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667B1 - Vibrating screen for selecting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s - Google Patents

Vibrating screen for selecting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667B1
KR102672667B1 KR1020210125516A KR20210125516A KR102672667B1 KR 102672667 B1 KR102672667 B1 KR 102672667B1 KR 1020210125516 A KR1020210125516 A KR 1020210125516A KR 20210125516 A KR20210125516 A KR 20210125516A KR 102672667 B1 KR102672667 B1 KR 102672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foreign substances
recycled aggregate
upper deck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5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42819A (en
Inventor
안승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Priority to KR1020210125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667B1/en
Publication of KR20230042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8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6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03B4/02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swinging or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03B4/06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fixed and inclined tables ; using stationary pneumatic tables, e.g. fluidised beds
    • B03B4/065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fixed and inclined tables ; using stationary pneumatic tables, e.g. fluidised beds having inclined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중공형 케이스의 내부에 제1배출구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생골재를 충돌·분산시키면서 아래로 미끄러뜨리듯 이동시키는 어퍼 데크, 어퍼 데크의 상측으로 바람을 비스듬히 송풍하여 어퍼 데크를 따라 미끄러져 내리는 재생골재로부터 흙과 이물질을 불어서 날리어 분리하는 제1노즐이 다수 배열된 어퍼 헤더, 케이스의 내부에 어퍼 데크와 높이차를 두고 제1배출구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어퍼 데크에서 낙하되는 재생골재를 충돌·분산시키면서 아래로 미끄러뜨리듯 이동시키는 로우 데크, 로우 데크의 상측으로 바람을 비스듬히 송풍하여 로우 데크를 따라 미끄러져 내리는 흙과 이물질을 불어서 날리어 제3배출구 쪽으로 떨어뜨리는 제2노즐이 다수 배열된 로우 헤더, 어퍼 데크의 상부에 장치되고, 어퍼 데크의 상부로 올라가는 이물질을 회전운동하는 브러시로 긁어 올려서 제2배출구로 배출하는 브러시 컨베이어, 어퍼 데크 및 로우 데크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진동모터에 의한 가진력을 작용시켜 재생골재의 체류 시간을 연장하는 기진기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을 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deck is installed inside the hollow case slanted downward toward the first outlet, and moves the recycled aggregate injected through the inlet as if sliding downward while colliding and dispersing it. Wind is blown diagonally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deck. An upper header with a plurality of first nozzles arranged to blow away and separate dirt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recycled aggregate sliding along the upper deck,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slanted downward toward the first outlet at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upper deck, and the upper A low deck that slides downward while colliding and dispersing recycled aggregates falling from the deck. Wind is blown diagonally to the upper side of the low deck, blowing away dirt and foreign substances sliding along the low deck and falling toward the third outlet. A low header with a plurality of second nozzles arranged on the top of the upper deck, a brush conveyor that scrapes up foreign substances rising to the top of the upper deck with a rotating brush and discharges them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the slope of the upper deck and low deck. Disclosed is a vibrating screen for sorting out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including a vibrator that extends the residence time of recycled aggregate by applying exciting force by a vibrating motor in the opposite direction.

Figure R1020210125516
Figure R1020210125516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VIBRATING SCREEN FOR SELECTING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S}{VIBRATING SCREEN FOR SELECTING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S}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중간처리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폐콘크리트 및 폐토석 등의 재생골재 속에 혼재하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장치인 진동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낙하, 풍력 및 진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재생골재 중 골재로 쓸 수 없는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이물질과 골재에 적합하지 않은 점토질 물질, 흙 등을 기계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ng screen, which is a device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 recycled aggregates such as waste concrete and waste soil produced in the process of intermediate processing of construction wast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vibrating screen using falling, wind, and vibration energy. This relates to a vibrating screen for screen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that mechanically separates and removes small-volume and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that cannot be used as aggregates among recycled aggregates, as well as clay materials and soil that are not suitable for aggregates.

오늘날 재생골재의 생산공정은 크게 파쇄공정 및 이물질 분리공정으로 분류하고, 특히 이물질 분리공정은 선별을 통한 단순재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Today, the production process of recycled aggregate is largely classified into a crushing process and a foreign material separation process, and in particular,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process is mostly simple recycling through screening.

국내의 일반적인 건설폐기물 처리공정은 건물 철거 및 해체 현장에서 다량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및 폐토석을 수집·운반하여 야적장에 적치한 후, 장비와 인력을 동원하여 개략적인 분류작업을 거치며, 이렇게 분류된 폐콘크리트 및 폐토석은 죠크라셔(jaw crusher) 등을 이용하여 적당한 크기로 파쇄한 뒤 이물질 선별, 시멘트 모르타르 및 페이스트 박리, 세척하는 공정을 거쳐 재생골재로 생산하고 있다.The general construction waste disposal process in Korea involves collecting and transporting large amounts of waste concrete and waste soil generated at building demolition and dismantling sites, storing them in a yard, and then mobilizing equipment and manpower to roughly sort them out. Concrete and waste soil are crushed to an appropriate size using a jaw crusher, etc., and then go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foreign substances, peeling off cement mortar and paste, and washing to produce recycled aggregate.

즉, 건설폐기물의 특성상 재생골재 속에는 폐목재류를 비롯한 스티로폼 등의 폐합성수지류, 철근과 같은 금속류, 폐종이류, 시멘트 강화제로 사용되는 폐섬유류 등의 각종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기 때문에 유효하게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물질을 분리 및 선별하여 제거해야 한다.In other words, due to the nature of construction waste, recycled aggregates contain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ste wood, waste synthetic resins such as Styrofoam, metals such as rebar, waste paper, and waste fibers used as cement reinforcers. Therefore, for effective recycling, foreign substances are mixed in. must be separated, selected, and removed.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재생골재의 이물질 분리기술은 세척으로 제거하는 방법, 습식 부상으로 분리하는 방법, 진동식 스크린을 이용한 방법, 풍력을 이용한 방법, 자력을 이용한 방법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Currently, the technologies used in Korea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recycled aggregates include removal by washing, separation by wet flotation, methods using vibrating screens, methods using wind power, and methods using magnetic force.

이 중에서 물을 사용하여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하는 방법은 다량의 폐수를 발생하여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탈수 및 건조 과정이 필요하여 시간이 길어지고 운전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Among these, the method of separat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using water has the disadvantag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wastewater, causing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quiring dehydration and drying processes, which takes longer and increases operating costs.

한편, 진동식 스크린을 구동하여 이물질을 선별하는 주된 원리는 가진체에서 편심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진동 발생을 유도하는 것과, 경사판과 입자 및 입자들 상호 간의 마찰에 의한 상대 운동 발생을 유도하는 것이다.Meanwhile, the main principle of selecting foreign substances by driving a vibrating screen is to induce effective vibration generation by using the eccentricity of the vibrating body and to induce relative motion due to friction between the inclined plate and the particles and each other.

일반적으로 재생골재를 분산시키고 공기 중에 낙하시키면서 송풍기로 일부 가벼운 이물질을 날려서 분리하는 방법은 단순히 고체입자의 비중, 입도, 형태 등에 따라 낙하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바람으로 이물질을 분리·제거하기 때문에 양질의 재생골재를 얻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바람의 확산으로 인해 먼지 및 이물질이 주변으로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the method of separating recycled aggregates by dispersing the recycled aggregate and letting it fall in the air and blowing away some light foreign substances with a blower is of good quality because it simply uses the fact that the falling speed varies depending on the specific gravity, particle size, and shape of the solid particles to separate and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with the wind. Not only is it difficult to obtain recycled aggregat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dust and foreign substances are scattered to the surrounding area due to the spread of wind.

특허문헌 1에는 진동식 스크린 및 송풍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건설폐기물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이송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을 넓게 펴지도록 하면서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진동 스크린과, 이 진동 스크린의 상부에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건설폐기물 속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고압에어분사기로 구성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evice that separates foreign substances using a vibrating screen and blower. It consists of a vibrating screen that spreads the construction waste supplied through the transfer conveyor belt and moves it forward, and a high-pressure air sprayer that sprays high-pressure air from the top of the vibrating screen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in the construction waste.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처리장치는 진동 스크린을 타고 이동하는 건설폐기물을 향해 단순히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구조적 특성상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이물질과 함께 일부 재활용이 가능한 골재 자원도 날리어서 모여지기 때문에 선별 효율이 저하해 능률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uch conventional treatment devices, which separate foreign substances by simply spraying high-pressure air toward construction waste moving on a vibrating screen, some recyclable aggregate resources are lost along with foreign substances that are relatively small in volume and light in weight. Because they are collected quick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lection efficiency is reduced and the efficiency is deteriorated.

또한, 건설폐기물의 성상 및 이물질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선별 인자를 가변시킬 수 없어 운전 효율성이 상당히 낮은 한계가 있다.In addition, various selection factors cannot be varied depending on the nature of construction waste and the type of foreign substances, so the operating efficiency is significantly low.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background or prior art described above is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present inventor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only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technical signific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formation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before filing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does not mean that it is a widely known technology in the field.

KRKR 10-142784910-1427849 B1(2014.08.01)B1(2014.08.01) KRKR 10-2009-011207110-2009-0112071 A(2009.10.28)A(2009.10.28) KRKR 10-147918810-1479188 B1(2014.12.29)B1(2014.12.29) KRKR 10-181627810-1816278 B1(2018.01.02)B1(2018.01.02) KRKR 10-207342110-2073421 B1(2020.01.29)B1(2020.01.29) KRKR 20-030202720-0302027 Y1(2003.01.10)Y1(2003.01.10)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진동식 스크린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재생골재 속에 섞이거나 그 사이에 끼인 폐합성수지류, 폐종이류, 폐섬유류 등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각종 이물질과 골재에 적합하지 않은 점토질 물질, 흙 등을 비중차와 낙하, 풍력 및 진동 에너지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분리하고, 아울러 건설폐기물의 성상 및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선별 인자를 가변하여 이물질의 제거 속도와 재생골재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comprehensively considered all of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at the same time, with the idea of solving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vibrating screen technology, waste synthetic resins, waste paper, waste fibers, etc. mixed with or caught in the recycled aggregate. Various relatively small-volume and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and clay materials and soil that are not suitable for aggregate are efficiently separated using specific gravity difference, falling, wind power, and vibration energy, and are also sort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construction waste and the type of foreign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as a result of continuous research with great effort to develop a vibrating screen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with a new structure that can increase the removal speed of foreign substances and the sorting efficiency of recycled aggregate by varying the factors. .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건설폐기물의 성상 및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선별 인자를 가변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and purpose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brating screen for sort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that allows selection by varying the selection factor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waste and the type of foreign substances.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ive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ive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ive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재생골재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재생골재를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 재생골재에 혼입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 및 재생골재에 혼입된 흙과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3배출구가 형성된 중공형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제1배출구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생골재를 충돌·분산시키면서 아래로 미끄러뜨리듯 이동시키는 어퍼 데크, 상기 어퍼 데크의 상측으로 바람을 비스듬히 송풍하여 상기 어퍼 데크를 따라 미끄러져 내리는 재생골재로부터 흙과 이물질을 불어서 날리어 분리하는 제1노즐이 다수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퍼 헤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어퍼 데크와 높이차를 두고 상기 제1배출구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어퍼 데크에서 낙하되는 재생골재를 충돌·분산시키면서 아래로 미끄러뜨리듯 이동시키는 로우 데크, 상기 로우 데크의 상측으로 바람을 비스듬히 송풍하여 상기 로우 데크를 따라 미끄러져 내리는 흙과 이물질을 불어서 날리어 상기 제3배출구 쪽으로 떨어뜨리는 제2노즐이 다수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우 헤더, 상기 어퍼 데크의 상부에 장치되고, 상기 어퍼 데크의 상부로 올라가는 이물질을 회전운동하는 브러시로 긁어 올려서 상기 제2배출구로 배출하는 브러시 컨베이어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어퍼 데크 및 상기 로우 데크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진동모터에 의한 가진력을 작용시켜 재생골재의 체류 시간을 연장하는 기진기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을 제시한다.Specific means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ffectively achieving a specific technical purpose while embodying a new idea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clude a base frame,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nd , an inlet for inputting the recycled aggregate, a first outlet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aggregate, a second outlet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recycled aggregate, and a third outlet for discharging soil and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recycled aggregate. A hollow case, an upper deck installed inside the cas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 sliding the recycled aggregate input through the inlet downward while colliding and dispersing it, and blowing win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deck. At least one upper header with a plurality of first nozzles arranged to blow and separate soil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recycled aggregate sliding along the upper deck by blowing at an angle, with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upper deck inside the case, A low deck is installed slanted downward toward the first outlet, and moves the recycled aggregate falling from the upper deck as if sliding downward while colliding and dispersing it. Wind is blown obliquely to the upper side of the low deck to slide along the low deck. At least one low header with a plurality of second nozzles arranged to blow away falling dirt and foreign substances and drop them toward the third outlet, a brush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deck and rotating foreign substances rising to the upper deck A brush conveyor is installed on the case and a brush conveyor that scrapes up and discharges it to the second outlet, and extends the residence time of the recycled aggregate by applying an exciting force by a vibration moto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upper deck and the lower deck. We present a vibrating screen for screen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which is characterized by employing a device including a device.

이로써 본 발명은 재생골재를 고르게 흩어서 천천히 미끄러지듯이 아래로 내리고, 그 속에 혼재하는 흙과 이물질을 바람에 의하여 운반하여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evenly scatter the recycled aggregate and slowly slide it down, and quickly separate the soil and foreign substances mixed in it by transporting them with the wind.

아울러 건설폐기물의 성상 및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선별 인자를 가변할 수 있어 재생골재에 들러붙어 있는 흙이나 재생골재들 사이에 끼여 있는 각종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속도와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설폐기물에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ection factor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waste and the type of foreign matter, so not only can the speed and selection efficiency of separating and removing soil adhering to the recycled aggregate or various foreign substances caught between the recycled aggregates be increased. It can be used for various construction waste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어퍼 데크의 아래쪽 하면 부분을 상기 케이스와 핀 이음(pin joint)으로 연결하는 조인트 핀 및 상기 어퍼 데크의 위쪽 하면 부분에 설치되고, 전동기의 구동에 의해 캠이 회전하면서 상기 어퍼 데크의 기울기를 상기 조인트 핀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로 움직여 조절하는 틸팅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어퍼 데크가 까불려서 위아래로 흔들리기 때문에 재생골재에 들러붙어 있는 흙이나 재생골재들 사이에 끼여 있는 각종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joint pin connecting the lower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upper deck to the case with a pin joint,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upper deck, and drives the electric motor. As the cam rotates, it further includes a tilting device that adjusts the tilt of the upper deck by moving it up and down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around the joint pin, so that the upper deck is shaken and shakes up and down, so it is exposed to recycled aggregate. Various foreign substances caught between stuck soil or recycled aggregates can be more effectively separated and remov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어퍼 데크는,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세로홈이 다수 형성되고, 이물질의 마찰력을 높이는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어퍼 헤더의 제1노즐이 상기 세로홈 안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낙하되는 재생골재의 운동 에너지를 탄성 작용으로 증가시키는 스프링이 다수 설치됨으로써 어퍼 데크의 설치각을 최소화하여 재생골재가 미끄러져 내리는 방향의 경사와 반대 방향으로 이물질이 쉽게 타고 오를 수 있어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deck has a plurality of longitudinal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coating layer that increases friction against foreign substances is formed, and the first nozzle of the upper header is formed with the vertical grooves. A number of springs are installed inside at regular intervals and increase the kinetic energy of the recycled aggregate falling through the inlet through elastic action, thereby minimizing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upper deck and the slop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ycled aggregate slides. Foreign substances can easily travel in the opposite direction, increasing separation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로우 데크는,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바시트가 배열되고, 상기 바시트에 좌우로 일정한 각도만큼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라운드바가 감싸져 결합되고, 상기 라운드바의 상단에 재생골재를 아래로 미끄러뜨리듯 이동시키는 슈트바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로우 헤더의 제2노즐이 상기 바시트의 사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두께가 얇은 나무 조각이나 흙덩어리 등의 이물질을 공기압으로 부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슈트바들의 간격이 진동에 의해 좌우로 변위를 일으켜 벌어지면서 이물질의 끼임이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의 제3배출구로 신속하게 떨어뜨려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w deck has a plurality of bar seat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and a round bar is wrapped and coupled to the bar seats so that they can freely move left and right at a certain angle, A chute bar that slides the recycled aggregate downward is formed on the top of the round bar, and the second nozzle of the row header is disposed between the bar sheet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thin wood chips or lumps of dirt. It is levitated by air pressure, and at the same time, the gap between the chute bars is displaced left and right due to vibration, which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getting caught or blocked, and can be removed by quickly dropping them into the third outlet of the case. .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재생골재를 어퍼 데크 위로 낙하시켜 부딪히게 한 다음 아래로 미끄러지듯이 이동시키면서 마찰력과 진동력으로 그 사이 사이에 끼여 있거나 둘러붙어 있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이물질과 흙을 털어내어 넓고 고르게 흩어지게 하고, 이와 동시에 어퍼 헤더의 제1노즐에서 송풍되는 바람과 기진기에서 발생하여 작용하고 있는 가진력으로 이물질을 위쪽으로 부상시켜 1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a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based on a unique solu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recycled aggregate is dropped onto the upper deck to hit it and then slid down to create friction and vibration. The power is used to shake off foreign substances and dirt that are relatively small in volume and light in weight and are caught in or around the space, and disperse them widely and evenly. At the same time, the wind blowing from the first nozzle of the upper header and generated from the vibrator acts as a force. Foreign substances can be initially separated by levitating them upward using the exciting force.

아울러 어퍼 데크에서 미끄러져 내리는 재생골재를 로우 데크의 위로 낙하시켜 부딪히게 한 다음 아래로 미끄러지듯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로우 헤더의 제2노즐에서 송풍되는 바람과 기진기에서 발생하여 작용하고 있는 가진력으로 이물질과 흙을 2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ausing the recycled aggregate sliding from the upper deck to fall onto the low deck, hit it, and then slide down, the wind blowing from the second nozzle of the low header and the exciting force generated by the vibrator cause foreign matter to be removed. and soil can be separated secondarily.

즉, 어퍼 데크 및 로우 데크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바람과 가진력의 영향으로 재생골재가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흙과 이물질의 분리 및 제거하기 위한 운전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 선별 처리 효율의 증가로 양질의 재생골재를 얻을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etention time of the recycled aggregate increases due to the influence of wind and exciting force ac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lope direction of the upper deck and lower deck, which not only improves operation efficiency for separating and removing soil and foreign substances, but also enables physical sorting. By increasing processing efficiency, high-quality recycled aggregate can be obtained.

또한, 건설폐기물의 성상 및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가진력, 마찰력 등의 물리적인 선별 인자를 가변할 수 있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골재에 들러붙어 있는 흙이나 사이 사이에 끼여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처리(진행) 속도와 선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ysical selection factors such as exciting force and friction force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waste and the type of foreign matter, so i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as well as separating the dirt stuck to the recycled aggregate and the foreign matter caught in between. The speed of removal processing (progress) and selection efficiency can be maximized.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어퍼 데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국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어퍼 데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어퍼 데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 중 A부터 A'까지의 절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 중 B부터 B'까지의 절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로우 데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 중 C부터 C'까지의 절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 중 D부터 D'까지의 절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로우 데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국부 횡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brating screen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cal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upper deck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brating screen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upper deck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brating screen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upper deck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brating screen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tion from A to A' in Figure 4.
Figure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tion from B to B' in Figure 4.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low deck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a vibrating screen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tion from C to C' in Figure 7.
Figure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tion from D to D' in Figure 7.
Figure 10 is a loc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w deck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ibrating screen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anings commonly used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ddition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될 수 있고, 그 도면상의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drawings attached herein may be shown with some parts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explanation of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does not exactly match the actual size and shape. reveal that it is not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refers to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includes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and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is a specially opposed description.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there is a , bu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included in addition.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In other words, terms such as 'include', 'equipped', 'have',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ean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part” and “unit” refers to a unit or module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certain operation desired in the system, which i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by means such as a device or assembly that can perform an independent operation.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top, bottom, upper surface, lower surface, or upper, lower, upper, lower, front and back, left and right are used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the relativ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may be referred to as upper and the lower part as low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front-to-back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left-right direc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at i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the second component as long as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the first component.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은, 전동기로부터 재생골재의 운반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엔들리스 벨트를 무한궤도 운동으로 순환시키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재생골재 중 그 속에 섞여 골재로 쓸 수 없는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이물질과 골재에 적합하지 않은 점토질 물질, 흙 등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장치로, 이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크게 베이스 프레임(10), 케이스(20), 어퍼 데크(30), 어퍼 헤더(40), 로우 데크(50), 로우 헤더(60), 브러시 컨베이어(70) 및 기진기(80)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9, the vibrating screen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yor that receives the driving force necessary for transporting recycled aggregate from an electric motor and circulates the endless belt in endless orbital motion. It is a device that separates and removes small-sized and light-weight foreign substances that cannot be used as aggregates among the recycled aggregates transported, as well as clay materials and soil that are not suitable for aggregates. The main components that make up this device are largely base. It includes a frame 10, a case 20, an upper deck 30, an upper header 40, a low deck 50, a low header 60, a brush conveyor 70, and an exciter 80.

베이스 프레임(10) 은 기진기(80)로부터 가해지는 주기적인 외력으로 어퍼 데크(30)와 로우 데크(50) 등이 원활하게 흔들리도록 지지한다. The base frame 10 supports the upper deck 30 and the lower deck 50 to shake smoothly due to periodic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vibrator 80.

즉, 베이스 프레임(10)은 바람이나 충격 등에 대하여 안정적인 지지력을 유지하도록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링형인 강관(steel pipe)이나 각종 단면 형상을 가진 봉 모양의 형강, 봉재, 철골(steel rod) 등으로 조립되어 있고, 아울러 케이스(20) 등을 바닥(지면)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로 받쳐주기 위해 바닥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다.That is, the base frame 10 is made of a steel pipe with a ring-shaped cross-sect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maintain a stable bearing capacity against wind or impact, or a bar-shaped section steel with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a bar, or a steel frame ( It is assembled with steel rod, etc., and is firmly installed on the floor to support the case 20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ground).

케이스(20) 는 내부가 빈 중공형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베이스 프레임(10) 위에 비스듬히 기울어진 채로 설치되어 있다. The case 20 is made in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with an empty interior and is installed at an angle on the base frame 10.

그리고 케이스(20)의 한쪽 상부에는 그 내부 공간으로 재생골재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21)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 하부에는 재생골재를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22)가 형성되어 있고, 제1배출구(22)와 반대쪽에는 재생골재에 혼입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재생골재에 혼입된 흙과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3배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n inlet 21 is formed at one upper part of the case 20 for injecting recycled aggregate into the internal space, and a first outlet 22 is formed at the other lower part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aggregat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outlet (22), a second outlet (23) is formed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recycled aggregate, and a third outlet (24) is formed at the bottom to discharge soil and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recycled aggregate. It is formed.

여기서 투입구(21)는 케이스(20)의 내부를 향해 단면적이 줄어드는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inlet 21 may have a hopper shape whos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20.

또한, 케이스(20)는 상대적으로 입자와 비중이 작아 기류 속에 혼입된 채로 비산하는 먼지 등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밀폐 구조를 채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se 20 has relatively small particles and specific gravity, so it is desirable to adopt and apply a sealed structure that prevents dust that flies while mixed in the airflow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어퍼 데크(30) 는 투입구(21)를 통해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재생골재를 충돌 및 분산시키면서 아래로 미끄러뜨리듯 이동시키기 위해 케이스(20) 내의 상부에 제1배출구(22)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The upper deck 30 has a first outlet 22 at the top of the case 20 to slide downward while colliding and dispersing the recycled aggregate input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20 through the inlet 21. It is installed sloping downward.

즉, 어퍼 데크(30)는 일정 높이의 투입구(21)에서 떨어지는 25mm 이상의 재생골재를 중력 및 충격 에너지에 의해 분산시키면서 흙과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That is, the upper deck 30 is installed to separate soil and foreign substances while dispersing recycled aggregate of 25 mm or more that falls from the inlet 21 at a certain height by gravity and impact energy.

그리고 어퍼 데크(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핀(31)을 이용해 케이스(20)와 어퍼 데크(30)는 핀 이음(pin joint)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And the upper deck 30 is connected to the case 20 and the upper deck 30 by a pin joint using a joint pin 31, as shown in FIGS. 1 to 3.

즉, 케이스(20)의 내부와 어퍼 데크(30)의 아래쪽 하면에는 상호 핀 이음을 위한 아이 바(eye bar)와 같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That is, holes such as eye bars for mutual pin connection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ase 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deck 30.

그리고 어퍼 데크(30)의 위쪽 하면에는 어퍼 데크(30)의 기울기를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로 움직여 조절하는 틸팅장치(34)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tilting device 34 is provided on the upper lower surface of the upper deck 30 to adjust the tilt of the upper deck 30 by moving it up and down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즉, 틸팅장치(34)는 전동기(32)의 구동에 의해 여러 개의 캠(33)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어퍼 데크(30)의 경사도가 조인트 핀(31)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일정한 각도 내에서 변위를 일으키도록 하여 재생골재와의 운동 마찰 계수를 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tilting device 34 rotates several cams 33 simultaneously by driving the electric motor 32, and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deck 30 is displaced within a certain angle up and down with the joint pin 31 as the center.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with the recycled aggregate can be adjusted by causing .

그리고 어퍼 데크(30)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세로홈(35)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또 어퍼 데크(30)의 상면에는 이물질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우레탄이나 고무 등으로 코팅하여 만든 코팅층(36)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number of vertical grooves 35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deck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ating layer 36 made by coating with urethane or rubber to increase friction against foreign substance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deck 30. This is formed.

또한, 어퍼 데크(30)의 하면에는 투입구(21)를 통해 투입되는 재생골재의 운동 에너지를 탄성 작용으로 증가시키는 다수의 스프링(37)이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prings 37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deck 30 to increase the kinetic energy of the recycled aggrega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1 through elastic action.

아울러 어퍼 데크(30)의 위쪽 하면에는 캠(33)이 어퍼 데크(30)의 위쪽을 위아래로 까불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과 마찰에 의한 부품의 파손 및 손상을 최소화하여 고장 발생률을 낮추고 내구연한을 연장하는 효과를 얻기 위한 완충패드(38)가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deck (30), the cam (33) minimizes breakage and damage to parts due to shock and friction that occurs when the cam (33) moves up and down the upper deck (30), lowering the incidence of failure and extending the durability. A buffer pad 38 is attached to achieve the effect of extending.

한편, 어퍼 데크(30)의 전동기(32)는 컨트롤러의 개폐 신호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그 작동축이 캠(33)의 회전과 바로 연결되거나 별도의 전동장치를 통해 회전축과 연결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electric motor 32 of the upper deck 30 may have its operating ax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on of the cam 33 or connected to the rotating axis through a separate electric device in order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signal of the controller.

여기서 전동기(32)로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전동력을 얻으며, 컨트롤러 등으로부터 신호 전류에 의해 시동(구동) 및 운전이 용이하고, 부하에 적합한 기종을 선택하기 쉽고, 소음 및 진동이 작고, 배기공해가 없는 통상의 전동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Here, the electric motor 32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to obtain rotational power. It is easy to start (drive) and operate by signal current from a controller, etc., it is easy to select a model suitable for the load, and noise and vibration are small. , a normal electric motor without exhaust pollution can be adopted.

예를 들면, 제어신호에 따른 전압 입력을 회전각으로 바꾸어 정지 및 반전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서보 모터나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스텝 모터를 채용할 수 있고, 그밖에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구동에 필요한 힘으로 출력하도록 조절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기어드 모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 servo motor that quickly stops and reverses operations by changing the voltage inpu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o a rotation angle, or a step motor that rotates by a certain angle can be used. In addition,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reduced to provide the necessary driving force. A geared motor including a reducer that adjusts the output to force may be employed.

이외에도 작동이 확실하고 자동 원격조작이 가능하며 속도의 조정과 정지·역전 등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모터나 엔진 등에 의해서 구동되는 유압펌프로 발생시킨 고압을 작동축에 주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hydraulic motor that generates power by applying high pressure generated by a hydraulic pump driven by a motor or engine to the operating shaft can be adopted to ensure reliable operation, enable automatic remote operation, and facilitate speed adjustment, stopping, and reversing. You can.

어퍼 헤더(40) 는 어퍼 데크(30)를 따라 미끄러져 내리는 재생골재로부터 흙과 이물질을 불어서 날리어 분리하기 위해 어퍼 데크(30)의 상측으로 바람을 비스듬히 송풍하도록 장치되어 있다. The upper header 40 is equipped to blow wind diagonally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deck 30 in order to blow away and separate soil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recycled aggregate sliding down the upper deck 30.

즉, 어퍼 헤더(40)는 어퍼 데크(30) 위의 재생골재로부터 흙과 이물질을 강한 풍속으로 불어서 날리어 흩뜨리고 분리하기 위해 어퍼 데크(3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있고, 그 각각에는 어퍼 데크(40)의 상측으로 바람을 비스듬히 송풍하기 위한 제1노즐(41)이 다수 배열되어 있다.That is, at least one upper header 40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upper deck 30 to blow away and separate soil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recycled aggregate on the upper deck 30 with strong wind speed. There are a plurality of first nozzles 41 arranged in each of them to blow wind obliquely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deck 40.

그리고 제1노즐(41)은 어퍼 데크(30)의 세로홈(35) 안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And the first nozzle 41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vertical groove 35 of the upper deck 30.

여기서 어퍼 헤더(40)는 공기를 압축해 압력 및 속도를 높여서 송출하는 통상의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나 송풍기 등으로부터 압축공기 또는 강한 풍속의 바람을 공급받아 제1노즐(41)들을 통해 동시에 분사할 수 있다.Here, the upper header 40 receives compressed air or wind with a strong wind speed from a typical air compressor or blower that compresses air and increases pressure and speed, and simultaneously sprays it through the first nozzles 41. can do.

또한, 어퍼 헤더(40)는 에어 컴프레서나 송풍기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여러 개의 제1노즐(41)로 송풍량과 풍속 등을 고르게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header 40 can supply air supplied from an air compressor, blower, etc. to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41 at even airflow volume and wind speed.

즉, 투입구(21)를 통해 투입되는 재생골재는 낙하 에너지에 의해 어퍼 데크(30)에 충돌하여 분산되고, 이 과정에서 흙과 이물질이 분리되는 데,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재생골재는 아래쪽으로 떨어지고 비중이 작은 미분 또는 토분(흙), 이물질 등은 제1노즐(41)을 통해 분사되는 강한 바람에 의해 어퍼 데크(30)의 상부 쪽으로 자연스럽게 날리어 이동하게 된다.That is, the recycled aggregate injected through the inlet 21 collides with the upper deck 30 by the falling energy and is dispersed, and in this process, the soil and foreign substances are separated, and the recycled aggregate with a relatively large specific gravity falls downward. Fine powder or soil with a small specific gravity, foreign substances, etc. are naturally blown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upper deck 30 by the strong wind sprayed through the first nozzle 41.

로우 데크(50) 는 어퍼 데크(30)에서 낙하되는 재생골재를 충돌·분산시키면서 아래로 미끄러뜨리듯 이동시키기 위해 케이스(20) 내의 어퍼 데크(30) 아래쪽에 높이차를 두고 제1배출구(22)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The low deck (50) has a first outlet (22) with a height difference below the upper deck (30) in the case (20) in order to slide downward while colliding and dispersing the recycled aggregate falling from the upper deck (30). ) is installed sloping downward.

즉, 로우 데크(50)는 어퍼 데크(30)에서 떨어지는 25mm 이상의 재생골재를 받아서 중력 및 충격 에너지에 의해 2차로 분산시켜 흙과 이물질을 분리하고 자중으로 미끄러져 내리게 하여 제1배출구(22)를 통해 외부의 이송용 컨베이어 등에 전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That is, the low deck 50 receives recycled aggregate of 25 mm or more that falls from the upper deck 30 and disperses it secondarily by gravity and impact energy to separate soil and foreign substances and cause them to slide down under their own weight, creating the first outlet 22. It is installed to deliver to an external conveyor, etc.

그리고 로우 데크(5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바시트(51)가 배열되어 있고, 이 바시트(51)에는 좌우로 일정한 각도만큼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라운드바(52)가 각각 감싸져 결합되어 있으며, 이 라운드바(52)의 상단에는 재생골재를 아래로 미끄러뜨리듯 이동시키는 슈트바(53)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And, as shown in FIGS. 7 to 9, the low deck 50 has a plurality of bar seats 51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its upper surface, and the bar seats 51 can freely move left and right at a certain angle. In this way, the round bars 52 are each wrapped and coupled, and a chute bar 53 that slides the recycled aggregate downward is formed at the top of the round bars 52.

즉, 슈트바(53)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라운드바(52)가 진동 발생 시 그 축선을 중심으로 바시트(51) 내에서 일정한 각도 범위로 자유롭게 선회하여 슈트바(53)들의 간격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That is, when vibration occurs, the round bar 52,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part of the chute bar 53, freely rotates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within the bar seat 51 around its axis, thereby creating a gap between the chute bars 53. It can bring about change.

여기서 로우 데크(50)의 상단부는 어퍼 데크(30)의 하단부 아래에 겹쳐 놓이듯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upper end of the low deck 50 is preferably disposed so as to overlap below the lower end of the upper deck 30.

로우 헤더(60) 는 로우 데크(50)를 따라 미끄러져 내리는 흙과 이물질을 불어서 날리어 제3배출구(24) 쪽으로 떨어뜨리기 위해 로우 데크(50)의 상측으로 바람을 비스듬히 송풍하도록 장치되어 있다. The low header 60 is equipped to blow wind diagonally to the upper side of the low deck 50 in order to blow away dirt and foreign substances sliding along the low deck 50 and drop them toward the third discharge port 24.

즉, 로우 헤더(60)는 로우 데크(50) 위의 흙과 이물질을 강한 풍속으로 불어서 날리어 흩뜨리기 위해 로우 데크(5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있고, 그 각각에는 로우 데크(50)의 상측으로 바람을 비스듬히 송풍하기 위한 제2노즐(61)이 다수 배열되어 있다.That is, at least one row header 60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row deck 50 to blow away dirt and foreign matter on the row deck 50 with strong wind speed, and each of them has A plurality of second nozzles 61 are arranged to blow wind obliquely to the upper side of the low deck 50.

그리고 제2노즐(61)은 로우 데크(50)의 바시트(51) 사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And the second nozzles 61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bar seats 51 of the low deck 50.

여기서 로우 헤더(60)는 공기를 압축해 압력 및 속도를 높여서 송출하는 통상의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나 송풍기 등으로부터 압축공기 또는 강한 풍속의 바람을 공급받아 제2노즐(61)들을 통해 동시에 분사할 수 있다.Here, the row header 60 receives compressed air or strong wind from a typical air compressor or blower that compresses air and increases pressure and speed, and simultaneously sprays it through the second nozzles 61. can do.

또한, 로우 헤더(60)는 에어 컴프레서나 송풍기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여러 개의 제2노즐(61)로 송풍량과 풍속 등을 고르게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w header 60 can supply air supplied from an air compressor, blower, etc. to the plurality of second nozzles 61 at even airflow volume and wind speed.

한편, 송풍기로는 날개차(impeller) 또는 로터(rotor)의 고속회전 운동에 의해서 생기는 기체의 원심력을 이용해서 외기를 일정한 유속과 유량 및 압력으로 흡입 및 압송하는 산업용 고압 송풍기를 채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blower can be an industrial high-pressure blower that sucks and pumps outside air at a constant flow rate, flow rate, and pressure using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gas generated by the high-speed rotation of the impeller or rotor.

예를 들어, 날개차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케이싱 내 압력이 상승하면서 와류운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외기를 강한 흡입력과 토출압으로 흘려보내는 링블로워(ring blower) 또는 고압을 얻을 수 있고 효율이 높은 방폭형 송풍기 등을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s the pressure inside the casing rises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a vortex movement occurs, which makes it possible to obtain a ring blower or high pressure that flows outside air with strong suction force and discharge pressure, increasing efficiency. This high explosion-proof blower can be adopted and applied.

브러시 컨베이어(70) 는 어퍼 데크(40)의 상부로 올라가는 각종 이물질(가연성 폐기물 등)이 적체되지 않도록 회전운동하는 브러시(71)로 긁어 올려서 제2배출구(23)로 배출하기 위해 어퍼 데크(40)의 상부에 장치되어 있다. The brush conveyor (70) scrapes up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mbustible waste, etc.) rising to the top of the upper deck (40) with a rotating brush (71) to prevent them from accumulating and discharges them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23). )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여기서 브러시 컨베이어(70)로는 모터의 구동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벨트와 벨트 풀리 등의 동력전달장치나 전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구동롤러와, 이 구동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감아 걸어 상호 연결하면서 순환 운동하는 슬래트 및 이 슬래트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브러시(71)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brush conveyor 70 includes a drive roller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or connected by a power transmission device or electric device such as a chain and sprocket, or a belt and belt pulley, and a driven roller and drive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drive roller. It may be composed of a slat that moves in a circular motion by wi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to connect them to each other, and a brush 71 fixed to the slat at regular intervals.

즉, 브러시 컨베이어(70)는 모터로부터 이물질의 운반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슬래트와 브러시(71)를 동시에 순환시키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전동식 슬래트 컨베이어 구조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brush conveyor 70 can be applied by adopting an electric slat conveyor structure that receives the driving force necessary for transporting foreign substances from a motor and moves in an endless orbit to circulate the slats and brushes 71 simultaneously.

기진기(80) 는 케이스(20)에 전후좌우로 흔드는 진동을 주어 어퍼 데크(30) 및 로우 데크(50) 위의 재생골재와 흙 및 이물질을 움직여서 분산 및 분리시키고, 이와 함께 어퍼 데크(30) 및 로우 데크(50)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진동모터(81)에 의한 가진력을 작용시켜 재생골재가 부딪히는 체류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케이스(20)의 상부에 장치되어 있다. The vibrator (80) gives the case (20) a vibration that shakes it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to move, disperse and separate the recycled aggregate, soil and foreign substances on the upper deck (30) and the lower deck (50), and along with this, the upper deck (30) )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20 to extend the residence time during which the recycled aggregate is struck by applying exciting force by the vibration motor 81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low deck 50.

여기서 기진기(80)로는 전동모터(81)의 구동에 의해 편심축을 편심으로 회전시켜 주기적인 원심력을 일으키게 하여 케이스(20)를 강제로 진동시키는 편심축 구동식, 불평형추식 등 전동모터(81)의 구동력으로 임밸런스 토크가 발생하는 기진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기진기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vibrator 80 is an electric motor 81 such as an eccentric shaft-driven type or an unbalanced pendulum type that rotates the eccentric shaft eccentrically by driving the electric motor 81 to generate periodic centrifugal force and force the case 20 to vibrate. It is desirable to employ an exciter that generates an unbalanced torque with a driving force of , but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exciters can be employed.

한편, 어퍼 데크(30)의 틸팅장치(34), 브러시 컨베이어(70) 및 기진기(80) 등은 별도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Meanwhile, the tilting device 34, brush conveyor 70, and vibrator 80 of the upper deck 30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 controller.

즉, 컨트롤러는 틸팅장치(34), 브러시 컨베이어(70) 및 기진기(80) 등의 작동을 미리 입력된 마이크로프로세서 혹은 PLC 형태의 설정 프로그램(로직 컴퓨터에 수록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유기적이고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등 전반적인 가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organically and sequenti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device 34, brush conveyor 70, and exciter 80 by a pre-input microprocessor or PLC-type setting program (control program included in the logic computer). You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including operation.

여기서 컨트롤러는 스위치 등을 작업자 직접 조작하거나 특정 명령을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는 조작패널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Here, the controlle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operation panel that allows the operator to directly operate switches, etc. or select and input specific commands.

그밖에 푸시 스위치 등의 조작 및 개폐에 따라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고, 혹은 전동기의 작동을 감시, 제어하여 목표하는 결과나 값을 얻는 제어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a signal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opening and closing of a push switch, etc., or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ntrol system that monitors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motor to obtain a target result or valu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의 주요 작용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ain operation and operating principle of the vibrating screen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투입구(21)를 통해 케이스(20) 속으로 연속해서 투입되는 재생골재는 낙하 및 중력 에너지에 의해 케이스(20) 내 최상부에 위치하는 어퍼 데크(30)를 따라 흩어져서 아래로 미끄러지듯 이동하게 된다.First, the recycled aggregate continuously injected into the case 20 through the inlet 21 is scattered along the upper deck 30 located at the top of the case 20 by falling and gravitational energy and slides downward. do.

이 과정에서 기진기(80)에 의한 진동으로 케이스(20)와 어퍼 데크(30)는 흔들려 재생골재를 고르게 분산시키면서 그 재생골재에 들러붙어 있는 흙이나 사이 사이에 끼여 있는 각종 이물질(가연성 폐기물 등)을 1차적으로 분리하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case 20 and the upper deck 30 are shaken by vibration caused by the vibrator 80 to evenly distribute the recycled aggregate, while the dirt adhering to the recycled aggregate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mbustible waste, etc. ) is primarily separated.

이때, 어퍼 데크(30) 및 로우 데크(50)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기진기(80)의 가진력으로 인해 재생골재의 부딪히고 흩어지는 체류 시간이 자연스럽게 연장된다.At this time, due to the exciting force of the vibrator 80 ac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upper deck 30 and the lower deck 50, the residence time for the recycled aggregate to collide and scatter is naturally extended.

즉, 기진기(80)에서 발생하는 가진력의 방향이 어퍼 데크(30) 및 로우 데크(50)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고, 그 가진력이 어퍼 데크(30) 및 로우 데크(50)의 마찰력보다 높게 작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고 비중이 낮은 이물질 등은 가진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올라가고, 면적이 좁고 비중이 높은 골재 등은 가진력보다 어퍼 데크(30) 및 로우 데크(50)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중력의 힘이 높아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That is, the direction of the exciting force generated from the vibrator 80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upper deck 30 and the low deck 50, and the exciting force act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upper deck 30 and the low deck 50. By acting higher than the friction force, foreign substances with a relatively large area and low specific gravity ris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citing force acts, and aggregates with a narrow area and high specific gravity move along the slopes of the upper deck 30 and the low deck 50 rather than the exciting force. The sliding force of gravity is high, so it goes down.

아울러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각종 이물질은 어퍼 헤더(40)의 제1노즐(41)에서 송풍되는 바람으로 인해 아래로 낙하하지 않고 상승기류를 타고 부상하여 자연스럽게 어퍼 데크(30) 위쪽으로 이동하고, 입자와 비중이 큰 재생골재는 기류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기 때문에 중력 에너지에 의해 로우 데크(50) 위로 떨어져 미끄러지듯이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various foreign substances that are small in volume and light in weight do not fall downward due to the wind blowing from the first nozzle 41 of the upper header 40, but float on the rising air current and naturally move upward to the upper deck 30, Recycled aggregates with large particles and specific gravity a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air currents, so they fall onto the low deck 50 and move in a sliding manner due to gravitational energy.

이와 동시에 어퍼 데크(40)의 상부로 올라가는 각종 이물질은 브러시 컨베이어(70)의 브러시(71)로 긁어 올려서 제2배출구(23)로 배출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various foreign substances rising to the top of the upper deck 40 are scraped up with the brush 71 of the brush conveyor 70 and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23.

그리고 어퍼 데크(30)에서 중력에 의해 미끄러져 내리는 재생골재는 로우 데크(50) 위로 떨어져 부딪히면서 그 표면에 붙어있거나 섞여 있는 이물질을 떨어내어 2차적으로 분리하게 된다.And the recycled aggregate that slides down due to gravity from the upper deck (30) falls on the lower deck (50) and hits it, knocking off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or mixed with the surface, thereby causing secondary separation.

이때, 두께가 얇은 나무 조각이나 흙덩어리 등의 이물질은 로우 헤더(60)의 제2노즐(61)에서 송풍되는 바람과 기진기(80)의 가진력으로 인해 그대로 낙하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가진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올라가게 된다.At this time, foreign substances such as thin pieces of wood or lumps of soil do not fall due to the wind blowing from the second nozzle 61 of the row header 60 and the exciting force of the exciter 80, but naturally fall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citing force acts. It goes up to.

즉, 로우 데크(50) 위의 이물질은 제2노즐(61)에서 송풍되는 바람과 기진기(80)의 가진력 작용으로 상승기류를 타고 자연스럽게 로우 데크(50) 위로 부상하였다가 로우 데크(30) 사이 사이의 틈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기 때문에 재생골재 중의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하는 처리(진행) 속도와 선별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That is, the foreign matter on the low deck (50) naturally rises above the low deck (50) in the rising air current due to the wind blown from the second nozzle (61) and the exciting force of the vibrator (80), and then falls on the low deck (30). Because it falls down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articles, the processing speed and sorting efficiency of separat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recycled aggregate can be maximized.

이와 함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 바(53))의 간격은 진동에 의해 좌우로 변위를 일으켜 주기적으로 벌어지기 때문에 그 슈트바(53))들 사이 사이에 끼여 있던 이물질은 자연스럽게 낙하하여 제3배출구(24)로 떨어지게 된다.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10, the gap between the chute bars (53) is periodically expanded by causing displacement to the left and right due to vibration, so foreign substances caught between the chute bars (53) naturally fall and are removed. 3 It falls into the outlet (24).

이렇게 되면, 흙과 이물질이 완전히 분리되고 입자와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서 기류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25mm 이상의 재생골재만이 중력 에너지에 의해 로우 데크(50)를 따라 미끄러져 내려서 제1배출구(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soil and foreign matter are completely separated, and only the recycled aggregate of 25 mm or more, which has relatively large particles and specific gravity and is not greatly affected by air currents, slides down along the low deck 50 by gravity energy and reaches the first outlet 22.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은 어퍼 데크(30)와 로우 데크(50)가 제1 및 제2노즐(41)(61)에서 분사되는 바람과 기진기(80)의 가진력 작용에 의해 재생골재를 고르게 분산시키면서 그 표면에 들러붙어 있는 흙과 사이 사이에 끼여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vibrating screen for sorting out foreign substances from construction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upper deck 30 and the lower deck 50 blowing the wind sprayed from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41 and 61 and the vibrator 80. ), it is possible to evenly disperse the recycled aggregate through the action of exciting force and effectively separate the soil adhering to the surface and the foreign matter caught in between.

더구나 건설폐기물의 성상 및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진동모터(81)의 회전력 조절을 통한 가진력 조정, 어퍼 데크(30)의 경사각 조절을 통한 마찰계수 조정, 제1 및 제2노즐(41)(61)을 통해 분사되는 바람의 압력 및 유량 조정 등 물리적인 선별 인자를 임의로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흙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처리(진행) 속도와 선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Moreover,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waste and the type of foreign matter, the exciting forc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vibration motor (81), the friction coefficient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deck (30), and the first and second nozzles (41) (61) Since the physical selection factors, such as the pressure and flow rate adjustment of the wind sprayed through the system, can be arbitrarily varied, i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as well as maximizing the processing (progress) speed and sorting efficiency of separating dirt and foreign substances.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may be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not exempl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roadly applied by replacing components and changing it to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modifying and apply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베이스 프레임 20: 케이스
21: 투입구 22: 제1배출구
23: 제2배출구 24: 제3배출구
30: 어퍼 데크 31: 조인트 핀
32: 전동기 33: 캠
34: 크랭크 장치 35: 세로홈
36: 코팅층 37: 스프링
40: 어퍼 헤더 41: 제1노즐
50: 로우 데크 51: 바시트
52: 라운드바 53: 슈트바
60: 로우 헤더 61: 제2노즐
70: 브러시 컨베이어 71: 브러시
80: 기진기 81: 진동모터
10: Base frame 20: Case
21: Inlet 22: First outlet
23: second outlet 24: third outlet
30: Upper deck 31: Joint pin
32: electric motor 33: cam
34: crank device 35: vertical groove
36: coating layer 37: spring
40: Upper header 41: First nozzle
50: Low deck 51: Bar seat
52: Round bar 53: Chute bar
60: Low header 61: Second nozzle
70: Brush conveyor 71: Brush
80: Vibrator 81: Vibration motor

Claims (4)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재생골재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재생골재를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 재생골재에 혼입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 및 재생골재에 혼입된 흙과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3배출구가 형성된 중공형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제1배출구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생골재를 충돌·분산시키면서 아래로 미끄러뜨리듯 이동시키는 어퍼 데크;
상기 어퍼 데크의 상측으로 바람을 비스듬히 송풍하여 상기 어퍼 데크를 따라 미끄러져 내리는 재생골재로부터 흙과 이물질을 불어서 날리어 분리하는 제1노즐이 다수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퍼 헤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어퍼 데크와 높이차를 두고 상기 제1배출구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어퍼 데크에서 낙하되는 재생골재를 충돌·분산시키면서 아래로 미끄러뜨리듯 이동시키는 로우 데크;
상기 로우 데크의 상측으로 바람을 비스듬히 송풍하여 상기 로우 데크를 따라 미끄러져 내리는 흙과 이물질을 불어서 날리어 상기 제3배출구 쪽으로 떨어뜨리는 제2노즐이 다수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우 헤더;
상기 어퍼 데크의 상부에 장치되고, 상기 어퍼 데크의 상부로 올라가는 이물질을 회전운동하는 브러시로 긁어 올려서 상기 제2배출구로 배출하는 브러시 컨베이어;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어퍼 데크 및 상기 로우 데크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진동모터에 의한 가진력을 작용시켜 재생골재의 체류 시간을 연장하는 기진기;
를 포함하며,
상기 로우 데크는,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바시트가 배열되고, 상기 바시트에 좌우로 일정한 각도만큼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라운드바가 각각 감싸져 결합되고, 상기 라운드바의 상단에 재생골재를 아래로 미끄러뜨리듯 이동시키는 슈트바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로우 헤더의 제2노즐이 상기 바시트의 사이 사이에 배치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
base frame;
It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nd has an inlet for inputting recycled aggregate, a first outlet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aggregate, a second outlet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recycled aggregat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soil and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recycled aggregate. A hollow case formed with a third outlet for;
An upper deck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irst outlet, and moving the recycled aggregate input through the inlet as if sliding downward while colliding and dispersing it;
At least one upper header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first nozzles that blows wind diagonally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deck to blow away and separate soil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recycled aggregate sliding down the upper deck;
A low deck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irst outlet with a height difference from the upper deck, and moving the recycled aggregate falling from the upper deck as if sliding downward while colliding and dispersing it;
At least one row header with a plurality of second nozzles arranged to blow the wind obliquely to the upper side of the row deck to blow away dirt and foreign substances sliding along the row deck and drop them toward the third outlet;
A brush conveyo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deck, scraping up foreign substances rising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deck with a rotating brush and discharging them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A vibrator installed in the case and extending the residence time of the recycled aggregate by applying an exciting force by a vibration moto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upper deck and the lower deck;
Includes,
The low deck has a plurality of bar sheet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round bars are each wrapped and coupled to the bar sheets so that they can freely move left and right at a certain angle, and recycled aggregate is placed downward on the top of the round bars. A vibrating screen for sorting out foreign substances from construction waste, wherein chute bars for sliding are formed integrally, and the second nozzle of the row header is disposed between the bar sea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데크의 아래쪽 하면 부분을 상기 케이스와 핀 이음(pin joint)으로 연결하는 조인트 핀; 및
상기 어퍼 데크의 위쪽 하면 부분에 설치되고, 전동기의 구동에 의해 캠이 회전하면서 상기 어퍼 데크의 기울기를 상기 조인트 핀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로 움직여 조절하는 틸팅장치;
를 더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
According to paragraph 1,
A joint pin connecting the lower lower surface of the upper deck with the case through a pin joint; and
A tilting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lower surface of the upper deck and rotating a cam by driving an electric motor to adjust the tilt of the upper deck by moving it up and down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with the joint pin as the center;
A vibrating screen for screening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데크는,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세로홈이 다수 형성되고, 이물질의 마찰력을 높이는 코팅층이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생골재의 운동 에너지를 탄성 작용으로 증가시키는 다수의 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어퍼 헤더의 제1노즐이 상기 세로홈 안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pper deck has a number of vertical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a coating layer that increases friction of foreign substances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springs that increase the kinetic energy of the recycled aggrega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hrough elastic action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 vibrating screen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construction waste,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nozzles of the upper header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vertical groove.
삭제delete
KR1020210125516A 2021-09-23 Vibrating screen for selecting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s KR1026726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516A KR102672667B1 (en) 2021-09-23 Vibrating screen for selecting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516A KR102672667B1 (en) 2021-09-23 Vibrating screen for selecting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819A KR20230042819A (en) 2023-03-30
KR102672667B1 true KR102672667B1 (en) 2024-06-05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452B1 (en) * 2006-05-08 2006-12-01 (주)거산기계 The light separator for an extraneous substance of the construction waste using the vibration plate
KR100870621B1 (en) * 2007-06-22 2008-11-27 성안이엔티주식회사 A apparatus to sort materials
KR101236205B1 (en) 2012-12-18 2013-02-26 두제에너지산업 주식회사 Separator for mixed waste
KR102168757B1 (en) * 2020-08-03 2020-10-22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Foreign substance separator for recycling agreg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452B1 (en) * 2006-05-08 2006-12-01 (주)거산기계 The light separator for an extraneous substance of the construction waste using the vibration plate
KR100870621B1 (en) * 2007-06-22 2008-11-27 성안이엔티주식회사 A apparatus to sort materials
KR101236205B1 (en) 2012-12-18 2013-02-26 두제에너지산업 주식회사 Separator for mixed waste
KR102168757B1 (en) * 2020-08-03 2020-10-22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Foreign substance separator for recycling agreg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8757B1 (en) Foreign substance separator for recycling agregate
KR101061166B1 (en) Screening systems and screening methods of waste
US6889846B2 (en) Hybrid screen
KR100838259B1 (en) Sorter for vibrating aggregate
KR101964940B1 (en) a crushing apparatus of rotary type
KR101223668B1 (en) apparatus for seperating waste from constructionwaste matter
KR102118213B1 (en) Sorting system for recycling of cinder
CA2699206A1 (en) Screening apparatus
KR102152431B1 (en) Slant type screen soil separator of aggregate that prevent clogging of screen hole and method for separating
KR201100740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nd by dry type
CN208758077U (en) Building waste dry-type separation system
KR101806725B1 (en) Landslide debris sorting device
KR101136047B1 (en) Separating device for soil debris
KR100863605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revival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smashed in construction waste's intermediate handling using revival aggregate sorting screen having multi-step's angle change
KR101830648B1 (en) Foreign substances in construction waste wind power sorter
KR20080114459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waste of construction
KR101716709B1 (en) Foreign material separating apparatus of the internal circulation sediment using the density difference separation
KR100967539B1 (en) sorting machine of construction waste
KR102672667B1 (en) Vibrating screen for selecting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s
CN212791747U (en) Sorting and recycling device for construction waste
CN113102023A (en) Building rubbish processingequipment with smash and magnetic force select separately function
KR100698842B1 (en) Oscillation crusher
CN115430605B (en) Sand and stone processing separator
KR101943380B1 (en) Integrated multi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230042819A (en) Vibrating screen for selecting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