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1877B1 - 신호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신호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1877B1
KR102671877B1 KR1020197015308A KR20197015308A KR102671877B1 KR 102671877 B1 KR102671877 B1 KR 102671877B1 KR 1020197015308 A KR1020197015308 A KR 1020197015308A KR 20197015308 A KR20197015308 A KR 20197015308A KR 102671877 B1 KR102671877 B1 KR 102671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resource area
terminal device
resource
ind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506A (ko
Inventor
옌안 린
후아 쑤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6/104443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81973A1/zh
Publication of KR20190073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를 개시하고,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리소스 영역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는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의 제어 영역은 각각의 서브 프레임의 처음 몇 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로 구성되고, 전체 시스템 대역폭(20 MHz보다 작거나 같음)을 뛰어넘는다. 미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은 LTE 시스템보다 훨씬 넓어야 하기에, 단말기로 하여금 전체 주파수 대역을 모니터링하여 제어 신호가 경제적인 지의 여부를 검출하게 하는 것은 단말기의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제1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리소스 영역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단말 기기로 하여금 고정된 리소스 영역 내에서 제어 신호를 검출하도록 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네트워크 기기는 각각의 단말 기기에 하나의 리소스 영역을 할당할 수 있고, 상기 리소스 영역은 상응한 단말 기기의 전용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다수의 단말 기기에 하나의 리소스 영역을 할당할 수도 있고, 상기 리소스는 상기 다수의 단말 기기 각자의 상응한 전용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다수의 단말 기기에 하나의 리소스 영역을 할당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단말 기기의 공통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네트워크 기기는 공통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전문적으로 하나의 리소스 영역을 할당하지 않을 수도 있고, 각각의 단말 기기에 할당된 전송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리소스 영역에서 모두 공통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음으로써, 각각의 단말 기기가 모두 검출될 수 있도록 확보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리소스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리소스 영역이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을 포함할 경우, 상기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 중 임의의 2개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이거나 이산적(discrete)이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비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트 테이블 중 각각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 중 각각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비트 테이블에서 제1 값인 비트는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낸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제2 비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비트 테이블 중 다수의 비트는 상기 시작 주파수 포인트로부터 시작된 연속적인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대응되며, 상기 다수의 비트와 상기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은 일대일로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 테이블에서 제1 값인 비트는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낸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이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종료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종료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이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리소스 영역의 대역폭 길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몇 가지 리소스 영역의 지시 방식을 조합할 수도 있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것이 리소스 영역의 주파수 영역 파라미터일 경우, 시스템 메시지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것이 리소스 영역의 시간 영역 파라미터일 경우, 시스템 메시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제1 시간 슬롯 또는 제1 미니 슬롯 중 첫 번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로부터 시작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상기 제1 시간 슬롯 또는 상기 제1 미니 슬롯에 속하는 OFDM 심볼의 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메시지 및 물리적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시간 슬롯 또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 슬롯으로부터 송신된 공통 시그널링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전용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리소스 영역에 대응되는 빔을 사용하여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네트워크 기기는 특정된 빔형성을 사용하여 어느 OFDM 심볼에서의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베어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각각의 제어 채널을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하여 상기 리소스 영역에 매핑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어 채널과 다수의 단말 기기는 일대일로 대응되며, 상기 다수의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상이한 제어 채널 유닛은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상이한 물리적 리소스 블록 및/또는 상이한 OFDM 심볼에 매핑되고,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제1 제어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은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동일한 물리적 리소스 블록 내의 모든 OFDM 심볼에 매핑되며,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상이한 제어 채널 유닛은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동일한 OFDM 심볼 내의 적어도 일부분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매핑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사용한 빔에 따라 상기 빔에 대응되는 상기 리소스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인접 셀에 따라 상기 인접 셀에 대응되는 상기 리소스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셀에 있어서의 위치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이동 특성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 기기의 부하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리소스 영역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단말 기기로 하여금 고정된 리소스 영역 내에서 제어 신호를 검출하도록 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리소스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리소스 영역이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을 포함할 경우, 상기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 중 임의의 2개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이거나 이산적이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비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트 테이블 중 각각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 중 각각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비트 테이블에서 제1 값인 비트는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낸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제2 비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비트 테이블 중 다수의 비트는 상기 시작 주파수 포인트로부터 시작된 연속적인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대응되며, 상기 다수의 비트와 상기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은 일대일로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 테이블에서 제1 값인 비트는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낸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이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종료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종료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이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리소스 영역의 대역폭 길이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제1 시간 슬롯 또는 제1 미니 슬롯 중 첫 번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로부터 시작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상기 제1 시간 슬롯 또는 상기 제1 미니 슬롯에 속하는 OFDM 심볼의 수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것이 리소스 영역의 주파수 영역 파라미터일 경우, 시스템 메시지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것이 리소스 영역의 시간 영역 파라미터일 경우, 시스템 메시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 메시지 및 물리적 방송 채널(PBCH)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시간 슬롯 또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 슬롯으로부터 송신된 공통 시그널링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전용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조합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리소스 영역에 대응되는 빔을 사용하여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메모리, 프로세서, 송수신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버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며,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양태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며, 송수신기로 하여금 입력된 데이터와 정보를 수신하고 동작 결과 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메모리, 프로세서, 송수신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버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며,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양태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며, 송수신기로 하여금 입력된 데이터와 정보를 수신하고 동작 결과 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 또는 다른 양태는 아래의 실시예에서의 설명에서 보다 간결하고 명료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능한 응용 장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에 리소스 영역을 할당하는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리소스 영역을 지시하는 주파수 영역 파라미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단말 기기의 제어 채널 유닛이 리소스 영역에 있는 매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단말 기기의 제어 채널 유닛이 리소스 영역에 있는 다른 매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단말 기의 제어 채널 유닛이 리소스 영역에 있는 또 다른 매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기기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은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글로벌(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원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원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이중 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이중 통신(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 5G 시스템 등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은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에 기반한 각종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스페어스 코드 다중 접속(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시스템, 저밀도 서명(Low Density Signature, LDS) 시스템 등이며, 물론 SCMA 시스템 및 LDS 시스템은 통신 분야에서 다른 명칭으로 불릴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은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다중 반송파 전송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필터 뱅크 반송파(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일반 주파수 분할 다중(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GFDM), 필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Filtered-OFDM, F-OFDM) 시스템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시작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사용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착용가능 기기 및 미래 5G네트워크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공중육상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기기일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GSM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 중의 에볼루션형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으며,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상황 하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도 있거나 중계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차량탑재 기기, 착용가능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PLMN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능한 응용 장면의 개략도이다. 도 1의 통신 시스템은 단말 기기(10)와 네트워크 기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20)는 단말 기기(1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코어망에 액세스하며, 단말 기기(10)는 네트워크 기기(20)가 송신한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등을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함으로써, 네트워크와 통신을 진행한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기기(10)와 네트워크 기기(2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진행한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의미할 수 있다.
LTE의 PDCCH는 각각의 서브 프레임의 앞 몇 개의 OFDM 심볼에서 송신되고, 셀 공통 파일럿 신호를 사용하여 복조된다. 이후의 에볼루션 버전에서, LTE는 증강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신호를 더 도입하였다. PDCCH와 달리, E-PDCCH 신호는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체 PRB에서 전송되고, DMRS 파일럿 신호를 사용하여 복조된다. 이러한 방식의 장점은 공통 파일럿 신호에 의존하지 않는 것이고, 동시에 일부 다른 전송 방식에 의해 달성되는 이점을 가질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빔형성,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등이다.
5G 등 미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설계에서, 멀티안테나 어레이, 빔형성 등 설계를 도입하였는데, 예를 들어, 원래의 하나의 셀을 멀티빔으로 커버하고, 빔 이득은 일정한 정도에서 고주파 대역 사용으로 인한 커버리지가 작아지는 것을 보상할 수 있으며, 동시에 서로간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도 있고, 시스템 성능을 증강시킨다. 데이터 채널은 빔형성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채널에 있어서, 몇 가지 해결수단이 있을 수 있는데, 한 가지는 제어 채널 전송이 여전히 전체 셀을 커버하는 것이고, 다른 한가지는 제어 채널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빔에 의해서만 전송되는 것이다. 5G는 일부 다른 특징을 더 구비하는데, 예를 들어, 아주 넓은 시스템 대역폭(고주파 대역)을 지원하고, 지연에 대한 요구가 아주 높은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이러한 특징은 이의 제어 채널 설계가 LTE 시스템과 상이할 것을 요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1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전송 방법(100)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전송 방법(100)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10에서, 제1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리소스 영역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S120에서,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에서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리소스 영역으로서 일부 리소스를 선택하고, 시스템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에게 이에 할당된 리소스 영역에서 다운링크 리소스 영역을 획득하도록 알리는데,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는 각각의 단말 기기에 하나의 리소스 영역을 할당할 수 있고, 상기 리소스 영역은 상응한 단말 기기의 전용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다수의 단말 기기에 하나의 리소스 영역을 할당할 수도 있고, 상기 다수의 단말 기기의 공통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네트워크 기기는 공통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전문적으로 하나의 리소스 영역을 할당하지 않을 수도 있고, 각각의 단말 기기에 할당된 전송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리소스 영역에서 모두 공통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음으로써, 각각의 단말 기기가 모두 검출될 수 있도록 확보한다.
신호 전송 방법(100)에서의 리소스 영역은 제1 단말 기기에 할당된 제1 단말 기기의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전문적으로 송신하는 것일 수 있고, 다수의 단말기에 할당된 상기 다수의 기기의 전용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 가능하게, 빔형성을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빔에 상이한 리소스 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공통 제어 신호에 있어서, 하나의 리소스 영역을 단독으로 할당하여, 비교적 넓은 빔형성 또는 몇 개의 협대역 빔형성을 사용하여 공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공통 제어 채널에 하나의 별도의 리소스 영역을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상이한 리소스 영역에서 공통 제어 채널을 중복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인접 셀에 상이한 리소스 영역을 할당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단말기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리소스 영역을 할당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부 연속적인 물리적 리소스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을 일부 셀 가장자리의 단말기 또는 일부 이동이 비교적 빠른 단말기에 할당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단말기 수량은 상대적으로 비교적 적고, 이러한 리소스 영역의 크기도 좀 작을 수 있다. 일부 연속적인 PRB를 일부 셀 중앙의 단말기 또는 일부 이동이 비교적 느리거나 정지된 단말기에 할당하고,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네트워크 부하에 따라 상이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부 부하가 비교적 큰(스케줄링 지연이 크고, 제어 리소스 또는 데이터 리소스 사용률이 높음) 것에 대응되는 리소스 영역에서의 단말기를 부하가 비교적 작은(스케줄링 지연이 작고, 제어 리소스 또는 데이터 리소스 사용률이 낮음) 것에 대응되는 리소스 영역에 배치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시간과 네트워크의 부하에 따라 상이한 리소스 영역을 할당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평소 낮과 밤에 사용자가 비교적 많을 경우, 보다 많은 리소스 영역을 할당하고, 심야 및 주말에 사용자가 비교적 적을 경우, 비교적 적은 리소스 영역을 사용한다.
아래에 도 3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에 리소스 영역을 할당하는 구체적인 해결수단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작은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빔에 대응되는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영역1과 빔1이 대응되고, 리소스 영역2와 빔2가 대응되며, 리소스 영역3과 빔1 및 빔3이 대응된다. 또한, 네트워크 기기는 리소스 영역에서 빔1을 사용하여 단말 기기1 제어 채널을 송신할 수 있고, 단말 기기1이 상기 빔1이 커버하는 단말 기기라고 가정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리소스 영역2에서 빔2를 사용하여 단말 기기2에 제어 채널을 송신할 수 있고, 단말 기기2가 빔2가 커버하는 단말 기기라고 가정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리소스 영역3에서 빔1 및 빔2를 사용하여 단말 기기3에 제어 채널을 송신할 수 있고, 상기 단말 기기3은 빔1과 빔2의 접속 부분의 단말 기기이다.
상기 내용은 단지 도 3을 예를 들어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상기 할당은 인접 셀 등 다른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일일이 설명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리소스 영역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일 수 있고, 이산적일 수도 있으며,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일 수 있고, 이산적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네트워크 기기가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한 지시 정보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지시할 수 있고, 시간 영역 리소스를 지시할 수도 있다.
주파수 영역에서, 예를 들어,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비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트 테이블 중 각각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 중 각각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비트 테이블에서 제1 값인 비트는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낸다. 상기 지시 정보는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제2 비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비트 테이블 중 다수의 비트는 상기 시작 주파수 포인트로부터 시작된 연속적인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대응되며, 상기 다수의 비트와 상기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은 일대일로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 테이블에서 제1 값인 비트는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낸다.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이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종료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종료 주파수 포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이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리소스 영역의 대역폭 길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비트 코드 테이블을 사용하여 제1 단말 기기의 리소스 영역을 지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에서, 하나의 비트는 하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에 대응되고, “1”값을 취하는 것은 상기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의미하며, “0”값을 취하는 것은 상기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리소스 영역에 속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상기 비트 코드 테이블은, “0”값을 취하는 것은 상기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의미하고, “1”값을 취하는 것은 상기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리소스 영역에 속하지 않음을 의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 상기 비트 코드 테이블은 12비트이고,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리소스 영역은 3개의 PR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소스 영역의 주파수 영역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와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를 알릴 수 있고, 방송 채널과 같은 시스템 메시지를 통해 지시 정보를 단말 기기에 방송할 수도 있으며, 단말 기기는 일부 특정된 연관에 따라 상응한 리소스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어느 리소스 영역은 어느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것일 수 있고, 단말 기기가 상기 주파수 대역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면, 상기 리소스 영역을 사용하여 자체의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어느 리소스 영역이 멀티빔 셀 내의 어느 빔과 연관된 것이고, 단말기가 이 빔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면, 상기 리소스 영역을 사용하여 자체의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시간 영역에서, 상기 리소스 영역은, 제1 시간 슬롯 또는 제1 미니 슬롯 중 첫 번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로부터 시작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상기 제1 시간 슬롯 또는 상기 제1 미니 슬롯에 속하는 OFDM 심볼의 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어느 몇 개의 OFDM 심볼이 제어 신호의 전송에 사용될 수 있는 지를 단말기에 반영구적으로 알릴 수 있고, 상기 지시 정보는 리소스 영역의 구성 및 전단 OFDM 심볼 수를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동적 공통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알릴 수 있고, 이 공통 제어 신호는 각각의 시간 슬롯(slot) 또는 미니 슬롯(mini-slot)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송신될 수 있다. 대응되는 리소스 영역에서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처음 몇 개의 OFDM 심볼의 수를 단말기에 알린다. 예를 들어, 제일 많아서 처음 3개의 OFDM 심볼을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해야 하면, 이 동적 신호는 2비트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고, 00은 0개의 OFDM 심볼을 표시하고, 01는 하나의 OFDM 심볼을 표시하며, 10은 2개의 OFDM 심볼을 표시하고, 11은 3개의 OFDM 심볼을 표시한다.
이 구성은 먼저 반영구적 신호를 사용하여 알린 다음, 동적 신호를 사용하여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영구적 신호는 2개의 OFMD 심볼을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단말기가 동적 신호 지시가 3개의 OFDM 심볼임을 검출하면, 현재 서브 프레임은 3개의 OFDM 심볼을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단말기가 이 동적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2개의 OFDM 심볼을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공통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시간 영역에서의 제어 채널 영역을 지시할 수도 있고, 단말기에 의존하여 각각의 시간 슬롯(slot) 또는 미니 슬롯(mini-slot)의 처음 몇 개의 OFDM 심볼에 대해 블라인드 테스트를 진행한다. 2급 전송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에 있어서, 제1 급의 제어 신호로부터 제2 급의 제어 신호가 위치하는 OFDM 심볼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소스 영역의 시간 영역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와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를 알릴 수 있고, 방송 채널과 같은 시스템 메시지를 통해 지시 정보를 단말 기기에 방송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시간 슬롯 또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 슬롯으로부터 송신된 공통 시그널링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전용 시그널링과 같은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 정보를 단말 기기에 송신할 수도 있다.
하나의 멀티 빔 시스템이면, 각각의 빔 내의 리소스 영역(주파수 영역 PRB 및 시간 영역 OFDM 심볼 수)은 단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일한 리소스 영역은 상이한 빔에서 중복 또는 부분적으로 중복되게 사용될 수 있다. 공통 신호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OFDM 심볼 수를 지시하면, 각각의 빔은 각자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빔형성을 사용하여 각자의 공통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각자의 빔 중 제어 신호가 사용한 OFDM 심볼 수를 지시할 수 있다. 상이한 빔 중 공통 신호가 지시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OFDM의 수량은 상이할 수 있다. 각각의 빔 내에서의 리소스 영역은 반영구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는 방송 채널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각각의 빔에 대응되는 리소스 영역을 단말기 사용자에 알릴 수 있다.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과 같은 지연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높은 일부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slot 또는 mini-slot의 첫 번째 OFDM 심볼만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공통 신호가 필요없이 제어 신호에 수요되는 OFDM 심볼 수를 지시한다. 물론, 이러한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동적으로 다중 사용되는 것이면, 단말기는 현재 slot 또는 mini-slot을 어떠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지를 예기할 수 없다. 단말기는 공통 채널을 통해 제어 신호가 사용하는 OFDM 심볼 수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베어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각각의 제어 채널을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하여 상기 리소스 영역에 매핑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어 채널과 다수의 단말 기기는 일대일로 대응되며, 상기 다수의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제어 채널을 다수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하여 리소스 영역에 매핑하는 것은 제어 신호를 여러 블록으로 나누어 리소스 영역 내의 상이한 리소스 부분에 매핑하여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상이한 제어 채널 유닛은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상이한 물리적 리소스 블록 및/또는 상이한 OFDM 심볼에 매핑되고,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제1 제어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은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동일한 물리적 리소스 블록 내의 모든 OFDM 심볼에 매핑되며,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상이한 제어 채널 유닛은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동일한 OFDM 심볼 내의 적어도 일부분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매핑된다.
아래 도 5 내지 도 7을 결부하여 몇 개의 단말 기기의 제어 채널이 하나의 리소스 영역을 다중화하는 해결수단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소스 영역은 4개의 PRB를 포함하고, 여기서 2개의 PRB는 연속적이며, 다른 2개의 PRB와 이산적이고, 단말기1의 제어 채널은 4개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되며, 각각 4개의 PRB 중 상이한 OFDM 심볼에 매핑되고, 단말기2의 제어 채널은 2개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되며, 2개의 PRB 중 상이한 OFDM 심볼에 매핑되고, 단말기3의 제어 채널은 3개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되며, 3개의 PRB 중 상이한 OFDM 심볼에 매핑된다.
다수의 단말 기기의 제어 채널을 다수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하고, 이러한 유닛은 하나의 리소스 영역 내에 인터리빙 매핑되어, 보다 큰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 다이버시티 이득을 획득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소스 영역은 4개의 PRB를 포함하고, 여기서 2개의 PRB는 연속적이며, 다른 2개의 PRB와 이산적이고, 단말기1의 제어 채널은 6개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되며, 각각 첫 번째 PRB의 3개의 OFDM 심볼 및 세 번째 PRB의 3개의 OFDM 심볼에 매핑되고, 단말기2의 제어 채널은 3개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되며, 두 번째 PRB 중 3개의 OFDM 심볼에 매핑되고, 단말기3의 제어 채널은 3개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되며, 네 번째 PRB 중 3개의 OFDM 심볼에 매핑된다.
다수의 단말 기기의 제어 채널을 다수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하고, 이러한 제어 채널 유닛은 하나 또는 다수의 PRB로부터 전송될 수 있으며, 각각의 PRB(PRB 또는 PRB 서브셋)에서 하나의 단말기의 제어 신호만 전송한다. 이러한 다중 사용 해결수단은 주파수 영역 다이버시티 이득을 더 잘 이용하는 동시에, 단말기 검출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소스 영역은 4개의 PRB를 포함하고, 여기서 2개의 PRB는 연속적이며, 다른 2개의 PRB와 이산적이고, 단말기1의 제어 채널은 4개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되며, 각각 상기 리소스 영역이 구비하는 PRB의 첫 번째 OFDM 심볼에 매핑되고, 단말기2의 제어 채널은 4개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되며, 각각 상기 리소스 영역이 구비하는 PRB의 두 번째 OFDM 심볼에 매핑되고, 단말기3의 제어 채널은 4개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되며, 각각 상기 리소스 영역이 구비하는 PRB의 세 번째 OFDM 심볼에 매핑된다.
다수의 단말기의 제어 채널은 상이한 OFDM 심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연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높은 서비스, 상응한 제어 신호는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될 수 있고, 지연에 대한 요구가 낮은 서비스, 상응한 제어 신호는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다수의 단말기가 지연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높은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할 경우, 이들의 제어 신호는 모두 첫 번째 OFDM 심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수단은 네트워크 기기가 상이한 제어 신호에 상이한 시뮬레이션 빔형성을 인가하여 빔 스캔에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첫 번째 OFDM 심볼에 어떠한 시뮬레이션 빔형성을 인가하고, 제어 신호가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는 단말기 사용자에 향하도록 하며,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의 빔형성 이득을 증가시킨다. 두 번째 OFDM 심볼에 첫 번째 OFDM 심볼과 상이한 시뮬레이션 빔형성을 인가하고, 제어 신호가 두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는 단말기 사용자에 향하도록 하며, 두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의 빔형성 이득을 증가시킨다.
상기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의 크기는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OFDM 심볼이고,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의 PRB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시간 영역에서 2개의 OFDM 심볼이고,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의 PRB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의 크기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주파수 영역 크기와 시간 영역 크기가 각각 하나의 PRB와 하나의 OFDM 심볼의 배수이면 모두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다수의 단말기에 수요되는 빔형성 방향이 비슷하면, 이들을 그룹으로 나눌 수 있고, 동일하거나 다수의 OFDM 심볼을 사용하여 이들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유사한 시뮬레이션 빔형성을 인가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과 단말기2가 동일한 빔 커버리지에 위치할 경우, 이들의 제어 신호는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될 수 있고, 동일한 시뮬레이션 빔형성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말기3과 단말기4는 동일한 빔 커버리지에 위치할 경우, 이들의 제어 신호는 두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될 수 있고, 다른 시뮬레이션 빔형성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2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전송 방법(200)은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사용자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전송 방법(200)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210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리소스 영역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S220에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전송 방법은, 단말 기기로 하여금 고정된 리소스 영역 내에서 제어 신호를 검출하도록 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리소스 영역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일 수 있고, 이산적일 수도 있으며,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일 수 있고, 이산적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네트워크 기기가 제1 단말 기기에 송신한 지시 정보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지시할 수 있고, 시간 영역 리소스를 지시할 수도 있다.
주파수 영역에서, 예를 들어,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비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트 테이블 중 각각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 중 각각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비트 테이블에서 제1 값인 비트는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낸다. 상기 지시 정보는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제2 비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비트 테이블 중 다수의 비트는 상기 시작 주파수 포인트로부터 시작된 연속적인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대응되며, 상기 다수의 비트와 상기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은 일대일로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 테이블에서 제1 값인 비트는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낸다.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이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종료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종료 주파수 포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이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리소스 영역의 대역폭 길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소스 영역의 주파수 영역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와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를 알릴 수 있고, 방송 채널과 같은 시스템 메시지를 통해 지시 정보를 단말 기기에 방송할 수도 있으며, 단말 기기는 일부 특정된 연관에 따라 상응한 리소스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어느 리소스 영역은 어느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것일 수 있고, 단말 기기가 상기 주파수 대역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면, 상기 리소스 영역을 사용하여 자체의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어느 리소스 영역이 멀티 빔 셀 내의 어느 빔과 연관된 것이고, 단말기가 이 빔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하면, 상기 리소스 영역을 사용하여 자체의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시간 영역에서, 상기 리소스 영역은, 제1 시간 슬롯 또는 제1 미니 슬롯 중 첫 번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로부터 시작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상기 제1 시간 슬롯 또는 상기 제1 미니 슬롯에 속하는 OFDM 심볼의 수를 포함한다. 예들 들어, 어느 몇 개의 OFDM 심볼이 제어 신호의 전송에 사용될 수 있는 지를 단말기에 반영구적으로 알릴 수 있고, 상기 지시 정보는 리소스 영역의 구성 및 전단 OFDM 심볼 수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소스 영역의 시간 영역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와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를 알릴 수 있고, 방송 채널과 같은 시스템 메시지를 통해 지시 정보를 단말 기기에 방송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시간 슬롯 또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 슬롯으로부터 송신된 공통 시그널링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전용 시그널링과 같은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 정보를 단말 기기에 송신할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조합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제어 채널을 다수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하여 리소스 영역에 매핑하는 것은 제어 신호를 여러 블록으로 나누어 리소스 영역 내의 상이한 리소스 부분에 매핑하여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대응되게, 단말 기기는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상이한 리소스 부분에서 나뉘어진 몇 개의 작은 블록을 획득하고 이를 조합하여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구성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리소스 영역에 대응되는 빔을 사용하여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 측면에서 설명한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의 인터랙션 및 관련 특성, 기능 등은 네트워크 기기 측면의 관련 특성, 기능에 대응됨을 이해해야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각 과정의 순번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재적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 과정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였고, 아래, 도 9 내지 도 12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를 설명하며,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 특징은 아래 장치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기기(300)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는,
제1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제1 송신 유닛(310)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리소스 영역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송신 유닛(32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로 하여금 고정된 리소스 영역 내에서 제어 신호를 검출하도록 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소스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리소스 영역이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을 포함할 경우, 상기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 중 임의의 2개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이거나 이산적이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비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트 테이블 중 각각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 중 각각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비트 테이블에서 제1 값인 비트는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제2 비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비트 테이블 중 다수의 비트는 상기 시작 주파수 포인트로부터 시작된 연속적인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대응되며, 상기 다수의 비트와 상기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은 일대일로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 테이블에서 제1 값인 비트는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이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종료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종료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이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리소스 영역의 대역폭 길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시간 슬롯 또는 제1 미니 슬롯 중 첫 번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로부터 시작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상기 제1 시간 슬롯 또는 상기 제1 미니 슬롯에 속하는 OFDM 심볼의 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것이 리소스 영역의 주파수 영역 파라미터일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310)은 구체적으로, 시스템 메시지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것이 리소스 영역의 시간 영역 파라미터일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310)은 구체적으로, 시스템 메시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 메시지 및 물리적 방송 채널(PBCH)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시간 슬롯 또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 슬롯으로부터 송신된 공통 시그널링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전용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송신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리소스 영역에 대응되는 빔을 사용하여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베어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각각의 제어 채널을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하여 상기 리소스 영역에 매핑하여 송신하는 분해 유닛(3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어 채널과 다수의 단말 기기는 일대일로 대응되며, 상기 다수의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단말 기기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상이한 제어 채널 유닛은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상이한 물리적 리소스 블록 및/또는 상이한 OFDM 심볼에 매핑되고,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제1 제어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은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동일한 물리적 리소스 블록 내의 모든 OFDM 심볼에 매핑되며,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상이한 제어 채널 유닛은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동일한 OFDM 심볼 내의 적어도 일부분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매핑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300)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사용한 빔에 따라 상기 빔에 대응되는 상기 리소스 영역을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인접 셀에 따라 상기 인접 셀에 대응되는 상기 리소스 영역을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셀에 있어서의 위치 및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이동 특성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을 결정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의 부하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34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기기(300)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300)의 각각의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2 내지 도 7의 방법의 상응한 단계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기기(400)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400)는,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유닛(410) -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리소스 영역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유닛(42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기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고정된 리소스 영역 내에서 제어 신호를 검출하도록 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소스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리소스 영역이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을 포함할 경우, 상기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 중 임의의 2개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이거나 이산적이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비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트 테이블 중 각각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 중 각각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비트 테이블에서 제1 값인 비트는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제2 비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비트 테이블 중 다수의 비트는 상기 시작 주파수 포인트로부터 시작된 연속적인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대응되며, 상기 다수의 비트와 상기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은 일대일로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 테이블에서 제1 값인 비트는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낸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이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종료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종료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이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리소스 영역의 대역폭 길이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시간 슬롯 또는 제1 미니 슬롯 중 첫 번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로부터 시작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상기 제1 시간 슬롯 또는 상기 제1 미니 슬롯에 속하는 OFDM 심볼의 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것이 리소스 영역의 주파수 영역 파라미터일 경우, 상기 제1 수신 유닛(410)은 구체적으로, 시스템 메시지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송신한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것이 리소스 영역의 시간 영역 파라미터일 경우, 상기 제1 송신 유닛(310)은 구체적으로, 시스템 메시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 메시지 및 물리적 방송 채널(PBCH)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시간 슬롯 또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 슬롯으로부터 송신된 공통 시그널링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전용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수신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조합 생성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수신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리소스 영역에 대응되는 빔을 사용하여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기기(400)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의 단말 기기에 대응될 수 있고, 단말 기기(400)의 각각의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8의 방법의 상응한 단계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510), 메모리(520), 버스 시스템(530) 및 송수신기(540)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기기(500)를 더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510), 상기 메모리(520) 및 상기 송수신기(540)는 상기 버스 시스템(53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메모리(520)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메모리(520)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송수신기(540)로 하여금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510)는, 제1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리소스 영역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기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고정된 리소스 영역 내에서 제어 신호를 검출하도록 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5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51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전용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어셈블리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520)는 롬 및 램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510)에 명령어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52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20)는 기기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버스 시스템(530)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이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지만,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에서 각종 버스를 모두 버스 시스템(530)으로 표기한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510)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결부시켜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롬, 프로그래머블 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52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기기(500)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300)에 대응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500)의 각각의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2 내지 도 7의 방법의 상응한 단계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버스 시스템(630) 및 송수신기(640)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기기(600)를 더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610), 상기 메모리(620) 및 상기 송수신기(640)는 상기 버스 시스템(63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메모리(620)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610)는 상기 메모리(620)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송수신기(640)로 하여금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610)는,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리소스 영역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기기는, 단말 기기로 하여금 고정된 리소스 영역 내에서 제어 신호를 검출하도록 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말 기기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6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61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전용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어셈블리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620)는 롬 및 램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610)에 명령어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62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20)는 기기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버스 시스템(630)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이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지만,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에서 각종 버스를 모두 버스 시스템(630)으로 표기한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610)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결부시켜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롬, 프로그래머블 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62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기기(400)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의 단말 기기 및 단말 기기(400)에 대응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단말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단말 기기(600)의 각각의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8의 방법의 상응한 단계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 기기의 각각의 유닛의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방법 측면의 단말 기기와 대응되고, 네트워크 기기의 인터랙션 및 관련 특성, 기능 등은 네트워크 기기 측면의 관련 특성, 기능에 대응됨을 이해해야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와 상응한 B”는 B는 A와 연관되는 것을 의미하고, A에 따라 B를 결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된다. 그러나, A에 따라 B를 결정하는 것은 단지A에만 따라 B를 결정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A 및/또는 다른 정보에 따라 B를 결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부하여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뚜렷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위에서 이미 기능에 따라 일반적으로 각 예의 조성 및 단계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전문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는 일일이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원 발명에서 제공된 몇 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단지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이고 실제 응용 시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조합 또는 집적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고, 각각의 유닛이 단독으로 문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 기술에 기여하는 일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부분적 단계를 수행시키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롬(Read-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에서 개시된 기술범위 내에 용이하게 생각해낸 변경 또는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2)

  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제1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리소스 영역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베어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각각의 제어 채널을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하여 상기 리소스 영역에 매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제1 제어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은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동일한 물리적 리소스 블록 내의 모든 OFDM 심볼에 매핑되며,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리소스 영역에 대응되는 빔을 사용하여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제1 단말 기기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이한 리소스 영역은 상이한 빔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 단말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단말 기기가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리소스 영역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에 의해 베어링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각각의 제어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으로 분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중 제1 제어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은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동일한 물리적 리소스 블록 내의 모든 OFDM 심볼에 매핑되며,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리소스 영역에 대응되는 빔을 사용하여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이한 리소스 영역은 상이한 빔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영역은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 중 임의의 2개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이거나 이산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비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트 테이블 중 각각의 비트는 시스템 대역폭 중 각각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비트 테이블에서 제1 값인 비트는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제2 비트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비트 테이블 중 다수의 비트는 상기 시작 주파수 포인트로부터 시작된 연속적인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에 대응되며, 상기 다수의 비트와 상기 다수의 물리적 리소스 블록은 일대일로 대응되고, 상기 제2 비트 테이블에서 제1 값인 비트는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물리적 리소스 블록이 상기 리소스 영역에 속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이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종료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종료 주파수 포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이 시스템 대역폭에 있어서의 시작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시작 주파수 포인트 및 상기 리소스 영역의 대역폭 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8.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시스템 메시지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1 단말 기기가 송신한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9.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시간 슬롯 또는 제1 미니 슬롯 중 첫 번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로부터 시작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리소스 영역 내의 상기 제1 시간 슬롯 또는 상기 제1 미니 슬롯에 속하는 OFDM 심볼의 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시스템 메시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 메시지 및 물리적 방송 채널(PBCH)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물리적 계층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시간 슬롯 또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 슬롯으로부터 송신된 공통 시그널링 또는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전용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2.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및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리소스 영역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제1 단말 기기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유닛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조합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3. 신호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기기로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청구항 1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기기.
  14.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기기로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및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기기.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KR1020197015308A 2016-11-03 신호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102671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104443 WO2018081973A1 (zh) 2016-11-03 2016-11-03 传输信号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506A KR20190073506A (ko) 2019-06-26
KR102671877B1 true KR102671877B1 (ko) 2024-05-31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63556A1 (en) * 2011-12-26 2013-06-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of resource allocation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US20140348095A1 (en) * 2011-11-07 2014-11-27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base station,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48095A1 (en) * 2011-11-07 2014-11-27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base station,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method
US20130163556A1 (en) * 2011-12-26 2013-06-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of resource allocation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09124
3GPP R1-1609309
Alcatel-Lucent Shanghai Bell et al., R1-124872, Remaining details of Search Space and Aggregation Levels, 3GPP TSG RAN WG1 #71, 3GPP 서버공개일(2012.11.03.) 1부.*
Nokia et al., R1-1610240, Beam management - DCI monitoring, 3GPP TSG RAN WG1 #86bis, 3GPP 서버공개일(2016.09.30.)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706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n extensible and scalable control channel for wireless networks
US10382969B2 (en) Resource allocation design for low cost machine-type communication UE
JP7083841B2 (ja) 情報伝送方法、端末装置とネットワーク装置
US113430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and sending reference sig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375498B2 (en) Resource pool determin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6987137B2 (ja) 信号を伝送するための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US20180123759A1 (en) Method for indicating resource of multi-user superposition transmission,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JP6995888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装置
CN111901875A (zh) 指示方法、上行传输方法、装置、服务节点、终端及介质
US20170048906A1 (en)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
JP2023531892A (ja) Pdcch監視アグリゲーションのための技法
CN106559890B (zh) 传输控制信令的方法和装置
CN109996339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160157231A1 (en) Method and Network Node for Providing Radio Resources for Radio Communication in a Cellular Network
WO2018058565A1 (zh) 传输信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102671877B1 (ko) 신호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20190126874A (ko)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WO2020076530A1 (en) Uplink time division multiplexing pattern for 5g non-standalone devices
JP2023543758A (ja) インターレースulキャンセルインジケーションのue処理
KR20230059763A (ko) 다중 패널 안테나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23013184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및장치
CN115699975A (zh) 定向信道接入感知
AU2019218524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CN117812737A (zh) 通信方法及通信装置
CN114071727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