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1634B1 -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 - Google Patents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1634B1
KR102671634B1 KR1020220118608A KR20220118608A KR102671634B1 KR 102671634 B1 KR102671634 B1 KR 102671634B1 KR 1020220118608 A KR1020220118608 A KR 1020220118608A KR 20220118608 A KR20220118608 A KR 20220118608A KR 102671634 B1 KR102671634 B1 KR 102671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intake
mask
partition
mask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39803A (ko
Inventor
이성균
Original Assignee
이성균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균 filed Critical 이성균
Priority to KR1020220118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1634B1/ko
Publication of KR20240039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Abstract

본 발명은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 배출부를 가진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발생된 숨공기에 의해 흡입부 필터체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필터체(111)와 내부필터체(112)로 구성된 마스크시트(110)와, 상기 마스크시트(110)의 좌, 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귀걸이부(120)와, 상기 마스크시트(110)의 내측에 코부위가 위치되는 공기 흡입부(170)와 입부위가 위치되는 공기흡입배출부(180)가 구획되도록 횡방향으로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착탈부재(190)에 의해 마스크시트(110)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칸막이(200)와, 상기 공기 흡입부(170)에 위치되는 코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마스크시트(110)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칸막이(20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간격유지부재(140)와, 상기 간격유지부재(140)에 외측면이 밀착되어 있는 코를 통해 날숨시 발생되는 공기를 포집하도록 공기흡입부(170)와 연통하는 상부가 개구된 포집실(211)을 가지며 공기 흡입배출부(180)에 위치되도록 칸막이(200)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포집부재(210)와, 상기 포집실(211)로 날숨시 발생된 공기가 포집되면서 원활하게 공기 흡입배출부(180)를 통해 마스크시트(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포집부재(21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 배출기(220)로 구성되되. 상기 칸막이(200)의 후부에는 얼굴의 외측면을 따라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밀착되는 실리콘재와 같은 밀착재(230)가 결합되고, 상기 칸막이(200)에 의해 구획된 공기흡입배출부(180)에 위치하는 포집부재(210)의 후부에는 입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포집실(211)로 원활하게 가이드되면서 유입되도록 하는 배출부(212)가 입주변에 위치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Mask having lsolated air inlet and air outlet}
본 발명은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 배출부를 가진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발생된 숨공기에 의해 흡입부 필터체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사는 중국이나 몽골 등과 같은 지역에서 발원하는 미세먼지로서 주로 규소와, 철, 망간, 알루미늄 등의 토양성분이 주성분으로되어 있었으나, 중국의 산업화로 인하여 근래에는 납, 카드뮴 등과 같은 중금속이나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 화학물질이 다량 함유됨에 따라 그 폐해와 심각성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더욱이 공기중에 포함된 바이러스에 의해 많은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고 있는 실정이다.
황사에 포함된 대표적 중금속 농도는 일반 공기에 비해 2 ~ 15배 이상 높고, 납은 13배, 카드뮴은 14배, 크롬은 21배나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납 성분은 신경과 근육을 마비시키고, 카드뮴은 폐암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크롬은 신장질환과 기관지염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황사에 포함된 초미세 먼지와 바이러스는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이 더욱 심각하여 코와 기관지 등 호흡기 방어막을 통과해 폐에 축적되거나 혈관은 물론 신장·간까지 직접 침투하고 폐포가 망가진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자(COPD)나 천식 환자에겐 치명적이다.
근래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0.1㎛ 이하의 초미세 먼지는 실핏줄을 타고 직접 혈관내로 들어가 혈액을 뭉치게하여 혈액순환을 방해하고, 미세먼지의 농도가 10㎍/㎥ 증가할 때마다 심혈관 질환의 발병률이 24% 높아지고, 이중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할 확률 또한 76%씩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 19의 바이러스로 인하여, 사회적 거리두기 및 생활적 거리두기 등 마스크 착용은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하므로 이제는 도로에서 걷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또는 간단한 운동시 등 많은 시간을 마스크를 착용해야한다.
따라서 안경을 쓰고 있는 사람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보행하거나 운동 중에는 숨공기가 마스크의 상부로 올라가기 때문에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공기의 상승으로 인해 김서림 현상이 발생되므로 보행등의 활동에 있어서 많은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날숨시 발생되는 입자에 의해 코와 입 주위가 쉽게 오염되고, 들숨시에 마스크의 내면이 코와 입에 달라붙어 호흡시 불편함과 갑갑함을 동시에 느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코로나 19의 확진자가 늘어남에 따라 평균 0.4㎛크기의 입자를 94%∼99%까지 막아서 황사, 미세먼지 등 입자성 유해물질과 신종플루 등 감염원으로부터 호흡기 보호가 가능하다고 알려진 KF94∼KF99는 상기한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착용시 호흡이 곤란하여 날씨가 더운 하절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착용을 거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하절기에는 황사, 미세먼지 입자를 막는 효과는 떨어지지만 침방울을 통한 감염 전파는 막을 수 있는 면마스크, 덴탈마스크가 인기가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마스크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82997호(등록일자:2002.07.10)에서는 2겹의 외피 사이에 미세한 먼지 및 세균까지 걸러내는 기능을 가진 헤파필터를 여러 번 접어서 표면적을 외피보다 15배 이상 넓게 한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전술한 종래 마스크는 2겹의 외피 사이에 헤파필터가 내장되어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여과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마스크가 2겹의 외피와 여러 번 접힌 헤파필터로 이루어진 다겹 구조이므로 호흡시 외부 공기의 흡입이 쉽지아니하고 내부 공기의 외부 배출시 이산화탄소 및 습기의 배출이 더욱 어려워 사용자의 호흡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14250호(등록일자:2019.08.2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코와 입을 커버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단에 구비되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가 구비된 전면부의 내측에 코유체공간과 입유체공간이 형성되도록 중앙에 횡으로 결합되는 분리부재와, 상기 입유체공간을 통해 원활한 공기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일방향밸브로 구성된 안면마스크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도 코유체공간이 형성된 전면부 내측면이 흡기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얼굴과 접촉되는 관계로, 안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을 수행시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14250호 (등록일자 : 2019.08.2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0-0105624호 (공개일자 : 2020.09.2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8-0015411호 (공개일자 : 2018.02.13)
본 발명은 마스크 착용자가 들숨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청정공기가 마스크시트의 내부로 유입되고, 코로 날숨시에는 상기 코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포집부재의 포집실로 배출공기가 1차 이동되었다가 상기 포집부재의 전면에 설치된 공기 배출용팬에 의해 공기 흡입배출부를 통해 마스크시트의 외부로 배출공기가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기 흡입부가 형성된 마스크시트가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흡기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얼굴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을 수행시에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크 착용자가 마스크의 착용시 마스크시트의 내측에서 착용자의 코와 입부분 사이를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된 칸막이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로 인하여 들숨과 날숨시 마스크시트의 내면이 착용자의 코와 입에 밀착되어 호흡시에 불편함과 갑갑함을 느끼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이산화탄소와 습기 등에 의하여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면서 보행 또는 각종 업무수행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격리된 공기 흡입구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는 외부필터체(111)와 내부필터체(112)로 구성된 마스크시트(110)와, 상기 마스크시트(110)의 좌, 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귀걸이부(120)와, 상기 마스크시트(110)의 내측에 코부위가 위치되는 공기 흡입부(170)와 입부위가 위치되는 공기흡입배출부(180)가 구획되도록 횡방향으로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착탈부재(190)에 의해 마스크시트(110)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칸막이(200)와, 상기 공기 흡입부(170)에 위치되는 코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마스크시트(110)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칸막이(20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간격유지부재(140)와, 상기 간격유지부재(140)에 외측면이 밀착되어 있는 코를 통해 날숨시 발생되는 공기를 포집하도록 공기흡입부(170)와 연통하는 상부가 개구된 포집실(211)을 가지며 공기 흡입배출부(180)에 위치되도록 칸막이(200)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포집부재(210)와, 상기 포집실(211)로 날숨시 발생된 공기가 포집되면서 원활하게 공기 흡입배출부(180)를 통해 마스크시트(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포집부재(21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 배출기(220)로 구성되되. 상기 칸막이(200)의 후부에는 얼굴의 외측면을 따라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밀착되는 실리콘재와 같은 밀착재(230)가 결합되고, 상기 칸막이(200)에 의해 구획된 공기흡입배출부(180)에 위치하는 포집부재(210)의 후부에는 입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포집실(211)로 원활하게 가이드되면서 유입되도록 하는 배출부(212)가 입주변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공기 배출기(220)는 모터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팬으로써, 모터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이 이루어지는 팬의 회전력에 의해 포집실(211)로 날숨시 발생된 공기가 포집되면서 원활하게 공기 흡입배출부(180)를 통해 마스크시트(110) 외부로 배출되어지도록 하여도 무방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기(220)는 일방향밸브로써, 포집실(211)로 날숨시 발생된 공기가 포집되면서 원활하게 공기 흡입배출부(180)를 통해 마스크시트(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도 무방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간격유지부재(140)는 코의 외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밀착부재(141)와, 상기 밀착부재(141)와 마스크시트(11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142)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탄성부재(142)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부재(141)의 내측면이 코에 밀착된상태가 유지되도록 탄력지지되면서 마스크시트(110)의 내측면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지게 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마스크시트(110)의 중앙 상부 내측에는 절곡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150)을 설치하여, 마스크시트(110)을 착용하는 착용자가 자신의 코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마스크시트(110)가 얼굴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마스크 착용시 마스크시트(110)가 착용자의 얼굴과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하여 편리성이 도모되도록 하여도 무방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를 착용하고 호흡할 때 얼굴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마스크시트를 통해 정화가 이루어진 공기가 들숨시 코주변으로 마스크시트를 통해 유입되고, 날숨시에는 포집실에 포집된 공기가 공기 배출용팬에 의해 포집부재의 외부로 배출된 후 공기 흡입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마스크시트가 날숨시 발생되는 입자에 의해 오염되지 않게 되어 호흡이 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시 마스크시트 내측의 칸막이에 의하여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마스크시트의 내면이 착용자의 코와 입에 달라붙지 않게 되어 착용자가 호흡시 불편함과 갑갑함을 느끼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또는 각종 업무를 수행시 및 안경을 착용한 착용자가 김서림 현상 등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모든 일을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의 종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인 마스크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날숨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마스크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를 코로 흡입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스크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를 입으로 흡입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마스크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를 코로 배출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마스크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를 입으로 배출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발명인 마스크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의 종단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인 마스크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날숨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마스크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를 코로 흡입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마스크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를 입으로 흡입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마스크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를 코로 배출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마스크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를 입으로 배출할 때의 공기의 흐름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발명인 마스크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격리된 공기 흡입구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는 격리된 공기 흡입구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는 외부필터체(111)와 내부필터체(112)로 구성된 마스크시트(110)와, 상기 마스크시트(110)의 좌, 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귀걸이부(120)와, 상기 마스크시트(110)의 내측에 코부위가 위치되는 공기 흡입부(170)와 입부위가 위치되는 공기흡입배출부(180)가 구획되도록 횡방향으로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착탈부재(190)에 의해 마스크시트(110)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칸막이(200)와, 상기 공기 흡입부(170)에 위치되는 코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마스크시트(110)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칸막이(20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간격유지부재(140)와, 상기 간격유지부재(140)에 외측면이 밀착되어 있는 코를 통해 날숨시 발생되는 공기를 포집하도록 공기흡입부(170)와 연통하는 상부가 개구된 포집실(211)을 가지며 공기 흡입배출부(180)에 위치되도록 칸막이(200)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포집부재(210)와, 상기 포집실(211)로 날숨시 발생된 공기가 포집되면서 원활하게 공기 흡입배출부(180)를 통해 마스크시트(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포집부재(21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 배출기(22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칸막이(200)의 후부에는 얼굴의 외측면을 따라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밀착되는 실리콘재와 같은 밀착재(230)가 결합되고, 상기 칸막이(200)에 의해 구획된 공기흡입배출부(180)에 위치하는 포집부재(210)의 후부에는 입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포집실(211)로 원활하게 가이드되면서 유입되도록 하는 배출부(212)가 입주변에 위치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140)는 코의 외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밀착부재(141)와, 상기 밀착부재(141)와 마스크시트(11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142)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탄성부재(142)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부재(141)의 내측면이 코에 밀착된상태가 유지되도록 탄력지지되면서 마스크시트(110)의 내측면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마스크시트(110)의 중앙 상부 내측에는 절곡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150)을 설치하여, 마스크시트(110)을 착용하는 착용자가 자신의 코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마스크시트(110)가 얼굴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마스크 착용시 마스크시트(110)가 착용자의 얼굴과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하여 편리성이 도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코의 외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밀착부재(141)의 좌우 양측 하부에는 공기흡입부(143)를 각각 절개 형성시켜, 상기 밀착부재(141)가 외측면에 밀착되어 있는 마스크 착용자의 코로 공기 흡입부(170)로 유입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공기 배출기(220)는 모터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팬 또는 일방향밸브로써, 포집실(211)로 날숨시 발생된 공기가 포집되면서 원활하게 공기 흡입배출부(180)를 통해 마스크시트(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마스크를 착용하고자 마스크시트(110)의 좌, 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귀걸이부(120)를 마스크를 착용하고자 하는 착용자가 귀에 걸어주게 되면, 상기 마스크시트(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칸막이(200)에 의해 형성된 공기 흡입부(170)에 위치하고 있는 간격유지부재(140)의 밀착부재(141) 내측면은 코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칸막이(200)에 의해 형성된 공기 흡입배출부(180)에 위치하고 있는 배출부(212)의 후부는 입주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착부재(141)의 외측면은 마스크시트(110)의 내측면과 밀착부재(141)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탄성부재(142)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항상 코의 외측면에 밀착부재(141)가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밀착부재가 위치하고 있는 공기 흡입부(170)가 상부에 형성되고 포집부재(210)가 설치되는 공기 흡입배출부(180)가 하부에 형성되도록 구획하고 있는 칸막이(200)의 후부에 결합된 실리콘재와 같은 밀착재(230)가 얼굴의 외븍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 착용자가 코로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외부필터체(111)와 내부필터체(112)의 상부를 통하여 칸막이(200)의 상단 공간부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부(170)로 흡입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공기 흡입부(170)로 흡입되는 공기는 외부필터체(111)와 내부필터체(112)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다.
따라서, 마스크 착용자는 들숨시 정화된 공기를 마스크를 통하여 공기 흡입부(170)로 흡입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이다.
그리고 마스크 착용자가 입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에는 도면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일부는 외부필터체(111)와 내부필터체(112)의 하부를 통하여 칸막이(200)의 하단 공간부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배출부(180)로 정화된 공기가 흡입 된다.
이로인해. 마스크 착용자가 코나 입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에도 이물질이 제거되고 정화된 공기를 흡입하므로서 위생적인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날숨시에 있어서는 도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마스크와 얼굴사이의 공간에서 체류되고 있는 체류공기를 마스크 착용자의 코로 배출하는 경우, 공기 흡입부(170)에 유입된 공기는 포집부재(210)의 포집실(211)에 포집되면서 공기 배출기(220)에 의해 공기 흡입배출부(180)로 일단 배출되었다가 마스크시트(110) 밖으로 배출 된다.
이때, 상기 포집부재(210)의 전면에 공기 배출기(220)로 팬을 결합 설치하여 마스크를 착용중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는, 상기 포집부재(210)로 부터 팬을 분리한 상태에서 포집부재(210)의 전면에 일방향밸브를 재 결합 설치하여 주는 것에 의해 마스크를 계속해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마스크 착용자의 입에 체류되었던 체류공기 즉, 공기 흡입배출부(180)에 체류되는 체류공기는 배출부(210)를 통해 포집부재(210)의 포집실(211)로 포집된 마스크시트(110)밖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부분과 맞닿게 되는 칸막이(200)에 양측부로 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서서히 호형(弧形)의 곡면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호형의 곡면이 마스크 착용자의 코와 윗입술 사이의 얼굴과 밀착재(230)가 접촉되면서 밀접한 상태로 맞닿을 수 있으므로 칸막이(200)의 기능 및 역할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덴탈마스크와 같은 수술용 마스크의 경우에는 칸막이(200) 역시 두께가 얇고 구김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상기한 덴탈마스크 등에 설치되는 칸막이(200)에는 굳이 호형의 곡면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한편, 상기 마스크시트(110)의 중앙 상부 내측에는 절곡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150)을 설치하여, 마스크시트(110)을 착용하는 착용자가 자신의 코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마스크시트(110)가 얼굴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마스크 착용시 마스크시트(110)가 착용자의 얼굴과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하여 편리성을 도모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마스크를 착용하여 사용중 오염되어 새로운 마스크를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칸막이(200)를 사용중이던 마스크의 마스크시트(110)로 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교체하고자 하는 마스크의 마스크시트(110)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착탈부재(190)를 이용해 재설치하여 주는 것에 의해, 상기 마스크시트(110)의 내측에 코부위가 위치되는 공기 흡입부(170)와 입부위가 위치되는 공기 흡입배출부(180)가 구획되어지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마스크 착용자가 들숨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청정공기가 마스크시트(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코로 날숨시에는 포집부재(210)의 포집실(211)에 1차적으로 포집된 후 공기 배출기(220)에 의해 마스크시트(110)의 공기 흡입배출부(180)를 거쳐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새로운 마스크에 별도의 새로운 칸막이를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마스크를 제작시 불필요하게 많은 제작비용이 들게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마스크에 설치되는 칸막이에 의해 자연환경이 파손되는 것이 억제되어지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마스크시트 111 : 외부필터체
112 : 내부필터체 120 : 귀걸이부
140 : 간격유지부재 141 : 밀착부재
142 : 탄성부재 150 : 프레임
170 : 공기 흡입부 180 : 공기 흡입배출부
190 : 착탈부재 200 : 칸막이
210 : 포집부재 211 : 포집실
220 : 공기 배출용팬

Claims (5)

  1. 외부필터체(111)와 내부필터체(112)로 구성된 마스크시트(110)와,
    마스크시트(110)의 좌, 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귀걸이부(120)와,
    마스크시트(110)의 내측에 코부위가 위치되는 공기 흡입부(170)와 입부위가 위치되는 공기흡입배출부(180)가 구획되도록 횡방향으로 벨크로테이프 구조의 착탈부재(190)에 의해 마스크시트(110)의 내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칸막이(200)와,
    공기 흡입부(170)에 위치되는 코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마스크시트(110)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칸막이(20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간격유지부재(140)와,
    간격유지부재(140)에 외측면이 밀착되어 있는 코를 통해 날숨시 발생되는 공기를 포집하도록 공기흡입부(170)와 연통하는 상부가 개구된 포집실(211)을 가지며 공기 흡입배출부(180)에 위치되도록 칸막이(200)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포집부재(210)와,
    포집실(211)로 날숨시 발생된 공기가 포집되면서 원활하게 공기 흡입배출부(180)를 통해 마스크시트(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포집부재(21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 배출기(220)로 구성되되;
    칸막이(200)의 후부에는 얼굴의 외측면을 따라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밀착되는 실리콘재질의 밀착재(230)가 결합되고,
    칸막이(200)에 의해 구획된 공기흡입배출부(180)에 위치하는 포집부재(210)의 후부에는 입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포집실(211)로 원활하게 가이드되면서 유입되도록 하는 배출부(212)가 입주변에 위치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공기 배출기(220)는 모터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팬 또는 일방향밸브이고,
    간격유지부재(140)는,
    코의 외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밀착부재(141)와,
    밀착부재(141)와 마스크시트(11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142)로 구성되며,
    마스크시트(110)의 중앙 상부 내측에는 절곡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150)이 설치되되;
    밀착부재(141)의 좌우 양측 하부에는 공기흡입부(143)를 각각 절개 형성되며,
    칸막이(200)는 양측부로 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서서히 호형(弧形)의 곡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18608A 2022-09-20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 KR102671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608A KR102671634B1 (ko) 2022-09-20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608A KR102671634B1 (ko) 2022-09-20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803A KR20240039803A (ko) 2024-03-27
KR102671634B1 true KR102671634B1 (ko) 2024-05-31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7584A (zh) * 2019-01-03 2020-07-10 深圳市美好创亿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通气防护面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7584A (zh) * 2019-01-03 2020-07-10 深圳市美好创亿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通气防护面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108B1 (ko) 스마트 마스크
US6718981B2 (en) Dental mask
US20200061399A1 (en) Venus Flu Trap
KR200480161Y1 (ko) 복식호흡 구조를 갖는 패션형 마스크
US9084905B2 (en) Air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6820345A (zh) 一种防眼镜起雾口罩
CN111358084A (zh) 一种口罩
JP2002345985A (ja) 鼻呼吸マスク
KR102671634B1 (ko)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
CN211798353U (zh) 一种可杀灭病毒的呼吸用空气净化装置
KR102065578B1 (ko) 이필름 필터를 구비한 마스크
KR102448200B1 (ko)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
KR20240039803A (ko) 격리된 공기 흡입부와 공기 흡입배출부를 가진 마스크
KR102327702B1 (ko) 광물 미세분말을 도포한 교체형 필터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
CN212038647U (zh) 一种可重复使用的双通道口罩
CN212383097U (zh) 一种呼入呼出分滤式口罩
CN103478928A (zh) 呼吸隔离式口罩
KR20210123561A (ko)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CN106072914A (zh) 一种鼻腔直通式呼吸滤袋口罩
CN208708787U (zh) 一种传染病预防装置
CN212233214U (zh) 具有进出单向气流通道和气体净化结构的口罩
CN205516062U (zh) 一种防尘口罩
CN213370075U (zh) 一种新型的防护口罩
CN213077262U (zh) 一种一次性鼻伞器具
CN212325453U (zh) 一种导向排气式口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