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768B1 -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768B1
KR102673768B1 KR1020230129449A KR20230129449A KR102673768B1 KR 102673768 B1 KR102673768 B1 KR 102673768B1 KR 1020230129449 A KR1020230129449 A KR 1020230129449A KR 20230129449 A KR20230129449 A KR 20230129449A KR 102673768 B1 KR102673768 B1 KR 102673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soundproofing
sound insulation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9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언
Original Assignee
고탑이앤씨(주)
박진언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탑이앤씨(주), 박진언 filed Critical 고탑이앤씨(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7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1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the position of the plates to be connected being adjustable
    • F16B5/022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the position of the plates to be connected being adjustable allowing for adjustment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plates

Abstract

본 발명은 위에 위치하는 방음판의 하중이 아래에 위치하는 방음판에 집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중을 양쪽 지주쪽으로 전이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두께의 방음판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는 방음벽의 지주의 내면에 밀착되는 수직면과 방음판 프레임의 하면에 접하는 수평면으로 구성되는 하중전이부재와, "ㄱ"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한쪽면은 하중전이부재의 수직면에 접하고 다른쪽면은 방음판 프레임의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 {FIXING AND SUPPORTING DEVICE OF SOUNDPROOF PANEL FOR EASY MAINTENANCE}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음판의 하중을 양쪽 지주쪽으로 전이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두께의 방음판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음벽은 도로나 철도 등의 주변에 설치하여 차량이나 기차가 주행할 때에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 및 감소시켜 도로나 철도에 인접한 주택이나 학교 등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도로나 철로변에 일정 간격으로 세워서 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지주 사이에 다단으로 방음판을 삽입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로는 대부분 "H"빔을 사용하고, 상기 방음판은 합성수지나 흡음재가 있는 금속판 등으로 형성되는 판재를 사각형의 프레임 안에 삽입하여 구성한다.
종래 방음벽의 경우에는 방음판의 일부에 파손 또는 손상이 발생하거나 필요가 있어 방음판의 일부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 해당 구간의 방음판을 위에서부터 차례로 해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시간과 비용도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1681호, 제10-2142346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289호, 제20-0283331호 등에는 방음판의 일부를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지주(포스트)의 수직홈에 수직프레임을 체결브래킷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고, 수직프레임의 단턱에 방음판 판재의 단부를 삽입하고, 이 방음판 판재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수직프레임에 탄성 가압체를 체결보울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탄성가압체에 체결보울트의 머리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캡을 결합하는 구조로 방음판을 구성하기도 한다.
그리고, 사각형 프레임(상단프레임 및 하단프레임)에 가이드판을 이용하여 방음판 판재의 단부를 지지하고 프레임의 삽입홈에 밀폐부재를 삽입하여 프레임과 방음판 판재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구조 또는 프레임에 방음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방음판 판재의 단부를 지지하는 구조로 방음판을 구성하기도 한다.
종래의 방음판을 지지하는 구조의 경우에는 다양한 두께의 방음판에 대하여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위에 위치하는 방음판의 하중이 아래에 위치하는 방음판에 집중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중을 양쪽 지주쪽으로 전이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두께의 방음판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는 방음벽의 지주의 내면에 밀착되는 수직면과 방음판 프레임의 하면에 접하는 수평면으로 구성되는 하중전이부재와, "ㄱ"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한쪽면은 상기 하중전이부재의 수직면에 접하고 다른쪽면은 방음판 프레임의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중전이부재의 수직면에는 상하로 길게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고정구멍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의 한쪽면에는 경사로 길게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고정구멍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중전이부재는 사각형의 일부를 세로로 부분 절개하여 90도를 굽혀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는 방음판 판재의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프레임의 내면과 방음판 판재 사이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ㄴ"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제1지지부재와, "ㅗ"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수평면이 일부 겹치면서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수직면 사이에 방음판 판재가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에 의하면, 지주에 하중전이부재를 설치하고 그 위에 방음판의 프레임 모서리가 놓여지도록 구성하므로, 위쪽에 위치하는 방음판의 하중이 하중전이부재를 통하여 지주쪽으로 전이되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방음판에 하중이 집중하여 작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방음판의 변형(배부름)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에 의하면, 지주에 경사로 길게 고정구멍이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방음판의 프레임 모서리 측면을 밀착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하므로, 다양한 두께의 프레임을 갖는 방음판을 동일한 구조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에 의하면, 하중전이부재와 고정부재에 의하여 방음판의 프레임 모서리부분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고정부재를 탈부착하여 해당하는 방음판만을 분해하거나 교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에 의하면, "ㄴ"형상 단면의 제1지지부재와 "ㅗ"형상 단면의 제2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를 사용하여 방음판 판재를 프레임에 고정 지지하므로, 필요에 따라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분해하여 해당되는 방음판 판재만을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에 있어서, 하중전이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를 적용하여 방음판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재를 적용하여 방음판 프레임에 방음판 판재를 설치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에 있어서, 제1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에 있어서, 제2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를 적용한 방음벽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를 적용한 방음벽에 있어서, 방음판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를 적용한 방음벽에 있어서, 방음판의 판재를 교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디든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전이부재(50)와 고정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중전이부재(50)는 방음벽의 지주(10)의 내면에 밀착되는 수직면(52)과, 방음판 프레임(30)의 하면에 접하는 수평면(56)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중전이부재(50)의 수직면(52)에는 상하로 길게 체결볼트(72)가 삽입되는 고정구멍(53)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고정구멍(53)을 형성하면, 필요에 따라 하중전이부재(50)의 방음벽의 지주(10)에 설치되는 위치의 상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중전이부재(50)는 사각형 판재의 일부를 세로로 부분 절개한 다음 90도를 굽혀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중전이부재(50)는 방음판 프레임(30)의 높이에 대응하여 방음벽의 지주(10)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예를 들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방음판의 프레임(30) 조립체의 이웃하는 상하에 위치하는 프레임(30)의 사이에 상기 하중전이부재(50)가 각각 위치하도록 설정하여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지주(10)에 하중전이부재(50)를 설치하고 그 위에 위쪽 단의 방음판 프레임(30) 모서리가 놓여지도록 구성하면, 위쪽에 위치하는 방음판의 하중이 하중전이부재(50)를 통하여 지주(10)쪽으로 전이되고, 아래쪽에 위치하는 방음판에 위쪽 방음판의 하중이 집중하여 작용할 때에 발생하는 방음판의 변형(배부름)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중전이부재(50)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하를 180도 회전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60)는 "ㄱ"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60)는 한쪽면(62)은 상기 하중전이부재(50)의 수직면(52)에 접하고, 다른쪽면(64)은 방음판 프레임(30)의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60)의 한쪽면(62)에는 경사로 길게 체결볼트(72)가 삽입되는 고정구멍(63)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고정구멍(63)을 경사로 길게 형성하면, 방음판 프레임(30)의 두께에 대응하여 고정부재(60)의 고정구멍(63)에 체결볼트(72)를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부재(60)를 위아래로 이동시킴에 따라 방음판 프레임(30)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접근하게 되므로, 다양한 두께의 프레임(30)을 갖는 방음판을 동일한 구조의 고정부재(60)를 사용하여 설치하고 지지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60)를 사용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음판 프레임(30)의 모서리 구석부 측면에 고정부재(60)가 밀착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고정부재(60)를 해체하는 것에 의하여 해당 부위의 방음판 프레임(30)만을 제거하고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는 방음판 판재(20)의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방음판 프레임(30)의 내면과 방음판 판재(20) 사이에 방음판 프레임(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지지부재(8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80)는 "ㄴ"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제1지지부재(82)와, "ㅗ"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제2지지부재(84)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80)는 제1지지부재(82)와 제2지지부재(84)의 수평면이 일부 겹치면서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82)와 제2지지부재(84)의 수직면 사이에 방음판 판재(20)가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2지지부재(84)의 경우에는 수직면을 중심으로 한쪽 수평면에는 방음판 판재(20)의 모서리가 위치하며, 다른쪽 수평면은 일정 간격을 두고 작은나사 등을 사용하여 방음판 프레임(30)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 지지부재(80)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형성되는 방음판 프레임(30)의 4개 모서리의 내면에 모두 설치하여 방음판 판재(20)의 4개 모서리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1지지부재(82) 및 제2지지부재(84)의 수직면과 방음판 판재(20) 사이에 패킹부재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지지부재(82)와 제2지지부재(84)의 수평면을 작은나사 등을 사용하여 방음판 프레임(30)에 밀착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80)가 안정적으로 방음판 판재(20)를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80)는 "ㅗ"형상 제2지지부재(84)를 방음판 프레임(30)의 내면을 따라 배치하여 작은나사 등을 이용하고 방음판 프레임(30)에 제2지지부재(84)의 수평면을 고정 설치한 다음, 모서리가 상기 제2지지부재(84)의 수직면에 지지되도록 방음판 판재(20)를 방음판 프레임(30)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84)의 반대쪽에서 방음판 판재(20)의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82)를 수직면이 방음판 판재(20)에 밀착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방음판 프레임(30)에 제1지지부재(82)의 수평면을 작은나사 등을 사용하여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방음판 판재(20)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80)를 구성하면,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82)를 방음판 프레임(30)으로부터 해체 분리하는 것으로, 해당되는 방음판 판재(20)만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부재(80)는 동일한 형상으로 압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길게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길이를 잘라 4개의 모서리에 모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를 적용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주(10) 사이에 방음판 판재(20)가 내부에 설치된 방음판 프레임(30)를 다단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다단 및 다수의 열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방음판 판재(20)가 내부에 설치된 방음판 프레임(30)은 필요에 따라 해당되는 부위만 용이하고 신속하게 해체하고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10)에 설치되는 체결볼트(72)를 고정구멍(53)에 삽입하여 하중전이부재(50)를 설치하고, 이어서 체결볼트(72)를 고정구멍(63)에 삽입하여 고정부재(60)를 설치한 다음, 판재(30)와 프레임(20)이 조립된 방음판을 지주(10)와 고정부재(60)의 다른쪽면(64) 사이에 방음판의 프레임(30)의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설치하고, 프레임(30)의 측면에 고정부재(60)의 다른쪽면(64)이 밀착되는 상태로 체결볼트(72)에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순차적으로 방음판을 다단으로 지주(10)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일부 방음판에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하거나 여러 이유로 방음판을 교체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설치할 때와 역순으로 먼저 해당되는 방음판이 위치한 부위의 프레임(30) 모서리 4곳과 접하는 고정부재(60)를 체결볼트(72)로부터 너트를 푸는 것으로 해체하고, 해당되는 방음판을 분리한 다음 수리가 완료된 방음판이나 교체하고자 하는 방음판을 다시 해당되는 부위에 설치하고, 고정부재(60)의 다른쪽 면이 프레임(30)의 측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체결볼트(72)에 너트를 체결하는 것으로 방음판의 교체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방음판에 있어서, 프레임(30)에 조립된 방음판 판재(20)를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의 방음판 또는 초기 제작시의 방음판의 경우에는 맨 앞의 도면과 같이 프레임(30)에 형성된 판재삽입홈에 방음판 판재(30)의 모서리가 직접 삽입되는 상태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특정 위치에 설치된 방음판 판재(20)에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하거나 여러 이유로 판재(20)를 교체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되는 판재(20)를 작은 크기로 부수거나 절단하는 방법으로 제거(도 10에서는 위쪽단에 위치하는 판재(20)를 제거)한 다음, 프레임(30)에 형성된 판재삽입홈을 덮도록 제2지지부재(84)를 위치시켜 작은나사 등으로 프레임(30)의 내면을 따라 각 모서리에 고정시키고, 제2지지부재(84)의 수직면에 새로 교체하고자 하는 판재(20)의 모서리가 접하여 지지되도록 프레임(30) 내부에 판재(20)를 삽입하고, 제1지지부재(82)의 수직면이 판재(20)의 다른쪽 모서리를 밀착하여 지지하도록 위치시켜 작은나사 등으로 프레임(30)에 고정하는 것으로 판재(20)의 교체 작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1지지부재(82)와 제2지지부재(84)를 이용하여 판재(20)를 고정 지지하는 경우에는 제1지지부재(82)를 프레임(30)으로부터 해체하는 것만으로 해당되는 판재(20)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판재(20)의 제거나 교체 작업은 지주(10)로부터 판재(20)와 프레임(30)이 조립된 방음판을 분리 해체한 다음에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지주에 프레임(30)이 고정된 상태에서 판재(20)만을 제거하거나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지주, 20 - 방음판 판재, 30 - 방음판 프레임, 50 - 하중전이부재
52 - 수직면, 53 - 고정구멍, 56 - 수평면, 60 - 고정부재, 62 - 한쪽면
63 - 고정구멍, 64 - 다른쪽면, 72 - 체결볼트, 80 - 지지부재
82 - 제1지지부재, 84 - 제2지지부재

Claims (5)

  1. 방음벽의 지주의 내면에 밀착되는 수직면과 방음판 프레임의 하면에 접하는 수평면으로 구성되는 하중전이부재와, "ㄱ"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한쪽면은 상기 하중전이부재의 수직면에 접하고 다른쪽면은 방음판 프레임의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방음판 판재의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프레임의 내면과 방음판 판재 사이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ㄴ"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제1지지부재와, "ㅗ"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수평면이 일부 겹치면서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수직면 사이에 방음판 판재가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중전이부재의 수직면에는 상하로 길게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고정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한쪽면에는 경사로 길게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고정구멍을 형성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중전이부재는 사각형의 일부를 세로로 부분 절개하여 90도를 굽혀 형성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30129449A 2023-09-26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 KR102673768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3768B1 true KR102673768B1 (ko) 2024-06-10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253Y1 (ko) * 2002-09-16 2003-01-03 주식회사 지엔에프 방음판 고정용 록킹장치
KR101364498B1 (ko) * 2013-04-29 2014-02-19 테크스타 코리아 주식회사 방음판 탈부착이 용이한 방음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253Y1 (ko) * 2002-09-16 2003-01-03 주식회사 지엔에프 방음판 고정용 록킹장치
KR101364498B1 (ko) * 2013-04-29 2014-02-19 테크스타 코리아 주식회사 방음판 탈부착이 용이한 방음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27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furbishing an existing curtain wall
KR101027873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KR101609382B1 (ko) 디자인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한 방음벽 리모델링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364498B1 (ko) 방음판 탈부착이 용이한 방음벽
JP2017150198A (ja) ばね金具及び防音パネル及び防音パネルの設置構造
KR102673768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판의 고정 및 지지장치
US20100101155A1 (en) Modular work station with air collector
JP4909871B2 (ja) 防音パネルの取付金具及び防音構造
KR102159470B1 (ko) 전면 탈부착이 가능한 유지보수형 투명 방음판
KR102152503B1 (ko) 탈부착 구조를 갖는 투명 방음판
KR200313301Y1 (ko) 방음판 고정장치
KR101688170B1 (ko) 보수판을 이용한 방음판 보수 방법
KR100507751B1 (ko) 방음판 고정장치
JP4105136B2 (ja) 前背面分離式遮音壁
KR101746124B1 (ko) 분리형 수평지지바를 이용한 투명 방음벽
KR20160134168A (ko) 양면 분리형 투명 방음판 조립체
JP2012097431A (ja) 太陽光発電パネルを備えた傾斜型防音壁
KR100994972B1 (ko) 방음벽
JP4942607B2 (ja) 防音壁の改修方法
KR200307676Y1 (ko) 방음벽용 분리형 방음판의 이음 구조물
JP4723404B2 (ja) 簡易構築物の天井形成方法
KR20070011766A (ko) 방음벽
JP7438846B2 (ja)
CN1629414A (zh) 建筑物用覆盖结构体
JP2009161942A (ja) 遮音壁及び遮音パネル保持金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