device and compensation method
JP2012047894A (en) Display device
KR101942984B1 (en) Gate driver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73949B1 (en) Gate drive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KR102651252B1 (en)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JP2016109782A (en)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KR20230099171A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93624A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618390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4325940A (en) Active matrix type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KR20210063166A (en) Gate drive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