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9937B1 -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9937B1
KR102669937B1 KR1020230081505A KR20230081505A KR102669937B1 KR 102669937 B1 KR102669937 B1 KR 102669937B1 KR 1020230081505 A KR1020230081505 A KR 1020230081505A KR 20230081505 A KR20230081505 A KR 20230081505A KR 102669937 B1 KR102669937 B1 KR 102669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r
base
voice coil
coil moto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15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04097A (en
Inventor
박상옥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9688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70272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937B1/en
Publication of KR2023010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0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937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렌즈를 포함하고 제 1 구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자와; 상기 제 1 구동부와 전자기력 작용으로 상기 가동자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가 고정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가 업(up) 자세 또는 사이드(side)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는 상기 베이스에 접촉되고, 상기 렌즈가 다운(down)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는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er including a lens and formed with a first driving part; a stator formed with the first driving part and a second driving part that drives the mover by the action of electromagnetic force; The stator includes a base on which the stator is fixed, and when the lens is in an up position or a side position, the movabl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base, and when the lens is in a down position, the movabl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base. It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Camera module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최근 들어,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 휴대폰 및 타블릿 PC 등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mobile phones and tablet PCs with built-in ultra-small camera modules have been developed.

종래 휴대폰 등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의 경우, 외부광을 디지털 이미지 또는 디지털 영상으로 변경하는 이미지 센서 및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었으나, 최근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와 같은 렌즈 구동 장치가 개발되어 카메라 모듈에서 보다 개선된 디지털 이미지 또는 디지털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In the case of conventional digital camera modules applied to mobile phones, etc., it was not possible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image sensor and lens, which changes external light into a digital image or digital image, but recently, voice coil motors that adjust the gap between the image sensor and lens are used. The same lens driving device was developed, making it possible to obtain improved digital images or digital videos from the camera module.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는 내부에 렌즈가 장착된 가동자가 베이스로부터 상부로 이동하여 렌즈 및 베이스의 후면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In a voice coil motor generally applied to a camera module, a mover with a lens mounted inside moves from the base to the top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placed on the back of the base.

종래 보이스 코일 모터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탄성 부재가 가동자를 눌러 베이스에 접촉시키는 구조를 갖는다.A conventional voice coil mo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member presses the mover into contact with the base when a drive signal is not applied.

즉, 종래 보이스 코일 모터는 탄성 부재가 가동자를 누르기 때문에 가동자가 베이스로부터 이격 되기 위해서는 가동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자기력이 탄성 부재의 탄성력 및 가동자의 자중보다 커야 한다.That is, in a conventional voice coil motor, because the elastic member presses the mover, the electromagnetic force for driving the mover must be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self-weight of the mover in order for the mover to be separated from the base.

또한, 종래 보이스 코일 모터의 가동자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자세에 따라서 약 30㎛ 내지 50㎛의 변위를 갖는다.Additionally, the mover of a conventional voice coil motor has a displacement of about 30㎛ to 50㎛ depending on the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그러나 종래 보이스 코일 모터의 가동자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자세에 따라 변위를 가질 뿐만 아니라 구동 신호를 인가하더라도 구동되지 않는 미구동 구간을 포함하지만 이를 반영하지 못한 오토 포커싱 알고리즘에 의하여 가동자가 구동되기 때문에 오토 포커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However, the mover of the conventional voice coil motor not only has displacement depending on the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but also includes an undriven section that is not driven even when a drive signal is applied, but the mover is driven by an auto-focusing algorithm that does not reflect this, resulting in auto-focusing. It has the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reducing the current consumption of a camera module.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렌즈를 포함하고 제 1 구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자와;a mover including a lens and having a first driving portion;

상기 제 1 구동부와 전자기력 작용으로 상기 가동자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자와;a stator formed with the first driving part and a second driving part that drives the mover by the action of electromagnetic force;

상기 고정자가 고정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It includes a base on which the stator is fixed,

상기 렌즈가 업(up) 자세 또는 사이드(side)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는 상기 베이스에 접촉되고, 상기 렌즈가 다운(down)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는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When the lens is in an up position or a side position, the movabl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base, and when the lens is in a down position, the movable member is provided with a camera module spaced apart from the base. do.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제 1 구동부는 권선된 코일이고, 상기 제 2 구동부는 자석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구동부는 자석이고, 상기 제 2 구동부는 권선된 코일일 수 있다.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iving part may be a wound coil and the second driving part may be a magnet, or the first driving part may be a magnet and the second driving part may be a wound coil.

또, 상기 렌즈가 업 자세인 경우, 상기 코일에 기준 전류 미만의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가동자가 구동되지 않고, 상기 코일에 기준 전류 이상의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가동자가 구동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lens is in the up position, when a current less than the reference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mover is not driven, and when a current great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mover may be driven.

또한, 상기 사이드 자세에서 가동자를 구동시키는 스타트 전류(start current)는 상기 업 자세에서 가동자를 구동시키는 스타트 전류보다 작을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art current that drives the mover in the side position may be smaller than the start current that drives the mover in the up position.

게다가, 상기 사이드 자세에서 스타트 전류는, 0-10㎃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arting current in the side posture may be 0-10 mA.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렌즈를 포함하고 제 1 구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자와;a mover including a lens and having a first driving portion;

상기 제 1 구동부와 전자기력 작용으로 상기 가동자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자와;a stator formed with the first driving part and a second driving part that drives the mover by the action of electromagnetic force;

상기 고정자가 고정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It includes a base on which the stator is fixed,

상기 렌즈가 업(up)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는 상기 베이스에 접촉되고, 상기 렌즈가 사이드(side) 자세 또는 다운(down)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는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When the lens is in an up position, the mover is in contact with the base, and when the lens is in a side position or down position, the mover is provided with a camera module spaced apart from the base. do.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베이스는 중앙부에 광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동자의 하부 스톱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고정자는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light passes in the center, the base serves as a lower stopper of the mover, and an image sensor is disposed on the rear of the base. And the stator can be fixed on the base.

또한, 상기 가동자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이 상기 고정자에 고정되어, 상기 가동자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has one side fixed to the mover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fixed to the stator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ver.

아울러, 상기 렌즈가 다운(down) 자세일 때, 상기 가동자가 역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lens is in a down position, the mover can be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렌즈를 포함하는 가동자와, a mover including a lens;

상기 가동자를 구동시키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며,Includes an actuator that drives the mover,

상기 렌즈가 업(up) 자세 또는 사이드(side)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는 상기 가동자의 스토퍼 기능을 하는 베이스에 접촉되고, 상기 렌즈가 다운(down)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가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거나, When the lens is in an up position or side position, the movable member is in contact with a base that functions as a stopper for the movable member, and when the lens is in a down position, the movable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Or,

또는 상기 렌즈가 업(up)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가 상기 베이스에 접촉되고, 상기 렌즈가 사이드(side) 자세 또는 다운(down)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가 상기 베이스와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Alternatively, when the lens is in an up position, the movabl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base, and when the lens is in a side position or down position, a camera module is provided in which the movable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do.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엑추에이터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엑추에이터, 압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엑추에이터,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멤즈(MEMS) 엑추에이터 중 하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tor may be one of a voice coil motor (VCM) actuator, an actuator driven by piezoelectric force, or a MEMS actuator driven by a capacitance method. .

또, 상기 렌즈의 업(up) 자세, 사이드(side) 자세와 다운(down) 자세 중 하나의 자세를 판단하여 자세 데이터를 출력하는 자세 감지 센서와; 상기 자세 감지 센서에서 출력된 자세 데이터로, 상기 엑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와;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을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osture detection sensor that determines one of the up, side, and down postures of the lens and outputs posture data; an image signal processor (ISP) that generates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actuator using the posture data output from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It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sensor that change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into a digital signal.

게다가, 상기 자세 감지 센서는, 중력의 방향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osture sensor may include a gyro sensor that detects the direction of gravity.

그리고, 상기 렌즈가 다운(down) 자세일 때, 상기 가동자가 역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And, when the lens is in a down position, the mover can be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더불어, 상기 렌즈가 업 자세인 경우, 상기 코일에 기준 전류 이상의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가동자가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ns is in the up position and a current great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mover may be driven.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 모터 또는 렌즈의 자세를 검출하고, 이 자세 데이터로 보이스 코일 모터를 제어하여, 소모 전류를 줄이고, 최적화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etecting the posture of a voice coil motor or lens, controlling the voice coil motor with this posture data,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and driving the camera module optimally.

또한, 본 발명은 엑추에이터에 기구적인 오프셋(offset)을 제거하여 전류 소모량을 감소시키고, 전자기력의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키며, 스프링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반대 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디포커스(defocus)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초기 포커싱이 불필요하여 카메라 모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current consumption by eliminating mechanical offset in the actuator, increases the design freedom of electromagnetic force, and solves the defocus problem by applying curr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even when a change in the spring occurs.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yield of the camera module by eliminating the need for initial focus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상측 방향에 위치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측면 방향에 위치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하측 방향에 위치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자세에 따른 전류-거리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to explain that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to explain that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side direc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to explain that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igure 5 is a graph showing current-dist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dditionally,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800)은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100), 자세 감지 센서(200),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400), 이미지 센서(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amera module 800 includes a voice coil motor 100 driven in one direction, a posture detection sensor 200, an autofocus algorithm 300, an image signal processor 400, an image sensor 500, and Includes a control unit 600.

여기서,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100)는 렌즈를 포함하는 가동자를 포함하며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어 카메라 모듈(800)의 오토 포커싱을 수행한다.Here, the voice coil motor 100 includes a mover including a lens and is driven by electromagnetic force to perform auto-focusing of the camera module 800.

그리고, 상기 자세 감지 센서(200)는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100) 또는 렌즈의 자세를 판단하여 자세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400)는 상기 자세 감지 센서(200)에서 출력된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자세에 대응하는 자세 데이터로, 상기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에 의하여 산출된 상기 렌즈의 최적 초점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In addition,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200 determines the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100 or the lens and outputs posture data, and the image signal processor (ISP) 400 is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 Driving to drive the voice coil motor using the optimal focus value of the lens calculated by the autofocus algorithm 300 with posture data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100 output from 200) generates a signal.

여기서, 상기 자세 감지 센서(200)는, 중력의 방향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osture sensor 200 may include a gyro sensor that detects the direction of gravity.

또, 상기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은 오토 포커싱을 정확하게 구현 및 빠른 오토 포커싱 응답 시간을 구현하기 위해서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최적 초점 값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autofocus algorithm 300 detects the optimal focus value of the voice coil motor 100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subject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in order to accurately implement autofocusing and implement a fast autofocusing response time.

이때, 상기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300)은 상기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400)의 내부에 알고리즘 형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이미지 센서 프로세서(400)와 별개의 칩에 내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tofocus algorithm 300 may be used in the form of an algorithm inside the image signal processor 400, or may be used by being built into a chip separate from the image sensor processor 400.

그러므로, 상기 자세 감지 센서(200)는 후술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 모터(100) 또는 렌즈의 세 가지 자세를 센싱한다. Therefore,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200 senses three postures of the voice coil motor 100 or the lens, as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자세 감지 센서(200)는 보이스 코일 모터(100) 또는 렌즈의 세 가지 이상의 자세를 센싱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자세 감지 센서(200)가 보이스 코일 모터(100) 또는 렌즈의 업(up) 자세, 사이드(side) 자세 및 다운(down) 자세 등 세 가지 자세를 센싱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200 can sense three or more postures of the voice coil motor 100 or the lens. 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200 uses a voice coil motor ( 100) Alternatively, we will explain sensing three postures, including the up posture, side posture, and down posture of the lens.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500)는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을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100), 상기 자세 감지 센서(200), 상기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400) 및 상기 이미지 센서(500)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image sensor 500 change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voice coil motor 100,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200, and the image signal processor 400. ) and controls the image sensor 500.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데이터 버스 및/또는 콘트롤 버스를 통해 보이스 코일 모터(100), 자세 감지 센서(200),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400) 및 이미지 센서(500)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voice coil motor 100,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200, the image signal processor 400, and the image sensor 500 through a data bus and/or control bus.

따라서,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 모터 또는 렌즈의 자세를 검출하고, 이 자세 데이터로 보이스 코일 모터를 제어하여, 소모 전류를 줄이고, 최적화로 카메라 모듈을 구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detecting the posture of the voice coil motor or lens, controlling the voice coil motor with this posture data,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and driving the camera module optimally.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상측 방향에 위치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측면 방향에 위치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하측 방향에 위치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to explain that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Figure 3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side direction. This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nation, and Figure 4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to explain that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전술된 바와 같이, 도 2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상측 방향에 위치한 업(up) 자세를 도시한 것으로, "업(up) 자세"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가동자(130)의 렌즈(135)의 광축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베이스(110)가 지면과 마주하게 배치된 자세로서 정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Figure 2 shows an up posture with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positione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up posture" refers to the position of the lens 135 of the mover 130 of the voice coil motor. It can be defined as a posture in which the optical axis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base 110 is disposed to face the ground.

또한, 도 3은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측면 방향에 위치한 사이드(side) 자세를 도시한 것으로, "사이드(side) 자세"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가동자(130)의 렌즈(135)의 광축이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베이스(110)가 지면과 수직 하게 배치된 자세로서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Figure 3 shows a side posture in which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is located in the side direction. The "side posture" refers to the position where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135 of the mover 130 of the voice coil motor is positioned on the ground. It can be defined as a posture in which the base 110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nd arrange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아울러, 도 4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하측 방향에 위치한 다운(down) 자세를 도시한 것으로, "다운(down) 자세"는 보이스 코일 모터(100)의 가동자(130)의 렌즈(135)의 광축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커버(150)가 지면과 마주하게 배치된 자세로서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Figure 4 shows a down posture in which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is loc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down posture" refers to the position of the lens 135 of the mover 130 of the voice coil motor 100. It can be defined as a posture in which the optical axis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cover 150 is disposed to face the ground.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135)를 포함하고 제 1 구동부(138)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자(130)와, 상기 제 1 구동부(138)와 전자기력 작용으로 상기 가동자(130)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125)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자(120)와, 상기 고정자(120)가 고정되는 베이스(110)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135)가 업(up) 자세 또는 사이드(side)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130)는 상기 베이스(110)에 접촉되고, 상기 렌즈(135)가 다운(down)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130)는 상기 베이스(110)와 이격되어 있다.Here,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able element 130 including a lens 135 and a first driving part 138, and the movement is performed by the action of the first driving part 138 and electromagnetic force. It includes a stator 120 on which a second driving unit 125 that drives the ruler 130 is formed, and a base 110 on which the stator 120 is fixed, and the lens 135 is in an up position.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the side posture, the movable member 130 is in contact with the base 110, and when the lens 135 is in the down posture, the movable member 130 is in contact with the base 110. ) and is spaced apart.

그리고,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135)가 업(up) 자세 또는 사이드(side) 자세인 경우, 일부 오프셋이 존재하고, 상기 렌즈(135)가 다운(down)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130)의 중력 방향 자중에 의해 처짐으로 인해 오프셋이 소멸될 수도 있다.In addition , when the lens 135 is in an up position or side position, the camera module has some offset, and when the lens 135 is in a down position, the movable member 130 ), the offset may disappear due to deflection due to its own weight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이때, 상기 가동자(130), 고정자(120), 베이스(110)는 보이스 모터 코일(100)의 부품이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ver 130, stator 120, and base 110 may be parts of the voice motor coil 100.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100)는 상기 렌즈(135)를 구동시켜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voice coil motor 100 drives the lens 135 to perform an auto-focusing function.

예컨대,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100)에 장착된 상기 렌즈(135)는 상기 베이스(110)로부터 상승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렌즈(135) 및 상기 이미지 센서(500) 사이에 포커싱 동작이 수행된다.For example, the lens 135 mounted on the voice coil motor 100 moves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base 110, and in this process, a focusing operation occurs between the lens 135 and the image sensor 500. It is carried out.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100)는 베이스(110), 고정자(120), 가동자(130), 탄성 부재(140) 및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oice coil motor 100 may include a base 110, a stator 120, a mover 130, an elastic member 140, and a cover 150.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는 중앙부에 광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가동자(130)의 하부 스톱퍼로서 역할한다.Additionally, the base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light passes in the center, and the base 110 serves as a lower stopper of the mover 130.

또, 상기 베이스(110)의 후면 또는 상기 베이스(110)의 후방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500)는 상기 가동자(130)의 렌즈를 통해 포커싱 된 광을 디지털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변경시킨다.Additionally, the image sensor 50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of the base 110 or at the rear of the base 110. The image sensor 500 changes the light focused through the lens of the mover 130 into a digital image or video.

또한, 상기 고정자(120)는 상기 베이스(110) 상에 고정된다.Additionally, the stator 120 is fixed on the base 110.

여기서, 상기 제 1 구동부(138)는 자석일 수 있고, 상기 제 2 구동부(125)는 권선된 코일일 수 있다.Here, the first driving unit 138 may be a magne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25 may be a wound coil.

이와 반대로, 상기 제 1 구동부(138)는 권선된 코일일 수 있고, 상기 제 2 구동부(125)는 자석일 수 있다.Conversely, the first driving unit 138 may be a wound coil,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25 may be a magnet.

그리고, 상기 고정자(120)의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수납공간에 상기 가동자(130)가 위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 storage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stator 120, and the mover 130 may be located in this storage space.

더불어, 탄성 부재(140)는 일측이 상기 가동자(130)에 고정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이 상기 고정자(120)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 부재(140)는 상기 가동자(1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140 is fixed to the mover 130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is fixed to the stator 120, so that the elastic member 140 elastically supports the mover 130. can be suppor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140)는 상기 가동자(130)의 외주면 하단에 형성된 제 1 탄성 부재(143) 및 상기 가동자(130)의 외주면 상단에 형성된 제 2 탄성 부재(146)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140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143 form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er 130 and a second elastic member formed at the top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er 130 ( 146) may be included.

상기 탄성 부재(140)는 도 2의 렌즈가 상측 방향에 위치한 업(up) 자세에서, 상기 고정자(120)의 제 2 구동부(125) 및 상기 가동자(130)의 제 1 구동부(138)의 전자기력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가동자(130)를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접촉시킨다.The elastic member 140 moves the second driving part 125 of the stator 120 and the first driving part 138 of the mover 130 in the up position with the lens of FIG. 2 positioned in the upward direction. When electromagnetic force is not applied, the mover 1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즉, 상기 탄성 부재(140)는 상기 고정자(120)의 제 2 구동부(125) 및 상기 가동자(130)의 제 1 구동부(138)의 전자기력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가동자(130)의 무게에 의해 상기 가동자(13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접촉한다.That is, when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second driving part 125 of the stator 120 and the first driving part 138 of the mover 130 is not applied, the elastic member 140 acts on the mover 130. The mover 130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due to its weight.

이때,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100)는 상기 가동자(13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간의 오프셋(Offset)은 대략 0.03mm 정도가 존재하는 것으로 느끼게 된다.At this time, the voice coil motor 100 feels that the offset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er 130 and the base 110 is approximately 0.03 mm.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도 2의 렌즈가 상측 방향에 위치한 업(up) 자세에서 상기 가동자(130)가 베이스(110)로부터 부상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 부재(140)의 탄성력 및 가동자(130)의 자중보다 큰 전자기력을 필요로 한다.Therefore, the camera modul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and An electromagnetic force greater than the self-weight of the mover 130 is required.

그리고, 커버(150)는 상기 베이스(110)에 고정되며, 상기 커버(150)는 고정자(120) 및 가동자(130)를 감싼다. 또한, 커버(150)는 가동자(130)를 멈추는 상부 스톱퍼로서 역할한다.Then, the cover 150 is fixed to the base 110, and the cover 150 surrounds the stator 120 and the movable member 130. Additionally, the cover 150 serves as an upper stopper to stop the mover 130.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렌즈(135)가 업(up)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130)가 상기 베이스(110)에 접촉되고, 상기 렌즈(135)가 사이드(side) 자세 또는 다운(down)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130)가 상기 베이스(110)와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ns 135 is in an up position, the mover 130 is in contact with the base 110, and the lens 135 is in a side position or down position. ) In the case of the posture, the mover 130 can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110.

그리고,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100)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구동시키는 엑추에이터인, 압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엑추에이터, 또는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멤즈(MEMS) 엑추에이터로도 적용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voice coil motor 100 can be applied as an actuator that drives the lens of a camera module, an actuator driven by piezoelectric force, or a MEMS actuator driven by a capacitive method.

즉,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구동시키는 엑추에이터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엑추에이터, 압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엑추에이터,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멤즈(MEMS) 엑추에이터 중 하나일 수 있다.That is, the actuator that drives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may be one of a voice coil motor (VCM) actuator, an actuator driven by piezoelectric force, or a MEMS actuator driven by a capacitive method.

여기서, 카메라 모듈은 렌즈(135)를 포함하는 가동자(130)와, 상기 가동자(130)를 구동시키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렌즈(135)가 업(up) 자세 또는 사이드(side)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130)는 상기 가동자(130)의 스토퍼 기능을 하는 베이스(110)에 접촉되고, 상기 렌즈(135)가 다운(down)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130)가 상기 베이스(110)와 이격되거나, 또는 상기 렌즈(135)가 업(up)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130)가 상기 베이스(110)에 접촉되고, 상기 렌즈(135)가 사이드(side) 자세 또는 다운(down) 자세인 경우, 상기 가동자(130)가 상기 베이스(110)와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amera modul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ver 130 including a lens 135, and an actuator that drives the mover 130. At this time, the lens 135 is in an up position. Or, in the case of the side posture, the movable member 130 is in contact with the base 110 that functions as a stopper of the movable member 130, and when the lens 135 is in the down posture, the When the mover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110 or the lens 135 is in an up position, the mover 130 is in contact with the base 110 and the lens 135 ) is in a side position or down position, the mover 130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110.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엑추에이터에 기구적인 오프셋(offset)을 제거하여 전류 소모량을 감소시키고, 전자기력의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키며, 스프링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반대 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디포커스(defocus)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초기 포커싱이 불필요하여 카메라 모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current consumption by eliminating mechanical offset in the actuator, increases the design freedom of electromagnetic force, and solves the defocus problem by applying curr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even when a change in the spring occur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prove the yield of the camera module by eliminating the need for initial focusing.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자세에 따른 전류-거리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Figure 5 is a graph showing current-dist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osture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의 "업(up) 자세"에서는 가동자가 베이스에 접촉되고, 상기 가동자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부상하기 위해서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 및 상기 가동자의 자중보다 큰 전자기력을 필요로 함으로, 구동부에는 기준 전류 이상이 인가되어야 한다.First, referring to the graph of FIG. 5, in the “up position” of the camera module, the mover is in contact with the base, and in order for the mover to rise from the bas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an electromagnetic force greater than the self-weight of the mover must be applied. As required, more than the standard current must b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그러므로, 도 5에서 카메라 모듈의 "업(up) 자세"는 'A'그래프의 오토 포커스 탐색 구간을 갖게 된다.Therefore, in FIG. 5, the “up posture” of the camera module has the autofocus search section of the ‘A’ graph.

따라서, 도 5에서 기준 전류[mA] 미만의 전류에서는 상기 가동자가 구동되지 않고, 기준 전류[mA] 미만의 전류 구간은 상기 가동자가 구동되지 않는 미구동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미구동 구간에서는 상기 가동자가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오토 포커스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Therefore, in FIG. 5, the mover is not driven at a current less than the reference current [mA], and the current section below the reference current [mA] can be defined as an undriven section in which the mover is not driven, and this undriven section Since the mover is not driven, autofocus operation is not performed.

그리고, 기준 전류[mA] 이상의 전류에서는 상기 가동자를 구동하는 전자기력이 상기 가동자의 자중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어 가동자가 구동된다.And, at a current greater than the reference current [mA], the electromagnetic force driving the mover becomes greater than the self-weight of the mover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mover is driven.

여기서, 상기 기준 전류[mA] 이상의 전류 구간은 상기 가동자가 구동되는 구동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고, 가동 구간에서는 상기 가동자가 구동되기 때문에 비로소 오토 포커스 동작이 이루어진다.Here, the current section above the reference current [mA] can be defined as a driving section in which the mover is driven, and in the operation section, the autofocus operation is performed only because the mover is driven.

또한, 카메라 모듈의 "사이드(side) 자세"에서는 가동자가 베이스에 접촉되어 있으나, 상기 가동자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부상하기 위해서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 및 상기 가동자의 자중이 고려되지 않아, 가동자에 전류를 인가하는 순간부터 상기 가동자는 구동된다.In addition, in the "side posture" of the camera module, the mover is in contact with the base, but in order for the mover to rise from the bas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self-weight of the mover are not considered, so a current is applied to the mover. From the moment of doing so, the mover is driven.

그러므로, 카메라 모듈의 "사이드(side) 자세"에서는 도 5에서 'B'그래프의 오토 포커스 탐색 구간을 갖게 된다.Therefore, in the "side posture" of the camera module, there is an autofocus search section of the 'B' graph in FIG. 5.

여기서, 사이드 자세로 배치된 보이스 코일 모터는 업 자세로 배치된 보이스 코일 모터에 비하여 작은 전류에서 구동된다.Here, the voice coil motor arranged in the side position is driven at a smaller current than the voice coil motor arranged in the up position.

즉, 사이드 자세에서 가동자를 구동시키는 스타트 전류(start current)는 업 자세에서 가동자를 구동시키는 스타트 전류보다 작은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tart current that drives the mover in the side position is smaller than the start current that drives the mover in the up position.

그리고, 카메라 모듈의 "사이드(side) 자세"에서 스타트 전류(Start current)는 0-10㎃일 수 있고, "업(up) 자세"와 "사이드(side) 자세"의 자세 차이는 약 30~50㎛일 수 있다.And, in the "side posture" of the camera module, the start current may be 0-10 mA, and the pos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 posture" and the "side posture" is about 30 ~ It may be 50㎛.

아울러, 카메라 모듈의 "다운(down) 자세"인 경우, 가동자가 베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도 5에서 'C'그래프의 오토 포커스 탐색 구간을 갖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amera module is in the "down position", the mover is spaced away from the base, resulting in the autofocus search section of the 'C' graph in FIG. 5.

그러므로, 카메라 모듈의 "다운(down) 자세"에서는 가동자가 역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down position” of the camera module, the mover can be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자(130)가 베이스(110)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다운 자세일 때,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탄성부재(140)는 가동자(130)가 베이스(110)로부터 이격된 제1초기위치에 배치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다운 자세일 때, 코일에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가동자(130)는 제1초기위치로부터 베이스(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mover 130 is in the down position disposed below the base 110, the elastic member 140 moves the mover 130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It can be supported to be placed in a first initial position away from the base 110. When in the down position, when a reverse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mover 130 can move from the first initial position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base 11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자(130)가 베이스(110)보다 위에 배치되는 업 자세일 때,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탄성부재(140)는 가동자(130)가 제1초기위치와 상이한 제2초기위치에 배치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업 자세일 때, 코일에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가동자(130)는 제2초기위치로부터 도 5에 도시된 매크로(macro) 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매크로 위치는 접사 위치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mover 130 is in the up position disposed above the base 110,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elastic member 140 is held by the mover 130. It can be supported to be placed in a second initial posi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initial position. When in the up position, when a forward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mover 130 can move from the second initial position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macro position shown in FIG. 5. Here, the macro position may be an affix posi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초기위치부터 매크로 위치까지의 거리(D)는 제1초기위치부터 베이스(110)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거리(E)보다 길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위치에서 가동자는 베이스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매크로 위치에서 가동자는 커버와 이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istance (D) from the first initial position to the macro position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E) from the first initial position to the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ase 110. As shown in Figure 5, in the macro position the mover can move furth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That is, in the macro position the movable membe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ver.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y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scope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patent claims.

Claims (19)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커버;
상기 커버 내에 배치되는 가동자; 및
상기 커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자를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코일과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동자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코일에는 상기 가동자를 상기 베이스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거나, 상기 가동자를 상기 베이스와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Base;
a cover disposed on the base;
a mover disposed within the cover; and
It includes a coil and a magnet disposed within the cover and moving the mover along an optical axis,
When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mover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A voice coil motor in which a reverse current that moves the mover toward the base is applied to the coil, or a forward current that moves the mover away from the base is applied to the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가동자는 매크로 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매크로 위치에서 상기 가동자는 상기 커버와 이격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a forward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mover mov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macro position,
A voice coil motor in which the movable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cover in the macro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중앙부에 광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가동자의 하부 스톱퍼로서 역할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ase has a plate shape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light passes in the center, and serves as a lower stopper of the m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사이드 자세일 때,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가동자는 상기 베이스에 접촉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 voice coil motor in which the mover is in contact with the base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when the optical axis is in a side posture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가동자의 상부 스톱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ver is fixed to the base,
A voice coil motor in which the cover serves as an upper stopper of the m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가동자는 매크로(macro) 위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매크로(macro) 위치에서 상기 가동자는 상기 커버와 이격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a forward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mover mov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macro position,
A voice coil motor in which the movable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cover in the macro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가동자를 상기 베이스를 향하여 최 장거리 이동시키는 역방향 전류의 최소값은 상기 초기상태에서 상기 가동자를 상기 베이스와 멀어지도록 최 장거리 이동시키는 정방향 전류의 최소값보다 작은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minimum value of the reverse current that moves the mover the longest distance toward the base is smaller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forward current that moves the mover the longest distance away from the base in the initial state. coil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와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 voice coil motor including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mo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동자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가동자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clause 8,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mover and a second elastic member coupled to a lower part of the mo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가 상기 베이스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다운 자세일 때,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가동자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제1초기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자가 상기 베이스보다 위에 배치되는 업 자세일 때,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가동자는 상기 제1초기위치와 상이한 제2초기위치에 배치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clause 8,
When the mover is in a down position positioned below the base,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he mover is placed in a first initial position away from the base,
A voice coil motor in which, when the mover is in an up position positioned above the base, the mover is placed in a second initial posi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initial position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업 자세일 때, 상기 제2초기위치에서 상기 가동자는 상기 베이스와 접촉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clause 10,
When in the up position, the movabl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base in the second initial posi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업 자세일 때, 상기 코일에 기준 전류 이상의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가동자가 이동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clause 10,
A voice coil motor in which the mover moves when a forward current greater than a reference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in the up posi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업 자세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동자에 오프셋이 존재하도록 가압하고,
상기 다운 자세에서 상기 오프셋은 상기 가동자의 자중에 의한 처짐으로 소멸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
According to clause 10,
In the up position, the elastic member presses the mover so that an offset exists,
A voice coil motor in which, in the down position, the offset disappears due to deflection due to the self-weight of the mover.
이미지센서;
제10항의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의 상기 가동자에 결합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image sensor;
The voice coil motor of claim 10; and
A camera module comprising a lens coupled to the mover of the voice coil moto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업 자세 및 상기 다운 자세 중 하나의 자세를 판단하여 자세 데이터를 출력하는 자세 감지 센서; 및
상기 자세 감지 센서에서 출력된 자세데이터로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use 14,
a posture detection sensor that determines one of the up posture and the down posture and outputs posture data;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n image signal processor (ISP) that generates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voice coil motor using the posture data output from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의 내부에 알고리즘 형태로 사용되거나 상기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오토 포커스 알고리즘은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른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의 초점 값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use 15,
An autofocus algorithm used in the form of an algorithm inside the image signal processor or built into a separate chip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or,
The autofocus algorithm detects the focus value of the voice coil motor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subject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감지 센서는 중력의 방향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use 15,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is a camera module including a gyro sensor that detects the direction of gravity.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폰.A mobile phone including the camera module of any one of claims 14 to 17. 삭제delete
KR1020230081505A 2023-06-23 Camera module KR1026699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1505A KR102669937B1 (en) 2023-06-23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880A KR102270272B1 (en) 2020-04-16 2020-08-03 Camera module
KR1020220092805A KR102549035B1 (en) 2020-08-03 2022-07-26 Camera module
KR1020230081505A KR102669937B1 (en) 2023-06-23 Camera modu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805A Division KR102549035B1 (en) 2020-08-03 2022-07-26 Camera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097A KR20230104097A (en) 2023-07-07
KR102669937B1 true KR102669937B1 (en) 2024-05-29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3431A (en) 2003-12-15 2005-06-30 Sharp Corp Autofocus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3431A (en) 2003-12-15 2005-06-30 Sharp Corp Autofocus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300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sing the same
CN107678121B (en) Voice coil motor
JP2015007804A (en) Camera module
JP4802605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equipped mobile phone
JP2011221138A (en) Imaging element unit, automatic focus adjustment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KR20240038672A (en) Method for auto focusing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pplying the same
KR102669937B1 (en) Camera module
KR102549035B1 (en) Camera module
KR102142666B1 (en) Camera module
KR102103561B1 (en) Camera module
KR102164662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KR102315448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KR102647889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JP2014089265A (en) Method to assemble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KR102167779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KR101921247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sing the same
KR102077849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KR102318960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JP6158043B2 (en) Camera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imaging lens positioning method
KR102077850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uto focusing the same
CN115308872A (en) Piezoelectric actuating assembly, lens module,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1227110A (en) Imaging element unit, automatic focusing device and imag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