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897B1 -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897B1
KR102666897B1 KR1020210159212A KR20210159212A KR102666897B1 KR 102666897 B1 KR102666897 B1 KR 102666897B1 KR 1020210159212 A KR1020210159212 A KR 1020210159212A KR 20210159212 A KR20210159212 A KR 20210159212A KR 102666897 B1 KR102666897 B1 KR 102666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t
token
tokens
distribution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402A (ko
Inventor
전우직
윤대일
Original Assignee
(주)유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미테크 filed Critical (주)유미테크
Publication of KR2023006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Abstract

본 발명인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시스템은 창조자에 의해 가상자산에 대한 정보 및 가상자산에 대한 기여조건이 등록되는 가상자산등록부, 기여자에 의해 기여조건이 충족되어 가상자산의 가치가 증대되고,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되는 가치증대프로세스부, 기여조건을 충족시킨 기여자의 기여율에 대응한 자산토큰을 기여자에게 분배하는 제1 자산토큰분배부, 및 실제자산의 시장가격에 기초하여 자산토큰을 구매자에게 분배하는 제2 자산토큰분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BLOCKCHAIN TRANSACTION SYSTEM BASED ON VIRTUAL ASSETS AND METHE THERE OF}
본 발명은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은 현실세계의 자산을 토큰화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유통하게 하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자산의 토큰화는 비 유동성 자산이나 유동성이 제한된 자산에 유동성, 접근성, 투명성을 제공함으로써 투자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보다 많은 투자 기회를 제공하므로 시장의 활성화와 시장 규모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된 자산의 토큰화는 모두 현재 가치를 지닌 자산에 대하여 그 가치에 상응하는 토큰들을 발행하여 유통시키는 역할에 머물고 있다.
이에, 실제 자산이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더라도 현재 가치보다 향후 다양한 공헌을 통하여 가치가 새로이 생기거나 가치가 증대되는 자산에 대하여 토큰을 발행하여 가산 가치의 증가에 공헌하는 참여자에게 분배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하여 참여를 촉진하고, 미래에 자산의 가치가 실현되는 시점에서 토큰 보유자들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상자산에 토큰을 발행하여 가치를 실현하고, 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기술에 따른 거래를 실현시키기 위한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시스템은, 창조자에 의해 가상자산에 대한 정보 및 가상자산에 대한 기여조건이 등록되는 가상자산등록부, 기여자에 의해 기여조건이 충족되어 가상자산의 가치가 증대되고,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되는 가치증대프로세스부, 기여조건을 충족시킨 기여자의 기여율에 대응한 자산토큰을 기여자에게 분배하는 제1 자산토큰분배부 및 실제자산의 시장가격에 기초하여 자산토큰을 구매자에게 분배하는 제2 자산토큰분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자산에 대한 정보는, 가상자산의 이름, 가상자산에 대한 설명, 및 자산토큰의 총 액수를 포함하고, 기여조건은,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되기 위한 기여자의 기여행위에 대한 설명 및 기여율에 따른 자산토큰의 분배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은 자산토큰생성부 및 기여율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자산토큰생성부는, 자산토큰의 총 액수에 대응하는 자산토큰의 개수를 생성하고 기여율산출부는, 기여조건을 충족시킨 기여자의 기여율을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은 실제자산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실제자산출력부는, 구매자에 의해 등록된 실제자산에 대한 설명, 자산토큰의 액수, 및 자산토큰의 개수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은 유통토큰구매부를 더 포함하고, 유통토큰구매부는, 구매자가 자산토큰을 구매하기 위한 유통토큰의 총 액수 및 유통토큰의 총 개수를 출력하고 구매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유통토큰을 구매자에게 분배하고, 유통토큰의 총 액수와 자산토큰의 총 액수의 곱은 소정의 값으로 일정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은 시장가격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시장가격결정부는, 구매자에게 분배된 유통토큰의 총 액수 및 소정의 값에 기초하여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을 산출하고
제2 자산토큰분배부는,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을 출력하고 구매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자산토큰을 구매자에게 분배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자산등록부는, 자산토큰에 기초한 구매자의 사용요청에 기초하여 구매자에 의해 제시된 자산토큰의 액수, 자산토큰의 개수, 및 실제자산에 대한 구매자의 지분비율을 등록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자산등록부에 가상자산에 대한 정보 및 가상자산에 대한 기여조건이 등록되는 단계, 가치증대프로세스부에서 기여조건이 충족되어 가상자산의 가치가 증대되고,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되는 단계, 제1 자산토큰분배부에서 기여조건의 충족하기 위한 기여율에 대응하여 자산토큰을 분배하는 단계 및 제2 자산토큰분배부에서 실제자산의 시장가격에 기초하여 자산토큰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가상자산에 토큰을 발행하여 가치를 실현하고, 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기술에 따른 거래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실재로 존재하지 않아 현재 가치가 없는 가상의 자산에 대한 토큰을 먼저 발행하고 이 토큰을 가상자산의 가치 창조에 기여한 기여자에게 설정된 정책에 따라 분배하고, 분배된 토큰을 통하여 실제화된 실제자산의 사용을 강제함으로써 사용자는 기여자로부터 토큰을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기여자가 기여의 보상으로 받은 토큰을 사용자에게 판매함으로써 자신의 기여에 대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현재 실재하지 않으나 다수의 기여자의 협동작업으로 가상자산의 가치가 축적되고 실재자산이 생성된 후 토큰을 판매하여 기여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미래 가치는 평가하거나 예측하기 어려우나 자산토큰을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하여 자율적 시장가격 결정 방식을 사용하여 적절한 보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미래에 발생할 가치에 대한 기대치를 토큰화하여 다양한 참여자의 가치 부여 활동을 촉진하여 가치를 지닌 자산의 창조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통토큰에 기초하여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조자가 스마트컨트랙트에 가상자산에 대한 계약조건 및 분배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여자가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에서 토큰을 이용하여 거래를 수행하고, 토큰의 가치가 설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참조 부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설명에서 "동일하다"라고 표현한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의미일 수 있다.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동일하다고 납득할 수 있을 정도의 동일함일 수 있다. 그 외의 표현들도 "실질적으로"가 생략된 표현들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1)은 창조자(10), 기여자(20), 및 구매자(30)가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를 포함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는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400) 및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1명의 창조자(10), 3명의 기여자(20), 및 3명의 구매자(3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참여한 것으로 도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는 복수 명의 창조자(10), 복수 명의 기여자(20), 및 복수 명의 구매자(30)가 참여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1명의 창조자(10), 3명의 기여자(20), 및 3명의 구매자(3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참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포함된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400)에는 창조자(10)에 의해 가산자산이 등록될 수 있다. 가상자산이란, 현재는 실재하지 않아 가치가 없으나, 향후 구매자(30)에 의한 다양한 기여에 의해서 가치가 형성될 수 있는 무형 또는 유형의 자산을 의미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포함된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400)에는 창조자(10)에 의해 가상자산이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되기 위한 기여조건이 등록될 수 있다. 실제자산이란, 구매자(30)가 가산자산에 다양한 기여를 함에 따라서 미래의 특정한 시점에서 가치가 형성되는 무형 또는 유형의 자산을 의미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포함된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400)에서는 기여자(20)에 기여행위에 의해서 등록된 가상자산의 가치가 증대되고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포함된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400)에서는 가상자산이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기여자(20) 각각의 기여행위에 따른 기여율을 산출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포함된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400)에서는 창조자(10)에 의해 등록된 총 액수에 대응하는 자산토큰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기여자(20) 각각의 기여행위에 따른 기여율에 기초하여 자산토큰을 기여자(20)에게 분배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포함된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400)에서는 구매자(30)가 구매한 자산토큰을 이용하여 실제자산의 소유권에 대한 지분비율 또는 실제자산의 사용에 대한 사용비율을 등록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포함된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400)에서는 실제자산의 소유권에 대한 지분비율 또는 실제자산의 사용비율에 기초하여 실제자산에 대한 소유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세싱 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포함된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부(410)에서는 기여자(20)에 의해 실제자산에 대한 설명, 기여자(20)가 등록한 자산토큰의 액수, 및 기여자(20)가 등록한 자산토큰의 개수가 등록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포함된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부(410)에서는 구매자(30)가 자산토큰을 구매 또는 소유하기 위한 수단인 유통토큰을 구매할 수 있도록 프로세싱 될 수 있다.
즉, 구매자(30)는 실제자산을 소유 또는 이용하기 위해서 유통토큰에 대한 보유가 선행되어야 한다. 구매자(30)는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부(410)에서 유통토큰을 구매하고, 이에 기초하여 기여자(20)가 등록한 자산토큰을 소유 또는 사용할 수 있다.
구매자(30)는 구매한 자산토큰을 이용하여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400)에서 실제자산의 소유권에 대한 지분비율 및 사용을 등록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포함된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부(410)에서는 구매자(30)가 자산토큰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요청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구매자(30)에 의해 제시된 유통토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포함된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부(410)에서는 구매자(30)에 의해 제시된 유통토큰의 총 액수와 등록된 자산토큰의 총 액수에 기초하여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포함된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부(410)에서는 구매자(30)의 요청 및 결정된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에 기초하여 구매자(30)에게 자산토큰이 분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400)는 가상자산등록부(401), 가치증대프로세스부(402), 자산토큰생성부(403), 기여율산출부(404), 및 제1 자산토큰분배부(405)를 포함한다.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400)에는 창조자(10), 기여자(20), 및 구매자(30)가 참여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는 1명의 창조자(10), 2명의 기여자(20), 및 1명의 구매자(30)가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400)에 참여한 것으로 도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를 참고하면, 가상자산등록부(401)에는 창조자(10)에 의해 가상자산에 대한 정보, 가상자산에 대한 기여조건 및 구매자(30)가 실제화된 실제자산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함수가 등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자산에 대한 정보는 가상자산의 식별아이디(ID), 가상자산의 이름, 가상자산에 대한 설명, 가상자산에 사용되는 자산토큰, 자산토큰의 총 액수, 및 창조자(10)의 식별아이디(ID)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상자산에 대한 기여조건은 가상자산이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되기 위해 필요한 기여자(20)의 기여행위에 대한 설명, 가상자산에 가치가 부여되는 기여함수, 기여자(20)의 기여율에 따라 기여자(20)에게 분배하는 자산토큰의 분배율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함수는, 자산토큰을 구매하여 실제자산을 사용하기 위한 구매자(30)의 구매요청에 대응하여, 실제자산의 소유권에 대한 지분비율 및 사용비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가치증대프로세스부(402)에서는 기여자(20)에 의한 기여행위에 의해 가상자산의 가치가 증대되고,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여자(20)가 가상자산에 대한 기여조건을 만족시키는 기여행위를 수행하는 경우 기여함수에 따라서 가상자산의 가치가 증대될 수 있다. 기여자(20)의 기여행위에 의해서 가상자산등록부(401)에 등록된 가상자산은 가치증대프로세스부(402)에서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될 수 있다.
이때, 기여자(20)의 기여행위는 가상자산을 실제자산으로 실제화하기 위한 모든 행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여자(20)의 기여행위는, 개념이나 아이디어가 있으나 이를 실현할 기술이나 자원이 없는 경우, 기술이나 자원을 가진 복수의 기여자(20)에 의해 상기 개념이나 아이디어가 실제기술 또는 실제자산으로 변형되는 행위일 수 있다.
또는, 기여자(20)의 기여행위는, 여론조사나 선호도조사와 같이 특정한 사안에 대해서 복수의 기여자(20)가 참여하여 상기 여론조사나 선호도 조사가 완성되는 행위일 수 있다.
또는, 기여자(20)의 기여행위는, 복수의 기여자(20)가 개별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정보는 가치가 없으나 복수의 기여자(20)가 개별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정보가 통합되어 하나의 정보로 형성되는 행위일 수 있다.
자산토큰생성부(403)는 창조자(10)에 의해 등록된 자산토큰의 총 액수에 대응하는 자산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산토큰생성부(403)는 가상자산등록부(401)에 등록된 자산토큰의 총 액수에 대응하는 개수 만큼 자산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기여율산출부(404)는 가상자산을 실제자산으로 실제화하기 위한 기여조건을 충족한 복수의 기여자(20)의 기여율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여율산출부(404)는 어느 하나의 기여자(20)의 기여율을 50%로 산출하고 다른 하나의 기여자(20)의 기여율을 50%로 산출할 수 있다. 또는, 기여율산출부(404)는 어느 하나의 기여자(20)의 기여율을 30%로 산출하고 다른 하나의 기여자(20)의 기여율을 70%로 산출할 수 있다.
제1 자산토큰분배부(405)는 기여율산출부(404)에서 산출한 기여율에 기초하여 자산토큰생성부(403)에서 생성한 자산토큰을 복수의 기여자(20) 각각에게 분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기여자(20)의 기여율이 50%이고 다른 하나의 기여자(20)의 기여율이 50%인 경우, 제1 자산토큰분배부(405)는 자산토큰생성부(403)에서 생성한 자산토큰의 절반을 어느 하나의 기여자(20)에게 분배하고 나머지 절반을 다른 하나의 기여자(20)에게 분배할 수 있다.
또는, 어느 하나의 기여자(20)의 기여율이 30&이고, 다른 하나의 기여자(20)의 기여율이 70%인 경우, 제1 자산토큰분배부(405)는 자산토큰생성부(403)에서 생성한 자산토큰의 30%를 어느 하나의 기여자(20)에게 분배하고 나머지 절반을 다른 하나의 기여자(20)에게 분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부(410)는 실제자산출력부(411), 시장가격결정부(412), 유통토큰구매부(413), 및 제2 자산토큰분배부(414)를 포함한다.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부(410)에는 기여자(21) 및 구매자(30)가 참여할 수 있다.
실제자산출력부(411)에는 기여자(20)에 의해 실제자산에 대한 설명, 기여자(20)에 의해 등록된 자산토큰의 액수, 및 기여자(20)에 의해 등록된 자산토큰의 개수가 등록되어 구매자(30)에게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제자산출력부(411)에는 기여자(20)의 기여행위에 따라서 실제화된 실제자산에 대한 설명이 등록되어 구매자(30)에게 출력될 수 있다.
실제자산출력부(411)에는 가상자산이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되는 과정에서 기여자(20)가 분배받은 자산토큰의 액수가 등록되어 구매자(30)에게 출력될 수 있다. 실제자산출력부(411)에는 가상자산이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되는 과정에서 기여자(20)가 분배받은 자산토큰의 개수가 등록되어 구매자(30)에게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실제자산출력부(411)에는 기여자(20)의 선택에 따라서, 기여자(20)가 분배받은 자산토큰의 총 액수가 등록되어 구매자(30)에게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실제자산출력부(411)에는 기여자(20)의 선택에 따라서 기여자(20)가 분배받은 자산토큰의 총 액수 중 일부가 등록되어 구매자(30)에게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실제자산출력부(411)에는 기여자(20)의 선택에 따라서, 기여자(20)가 분배받은 자산토큰의 총 개수 중 일부가 등록되어 구매자(30)에게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실제자산출력부(411)에는 기여자(20)의 선택에 따라서 기여자(20)가 분배받은 자산토큰의 총 개수 중 일부가 등록되어 구매자(30)에게 출력될 수 있다.
유통토큰구매부(413)에서 구매자(30)가 기여자(20)로부터 자산토큰을 구매하기 위한 수단인 유통토큰을 생성하고, 구매자(30)의 구매요청에 따라서 유통토큰을 구매자(30)에게 분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통토큰구매부(413)는 실시간으로 구매자(30)에게 유통토큰의 총 액수 및 유통토큰의 총 개수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유통토큰구매부(413)가 구매자(30)에게 출력하는 유통토큰의 총 액수 및 유통토큰의 총 개수는 기여자(20)에 의해 등록된 자산토큰의 총 액수 및 자산토큰의 총 개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여자(20)가 분배받은 자산토큰의 전부를 실제자산출력부(411)에 등록한 경우, 유통토큰구매부(413)는 실제자산출력부(411)에 등록된 자산토큰의 총 액수에 대응하여 유통토큰의 총 액수 및 유통토큰의 총 개수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기여자(20)가 분배받은 자산토큰의 전부 중 일부를 실제자산출력부(411)에 등록한 경우, 유통토큰구매부(413)는 실제자산출력부(411)에 등록된 자산토큰의 총 액수에 대응하여 유통토큰의 총 액수 및 유통토큰의 총 개수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실제자산출력부(411)에 등록된 자산토큰의 총 액수와 유통토큰구매부(413)에 출력되는 유통토큰의 총 액수의 곱은 소정의 값으로 일정하며, 유통토큰구매부(413)는 실제자산출력부(411)에 기여자(20)에 의해 등록된 자산토큰의 총 액수의 곱과 상기 소정의 값에 기초하여 구매자(30)가 구매할 수 있는 유통토큰의 총 액수 및 유통토큰의 총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매자(30)로부터 유통토큰의 구매요청이 있는 경우, 유통토큰구매부(413)는 상기 소정의 값에 기초하여 구매자(30)의 구매요청에 대응하는 유통토큰을 생성하고, 구매자(30)에게 유통토큰을 분배할 수 있다.
시장가격결정부(412)는 구매자(30)가 기여자(20)로부터 자산토큰을 구매요청을 한 시점에서 자산토큰의 시장자격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장가격결정부(412)는 구매자(30)가 분배받은 유통토큰을 이용하여 자산토큰을 구매하기 위해 구매요청을 한 시점에서, 구매자(30)에 의해 제시된 유통토큰의 총 액수 및 상기 소정의 값을 이용하여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시장가격결정부(412)가 구매자(30)의 구매요청에 따라서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을 결정하는 과정은 아래,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자산토큰분배부(414)는 시장가격결정부(412)에서 결정된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을 구매자(30)에게 출력할 수 있다. 제2 자산토큰분배부(414)는 구매자(30)의 구매요청에 대응한 자산토큰을 구매자(30)에게 분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통토큰에 기초하여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은 구매자(30)가 자산토큰의 구매요청을 한 시점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유통토큰의 총 액수의 곱과 자산토큰의 총 액수의 곱은 소정의 값은 일정하다. 이때, 구매자(30)가 자산토큰을 구매하기 위해 제시한 유통토큰의 총 액수와 상기 소정의 값을 이용하여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도 4를 참고하면, 구매자(30)가 자산토큰을 구매하기 위해서 제시한 유통토큰의 총 액수가 DT1인 경우, 시장가격결정부(412)는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인 자산토큰의 총 액수를 PT2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구매자(30)가 자산토큰을 구매하기 위해서 제시한 유통토큰의 총 액수가 DT2인 경우, 시장가격결정부(412)는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인 자산토큰의 총 액수를 PT1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유통토큰의 총 액수인 DT1과 자산토큰의 총 액수인 PT2의 곱은 B이고, 유통토큰의 총 액수인 DT2와 자산토큰의 총 액수의 PT1의 곱은 A이다. 그리고, A와 B는 소정의 값으로 서로 동일한 값이다.
구매자(30)가 자산토큰을 구매하기 위해서 제시한 유통토큰의 총 액수가 DT1인 경우, 시장가격결정부(412)는 총 액수가 PT2으로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30)는 상기 시장가격에 대응하여 유통토큰을 제시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제2 자산토큰분배부(414)는 구매자(30)에게 자산토큰을 분배할 수 있다.
구매자(30)가 자산토큰을 구매하기 위해서 제시한 유통토큰의 총 액수가 DT2인 경우, 시장가격결정부(412)는 총 액수가 PT1으로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30)는 상기 시장가격에 대응하여 유통토큰을 제시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제2 자산토큰분배부(414)는 구매자(30)에게 자산토큰을 분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산토큰의 총 액수와 유통토큰의 총 액수의 곱은 일정하며, 구매자(30)가 자산토큰의 구매요청을 한 시점에서 구매자(30)에 의해 제시된 유통토큰에 따라서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구매자(30)는 자산토큰의 사장가격에 따라서 자산토큰을 분배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조자가 스마트컨트랙트에 가상자산에 대한 계약조건 및 분배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S10)에서 가상자산을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에 등록하고 기여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400)의 가상자산등록부(401)에는 창조자(10)에 의해 가상자산에 대한 정보, 가상자산에 대한 기여조건 및 구매자(30)가 실제화된 실제자산을 사용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하는 사용함수가 등록될 수 있다.
단계(S11)에서 구매자의 기여에 따른 가산자산의 가치가 증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여자(20)가 구매자(30)에 의해 등록된 가상자산에 대한 기여조건을 만족시키는 기여행위를 수행하는 경우 가상자산의 가치가 증대될 수 있다. 기여자(20)의 기여행위에 의해서 가상자산등록부(401)에 등록된 가상자산은 가치증대프로세스부(402)에서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될 수 있다.
단계(S12)에서 창조자가 설정한 총 액수에 대응하는 자산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산토큰생성부(403)는 가상자산등록부(401)에 창조자(10)에 의해 설정된 자산토큰의 총 액수에 대응하는 자산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S13)에서 복수의 기여자별로 기여율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여율산출부(404)는 가상자산을 실제자산으로 실제화하기 위한 기여조건을 충족한 복수의 기여자(20)의 기여율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단계(S14)에서 기여자의 기여율에 따라서 자산토큰을 기여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자산토큰분배부(405)는 기여율산출부(404)에서 산출한 기여율에 기초하여 자산토큰생성부(403)에서 생성한 자산토큰을 복수의 기여자(20) 각각에게 분배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기여자(20) 각각은 기여율에 따라서 자산토큰을 분배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여자가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에서 토큰을 이용하여 거래를 수행하고, 토큰의 가치가 설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S20)에서 기여자가 실제자산에 대한 정보를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부에 등록 또는 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제자산출력부(411)에는 기여자(20)의 기여행위에 따라서 실제화된 실제자산에 대한 설명이 등록되고, 구매자(30)에게 출력될 수 있다.
실제자산출력부(411)에는 가상자산이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되는 과정에서 기여자(20)의 기여율에 대응하여 기여자(20)가 분배받은 자산토큰의 액수가 등록되고, 구매자(30)에게 출력될 수 있다.
실제자산출력부(411)에는 가상자산이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되는 과정에서 기여자(20)의 기여율에 대응하여 기여자(20)가 분배받은 자산토큰의 개수가 등록되고, 구매자(30)에게 출력될 수 있다.
단계(S21)에서 구매자가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부에서 유통토큰을 구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통토큰구매부(413)에서 구매자(30)가 기여자(20)로부터 자산토큰을 구매하기 위한 수단인 유통토큰을 생성하고, 구매자(30)의 구매요청에 따라서 유통토큰을 구매자(30)에게 분배할 수 있다.
단계(S22)에서 구매자가 유통토큰을 이용하여 실제자산을 이용하기 위한 구매요청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자(30)는 유통토큰구매부(413)에서 구매한 유통토큰을 이용하여 실제자산출력부(411)에 등록된 자산토큰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요청을 할 수 있다.
단계(S23)에서 자산토큰의 총 액수와 유통토큰의 총 액수를 이용하여 실제자산의 시장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제자산출력부(411)에 기여자(20)에 의해 등록된 자산토큰의 총 액수의 곱과 구매자(30)가 구매할 수 있는 유통토큰의 총 액수의 곱은 소정의 값으로 일정하다.
따라서, 유통토큰구매부(413)는 기여자(20)에 의해 등록된 자산토큰의 총 액수의 곱과 상기 소정의 값에 기초하여 구매자(30)가 구매할 수 있는 유통토큰의 총 액수 및 유통토큰의 총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S24)에서 시장가격에 따른 자산토큰을 구매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자(30)로부터 자산토큰의 구매요청이 있는 경우, 제2 자산토큰분배부(414)는 구매자(30)가 제시한 유통토큰에 기초하여 자산토큰을 분배할 수 있다. 즉, 구매자(30)는 유통토큰을 이용하여 자산토큰을 구매할 수 있다.
단계(S25)에서 구매자는 자산토큰을 이용하여 실제자산의 사용 또는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자(30)는 구매한 자산토큰을 이용하여 실제자산의 소유권에 대한 지분을 구매 또는 실제자산을 사용하기 위한 요청을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10: 창조자
20: 기여자
30: 구매자
40: 블록체인 네트워크
400: 미래자산 스마트컨트랙트부
410: 토큰거래 스마트컨트랙트부

Claims (8)

  1. 창조자에 의해 가상자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가상자산에 대한 기여조건이 등록되는 가상자산등록부;
    기여자에 의해 상기 기여조건이 충족되어 상기 가상자산의 가치가 증대되고,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되는 가치증대프로세스부;
    상기 기여조건을 충족시킨 상기 기여자의 기여율에 대응한 자산토큰을 상기 기여자에게 분배하는 제1 자산토큰분배부;
    상기 기여자에 의해 상기 분배받은 상기 자산토큰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등록되는 실제자산출력부;
    상기 실제자산출력부에 등록된 상기 자산토큰의 총 액수에 기초하여 구매자에게 상기 자산토큰을 구매하기 위한 유통토큰의 총 액수 및 총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구매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결정된 유통토큰을 분배하는 유통토큰구매부;
    상기 구매자에 의해 상기 자산토큰에 대한 구매를 요청한 시점에서 상기 구매자에 의해 제시된 유통토큰의 총 액수에 기초하여 상기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을 결정하는 시장가격결정부; 및
    상기 시장가격에 기초하여 상기 자산토큰을 상기 구매자에게 분배하는 제2 자산토큰분배부를 포함하는,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자산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가상자산의 이름, 상기 가상자산에 대한 설명, 및 상기 자산토큰의 총 액수를 포함하고,
    상기 기여조건은, 상기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되기 위한 상기 기여자의 기여행위에 대한 설명 및 상기 기여율에 따른 상기 자산토큰의 분배율을 포함하는,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은 자산토큰생성부 및 기여율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산토큰생성부는, 상기 자산토큰의 총 액수에 대응하는 상기 자산토큰의 개수를 생성하고,
    상기 기여율산출부는, 상기 기여조건을 충족시킨 상기 기여자의 기여율을 산출하는,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자산출력부는, 상기 구매자에 의해 등록된 상기 실제자산에 대한 설명, 상기 자산토큰의 액수, 및 상기 자산토큰의 개수를 출력하는,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토큰구매부는, 상기 유통토큰의 총 액수 및 상기 유통토큰의 총 개수를 출력하고 상기 구매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유통토큰을 상기 구매자에게 분배하고,
    상기 유통토큰의 총 액수와 상기 자산토큰의 총 액수의 곱은 소정의 값으로 일정한,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장가격결정부는, 상기 구매자에게 분배된 상기 유통토큰의 총 액수 및 상기 소정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자산토큰의 상기 시장가격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자산토큰분배부는, 상기 자산토큰의 상기 시장가격을 출력하고 상기 구매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자산토큰을 상기 구매자에게 분배하는,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자산등록부는,
    상기 자산토큰에 기초한 상기 구매자의 사용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에 의해 제시된 상기 자산토큰의 액수, 상기 자산토큰의 개수, 및 상기 실제자산에 대한 상기 구매자의 지분비율을 등록하는,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8. 가상자산등록부에 의해 창조자로부터 등록된 가상자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가상자산에 대한 기여조건이 등록되는 단계;
    가치증대프로세스부에 의해 기여자로부터 상기 기여조건이 충족되어 상기 가상자산의 가치가 증대되고, 실제자산으로 실제화되는 단계;
    제1 자산토큰분배부에 의해 상기 기여조건의 충족하기 위한 기여율에 대응하여 상기 기여자에게 자산토큰을 분배하는 단계;
    실제자산출력부에 의해 상기 기여자에 의해 분배받은 상기 자산토큰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등록되는 단계;
    유통토큰구매부에 의해 상기 실제자산출력부에 등록된 상기 자산토큰의 총 액수에 기초하여 구매자에게 상기 자산토큰을 구매하기 위한 유통토큰의 총 액수 및 총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구매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결정된 유통토큰을 분배하는 단계;
    시장가격결정부에 의해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기 자산토큰에 대한 구매를 요청한 시점에서 상기 구매자에 의해 제시된 유통토큰의 총 액수에 기초하여 상기 자산토큰의 시장가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자산토큰분배부에 의해 상기 시장가격에 기초하여 상기 자산토큰을 상기 구매자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방법.
KR1020210159212A 2021-10-27 2021-11-18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66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657 2021-10-27
KR20210144657 2021-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402A KR20230060402A (ko) 2023-05-04
KR102666897B1 true KR102666897B1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sner Antitrust in the new economy
US202002190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ement of a blockchain-based computer-enabled networked ecosystem
Liu et al. Pricing and capacity rationing with customer disappointment aversion
DeJong et al. Ripoffs, lemons, and reputation formation in agency relationships: A laboratory market study
US201900126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architecture for an internet-based marketplace
JPWO2019035459A1 (ja) 情報流通方法、情報流通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Ray et al. An efficient reverse auction mechanism for limited supplier base
JP7430191B2 (ja) 金融商品推薦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TW202147200A (zh) 使用產品或服務作為多層次行銷樹之開始
TW202207121A (zh) 基於多層次行銷產品之樹而創建網路商店
TW202201316A (zh) 併入產品於多層次行銷系統中
KR20190120474A (ko) 트랜잭션 처리 방법 및 장치
TW202209222A (zh) 用於多層次行銷之佣金之系統
WO2020209056A1 (ja) 作品オーナー権取引管理システム
Loertscher et al. Coordinated effects in merger review
KR10219748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페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지불 방법
KR20200070952A (ko) 암호화폐를 이용한 선물 거래방법
Karabatı et al. An auction mechanism for pricing and capacity allocation with multiple products
KR102666897B1 (ko) 가상자산에 기초한 블록체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162286A1 (en) System, Method, and Platform for Providing Support and Financial Resources for Small Businesses
Heymann How to bid in unified second-price auctions when requests are duplicated
Baker Epistemological objectivity in financial reporting: does internet accounting require a new accounting model?
US20150170276A1 (en) Interconnected network of online securities offering platforms
JP2019067362A (ja) ポイントシステムを用いた3者型クラウドファンディングシステム
Au Fractionalization to Securitization: How the SEC May Regulate the Emerging Asset of NF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