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9541B1 - DECORATIVE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DECORATIV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CORATIVE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DECORATIV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9541B1
KR102669541B1 KR1020240008881A KR20240008881A KR102669541B1 KR 102669541 B1 KR102669541 B1 KR 102669541B1 KR 1020240008881 A KR1020240008881 A KR 1020240008881A KR 20240008881 A KR20240008881 A KR 20240008881A KR 102669541 B1 KR102669541 B1 KR 102669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on
attachment
film
mounting groove
align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8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성목
Original Assignee
최성목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목 filed Critical 최성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5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2Gems made of several cut pieces
    • A44C17/003Doublet stones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물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투명한 소재로 구비되는 몸체 및, 상기 장식물이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장착홈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nd a method of attaching decorations using the same, comprising a body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and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conca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decorations are correspondingly inserted.

Description

장식물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DECORATIVE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DECORATIVE USING THE SAME}Decoration alignment device and method of attaching decorations using the same {DECORATIVE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DECORATIV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식물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물을 밑그림과 동일한 형상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장식물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nd a method of attaching decorations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that can align decorations into the same shape as the sketch and a method of attaching decorations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핫피스(hot-piece), 스톤(stone) 등과 같은 장식물은 의류, 신발, 가방, 벨트, 스카프, 모자, 각종 직물 및 각종 의류 등에 부착하여 장식용으로 사용된다.In general, decorations such as hot-pieces and stones are used for decoration by attaching them to clothing, shoes, bags, belts, scarves, hats, various fabrics, and various clothing.

이러한 장식물은 일정 형태와 색상으로 제조되는 몸체 및, 몸체의 일면에 도포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용융된 후 경화되어 의류 등의 부착면에 결합되는 접착층 등으로 구성되며, 장식물을 의류 등에 부착시켜 다양한 미감을 연출하고 있다.These decorations consist of a body manufactured in a certain shape and color, and an adhesive layer that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body, melted by heat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n hardened to bond to the attachment surface of clothing, etc., and the decoration is attached to clothing, etc. It creates a variety of aesthetics.

또한, 종래에는 다수의 장착홈이 형성된 정렬보드의 상면에 다수의 장식물을 올려 놓은 후 스펀지 등을 이용해 밀어 장착홈에 삽입시키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후 장착홈에 삽입된 장식물을 점착 시트에 부착시키고, 점착 시트를 부착 대상물에 밀착시킨 후 열을 가해 장식물을 부착 대상물에 부착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a number of decorations ar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an alignment board on which a number of mounting grooves are formed, and then pushed using a sponge or the like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s. Afterwards, the decoration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was attached to the adhesive sheet, the adhesive sheet wa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ttachment object, and then heat was applied to attach the decoration to the attachment object.

그런데, 종래에는 장착홈의 개수와 배열되는 형상이 고정적이므로 하나의 패널로 다양한 패턴(그림, 글자 등)을 연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장착홈에 장식물을 일일이 삽입시켜 원하는 형상의 패턴을 일정하게 형성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past, because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mounting grooves were fixed, it was difficult to create various patterns (pictures, letters, etc.) with one panel, and decorations were inserted one by one into the mounting grooves to consistently form a pattern of the desired shape. There was difficulty in ordering it.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0310호(2012년 01월 1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개인 사용자를 위한 핫픽스 수작업 배열틀이 개시되어 있다.Prior literatur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Korean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2-0000310 (January 11, 2012), which discloses a hotfix manual arrangement framework for individual users.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식물을 밑그림과 동일한 형상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장식물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that can align decorations into the same shape as the sketch and a method of attaching decorations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정렬보드는 장식물을 정렬시키기 위한 장식물 정렬장치로서, 투명한 소재로 구비되는 몸체 및, 상기 장식물이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장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lignment boar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for aligning decorations, and includes a bod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conca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decorations are correspondingly inserted.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장착홈의 내측면으로부터 외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면이 상부로 경사지게 노출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장식물의 가장자리와 이격되어 상부로 개방된 삽입간격을 형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portion that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inner side of the mounting groove to the outer side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exposed to be inclined upward, and the inclined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decoration to form an insertion gap that is open to the top. there is.

또한, 상기 장착홈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한 쌍이 양측에서 마주하는 다수의 파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groov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that are concave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with a pair of gripping grooves facing each other on both sides.

또한, 상기 몸체의 상면에 밀착시 하면의 접착제에 상기 장식물이 부착되고,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시 상기 장식물을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부착필름 및,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부착필름을 상기 몸체의 상면에 부착시 상기 접착제를 지지하여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시키는 다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coration is attached to the adhesive on the lower surface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an attachment film that separates the decoration from the mounting groove when separated from the body,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attaches the attachment film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When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that support the adhesive and space it away from the body.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은 몸체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장착홈에 장식물을 삽입시키는 삽입단계와, 하면에 접착제가 구비된 부착필름을 상기 몸체의 상면에 부착시켜 상기 접착제에 상기 장식물의 상단을 부착시키는 1차 필름 부착단계와, 상기 부착필름을 상기 몸체의 상부로 분리시켜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상기 장식물을 이탈시키는 1차 필름 분리단계와, 상기 부착필름의 하면을 부착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2차 필름 부착단계와, 상기 부착필름의 상면을 가열 및 가압하여 상기 장식물의 하면에 구비된 핫멜트를 상기 부착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장식물 부착단계 및, 상기 부착필름을 상기 부착 대상물로부터 분리시키는 2차 필름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method of attaching a decoration using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step of inserting a decoration into a mounting groove conca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attaching an adhesive film with an adhesive on the low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 first film attachment step of attaching the top of the decoration to the adhesive, a first film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attachment film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dy to remove the decoration from the mounting groove, and the attachment film A secondary film attachment step of attaching the lower surface to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object, a decoration attachment step of heating and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ttachment film to attach the hot melt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on to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object, and the attachment.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econdary film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film from the attachment object.

또한, 상기 삽입단계의 이전에는 표시부재의 상면에 장식패턴을 형성시키는 패턴 형성단계 및, 상기 몸체를 상기 표시부재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안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단계에서 상기 몸체는 투명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the insertion step, a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decorative patter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ember and a seating step of seating the bod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insertion step, the body may be It can be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본 발명은 밑그림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장식물을 삽입할 수 있어 장식물을 밑그림과 동일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고, 장식물을 파지한 상태로 장착홈에 안착시킬 수 있어 장식물을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몸체를 이용해 장식물을 다양한 패턴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corations can be inserted while visually checking the sketch, so the decoration can be presented in the same form as the sketch, and the decoration can be held and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so the decoration can be accurately aligned in a designated position.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reate a variety of decorative patterns using a single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의 장착홈에 장식물을 안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에 경사부를 형성시키고, 핀셋을 이용해 장식물의 가장자리를 파지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에 경사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에 파지홈을 형성시키고, 핀셋을 이용해 장식물의 가장자리를 파지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에 파지홈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의 몸체에 돌기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의 베이스와 탄성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의 베이스와 탄성부재가 결합되고, 핀셋을 이용해 장식물의 가장자리를 파지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에 통기홀이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패턴 형성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안착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삽입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1차 필름 부착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1차 필름 분리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2차 필름 부착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장식물 부착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2차 필름 분리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에서 장식물이 부착된 부착 대상물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 of seating a decoration in the mounting groove of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clined portion is formed in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dge of the decoration is held using tweezers.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clined portion is formed in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ripping groove is formed in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dge of the decoration is held using tweezers.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rip groove is formed in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ody of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and the elastic member of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and the elastic member of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and the edge of the decoration is held using tweezers.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ntilation hole is applied to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block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each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ttern forming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ating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ertion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film attachment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film separation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ary film attachment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coration attachment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ary film separation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diagram showing an object to which a decoration is attached in a method of attaching a decoration using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hieve it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are within the scope of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iqu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의 장착홈에 장식물을 안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에 경사부를 형성시키고, 핀셋을 이용해 장식물의 가장자리를 파지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에 경사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에 파지홈을 형성시키고, 핀셋을 이용해 장식물의 가장자리를 파지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에 파지홈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의 몸체에 돌기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의 베이스와 탄성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의 베이스와 탄성부재가 결합되고, 핀셋을 이용해 장식물의 가장자리를 파지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에 통기홀이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 of seating a decoration in the mounting groove of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ure 4 shows an inclined portion being formed on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coration using tweezers.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dge of is held,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clined portion is formed in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ripping groove is formed in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and the edge of the decoration is held using tweezers, and Figure 7 shows a gripping groove being formed in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it is place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ody of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ody of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e and the elastic member of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and Figure 10 shows the base and the elastic member of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combined, and the edge of the decoration using tweezers.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vice is held, and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ntilation hole is applied to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패턴 형성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안착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삽입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1차 필름 부착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1차 필름 분리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2차 필름 부착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장식물 부착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의 2차 필름 분리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에서 장식물이 부착된 부착 대상물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2 is a block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each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ttern forming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ating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5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ertion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ure 16 is the first film attachment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d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film separation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8 i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film attachment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 and Figure 19 shows the decoration attachment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ary film separation step of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1 is a deco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to show the object to which the decoration is attached in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an alignment device.

도 1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는 핫피스(hot piece) 등의 장식물(10)을 정렬시키기 위한 것으로, 몸체(100) 및, 다수의 장착홈(2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11,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ligning decorations 10 such as hot pieces, and includes a body 100 and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200. ) includes.

몸체(100)는 정해진 밑그림으로 장식물(10)을 정렬시키기 위한 것으로, 투명한 소재로 구비되고, 상면에 다수의 장착홈(20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일정 넓이로 형성되며, 몸체(100)는 투명한 플라스틱(plastic)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몸체(100)의 소재는 한정하지 않는다.The body 100 is for aligning the decoration 1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ketch, i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and is formed with a certain width so that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200 can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body 100 is transparent. Plastic, etc. can be used, but the material of the body 100 is not limited.

또한, 몸체(200)는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몸체(200)의 형상, 두께, 사이즈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몸체(200)는 내부에 장식물(10)이 삽입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두께를 갖는다.In addition, the body 200 is shown as a rectangular panel shape, but the shape, thickness, and size of the body 200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as needed. Here, the body 200 has a thickness that can accommodate the decoration 10 inserted therein.

이와 같은 몸체(200)는 후술될 장착홈(200)에 장식물(10)을 삽입시킨 후, 밑그림(21)이 표시된 표시부재(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몸체(200)의 상부로 보이는 밑그림(21)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This body 200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ember 20 with the sketch 21 displayed after inserting the decoration 10 into the mounting groov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user can use the body 200. The sketch (21) visible at the top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장착홈(200)은 핫피스(hot piece) 등의 장식물(10)이 삽입되는 홈으로, 장식물(10)이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몸체(10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다수의 장식물(10)이 서로 다른 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The mounting groove 200 is a groove into which a decoration 10 such as a hot piece is inserted, and is formed concave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so that the decoration 10 is inserted correspondingly, and a plurality of decorations 10 are installed. A plurality of them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so that they can be inserted in different positions.

여기서, 장착홈(200)은 X방향과 Y방향을 따라 다수가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고, 장착홈(200)의 개수, 직경도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장착홈(200)의 깊이는 장식물(10)의 상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작은 상하 두께를 가질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200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It may have a top and bottom thickness that is the same as or smaller than the top and bottom thickness of the decoration 10.

또한, 장착홈(200)은 내측면이 원주를 이루면서 상부로 개방되는 원형 홈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장착홈(200)은 장식물(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groove 200 may have a circular groove shape with an inner surface forming a circumference and opening upward, but the mounting groove 200 may be appli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ecoration 10.

예를 들어, 전술한 표시부재(20)의 상면에 몸체(200)를 안착시킨 후, 장식패턴(21)의 상부에 위치된 장착홈(200)에 장식물(10)을 삽입시켜 장식패턴(21)과 동일한 형상으로 장식물(10)을 배열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fter seating the body 2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display member 20, the decoration 1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00 located at the top of the decoration pattern 21 to create the decoration pattern 21. ) can be arranged in the same shape as the decoration (10).

이 상태에서, 몸체(200)의 상면에 부착필름(30)을 부착시켜 부착필름(30)의 하면에 구비된 접착제(31)에 장식물(10)의 상단을 부착시킬 수 있고, 부착필름(30)을 몸체(20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장식물(10)은 접착제(31)에 부착되어 장착홈(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top of the decoration 10 can be attached to the adhesive 31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ttachment film 30 by attaching the attachment film 3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0, and the attachment film 30 ) When separat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0, the decoration 1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31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groove 200.

이후, 장식물(10)이 부착된 부착필름(30)을 부착 대상물(의류 등, 40)의 표면에 밀착시킨 후, 부착필름(30)의 상면을 가압 및 가열하여 장식물(10)의 하단에 부착된 접착제(11)를 부착 대상물(40)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Afterwards, the attachment film 30 with the decoration 10 attache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object (clothing, etc., 40), and then the upper surface of the attachment film 30 is pressed and heated to attach it to the bottom of the decoration 10. The adhesive 11 can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object 40.

한편, 도 11에서처럼 장착홈(200)의 바닥면에는 공기를 소통시키기 위한 통기홀(230)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통기홀(230)은 장식물(10)이 장착홈(200)에 삽입될 때 장식물(10)의 하부에 압축될 수 있는 공기를 몸체(100)의 하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1, ventilation holes 230 for communicating air may be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mounting groove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ntilation hole 230 can discharge air that can be compressed in the lower part of the decoration 10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0 when the decoration 1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00.

반면, 도 8에서처럼 부착필름(30)을 몸체(100)의 상부로 분리시키는 경우 장식물(10)의 상승과 동시에 통기홀(230)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식물(10)의 하부와 장착홈(20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압력이 제거되므로 장식물(10)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고, 압력이 제거되므로 장식물(10)이 부착핌름(30)의 하면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ttachment film 3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dy 100 as shown in FIG. 8, air may flow into the ventilation hole 230 at the same time as the decoration 10 rises. In this case, the pressure that may be form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plant 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00 is removed, so the decoration 1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since the pressure is removed, the decoration 10 is attached. Separa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30)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는 도 4와 5에서처럼 장착홈(200)의 내측면으로부터 외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면이 상부로 경사지게 노출되는 경사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inner side of the mounting groove 200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ures 4 and 5,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portion 210 whose upper surface is exposed to be inclined upward. .

경사부(310)는 장착홈(200)의 상부영역에 형성되고, 장식물(10)의 가장자리와 이격되어 상부로 개방된 삽입간격(G)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경사부(210)는 장착홈(200)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310 is formed in the upper area of the mounting groove 20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decoration 10 to form an insertion gap G open upward. Here, the inclined portion 210 may be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00.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핀셋(50) 등을 이용해 장식물(10)의 가장자리를 파지한 후 장착홈(200)에 안착시키는 경우, 도 4에서처럼 핀셋(50)의 하단이 삽입간격(G)에 일정 길이로 삽입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grasps the edge of the decoration 10 using tweezers 50, etc. and then places it in the mounting groove 200, the lower end of the tweezers 50 is fixed at the insertion interval G as shown in FIG. 4. Can be inserted in any length.

이때, 장식물(10)의 하단에 부착된 핫멜트(hot melt, 11)가 장착홈(200)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장착홈(200)의 내측면이 장식물(10)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장식물(10)이 안착위치까지 하강할 때 핀셋(50)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파지단이 삽입간격(G)에 위치된다.At this time, the hot melt (11)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ecoration 10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0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decoration 10. It can be in close contact, and when the decoration 10 is lowered to the seating position, a pair of grip end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tweezers 50 are positioned at the insertion gap G.

즉, 장식물(10)을 장착홈(200)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핀셋(50)의 하단과 몸체(100)의 상단이 접촉되지 않아 간섭 발생으로 인한 장식물(10)의 끼임, 틀어짐,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decoration 10 into the mounting groove 200, the bottom of the tweezers 50 and the top of the body 100 do not contact, preventing the decoration 10 from getting caught, twisted, or separated due to interference. It can be prevented.

또한, 장식물(10)을 장착홈(200)에 삽입시킬 때 장식물(10)의 가장자리측 하단이 경사부(210)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하향 경사지게 이동(슬라이딩)되므로, 장식물(10)을 장착홈(200)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coration 1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00, the lower edge of the decoration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210 and moves (slids) downward, so the decoration 1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00.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200).

이와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는 도 6과 7에서처럼 장착홈(200)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한 쌍이 양측에서 마주하는 다수의 파지홈(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different form,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concave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00 as shown in Figures 6 and 7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220, one pair of which faces each other on both sides. It can be included.

한 쌍의 파지홈(220)은 장식홈(200)의 내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부로 개방된 삽입간격(G)을 형성시키고, 한 쌍의 파지홈(220)이 X방향과 Y방향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파지홈(220)은 수평하게 연장되어 인접하는 장식홈(200)의 내측면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pair of gripping grooves 220 are concavely form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decorative groove 200 to form an upwardly open insertion gap G, and the pair of gripping grooves 220 are located in the X and Y directions. They may be formed separately, and the gripping grooves 220 may extend horizontally and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decorative groove 200.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핀셋(50) 등을 이용해 장식물(10)의 가장자리를 파지한 후 장착홈(200)에 안착시키는 경우, 도 6에서처럼 핀셋(50)의 하단이 삽입간격(G)에 일정 길이로 삽입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holds the edge of the decoration 10 using tweezers 50, etc. and then places it in the mounting groove 200, the lower end of the tweezers 50 is fixed at the insertion interval G as shown in FIG. 6. Can be inserted in any length.

이때, 장식물(10)의 하단에 부착된 핫멜트(hot melt, 11)가 장착홈(200)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장착홈(200)의 내측면이 장식물(10)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장식물(10)이 안착위치까지 하강할 때 핀셋(50)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파지단이 삽입간격(G)에 위치된다.At this time, the hot melt (11)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ecoration 10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0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decoration 10. It can be in close contact, and when the decoration 10 is lowered to the seating position, a pair of grip end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tweezers 50 are positioned at the insertion gap G.

즉, 장식물(10)을 장착홈(200)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핀셋(50)의 하단과 몸체(100)의 상단이 접촉되지 않아 간섭 발생으로 인한 장식물(10)의 끼임, 틀어짐,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decoration 10 into the mounting groove 200, the bottom of the tweezers 50 and the top of the body 100 do not contact, preventing the decoration 10 from getting caught, twisted, or separated due to interference. It can be prevented.

미도시 하였으나, 파지홈(220)과 전술한 경사부(210)를 동시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핀셋(50)의 하단을 경사부(210)의 삽입간격(G) 또는 파지홈(220)의 삽입간격(G) 중 하나를 이용해 장시물(10)을 장착홈(200)에 삽입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gripping groove 220 and the above-described inclined portion 210 may be applied simultaneously. In this case, the user inserts the device 10 into the mounting groove 200 using either the insertion interval G of the inclined portion 210 or the insertion interval G of the grip groove 220 with the lower end of the tweezers 50. It can be insert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는 도 1, 8에서처럼 몸체(100)의 상면에 밀착시 하면의 접착제(31)에 장식물이 부착되고, 몸체(100)로부터 분리시 장식물(10)을 장착홈(200)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부착필름(30) 및, 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부착필름(30)을 몸체(100)의 상면에 부착시 접착제(31)를 지지하여 몸체(100)로부터 이격시키는 다수의 돌기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8, the decoration is attached to the adhesive 31 on the lower surface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and when separated from the body 100, the decoration 10 ), which separates the attachment film 30 from the mounting groove 200,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and supports the adhesive 31 when attaching the attachment film 3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to attach the adhesive film 30 to the body 100. 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0 spaced apart from 100.

부착필름(30)은 비닐(vinyl), 플라스틱(plastic) 소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하면에 부착된 장식물(10)을 상부에서 육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부착필름(30)을 몸체(1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장식물(10)은 부착필름(30)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attachment film 30 can be made of vinyl, plastic, etc., and can be provided in a transparent color so that the decoration 10 attached to the lower side can be seen from the top. ) When separated from the body 100, the decoration 10 remain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ttachment film 30.

돌기부(110)는 몸체(100)와 부착필름(30)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돌기부(110)의 상단은 몸체(100)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부착필름(30)의 접착제(31)가 돌기부(110)의 상단에 부착되고, 돌기부(110)의 폭과 돌출되는 길이, 개수, 위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The protrusion 110 is intended to redu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attachment film 30. The top of the protrusion 110 is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so the adhesive 31 of the attachment film 30 )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protrusion 110, and the width, protruding length, number, and location of the protrusion 110 can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즉, 몸체(100)의 상면에 부착필름(30)의 하면을 부착시키는 경우, 몸체(100)와 부착필름(30)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므로 부착필름(30)의 하면과 몸체(100)의 사이에 진공층이 형성되지 않고, 몸체(100)와 부착필름(30)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므로 부착필름(30)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attaching the lower surface of the attachment film 3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a gap is formed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attachment film 30,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attachment film 30 and the body 100 Since a vacuum layer is not formed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attachment film 30,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attachment film 30 is reduced, so the attachment film 30 can be easily separated.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는 도 9와 10에서처럼 몸체(100)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01) 및, 베이스(101)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면에 다수의 장착홈(200)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탄성부재(10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9 and 10, the body 100 is coupled to the base 101, which is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1, and a plurality of mounting surfaces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The groove 200 is formed concavely and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102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베이스(101)는 일정 강도를 갖도록 아크릴(acrylic),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탄성부재(102)의 하면과 베이스(101)의 상면은 별도의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부착되거나, 암수 결합 구조(돌기, 홈 등, 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base 101 can be made of materials such as acrylic and polycarbonate to have a certain strength,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10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1 are attached to a separate adhesive (not shown). It may be attached by or combined by a male-female coupling structure (protrusions, grooves, etc., not shown).

탄성부재(102)는 베이스(101)의 상면에 설정 두께로 부착될 수 있고, 장착홈(200)은 탄성부재(102)의 상하로 관통될 수 있으며, 베이스(101)의 상면이 장착홈(2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elastic member 102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1 at a set thickness, and the mounting groove 200 can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lastic member 10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1 has a mounting groove ( 200) may form the bottom surface.

여기서, 탄성부재(102)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이 가능하도록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발포 PVC(polyvinyl chlorid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102)에 형성된 장착홈(200)의 가장자리를 확장시킬 수 있다.Here, the elastic member 102 can be made of polyurethane, foamed PVC (polyvinyl chloride), etc. so that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fter elastic deformation by external force, and the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elastic member 102 ( 200) can be expand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핀셋(50) 등을 이용해 장식물(10)의 가장자리를 파지한 후 장착홈(200)에 안착시키는 경우, 도 10에서처럼 핀셋(50)의 하단이 장착홈(200)의 내측면과 장식물(10)의 가장라지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holds the edge of the decoration 10 using tweezers 50 or the like and then places it in the mounting groove 200, the lower end of the tweezers 50 is inside the mounting groove 200 as shown in FIG. 10. It can be inserted through the side and the largest part of the decoration (10).

이 과정에서, 핀셋(50)의 하단이 삽입되는 힘에 의해 장착홈(200)의 내측면이 외곽으로 벌어지면서 변형되고, 장착홈(200)의 내측면에 핀셋(5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이 확보된다.In this process,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00 is expanded and deformed due to the force of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tweezers 50, and the lower end of the tweezers 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00. Allowable spacing is ensured.

즉, 장식물(10)을 장착홈(200)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핀셋(5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이 형성되므로, 장식물(10)을 정해진 높이로 안착시킬 수 있고, 핀셋(50)의 하단과 몸체(10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장식물(10)의 끼임, 틀어짐,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decoration 10 into the mounting groove 200, a gap is formed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tweezers 50 can be inserted, so the decoration 10 can be se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tweezers 50 Interference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body 100 can be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the decoration 10 from getting caught, twisted, or separated.

이하, 도 12 내지 2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attaching a decoration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21, and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not be repeatedly described.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은 패턴 형성단계(S100)와, 안착단계(S200)와, 삽입단계(S300)와, 1차 필름 부착단계(S400)와, 1차 필름 분리단계(S500)와, 2차 필름 부착단계(S600)와, 장식물 부착단계(S700)와, 2차 필름 분리단계(S800)를 포함한다.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tern forming step (S100), a seating step (S200), an insertion step (S300), a first film attachment step (S400), It includes a first film separation step (S500), a second film attachment step (S600), a decoration attachment step (S700), and a second film separation step (S800).

먼저, 패턴 형성단계(S100)는 표시부재(20)의 상면에 장식패턴(22)을 형성시키는 과정으로, 도 12와 13에서처럼 다양한 형태의 펜이나 색연필, 인쇄장치(미도시) 등을 이용해 표시부재(20)의 상면에 장식패턴(그림, 글자 등, 22)을 형성시킬 수 있다.First, the pattern forming step (S100) is a process of forming a decorative pattern 2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ember 20, and is displayed using various types of pens, colored pencils, printing devices (not shown), etc., as shown in FIGS. 12 and 13. A decorative pattern (pictures, letters, etc., 22) can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er 20.

표시부재(20)는 일정 넓이를 갖는 종이(paper), 플라스틱(plastic) 패널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표시부재(20)의 상면에는 장식패턴(22)을 형성시키기 위한 표시라인(21)을 형성시킬 수 있다.The display member 20 can optionally use paper, plastic panels, etc. having a certain are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ember 20 has a display line 21 for forming a decorative pattern 22. can be formed.

표시라인(21)은 표시부재(20)의 상면에 인쇄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장착홈(2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라인(21)의 형상, 사이즈, 개수, 색상 등은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The display line 21 may be formed in a printed s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ember 20 and may be displayed in the same shape as the mounting groove 20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and the display line 21 The shape, size, number, color, etc.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예를 들어, 장착홈(200)을 원통 형상으로 적용하는 경우 표시라인(21)은 원주를 이루는 링 형상으로 인쇄될 수 있고, 펜 등을 이용해 표시라인(21)의 내부영역에 색상을 칠하거나 인쇄장치(미도시)를 이용해 표시라인(21)의 내부영역에 색상을 인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unting groove 200 is appli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display line 21 can be print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the inner area of the display line 21 can be colored with a pen or the like. Colors can be printed on the inner area of the display line 21 using a printing device (not shown).

즉, 표시라인(21)들의 내부영역에 원하는 색상을 채워 넣는 방식으로 다양한 정식패턴(22)을 만들 수 있고, 후술될 단계에서 장식패턴(22)과 동일한 형상으로 장식물(10)을 부착 대상물(의류 등, 40)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장식패턴(22)의 형상에 따라 부착 대상물(40)에 부착되는 장식물(10)의 형태가 달라진다.That is, various formal patterns 22 can be created by filling the inner areas of the display lines 21 with desired colors, and in a step to be described later, the decoration 10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object (10) in the same shape as the decoration pattern 22. It can be attached to clothing, etc. 40, and the shape of the decoration 10 attached to the attachment object 40 vari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decoration pattern 22.

다음으로, 안착단계(S200)는 투명한 소재로 구비되는 몸체(100)를 표시부재(20)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과정으로, 도 12와 14에서처럼 표시부재(20)를 설치면에 안착시키고, 몸체(100)를 표시부재(20)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경우 투명한 몸체(100)의 상부로 표시부재(20)가 표시된다.Next, the seating step (S200) is a process of seating the body 100, which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ember 20. As shown in FIGS. 12 and 14, the display member 20 is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body When 1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ember 20, the display member 20 is displayed on the top of the transparent body 100.

안착단계(S200)에서는 몸체(100)의 위치를 수평하게 조정하여 장착홈(200)과 표시라인(21)을 상하방향에 동일 선상으로 일치시키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위치 조정을 완료한 경우 장식패턴(22)이 표시된 하나 이상의 표시라인(21)이 장착홈(200)의 하부에 위치된다.In the seating step (S200), the position of the body 100 can be adjusted horizontally to align the mounting groove 200 and the marking line 21 on the same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position adjustment is completed, decoration can be performed. One or more display lines 21 showing the pattern 22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ounting groove 200.

다음으로, 삽입단계(S300)는 몸체(10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장착홈(200)에 장식물(10)을 삽입시키는 과정으로, 도 12와 15에서처럼 몸체(100)의 상부로 보여지는 장식패턴(22)과 일치되도록 장착홈(200)에 장식물(10)의 하단을 삽입시킨다.Next, the insertion step (S300) is a process of inserting the decoration 10 into the mounting groove 200 conca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The decoration shown as the upper part of the body 100 as shown in FIGS. 12 and 15 Insert the lower end of the decoration 10 into the mounting groove 200 to match the pattern 22.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핀셋(50) 등을 이용해 장식물(10)의 가장자리를 파지한 후 장착홈(200)에 안착시키는 경우, 도 15에서처럼 장식물(10)의 하단에 부착된 핫멜트(hot melt, 11)가 장착홈(200)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장착홈(200)의 내측면이 장식물(10)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grasps the edge of the decoration 10 using tweezers 50 or the like and then places it in the mounting groove 200, the hot mel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ecoration 10 as shown in FIG. 15 11)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decoration 1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이때, 장식물(10)의 상단은 장착홈(200)의 상부로 돌출되거나 몸체(100)의 상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장착홈(200)에 삽입된 장식물(10)은 장식패턴(22)과 동일한 형상으로 배열된다.At this time, the top of the decoration 10 may protrude to the top of the mounting groove 200 or may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and the decoration 10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00 may have a decorative pattern ( It is arranged in the same shape as 22).

다음으로, 1차 필름 부착단계(S400)는 하면에 접착제(31)가 구비된 부착필름(30)을 몸체(100)의 상면에 부착시켜 접착제(31)에 장식물(10)의 상단을 부착시키는 과정으로, 도 12와 16에서처럼 부착필름(30)의 하면은 몸체(100)의 상면과 장식물(10)의 상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부착된다.Next, the first film attachment step (S400) attaches the attachment film 30, which has an adhesive 31 on the low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to attach the top of the decoration 10 to the adhesive 31. In the process, as shown in FIGS. 12 and 16, the lower surface of the attachment film 30 is attach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and the top of the decoration 10.

1차 필름 부착단계(S400)에서 부착필름(30)은 비닐(vinyl), 플라스틱(plastic) 소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하면에 부착된 장식물(10)을 상부에서 육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부착필름(30)을 몸체(1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장식물(10)은 부착필름(30)의 하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In the first film attachment step (S400), the attachment film 30 can be made of vinyl, plastic, etc., and the decoration 10 attached to the bottom is colored in a transparent color so that it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from the top. It may be provided, and when the attachment film 30 is separated from the body 100, the decoration 10 remain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ttachment film 30.

다음으로, 1차 필름 분리단계(S500)는 부착필름(30)을 몸체의 상부로 분리시켜 장착홈(200)으로부터 장식물(10)을 이탈시키는 과정으로, 도 12와 17에서처럼 부착필름(30)을 몸체(20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장식물(10)은 접착제(31)에 부착되어 장착홈(200)으로부터 분리된다.Next, the first film separation step (S500) is a process of separating the attachment film 30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dy to remove the decoration 10 from the mounting groove 200. As shown in FIGS. 12 and 17, the attachment film 30 When separat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0, the decoration 1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31 and separated from the mounting groove 200.

1차 필름 분리단계(S500)에서는 부착필름(30)의 접착제(31)에 장식패턴(21)과 동일한 형상으로 장식물(10)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장식물(10)의 하단에 구비된 핫멜트(1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the first film separation step (S500), the decoration 10 is maintained attached to the adhesive 31 of the attachment film 30 in the same shape as the decoration pattern 21, and the decoration 10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ecoration 10. The hot melt 1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다음으로, 2차 필름 부착단계(S600)는 부착필름(30)의 하면을 부착 대상물(의류 등, 40)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과정으로, 도 12와 18에서처럼 장식물(10)이 부착된 부착필름(30)을 부착 대상물(의류 등, 40)의 표면에 밀착시킨다.Next, the second film attachment step (S600) is a process of attaching the lower surface of the attachment film 30 to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object (clothing, etc., 40). As shown in FIGS. 12 and 18, the attachment film to which the decoration 10 is attached (3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object (clothing, etc., 40).

이때, 장식물(10)의 하단에 구비된 핫멜트(11)가 부착 대상물(40)의 표면과 밀착되고, 장식물(10)을 제외한 부착필름(30)의 나머지 부분이 부착 대상물(4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t melt 11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ecoration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object 40,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attachment film 30, excluding the decoration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ttachment object 40. can be maintained.

다음으로, 장식물 부착단계(S700)는 부착필름(30)의 상면을 가열 및 가압하여 장식물(10)의 하면에 구비된 핫멜트(11)를 부착 대상물(40)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과정으로, 도 12와 19에서처럼 다리미 등의 가열부재(60)를 이용해 부착필름(30)의 상면을 가열 및 가압할 수 있다.Next, the decoration attachment step (S700) is a process of attaching the hot melt 11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on 10 to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object 40 by heating and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ttachment film 30. As shown in 12 and 19,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film 30 can be heated and pressed using a heating member 60 such as an iron.

이때, 장식물 부착단계(S700)에서는 가열부재(60)의 가열판을 부차필름(30)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로 이동시키면서 부착필름(30)의 상면을 균일하게 가압 및 가열할 수 있고, 부착필름(30)을 통해 장식물(10)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 핫멜트(11)가 용융될 수 있으며, 가열부재(60)가 누르는 압력에 의해 부착 대상물(40)과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decoration attachment step (S700), the upper surface of the attachment film 30 can be uniformly pressed and heated while moving the heating plate of the heating member 60 whil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ary film 30, and the attachment film The hot melt 11 may be melted by the heat transferred to the decoration 10 through 30, and may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ttachment object 40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heating member 60.

최종적으로, 2차 필름 부착단계(S800)는 부착필름(30)을 부착 대상물(40)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으로, 도 12와 20 및 21에서처럼 부착필름(30)을 부착 대상물(4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경화된 핫멜트(11)가 부착 대상물(4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된다.Finally, the second film attachment step (S800) is a process of separating the attachment film 30 from the attachment object 40. As shown in FIGS. 12, 20, and 21, the attachment film 30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object 40. When separated, the cured hot melt 11 remains attached to the attachment object 40.

2차 필름 부착단계(S800)에서는 장식물(10)이 장식패턴(22)과 동일한 형상으로 부착 대상물(40)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장식물(10)이 입체적으로 다양한 패턴(그림, 글자 등)을 표현하므로 의류 등을 다양한 미감으로 연출할 수 있다.In the second film attachment step (S800), the decoration 10 remain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object 40 in the same shape as the decoration pattern 22. At this time, since the decoration 10 expresses various three-dimensional patterns (pictures, letters, etc.), clothing, etc. can be presented with a variety of aesthetics.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밑그림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장식물(10)을 삽입할 수 있어 장식물(10)을 밑그림과 동일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고, 장식물(10)을 파지한 상태로 장착홈(200)에 안착시킬 수 있어 장식물(10)을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몸체(100)를 이용해 장식물(10)을 다양한 패턴을 연출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ecoration 10 to be inserted while visually checking the sketch, so that the decoration 10 can be produced in the same form as the sketch, and the decoration 10 is held in the mounting groove 200. Since it can be seated, the decoration 10 can be accurately aligned in a designated position, and the decoration 10 can be created in various patterns using one body 100.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So fa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decoration align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coration attachment method us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but it is obvious that various implementation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later.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장식물 11: 핫멜트
20: 표시부재 21: 표시라인
22: 장식패턴 30: 부착필름
31: 접착제 40: 부착 대상물
50: 핀셋 60: 가열부재
100: 몸체 101: 베이스
102: 탄성부재 110: 돌기부
200: 장착홈 210: 경사부
220: 파지홈 230: 통기홀
G: 삽입간격
10: Decoration 11: Hot melt
20: display member 21: display line
22: Decorative pattern 30: Attachment film
31: Adhesive 40: Attachment object
50: Tweezers 60: Heating member
100: body 101: base
102: elastic member 110: protrusion
200: Mounting groove 210: Inclined portion
220: gripping groove 230: ventilation hole
G: Insertion interval

Claims (6)

장식물을 정렬시키기 위한 장식물 정렬장치로서,
투명한 소재로 구비되는 몸체; 및
상기 장식물이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장착홈;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홈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한 쌍이 양측에서 마주하는 다수의 파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정렬장치.
As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for aligning decorations,
A body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conca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decorations are correspondingly inserted,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that are concave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with a pair of the gripping grooves facing each other on both si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의 내측면으로부터 외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면이 상부로 경사지게 노출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장식물의 가장자리와 이격되어 상부로 개방된 삽입간격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정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the inner side of the mounting groove to the outer side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exposed to be inclined upward,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an edge of the decoration to form an insertion gap open to the top.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 밀착시 하면의 접착제에 상기 장식물이 부착되고,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시 상기 장식물을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부착필름 및,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부착필름을 상기 몸체의 상면에 부착시 상기 접착제를 지지하여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시키는 다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정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ttachment film that attaches the decoration to an adhesive on the lower surface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removes the decoration from the mounting groove when separated from the body;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that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support the adhesive when attaching the attachment film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body.
몸체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장착홈에 장식물을 삽입시키는 삽입단계;
하면에 접착제가 구비된 부착필름을 상기 몸체의 상면에 부착시켜 상기 접착제에 상기 장식물의 상단을 부착시키는 1차 필름 부착단계;
상기 부착필름을 상기 몸체의 상부로 분리시켜 상기 장착홈으로부터 상기 장식물을 이탈시키는 1차 필름 분리단계;
상기 부착필름의 하면을 부착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2차 필름 부착단계;
상기 부착필름의 상면을 가열 및 가압하여 상기 장식물의 하면에 구비된 핫멜트를 상기 부착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장식물 부착단계; 및
상기 부착필름을 상기 부착 대상물로부터 분리시키는 2차 필름 분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장착홈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한 쌍이 양측에서 마주하는 다수의 파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
An insertion step of inserting a decoration into a mounting groove conca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 first film attachment step of attaching an adhesive film with an adhesive on the low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attaching the top of the decoration to the adhesive;
A first film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attachment film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dy to remove the decoration from the mounting groove;
A secondary film attachment step of attaching the lower surface of the attachment film to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object;
A decoration attachment step of attaching the hot melt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on to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object by heating and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ttachment film; and
Including a secondary film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attachment film from the attachment object,
A method of attaching a decoration using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that are concave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and a pair of which faces each other on both sid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계의 이전에,
표시부재의 상면에 장식패턴을 형성시키는 패턴 형성단계 및,
상기 몸체를 상기 표시부재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안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단계에서,
상기 몸체는 투명한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 정렬장치를 이용한 장식물 부착방법.
According to clause 5,
Before the insertion step,
A pattern forming step of forming a decorative patter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ember,
It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step of seating the bod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member,
In the insertion step,
A method of attaching a decoration using a decoration alignment device, wherein the body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KR1020240008881A 2024-01-19 DECORATIVE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DECORATIVE USING THE SAME KR102669541B1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9541B1 true KR102669541B1 (en) 2024-05-24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052B1 (en) * 2011-03-10 2011-10-26 김인효 Fabric and fabric manufacturing method having hot-fix deco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052B1 (en) * 2011-03-10 2011-10-26 김인효 Fabric and fabric manufacturing method having hot-fix deco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7847B2 (en) Front loading picture frame
US8661702B2 (en) Kit and method for assembling a decorative object pattern upon a separate article
JPH02226293A (en) Sign board and manufacture of glass sign board
US4225641A (en) Picture-making device
KR102669541B1 (en) DECORATIVE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DECORATIVE USING THE SAME
KR100780747B1 (en) A picture or paint adornment and manufacture method there of
GB2126951A (en) Flock transfer
KR100764041B1 (en) Plate for attaching jewels on fabric and method for attaching jewels using the same
US8367185B1 (en) Sticky mosaic art kit
KR20110128111A (en) A coating film having a patte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WO2017150827A2 (en) Decoration panel for guit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841902B1 (en) Set and process to obtain transferable supports of rhinestones
US20090056247A1 (en) Panel Assembly For Decoration Glass
US20110076447A1 (en) Panel assembly for decoration
CA1078609A (en) Non-planar artists' medium
CN215007238U (en) Quick amalgamation's combination plastics drop
US4647276A (en) Rosary card
US20040163749A1 (en) Method and manufacturer for producing mosaic, using a pattern consisting of multiple piece-segregated patterns underneath a transparent mosaic base
KR100838596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bonding hot fix for ornament
KR100359293B1 (en) a method making of sticker embossing teco
WO2004062944A2 (en) Mosaic production
KR100936088B1 (en) Intaglio molding product for display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711039A (en) Method of making three-dimensional objects of flat sheets
JP2014171509A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CN215538365U (en) Splice plate and picture and text splicing assembly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