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9597B1 -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9597B1
KR102669597B1 KR1020230069955A KR20230069955A KR102669597B1 KR 102669597 B1 KR102669597 B1 KR 102669597B1 KR 1020230069955 A KR1020230069955 A KR 1020230069955A KR 20230069955 A KR20230069955 A KR 20230069955A KR 102669597 B1 KR102669597 B1 KR 102669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ower plant
nuclear power
aggregat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9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이창형
김양배
Original Assignee
(주)제이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제이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69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03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8Use of auxiliary physical effects, e.g. ultrasonics, irradiation, for disintegrating
    • B02C19/186Use of cold or heat f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B02C23/20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afte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22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after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recirculation of material to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8Use of auxiliary physical effects, e.g. ultrasonics, irradiation, for disintegrating
    • B02C2019/183Crushing by discharge of high electrical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2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reinforc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연속되게 이동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가열하면서 건조작업을 진행하는 가열건조부; 상기 가열건조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분쇄하여 골재와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분리시키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를 통과하여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분리된 골재를 세척수에 담수시킨 후에 고전압의 전류를 공급하여 충격을 제공하는 전기 충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충격부를 통과한 골재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순환되어 상기 가열건조부에 재투입되고, 가열공정 및 건조공정이 진행된 후에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를 상기 분쇄부로 재투입시키고,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제거된 골재를 분리시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 {Nuclear power plant waste concrete reducing using treatment device using concrete electric shocking and a nuclear power plant waste concrete reducing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가열한 후에 분쇄공정을 진행하여 골재로부터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분리시키고,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 고전압 전기충격을 가하여 골재로부터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원전 해체 콘크리트 처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성 폐기물은 원자력 관련 시설을 운영할 때나 시설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다량으로 발생한다.
원자력시설 해체 시 발생되는 고체 방사성 폐기물은 비가연성 방사성 폐기물과 가연성 방사성 폐기물로 나눌 수 있으며, 비가연성 방사성 폐기물로는 금속 등이 있고, 이러한 금속 폐기물은 주로 용융 등의 방법에 의해 처리된다.
또한, 가연성 방사성 폐기물은 소각 등의 방법에 의해 처리되는데, 가연성 방사성 폐기물을 소각처리할 경우, 폐기물의 체적 감소비인 감용비(volume reduction ratio)는 50~80% 정도이며, 소각 후에는 2차 폐기물이라 할 수 있는 반응성이 작은 소각재(ash) 형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소각재는 분산성이 크고 취급이 불편하며, 소각 특유의 감용효과로 인해 유해중금속이나 방사성 핵종이 농축되어 있으므로 처분에 적합한 형태로 고형화 처리하거나 안정화 처리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종래의 소각재나 폐수지 등과 같은 가연성 고체 방사성 폐기물과 관련한 안정화 처리 방법은 시멘트 고화, 아스팔트 고화, 폴리머 고화 및 파라핀 고화 등의 방법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들을 통해 방사성 폐기물을 고화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고형화된 고화체를 제조하여 처리하였다.
그러나 시멘트 고화는 별도의 고화체를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 폐기물의 양이 증가하여 폐기물의 감용 효과를 감소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스팔트 고화 및 폴리머 고화는 고화체 자체가 가연성이어서 화재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라핀 고화는 침수 및 침출시험, 인화성 시험 등의 시험기준을 충족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사성 폐기물의 고형화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 때문에, 종래에는 방사성 폐기물의 감용비를 증대시키기 위해 방사성 폐기물을 고도의 건전성을 갖는 저장용기에 그대로 장입한 후 매립하는 방법도 고려되어 왔으나, 폐기물이 장입되는 고건전성 저장용기의 가격이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처분비용 증가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화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화를 위한 첨가제를 최소화하고, 균일하게 교반되어 부피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고화체의 제조 기술이 요구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피저감 및 안정화 기술을 이용한 원전 해체폐기물 연속처리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연속처리시스템은,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유동성 이온교환수지를 고화체로 제조하기 위한 부피저감 및 안정화 기술을 이용한 원전해체폐기물 연속처리시스템에서, 유동성 이온교환수지를 흡입하고, 포함된 수분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건조된 유동성 이온교환수지를 분쇄하는 분쇄부와, 분쇄된 유동성 이온교환수지분말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된 유동성 이온교환수지분말에 에폭시와 경화제를 교반하는 교반모듈, 및 교반된 유동성 이온교환수지를 가열하는 가열모듈로 구성된 고형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4868호(2020년 07월 16일 공고, 발명의 명칭 : 부피저감 및 안정화 기술을 이용한 원전 해체폐기물 연속처리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연속처리시스템은, 연료를 사용하여 가열되는 열풍을 공급하면서 건조공정이 진행되고, 골재로부터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분리시키기 위해 충격을 제공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원전 해체 콘크리트로부터 콘크리트 페이스를 분리시키기 어렵고, 원전 해체 콘크리트로부터 골재를 회수하여 재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가열한 후에 분쇄공정을 진행하여 골재로부터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분리시키고,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 고전압 전기충격을 가하여 골재로부터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원전 해체 콘크리트 처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연속되게 이동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가열하면서 건조작업을 진행하는 가열건조부; 상기 가열건조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분쇄하여 골재와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분리시키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를 통과하여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분리된 골재를 세척수에 담수시킨 후에 고전압의 전류를 공급하여 충격을 제공하는 전기 충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충격부를 통과한 골재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순환되어 상기 가열건조부에 재투입되고, 가열공정 및 건조공정이 진행된 후에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를 상기 분쇄부로 재투입시키고,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제거된 골재를 분리시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열건조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가 통과되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 열풍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건조로; 상기 건조로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을 제공하는 온풍기; 상기 온풍기로부터 제공되는 열풍을 상기 건조로 내부로 안내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고, 열풍을 상기 건조로 내부로 압송하는 공급팬; 상기 건조로 내부에 공급된 열풍을 상기 건조로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건조로 내부에 제트기류를 성형하는 배기팬; 및 상기 건조로 외벽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건조로 내부로 조사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이송컨베이어에 안착시켜 열풍 및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는 가열건조부를 통과시키면서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가열 건조시키는 단계; (b) 상기 가열건조부에서 배출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분쇄부에 공급하여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분쇄함으로써 골재와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분리시키는 단계; (c) 상기 분쇄부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세척수 수조에 공급하고, 상기 수조에 설치되는 전기 충격부를 구동시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에 고전압의 전류를 공급하여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에 전기 충격을 가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조로부터 배출되는 골재를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순환시켜 상기 가열 건조단계를 반복하고, 상기 가열 건조단계가 진행된 후에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를 상기 분쇄부로 공급하고,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분리된 골재는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a)단계는, 상기 이송컨베이어가 5~15cm/s의 속도로 구동되고, 상기 가열건조부 내부가 100~150℃의 온도로 이루어지며,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 마이크로웨이브가 30~40분간 조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가열건조부를 이용하여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가열시킬 후에 파쇄공정이 진행되므로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골재와 콘크리트 페이스트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원전 해체 콘크리트로부터 골재를 채취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원전 해체 콘크리트의 매립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은,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골재를 선별하여 거를 수 있는 거름부가 구비되므로 골재를 배출하기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골재를 걸러 가열공정 및 분쇄공정을 반복할 수 있어 원전 해체 콘크리트로부터 재활용되는 골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은,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골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작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골재 중에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여 색상이 현저하게 다르게 나타나는 골재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카메라가 구비되므로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로부터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의 위치를 판단하고,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가 벨트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될 때에 골재를 제1수거통으로 안내하는 경사패널을 반전시켜 골재가 제2수거통으로 걸러지도록 구동되어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를 손쉽게 거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의 가열건조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의 가열건조부가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의 가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의 거름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의 분리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의 가열건조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의 가열건조부가 도시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의 가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의 거름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의 분리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연속되게 이동시키는 이송컨베이어(50)와, 이송컨베이어(50)를 따라 이송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가열하면서 건조작업을 진행하는 가열건조부(80)와, 가열건조부(8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분쇄하여 골재와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분리시키는 분쇄부(300)와, 분쇄부(300)를 통과하여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분리된 골재를 세척수에 담수시킨 후에 고전압의 전류를 공급하여 충격을 제공하는 전기 충격부(5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이송컨베이어(50)에 안착시켜 가열건조부(80)에 투입시키면 가열건조부(80)에 제공되는 열풍 및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원전 해체 콘크리트가 가열되고, 가열건조부(80)에서 배출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가 분쇄부(300)에 투입되어 분쇄되면서 골재와 콘크리트 페이스트로 분리되어 배출된다.
분쇄부(300)를 통과하여 분리 배출되는 골재는 전기 충격부(500)의 수조에 공급되어 세척수에 담겨지고, 수조에 설치되는 전극에 전원이 공급되면 1000~1500volt의 전기가 공급되면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에 전기 충격을 제공하게 된다.
전기 충격부를 통과한 골재는 이송컨베이어(50)로 순환되어 가열건조부에 재투입되고, 가열공정 및 건조공정이 진행된 후에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를 분쇄부(300)로 재투입시키고,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제거된 골재를 분리시켜 배출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이송컨베이어(50)는, 가열건조부(80) 및 거름부(100)로부터 분리부(280)까지 지나도록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배치되는 가이드롤러(52)와,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52)에 권취되어 순환되면서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이송시키는 벨트부재(54)와, 벨트부재(54)의 일부분을 외측 방향으로 당기도록 이격되게 배치되는 인장롤러(56)와, 인장롤러(56)에 의해 외측으로 당겨지는 벨트부재(54)의 일부분이 통과되고, 세척수가 담수되는 세척조(58)를 포함한다.
분리부(280) 측 방향으로 길게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5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설치되고, 가이드롤러(52)는 가열건조부(80) 및 거름부(100)를 지나도록 측 방향으로 연속되게 설치된다.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52)를 감싸도록 벨트부재(54)가 설치되고, 하측에는 세척조(58)가 설치되어 가이드롤러(52)를 따라 순환되는 벨트부재(54)의 일부분이 세척조(58) 내부를 통과되게 설치된다.
세척조(58) 내부에는 가이드롤러(52)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인장롤러(56)가 설치되고, 가이드롤러(52)에 감겨지게 설치되는 벨트부재(54)의 일부분이 인장롤러(56)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가이드롤러(52) 및 인장롤러(56)의 둘레면을 순환하는 벨트부재(54)가 세척조(58) 내부를 통과하면서 세척수와 접촉되어 벨트부재(54)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벨트부재(54)는 망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벨트부재(54)에 안착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가 벨트부재(54)에 안착된 상태에서 마이크로웨이브가 공급되면 원전 해체 콘크리트의 상부는 마이크로웨이브와 직접 접촉되면서 건조되고, 원전 해체 콘크리트의 하부는 망 재질로 이루어지는 벨트부재(54)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마이크로웨이브와 접촉되면서 건조되어 원전 해체 콘크리트가 보다 효과적으로 건조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망 재질로 이루어지는 벨트부재(54)는 통기성이 좋아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벨트부재(54)가 거름부(100) 외측으로 이동되어 순환될 때에 인장롤러(56)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세척조(58)를 통과하면서 벨트부재(54)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벨트부재(54)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척조(58)의 내부에는 발광부(58a) 및 수광부(58b)가 설치되므로 발광부(58a)에서 조사되는 빛이 수광부(58b)에 입사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벨트부재(54)에서 수거되는 이물질이 설정치 이상으로 많아지는 경우에는 세척수의 세척성능이 떨어진 상태로 간주하여 세척수의 교체작업이 진행되도록 교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세척조(58)를 통과하여 순환되는 벨트부재(54)에 이물질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가열건조부(80)는, 벨트부재(54)가 통과되는 투입구(82a) 및 배출구(82b)가 형성되고,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건조로(82)와, 건조로(82)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을 제공하는 온풍기(86)와, 온풍기(86)로부터 제공되는 열풍을 건조로(82) 내부로 안내하는 공급관(86a)과, 공급관(86a)에 설치되고, 열풍을 건조로(82) 내부로 압송하는 공급팬(86b)과, 건조로(82) 내부에 공급된 열풍을 건조로(82)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건조로(82) 내부에 제트기류를 성형하는 배기팬(86c)과, 건조로 외벽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모듈(40)을 포함한다.
건조로(82)는 좌우방향으로 긴 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면` 중앙부에 벨트부재(54)가 유입되는 투입구(82a)가 형성되고, 건조로(82)의 배면 중앙부에는 벨트부재(54)가 배출되는 배출구(82b)가 형성되며, 건조로(82) 상부에는 온풍기(86)로부터 연장되는 공급관(86a)이 연결된다.
공급관(86a)이 연결되는 건조로(82) 일측 유로에는 공급팬(86b)이 설치되어 온풍기(86)로부터 전달되는 온풍이 건조로(82) 내부로 압송되도록 하고, 공급팬(86b)에 대향되는 건조로(82) 타측에는 건조로(82)에서 건조작업을 완료한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86c)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는, 공급팬(86b), 배기팬(86c), 온풍기(86) 및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모듈(40)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되고,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공급팬(86b) 및 배기팬(86c)의 구동정도가 조절되면서 건조로(82) 내부에 와류 또는 제트기류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공급팬(86b)의 회전속도를 배기팬(86c)의 회전속도와 비교하여 빠르게 제어하면, 건조로(82)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의 유량과 비교하여 배출되는 열풍의 양이 작아지게 되므로 건조로(82) 내부에 와류가 발생되면서 투입구(82a) 및 배출구(82b) 측으로도 열풍이 배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건조로(82) 내부에서 열풍의 와류가 발생되면 건조로(82) 내부에서 유동되는 열풍과 원전 해체 콘크리트 사이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시간이 증가되므로 건조작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어 건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건조작업이 진행되어 원전 해체 콘크리트의 함수율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건조로(82) 내부에 제트기류를 제공하여 건조로(82) 내부의 수분을 배출시키면서 건조작업의 성능을 배가시키는 단계가 진행되는데, 이때는, 공급팬(86b)과 배기팬(86c)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증가시켜 건조로(82)를 통과하는 열풍의 배출속도를 높이게 된다.
여기서, 제트기류는 건조로(82)를 통과하는 열풍의 속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증가된 상태를 의미하며, 제트기류가 형성되면 건조로(82) 내부의 열풍이 단시간 내에 연속되게 공급되고 배출되면서 건조로(82) 내부에 잔존하는 습기를 건조로(82)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모듈(40)은,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41),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41)에서 발생한 마이크로웨이브를 건조로(82) 안의 벨트부재(54)로 가이드하는 도파관(42)으로 구성된다.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모듈(40)은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41)와 도파관(42)이 결합된 일체형의 모듈로서 건조로(82)의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한 후 체결구를 체결하는 방법을 통해 건조로(82)에 설치되도록 챔버 고정부가 구성된다.
예를 들어 건조로(82)에는 내외부가 통하는 홀을 형성하며 도파관(42)을 건조로(82) 안에 삽입하면 고정부가 건조로(82)의 홀 주변에 형성된 고정부에 일치하고 이들 고정부에 체결부재를 체결함으로써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모듈(40)을 건조로(82)에 설치한다.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모듈(40)은 벨트부재(54)의 위치에 맞춰 건조로(8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다수개가 설치된다.
도파관(42)은 바람직하게 장방형의 직육면체로서 내부가 빈 관의 형태이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전파하기 위한 발진홀(42a)이 구비된다.
도파관(42)은 벨트부재(54)의 폭과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져 벨트부재(54)의 상부에 배치되고, 발진홀(42a)은 도파관(42)의 저면에 저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며 도파관(42)의 저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벨트부재(54)에 안착된 원전 해체 콘크리트의 신속하고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파관(42)은 발진홀(42a)이 벨트부재(54)의 상부를 향하도록 벨트부재(54) 상부에 배치되며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는 발진홀(42a)을 통해 벨트부재(54)에 안착된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 전파되어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건조하며, 이 때 일부 마이크로웨이브가 벨트부재(54)의 아래로 전파될 수 있고 이 마이크로웨이브를 상부의 벨트부재(54)에 전파하기 위하여 벨트부재(54)의 하부에는 반사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다수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모듈(40)은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와 연결되어 작동하며, 즉,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모듈(40)이 모듈화되어 있고 파워 서플라이를 각각 이용하기 때문에 교체를 필요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모듈(40)만을 선택하여 교체, 보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모듈(40)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 시 발생될 수 있는 아크방전 현상을 건조로(82)의 도어를 열지 않고 운전 중에도 확인할 수 있도록 아크확인부가 구비된다.
아크확인부는 건조로(82) 안에서 발생되는 아크방전을 건조로(82)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44) 및 아크센서이다.
확인창(44)은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모듈(40)에 구성되어 일체로 운용되는 점에서 특징이 있으며, 도파관(42)이 이미 건조로(82)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전파하도록 발진홀(42a)을 갖기 때문에 확인창(44)을 도파관(42)과 연계하여 형성하는 것만을 통해 건조로(82)의 외부에서 건조로(82)의 내부를 볼 수 있다.
즉, 건조로(82)에 별도의 홀을 가공하지 않아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출도 더욱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고 제조성도 우수하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41)의 웨이브가이드 런처(waveguide launcher : 45)와 도파관(42)이 연계하도록 구성되며, 확인창(44)은 런처(45)에 형성된다.
확인창(44)은 건조로(82) 외부에서 건조로(82)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투명의 봉 또는 투명의 관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건조로(82)의 내부를 향해 배치되고 타측이 건조로(82)의 외부에 배치된다.
단, 확인창(44)는 육안으로 아크방전의 빛을 볼 수 있는 것이지 평상시 빛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불투명의 보호관으로 덮여 보호될 수 있고 아울러 건조로(82) 외부에 배치되는 관측부에는 보호캡(46)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크센서는 공지의 제품으로서 확인창(44) 안에 1개 이상이 설치되며 아크 발생을 감지하고 컨트롤러는 아크센서에 의한 아크발생이 감지되면 마이크로웨이브 출력 조정 및 정지 등으로 자동 제어하고 이러한 제어를 통해 아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다시 건조 운전 등으로 자동 제어한다.
즉, 본 실시예는, 관리자의 육안확인과 아크센서의 병행을 통해 아크센서가 고장난 경우에도 아크방전의 확인이 가능하고 또한 관리자가 확인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아크방전을 확인하여 제품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건조로(82)에서 이루어지는 밀폐형 공기 순환방법은, 배열의 회수, 외기조건에 관계없이 일정한 조건에서 건조가 가능하며, 건조기 내의 고습도 배기가스의 일부를 직접 가열공기와 혼합하므로 에너지의 효율이 높일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단순 열풍건조기에 비해 약 40~80%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거름부(100)는, 배출구(82b) 외측에 암실을 제공하도록 가이드롤러(52)가 설치되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커버부재와, 가이드롤러(52)가 설치되는 프레임(114b)에 설치되고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며 벨트부재(54)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케이스(184)와, 케이스(184)에 설치되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부재를 포함한다.
커버부재는 배출구(82b) 외측에 일정 공간을 차단하여 암실을 제공하고, 암실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부재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골재에 잔존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와 색상이 다른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완전히 분리된 골재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케이스(184)는 좌우방향을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일면에 개구부(184a)가 형성되는 모양을 이루고, 한 쌍의 케이스(184)는 프레임(114b)에 설치되는 경사지지대(186)에 의해 개구부(184a)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184)는, 한 쌍의 프레임(114b)에 구비되는 경사지지대(186)에 설치되므로 원전 해체 콘크리트의 진행방향과 직교되게 배치되고, 하나의 케이스(184)는 개구부(184a)가 시료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케이스(184)는 개구부(184a)가 시료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므로 한 쌍의 케이스(184)는 개구부(184a)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또한, 케이스(184)는 개구부(184a)가 벨트부재(54)의 상면을 향하도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한 쌍의 개구부(184a)를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은 벨트부재(54)의 상면 일부분에 집중적으로 조사되어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자외선에 노출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케이스(72) 사이에는 골재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가 설치되고, 감지부는, 복수 개의 케이스(184)에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스(184)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골재 중에 콘크리트 페이트스가 잔존하는 골재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카메라(132)를 포함한다.
카메라(132)는 한 쌍의 케이스(184) 사이의 간격에 배치되도록 분기프레임(114d)에 설치되고, 케이스(184)와 비교하여 상측에 배치되므로 카메라(132)는 한 쌍의 케이스(184)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골재를 촬영하게 되고, 카메라(132)는 복수 개가 설치되어 한 쌍의 케이스(184) 사이를 통과하는 벨트부재(54) 상면 전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감지부의 후방에는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완전히 제거된 골재를 벨트부재(54) 외측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부가 구비되고, 분리부는, 프레임(114b)에 설치되고 골재의 진행방향과 직교되게 배치되는 설치대(192)와, 설치대(192)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흡입홀부(194)와, 흡입홀부(194)에 연결되고 진공발생부에 연결되는 흡입관(196)을 포함한다.
설치대(192)는, 한 쌍의 프레임(114b) 사이를 가로지르게 설치되므로 벨트부재(54)의 진행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설치대(192)에는 상면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되는 다수 개의 흡입홀부(194)가 연속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흡입홀부(194)에는 진공발생부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이 전달되도록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는 흡입관(196)이 설치된다.
벨트부재(54)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시료 및 선별 대상광물이 한 쌍의 케이스(184)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때에 광원부재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노출되어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형광되면, 이때, 카메라(132)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케이스(184)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벨트부재(54)의 상면을 촬영하여 제어부에 영상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제어부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벨트부재(54) 상에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완전히 제거된 골재의 위치가 판단되고,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완전히 제거된 골재가 분리부를 통과하는 시간이 계산되어 진공발생부에 구동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때, 다수 개의 흡입홀부(194) 중에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완전히 제거된 골재에 대향되는 흡입홀부(194)에만 진공압이 제공되도록 진공발생부가 구동되므로 다른 위치를 통과하는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는 벨트부재(54)를 따라 이동되어 하강하면서 배출되고, 진공압에 의해 흡입홀부(194) 및 흡입관(196)을 따라 흡입되는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완전히 제거된 골재는 벨트부재(54) 외측으로 분리되어 배출된다.
본 실시예의 분리부(280)는, 벨트부재(54)의 단부로부터 제1수거통(287) 까지 경사지게 연장되어 벨트부재(54)로부터 낙하되는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를 제1수거통(287)으로 안내하는 복수 개의 경사패널(286)과, 경사패널(28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벨트부재(54) 측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경사패널(286)을 제1수거통(287) 측으로 경사지게 지지하는 회전축(282)과, 회전축(282)을 벨트부재(54) 측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84)와, 회전축(282)과 경사패널(286)을 연결 또는 분리시켜 구동모터(284)의 동력을 경사패널(286)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연동실린더(28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사패널(286)은 다수 개가 인접하게 연속되게 배치되고, 다수 개의 경사패널(286)을 관통하도록 회전축(282)이 설치되며, 회전축(282)은 벨트부재(54) 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므로 경사패널(286)은 제1수거통(287)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회전축(282)은 경사패널(286)에 공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므로 구동모터(284)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축(282)이 벨트부재(54) 측으로 회전되어도 회전축(282)이 공회전되면서 경사패널(286)은 제1수거통(287) 측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연동실린더(288)는 회전축(282) 외측으로 로드를 돌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282) 내부에 설치되고, 각각의 경사패널(286)에는 연동실린더(288)의 로드가 삽입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거름부로부터 송신되는 위치신호가 제어부에 수신되어 벨트부재(54)의 지점을 판단하고, 벨트부재(54)의 지점이 대향되는 경사패널(286)은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로드가 경사패널(286)의 결합홈부에 삽입되면서 회전축(282)과 경사패널(286)이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패널(286)과 회전축(282)이 일체로 연결된 후에 벨트부재(54)의 점이 경사패널(286)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순간에 구동모터(284)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축(282) 및 경사패널(286)이 벨트부재(54) 측으로 회전되면 제2수거통(289) 측으로 경사패널(286)이 회전하게 되어 벨트부재(54)의 단부로부터 낙하되는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와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패널(286)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수거통(289)에 수납된다.
따라서 전기 충격부로부터 제공되어 재차 가열 건조공정이 진행된 골재 중에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완전히 제거된 골재가 제2수거통으로 모아진 후에 재사용 가능하도록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를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은,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이송컨베이어에 안착시켜 열풍 및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는 가열건조부(80)를 통과시키면서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가열 건조시키는 단계와, 가열건조부(80)에서 배출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분쇄부(300)에 공급하여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분쇄함으로써 골재와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분리시키는 단계와, 분쇄부(300)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세척수 수조에 공급하고, 수조에 설치되는 전기 충격부(500)를 구동시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에 고전압의 전류를 공급하여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에 전기 충격을 가하는 단계와, 수조로부터 배출되는 골재를 이송컨베이어(50)로 순환시켜 가열 건조단계를 반복하고, 가열 건조단계가 진행된 후에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를 분쇄부(300)로 재공급하고,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분리된 골재는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열 건조단계는, 이송컨베이어가 5~15cm/s의 속도로 구동되고, 가열건조부 내부가 100~150℃의 온도로 이루어지며,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 마이크로웨이브가 30~40분간 조사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열건조부(80)를 통과하는 골재는 100~150℃의 온도로 30~40분 동안 가열된 후에 분쇄부(300)를 통과하면서 골재와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분리되고, 분쇄부(300)에서 걸러져 배출되는 골재는 전기 충격부(500)의 수조에 공급되어 세척수에 잠긴 상태에서 1000~1500volt의 전기가 공급되어 전기 충격을 가하게 된다.
이후에, 이송컨베이어(50)에 재투입되어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완전히 제거된 골재와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로 분류되고,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는 상기한 처리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로써,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가열한 후에 분쇄공정을 진행하여 골재로부터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분리시키고,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 고전압 전기충격을 가하여 골재로부터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원전 해체 콘크리트 처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처리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40 :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모듈 41 :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
42 : 도파관 42a : 발진홀
43 : 챔버 고정부 44 : 확인창
45 : 런처 46 : 보호캡
50 : 이송컨베이어 52 : 가이드롤러
54 : 벨트부재 56 : 인장롤러
58 : 세척조 70 : 살균부
72 : 케이스 74 : 살균램프
80 : 가열건조부 82 : 건조로
82a : 투입구 82b : 배출구
84 : 히터 86 : 온풍기
86a : 공급관 86b : 공급팬
86c : 배기팬 100 : 거름부
280 : 분리부 282 : 회전축
284 : 구동모터 286 : 경사패널
287 : 제1수거통 288 : 연동실린더
289 : 제2수거통 300 : 분쇄부
500 : 전기 충격부

Claims (4)

  1.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연속되게 이동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가열하면서 건조작업을 진행하는 가열건조부;
    상기 가열건조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분쇄하여 골재와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분리시키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를 통과하여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분리된 골재를 세척수에 담수시킨 후에 고전압의 전류를 공급하여 충격을 제공하는 전기 충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충격부를 통과한 골재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순환되어 상기 가열건조부에 재투입되고, 가열공정 및 건조공정이 진행된 후에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를 상기 분쇄부로 재투입시키고,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제거된 골재를 분리시켜 배출시키며,
    상기 가열건조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가 통과되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 열풍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건조로;
    상기 건조로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을 제공하는 온풍기;
    상기 온풍기로부터 제공되는 열풍을 상기 건조로 내부로 안내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고, 열풍을 상기 건조로 내부로 압송하는 공급팬;
    상기 건조로 내부에 공급된 열풍을 상기 건조로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건조로 내부에 제트기류를 성형하는 배기팬; 및
    상기 건조로 외벽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건조로 내부로 조사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기재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를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으로서,
    (a)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이송컨베이어에 안착시켜 열풍 및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는 가열건조부를 통과시키면서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가열 건조시키는 단계;
    (b) 상기 가열건조부에서 배출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분쇄부에 공급하여 원전 해체 콘크리트를 분쇄함으로써 골재와 콘크리트 페이스트를 분리시키는 단계;
    (c) 상기 분쇄부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세척수 수조에 공급하고, 상기 수조에 설치되는 전기 충격부를 구동시켜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에 고전압의 전류를 공급하여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에 전기 충격을 가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조로부터 배출되는 골재를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순환시켜 상기 가열 건조단계를 반복하고, 상기 가열 건조단계가 진행된 후에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잔존하는 골재를 상기 분쇄부로 공급하고,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분리된 골재는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를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이송컨베이어가 5~15cm/s의 속도로 구동되고, 상기 가열건조부 내부가 100~150℃의 온도로 이루어지며, 원전 해체 콘크리트에 마이크로웨이브가 30~40분간 조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를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
KR1020230069955A 2023-05-31 2023-05-31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 KR102669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955A KR102669597B1 (ko) 2023-05-31 2023-05-31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955A KR102669597B1 (ko) 2023-05-31 2023-05-31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9597B1 true KR102669597B1 (ko) 2024-05-28

Family

ID=9127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9955A KR102669597B1 (ko) 2023-05-31 2023-05-31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95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712A (ko) * 1997-05-17 1998-12-05 정관형 전기 충격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20210082836A (ko) * 2019-12-26 2021-07-06 주식회사 오르비텍 방사성 콘크리트 폐기물의 이동형 감용처리장치
KR20210147702A (ko) * 2020-05-29 2021-12-07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712A (ko) * 1997-05-17 1998-12-05 정관형 전기 충격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20210082836A (ko) * 2019-12-26 2021-07-06 주식회사 오르비텍 방사성 콘크리트 폐기물의 이동형 감용처리장치
KR20210147702A (ko) * 2020-05-29 2021-12-07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40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wastes
JP4471110B2 (ja) 放射化コンクリートのリサイクル処理方法
KR101744153B1 (ko) 고형 폐기물 자동 처리장치
EA013334B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урового шлама
JP2006315000A (ja) 建設廃棄物選別処理システム
KR101322303B1 (ko) 음식물류폐기물의 종량제 수거 및 자원화 장치
KR102669597B1 (ko) 콘크리트에 전기충격을 이용하는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전 해체 콘크리트 감용처리방법
US5111756A (en) Apparatus for cleaning contaminated soil
KR100287790B1 (ko) 일반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 시스템
US5635143A (en) Mobile system for microwave removal of concrete surfaces
KR101445452B1 (ko) 이동형 방사성폐기물 처리장치
KR102180292B1 (ko) 효율이 향상된 폐석면 무해화 처리시스템
KR200409534Y1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6010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0204157B (zh) 油泥处理工艺
KR100919863B1 (ko) 드럼 회전방식의 냉각선별유닛을 구비하는 폐형광등 처리장치
KR20070052104A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31621B1 (ko) 자동회전 방식의 수거함 승강기가 구비된 폐형광등 처리장치
KR102298694B1 (ko) 방사성 콘크리트 폐기물의 이동형 감용처리장치
KR101128188B1 (ko) 파쇄기
KR102193971B1 (ko) 안전성이 향상된 폐석면 무해화 처리시스템
CN210543506U (zh) 油水分离器
US20150107497A1 (en) Solid waste incinerator system
KR101539652B1 (ko) 폐기물 유화시스템
KR1020769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파쇄구가 구비된 교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