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094B1 - 배터리 랙의 외부 전류 유입 판단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랙의 외부 전류 유입 판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094B1
KR102667094B1 KR1020180157380A KR20180157380A KR102667094B1 KR 102667094 B1 KR102667094 B1 KR 102667094B1 KR 1020180157380 A KR1020180157380 A KR 1020180157380A KR 20180157380 A KR20180157380 A KR 20180157380A KR 102667094 B1 KR102667094 B1 KR 102667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alue
external
external current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9851A (ko
Inventor
권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57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0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6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hunting, discharge or bypass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에 외부 전류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배터리 랙들 간의 밸런싱을 시작하는 밸런싱 단계,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을 설정하는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설정 단계, 모든 배터리 랙의 입출력 전류 값을 합산하는 전류 값 합산 단계, 상기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과 상기 전류 값 합산 단계에서 합산한 전류 값의 차를 산출하는 전류 차 산출 단계 및 상기 전류 차 산출 단계의 결과를 기반으로 전류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전류 유입 판단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랙의 외부 전류 유입 판단 방법{Method for determine the external current draw in the battery rack}
본 발명의 복수개의 배터리 랙으로 구성되는 ESS에 있어서, 배터리 랙들에 외부 전류가 유입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랙들에 흐르는 전류 흐름이 밸런싱에 의한 흐름인지 외부 전류에 유입에 의한 전류 흐름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은, 복수개의 배터리 랙이 연결되어 구성되며, PCS(Power conditioning syste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CS는, 전력 변환 장치라고도 불리우며, 인버터와 컨버터를 하나로 통합하여 양방향으로 전력을 전달 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ESS는 복수개의 배터리 랙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랙들 간의 전압 차이가 발생한다.
배터리 랙들 간의 전압 차이가 발생하면, 배터리의 사용 시간이 줄어들고, 낮은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 랙 때문에 ESS 전체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ESS 전체가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터리 랙들 간에 전압 차이가 발생하면 배터리 랙들간의 전압을 동일하게 맞춰주는 밸런싱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배터리 랙들을 밸런싱을 수행할 때에는 외부에서의 전류 유입이 없는 적이 정상 상태이다.
한편, 이론적으로 배터리 랙들간의 밸런싱 과정에서 모든 배터리 랙들의 입력 또는 출력 전류를 합산하게 되면 0이라는 값이 산출 되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장치의 오차 때문에 0이라는 값이 산출되지 않는다.
한편, 배터리 랙들 간의 밸런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전류 값이 측정되는 경우, 측정되는 전류 값이 전류 측정 장치의 오차 때문에 발생하는지, 외부에서 전류가 유입되어서 발생하는지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랙들 간의 밸런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전류 값이 측정되는 경우, 측정되는 전류 값이 전류 측정 장치의 오차 때문에 발생하는지, 외부에서 전류 가 유입되어서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KR 10-2010-0072237 A
본 발명의 복수개의 배터리 랙으로 구성되는 ESS에 있어서, 배터리 랙들에 외부 전류가 유입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랙들에 흐르는 전류 흐름이 밸런싱에 의한 흐름인지 외부 전류에 유입에 의한 전류 흐름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에 외부 전류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배터리 랙들 간의 밸런싱을 시작하는 밸런싱 단계,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을 설정하는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설정 단계, 모든 배터리 랙의 입출력 전류 값을 합산하는 전류 값 합산 단계, 상기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과 상기 전류 값 합산 단계에서 합산한 전류 값의 차를 산출하는 전류 차 산출 단계 및 상기 전류 차 산출 단계의 결과를 기반으로 전류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전류 유입 판단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설정 단계는, 최초로 배터리 밸런싱을 수행할 때의 배터리 랙들의 전류 합산 값을 산출하는 최초 전류 합산 값 산출 단계, 상기 산출된 최초 전류 합산 값이 센서 오차 범위 이내의 값인지를 확인하는 최초 전류 합산 값 확인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설정 단계는, 상기 최초 전류 합산 값 확인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최초 전류 합산 값이 센서 오차 범위 이내의 값인 경우, 상기 최소 전류 합산 값을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최초 전류 합산 값 확인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최초 전류 합산 값이 센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값인 경우, 외부 전류 유입 여부를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류 유입 판단 단계는, 상기 전류 차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전류 차가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의 값인 경우, 외부 전류 유입 없음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류 차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전류 차가 소정의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값인 경우, 외부 전류 유입 있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배터리 랙들이 PCS(Power Conditioning system)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ESS는, 상기 복수개의 랙들 각각의 전류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전류 측정부, 배터리 랙들 각각의 입출력 전류 값을 수신 받는 전류 값 수신부 및 상기 수신 받은 입출력 전류 값을 기반으로, ESS의 외부 전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외부 전류 유입 여부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류 유입 여부 판단부는,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및 상기 전류 측정부의 오차 범위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수신 받은 입출력 전류 값을 합산하는 합산 모듈,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과 합산된 전류 값의 차이 값을 산출하는 차이 값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이 값 산출부에서 산출되는 값이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면 외부 전류 유입 없음으로 판단하고, 상기 차이 값 산출부에서 산출되는 값이 소정의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외부 전류 유입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은, 상기 ESS가 최초로 밸런싱을 수행할 때 배터리 랙들의 입출력 전류 값을 합산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수개의 배터리 랙으로 구성되는 ESS에 있어서, 배터리 랙들에 외부 전류가 유입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랙들에 흐르는 전류 흐름이 밸런싱에 의한 흐름인지 외부 전류에 유입에 의한 전류 흐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의 외부 전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ESS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에 외부 전류 유입 여부 판단 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에 외부 전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 외부 전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 외부 전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복수개의 배터리 랙으로 구성되는 ESS에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ESS는 복수개의 배터리 랙이 연결되어 사용되는데, ESS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랙들의 전압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배터리 랙들 간의 밸런싱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론상으로 배터리 랙들간의 밸런싱 전류를 모두 합산하면 이론적으로 0이 되어야 되지만, 실제 배터리 랙들간의 전류를 합산하는 경우, 전류 센서의 측정 오차에 의해서 배터리 랙들간이 밸런싱 전류를 합산하여도 0이 나오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전류 합산 값이 0이 아닌 경우, 밸런싱 과정에서 전류 센서의 오차에 의해 전류 합산 값이 0이 아닌지 외부에서 전류가 유입되어서 전류 합산 값이 0이 아닌지 판단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랙들 간에 밸런싱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밸런싱 전류를 합산한 값의 기준을 0으로 설정하지 않고, 배터리의 초기 상태에 따라 설정함으로써, 배터리 랙들의 전류 합산 값이 전류 센서의 오차에 의해 발생하는지 외부 전류 유입에 따른 값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랙 외부 전류 유입 여부 판단 방법은, 배터리 랙들 간의 밸런싱을 시작하는 밸런싱 단계(S100),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을 설정하는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설정 단계(S200), 배터리 랙의 모든 전류 값을 합산하는 전류 값 합산 단계(S300), 상기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과 상기 전류 값 합산 단계에서 합산한 전류 값의 차를 산출하는 전류 차 산출 단계(S400) 및 상기 전류 차 산출 단계의 결과를 기반으로 전류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전류 유입 판단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설정 단계(S200)는, 최초로 배터리 밸런싱을 수행할 때의 배터리 랙들의 전류 합산 값을 산출하는 최초 전류 합산 값 산출 단계(S210) 및 상기 산출된 최초 전류 합산 값이 센서 오차 범위 이내의 값인지를 확인하는 최초 전류 합산 값 확인 단계(S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최초 전류 합산 값 산출 단계(S210)는, 배터리 랙들이 밸런싱을 수행하면, 밸런싱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 랙은 방전을 수행하고, 밸런싱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 랙은 충전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 밸런싱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 랙에서는 전류가 배터리 랙에서 외부로 흐르고, 밸런싱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가지는 배터리 렉에서는 배터리 랙 외부에서 배터리 랙 내부로 전류가 흐른다.
이론적으로 배터리 랙간의 밸런싱을 수행할 때에는 전류의 합은 0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앞서 설명했듯이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장치의 오프셋 편차 등으로 인해 소정의 오차가 존재하여 전류의 합이 0이 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밸런싱 전류의 측정 만으로는, 밸런싱 과정에서 전류 측정 장치의 오차 때문에 측정되는 전류 값인지, 외부 전류의 유입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 값인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한편, 상기 최초 전류 합산 값 확인 단계(S220)는, 상기 최초 전류 합산 값 산출 단계에서 합산한 전류 값이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장치의 오차 범위 이내의 값인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최초 전류 합산 값 확인 단계에서 합산한 전류 값이 오차 범위 이내의 값인 경우, 배터리 랙들은 이상(ideal) 상태라고 판단하고, 최초 전류 합산 값을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으로 설정(S230)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론적으로 0이 되어야 되는 밸런싱 전류의 합을 배터리 랙들이 이상(ideal) 상태에서의 실제 밸런싱 전류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배터리 랙들 간의 밸런싱이 수행 될 때의 기준 전류 값을 재설정 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랙의 밸런싱 과정에서 측정되는 전류가 외부 유입 전류 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류 유입 판단 단계(S500)는, 상기 전류 차 산출 단계(S400)에서 산출된 전류 차가 소정 범위 이내의 값인 경우, 외부 전류 유입 없음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류 차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전류 차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값인 경우, 외부 전류 유입 있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밸런싱 전류의 기준 값을 0으로 설정해두고, 실제 밸런싱 전류와 비교하므로, 전류 측정 장치의 오차에 의해 전류가 측정되는 경우와 외부 전류 유입으로 인해 전류가 측정되는 경우를 구분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밸런싱 전류의 기준 값을 최초 배터리 랙들간의 실제 밸런싱 전류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전류 측정 장치의 오차에 의해 전류가 측정되는 경우를 제외시킬 수 있으므로, 전류가 측정되는 경우 외부 전유의 유입이라고 판단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밸런싱 전류의 기준 값을 최초 배터리 랙들간의 실제 밸런싱 전류 값으로 설정하더라도, 측정 장치 시점에 따라서 매우 작은 값의 오차는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매우 작은 소정의 허용 오차 범위를 두어 허용 오차 범위 이내의 값인 경우에는 외부 전류가 유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매우 작은 소정의 허용 오차 범위는 0.01A 미만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류 유입 판단 단계에서 외부 전류 유입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ESS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ESS의 가동을 중단하거나, 외부로 외부 전류 유입을 알릴 수 있다.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에에 따른 ESS
본 발명의 ESS는, 밸런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외부 전류의 유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ESS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SS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ESS는 복수개의 배터리 랙들이 PCS(300)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ESS는, 상기 복수개의 랙들 각각의 전류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전류 측정부(200-1 내지 200-n), 배터리 랙들 각각의 입출력 전류 값을 수신 받는 전류 값 수신부(320) 및 상기 수신 받은 입출력 전류 값을 기반으로 ESS의 외부 전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외부 전류 유입 여부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류 유입 여부 판단부는,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및 상기 전류 측정부의 오차 범위가 저장되는 메모리(311), 상기 수신 받은 입출력 전류 값을 합산하는 합산 모듈(312), 상기 메모리(311)에 저장되어 있는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과 합산된 전류 값의 차이 값을 산출하는 차이 값 산출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모리(311)에 저장되는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은 상기 ESS가 최초로 밸런싱을 수행할 때, 배터리 랙들의 입출력 전류 값을 합한 값이다.
이론적으로 배터리 랙간의 밸런싱을 수행할 때에는 전류의 합은 0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장치(본 발명에서는 전류 측정부)의 오프셋 편차 등으로 인해 소정의 오차가 존재하여 전류의 합이 0이 되지 않는다.
즉, 실제 밸런싱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더라도, 배터리 랙들의 전류를 모두 더하는 경우에 0이 아닌 다른 값이 측정되는데, 이는 외부 전류의 유입에 의한 전류가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류 측정 장치(전류 측정부)의 오프셋 편차 등에 의한 오차 값이다.
이와 같이 오차 값이 존재하기 때문에, 종래에 0을 기준으로 밸런싱 전류의 합을 비교하는 경우에는, 전류 측정 장치(전류 측정부)의 오차인지 외부 전류가 유입되는 경우인지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실제 밸런싱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실제로 측정된 전류 값을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밸런싱 전류의 합은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전류 유입 판단부는, 밸런싱 전류의 합산 값과 외부 전류 유입 기군 값의 차이를 산출하여, 외부 전류의 유입을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밸런싱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측정되는 밸런싱 전류 값이 0.5A인 경우, 측정되는 0.5A라는 전류가 전류 측정부의 오차에 의한 값인지, 외부 전류 유입에 의한 값인지를 알 수가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실제 밸런싱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측정되는 밸런싱 전류 값인 0.5A를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으로 설정하므로, 밸런싱 과정에서 0.5A의 전류가 측정되면, 외부 전류 유입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밸런싱 과정에서 0.6A의 전류가 측정되면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과 밸런싱 전류의 차이가 0.1A가 나기 때문에, 외부 전류의 유입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실제 밸런싱 전류 값을 측정하고, 이를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으로 설정한다 할지라도, 전류 측정 장치(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전류 값은 측정시 마다 소정의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0과 근사한 값의 소정의 오차 허용범위를 둘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오차 허용 범위는 0.01A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런싱 과정에서 0.505A가 측정되는 경우, 측정된 전류 값이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0.5A 보다는 크다. 하지만, 0.005A만큼의 차이는 외부 전류의 유입으로 인해 발생하였다기 보다는 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상태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로 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ESS은, 상기 전류 유입 판단부에서 외부 전류 유입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ESS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ESS의 가동을 중단하거나, 외부로 외부 전류 유입을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배터리 랙
200 : 전류 측정부
300 : PCS
311 : 메모리
312 : 합산 모듈
313 : 차이 값 산출부
320 : 전류 값 수신부

Claims (7)

  1. 배터리 랙에 외부 전류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랙들 간의 밸런싱을 시작하는 밸런싱 단계;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을 설정하는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설정 단계;
    모든 배터리 랙의 입출력 전류 값을 합산하는 전류 값 합산 단계;
    상기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과 상기 전류 값 합산 단계에서 합산한 전류 값의 차를 산출하는 전류 차 산출 단계; 및
    상기 전류 차 산출 단계의 결과를 기반으로 전류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전류 유입 판단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에 외부 전류 유입 여부 판단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설정 단계는,
    최초로 배터리 밸런싱을 수행할 때의 배터리 랙들의 전류 합산 값을 산출하는 최초 전류 합산 값 산출 단계;
    상기 산출된 최초 전류 합산 값이 센서 오차 범위 이내의 값인지를 확인하는 최초 전류 합산 값 확인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에 외부 전류 유입 여부 판단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설정 단계는,
    상기 최초 전류 합산 값 확인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최초 전류 합산 값이 센서 오차 범위 이내의 값인 경우,
    상기 최초 전류 합산 값을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최초 전류 합산 값 확인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최초 전류 합산 값이 센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값인 경우,
    외부 전류 유입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에 외부 전류 유입 여부 판단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유입 판단 단계는,
    상기 전류 차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전류 차가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의 값인 경우, 외부 전류 유입 없음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류 차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전류 차가 소정의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값인 경우, 외부 전류 유입 있음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랙에 외부 전류 유입 여부 판단 방법.
  5. 복수개의 배터리 랙들이 PCS(Power Conditioning system)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ESS에 있어서,
    상기 ESS는,
    상기 복수개의 랙들 각각의 전류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전류 측정부;
    배터리 랙들 각각의 입출력 전류 값을 수신 받는 전류 값 수신부; 및
    상기 수신 받은 입출력 전류 값을 기반으로, ESS의 외부 전류 유입 여부를 판단하는 외부 전류 유입 여부 판단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류 유입 여부 판단부는,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 및 상기 전류 측정부의 오차 범위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수신 받은 입출력 전류 값을 합산하는 합산 모듈;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과 합산된 전류 값의 차이 값을 산출하는 차이 값 산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이 값 산출부에서 산출되는 값이 소정의 오차 범위 이내면 외부 전류 유입 없음으로 판단하고,
    상기 차이 값 산출부에서 산출되는 값이 소정의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외부 전류 유입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류 유입 기준 값은,
    상기 ESS가 최초로 밸런싱을 수행할 때 배터리 랙들의 입출력 전류 값을 합산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KR1020180157380A 2018-12-07 2018-12-07 배터리 랙의 외부 전류 유입 판단 방법 KR102667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380A KR102667094B1 (ko) 2018-12-07 2018-12-07 배터리 랙의 외부 전류 유입 판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380A KR102667094B1 (ko) 2018-12-07 2018-12-07 배터리 랙의 외부 전류 유입 판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851A KR20200069851A (ko) 2020-06-17
KR102667094B1 true KR102667094B1 (ko) 2024-05-20

Family

ID=71406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380A KR102667094B1 (ko) 2018-12-07 2018-12-07 배터리 랙의 외부 전류 유입 판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70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6029A (ja) * 2013-04-05 2014-12-04 リニアー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モニタリング装置、システム、およびir補償アクティブセルバランシ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8136B2 (en) 2007-09-20 2013-01-22 Utc Power Corporation State of charge calculator for multi-cell energy storage system having cell balancing
KR101156977B1 (ko) * 2007-12-31 2012-06-2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
KR102348303B1 (ko) * 2015-06-19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의 누설 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025286B1 (ko) * 2016-07-12 2019-09-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밸런싱의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6029A (ja) * 2013-04-05 2014-12-04 リニアー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モニタリング装置、システム、およびir補償アクティブセルバランシング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2, Journal of Energy Storage Volume 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851A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41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battery abnormality and cause thereof
US10790677B2 (en) Battery cell balancing method and system
KR100791215B1 (ko) 배터리 셀의 전압 검출 방법 및 장치
US8519716B2 (en) Battery pack,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remaining capacity corr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2822690A (zh) 充电状态估计装置
US20130041606A1 (en) Detecting an open wire between a battery cell and an external circuit
US20100231226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placement of Storage Battery
US9869723B2 (en) Power management scheme for separately and accurately measuring battery information of each of multiple batteries
JP2008151526A (ja) 二次電池の劣化判定装置及びバックアップ電源
EP3580809A1 (en) Monitoring system for series-connected battery cells
CN110015181A (zh) 电池均衡方法、装置及车辆
JP2024026232A (ja) 蓄電池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210001724A (ko) 불량 배터리 셀 검출 장치 및 방법
US20110311850A1 (en) Secondary battery device
KR20210017513A (ko) 배터리 랙간의 비정상전류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80082020A (ko) Soc 검출 장치
KR102709601B1 (ko) 배터리 셀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667094B1 (ko) 배터리 랙의 외부 전류 유입 판단 방법
KR102637310B1 (ko) 배터리 셀 열화 상태 진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KR102005395B1 (ko) 배터리 셀 병렬 개수 확인 장치 및 방법
JP3913206B2 (ja) 二次電池の劣化判定回路
US20150212163A1 (en) Device for detecting remaining battery capacity, battery system, method of detecting remaining battery capacity and program
CN111220911B (zh) 磷酸铁锂电池极化状态判别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H0799068A (ja) 短絡セル数検出機能付蓄電池装置
EP4414727A1 (en) Battery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for leakage current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