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999B1 - Solenoid valves, directional control valves and construction machinery - Google Patents

Solenoid valves, directional control valves and construction machin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999B1
KR102667999B1 KR1020190144699A KR20190144699A KR102667999B1 KR 102667999 B1 KR102667999 B1 KR 102667999B1 KR 1020190144699 A KR1020190144699 A KR 1020190144699A KR 20190144699 A KR20190144699 A KR 20190144699A KR 102667999 B1 KR102667999 B1 KR 102667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ort
flow path
valve
connection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6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3988A (en
Inventor
히토시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34646A external-priority patent/JP7281899B2/en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3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9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999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06Hydraulic "Wheatstone bridge" circuits, i.e. with four nodes, P-A-T-B, and on-off or proportional valves in each li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3Type of pump
    • F15B2211/20569Type of pump capable of working as pump and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0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valves
    • F15B2211/30525Directional control valves, e.g. 4/3-directional control valve

Abstract

설치를 위한 플랜지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전자 밸브, 및 그러한 전자 밸브를 구비하는 방향 전환 밸브 및 건설 기계를 제공한다.
전자 밸브(10)는, 제1 고착부(34), 제2 고착부(35) 및 구동부(11)를 구비한다. 제1 고착부(34)는, 유압 장치에 접속되는 제1 접속 포트(P1)를 갖고, 당해 유압 장치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하다. 제2 고착부(35)는, 유압 공급원에 접속되는 제2 접속 포트(P2)를 갖고, 당해 유압 공급원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하다. 구동부(11)는, 솔레노이드부에 인가하는 여자 전류에 의해, 제1 접속 포트(P1)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유로(C3)와 제2 접속 포트(P2)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다른 유로(C6)의 합류부의 단면적을 바꾼다.
Provided are a solenoid valve that does not require a flange portion for installation, and a direction change valve and construction machinery provided with such a solenoid valve.
The electromagnetic valve 10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34, a second fixing part 35, and a driving part 11. The first fixing portion 34 has a first connection port P1 connected to the hydraulic device, and can be secur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ydraulic device. The second fixing portion 35 has a second connection port P2 connected to a hydraulic pressure supply source, and can be fix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source. The driving unit 11 has a flow path C3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and another channel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by the exciting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unit. Chang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fluence of the flow path (C6).

Description

전자 밸브, 방향 전환 밸브 및 건설 기계{SOLENOID VALVES, DIRECTIONAL CONTROL VALVES AND CONSTRUCTION MACHINERY}Solenoid valves, directional valves and construction machinery {SOLENOID VALVES, DIRECTIONAL CONTROL VALVES AND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전자 밸브, 방향 전환 밸브 및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omagnetic valves, directional valves, and construction machinery.

유압 장치에 있어서,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체로서, 응답 속도가 우수한 전자 밸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근년에는, 유압 장치를 전기적으로 구동하는 것의 요망이 높아지고 있어, 전자 밸브의 활용은 금후 점점 확대될 것이 기대되고 있다.In hydraulic devices, electromagnetic valves with excellent response speed are widely used as valve elements that control the flow of hydraulic oil.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electrically driving hydraulic devices has increased, and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electromagnetic valves will gradually expand in the future.

특허문헌 1은, 전자 밸브의 일종인 전자 비례 밸브를 개시한다. 이 전자 비례 밸브는, 솔레노이드 코일 및 구동 로드를 갖는 구동 장치와, 구동 장치에 의해 유로 구성이 바뀌는 밸브와, 설치 구멍을 갖는 플랜지부를 구비한다. 특허문헌 1의 전자 비례 밸브는, 플랜지부의 설치 구멍에 삽입되는 설치구(나사 등)에 의해, 방향 전환 밸브 등의 설치 대상에 설치된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which is a type of electromagnetic valve. This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includes a driving device having a solenoid coil and a driving rod, a valve whose flow path configuration is changed by the driving device, and a flange portion having an installation hole.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of Patent Document 1 is installed on an installation object such as a direction change valve using an installation tool (screw, etc.) inserted into an installation hole of the flange portion.

일본 특허 공개 제2017-20541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7-20541 일본 특허 공개 평08-170353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08-170353

통상의 전자 밸브는, 특허문헌 1의 전자 비례 밸브와 같이, 플랜지부를 통해 방향 전환 밸브 등의 설치 대상에 설치된다. 그 때문에 전자 밸브를 설계할 때에는, 플랜지부의 크기 및 형상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플랜지부에 설치 구멍을 형성할 때에도, 설치 구멍의 위치 및 크기에 관하여 높은 가공 정밀도가 요구된다.A normal electromagnetic valve, like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of Patent Document 1, is installed on an installation object such as a direction change valve through a flange portion. Therefore, when designing a solenoid valv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ize and shape of the flange portion. Also, when forming an installation hole in the flange portion, high processing precision is required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installation hole.

또한 예를 들어, 전자 밸브의 배치 스페이스가 한정되어 있어 플랜지부를 위한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나, 설치 대상이 플랜지부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치 대상에 대해 전자 밸브를 설치할 수 없다.Also, for example, if the placement space for the solenoid valve is limited and sufficient space for the flange cannot be secured, or if the installation target is not suitable for the flange section, the solenoid valve cannot be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target. .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설치를 위한 플랜지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전자 밸브, 및 그러한 전자 밸브를 구비하는 방향 전환 밸브 및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light of the above-mentioned circumstance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olenoid valve that does not require a flange portion for installation, and a direction change valve and construction machinery provided with such a solenoid valve.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유압 장치에 접속되는 제1 접속 포트를 갖고, 당해 유압 장치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한 제1 고착부와, 유압 공급원에 접속되는 제2 접속 포트를 갖고, 당해 유압 공급원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한 제2 고착부와, 솔레노이드부에 인가하는 여자 전류에 의해, 제1 접속 포트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유로와 제2 접속 포트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다른 유로의 합류부의 단면적을 바꾸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밸브에 관한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a hydraulic device, a first fastening portion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 connection portion of the hydraulic device, and a second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a hydraulic power source, and a connection portion of the hydraulic power supply sour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fluence of the flow path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and the other flow path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is determined by the exciting current appli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and the solenoid section. It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valve having a changing driving unit.

유압 장치가 방향 전환 밸브여도 된다.The hydraulic device may be a directional valve.

유압 공급원이 유압 펌프여도 된다.The hydraulic pressure source may be a hydraulic pump.

제2 접속 포트가 제1 접속 포트와 직각을 이루어도 된다.The second connection port may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제1 고착부는, 나사 구조를 가져도 된다.The first fixing portion may have a screw structure.

제1 접속 포트는, 설치부의 설치면을 통해 구동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The first connection port may be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rive unit through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installation unit.

제1 접속 포트는, 설치부의 설치면에 대해 구동부와 동일한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The first connection port may be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drive unit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installation unit.

제2 접속 포트는, 설치부의 설치면에 대해 구동부와 동일한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The second connection port may be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drive unit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installation unit.

전자 밸브는, 탱크에 접속되는 제3 접속 포트를 갖고, 당해 탱크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한 제3 고착부를 구비해도 된다.The solenoid valve may have a third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tank and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fixing portion that can be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ank.

제3 접속 포트는, 설치부의 설치면에 대해 구동부와 동일한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The third connection port may be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drive unit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installation unit.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유압 장치에 접속되는 제1 접속 포트를 갖고, 당해 유압 장치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한 제1 고착부와, 유압 공급원에 접속되는 제2 접속 포트를 갖고, 당해 유압 공급원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한 제2 고착부와, 탱크에 접속되는 제3 접속 포트를 갖고, 당해 탱크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한 제3 고착부와, 솔레노이드부에 인가하는 여자 전류에 의해, 제1 접속 포트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유로와 제2 접속 포트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다른 유로의 합류부, 및 제1 접속 포트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유로와 제3 접속 포트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또 다른 유로의 합류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면적을 바꾸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밸브에 관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a hydraulic device, a first fastening portion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 connection portion of the hydraulic device, and a second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a hydraulic power source, and a connection portion of the hydraulic power supply source. It has a second fixing part that can be attached to and a third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tank, and the third fixing part that can be attach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tank and the solenoid part are directly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by an exciting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part. A confluence of an indirectly connected flow path and another flow path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and another flow path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and another flow path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port. It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valve having a driving part that chang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at least one of the confluence parts of the flow path.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한 전자 밸브를 구비하는 방향 전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ional control valve provided with the electromagnetic valve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한 방향 전환 밸브를 구비하는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achine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direction change valve.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를 위한 플랜지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전자 밸브, 및 그러한 전자 밸브를 구비하는 방향 전환 밸브 및 건설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valve that does not require a flange portion for installation, and a direction change valve and construction machinery provided with such an electromagnetic valve.

도 1은 전자 밸브의 일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방도이다.
도 2는 전자 밸브의 다른 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방도이다.
도 3은 전자 밸브의 다른 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방도이다.
도 4는 전자 밸브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방도이다.
도 5는 전자 밸브의 구체적인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방도이다.
도 6은 전자 밸브의 구체적인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방도이다.
도 7은 방향 전환 밸브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유압 셔블의 전형적인 구성예의 개략을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xample of a solenoid valve.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other example of a solenoid valve.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other example of a solenoid valve.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olenoid valve.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olenoid valve.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olenoid valve.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rection change valve.
Fig. 8 is an exter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ypical configuration example of a hydraulic excavato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전자 밸브의 전형예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도 1∼도 3 참조). 그 후, 전자 밸브의 더 구체적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도 4∼도 6 참조). 또한 도 1∼도 6에는, 전자 밸브를 구성하는 각 요소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1∼도 6에 도시된 각 요소는, 반드시 정확한 형상 및 사이즈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First, the schematic structure of a typical solenoid valve will be described (see FIGS. 1 to 3). Next,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solenoid valve will be described (see FIGS. 4 to 6). In addition, each element constituting the electromagnetic valve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S. 1 to 6, and each element shown in FIGS. 1 to 6 is not necessarily shown in the exact shape and size.

[전자 밸브의 개략 구성예][Schematic example of configuration of solenoid valve]

도 1은, 전자 밸브(10)의 일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방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xample of the solenoid valve 10.

도 1에 도시된 전자 밸브(10)는, 구동부(11), 유압부(12) 및 설치부(13)를 구비한다.The electromagnetic valve 10 shown in FIG. 1 includes a driving part 11, a hydraulic part 12, and an installation part 13.

구동부(11)는, 설치부(13)에 대해 일방측(도 1의 상측)에 배치되고, 솔레노이드부(20) 및 플런저(가동 철심)(21)를 갖는다. 솔레노이드부(20)는, 인가되는 여자 전류에 따른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 발생 디바이스이며, 솔레노이드 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솔레노이드부(20)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서, 플런저(21)의 제1 방향(D1)에 관한 위치가 바뀌고, 플런저(21)의 솔레노이드부(20)로부터의 이동량이 변동된다. 플런저(21)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전자 밸브(10)의 중심 축선(도시 생략) 상에 배치되고, 솔레노이드부(20)로부터의 자력의 영향을 받아 제1 방향(D1)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방향(D1)은, 플런저(21)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한다.The drive unit 11 is disposed on one side (upper side in FIG. 1)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unit 13, and has a solenoid unit 20 and a plunger (movable iron core) 21. The solenoid unit 20 is a magnetic force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magnetic force according to the applied exciting current, and is composed of a solenoid coil. Depending on the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unit 20, the position of the plunger 21 in the first direction D1 changes, and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lunger 21 from the solenoid unit 20 changes. The plunger 21 is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not shown) of the solenoid valve 10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D1 under the influence of magnetic force from the solenoid portion 20. Round trip transportation is available. In this way, the first direction D1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nger 21 moves.

플런저(21)는, 단일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의 부재가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단일 부재로 플런저(21)가 구성되는 경우, 솔레노이드부(20)로부터의 자력의 영향을 받은 플런저(21)는 직접적으로, 유압부(12)(예를 들어 후술하는 스풀)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부재로 플런저(21)가 구성되는 경우, 솔레노이드부(20)로부터의 자력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부재와, 유압부(12)(예를 들어 후술하는 스풀)에 접촉하는 부재를 상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유압부(12)에 접촉하는 플런저(21)의 부재는, 솔레노이드부(20)로부터의 자력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플런저(21)의 부재로부터 힘을 받아, 유압부(12)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lunger 21 may be composed of a single member or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When the plunger 21 is composed of a single member, the plunger 21, influenced by the magnetic force from the solenoid portion 20, can directly contact the hydraulic portion 12 (for example, a spool to be described later). do. When the plunger 2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the member directly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from the solenoid portion 20 and the member in contact with the hydraulic portion 12 (e.g., a spool to be described later) are different. It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member of the plunger 21 in contact with the hydraulic unit 12 receives force from the member of the plunger 21 that is directly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from the solenoid unit 20, and moves toward the hydraulic unit 12. It is possible to move.

솔레노이드부(20) 및 플런저(21)의 구체적인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부(11)는, 주로 솔레노이드부(20)에 의해 초래되는 자력에 의해 플런저(21)를 동작시키는 방식(이른바 풀형 구동 방식)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구동부(11)는, 솔레노이드부(20)에 의해 초래되는 자력과 푸시 바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의 밸런스에 따라서 플런저(21)를 동작시키는 방식(이른바 푸시형 구동 방식)을 채용해도 된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olenoid portion 20 and plunger 21 is not limited. The drive unit 11 may adopt a method (a so-called pull-type drive method) that operates the plunger 21 mainly by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solenoid unit 20. Additionally, the drive unit 11 may adopt a method (so-called push-type drive method) that operates the plunger 21 according to the balance between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solenoid portion 20 and the physical force applied from the push bar.

솔레노이드부(20)에 흐르게 되는 전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에는, 전자 밸브가 탑재되는 유압 장치(예를 들어 건설 기계 등의 작업 기계)의 조작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조작되는 조작부(예를 들어 조작 레버부, 조작 패널 등)가 접속되어 있고, 조작부의 상태에 따른 조작 지령 신호가 조작부로부터 입력된다. 제어부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 지령 신호에 따라서, 솔레노이드부(20)에 흐르게 하는 전류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동부(11)의 동작(즉 플런저(21)의 위치)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구동부(11)는 유압부(12)의 유로의 구조를 바꾼다.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olenoid unit 20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n operation unit (e.g., an operation lever unit, an operation panel, etc.) that is directly operated by the operator of a hydraulic device (e.g., a work machine such as a construction machine) on which a solenoid valve is mounted, and the state of the oper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 operation command signal according to is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olenoid unit 20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command signal input by the operator through the operation unit. In this way,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11 (i.e., the position of the plunger 2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drive unit 11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flow path of the hydraulic unit 12.

도 1에 도시하는 솔레노이드부(20)는 하우징부(23)에 의해 덮이고 또한 둘러싸여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부(20)뿐만 아니라, 유압부(12)의 적어도 일부분도, 하우징부(도시 생략)에 의해 둘러싸여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통 형상(예를 들어 원통 형상)의 측벽부를 갖는 부재로 하우징부를 구성할 수 있고, 이 하우징부의 내측에, 솔레노이드부(20), 플런저(21), 및 유압부(12)의 적어도 일부분을 배치할 수 있다.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구동부(11)의 요소 및 유압부(12)의 요소(예를 들어 솔레노이드부(20), 플런저(21) 및 밸브 본체(60))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하우징부에 대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부는, 구동부(11)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로서 마련되어도 되고, 유압부(12)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로서 마련되어도 된다.The solenoid portion 20 shown in FIG. 1 is covered and surrounded by the housing portion 23. Additionally, not only the solenoid portion 20 but also at least a portion of the hydraulic portion 12 may be surrounded by a housing portion (not shown). For example, the housing part can be made of a member having a cylindrical (for example, cylindrical) side wall part, and inside this housing part, the solenoid part 20, the plunger 21, and the hydraulic part 12 are provided. At least part of it can be placed. The elements of the driving part 11 and the elements of the hydraulic part 12 (for example, the solenoid part 20, the plunger 21, and the valve body 6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art ar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housing part. is installed for. In this way, the housing unit may be provided as one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drive unit 11, or may be provided as one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hydraulic unit 12.

유압부(12)는, 밸브 본체(60)에 마련되어 있는 유로 형성부(25)를 갖는다. 유로 형성부(25)에는 유로(도 1에서는 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고, 플런저(21)의 유압부(12)에 대한 위치에 따라서, 유로 형성부(25)가 갖는 유로의 구조는 바뀐다. 여기서 말하는 유로 형성부(25)가 갖는 유로에는, 밸브 본체(60)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유로뿐만 아니라, 밸브 본체(60)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도 포함된다. 유로 형성부(25)에 있어서의 유로 구성의 변경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플런저(21)에 압박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풀을 이용함으로써, 유로 형성부(25)의 유로 구성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hydraulic section 12 has a flow path forming portion 25 provided in the valve body 60. A flow path (not shown in FIG. 1) is provided in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25, and the structure of the flow path of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25 chang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lunger 21 with respect to the hydraulic portion 12. The flow path included in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25 herein includes not only a flow path located inside the valve body 60 but also a flow path formed in the valve body 60. The method of changing the flow path configuration in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2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flow path configuration of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25 may be changed by using a spool provided to be movable while being pressed by the plunger 21. It is possible to change it.

유압부(12)는, 제1 고착부(34), 제2 고착부(35) 및 제3 고착부(36)를 갖는다. 제1 고착부(34), 제2 고착부(35) 및 제3 고착부(36)의 각각은, 대응 설치 대상(예를 들어 유압 장치)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제1 고착부(34)는, 나사 구조(특히 수나사 구조)를 갖는 제1 나사부(37)를 갖는다. 제1 나사부(37)는, 제1 고착부(34)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도 1에 도시하는 제1 나사부(37)는 제1 고착부(34)의 측면의 전체를 구성한다. 제1 고착부(34)는, 제1 나사부(37)를 통해, 대응 설치 대상의 접속부에 대해 나사 고정에 의해 고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하는 제1 나사부(37)는 수나사 구조를 가지므로, 제1 고착부(34)에 고착되는 설치 대상의 접속부는 암나사 구조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고착부(35) 및 제3 고착부(36)의 각각도, 대응 설치 대상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한 고착부(예를 들어 나사 구조(수나사 구조 또는 암나사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The hydraulic unit 12 has a first fixing part 34, a second fixing part 35, and a third fixing part 36. Each of the first fixing part 34, the second fixing part 35, and the third fixing part 36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rresponding installation object (for example, a hydraulic device). The first fixing portion 34 shown in FIG. 1 has a first thread portion 37 having a screw structure (particularly a male screw structure). The first threaded portion 37 constitu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4, and the first threaded portion 37 shown in FIG. 1 constitutes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4. .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4 can be screwed to a corresponding connection portion to be installed via the first threaded portion 37. Since the first threaded portion 37 shown in FIG. 1 has a male threaded structure, the connection portion to be installed that is fix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4 is required to have a female threaded structure. Although not shown in FIG. 1, each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35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36 is also a fastening portion (for example, a screw structure (male screw structure or female screw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rresponding installation target. ) can be provided.

제1 고착부(34), 제2 고착부(35) 및 제3 고착부(36)는, 각각 유압부(12)의 유로(특히 유로 형성부(25)가 갖는 유로)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를 구비한다. 제1 고착부(34), 제2 고착부(35) 및 제3 고착부(36)의 각각이 대응 설치 대상의 접속부에 고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의 각각은, 대응 설치 대상이 갖는 포트 및 유로에 접속되어 있다.The first fixing part 34, the second fixing part 35, and the third fixing part 36 are each connected to the flow path of the hydraulic part 12 (particularly, the flow path of the flow path forming part 25). It has a first connection port (P1), a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a third connection port (P3). In a state where each of the first fixing part 34, the second fixing part 35, and the third fixing part 36 is fixed to the corresponding installation target connection part,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 Each of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is connected to the port and flow path of the corresponding installation target.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가 접속되는 대상은 기본적으로는 한정되지 않지만, 전형적으로는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방향 전환 밸브 등의 유압 장치)(A), 펌프(예를 들어 유압 펌프 등의 유압 공급원)(P) 및 탱크(압유 배출부)(T)에 대해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를 접속할 수 있다. 도 1의 전자 밸브(10)에서는, 제1 접속 포트(P1)가 액추에이터(A)에 접속되는 액추에이터 포트로서 작용하고, 제2 접속 포트(P2)가 펌프(P)에 접속되는 펌프 포트로서 작용하고, 제3 접속 포트(P3)가 탱크(T)에 접속되는 탱크 포트로서 작용한다. 또한, 유압부(12)가 갖는 포트의 수는 한정되지 않고,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 외에도 하나 이상의 포트를 유압부(12)는 더 갖고 있어도 된다.The object 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are connected is not fundamentally limited, but is typically an actuator (for example, a hydraulic device such as a direction change valve) ) (A), a first connection port (P1), a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a third connection port (P1) to the pump (e.g., hydraulic pressure source such as a hydraulic pump) (P) and the tank (hydraulic oil outlet) (T). The connection port (P3) can be connected. In the solenoid valve 10 of FIG. 1,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acts as an actuator port connected to the actuator A,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cts as a pump port connected to the pump P.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acts as a tank port connected to the tank (T). In addition, the number of ports that the hydraulic unit 12 has is not limited, and in addition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one or more ports are connected to the hydraulic unit 12. You can have more.

제1 고착부(34), 제2 고착부(35) 및 제3 고착부(36)의 각각은, 밸브 본체(60)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별체로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즉, 기본적으로 분리할 수 없는 단일 부재로 밸브 본체(60)와 제1 고착부(34), 제2 고착부(35) 및 제3 고착부(36)의 각각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분리 가능한 복수의 부재로 밸브 본체(60)와 제1 고착부(34), 제2 고착부(35) 및 제3 고착부(36)의 각각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분리 가능한 복수의 부재로 밸브 본체(60)와 제1 고착부(34), 제2 고착부(35) 및 제3 고착부(36)의 각각을 구성하는 경우, 이들 복수의 부재는 서로 고정되어 있고, 제1 고착부(34), 제2 고착부(35) 및 제3 고착부(36)의 각각은, 밸브 본체(60)에 대해 고정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유압부(12)는, 제2 고착부(35) 및 제3 고착부(36)는 밸브 본체(60)로 구성되어 있지만, 제1 고착부(34)는 밸브 본체(60)와는 상이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제1 고착부(34)를 구성하는 부재는 고정 수단(예를 들어 나사 고정)에 의해 밸브 본체(60)에 고정되어 있다.Each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4,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35,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36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valve body 60 or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body. That is, each of the valve body 60 and the first fixing part 34, the second fixing part 35, and the third fixing part 36 may be composed of a single member that is basically inseparable, and may be separated. The valve body 60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4,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35,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36 may each be compri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When each of the valve body 60 and the first fixing part 34, the second fixing part 35, and the third fixing part 36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parable members, these plural members are fixed to each other.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4,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35,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36 is fixed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valve body 60. In the hydraulic unit 12 shown in FIG. 1, the second fixing part 35 and the third fixing part 36 are composed of the valve body 60, but the first fixing part 34 is composed of the valve body 60. ), and the member constituting the first fixing portion 34 is fixed to the valve body 60 by fixing means (for example, screw fixing).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의 구성 및 배치는 한정되지 않고,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의 방향은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 중 적어도 어느 것은, 제1 방향(D1)(특히 플런저(21)가 유압부(12)를 향해 이동하는 방향)을 향해 있어도 된다. 도 1에 도시된 전자 밸브(10)에서는, 제1 접속 포트(P1)가 제1 방향(D1)으로 솔레노이드부(20)와는 반대측을(즉, 도 1의 하측 방향을) 향하고,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의 각각이 제1 방향(D1)과 직각을 이루는 제2 방향(D2)을 향하고 있고,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의 각각은 제1 접속 포트(P1)와 직각을 이룬다.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are not limited,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are not limited.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 P3 is not limi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D1 (in particular, the plunger 21 moves toward the hydraulic unit 12). (direction) may be facing. In the solenoid valve 10 shown in FIG. 1,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faces the side opposite to the solenoid portion 20 (i.e., the lower direction in FIG. 1)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 P1 Each of the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faces a second direction (D2)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Each of forms a right angle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또한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제1 방향(D1)을 향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방향(D1)을 향하고 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속 포트는 복수의 병렬 배치 포트를 포함하고, 당해 복수의 병렬 배치 포트는 서로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 전부가, 제1 방향(D1)으로 솔레노이드부(20)와는 반대측을(즉, 도 1의 하측 방향을) 향하는 병렬 배치 포트로서 마련되어도 되고, 서로의 외측에 위치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병렬 배치 포트로서 마련되는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는, 1열로 직선 상에 나열되어 있어도 되고, 등간격으로 나열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공통의 중심 축선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고착부(예를 들어 제1 고착부(34))가 복수의 접속 포트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Additionally, at least two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may face the first direction D1. In this case, the at least two connection ports facing the first direction D1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allel ports, and the plurality of parallel ports may be located outside each other. For example, all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are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solenoid portion 20 in the first direction D1 (i.e., in FIG. 1 They may be provided as parallel arrangement ports facing the lower direction, and may be positioned outside each other. Moreover, the 1st connection port P1, the 2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3rd connection port P3 provided as parallel arrangement ports may be lined up in a straight line in one row, or may be lined up at equal intervals. Moreover, at least two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may have a common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In this way, one fastening portion (for example,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4)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또한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의 단면 형상 및 단면 사이즈(즉, 단면 직경)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는, 서로 동일한 단면 형상 및/또는 단면 사이즈를 갖고 있어도 되고, 서로 다른 단면 형상 및/또는 단면 사이즈를 갖고 있어도 된다.Additionally,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cross-sectional size (i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are not limited.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nd/or cross-sectional size, or may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and/or cross-sectional sizes. You can stay.

설치부(13)는, 제1 고착부(34)에 설치 대상(예를 들어 유압 장치)이 고착된 경우에, 당해 설치 대상에 면하는 설치면(13a)을 갖는다. 제1 고착부(34)에 설치 대상이 고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치면(13a)은 설치 대상에 접촉되어 있어도 되고, 접촉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제1 고착부(34)에 설치 대상이 고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치 대상을 설치면(13a)에 접촉시킴으로써 설치 대상을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When an installation object (for example, a hydraulic device)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34, the installation part 13 has an installation surface 13a that faces the installation object. In a state where the installation object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34,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may or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object. By bringing the installation object into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while the installation object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34, the installation object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상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부(20) 및 유압부(12)는, 제1 방향(D1)에 관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구동부(11), 유압부(12) 및 설치부(13)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전자 밸브(10)의 중심 축선에 의해 관통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도 1에 도시하는 전자 밸브(10)에 있어서, 제1 접속 포트(P1)는, 설치면(13a)을 통해 구동부(1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1 접속 포트(P1)를 구비하는 제1 고착부(34)는, 설치면(13a)을 통해 구동부(1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olenoid unit 20 and the hydraulic unit 12 are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D1. Additionally, the drive unit 11, the hydraulic unit 12, and the installation unit 13 are provided to be penetrated by the central axis of the solenoid valve 10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Moreover, in the solenoid valve 10 shown in FIG. 1 mentioned above, the 1st connection port P1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drive part 11 through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That is, the first fixing portion 34 provided with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driving portion 11 through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또한 유압부(12)는, 제1 접속 포트(P1)와는 상이하면서 유압부(12)(특히 유로 형성부(25))의 유로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하나 이상의 접속 포트(즉,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를 갖는다. 이들 다른 하나 이상의 접속 포트(즉,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는, 설치면(13a)에 대해 구동부(11)와 동일한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유압부(12)는, 제1 고착부(34)와는 상이하면서 대응 설치 대상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한 다른 하나 이상의 고착부(즉, 제2 고착부(35) 및 제3 고착부(36))를 갖고, 당해 다른 하나 이상의 고착부(즉, 제2 고착부(35) 및 제3 고착부(36))는 다른 하나 이상의 접속 포트(즉,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hydraulic unit 12 has one or more other connection ports (i.e., second connection port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and are connected to the flow path of the hydraulic unit 12 (especially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25). (P2) and a third connection port (P3). These other one or more connection ports (i.e.,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are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drive unit 11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In addition, the hydraulic unit 12 includes one or more other fixing parts (i.e., the second fixing part 35 and the third fixing part 36) that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fixing part 34 and can be attach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rresponding installation target. has, and the other one or more fixing parts (i.e., the second fixing part 35 and the third fixing part 36) have one or more other connection ports (i.e.,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 P3)) is provided.

또한, 유압부(12)의 일부는 설치부(13)보다 구동부(11)측에 배치되어 있다. 설치면(13a)을 통해 구동부(11)와는 반대측에 마련되는 유압부(12)의 부분은, 제1 접속 포트(P1)에 연결되는 유로를 갖는다. 설치면(13a)에 대해 구동부(11)와 동일한 측에 마련되는 유압부(12)의 부분은,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에 연결되는 유로를 갖는다.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 중 적어도 어느 것(예를 들어, 제1 접속 포트(P1), 제2 접속 포트(P2) 및 제3 접속 포트(P3) 전부)은, 설치부(13)(특히 설치면(13a))를 통해 솔레노이드부(20)(구동부(11))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Additionally, a part of the hydraulic unit 12 is disposed on the drive unit 11 side rather than the installation unit 13. The portion of the hydraulic unit 12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drive unit 11 via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has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The part of the hydraulic part 12 provided on the same side as the drive part 11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has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2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3rd connection port P3.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e.g.,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The connection port (P3) may not be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olenoid unit 20 (drive unit 11) via the installation portion 13 (especially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or may be provided.

도 2는, 전자 밸브(10)의 다른 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방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전자 밸브(10)에 있어서,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전자 밸브(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other example of the solenoid valve 10. In the solenoid valve 10 shown in FIG. 2, elements that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ose of the solenoid valve 10 shown in FIG. 1 above are given the same symbol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도 2에 도시된 전자 밸브(10)에서는, 제1 접속 포트(P1)가, 설치면(13a)에 대해 구동부(11)와 동일한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고착부(34)가 갖는 제1 나사부(37)는 암나사 구조를 갖는다. 그 때문에, 제1 고착부(34)에 고착되는 대응 설치 대상의 접속부는, 수나사 구조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또한 도 2의 설치부(13)는 제1 고착부(34)로 구성되고, 설치면(13a)은 제1 고착부(34)의 단부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고착부(34)는 밸브 본체(60)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solenoid valve 10 shown in FIG. 2,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is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drive unit 11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Additionally, the first threaded portion 37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4 has a female threaded structure. Therefore,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rresponding installation object that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34 is required to have a male thread structure. Additionally, the installation portion 13 in FIG. 2 is composed of a first fixing portion 34,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is composed of an end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4. Additionally, the first fixing portion 34 is composed of a valve body 60.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자 밸브(10)에 있어서, 유압부(12)의 유로는 전체적으로 설치면(13a)보다 구동부(11)측에 배치되어 있고, 유압부(12)는 설치면(13a)을 통해 구동부(11)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하는 전자 밸브(10)는, 설치면(13a)으로부터 제1 방향(D1)(특히 구동부(11)와는 반대측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재를 갖지 않고, 제1 고착부(34)는 제1 나사부(37) 및 설치 대상의 수나사부를 통해 설치 대상에 대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나사부(37)와 설치면(13a)의 경계부에, 또는 당해 경계부의 근방에 O링(R)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자 밸브(10)와 설치 대상 사이로부터의 압유의 누출을 당해 O링(R)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In the solenoid valve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low path of the hydraulic unit 12 is disposed overall on the side of the drive unit 11 rather than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and the hydraulic unit 12 is loc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It is not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riving unit 11. Therefore, the solenoid valve 10 shown in FIG. 2 has no member protruding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in the first direction D1 (particularly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e unit 11), and has a first fixing portion 34. ) can be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object through the first threaded portion 37 and the external threaded portion of the installation object.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place an O-ring (R)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threaded portion 37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or near the boundary, so that the pressure oil from between the solenoid valve 10 and the installation object is Leakage can be prevented with an O-ring (R).

도 3은, 전자 밸브(10)의 다른 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방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전자 밸브(10)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자 밸브(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other example of the solenoid valve 10. In the electromagnetic valve 10 shown in FIG. 3, elements that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ose of the electromagnetic valve 10 shown in FIGS. 1 and 2 above are given the same symbol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도 3에 도시된 전자 밸브(10)의 제1 고착부(34)는, 밸브 본체(60)가 갖는 유로 형성부(25)를 통해, 구동부(1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고착부(34)는, 제1 조인트체(77) 및 제2 조인트체(78)를 갖는다. 제1 조인트체(77)는, 밸브 본체(60)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밸브 본체(60)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별체로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조인트체(78)는, 제1 조인트체(77)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조인트체(77) 중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돌기부와, 제2 조인트체(78) 중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돌기부가 서로 걸림으로써, 제2 조인트체(78)는 제1 조인트체(77)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고착부(34)의 제2 조인트체(78)가 갖는 제1 나사부(37)는 암나사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하는 제1 고착부(34)에 고착되는 설치 대상의 접속부는, 수나사 구조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또한 도시한 설치부(13)는 제1 고착부(34)(특히 제1 조인트체(77))로 구성되어 있고, 설치면(13a)은 제1 고착부(34)(특히 제1 조인트체(77))의 단부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고착부(34)가 갖는 제1 접속 포트(P1)는, 설치면(13a)에 대해 구동부(11)와 동일한 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first fixing part 34 of the solenoid valve 10 shown in FIG. 3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driving part 11 through the flow path forming part 25 of the valve body 60. The first fixing portion 34 has a first joint body 77 and a second joint body 78. The first joint body 77 is fixed to the valve body 60 and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valve body 60 or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body. The second joint body (78) is fixed to the first joint body (77).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protrusion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2 of the first joint body 77 and the protrusion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2 of the second joint body 78 are engaged with each other. , the second joint body 78 is fixed to the first joint body 77. Additionally, the first threaded portion 37 of the second joint body 78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4 has a female threaded structure. Therefore, the connection part to be installed that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34 shown in FIG. 3 is required to have a male thread structure. Additionally, the illustrated installation portion 13 is composed of a first fastening portion 34 (particularly the first joint body 77),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is composed of a first fastening portion 34 (particularly the first joint body 77). (77)) It is composed of the end face of (77)).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4 is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driving portion 11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또한 설치부(13) 및 설치면(13a)은 반드시 제1 조인트체(77)로 구성되어 있지는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있어서 부호 「13'」 및 「13'a」에 의해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60)에 의해 설치부 및 설치면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고착부(34)에 고착되어 있는 설치 대상(예를 들어 유압 장치)은, 설치면(13'a)에 접촉해도 되고, 설치면(13'a)의 근방에 배치되면서 설치면(13'a)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도 3에 도시하는 전자 밸브(10)에 있어서 밸브 본체(60)에 의해 설치부(13') 및 설치면(13'a)이 구성되는 경우, 제1 고착부(34)가 갖는 제1 접속 포트(P1)는, 설치면(13'a)을 통해 구동부(11)와는 반대측에 위치한다.Additionally, the installation portion 13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comprised of the first joint body 77. For example, as indicated by symbols “13'” and “13'a” in FIG. 3, an installation portion and an installation surface may be formed by the valve body 60.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object (for example, a hydraulic device) fix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34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and may be installed while being disposed near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13'a. In this way, in the solenoid valve 10 shown in FIG. 3, when the installation portion 13'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are formed by the valve body 60, the first fixing portion 34 has 1 Connection port P1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drive unit 11 through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도 1∼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포트(예를 들어 제1 접속 포트(P1))를 구비하는 고착부(예를 들어 제1 고착부(34))를, 설치 대상(예를 들어 유압 장치)의 접속부에 대해 직접적으로 고착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우수한 설치 성능을 갖는 전자 밸브(10)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전자 밸브(10)에 의하면, 전자 밸브를 설치 대상에 설치하기 위해 종래 사용되고 있던 플랜지부가 불필요해져, 전자 밸브(10)를 용이하게 소형화 및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 밸브(10)를 설계할 때에 플랜지부의 사이즈나 형상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플랜지부의 나사 구멍의 형성 가공도 불필요해진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n attachment portion (e.g., first attachment portion 34) having a connection port (e.g., first connection port (P1)) is connected to an installation target (e.g., For example, by providing the solenoid valve 10 so that it can be directly attached to a connection part of a hydraulic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olenoid valve 10 with excellent installation performance.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solenoid valve 10 described above, the flange part conventionally used to attach the solenoid valve to the installation object becomes unnecessar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miniaturize and reduce the weight of the solenoid valve 10. Additionally, when designing the solenoid valve 10,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the size or shape of the flange portion, and forming a screw hole in the flange portion becomes unnecessary.

또한 제1 고착부(34)(특히 제1 나사부(37))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60)와는 상이한 부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60)의 일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나사부(37)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나사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나사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고착부(34)(특히 제1 나사부(37))의 고착 구조는 자유도가 높고, 제1 나사부(37)는 설치 대상의 접속부의 구조에 따른 고착 구조(나사 구조)를 유연하게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전자 밸브(10)는, 다양한 형태의 설치 대상에 대해 적절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기존의 설치 대상에 대해서도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제1 고착부(34) 및 제1 나사부(37)의 고착 구조(나사 구조)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밸브에 대해 적용 가능하고, 기존의 전자 밸브에 대해서도 부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fixing portion 34 (particularly the first threaded portion 37) may be formed of a member different from the valve body 60, as shown in FIGS. 1 and 3, and as shown in FIG. 2. Likewise, it is also possible to be configured as part of the valve body 60. Additionally, the first threaded portion 37 may have a male thread structure as shown in FIG. 1, or may have a female thread structure as shown in FIGS. 2 and 3. In this way, the fixing structure of the first fixing part 34 (especially the first screw part 37) has a high degree of freedom, and the first screw part 37 can flexibly change the fixing structure (screw structu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part to be installed. You can have it. Therefore, the electromagnetic valve 10 described above can be appropriately installed on various types of installation objects, and can also be installed on existing installation objects. Additionally, the fixing structure (screw structur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4 and the first screw portion 37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solenoid valves and can also be added to existing solenoid valves.

이와 같이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밸브(10)는, 다양한 설치 대상(예를 들어 컨트롤 밸브 등의 유압 장치)에 대해 유연하면서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고, 당해 전자 밸브(10)를 사용하여 다양한 설치 대상의 전기 구동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solenoid valve 1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flexibly and easily installed on various installation objects (for example, hydraulic devices such as control valves), and the solenoid valve 10 can be used to provide various It is possible to realize electric drive of the installation object.

[전자 밸브의 구체적인 구성예][Specific configuration example of solenoid valve]

다음으로, 전자 밸브(10)의 구체적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전자 밸브(10)의 구성은 일례에 불과하며, 전자 밸브(10)는 다른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Next, a specific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solenoid valve 10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valve 10 described below is only an example, and the electromagnetic valve 10 may have any other configuration.

도 4는, 전자 밸브(1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측방도이다. 도 4에서는, 전자 밸브(10)의 구성 요소의 일부에 대해서는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전자 밸브(10)의 구성 요소의 일부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고, 예를 들어 구동부(11)의 일부(특히 솔레노이드부(20))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전자 밸브(10)를 구성하는 요소 중, 상술한 요소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olenoid valve 10. In FIG. 4, a cross section is shown of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magnetic valve 10. Furthermore, in FIG. 4,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solenoid valve 10 are omitted from illustration, and,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drive unit 11 (in particular, the solenoid unit 20) is omitted from illustration. Amo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electromagnetic valve 10 shown in FIG. 4,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lement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4에 도시된 전자 밸브(10)는 전자 비례 밸브로서 구성되어 있고, 스풀(62)의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이 이용되어, 유압부(12)(특히 밸브 본체(60)의 유로 형성부(25))의 유로 구성이 변경된다.The electromagnetic valve 10 shown in FIG. 4 is configured as an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and movement of the spool 62 in the first direction D1 is used to control the hydraulic portion 12 (in particular, the valve body 60). The flow path configuration of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25 is changed.

도 4에 도시하는 유압부(12)는, 밸브 본체(60)와, 밸브 본체(6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조인트체(70)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60)의 내측에는, 복수의 O링(R)을 통해 보유 지지체(61)가 고정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각 O링(R)은 시일 기능을 발휘하여, 압유의 누출을 방지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표시가 번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O링(R) 전부에는 부호 「R」이 부여되어 있지 있다. 또한 조인트체(70)는 밸브 본체(60)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설치 나사부(65)가 불필요해지고, 또한 밸브 본체(60)와 조인트체(70) 사이에 배치되는 O링(R)이 불필요해져, 장치 구성을 소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hydraulic unit 12 shown in FIG. 4 includes a valve body 60 and a joint body 70 fixed to the valve body 60. Inside the valve body 60, a holding body 61 is fixedly provided via a plurality of O-rings (R). Each O-ring (R) performs a sealing function and prevents leakage of pressure oil. Additionally, in Fig. 4, in order to prevent the display from becoming complicated, the symbol “R” is not given to all of the O-rings R. Additionally, the joint body 7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valve body 60.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screw portion 65 described later becomes unnecessary, and the O-ring R disposed between the valve body 60 and the joint body 70 becomes unnecessary, making it possible to miniaturize the device configuration.

스풀(62)은, 보유 지지체(61)의 내벽면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수용 구멍에 배치되어 있고, 보유 지지체(61)의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제1 방향(D1)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스풀(62)이 밸브 본체(60)에 밀착되어 있는 개소는 액밀 구조를 가져, 압유는, 스풀(62)과 밸브 본체(60) 사이의 밀착 부분을 기본적으로 통과할 수 없다.The spool 62 is disposed in a receiving hole defined by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lding body 61,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D1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lding body 61. The portion where the spool 6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body 60 has a liquid-tight structure, and hydraulic oil basically cannot pass through the clos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spool 62 and the valve body 60.

스풀(62)의 제1 방향(D1)에 관한 한쪽 단부(도 4의 상방 단부)는, 구동부(11)의 플런저(21)에 의해 압박되는 부분이다. 플런저(21)가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플런저(21) 중 솔레노이드부(20)로부터의 자력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부재와는 상이한 다른 부재이며, 솔레노이드부(20)로부터의 자력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부재와 연동되는 다른 부재를, 스풀(62)의 단부에 접촉시킬 수 있다. 스풀(62)의 제1 방향(D1)에 관한 다른 쪽 단부(도 4의 하방 단부)는, 압축 스프링(63)에 의해 압박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63)은, 보유 지지체(61)와 스풀(62)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제4 유로(C4)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62)과 보유 지지체(61) 사이에서 제1 방향(D1)으로 압축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One end (upper end in FIG. 4) of the spool 62 in the first direction D1 is a portion pressed by the plunger 21 of the drive unit 11. When the plunger 2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it is a member different from the member of the plunger 21 that is directly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from the solenoid portion 20, and is influenced by the magnetic force from the solenoid portion 20. Another member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member that directly receives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pool 62. The other end (lower end in FIG. 4 ) of the spool 62 in the first direction D1 is urged by the compression spring 63 . The compression spring 63 is disposed in the fourth flow path C4 surrounded by the holding body 61 and the spool 62, and moves between the spool 62 and the holding body 61 in the first direction D1. It is provided in a compressed state.

스풀(62)은, 제1 유로(C1), 제2 유로(C2) 및 제3 유로(C3)를 갖는다. 제1 유로(C1)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제2 유로(C2) 및 제3 유로(C3)의 각각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1 유로(C1)에 접속되어 있다. 스풀(62)의 플런저(21)측의 단부(도 4의 상방의 단부)에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당해 관통 구멍은 제1 유로(C1)에 접속되어 있다. 스풀(62)의 다른 쪽 단부(도 4의 하방의 단부)에도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당해 관통 구멍은 제1 유로(C1)의 일부로서 구성되고, 제4 유로(C4)에 면하고 있다. 제2 유로(C2) 및 제3 유로(C3)의 각각의 한쪽 단부는, 제1 유로(C1)에 접속되어 있고, 제2 유로(C2) 및 제3 유로(C3)의 각각의 다른 쪽 단부는, 보유 지지체(61)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The spool 62 has a first flow path C1, a second flow path C2, and a third flow path C3. The first flow path C1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each of the second flow path C2 and the third flow path C3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also extends in the first flow path C1. You are connected. A through hole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pool 62 on the plunger 21 side (upper end in Fig. 4), and the through hole is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C1. A through hole is also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pool 62 (the lower end in FIG. 4), and the through hole is configured as a part of the first flow path C1 and faces the fourth flow path C4. Each one end of the second flow path C2 and the third flow path C3 is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C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low path C2 and the third flow path C3 is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C1. is open toward the holding body 61.

제4 유로(C4)는, 스풀(62)이 배치되는 보유 지지체(61)의 수용 구멍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고, 스풀(62)의 제1 방향(D1)의 위치에 따라서 제4 유로(C4)의 크기(특히 제1 방향(D1)의 길이)는 바뀐다. 제4 유로(C4)는, 밸브 본체(60) 및 조인트체(70)가 갖는 유로(C)를 통해 제1 접속 포트(P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21), 제1 유로(C1), 제4 유로(C4), 밸브 본체(60) 및 조인트체(70)가 갖는 유로(C), 및 제1 접속 포트(P1)는, 전자 밸브(10)의 중심 축선에 의해 관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 fourth flow path C4 is configured as a part of the receiving hole of the holding body 61 in which the spool 62 is disposed, and the fourth flow path C4 is form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pool 62 in the first direction D1. ) (in particular, the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D1) changes. The fourth flow path C4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through the flow path C included in the valve body 60 and the joint body 70. In addition, the plunger 21, the first flow path C1, the fourth flow path C4, the flow path C of the valve body 60 and the joint body 70,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are electronic It is disposed at a position penetrated by the central axis of the valve 10.

보유 지지체(61)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제5 유로(C5) 및 제6 유로(C6)를 갖는다. 또한 보유 지지체(61)와 밸브 본체(60) 사이의 스페이스에 의해, 제7 유로(C7) 및 제8 유로(C8)가 구성되어 있다. 제5 유로(C5)는, 제7 유로(C7)를 통해 제3 접속 포트(P3)에 접속되어 있고, 제6 유로(C6)는, 제8 유로(C8)를 통해 제2 접속 포트(P2)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접속 포트(P1)는 제1 방향(D1)(특히 구동부(11)에 대해 반대측 방향)을 향해 있고, 액추에이터(A)에 접속된다. 제2 접속 포트(P2)는 제2 방향(D2)으로 개구되고, 펌프(P)에 접속된다. 제3 접속 포트(P3)는 제2 방향(D2)으로 개구되고, 탱크(T)에 접속된다. 제3 고착부(36)는, 탱크(T)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The holding body 61 has a fifth flow path C5 and a sixth flow path C6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2. Additionally, the seventh flow path C7 and the eighth flow path C8 are formed by the space between the holding body 61 and the valve body 60. The fifth flow path C5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through the seventh flow path C7, and the sixth flow path C6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through the eighth flow path C8. )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faces the first direction D1 (particularly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e unit 11) and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A.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is open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is connected to the pump (P).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opens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is connected to the tank T. The third fixing part 36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fix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tank T.

제1 접속 포트(P1)를 갖는 제1 고착부(34)는, 수나사 구조를 갖는 제1 나사부(37)를 구비한다. 제2 접속 포트(P2)를 갖는 제2 고착부(35)는, 암나사 구조를 갖는 제2 나사부(38)를 구비한다. 제3 접속 포트(P3)를 갖는 제3 고착부(36)는, 암나사 구조를 갖는 제3 나사부(39)를 구비한다. 제1 고착부(34)는 조인트체(70)로 구성되고, 제2 고착부(35) 및 제3 고착부(36)는 밸브 본체(6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제1 고착부(34)가, 밸브 본체(60)와는 별체로서 마련되는 조인트체(70)로 구성되어 있지만, 조인트체(70)를 밸브 본체(60)와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제1 고착부(34)를 밸브 본체(60)로 구성해도 된다.The first fastening portion 34 having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is provided with a first thread portion 37 having a male thread structur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35 having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is provided with a second thread portion 38 having a female thread structure. The third fastening portion 36 having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is provided with a third thread portion 39 having a female thread structure. The first fixing part 34 is composed of a joint body 70, and the second fixing part 35 and the third fixing part 36 are composed of a valve body 60. In the example show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4 is composed of a joint body 70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valve body 60, but the joint body 7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valve body 60. Also, the first fixing portion 34 may be configured as the valve body 60.

조인트체(70)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관상 부재이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유로(C)가 조인트체(70)를 관통하고 있다. 조인트체(70)는, 한쪽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본체 접속 나사부(72)와, 다른 쪽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외부 접속 나사부(74)와, 본체 접속 나사부(72)와 외부 접속 나사부(74)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조정 나사부(73)와, 본체 접속 나사부(72)와 조정 나사부(73)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스토퍼부(75)를 갖는다. 본체 접속 나사부(72), 조정 나사부(73) 및 외부 접속 나사부(74)는 수나사 구조를 갖는다.The joint body 70 is a tubular member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a flow path C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penetrates the joint body 70. The joint body 70 is located between the main body connection thread portion 72 located at one end, the external connection thread portion 74 located at the other end, and the main body connection thread portion 72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hread portion 74. It has an adjustment screw portion 73 and a stopper portion 75 located between the main body connection thread portion 72 and the adjustment screw portion 73. The main body connection thread portion 72, the adjustment thread portion 73,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hread portion 74 have a male thread structure.

밸브 본체(60)는, 암나사 구조를 갖는 설치 나사부(65)를 갖는다. 본체 접속 나사부(72)가 설치 나사부(65)에 나사 고정됨으로써, 조인트체(70)는 밸브 본체(60)에 고정된다. 조인트체(70)가 밸브 본체(6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인트체(70)의 유로(C)는 밸브 본체(60)의 유로(C)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접속 포트(P1)는, 이들 조인트체(70) 및 밸브 본체(60)의 유로(C)를 통해, 제4 유로(C4) 및 제1 유로(C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체(70)가 밸브 본체(6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밸브 본체(60)와 조인트체(70) 사이에는 O링(R)이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부(75)는, 밸브 본체(60)의 유로(C)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스토퍼부(75)가 밸브 본체(60)와 접촉함으로써, 밸브 본체(60)에 대한 조인트체(70)의 삽입의 정도가 결정된다.The valve body 60 has an installation thread portion 65 having a female thread structure. The joint body 70 is fixed to the valve body 60 by screwing the main body connection thread portion 72 to the installation thread portion 65. In a state where the joint body 70 is fixed to the valve body 60, the flow path C of the joint body 70 is connected to the flow path C of the valve body 60.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is connected to the fourth flow path C4 and the first flow path C1 through the flow paths C of the joint body 70 and the valve body 60. Additionally, with the joint body 70 fixed to the valve body 60, an O-ring (R) is disposed between the valve body 60 and the joint body 70. The stopper portion 75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flow path C of the valve body 60. As the stopper portion 75 contacts the valve body 60,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joint body 70 into the valve body 60 is determined.

외부 접속 나사부(74)는 제1 나사부(37)를 갖는다. 외부 접속 나사부(74)의 제1 나사부(37)에는, 대응 설치 대상의 접속부가 나사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전자 밸브(10)는 대응 설치 대상에 고정되고, 제1 접속 포트(P1)는, 설치 대상의 접속부가 갖는 포트 및 유로에 접속된다.The external connection thread portion 74 has a first thread portion 37 . The connection part to be installed is screwed to the first screw part 37 of the external connection screw part 74. Thereby, the solenoid valve 10 is fixed to the corresponding installation object, and the 1st connection port P1 is connected to the port and flow path which the connection part of the installation object has.

조정 나사부(73)에는, 암나사 구조를 갖는 조정 너트(71)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조정 너트(71)와 외부 접속 나사부(74) 사이에는 와셔(76)가 마련되어 있다. 외부 접속 나사부(74)의 제1 나사부(37)에 대해 나사 고정되는 설치 대상은, 와셔(76)에 접촉하고, 와셔(76)를 통해 조정 너트(71)에 압박 접촉된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와셔(76)가 설치부(13) 및 설치면(13a)으로서 작용한다. 조정 너트(71)를 조정 나사부(7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정 너트(71) 및 와셔(76)의 제1 방향(D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정 너트(71) 및 와셔(76)의 제1 방향(D1)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설치 대상의 접속부에 대한 외부 접속 나사부(74)의 삽입의 정도가 결정된다.An adjustment nut 71 having a female thread structure is screwed to the adjustment screw portion 73. A washer 76 is provided between the adjustment nut 71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hread portion 74. The installation object screwed to the first threaded portion 37 of the external connecting threaded portion 74 contacts the washer 76 and is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adjusting nut 71 via the washer 76 . Therefore, in this example, the washer 76 serves as the installation portion 13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By rotating the adjustment nut 71 relative to the adjustment screw portion 73, the positions of the adjustment nut 71 and the washer 76 in the first direction D1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adjustment nut 71 and the washer 76 in the first direction D1 in this way,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threaded portion 74 into the connection portion to be installed is determined.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자 밸브(10)에 있어서 플런저(21)는, 솔레노이드부(20)로부터의 자력의 영향을 받고, 스풀(62)을 통해 압축 스프링(63)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제1 방향(D1)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플런저(21)로부터 스풀(62)에 부여되는 힘과 압축 스프링(63)으로부터 스풀(62)에 부여되는 힘과는 서로 대향하고, 이들 힘의 밸런스에 의해(즉, 플런저(21)의 선단 위치에 의해), 스풀(62)의 제1 방향(D1)에 관한 위치가 정해진다. 도 4에 도시된 스풀(62)은, 플런저(21)에 접촉하고, 솔레노이드부(20)에 가장 근접한 위치(즉, 제1 접속 포트(P1)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제어부(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부(11)가 구동되어 플런저(21)가 스풀(62)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스풀(62)은 플런저(21)에 의해 압박되어 이동하고, 압축 스프링(63)은 스풀(62)의 이동에 의해 압축된다. 이에 의해, 스풀(62)이 갖는 제2 유로(C2) 및 제3 유로(C3)의 제1 방향(D1)에 관한 위치가 바뀌어, 제5 유로(C5) 및 제6 유로(C6)에 대한 제2 유로(C2) 및 제3 유로(C3)의 접속 상태(즉, 유로 형성부(25)의 유로 크기)를 바꿀 수 있다.In the solenoid valve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lunger 21 is influenced by the magnetic force from the solenoid portion 20 and is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compression spring 63 through the spool 62, It is capable of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direction (D1). Therefore, the force applied to the spool 62 from the plunger 21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spool 62 from the compression spring 63 oppose each other, and the balance of these forces (i.e., the force of the plunger 21) (by the tip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spool 62 in the first direction D1 is determined. The spool 62 shown in FIG. 4 is in contact with the plunger 21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losest to the solenoid portion 20 (that is, a position furthest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From this state, the drive unit 11 is driven by a control unit (not shown) to move the plunger 21 toward the spool 62, and the spool 62 is pressed and moved by the plunger 21, The compression spring 63 is compressed by movement of the spool 62. As a result, the positions of the second flow path C2 and the third flow path C3 of the spool 62 are changed with respect to the fifth flow path C5 and the sixth flow path C6.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econd flow path C2 and the third flow path C3 (that is, the flow path size of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25) can be changed.

이와 같이 구동부(11)의 플런저(21)에 의해 유압부(12)의 스풀(62)을 구동시킴으로써, 액추에이터(A), 펌프(P) 및 탱크(T)의 제1 유로(C1)에 대한 접속 및 비접속을 유연하게 바꿀 수 있다. 이에 의해, 펌프(P)로부터 제1 유로(C1)에 대한 압유의 공급 및 공급 정지의 전환과, 제1 유로(C1)와 액추에이터(A) 사이에 있어서의 압유의 공급 및 배출의 전환과, 제1 유로(C1)로부터 탱크(T)에 대한 압유의 배출 및 배출 정지의 전환을, 전기적인 제어하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by driving the spool 62 of the hydraulic part 12 by the plunger 21 of the driving part 11, the actuator A, the pump P, and the first flow path C1 of the tank T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can be changed flexibly. Thereby, switching between supply and stop supply of hydraulic oil from the pump P to the first flow path C1, switching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of hydraulic oil between the first flow path C1 and the actuator A, It is possible to switch between discharging and stopping the discharge of pressure oil from the first flow path C1 to the tank T under electrical control.

도 5는, 전자 밸브(10)의 구체적인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방도이다. 도 5에서는, 전자 밸브(10)의 구성 요소의 일부에 대해서는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전자 밸브(10)의 구성 요소의 일부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전자 밸브(10)를 구성하는 요소 중, 도 4에 도시되는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olenoid valve 10. In FIG. 5, a cross section is shown of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magnetic valve 10. Additionally, in FIG. 5,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solenoid valve 10 are omitted from illustration. Amo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electromagnetic valve 10 shown in FIG. 5, detailed descriptions of elements that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ose shown in FIG. 4 will be omitted.

도 5에 도시하는 전자 밸브(10)의 구성은, 도 4에 도시하는 전자 밸브(10)의 구성과 유사하지만, 도 4에 도시하는 조인트체(70)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도 5에 도시하는 전자 밸브(10)의 제1 고착부(34)는 밸브 본체(60)로 구성되어 있고, 제1 고착부(34)의 제1 나사부(37)는 암나사 구조를 갖는다. 제1 나사부(37)에 대해 나사 고정되는 설치 대상의 접속부는, 수나사 구조를 갖는다.The configuration of the solenoid valve 10 shown in FIG. 5 is similar to that of the solenoid valve 10 shown in FIG. 4, but does not include the joint body 70 shown in FIG. 4.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4 of the solenoid valve 10 shown in FIG. 5 is comprised of the valve body 60, and the first threaded portion 37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4 has a female thread structur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installation object that is screwed to the first thread portion 37 has a male thread structure.

본 예의 설치부(13)는 밸브 본체(60)로 구성되어 있고, 설치면(13a)은 밸브 본체(60)의 단부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속 포트(P1)는, 밸브 본체(60)의 단부가 갖는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고, 제1 방향(D1)(특히 구동부(11)와는 반대측의 방향)으로 개구되고, 밸브 본체(60)가 갖는 유로를 통해 제4 유로(C4) 및 제1 유로(C1)에 접속되어 있다. 제1 고착부(34)에 설치 대상이 고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접속 포트(P1)는, 당해 설치 대상의 접속부가 갖는 포트 및 유로에 접속된다.The installation portion 13 in this example is comprised of the valve body 60,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is comprised of the end surface of the valve body 60.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is comprised of a recessed portion of the end of the valve body 60, opens in the first direction D1 (particularly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e unit 11), and is connected to the valve body 60. It is connected to the fourth flow path C4 and the first flow path C1 through a flow path. In a state where the installation object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34,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is connected to the port and flow path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installation object.

또한 도 5에 있어서의 플런저(21)의 구동과 유로 형성부(25)의 유로 구조의 관계는, 도 4에 도시하는 관계와 동일하다.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e of the plunger 21 and the flow path structure of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25 in FIG. 5 is the same as the relationship shown in FIG. 4.

도 6은, 전자 밸브(10)의 구체적인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방도이다. 도 6에서는, 전자 밸브(10)의 구성 요소의 일부에 대해서는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전자 밸브(10)의 구성 요소의 일부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전자 밸브(10)를 구성하는 요소 중, 도 4∼도 5에 도시되는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olenoid valve 10. In FIG. 6, a cross section is shown of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magnetic valve 10. Additionally, in FIG. 6,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solenoid valve 10 are omitted from illustration. Amo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electromagnetic valve 10 shown in FIG. 6, detailed descriptions of elements that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ose shown in FIGS. 4 to 5 will be omitted.

도 6에 도시하는 전자 밸브(10)의 구성은, 도 4에 도시하는 전자 밸브(10)의 구성과 유사하지만, 도 4에 도시하는 조인트체(70) 대신에, 제1 조인트체(77) 및 제2 조인트체(78)를 구비한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유압부(12)는, 밸브 본체(60)와, 밸브 본체(6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1 조인트체(77)와, 제1 조인트체(77)에 설치되는 제2 조인트체(78)를 포함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olenoid valve 10 shown in FIG. 6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olenoid valve 10 shown in FIG. 4, but instead of the joint body 70 shown in FIG. 4, a first joint body 77 is used. and a second joint body (78). That is, the hydraulic unit 12 shown in FIG. 6 includes a valve body 60, a first joint body 77 fixedly installed on the valve body 60, and a first joint body 77 installed on the first joint body 77. It includes a second joint body (78).

제1 조인트체(77)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관상 부재이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유로(C)가 제1 조인트체(77)를 관통하고 있다. 제1 조인트체(77)는, 한쪽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본체 접속 나사부(72)와, 다른 쪽 단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끼워 맞춤 홈(79)과, 본체 접속 나사부(72)와 끼워 맞춤 홈(79)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스토퍼부(75)를 갖는다. 본체 접속 나사부(72)는 수나사 구조를 갖는다. 끼워 맞춤 홈(79)은, 제2 조인트체(78)의 끼워 맞춤 갈고리(80)를 끼움 삽입 가능한 오목 형상을 갖는다.The first joint body 77 is a tubular member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a flow path C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penetrates the first joint body 77. The first joint body 77 includes a main body connection screw portion 72 located at one end, a fitting groove 79 located at the other end side, and a main body connection screw portion 72 and a fitting groove 79. It has a stopper portion 75 located between them. The main body connection thread portion 72 has a male thread structure. The fitting groove 79 has a concave shape into which the fitting claw 80 of the second joint body 78 can be inserted.

제2 조인트체(78)는, 통 형상을 갖고, 제1 고착부(34)를 구성한다. 제2 조인트체(78)는, 한쪽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끼워 맞춤 갈고리(80)와, 다른 쪽 단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1 나사부(37)를 구비한다. 끼워 맞춤 갈고리(80)가 끼워 맞춤 홈(79)에 끼움 삽입됨으로써, 제2 조인트체(78)는 제1 조인트체(77)에 설치된다. 또한 제2 조인트체(78)는, 제1 조인트체(77)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제1 접속 포트(P1)는, 제2 조인트체(78)의 단부(도 6의 하방측의 단부)가 갖는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고, 제1 방향(D1)(특히 구동부(11)와는 반대측의 방향)으로 개구되고, 제1 조인트체(77) 및 밸브 본체(60)가 갖는 유로(C)를 통해 제4 유로(C4) 및 제1 유로(C1)에 접속되어 있다.The second joint body 78 has a cylindrical shape and constitutes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4. The second joint body 78 has a fitting hook 80 located at one end and a first screw portion 37 located at the other end. By fitting the fitting hook 80 into the fitting groove 79, the second joint body 78 is installed in the first joint body 77. Additionally, the second joint body 78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first joint body 77 .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is composed of a concave portion of the end of the second joint 78 (the lower end in Fig. 6), and is connected in the first direction D1 (particularly on the opposite side to the drive unit 11).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fourth flow path C4 and the first flow path C1 through the flow path C provided by the first joint body 77 and the valve body 60.

본 예의 설치부(13)는 제1 조인트체(77)로 구성되어 있고, 설치면(13a)은 제1 조인트체(77)의 단부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설치부(13) 및 설치면(13a)은 반드시 제1 조인트체(77)로 구성되어 있지는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있어서 부호 「13'」 및 「13'a」에 의해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밸브 본체(60)로 설치부 및 설치면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부호 「13"」 및 「13"a」에 의해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조인트체(78)로 설치부 및 설치면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installation portion 13 of this example is comprised of the first joint body 77,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is comprised of the end surface of the first joint body 77. Additionally, the installation portion 13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13a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comprised of the first joint body 77. For example, as indicated by symbols "13'" and "13'a" in FIG. 6, the valve body 60 may be configured with an installation portion and an installation surface. Additionally, as indicated by the symbols “13”” and “13”a” in FIG. 6, the installation portion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may be formed by the second joint body 78.

또한 도 6에 있어서의 플런저(21)의 구동과 유로 형성부(25)의 유로 구조의 관계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관계와 동일하다.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e of the plunger 21 and the flow path structure of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25 in FIG. 6 is the same as the relationship shown in FIGS. 4 and 5.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11)는, 솔레노이드부(20)에 인가되는 여자 전류에 따라서, 제1 접속 포트(P1)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유로(도시한 예에서 제3 유로(C3))와 제2 접속 포트(P2)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다른 유로(도시한 예에서는 제6 유로(C6))의 합류부의 단면적(즉, 유로 단면적)을 바꾼다. 마찬가지로, 구동부(11)는, 제1 접속 포트(P1)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유로(도시한 예에서 제2 유로(C2))와 제3 접속 포트(P3)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또 다른 유로(도시한 예에서 제5 유로(C5))의 합류부의 단면적을 바꾼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e unit 11 is a flow path (third flow path C3 in the example shown)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depending on the excitation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part 20. The cross-sectional area (i.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of the confluence of another flow path (the sixth flow path C6 in the illustrated exampl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is changed. Likewise, the drive unit 11 is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a flow path (second flow path C2 in the illustrated exampl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and to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fluence of another flow path (the fifth flow path C5 in the example shown) is changed.

또한 전자 밸브(10)는 도 4∼도 6에 도시되는 구조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동부(11)는, 솔레노이드부(20)에 인가되는 여자 전류에 따라서, 제1 접속 포트(P1)에 접속된 유로와 제2 접속 포트(P2)에 접속된 다른 유로의 합류부, 및 제1 접속 포트(P1)에 접속된 유로와 제3 접속 포트(P3)에 접속된 다른 유로의 합류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단면적을 바꿀 수 있으면 된다.Additionally, the solenoid valve 1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S. 4 to 6. For example, the drive unit 11 is a confluence of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and another flow path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P2) according to the excitation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part 20. , and the confluence of the flow path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and the other flow path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port P3. It is sufficient to change the cross-sectional area of at least one of them.

[응용예][Application example]

상술한 전자 밸브(10)는, 각종 장치(예를 들어, 유압 장치)에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향 전환 밸브가 상술한 전자 밸브(1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나 그 밖의 작업 기계가, 상술한 전자 밸브(10)를 구비하는 방향 전환 밸브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The electromagnetic valve 10 described above can be mounted on various devices (for example, hydraulic devices). For example, the direction change valve may be provided with the electromagnetic valve 10 described above. Additionally, construction machinery such as a hydraulic excavator or other work machinery may be equipped with a direction change valve including the electromagnetic valve 10 described above.

[방향 전환 밸브][Direction change valve]

도 7은, 방향 전환 밸브(90)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방향 전환 밸브(90)는 기지의 구조를 갖고 있고,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08-170353호 공보를 참고로 함으로써, 도 7에 도시하는 방향 전환 밸브(9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방향 전환 밸브(90)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irection change valve 90. The direction change valve 90 shown in FIG. 7 has a known structure. For example, by referring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8-170353,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direction change valve 90 shown in FIG. and operations can be easily understood. Therefore, in this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90 shown in FIG. 7 is omitted.

도 7에 도시하는 방향 전환 밸브(90)에서는, 밸브 블록(95)의 스풀 구멍(96)에 있어서의 방향 전환 스풀(91)의 위치(즉, 도 7의 좌우 방향 위치)에 따라서, 밸브 블록(95)이 갖는 유로(특히 제1 부하 통로(92) 및 제2 부하 통로(93))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 및 흐름 방향이 바뀐다. 예를 들어, 공통의 유압 기기(예를 들어 유압 모터, 유압 피스톤 등)에 대해 제1 부하 통로(92) 및 제2 부하 통로(93)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밸브 블록(95)에 대한 방향 전환 스풀(91)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유압 기기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 및 배출을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압 기기의 구동 상태를 순방향 구동과 역방향 구동 사이에서 전환할 수도 있다.In the direction change valve 90 shown in FIG. 7, the direction change spool 91 in the spool hole 96 of the valve block 95 (i.e., the left and right position in FIG. 7)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valve block 95. The flow and flow direction of the hydraulic oil in the passages of 95 (in particular, the first load passage 92 and the second load passage 93) change. For example, with the first load passage 92 and the second load passage 93 connected to a common hydraulic device (e.g., hydraulic motor, hydraulic piston, etc.), the valve block 95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direction change spool 91, not only can the supply and discharge of hydraulic oil to the hydraulic machine be switched, but also the driving state of the hydraulic machine can be switched between forward drive and reverse drive.

이 방향 전환 스풀(91)의 위치는, 방향 전환 스풀(91)의 양단에 대해 가해지는 파일럿압의 밸런스에 의해 결정된다. 도시한 방향 전환 밸브(90)의 밸브 블록(95)에는, 제1 파일럿압 도입부(98) 및 제2 파일럿압 도입부(99)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파일럿압 도입부(98)의 내측에는, 압축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 탄성체(94)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탄성체(94)는, 제1 파일럿압 도입부(98) 및 방향 전환 스풀(91)로부터 힘을 받아 압축되어 있다. 방향 전환 스풀(91)의 일단부(도 7의 우측의 단부)에 대해서는, 제1 파일럿압 도입부(98)에 공급되는 압유의 압력과, 구동 탄성체(94)의 탄성력이 가해진다. 방향 전환 스풀(91)의 타단부(도 7의 좌측의 단부)에 대해서는, 제2 파일럿압 도입부(99)에 공급되는 압유의 압력이 가해진다.The position of this direction change spool (91) is determined by the balance of pilot pressur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direction change spool (91). A first pilot pressure introduction part 98 and a second pilot pressure introduction part 99 are provided in the valve block 95 of the illustrated direction change valve 90. Inside the first pilot pressure introduction portion 98, a drive elastic body 94 composed of a compression spring or the like is disposed. The drive elastic body 94 is compressed by receiving force from the first pilot pressure introduction portion 98 and the direction change spool 91. The pressure of the hydraulic oil supplied to the first pilot pressure introduction part 98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drive elastic body 94 are applied to one end of the direction change spool 91 (the right end in FIG. 7). The pressure of hydraulic oil supplied to the second pilot pressure inlet 99 is applied to the other end of the direction change spool 91 (the left end in Fig. 7).

제1 파일럿압 도입부(98) 및 제2 파일럿압 도입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파일럿압 도입부(98) 및 제2 파일럿압 도입부(99)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해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전자 밸브(10)를 설치하여, 전자 밸브(10)를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방향 전환 스풀(91)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술한 전자 밸브(10)의 제1 접속 포트(P1)를 통해 제1 파일럿압 도입부(98) 및/또는 제2 파일럿압 도입부(99)에 공급되는 압유의 압력을, 방향 전환 스풀(91)을 이동시키기 위한 파일럿압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스풀 구멍(96)에 있어서 방향 전환 스풀(91)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파일럿압 도입부(98) 및 제2 파일럿압 도입부(99) 중 한쪽에만 전자 밸브(10)가 설치되는 경우, 전자 밸브(10)가 설치되지 않는 다른 쪽 도입부에는, 통상의 배관을 통해, 파일럿압을 제공하는 압유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Female threads are formed in the first pilot pressure introduction part 98 and the second pilot pressure introduction part 98,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pilot pressure introduction part 98 and the second pilot pressure introduction part 99 is shown, for example, in FIG. 4.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rection change spool 91 by installing a solenoid valve 10 and electrically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10. That is, the pressure of the hydraulic oil supplied to the first pilot pressure introduction part 98 and/or the second pilot pressure introduction part 99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ort P1 of the solenoid valve 10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direction change spool ( By using it as a pilot pressure to move 91),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direction change spool 91 in the spool hole 96 at a desired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solenoid valve 10 is installed only on one of the first pilot pressure introduction part 98 and the second pilot pressure introduction part 99, normal piping is connected to the other introduction part where the solenoid valve 10 is not install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troduce pressure oil that provides pilot pressure.

또한 상술한 전자 밸브(10)를 탑재 가능한 방향 전환 밸브는, 도 7에 도시되는 방향 전환 밸브(90)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방향 전환 밸브 이외의 유압 기기나 그 밖의 기기에 대해서도, 상술한 전자 밸브(10)를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on which the above-described solenoid valve 10 can be mounted is not limited to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90 shown in FIG. 7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unt the above-described solenoid valve 10 on hydraulic equipment and other equipment other than the direction change valve.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

도 8은, 유압 셔블(110)의 전형적인 구성예의 개략을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유압 셔블(110)은, 일반적으로 크롤러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144)과, 하부 프레임(144)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부 프레임(145)과, 상부 프레임(145)에 설치되는 붐(147)과, 붐(147)에 설치되는 암(148)과, 암(148)에 설치되는 버킷(149)을 구비한다. 액추에이터로서의 유압 실린더(167, 168, 169)는, 붐용, 암용, 버킷용의 유압 실린더이며, 각각 붐(147), 암(148) 및 버킷(149)을 구동시킨다. 선회 모터(146)에 의해 상부 프레임(145)이 선회되도록, 상부 프레임(145)에는 선회 모터(146)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주행 모터(151)에 의해 크롤러가 구동되어 유압 셔블(110)이 주행하도록, 하부 프레임(144)의 크롤러에는 주행 모터(151)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FIG. 8 is an exter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ypical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hydraulic excavator 110. The hydraulic excavator 110 generally includes a lower frame 144 equipped with a crawler, an upper frame 145 provided to pivot with respect to the lower frame 144, and a boom 147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145. ), an arm 148 installed on the boom 147, and a bucket 149 installed on the arm 148. The hydraulic cylinders 167, 168, and 169 as actuators are hydraulic cylinders for the boom, arm, and bucket, and drive the boom 147, arm 148, and bucket 149, respectively. Rotational driving force from the swing motor 146 is transmitted to the upper frame 145 so that the upper frame 145 is rotated by the swing motor 146. Additionally, the crawler is driven by the travel motor 151 so that the hydraulic excavator 110 travels, and rotational driving force from the travel motor 151 is transmitted to the crawler of the lower frame 144.

이 유압 셔블(110)에 있어서,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167, 168, 169), 선회 모터(146) 및/또는 주행 모터(151)에 포함되거나 혹은 접속되는 유로 중 적절한 개소에, 상술한 전자 밸브(10)를 구비하는 방향 전환 밸브(90)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In this hydraulic excavator 110,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former is plac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among the passages included in or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s 167, 168, and 169, the swing motor 146, and/or the traveling motor 151. A direction change valve 90 including the valve 10 may be installed.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의 각 요소에 각종 변형이 가해져도 되고, 실시 형태 및 변형예가 부분적으로 조합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발휘되는 효과도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특유의 효과가 발휘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For exampl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each elemen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nd th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artially combined. Additionally, the effects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unique effects are exhibited depending on the specific configuration.

Claims (13)

유압 장치에 접속되는 제1 접속 포트를 갖고, 당해 유압 장치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한 제1 고착부와,
유압 공급원에 접속되는 제2 접속 포트를 갖고, 당해 유압 공급원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한 제2 고착부와,
탱크에 접속되는 제3 접속 포트를 갖고, 당해 탱크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한 제3 고착부와,
솔레노이드부에 인가하는 여자 전류에 의해, 상기 제1 접속 포트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유로와 상기 제2 접속 포트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다른 유로의 합류부의 단면적을 바꾸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밸브.
a first fastening portion having a first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a hydraulic device and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 connection portion of the hydraulic device;
a second fastening portion having a second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a hydraulic power source and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the connection of the hydraulic power supply;
a third attachment portion having a third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tank and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ank;
A driving unit that chang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a confluence of a flow path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and another flow path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by an exciting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unit,
Electronic val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장치가 방향 전환 밸브인, 전자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An electromagnetic valve, wherein the hydraulic device is a directional val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공급원이 유압 펌프인, 전자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An electromagnetic valve, wherein the hydraulic pressure source is a hydraulic pum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포트가 상기 제1 접속 포트와 직각을 이루는, 전자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An electromagnetic valve,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port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착부는, 나사 구조를 갖는, 전자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fixing portion has a screw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포트는, 설치부의 설치면을 통해 상기 구동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olenoid valve is where the first connection port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ive unit through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install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포트는, 설치부의 설치면에 대해 상기 구동부와 동일한 측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lectromagnetic valve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ort is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drive unit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install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포트는, 설치부의 설치면에 대해 상기 구동부와 동일한 측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lectromagnetic valve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port is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drive unit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install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속 포트는, 설치부의 설치면에 대해 상기 구동부와 동일한 측에 위치하고 있는, 전자 밸브.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olenoid valve wherein the third connection port is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drive unit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installation unit.
유압 장치에 접속되는 제1 접속 포트를 갖고, 당해 유압 장치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한 제1 고착부와,
유압 공급원에 접속되는 제2 접속 포트를 갖고, 당해 유압 공급원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한 제2 고착부와,
탱크에 접속되는 제3 접속 포트를 갖고, 당해 탱크의 접속부에 고착 가능한 제3 고착부와,
솔레노이드부에 인가하는 여자 전류에 의해, 상기 제1 접속 포트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유로와 상기 제2 접속 포트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다른 유로의 합류부, 및 상기 제1 접속 포트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유로와 상기 제3 접속 포트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속된 또 다른 유로의 합류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면적을 바꾸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전자 밸브.
a first fastening portion having a first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a hydraulic device and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 connection portion of the hydraulic device;
a second fastening portion having a second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a hydraulic power source and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the connection of the hydraulic power supply;
a third attachment portion having a third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tank and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ank;
The confluence of a flow path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and another flow path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and directly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by the excitation current applied to the solenoid portion. or a driving unit that chang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at least one of the confluence of an indirectly connected flow path and another flow path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port,
Electronic valve.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밸브를 구비하는, 방향 전환 밸브.A direction switching valve provided with the electromagnetic valv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제11항에 기재된 방향 전환 밸브를 구비하는, 건설 기계.A construction machine provided with the direction change valve according to claim 11. 삭제delete
KR1020190144699A 2018-12-14 2019-11-13 Solenoid valves, directional control valves and construction machinery KR10266799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34646 2018-12-14
JP2018234646A JP7281899B2 (en) 2018-12-14 2018-12-14 Solenoid valves, directional control valves and construction machin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988A KR20200073988A (en) 2020-06-24
KR102667999B1 true KR102667999B1 (en) 2024-05-23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5459A (en) * 2001-08-29 2003-03-05 Aichi Corp Proportional control valve
JP2017020541A (en) * 2015-07-08 2017-01-2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5459A (en) * 2001-08-29 2003-03-05 Aichi Corp Proportional control valve
JP2017020541A (en) * 2015-07-08 2017-01-2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2172A (en) Hall effect valve spool position sensor
US6164068A (en) Variable pressure hydraulic systems
EP0900962A2 (en) Pilot solenoid control valve and hydraulic control system using same
EP0864699B1 (en)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CN101358614A (en) Hydraulic circuit for heavy equipment having variable control device
KR20150122695A (en) Merging circuit of hydraulic apparatus
EP0953776B1 (en) Solenoid operated dual spool control valve
CN109707690B (en) Electric proportional load sensitive multi-way valve integrated with hydraulic lock
US11697918B2 (en) Hydraulic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
US9903396B2 (en) Valve assembly
US9222594B2 (en) Directional valve equipped with pressure control
EP0471850B1 (en) Pilot valve
KR102667999B1 (en) Solenoid valves, directional control valves and construction machinery
US20200072250A1 (en) Hydraulic system combining two or more hydraulic functions
JP2011517754A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control device
US20080087345A1 (en) Direct operated cartridge valve assembly
JP7281899B2 (en) Solenoid valves, directional control valves and construction machinery
JP7349237B2 (en) Solenoid valves and working machines
EP3282157B1 (en) Control valve and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with same
CN106468293B (en) Valve bank assembly
JP7329316B2 (en) Valve structures and construction machinery
CN113550941A (en) Proportional solenoid valve and fluid pressure system
JP6577431B2 (en) Hydraulic drive unit for construction machinery
JP2020085088A (en) Solenoid valve, direction switching valve and construction machine
KR0141977B1 (en) Oil converting device for attac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