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789B1 -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789B1
KR102672789B1 KR1020220041975A KR20220041975A KR102672789B1 KR 102672789 B1 KR102672789 B1 KR 102672789B1 KR 1020220041975 A KR1020220041975 A KR 1020220041975A KR 20220041975 A KR20220041975 A KR 20220041975A KR 102672789 B1 KR102672789 B1 KR 102672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ectangular
rectangular cam
rectangular block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3283A (ko
Inventor
오영천
조상철
Original Assignee
(주)솔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리티 filed Critical (주)솔리티
Priority to KR102022004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789B1/ko
Publication of KR2023014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7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4Fastening the knob or the handle shank to the spindle by screws, springs or snap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조작만으로 좌,우수 변환 조작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핸들이 대기위치로의 안정된 복귀가 가능하도록 하고, 보안기기로서 요구되는 내구성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며 핸들의 회동시 유격 발생을 방지하여 보안기기로서의 신뢰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도어락 실내외측 핸들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변위와 탄력이 증강된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장방형블록의 승강력이 제공되도록 하고, 핸들샤프트에 장방형캠의 중심을 고정시켜 핸들샤프트의 회동에 따라 장방형캠의 회전으로 상기 장방형블록을 누르면서 회전하고 핸들을 놓으면 상기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장방형블록의 평탄면과 장방형캠의 상면이 면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안정된 대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은 핸들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좌,우수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코일스프링의 충분한 탄력으로 내구성을 확보하고 핸들이 항상 안정된 대기 위치로의 복귀가 가능하게 되며, 핸들 조작시의 유동을 방지하여 보안기기로서 요구되는 신뢰도를 충족시켜 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Handle Assembly for Doorlock}
본 발명은 래치볼트를 몰입시켜 문을 열기 위하여 사용하는 핸들이 구비된 도어락의 실내외측 핸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를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206056(발명의 명칭: 디지털 도어락의 인바디;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의하여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도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12)의 핸들축(12a)이 회전판(40)의 중심에 끼워지고, 제1지지부(31) 및 제2지지부(32)를 갖는 토션스프링(30)이 상기 핸들플레이트(40) 둘레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에 의하여 우수 사용자를 위한 핸들 설치의 경우에는 도2로 보인 바와 같이, 핸들(12)을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도3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40)이 함께 회동하면서 걸림편(42)에 의해 제1지지부(31)가 스탑퍼(24)에 밀착될 때까지 이동한다.
이에 따라 핸들샤프트(12a)에 의해 모티스(도시되지 않음)의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가 해제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사용자가 핸들(12)을 놓으면 토션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지지부(31)가 복귀하면서 회전판(40) 및 핸들(12)이 도2로 보인 상태로 복귀한다.
이러한 인용발명에서와 같이 토션스프링(30)과 핸들플레이트(40)가 핸들샤프트(12a)에 고정되는 상태에서 핸들(12)을 회동시키면 핸들샤프트(12a)와 핸들플레이트(40)가 회전하되, 핸들플레이트(40)의 돌기(42)가 제1걸림턱(22)과 제2걸림턱(23)에 닿아 핸들샤프트(12a)의 회동 각도가 제한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핸들(12)의 회동 가능 각도는 설계 시 한정되고 좌,우수 변환 필요시에는 바디의 내측커버를 분리하고 해당 나사를 풀어 해체하였다가 다시 변환하고자 하는 좌,우수 변환 상태로 조립 후 커버를 닫아 재조립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좌,우수 변환 조작이 번거롭게 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30)은 핸들(12)의 회전에 따라 풀림과 조임을 반복하여 뒤틀림을 반복하는 방식이므로 핸들샤프트(12a)의 반복적인 회전 및 복귀 동작으로 토션스프링(30)의 금속피로가 누적되어 국내 내구성 기준인 12만회의 달성 전에 조기 변형 및 파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보안기기로서의 도어락 신뢰도를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대개 토션스프링(3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충분한 공간을 두어야 할 필요가 있었으며, 그 결과 핸들이 전,후방으로 약간의 유격이 발생하도록 설계하였으므로 핸들이 전,후방으로 약간의 흔들림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기대하는 견고한 보안기기로서의 신뢰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206056(발명의 명칭: 디지털 도어락의 인바디)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핸들 조작만으로 좌,우수 변환 조작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핸들이 대기 위치로의 안정된 복귀가 가능하도록 하고, 보안기기로서 요구되는 내구성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며, 핸들의 회동 시 유격 발생을 방지하여 보안기기로서의 신뢰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코일스프링의 탄력이 장방형블록의 승강력으로 제공되도록 하고, 핸들의 핸들샤프트에 장방형캠의 중심을 고정시켜 핸들샤프트의 회동에 따라 장방형캠의 회전으로 장방형캠의 둘레가 상기 장방형블록을 누르면서 회전하며, 핸들을 놓으면 상기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장방형블록의 평탄면과 장방형캠의 일면이 면접촉이 이루어지기까지 상기 장방형블록이 장방형캠을 역회전시켜 대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면접촉되는 장방형캠과 장방형블록 사이에 구성된 차음패드와,
지지스프링의 지지력을 받아 상기 장방형블록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전환조절부와,
상기 전환조절부가 제한하는 장방형블록의 이동범위보다 장방형블록을 더 밀도록 장방형캠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기연장부와,
상기 전환조절부로부터 바디의 커버 밖에 노출되어 바디를 분해하지 않고도 상기 지지스프링의 지지력을 이기는 힘으로 눌러서 전환조절부를 이동시켜 장방형블록의 이동범위 제한이 풀리도록 하는 누름돌기와,
상기 장방형캠과 바디의 사이 공간의 핸들샤프트 주위에 구성되어 장방형캠을 탈력으로 지지하는 웨이브와셔가 구성된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핸들을 회동시켜 180°회전되게 하여 좌,우수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종전과 같이 좌,우수 변환을 위한 나사분리 및 분해, 조립, 나사 체결 등의 번거로움이 불필요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안정된 탄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과 장방형블록 및 장방형캠의 상승 및 회동으로 핸들의 반복적인 회동에 의한 장방형캠의 회동과 장방형블록의 승강에 의하여 제공되는 코일스프링의 충분하고 안정된 탄력의 제공으로 수명이 장구하게 되어 대한민국에서 디지털 도어락의 핸들 회동 내구성 기준인 12만회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어 보안기기로서의 신뢰도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의 인바디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의 인바디 우수형 핸들 회동 대기상태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의 인바디 우수형 핸들 회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의 인바디 좌수형 핸들 회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핸들 회동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핸들 회동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핸들 회동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핸들 회동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방형캠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방형캠을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장방형캠의 돌기가 회동하는 바디 내측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핸들을 우수로 하고, 장방형캠의 돌기가 스토퍼에 접면한 대기상태를 보인 내부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핸들을 우수에서 좌수로 전환하기 위한 동작을 도시한 내부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핸들을 우수에서 좌수로 전환하는 경계상태를 보인 내부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핸들을 좌수로 전환한 상태를 보인 내부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핸들을 좌수로 전환하여 장방형캠의 돌기가 우수의 경우의 대칭 위치로 전환된 대기상태를 보인 내부 정면도.
도 17은 핸들 유격 방지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웨이브와셔를 보인 평면도.
도 18은 도17로 보인 웨이브와셔의 정면도.
도 19는 도17로 보인 웨이브와셔의 측면도.
도 20은 도17로 보인 웨이브와셔의 사시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 구조를 도5 내지 도8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디(100)의 외측에 노출 설치되는 핸들(200)과, 상기 핸들(200)의 회동 시 미도시된 모티스의 래치볼트를 몰입시키는 핸들샤프트(201)를 구비하되, 바디(100)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이 장방형블록(400)에 상승탄력을 제공하기 위한 코일스프링(500)과,
상기 장방형블록(400)에 접면되며, 상기 핸들샤프트(201)에 고정되어 핸들샤프트(201)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장방형캠(300)이 구비되어 상기 코일스프링(500)의 상승탄력으로 장방형블록(400)이 상향압력을 가하여 장방형캠(300)과 면접촉됨으로써 대기상태에서 핸들(200)이 안정된 상태로 대기되고, 핸들(200)의 회동으로 핸들샤프트(201)가 회동되는 경우 장방형캠(300)을 대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력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도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500)의 상향 탄력으로 장방형블록(400)이 장방형캠(300)을 밀어 올리게 되며, 장방형캠(300)은 장방형블록(400)과 면접촉으로 밀착된 상태로 되어 장방형캠(300) 핸들샤프트(201)로 고정된 핸들(200)이 안정된 상태 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장방형캠(300)으로부터 일방으로 돌출된 돌기(302)가 스토퍼(101)에 닿아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200)을 도면상 하향 회동시키면 핸들샤프트(20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한쪽의 길이가 더 긴 형상의 장방형캠(3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코일스프링(500)의 탄력을 이기고 장방형블록(400)을 하방으로 누르게 되며, 그 결과 코일스프링(500)이 압축되는 상태로 된다.
아울러, 상기 각형요홈(203)이 회동하고, 이러한 각형요홈(203)에 끼워진 모티스를 관통하는 각형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모티스의 래치볼트가 몰입되어 문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핸들(200)을 놓으면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500)이 신장되면서 장방형블록(400)을 상승시키므로 장방형캠(300)은 장방형블록(400)에 의해 밀려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6으로 보인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장방형캠(300)의 돌기(302)는 다시 바디(100)의 스토퍼(101)에 닿아 장방형캠(300)과 함께 회전하는 핸들(200)이 더 이상 상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복귀 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의 저감을 위해 면접촉되는 장방형캠(300)과 장방형블록(400) 사이에 합성수지 등을 재료로 하는 차음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장방형캠(300)의 돌기(302)는 도9로 보인 바와 같이 바디(100)의 스토퍼(101) 측으로 돌출되어 도11로 보인 바디(100)의 스토퍼(101)에 닿아 더이상 상방향으로 장방형캠(300)의 회전을 차단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도 5 내지 도12로 보인 우수형에서 좌수형으로의 전환을 위하여 별도의 도어락 내,외측기의 커버 분리 및 분해 조립 과정이 불필요하며, 커버 밖에 노출된 누름돌기(701)를 눌러 전환조절부(700)가 지지스프링(702)의 지지력을 이기고 바디(100) 측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핸들(200)을 회전시키면 함께 회전하는 장방형캠(300)의 돌기연장부(306)가 장방형블록(400)을 전환조절부(700)에 의해 제한되던 이동범위보다 더욱 밀어내면서 180°회전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조작으로 핸들(200)의 좌,우수 전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좌,우수 전환이 이루어진 후에는 다시 누름돌기(701)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지지스프링(702)의 지지력에 의해 전환조절부(700)가 바디(100)로부터 돌출되어 장방형블록(40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므로 임의적인 좌,우수 전환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핸들(200)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12로 보인 상태에서 누름돌기(701)를 누르고 핸들(20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주는 것만으로 좌수로의 전환이 구현된다.
이러한 동작을 도13 이하로 보였으며, 도13으로 보인 바와 같이 누름돌기(701)를 눌러 장방형블록(40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전환조절부(700)를 장방형블록(400)의 이동범위에서 이탈시킨 후 핸들(200) 조작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장방형캠(300)의 돌기연장부(306)가 장방형블록(400)을 누르고 통과하도록 한 후 코일스프링(500)에 의하여 최고로 압축되었던 핸들(200)을 놓으면 코일스프링(500)이 반발하면서 신장하므로 장방형블록(400)이 상승하여 도 14로 보인 상태를 경유하여 도15, 도16으로 보인 바와 같이 핸들(200)이 도12의 상태에서 180°회전된 좌수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러한 도16으로 도시한 상태에서 핸들(200)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핸들샤프트(20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장방형캠(3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각형요홈(203)이 회동하고, 상기 각형요홈(203)에 끼워진 모티스를 관통하는 각형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모티스의 래치볼트가 몰입되어 문을 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장방형캠(300)은 코일스프링(500)의 탄력을 이기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장방형블록(400)을 하방으로 누르게 되며, 그 결과 코일스프링(500)이 압축되고, 래치볼트가 몰입되어 문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핸들(200)을 놓으면 어느 경우에나 압축되어 있던 코일스프링(500)이 신장되면서 장방형블록(400)을 상승시키므로 장방형블록(400)에 밀리는 장방형캠(30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16으로 보인 바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장방형캠(300)의 돌기(302)는 도12로 보인 바디(100)의 종전 우수의 경우에 돌기(302)가 닿는 스토퍼(101)의 반대편에 구비된 스토퍼(101)에 닿아 더 이상 상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우수로 변환하고자 하는 경우 누름돌기(701)를 누른 상태에서 핸들(200)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도16으로 보인 상태에서 도15, 도14, 도13으로 보인 과정을 거쳐 도12로 보인 우수 상태로 복귀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도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장방형블록(400)의 양측에 가이드장공(401)이 구비되고, 바디(100)에 고정된 가이드핀(402)에 의하여 승강이 안내됨과 동시에 최장 승강폭이 제한되는 것이며, 상기 장방형캠(300) 중심에 중심공(301)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공(301)을 향하여 돌출된 결합돌출부(307)가 구비되며, 상기 중심공(301)에 핸들샤프트(201) 선단이 삽입되어 핸들샤프트(201)의 둘레에 형성된 결합요홈(204)에 장방형캠(300)의 결합돌출부(307)가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핸들샤프트(201)의 회전력이 장방형캠(300)에 전달되도록 한 상태에서 핸들샤프트(201) 주변의 결합공(202)과 장방형캠(300)을 결합시키는 체결볼트(304)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체결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고, 이때의 중심공(301) 형상과 크기는 장방형캠(300)이 핸들샤프트(201)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장방형캠(300)이 덮고 있는 부분의 바디(100)의 상태 확인 및 조작이 가능하도록 핸들샤프트(20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래치볼트 몰입을 위한 각형 샤프트의 원활한 회동 및 핸들(200)의 원활한 회전 작동을 위해 상기 장방형블록(400)의 평탄면과 면접촉되는 장방형캠(300)의 일면 양측에 형성된 모서리는 핸들(200)의 좌,우수 변환 시 장방형블록(400)을 밀면서 장방형캠(3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볼록한 곡면(303)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핸들(200)의 작동으로 장방형블록(400)의 평탄면에 면접촉되어 있는 장방형캠(300)이 회전하여 장방형캠(300)의 일면이 장방형블록(400)의 평탄면으로부터 떨어져 장방형캠(300)의 모서리에 형성된 곡면(303)이 장방형블록(400)의 평탄면을 밀고 있는 상태에서 핸들(200)을 놓으면 코일스프링(500)에 의해 장방형블록(400)에 가해지는 탄성력으로 장방형캠(300)이 회전되어 다시 장방형캠(300)의 일면이 장방형블록(400)의 평탄면과 면접촉되도록 상기 장방형캠(300) 모서리의 곡면(303)이 적절한 규격의 곡율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핸들(200)을 회동시킴에 따라 장방형캠(300)의 돌기(302)가 바디(100)의 스토퍼(101)에 닿아 상한점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장방형캠(300)의 일측이 바디(100) 일측에 닿아 대기상태에서 안정된 지지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도17 내지 도20으로 보인 웨이브와셔(600)를 도7, 8의 분리사시도 및 종단면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핸들샤프트(201)가 끼워진 바디(100)의 슬리브(601)와 바디의 지지턱(602) 사이에 형성된 안치홈(604)에 설치되는 실시예를 보였다.
아울러, 상기 웨이브와셔(600)가 설치된 안치홈(604) 위에 장방형캠(300)을 덮고 체결볼트(304)로 체결함으로써 핸들(200)의 핸들샤프트(201)와 장방형캠(300) 사이에 웨이브와셔(600)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뿐만 아니라 바디(100)와 장방형캠(300) 사이에 적절한 텐션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핸들(200)의 샤프트 회동 시 웨이브와셔(600)가 바디(100)와 장방형캠(300) 사이에 작용하는 텐션에 의하여 회동 시 발생할 수 있는 핸들샤프트(201)의 유동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핸들샤프트(201)는 그 회동 시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보안장치로서의 신뢰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웨이브와셔(600)는 도 17 내지 도2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으로 배치되는 파형부(603)가 2쌍 이상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핸들샤프트(201)와 장방형캠(300) 사이에 균일한 텐션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파형의 높이 및 갯수 그리고 웨이브와셔(600)의 재질 등에 의하여 적절한 텐션이 발생하도록 하여 안정된 핸들(200)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바디 101 : 스토퍼 200 : 핸들
201 : 핸들샤프트 202 : 결합공 203 : 각형요홈
204 : 결합요홈 300 : 장방형캠 301 : 중심공
302 : 돌기 303 : 곡면 304 : 체결볼트
305 : 요홈 306 : 돌기연장부 307 : 결합돌출부
400 : 장방형블록 401 : 가이드장공 402 : 가이드핀
500 : 코일스프링 600 : 웨이브와셔 601 : 슬리브
602 : 지지턱 603 : 파형부 604 : 안치홈
700 : 전환조절부 701 : 누름돌기 702 : 지지스프링

Claims (7)

  1. 코일스프링의 탄력이 장방형블록의 승강력으로 제공되도록 하고, 핸들의 핸들샤프트에 장방형캠의 중심을 고정시켜 핸들샤프트의 회동에 따라 장방형캠의 회전으로 장방형캠의 둘레가 상기 장방형블록을 누르면서 회전하며, 핸들을 놓으면 상기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장방형블록의 평탄면과 장방형캠의 일면이 면접촉이 이루어지기까지 상기 장방형블록이 장방형캠을 역회전시켜 대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면접촉되는 장방형캠과 장방형블록 사이에 구성된 차음패드와,
    지지스프링의 지지력을 받아 상기 장방형블록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전환조절부와,
    상기 전환조절부가 제한하는 장방형블록의 이동범위보다 장방형블록을 더 밀도록 장방형캠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기연장부와,
    상기 전환조절부로부터 바디의 커버 밖에 노출되어 바디를 분해하지 않고도 상기 지지스프링의 지지력을 이기는 힘으로 눌러서 전환조절부를 이동시켜 장방형블록의 이동범위 제한이 풀리도록 하는 누름돌기와,
    상기 장방형캠과 바디의 사이 공간의 핸들샤프트 주위에 구성되어 장방형캠을 탈력으로 지지하는 웨이브와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캠은 중심에 중심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공에서 돌출된 결합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심공에 핸들샤프트 선단이 결합되고, 핸들샤프트의 둘레에 형성된 결합요홈에 장방형캠의 결합돌출부가 접촉되도록 결합되며, 핸들샤프트 주변의 결합공과 장방형캠을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블록의 평탄면과 면접촉되는 장방형캠의 일면 양측에 형성된 모서리는 핸들의 좌,우수 변환 시 장방형블록을 밀면서 장방형캠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곡면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장방형캠의 돌기가 바디의 스토퍼에 닿아 상한점이 제공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41975A 2022-04-05 2022-04-05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 KR102672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975A KR102672789B1 (ko) 2022-04-05 2022-04-05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975A KR102672789B1 (ko) 2022-04-05 2022-04-05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283A KR20230143283A (ko) 2023-10-12
KR102672789B1 true KR102672789B1 (ko) 2024-06-05

Family

ID=8829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975A KR102672789B1 (ko) 2022-04-05 2022-04-05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27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08B1 (ko) * 2009-12-10 2012-03-06 엠피아주식회사 방수 디지털 도어록
KR101206056B1 (ko) 2012-06-22 2012-11-28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인바디
KR102623990B1 (ko) * 2019-12-30 2024-01-11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283A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165576A1 (zh) 背门逃生盖板、后背门结构以及车辆
KR102672789B1 (ko) 도어락의 핸들 어셈블리
KR101375776B1 (ko) 푸쉬 앤 풀 열림방식의 도어록
KR102623990B1 (ko) 카세트 핸들의 좌우수 전환조립체
KR100293030B1 (ko) 배전반용 핸들
TWI626360B (zh) Electronic lock clutch mechanism
TWM581627U (zh) 電子鎖之傳動結構
TWI695923B (zh) 鎖體的離合機構
CN211119541U (zh) 一种微波炉的开门组件
TWI674605B (zh) 具有減噪效果之按鍵及其鍵盤
TWI324213B (ko)
US20210363783A1 (en) Lock
US3212802A (en) Sliding door latch spring means
KR102628834B1 (ko) 핸들 회동 각도 범위 가변 기능을 구비한 도어록 핸들 어셈블리
TWI802484B (zh) 按鍵組件及按力調整機構
TWI788926B (zh) 按鍵組件及按力調整機構
KR200493784Y1 (ko)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
CN210073646U (zh) 一种翻转开关机构
KR102380470B1 (ko) 좌우수 변경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JP6216131B2 (ja) 扉錠用のロック装置
KR940004118Y1 (ko) 중, 대형 컴퓨터의 후면판넬 개폐장치
TW202314103A (zh) 電動機械鎖的傳動機構
KR102149269B1 (ko) 도어 결속장치
TWI811174B (zh) 具記憶功能之電子鎖具
KR100629736B1 (ko) 창문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