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140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140B1
KR102666140B1 KR1020230105798A KR20230105798A KR102666140B1 KR 102666140 B1 KR102666140 B1 KR 102666140B1 KR 1020230105798 A KR1020230105798 A KR 1020230105798A KR 20230105798 A KR20230105798 A KR 20230105798A KR 102666140 B1 KR102666140 B1 KR 102666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air conditioner
port
disposed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5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59329A (en
Inventor
김형준
문동수
김강영
김학재
박민규
이종철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5872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58959A/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5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140B1/en
Publication of KR20230159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3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1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24F1/028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with vertically arranged f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using water to enhance cooling, e.g. spraying onto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4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in a window-type room air conditio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Abstract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증발기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의 하단보다 하측으로 연장되는 응축기;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는 드레인유로;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 하측으로 배출된 응축수를 압출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받은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는 분배기를 포함한다.
This disclosure relates to air conditioners.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ase formed with an intake port and an discharge port; an evaporato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heat-exchang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a condense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separated from the evaporator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evaporator; a drain passage that discharges condensate generated in the evaporator to the condenser; a pump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extruding condensate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ndenser; and a distributor that discharges the condensate supplied from the pump to the condenser.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응축수가 발생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ir conditioners, and more specifically, to air conditioners that generate condensate.

공기조화기는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장치이다.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cools, heats, or purifies sucked indoor air and supplies it indoors.

공기조화기는 창문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뒤 실내로 공급하고,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뒤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케이스 내부 실내측에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실내팬 및 실내열교환기가 배치되고, 케이스 내부 실외측에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실외팬 및 실외열교환기가 배치된다.An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on a window and can suck in indoor air, exchange heat with it, supply it indoors, and suck in outdoor air, exchange heat with it, and then discharge it outdoors. In the case of such a window-type air conditioner, an indoor fan through which indoor air flows and an indoor heat exchanger are disposed on the indoor side of the case, and an outdoor fan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are dispos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case.

하지만,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창문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경우, 케이스가 실내공간과 실외공간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케이스 외부로의 응축수 배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케이스 내부에 잔존하는 응축수는 공기조화기의 성능을 떨어뜨리고 악취를 유발시켰다.However, conventional air conditioners had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remov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ir conditioners installed in window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discharge condensate to the outside of the case because the case was located between the indoor space and the outdoor space. Accordingly, the condensate remaining inside the case reduced the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and caused a bad smell.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구동이 지속되는 도중에 응축기의 과열로 인하여, 열교환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과열된 응축기의 온도를 낮추는 구조의 부재로 인하여, 열교환성능의 저하를 막지못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air conditioners have a problem in that heat exchange performance deteriorates due to overheating of the condenser while operation continues. Conventional air conditioners had a problem in that they could not prevent a decrease in heat exchange performance due to the absence of a structure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overheated condenser.

한국특허문헌 10-2019-0133477Korean Patent Document 10-2019-0133477 한국특허문헌 10-2019-0078874Korean Patent Document 10-2019-0078874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응축수의 제거가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from which condensate can be easily removed.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응축기의 과열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condenser.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 내부에 잔존 응축수를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remove remaining condensate inside the case.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응축수 유로를 단순화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simplify the condensate flow path.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응축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facilitate the flow of condensate.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응축수 제거를 위한 구조를 컴펙트화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compact the structure for condensate removal.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event leakage of condensate.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에너지효율이 향상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with improved energy efficiency.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응축기의 냉각을 도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cools the condenser by maximizing the condensate generated insid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한다.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ncludes a case in which an inlet and an outlet are formed.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includes an evaporator that heat-exchanges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증발기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의 하단보다 하측으로 연장되는 응축기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side the case separately from the evaporator and includes a condens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evaporator.

공기조화기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는 드레인유로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drain passage that discharges condensate generated in the evaporator to the condenser.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 하측으로 배출된 응축수를 압출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includes a pump that extrudes condensate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ndenser.

공기조화기는,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받은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는 분배기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distributor that discharges condensate supplied from the pump to the condenser.

상기 분배기는, 상기 응축기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기로 물을 배출한다. The distributor is disposed above the condenser and discharges water into the condenser.

상기 분배기는, 상기 드레인유로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The distributor is disposed above the drain passage.

상기 드레인유로는, 상기 응축기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The drain passage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condenser.

상기 드레인유로는, 상기 응축기의 일측면으로 응축수를 배출한다. 상기 분배기는 상기 응축기의 상측면으로 응축수를 배출한다. The drain passage discharges condensed water to one side of the condenser. The distributor discharges condensed water to the upper side of the condenser.

상기 분배기는, 분배공간을 형성하는 분배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바디의 하벽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분배홀이 형성된다.The distributor includes a distributor body forming a distribution space, and a distribution hole opening downward is formed in a lower wall of the distributor body.

상기 드레인유로는,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드레인팬과 상기 드레인팬과 연결되고 상기 응축기로 응축수를 배출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The drain passage includes a drain pan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and a guide connected to the drain pan and discharging condensed water to the condenser.

상기 가이드는, 상기 펌프보다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분배기보다 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guide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bove the pump and to be spaced below the distributor.

상기 응축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유로를 통해 배출된 응축수를 상기 펌프로 보내는 베이스를 더 포함한다.It is disposed below the condenser and further includes a base for sending condensat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assage to the pump.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응축기의 하측에 위치한 제1 베이스공간과,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 위치한 제2 베이스공간과, 상기 제1 베이스공간과 상기 제2 베이스공간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벽을 포함한다. The base includes a first base space located below the condenser, a second base space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ndenser, and a partition wall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space and the second base space.

공기조화기는, 상기 펌프로부터 압출되는 응축수가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도록 상기 응축기 상측으로 보내는 이송관을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transfer pipe that directs condensed water extruded from the pump to the upper side of the condenser so that it is discharged into the condenser.

상기 이송관의 유입단은 상기 드레인유로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이송관의 배출단은 상기 드레인유로보다 상측에 배치된다.The inlet end of the transfer pipe is disposed lower than the drain passage. The discharge end of the transfer pipe is disposed above the drain passage.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외토출구와 상기 실외흡입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토출구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between the outdoor discharge port and the outdoor intake port and includes a stabilizer that guides air flowing to the outdoor discharge port.

상기 이송관은, 상기 스태빌라이저를 기준으로 상기 실외토출구가 위치하는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The transfer pipe is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where the outdoor discharge port is located with respect to the stabilizer.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응축기의 열을 활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evaporator can be removed by utilizing the heat of the condenser.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응축수를 별도의 에너지원없이 응축기의 열을 활용하여 증발시킴으로써,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energy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evaporating condensed water using the heat of the condenser without a separate energy source.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증발기에서 발생된 차가운 응축수를 응축기로 흘려보냄으로써, 응축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overheating of the condenser can be prevented by flowing cold condensate generated in the evaporator to the condenser.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응축수를 응축기로 흘려보내 응축기의 과열을 방지함으로써, 응축기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condenser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overheating of the condenser by flowing condensate into the condenser.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베이스에 고인 응축수를 펌프를 활용하여 응축기 상단으로 이송함으로써, 잔존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maining condensate can be removed by transferring the condensate accumulated in the base to the top of the condenser using a pump.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넥터 및 분배기 구조로 인하여, 응축수의 흐름이 원활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low of condensate can be smoothed due to the connector and distributor structure.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드레인유로를 통해 응축수를 1차적으로 제거한 뒤, 분배기를 통해 응축수를 2차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응축수의 제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densate water is first removed through the drain passage and then the condensate is secondarily removed through the distributor, so the condensate removal efficienc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단면의 일부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상방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일부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일부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일부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por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 is a par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por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portion of a cross sec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por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por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por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tribu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3 is an upward perspective view of a distribu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4 is a portion of a distribu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5 is a portion of a distribu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6 is a portion of a distribu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be placed in the window assembly (9). The air conditioner (1)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window assembly (9).

창문어셈블리(9)는 창틀(91) 및 창문(92)을 포함할 수 있다. 창틀(91)은 창문어셈블리(9)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창틀(91)은 내측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창문(92)은 창틀(91)의 내측공간에서 이동될 수 있다. 창문(92)의 내측에는 유리(Glass)가 고정될 수 있다.The window assembly 9 may include a window frame 91 and a window 92. The window frame 91 may form the outer shape of the window assembly 9. The window frame 91 may form a space on the inside. The window 92 can be moved in the inner space of the window frame 91. Glass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window 92.

공기조화기(1)는 창틀(91)과 창문(9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창틀(91)과 창문(92) 사이에는 공간(93)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틀(91)과 창문(92) 사이의 공간(93)에 설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be placed between the window frame 91 and the window 92. A space 93 may be formed between the window frame 91 and the window 92. The air conditioner (1) may be installed in the space (93) between the window frame (91) and the window (92).

공기조화기(1)와 창문어셈블리(9) 사이에는 키트(94)가 배치될 수 있다. 키트(94)는 공기조화기(1)를 창문어셈블리(9)에 고정시킬 수 있다. 키트(94)는 공기조화기(1)와 창문어셈블리(9) 사이 틈새를 밀봉할 수 있다.A kit 94 may be placed between the air conditioner 1 and the window assembly 9. The kit 94 can fix the air conditioner (1) to the window assembly (9). The kit 94 can seal the gap between the air conditioner (1) and the window assembly (9).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고정될 수 있다. 창문어셈블리(9)를 기준으로 실내공간(Indoor Space)과 실외공간(Outdoor Space)이 구분될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기(1)를 설명함에 있어서, 실내공간을 향하는 실내측을 전방으로, 실외공간을 향하는 실외측을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can be fixed to the window assembly (9). Indoor space and outdoor space can be distinguished based on the window assembly 9. Hereinafter, when describing the air conditioner 1, the indoor side facing the indoor space can be defined as the front, and the outdoor side facing the outdoor space can be defined as the rear.

공기조화기(1)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내공간으로 송풍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실외공기를 실외공간으로 송풍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흡입구(11) 및 토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 can suck indoor air and blow the sucked indoor air into the indoor space. The air conditioner (1) can suck in outdoor air and blow the sucked outdoor air to the outdoor space. 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inlet 11 and an outlet 12. Air in the indoor space may flow into the air conditioner (1) through the intake port (11).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er (1) through the intake port (11) may be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흡입구(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흡입구(11)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흡입구(11)와 이격될 수 있다.The intake port 1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charge port 12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uction port 11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11.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실내공간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내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intake port 11 and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open toward the indoor space. The suction port 11 and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The suction port 11 and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air conditioner 1 may protrude from the window assembly 9 toward the indoor space.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되어 열교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흡입구(11)의 일측에 이격된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Air in the indoor space may flow into the air conditioner (1) through the intake port (11) and exchange heat. The air heat exchang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1) may be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intake port (11).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10)는 공기조화기(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case 10. Case 10 may have a space inside. Case 10 can form the external shape of the air conditioner (1).

케이스(10)는 프론트케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는 실내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의 일부는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내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Case 10 may include a front case 13. The front case 13 may be arranged toward the indoor side. A portion of the front case 13 may protrude from the window assembly 9 toward the indoor space.

케이스(10)는 리어케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는 실외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의 일부는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외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는 프론트케이스(13)와 결합될 수 있다.Case 10 may include a rear case 14. The rear case 14 may be disposed toward the outdoor side. A portion of the rear case 14 may protrude from the window assembly 9 toward the outdoor space. The rear case 14 may be combined with the front case 13.

흡입구(11)는 프론트케이스(13)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프론트케이스(13)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intake port 11 may be formed in the front case 13. The intake port 1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3.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formed in the front case 13.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3. The intake port 11 and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3.

공기조화기(1)는 그릴(1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릴(15)은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탈착될 수 있다. 그릴(15)은 흡입구(11)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그릴(15)을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릴(15)은 토출구(12)와 이격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grill 15. The grill 15 can be detach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3. The grill 15 may be disposed at the intake port 11. Air in the indoor space may be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er (1) through the grill (15). The grill 15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port 12.

공기조화기(1)는 베인(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20)은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개폐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프론트케이스(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인(20)은 그릴(15)과 이격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vane 20. Vane 20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case 13. The vane 20 may be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12. The vane 20 can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2. The vane 20 may be rotatably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12. The vane 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case 13. The vane 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grill 15. The vane 20 can control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도 3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3은 공기조화기(1)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air conditioner (1).

프론트케이스(13)는 프론트플레이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33)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흡입구(11) 및 토출구(12)는 프론트플레이트(133)에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case 13 may include a front plate 133. The front plate 133 may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3. The intake port 11 and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formed in the front plate 133.

프론트플레이트(133)는 제1 플레이트(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제1 플레이트(131)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plate 133 may include a first plate 131. The first plate 13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take port 11 may be formed by opening in the first plate 131.

프론트플레이트(133)는 제2 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3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제2 플레이트(132)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plate 133 may include a second plate 132. The second plate 132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charge hole 12 may be formed as an opening in the second plate 132.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는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131 and the second plate 132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e first plate 131 and the second plate 132 may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릴(15)은 프론트플레이트(133)에 탈착될 수 있다. 그릴(15)은 흡입구(11)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릴(15)은 제1 플레이트(131)에 결합될 수 있다.The grill 15 can be detached from the front plate 133. The grill 15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intake port 11. The grill 15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late 131.

베인(20)은 프론트플레이트(1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제2 플레이트(132)에 결합될 수 있다.The vane 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plate 133. The vane 20 may be rotatably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12. Vane 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132.

프론트케이스(13)는 탑플레이트(134)를 포함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134)는 프론트케이스(13)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134)는 프론트플레이트(13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탑플레이트(134)는 리어케이스(14)와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case 13 may include a top plate 134. The top plate 134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case 13. The top plate 134 may extend rearward from the front plate 133. The top plate 134 may be combined with the rear case 14.

프론트케이스(13)는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프론트케이스(13)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리어케이스(14)와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case 13 may include a first side plate 135. The first side plate 135 may form one side of the front case 13. The first side plate 135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side plate 135 may be combined with the rear case 14.

프론트케이스(13)는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프론트케이스(13)의 타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리어케이스(14)와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case 13 may include a second side plate 136. The second side plate 136 may form the other side of the front case 13. The second side plate 136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side plate 136 may be combined with the rear case 14.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와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와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프론트케이스(13)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와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사이드플레이트"로 이름될 수 있다.The first side plate 135 and the second side plate 136 may face each other. The first side plate 135 and the second side plate 136 may form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case 13. The first side plate 135 and the second side plate 136 may be named “side plates.”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어셈블리(AS)를 포함할 수 있다. 어셈블리(AS)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어셈블리(AS)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은, 케이스(10) 내부로부터 별도로 분리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assembly (AS) disposed inside the case 10. Assembly (AS) may refer to a collection of parts arranged inside the case 10. Each part constituting the assembly AS may be separately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case 10.

공기조화기(1)는 제1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first unit 30. The first unit 30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

공기조화기(1)는 제2 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second unit 40. The second unit 40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

공기조화기(1)는 제3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50)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third unit 50. The third unit 50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

제1 유닛(30)과 제2 유닛(40)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유닛(40)의 일부 부품은 제1 유닛(3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The first unit 30 and the second unit 40 may be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some parts of the second unit 40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unit 30.

제2 유닛(40)과 제3 유닛(50)은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3 유닛(50)의 일부 부품은 제1 유닛(30)과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unit 40 and the third unit 50 may be coupled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At this time, some parts of the third unit 5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unit 30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다만, 상술한 제1, 2, 3유닛(30, 40, 50)에 대한 설명은 공기조화기(1)의 전체적인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2, 3유닛(30, 40, 50) 각각의 구분이 엄격하게 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제1, 2, 3유닛(30, 40, 50) 각각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 중 일부를 의미하는 개념일 수 있다. 제1, 2, 3유닛(30, 40, 50) 각각은 복수의 부품의 조립체일 수 있고, 각 유닛(30, 40, 50)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각 유닛(30, 40, 50)으로부터 별개로 분리될 수 있다. 각 유닛(30, 40, 50)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별개로 분리되어 별도의 독립적인 유닛을 구성할 수도 있다.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above-mentioned first, second, and third units (30, 40, and 50) is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mbined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1),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units (30, 40, 50) Each division is not strictly defined. In other words, each of the above-described first, second, and third units 30, 40, and 50 may be a concept meaning some of the parts disposed inside the case 10.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units (30, 40, and 50) may be an assembly of a plurality of parts, and the parts constituting each unit (30, 40, and 50) are separate from each unit (30, 40, and 50). can be separated into The parts constituting each unit 30, 40, and 50 may be separated to form a separate, independent unit.

공기조화기(1)는 제1 바디(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제1 바디(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3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first body 31. The first unit 30 may include a first body 31. The first body 31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

공기조화기(1)는 제2 바디(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제2 바디(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32)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32)는 제1 바디(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second body 32. The first unit 30 may include a second body 32. The second body 32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 The second body 32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body 31.

공기조화기(1)는 커버(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커버(3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3)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33)는 제1 바디(31)를 둘러쌀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cover 33. The first unit 30 may include a cover 33. Cover 33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cover 33 may surround the first body 31.

공기조화기(1)는 실내팬(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실내팬(34)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팬(34)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제1 바디(3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제1 바디(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indoor fan 34. The first unit 30 may include an indoor fan 34. The indoor fan 34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indoor fan 34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31. The indoor fan 34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31.

공기조화기(1)는 실외팬(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실외팬(3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팬(35)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제1 바디(3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제1 바디(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outdoor fan (35). The first unit 30 may include an outdoor fan 35. The outdoor fan 35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outdoor fan 35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31. The outdoor fan 35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31.

실내팬(34)과 실외팬(35)은 "팬"으로 이름될 수 있다.The indoor fan 34 and the outdoor fan 35 may be named “fans.”

공기조화기(1)는 압축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압축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4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41)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41)는 제2 바디(32)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compressor 41. The second unit 40 may include a compressor 41. The compressor 41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compressor 41 can compress the refrigerant. The compressor 41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body 32.

공기조화기(1)는 실외열교환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실외열교환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실외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제1 바디(31)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실외공기는, 실외열교환기(42)를 통과할 수 있다.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42)로 유입되어 실외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응축기"로 이름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outdoor heat exchanger (42). The second unit 40 may include an outdoor heat exchanger 42.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can exchange heat with outdoor air and a refrigerant.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body 31. Outdoor air blown by the outdoor fan (35) can pass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41 may flow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and exchange heat with outdoor air.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may be named “condenser.”

공기조화기(1)는 팽창장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팽창장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제2 바디(32)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를 통과한 냉매는 팽창장치(43)로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expansion device 43. The second unit 40 may include an expansion device 43. The expansion device 43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expansion device 43 can expand the refrigerant. The expansion device 43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body 32.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may flow into the expansion device (43) and expand.

공기조화기(1)는 실내열교환기(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실내열교환기(44)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제1 바디(31)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장치(43)를 통과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44)로 유입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증발기"로 이름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indoor heat exchanger (44). The second unit 40 may include an indoor heat exchanger 44.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body 31.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pansion device 43 flows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and can exchange heat with indoor air.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may be named “evaporator.”

압축기(41), 실외열교환기(42), 팽창장치(43) 및 실내열교환기(44)는 냉매배관(미도시)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mpressor 41, outdoor heat exchanger 42, expansion device 43, and indoor heat exchanger 44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refrigerant pipes (not shown).

공기조화기(1)는 베이스(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베이스(4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5)는 케이스(1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제1, 2바디(31, 3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41), 실외열교환기(42), 팽창장치(43) 및 실내열교환기(44)는 베이스(4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base 45. The second unit 40 may include a base 45. The base 45 may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10. The base 1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31 and 32. The compressor 41,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the expansion device 43,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45.

공기조화기(1)는 컨트롤박스(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50)은 컨트롤박스(51)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5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51)의 내부에는 베인모터(29)(도 4참조), 실내팬(34), 실외팬(35), 압축기(41) 및 팽창장치(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PCB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부품들(29, 34, 35, 41, 4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control box (51). The third unit 50 may include a control box 51. The control box 51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Inside the control box 51, there is a controller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ne motor 29 (see FIG. 4), indoor fan 34, outdoor fan 35, compressor 41, and expansion device 43. ) can be placed. The controller can be mounted on a PCB board.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29, 34, 35, 41, and 43.

공기조화기(1)는 제3 바디(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50)은 제3 바디(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디(52)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바디(52)는 컨트롤박스(5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바디(52)의 내측에는 수배관 또는 냉매배관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바디(52)는 상기 수배관 또는 상기 냉매배관을 커버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third body 52. The third unit 50 may include a third body 52. The third body 52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 The third body 52 may extend upward from the control box 51. A water pipe or a refrigerant pipe may be disposed inside the third body 52. The third body 52 may cover the water pipe or the refrigerant pipe.

도 4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1)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onditioner 1 shown in FIG. 2.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그릴(15)을 통과하여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ir in the indoor space may flow into the case 10 through the intake port 11. Air in the indoor space may pass through the grill 15 and flow into the case 10.

실내열교환기(44)는 케이스(10) 내부에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실내열교환기(44)에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The indoor heat exchanger 44 may be disposed at an angle inside the case 10.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11 may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실내팬(34)은 실내열교환기(44)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흡입구(11)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실내팬(34)은 횡류팬일 수 있다.The indoor fan 34 may be disposed downstream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The indoor fan 34 can suck in air outside the case 10 through the intake port 11. The indoor fan 34 may be a cross-flow fan.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토출구(12)로 유동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개폐할 수 있고,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Air blown by the indoor fan 34 may flow to the discharge port 12. The vane 20 may be rotatably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12. The vane 20 can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2 and control the flow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공기조화기(1)는 베인(20)을 회전시키는 베인모터(29)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모터(29)는 케이스(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인모터(29)는 모터축(291)을 통해 베인(20)과 연결될 수 있다. 베인(20)은 베인모터(29)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vane motor 29 that rotates the vane 20. The vane motor 29 may be fixed inside the case 10. The vane motor 29 may be connected to the vane 20 through the motor shaft 291. The vane 20 can be rotated by driving the vane motor 29.

공기조화기(1)는 실외흡입구(1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outdoor intake port (16). Air from the outdoor space may flow into the case 10 through the outdoor intake port 16.

공기조화기(1)는 제1 실외그릴(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외그릴(18)은 실외흡입구(16)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제1 실외그릴(18)을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first outdoor grill 18. The first outdoor grill 18 may be disposed at the outdoor intake port 16. Air from the outdoor space may flow into the case 10 through the first outdoor grill 18.

공기조화기(1)는 실외토출구(17)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는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외토출구(17)는 실외흡입구(16)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실외토출구(17)와 실외흡입구(16)는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outdoor outlet (17). The air inside the case 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door intake port 1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and the outdoor intake port 16 may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공기조화기(1)는 제2 실외그릴(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외그릴(19)은 실외토출구(19)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는 제2 실외그릴(19)을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실외그릴(19)은 제1 실외그릴(18)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실외그릴(18)과 제2 실외그릴(19)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second outdoor grill 19. The second outdoor grill 19 may be disposed at the outdoor discharge port 19. The air inside the case 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second outdoor grill 19. The second outdoor grill 19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utdoor grill 18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outdoor grill 18 and the second outdoor grill 19 may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실외흡입구(16), 실외토출구(17), 제1 실외그릴(18) 및 제2 실외그릴(19)은 리어케이스(14)(도 3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The outdoor intake port 16,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the first outdoor grill 18, and the second outdoor grill 19 may be disposed in the rear case 14 (see FIG. 3).

실외열교환기(42)는 실외흡입구(16)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실외열교환기(42)에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may be arranged to face the outdoor intake port 16.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intake port 16 may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실외팬(35)은 실외열교환기(42)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실외흡입구(16)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실외팬(35)은 횡류팬일 수 있다.The outdoor fan 35 may be disposed downstream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The outdoor fan 35 can suck in air outside the case 10 through the outdoor intake port 16. The outdoor fan 35 may be a cross-flow fan.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실외토출구(17)로 유동할 수 있다.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Air blown by the outdoor fan 35 may flow to the outdoor outlet 17. Air blown by the outdoor fan 35 may be discharged to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공기조화기(1)는 격벽(36)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36)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36)은 수평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격벽(36)은 케이스(10)의 양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36. The partition wall 36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10. The partition wall 36 may extend curved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artition wall 36 may be coupled to both side walls of the case 10.

공기조화기(1)는 제1 공간(1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101)은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제1 공간(10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공간(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되어,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내팬(34) 및 실내열교환기(44)는 제1 공간(1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first space 101. The first space 101 may be formed inside the case 10. Air in the indoor space may flow into the first space 101 through the intake port 11. Air flowing into the first space 101 may be blown by the indoor fan 34 and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The indoor fan 34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space 101.

공기조화기(1)는 제2 공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간(102)은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제2 공간(10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공간(102)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되어,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외팬(35) 및 실외열교환기(42)는 제2 공간(10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second space 102. The second space 102 may be formed inside the case 10. Air from the outdoor space may flow into the second space 102 through the outdoor inlet 16. Air flowing into the second space 102 may be blown by the outdoor fan 35 and discharged into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outdoor outlet 17. The outdoor fan 35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space 102.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은 격벽(36)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격벽(36)은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36)은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을 분리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공간을 구분지을 때, 제1 공간(101)을 "실내측"으로, 제2 공간(102)을 "실외측"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first space 101 and the second space 102 may be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36. The partition wall 3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pace 101 and the second space 102. The partition wall 36 may separate the first space 101 and the second space 102. When classify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ase 10, the first space 101 can be defined as the “indoor side” and the second space 102 can be defined as the “outdoor side.”

실내열교환기(44)는 응축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를 통과하는 공기는 실내열교환기(44)에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응축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드레인유로(300)를 통해 실외열교환기(42)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The indoor heat exchanger 44 can generate condensat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may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and be condensed. Condensate water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may flow toward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through the drain passage (300).

도 5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5,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5는 케이스(10) 내부 실내측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a portion of the interior side of the case 10.

실내팬(34)에 의해 케이스(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44)를 통과하여, 토출구(12)로 토출될 수 있다.Air sucked into the case 10 by the indoor fan 34 may pass through the evaporator 44 and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케이스(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44)를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응축될 수 있다.The air sucked into the case 10 may be condens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evaporator 44.

증발기(44)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드레인유로(300)를 통해 응축기(42)(도 4참조)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Condensate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44 may flow toward the condenser 42 (see FIG. 4) through the drain passage 300.

드레인유로(300)는 증발기(4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유로(300)는 증발기(44)의 하측에서 응축기(42)(도 4참조)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드레인유로(300)는 실내팬(34)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drain passage 300 may be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44. The drain passage 300 may exte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evaporator 44 toward the condenser 42 (see FIG. 4). The drain passage 300 may be located below the indoor fan 34.

드레인유로(300)는 드레인팬(31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팬(310)은 증발기(4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44)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드레인팬(310)으로 낙하할 수 있다.The drain passage 300 may include a drain pan 310. The drain pan 310 may be placed below the evaporator 44. Condensate generated from the evaporator 44 may fall into the drain pan 310.

드레인팬(310)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드레인팬(310)은 수평방향에 대한 경사각(θ)을 가질 수 있다. 드레인팬(310)으로 낙하한 물은 드레인팬(310)이 경사진 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The drain pan 310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rain pan 310 may have an inclin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Water that falls into the drain pan 310 may flow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drain pan 310 is inclined.

드레인유로(300)는 연결유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로(320)는 드레인팬(310)으로부터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드레인팬(310) 내의 응축수는 연결유로(320)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유로(320)는 드레인팬(310)과 가이드(330)(도 7참조)를 연결할 수 있다.The drain passage 300 may include a connection passage 320. The connection passage 320 may extend curvedly from the drain pan 310. Condensate water in the drain pan 310 may flow into the connection passage 320. The connection passage 320 can connect the drain pan 310 and the guide 330 (see FIG. 7).

도 6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6,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6은 드레인팬(310)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증발기(44)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drain pan 31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gure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evaporator 44 has been removed.

드레인팬(310)은 드레인팬하벽(311)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팬하벽(311)은 증발기(44)와 상하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증발기(44)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드레인팬하벽(311)으로 낙하할 수 있다.The drain pan 310 may include a drain pan lower wall 311. The drain pan lower wall 311 may face the evaporator 44 in the vertical direction.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44 may fall to the drain pan lower wall 311.

드레인팬(310)은 제1 드레인팬측벽(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레인팬측벽(312)은 드레인팬하벽(31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drain pan 310 may include a first drain pan side wall 312. The first drain pan side wall 312 may extend upward from the drain pan lower wall 311.

드레인팬(310) 제2 드레인팬측벽(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드레인팬측벽(313)은 드레인팬하벽(31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드레인팬측벽(312)과 제2 드레인팬측벽(313)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드레인팬측벽(312)과 제2 드레인측벽(313) 사이에는 응축수가 축적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Drain pan 310 may include a second drain pan side wall 313. The second drain pan side wall 313 may extend upward from the drain pan lower wall 311. The first drain pan side wall 312 and the second drain pan side wall 31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pace in which condensed water accumulates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drain pan side wall 312 and the second drain pan side wall 313.

드레인팬(310)은 리브(314)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314)는 드레인팬하벽(31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브(314)는 제1 드레인팬측벽(313)과 제2 드레인팬측벽(31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리브(314)는 드레인팬(310)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Drain pan 310 may include ribs 314. The rib 314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drain pan lower wall 311. The rib 314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drain pan side wall 313 and the second drain pan side wall 314. The ribs 314 may extend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in pan 310 extends.

드레인팬(310)은 드레인팬경계벽(315)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팬경계벽(315)은 드레인팬하벽(31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드레인팬경계벽(315)은 드레인팬측벽(312, 313)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드레인팬경계벽(315)은 리브(314)의 단부와 마주할 수 있다. 드레인팬경계벽(315)은 드레인팬(310)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drain pan 310 may include a drain pan boundary wall 315. The drain pan boundary wall 315 may extend upward from the drain pan lower wall 311. The drain pan boundary wall 315 may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rain pan side walls 312 and 313. Drain pan boundary wall 315 may face the end of rib 314. The drain pan boundary wall 315 may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drain pan 310.

드레인팬(310)은 드레인홀(316)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홀(316)은 드레인팬측벽(313)에 개구될 수 있다. 드레인팬(310)으로 낙하한 응축수는 드레인홀(316)을 통해 연결유로(320)(도 5참조)로 유입될 수 있다.The drain pan 310 may include a drain hole 316. The drain hole 316 may be opened in the drain pan side wall 313. Condensate that falls into the drain pan 310 may flow into the connection passage 320 (see FIG. 5) through the drain hole 316.

드레인팬(310)은 드레인팬경계벽(315)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드레인홀(316)은 드레인팬경계벽(315)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drain pan 310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rain pan boundary wall 315. Drain hole 316 may be located adjacent to drain pan boundary wall 315.

드레인팬(310)은 펜스(317)를 포함할 수 있다. 펜스(317)는 드레인팬측벽(313)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펜스(317)는 드레인홀(316)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펜스(317)는 실내팬(34)과 마주할 수 있다. 펜스(317)는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드레인팬(310)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drain pan 310 may include a fence 317. The fence 317 may extend upward from the drain pan side wall 313. The fence 317 may be located above the drain hole 316. The fence 317 may face the indoor fan 34. The fence 317 may block air blown by the indoor fan 34 from flowing to the drain fan 310.

도 7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7,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7은 케이스(10) 내부 실내측의 일부를 투시한 것이다.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증발기(44)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interior of the case 1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gure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evaporator 44 has been removed.

드레인유로(300)는 연결유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로(320)는 드레인팬(310)과 가이드(330)를 연결할 수 있다.The drain passage 300 may include a connection passage 320. The connection passage 320 can connect the drain pan 310 and the guide 330.

드레인팬(310) 내부의 응축수는 드레인홀(316)(도 6참조)을 통해 연결유로(320)로 유입될 수 있다.Condensate inside the drain pan 310 may flow into the connection passage 320 through the drain hole 316 (see FIG. 6).

연결유로(320)는 제1 연결유로(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유로(321)는 드레인팬(3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유로(321)의 내부는 드레인홀(316)(도 6참조)과 연통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32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ssage 321.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321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an 310. The interior of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321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hole 316 (see FIG. 6).

연결유로(320)는 제2 연결유로(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유로(323)는 가이드(3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유로(323)의 내부는 가이드(330)의 내부공간(332)과 연통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32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assage 323.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323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330.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323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l space 332 of the guide 330.

연결유로(320)는 절곡유로(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유로(322)는 제1 연결유로(321)와 제2 연결유로(323)를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320 may include a bending passage 322. The bending passage 322 may connect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32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323.

연결유로(320)는 연결포트(32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포트(324)는 제2 연결유로(323)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연결포트(324)는 가이드(330)의 내부공간(33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연결유로(320) 내의 응축수는 연결포트(324)를 통해 가이드(3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320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 324. The connection port 324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323. The connection port 324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332 of the guide 330. Condensate in the connection passage 320 may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guide 330 through the connection port 324.

드레인유로(300)는 가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30)는 연결유로(320)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330)는 실외측의 응축기(4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The drain passage 300 may include a guide 330. The guide 3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320. Guide 330 may extend toward the condenser 42 on the outdoor side.

가이드(330)는 내부에 공간(332)을 형성하는 가이드바디(33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바디(331)는 연결유로(32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유로(320)의 연결포트(324)는 가이드바디(331)와 결합될 수 있다.The guide 330 may include a guide body 331 forming a space 332 therein. The guide body 33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320. The connection port 324 of the connection passage 320 may be coupled to the guide body 331.

드레인유로(300)는 커넥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340)는 가이드(33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340)는 가이드(330)와 응축기(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340)는 가이드(330)와 응축기(42)를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340)는 내부에 가이드(330)의 내부공간(332)과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330) 내부의 응축수는 커넥터(340)를 통과하여 응축기(42)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커넥터(340)의 단부는 응축기(42)에 밀착될 수 있고, 응축기(42)와 결합될 수도 있다.The drain passage 300 may include a connector 340. Connector 340 may be connected to guide 330. Connector 340 may be disposed between guide 330 and condenser 42. The connector 340 can connect the guide 330 and the condenser 42. The connector 340 may have a space formed therein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332 of the guide 330. Condensate inside the guide 330 may pass through the connector 340 and be discharged toward the condenser 42. The end of the connector 34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denser 42 and may be coupled with the condenser 42.

도 8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8,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이드(330)를 수직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uide 330 shown in FIG. 7 cut vertically.

연결유로(320)는 가이드바디(331)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유로(320) 내의 응축수는 가이드바디(331)의 내부공간(332)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320 may be combined with the guide body 331. Condensate in the connection passage 320 may flow into the internal space 332 of the guide body 331.

가이드바디(331)는 바디하벽(33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하벽(333)은 연결유로(320)의 하측에 이격될 수 있다. 연결유로(320) 내의 응축수는 바디하벽(333)으로 낙하할 수 있다.The guide body 331 may include a body lower wall 333. The body lower wall 33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passage 320. Condensate in the connection passage 320 may fall to the body lower wall 333.

바디하벽(333)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바디하벽(333)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각(θ)을 가질 수 있다. 바디하벽(333)은 응축기(42)를 향할수록 하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The body lower wall 333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body lower wall 333 may have an inclin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body lower wall 333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ondenser 42.

가이드바디(331)는 바디상벽(33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상벽(334)은 연결유로(320)와 결합될 수 있다. 바디상벽(334)은 바디하벽(333)의 상측에 이격될 수 있다. 바디상벽(334)과 바디하벽(333) 사이에 공간(332)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상벽(334)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guide body 331 may include an upper body wall 334. The body upper wall 334 may be combined with the connection passage 320. The body upper wall 33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dy lower wall 333. A space 332 may be formed between the body upper wall 334 and the body lower wall 333. The body upper wall 334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커넥터(340)는 가이드(330)와 응축기(42)를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340)는 가이드(330)로부터 응축기(4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connector 340 can connect the guide 330 and the condenser 42. The connector 340 may protrude from the guide 330 toward the condenser 42.

커넥터(340)는 로어홀딩벽(341)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홀딩벽(341)은 바디하벽(33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홀딩벽(341)은 바디하벽(333)과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or 340 may include a lower holding wall 341. The lower holding wall 341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lower wall 333. The lower holding wall 341 may be combined with the body lower wall 333.

커넥터(340)는 어퍼홀딩벽(342)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홀딩벽(342)은 바디상벽(33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홀딩벽(342)은 바디상벽(334)과 결합될 수 있다.Connector 340 may include an upper holding wall 342. The upper holding wall 342 may be disposed above the body upper wall 334. The upper holding wall 342 may be combined with the upper body wall 334.

커넥터(340)는 커넥터단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단부(343)는 어퍼홀딩벽(342)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넥터단부(343)는 응축기(42)와 마주할 수 있다. 커넥터단부(343)는 가이드(330) 내부공간(332)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커넥터단부(343)는 로어홀딩벽(341)의 상측에 이격될 수 있다.Connector 340 may include a connector end 343. The connector end 343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holding wall 342. Connector end 343 may face condenser 42. The connector end 343 may shield a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332 of the guide 330. The connector end 34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olding wall 341.

커넥터(340)는 브릿지(344)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344)는 가이드(330)와 응축기(42)를 연결할 수 있다. 브릿지(344)는 커넥터단부(343)로부터 응축기(4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브릿지(344)는 응축기(42)에 밀착될 수 있고, 응축기(4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브릿지(344)는 가이드(330)와 응축기(4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Connector 340 may include bridge 344 . The bridge 344 may connect the guide 330 and the condenser 42. The bridge 344 may protrude from the connector end 343 toward the condenser 42. The bridge 344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denser 42 or may be coupled to the condenser 42. Bridge 344 may be located between guide 330 and condenser 42.

커넥터(340)는 가이드유로(34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유로(345)는 브릿지(344)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330) 내부공간(332)의 응축수는, 가이드유로(345)를 통해 응축기(42)로 유동할 수 있다.The connector 340 may include a guide passage 345. The guide passage 345 may be formed inside the bridge 344. Condensate water in the inner space 332 of the guide 330 may flow into the condenser 42 through the guide passage 345.

가이드(330)와 커넥터(340)는 응축기(42)의 중간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330)와 커넥터(340)를 통해 유동하는 응축수는, 응축기(42)의 중간 높이에 배출될 수 있다.The guide 330 and the connector 34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id-height of the condenser 42. Condensate flowing through the guide 330 and the connector 340 may be discharged at a mid-level height of the condenser 42.

가이드유로(345)를 통해 응축기(42)로 유동한 응축수는, 응축기(42)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응축기(42)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는 응축수의 일부는 응축기(42)의 열에 의해 증발될 수 있다.Condensate flowing into the condenser 42 through the guide passage 345 may flow downward along the condenser 42. Some of the condensate flowing downward along the condenser 42 may be evaporated by the heat of the condenser 42.

도 9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9,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9는 응축기(42), 베이스(45) 및 펌프(46)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압축기(41)(도 3참조) 등의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한 것이다.Figure 9 shows the condenser 42, base 45 and pump 46.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G. 9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ressor 41 (see FIG. 3), etc., omitted.

응축기(42)는 베이스(4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42)는 베이스(45)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330)(도 8참조)와 커넥터(340)(도 8참조)를 통해 응축기(42)로 배출된 응축수는, 응축기(42)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응축기(42)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는 응축수의 일부는 응축기(42)의 열에 의해 증발될 수 있고, 나머지는 베이스(45)로 낙하할 수 있다.The condenser 42 may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45. The condenser 42 may be fixed to the base 45. Condensate discharged to the condenser 42 through the guide 330 (see FIG. 8) and the connector 340 (see FIG. 8) may flow downward along the condenser 42. Some of the condensate flowing downward along the condenser 42 may be evaporated by the heat of the condenser 42, and the remainder may fall to the base 45.

베이스(45)는 제1 베이스공간(4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공간(451)은 베이스(45)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응축기(42)를 따라 베이스(45)로 낙하한 응축수는 제1 베이스공간(451) 내에 축적될 수 있다. 제1 베이스공간(451)은 응축기(4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base 45 may include a first base space 451. The first base space 451 may be formed inside the base 45. Condensed water that falls to the base 45 along the condenser 42 may accumulate in the first base space 451. The first base space 451 may be located below the condenser 42.

베이스(45)는 베이스하벽(45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하벽(453)은 공기조화기(1)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하벽(453)은 응축기(4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공간(451)은 응축기(42)와 베이스하벽(45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45 may include a base lower wall 453. The base lower wall 453 may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1). The base lower wall 453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denser 42. The first base space 451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denser 42 and the base lower wall 453.

베이스(45)는 압축기마운트(411)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마운트(411)는 베이스하벽(453)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베이스공간(451)은 압축기마운트(411)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응축기(42)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한 응축수는, 압축기마운트(411)의 외측에서 제1 베이스공간(451) 내에 축적될 수 있다.Base 45 may include a compressor mount 411. The compressor mount 411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ase lower wall 453. The first base space 451 may be formed outside the compressor mount 411. Condensed water flowing downward along the condenser 42 may accumulate in the first base space 451 on the outside of the compressor mount 411.

베이스(45)는 구획벽(452)을 포함할 수 있다. 구획벽(452)은 베이스하벽(453)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획벽(452)은 제1 베이스공간(451)과 제2 베이스공간(455)을 구획할 수 있다. 구획벽(452)은 제1 베이스공간(451)과 제2 베이스공간(45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45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452. The partition wall 452 may extend upward from the base lower wall 453. The partition wall 452 may partition the first base space 451 and the second base space 455. The partition wall 45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space 451 and the second base space 455.

베이스(45)는 경계벽(456)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벽(456)은 베이스하벽(453)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경계벽(456)은 구획벽(452)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경계벽(456)은 구획벽(452)과 이격될 수 있다.Base 45 may include boundary wall 456 . The boundary wall 456 may extend upward from the base lower wall 453. The boundary wall 456 may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partition wall 452. The boundary wall 456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artition wall 452.

베이스(45)는 블럭(454)을 포함할 수 있다. 블럭(454)은 구획벽(452)과 경계벽(45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Base 45 may include block 454. Block 454 may be placed between partition wall 452 and boundary wall 456.

블럭(454)은 터널(454a)을 포함할 수 있다. 터널(454a)은 상하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터널(454a)은 제1 베이스공간(451)과 제2 베이스공간(455)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베이스공간(451) 내의 응축수는, 터널(454a)을 통과하여 제2 베이스공간(455) 내로 유입될 수 있다.Block 454 may include tunnel 454a. A plurality of tunnels 454a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vertically. The tunnel 454a may connect the first base space 451 and the second base space 455. Condensed water in the first base space 451 may pass through the tunnel 454a and flow into the second base space 455.

공기조화기(1)는 펌프(46)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46)는 베이스(45)에 축적된 응축수를 압출할 수 있다. 펌프(46)는 베이스하벽(453)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펌프(46)는 제2 베이스공간(45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공간(455) 내에 축적된 응축수는, 펌프(46)에 의해 상방으로 압출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pump 46. The pump 46 can extrude the condensed water accumulated in the base 45. The pump 46 may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lower wall 453. The pump 46 may be disposed within the second base space 455. Condensed water accumulated in the second base space 455 may be extruded upward by the pump 46.

공기조화기(1)는 수위센서(47)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센서(47)는 베이스(45)에 축적된 응축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수위센서(47)는 제2 베이스공간(45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위센서(47)는 펌프(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펌프(46) 및 수위센서(4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수위센서(47)의 측정값이 기 설정된 제한값보다 클 때, 펌프(46)가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베이스(45)에 축적된 응축수를 상방으로 압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컨트롤박스(51)(도 3참조)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47). The water level sensor 47 can measure the water level of condensate accumulated in the base 45. The water level sensor 47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base space 455. The water level sensor 47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ump 46. 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ump 46 and the water level sensor 47.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ump 46 to operate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water level sensor 47 is greater than a preset limit value, thereby extruding the condensate accumulated in the base 45 upward. The controller may be placed inside the control box 51 (see FIG. 3).

도 10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리어케이스(14)(도 3참조)를 제거한 상태의 공기조화기(1)의 실외측을 도시한 것이다.FIG. 10 shows the outdoor side of the air conditioner 1 with the rear case 14 (see FIG. 3) removed.

드레인유로(300)(도 7참조)를 따라 응축기(42)로 배출된 응축수는, 응축기(42)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면서 응축기(42)의 열에 의해 1차적으로 증발된다. 응축기(42)에서 1차적으로 증발되지 않은 응축수는 베이스(45)로 낙하한다. 펌프(46)는 베이스(45) 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제한값보다 클 때, 베이스(45) 내의 응축수를 상방으로 압출한다.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to the condenser 42 along the drain passage 300 (see FIG. 7) flows downward along the condenser 42 and is primarily evaporated by the heat of the condenser 42. Condensed water that has not been primarily evaporated from the condenser 42 falls to the base 45. The pump 46 extrudes condensed water in the base 45 upward when the water level in the base 45 is greater than a preset limit value.

펌프(46)는 이송관(50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송관(501)은 펌프(46)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송관(501)은 응축기(42)의 일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pump 46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501. The transfer pipe 501 may extend upward from the pump 46. The transfer pipe 50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condenser 42.

공기조화기(1)는 분배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500)는 이송관(501)과 연결될 수 있다. 분배기(500)는 펌프(46)로부터 압출된 응축수가 유입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distributor 500. The distributor 500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501. The distributor 500 may receive condensate extruded from the pump 46.

분배기(500)는 응축기(4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분배기(500)는 응축기(42)와 탑플레이트(1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관(501)은 응축기(42)와 탑플레이트(134) 사이에서 분배기(500)와 연결될 수 있다.Distributor 500 may be placed above the condenser 42. Distributor 5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ndenser 42 and the top plate 134. The transfer pipe 501 may be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500 between the condenser 42 and the top plate 134.

펌프(46)로부터 압출되어 이송관(501)을 통해 분배기(500)로 유입된 응축수는, 응축기(42)로 배출될 수 있다. 분배기(500)로부터 배출된 응축수는 응축기(42)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면서 응축기(42)의 열에 의해 2차적으로 증발된다. 펌프(46)의 상측에는 어퍼커버(457)가 배치된다. 어퍼커버(457)에는, 이송관(501)이 관통하는 이송관홀(457a)이 형성된다.Condensate that is extruded from the pump 46 and flows into the distributor 500 through the transfer pipe 501 may be discharged to the condenser 42.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tributor 500 flows downward along the condenser 42 and is secondarily evaporated by the heat of the condenser 42. An upper cover 457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ump 46. A transfer pipe hole 457a through which the transfer pipe 501 passes is formed in the upper cover 457.

도 11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11은 분배기(500)와 응축기(42)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1 shows the distributor 500 and condenser 42.

분배기(500)는 응축기(4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분배기(500)는 실외팬(3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Distributor 500 may be placed above the condenser 42. The distributor 500 may be located above the outdoor fan 35.

공기조화기(1)는 실외팬(35)의 상측에 배치되고, 실외팬(35)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실외팬커버(351)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is disposed above the outdoor fan 35 and may include an outdoor fan cover 351 to which the outdoor fan 35 is rotatably coupled.

분배기(500)는 실외팬커버(351)에 결합될 수 있다. 분배기(500)는 결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530)는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되는 체결홀(531)을 구비할 수 있다. 분배기(500)는 체결홀(531)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실외팬커버(351)에 고정될 수 있다.The distributor 500 may be coupled to the outdoor fan cover 351. Dispenser 50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530. The coupling portion 530 may have a fastening hole 531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passes. The distributor 500 may be fixed to the outdoor fan cover 351 by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penetrating the fastening hole 531.

분배기(500)는 이송관(501)과 연결될 수 있다. 응축수는 이송관(501)을 통해 분배기(500) 내로 유입될 수 있다.The distributor 500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501. Condensate may flow into the distributor 500 through the transfer pipe 501.

분배기(500)는 분배기바디(51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바디(510)는 분배기(5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송관(501)은 분배기바디(510)와 연결될 수 있다.Dispenser 500 may include a distributor body 510. The distributor body 510 may form the external shape of the distributor 500. The transfer pipe 501 may be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body 510.

분배기(500)는 분배포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포트(520)는 분배기(5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분배포트(520)는 분배기바디(5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분배포트(520)는 응축기(42)를 향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Dispenser 500 may include a distribution port 520.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tributor 500. The distribution port 52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distributor body 510. Distribution port 520 may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condenser 42.

분배포트(520)는 분배홀(521)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홀(521)은 상하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분배홀(521)은 응축기(42)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Distribution port 520 may include a distribution hole 521. The distribution hole 521 may be open in the vertical direction. Distribution hole 521 may be open toward the condenser 42.

분배기(500) 내로 유입된 응축수는, 분배홀(521)을 통해 응축기(42)로 배출될 수 있다. 분배기(500)로부터 배출된 응축수는, 응축기(42)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면서 응축기(42)의 열에 의해 증발될 수 있다.Condensate flowing into the distributor 500 may be discharged to the condenser 42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521.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tributor 500 may flow downward along the condenser 42 and be evaporated by the heat of the condenser 42.

응축기(42)는 핀-튜브 열교환기일 수 있다. 응축기(42)는 복수의 튜브(4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튜브(421)는 분배기(5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압축기(41)(도 3참조)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튜브(421) 내에 유동할 수 있다.Condenser 42 may be a fin-and-tube heat exchanger. The condenser 42 may include a plurality of tubes 421. The plurality of tubes 421 may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tributor 500.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41 (see FIG. 3) may flow within the tube 421.

응축기(42)는 복수의 리턴밴드(4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리턴밴드(423)는 분배기(5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압축기(41)(도 3참조)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리턴밴드(423) 내에 유동할 수 있다.The condenser 42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turn bands 423. The plurality of return bands 423 may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tributor 500.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41 (see FIG. 3) may flow within the return band 423.

복수의 튜브(421) 사이에는 제1 간극(422)이 형성될 수 있다. 분배기(500)로부터 배출된 응축수는 제1 간극(422) 내에서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A first gap 422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tubes 421. Condensate discharged from the distributor 500 may flow downward within the first gap 422.

복수의 리턴밴드(423) 사이에는 제2 간극(424)이 형성될 수 있다. 분배기(500)로부터 배출된 응축수는 제2 간극(424) 내에서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A second gap 424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return bands 423. Condensate discharged from the distributor 500 may flow downward within the second gap 424.

분배포트(520)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분배포트(520)는 튜브(421)가 이격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분배포트(520)는 리턴밴드(423)가 이격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may be formed.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ubes 421 are spaced apart.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turn band 423 is spaced apart.

분배포트(520)는 복수의 튜브(4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분배포트(520)는 제1 간극(4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Distribution port 520 may be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tubes 421. The distribution port 520 may be form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ap 422.

분배포트(520)는 복수의 리턴밴드(4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분배포트(520)는 제2 간극(42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port 520 may be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return bands 423. The distribution port 520 may be form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ap 424.

분배포트(520)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는, 분배포트(520)의 하측에 위치한 간극(422, 424) 내로 유입될 수 있다. 간극(422, 424) 내로 유입된 응축수는, 응축기(42)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면서, 튜브(421) 및 리턴밴드(423) 내의 냉매와 열교환되어 증발할 수 있다.Condensate discharged through the distribution port 520 may flow into the gaps 422 and 424 located below the distribution port 520. Condensate flowing into the gaps 422 and 424 flows downward along the condenser 42 and exchanges heat with the refrigerant in the tube 421 and the return band 423 to evaporate.

도 12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분배기(500)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2 shows distributor 500.

분배기(500)는 유입포트(51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포트(511)는 이송관(501)(도 11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Distributor 500 may include an inlet port 511. The inlet port 511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501 (see FIG. 11).

분배기(500)는 분배공간(512)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공간(512)은 분배기바디(510)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송관(501) 내의 응축수는 유입포트(511)를 통해 분배공간(512) 내로 유입될 수 있다.Dispenser 500 may include a distribution space 512. Distribution space 512 may be formed inside the distributor body 510. Condensate water in the transfer pipe 501 may flow into the distribution space 512 through the inlet port 511.

분배기(500)는 분배기하벽(519)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하벽(519)은 분배기바디(51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Distributor 500 may include a distributor geometric wall 519 . The distributor geometric wall 519 may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distributor body 510.

분배포트(520)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분배포트(520)는 유입포트(5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may be spaced apar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port 511.

분배포트(520)는 분배공간(512)과 연통된 분배홀(521)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공간(512) 내의 응축수는 분배홀(521)을 통해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port 520 may include a distribution hole 521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tribution space 512. Condensed water in the distribution space 512 may flow downward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521.

분배포트(520)는 어퍼포트(52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포트(522)는 분배공간(51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어퍼포트(522)는 분배기하벽(519)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Distribution port 520 may include an upper port 522. Upper port 522 may be located within distribution space 512. The upper port 522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distribution wall 519.

분배포트(520)는 로어포트(523)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포트(523)는 분배기하벽(519)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로어포트(523)는 어퍼포트(522)와 일체형일 수 있다.Distribution port 520 may include a lower port 523. The lower port 523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distribution wall 519. The lower port 523 may be integrated with the upper port 522.

로어포트(523)는 간극(522, 524)(도 11참조)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분배공간(512) 내의 응축수는 로어포트(523)를 통해 간극(522, 524) 내로 유입될 수 있다.Lower port 523 may be inserted into gaps 522 and 524 (see FIG. 11). Condensate in the distribution space 512 may flow into the gaps 522 and 524 through the lower port 523.

분배기(500)는 돌출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540)는 분배기하벽(519)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540)는 응축기(42)(도 11참조)에 밀착될 수 있고, 응축기(42)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돌출부(540)는 간극(522, 524)(도 11참조) 내로 삽입될 수 있다.Dispenser 500 may include protrusions 540 . The protrusion 540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distribution wall 519 . The protrusion 54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denser 42 (see FIG. 11) or may be fixed to the condenser 42. Protrusion 540 may be inserted into gaps 522 and 524 (see FIG. 11).

도 13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13은 분배기(500)를 상측에서 바라본 형태이다.Figure 13 is a view of the distributor 500 from above.

분배기바디(510)는 제1 바디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513)는 유입포트(511)와 연결될 수 있다.The distributor body 510 may include a first body portion 513. The first body portion 513 may be connected to the inflow port 511.

분배기바디(510)는 제2 바디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515)는 제1 바디부(51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바디부(515)는 유입포트(511)로부터 제1 바디부(513)보다 멀게 위치할 수 있다.The distributor body 510 may include a second body portion 515. The second body portion 515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ortion 513. The second body portion 515 may be located farther from the inlet port 511 than the first body portion 513.

분배기바디(510)는 제3 바디부(5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디부(517)는 제2 바디부(515)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바디부(517)는 유입포트(511)로부터 제2 바디부(515)보다 멀게 위치할 수 있다.The distributor body 510 may include a third body portion 517. The third body portion 517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portion 515. The third body portion 517 may be located farther from the inlet port 511 than the second body portion 515.

분배기바디(510)는 제1 확장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확장부(514)는 제1 바디부(513)와 제2 바디부(515)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확장부(514)는 유입포트(51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Distributor body 510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514. The first extension 514 may connect the first body 513 and the second body 515. The first extension 514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let port 511.

분배기바디(510)는 제2 확장부(5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확장부(516)는 제2 바디부(515)와 제3 바디부(517)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확장부(516)는 유입포트(51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Distributor body 510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516.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516 may connect the second body portion 515 and the third body portion 517. The second extension 516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let port 511.

분배공간(512)의 폭은 분배기(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분배기(500)의 길이방향은, 복수의 분배포트(520)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distribution space 512 may var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tributor 500.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tributor 500 may be defined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are spaced apart.

분배공간(512)의 폭은 유입포트(511)로부터 멀어질수록 확장된 이후, 다시 축소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distribution space 512 may expand as the distance from the inlet port 511 increases, and then may shrink again.

제1 바디부(513)의 폭(W1)은, 제2 바디부(515)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분배공간(512)의 폭은, 제1 바디부(513)로부터 제2 바디부(515)를 향할수록 확장될 수 있다.The width W1 of the first body portion 513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second body portion 515. The width of the distribution space 512 may expand from the first body 513 toward the second body 515 .

제2 바디부(515)의 폭(W2)은, 제3 바디부(517)의 폭(W3)보다 클 수 있다. 분배공간(512)의 폭은, 제2 바디부(515)로부터 제3 바디부(517)를 향할수록 축소될 수 있다.The width W2 of the second body portion 515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W3 of the third body portion 517. The width of the distribution space 512 may decrease as it moves from the second body 515 to the third body 517 .

분배포트(520)는 복수개가 이격배치될 수 있다. 분배포트(520)는 유입포트(5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분배포트(520)는 제1~5분배포트(520a, 520b, 520c, 520d, 520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분배포트(520)의 개수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와 같은 서수의 표현은, 복수의 분배포트(520)의 구별을 위한 것일 뿐, 분배포트(520)의 순서 또는 중요도와는 무관하다.A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may be spaced apart. The distribution ports 5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port 511.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may include first to fifth distribution ports 520a, 520b, 520c, 520d, and 520e. However, the number of distribution ports 5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In addition, ordinal expression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and have nothing to do with the order or importance of the distribution ports 520.

복수의 분배포트(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바디부(513)에 위치할 수 있다. 분배포트(520)는 제1 분배포트(5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배포트(520a)는 제1 바디부(513)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분배포트(520a)는 유입포트(511)와 마주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body portion 513. The distribution port 520 may include a first distribution port 520a. The first distribution port 520a may be located in the first body portion 513. The first distribution port 520a may face the inflow port 511.

복수의 분배포트(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확장부(514)에 위치할 수 있다. 분배포트(520)는 제2 분배포트(5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배포트(520b)는 제1 확장부(514)에 위치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expansion portion 514. Distribution port 520 may include a second distribution port 520b. The second distribution port 520b may be located in the first expansion portion 514.

복수의 분배포트(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2 바디부(515)에 위치할 수 있다. 분배포트(520)는 제3 분배포트(520c) 및 제4 분배포트(52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분배포트(520c) 및 제4 분배포트(520d)는 제2 바디부(515)에 위치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body portion 515. The distribution port 520 may include a third distribution port 520c and a fourth distribution port 520d. The third distribution port 520c and the fourth distribution port 520d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body portion 515.

복수의 분배포트(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2 확장부(516)에 위치할 수 있다. 분배포트(520)는 제5 분배포트(520e)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분배포트(520e)는 제2 확장부(516)에 위치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expansion portion 516. The distribution port 520 may include a fifth distribution port 520e. The fifth distribution port 520e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expansion portion 516.

도 14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4,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14는 분배기(500)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14 shows a portion of dispenser 500.

유입포트(511)는 유입구(511a)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관(501) 내의 응축수는, 유입구(511a)를 통해 분배공간(512) 내로 유입될 수 있다.The inlet port 511 may include an inlet 511a. Condensed water in the transfer pipe 501 may flow into the distribution space 512 through the inlet 511a.

분배기(500)는 분배기측벽(518)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측벽(518)은 복수의 분배포트(520)와 연결될 수 있다.Dispenser 500 may include a distributor sidewall 518 . The distributor side wall 518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제1 분배포트(520a)는 "상류포트"로 이름될 수 있다. 제1 분배포트(520a)는 복수의 분배포트(520) 중 유입포트(511)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한 분배포트(520a)로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distribution port 520a may be named “upstream port.” The first distribution port 520a may be defined as the distribution port 520a located closest to the inlet port 511 among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제2~5분배포트(520b, 520c, 520d, 520e)는 "하류포트"로 이름될 수 있다. 제2~5분배포트(520b, 520c, 520d, 520e)는 복수의 분배포트(520) 중 유입포트(511)로부터 제1 분배포트(520a)보다 멀게 위치한 분배포트(520)들로 정의될 수 있다. 제2~5분배포트(520b, 520c, 520d, 520e)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to fifth distribution ports 520b, 520c, 520d, and 520e may be named “downstream ports.” The second to fifth distribution ports (520b, 520c, 520d, 520e) can be defined as distribution ports 520 located farther from the inflow port 511 than the first distribution port 520a among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there is. The second to fifth distribution ports 520b, 520c, 520d, and 520e may have the same shape.

하류포트(520b)는 분배홀(521)을 가질 수 있다. 분배공간(512) 내의 응축수는 분배홀(521)을 통해 응축기(42)로 배출될 수 있다.The downstream port 520b may have a distribution hole 521. Condensed water in the distribution space 512 may be discharged to the condenser 42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521.

하류포트(520b)는 어퍼포트(52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포트(522)는 분배공간(51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분배홀(521)은 어퍼포트(52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포트(522)는 실린더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포트(522)의 일단부는 분배기측벽(518)과 이격될 수 있다.The downstream port 520b may include an upper port 522. The upper port 522 may protrude toward the distribution space 512. The distribution hole 521 may be formed inside the upper port 522. The upper port 522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One end of the upper port 5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istributor side wall 518.

하류포트(520b)는 포트유입구(524)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유입구(524)는 분배기측벽(518)과 어퍼포트(5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downstream port 520b may include a port inlet 524. The port inlet 524 may be formed between the distributor side wall 518 and the upper port 522.

포트유입구(524)는 어퍼포트(522)의 외둘레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포트유입구(524)는 유입구(511a)와 마주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포트(522)의 외둘레벽의 일부는, 유입구(511a)와 포트유입구(52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유입구(511a)를 통해 분배공간(512)으로 유입된 응축수가 곧바로 분배홀(52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복수의 분배포트(520)에 응축수를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The port inlet 524 may b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upper port 522. The port inlet 524 may be formed at a location that does not face the inlet 511a.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upper port 522 may be located between the inlet 511a and the port inlet 524. Accordingly, condensed water flowing into the distribution space 512 through the inlet 511a is prevented from flowing directly into the distribution hole 521, and the condensed water can be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상술한 하류포트(520b)에 대한 설명은, 다른 하류포트들(520c, 520d, 520e)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downstream port 520b described above can be equally applied to other downstream ports 520c, 520d, and 520e.

상류포트(520a)는 분배홀(521)을 가질 수 있다. 분배공간(512) 내의 응축수는 분배홀(521)을 통해 응축기(42)로 배출될 수 있다.The upstream port 520a may have a distribution hole 521. Condensed water in the distribution space 512 may be discharged to the condenser 42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521.

상류포트(520a)는 어퍼포트(52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포트(522)는 분배공간(51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분배홀(521)은 어퍼포트(52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포트(522)는 실린더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포트(522)의 일단부는 분배기측벽(518)과 이격될 수 있다.The upstream port 520a may include an upper port 522. The upper port 522 may protrude toward the distribution space 512. The distribution hole 521 may be formed inside the upper port 522. The upper port 522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One end of the upper port 5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istributor side wall 518.

상류포트(520a)는 포트유입구(524)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유입구(524)는 분배기측벽(518)과 어퍼포트(5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류포트(520a)의 포트유입구(524)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하류포트(520b)의 포트유입구(524)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upstream port 520a may include a port inlet 524. The port inlet 524 may be formed between the distributor side wall 518 and the upper port 522. The description of the port inlet 524 of the upstream port 520a can be applied in the same way as the description of the port inlet 524 of the downstream port 520b described above.

상류포트(520a)의 어퍼포트(522)는 제1 둘레벽(5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둘레벽(522a)은 아치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upper port 522 of the upstream port 520a may include a first peripheral wall 522a. The first peripheral wall 522a may have an arch shape.

상류포트(520a)의 어퍼포트(522)는 제2 둘레벽(52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둘레벽(522c)은 아치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둘레벽(522c)은 제1 둘레벽(522a)과 일체형일 수 있다. 제2 둘레벽(522c)의 높이는 제1 둘레벽(522a)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The upper port 522 of the upstream port 520a may include a second peripheral wall 522c. The second peripheral wall 522c may have an arch shape. The second peripheral wall 522c may be integrated with the first peripheral wall 522a. The height of the second peripheral wall 522c may be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peripheral wall 522a.

상류포트(520a)의 어퍼포트(522)는 단차부(522b)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522b)는 제1 둘레벽(522a)과 제2 둘레벽(522c)을 연결할 수 있다. 단차부(522b)는 제1 둘레벽(522a)과 제2 둘레벽(522c)의 높이차(D)만큼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The upper port 522 of the upstream port 520a may include a step portion 522b. The step portion 522b may connect the first peripheral wall 522a and the second peripheral wall 522c. The step portion 522b may have a height equal to the height difference D between the first peripheral wall 522a and the second peripheral wall 522c.

상류포트(520a)는 제1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하류포트(520b)는 제2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상류포트(520a)의 높이(H1)는 하류포트(520b)의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상류포트(520a)의 제1 높이(H1)는 제1 둘레벽(522a)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The upstream port 520a may have a first height H1. The downstream port 520b may have a second height H2. The height H1 of the upstream port 520a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H2 of the downstream port 520b. The first height H1 of the upstream port 520a may mean the height of the first peripheral wall 522a.

제1 둘레벽(522a)은 유입구(511a)와 마주할 수 있다. 유입구(511a)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는, 제1 둘레벽(522a)을 따라 제2 바디부(515)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The first peripheral wall 522a may face the inlet 511a. Condensed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511a may flow toward the second body portion 515 along the first peripheral wall 522a.

상류포트(520a)의 포트유입구(524)는 제2 둘레벽(522c)과 분배기측벽(518)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port inlet 524 of the upstream port 520a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peripheral wall 522c and the distributor side wall 518.

유입구(511a)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류포트(520a)의 높이를 하류포트(520b)보다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유입구(511a)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가 상류포트(520a)에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By making the height of the upstream port (520a) located closest to the inlet (511a) larger than the downstream port (520b), the phenomenon of condensate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511a) being concentrated in the upstream port (520a) can be prevented. You can.

도 15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5,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15는 분배기(500)를 수직방향으로 절개한 단면투시도이다.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distributor 500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유입구(511a)를 통해 분배공간(512) 내로 유입된 응축수는, 상류포트(520a)의 둘레를 따라 분배공간(512) 내로 확산될 수 있다.Condensed water flowing into the distribution space 512 through the inlet 511a may spread into the distribution space 512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stream port 520a.

제1 둘레벽(522a)의 높이(H1)는 제2 둘레벽(522c)의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제1 둘레벽(522a)과 제2 둘레벽(522c)은 높이차(D)를 가질 수 있다. The height H1 of the first peripheral wall 522a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H2 of the second peripheral wall 522c. The first peripheral wall 522a and the second peripheral wall 522c may have a height difference D.

제2 둘레벽(522c)의 높이(H2)는 하류포트들(520b, 520c, 520d, 520e)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The height H2 of the second peripheral wall 522c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downstream ports 520b, 520c, 520d, and 520e.

로어포트(523)는 분배기바디(51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응축기(42)와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port 523 protrudes downward from the distributor body 5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denser 42.

분배공간(512) 내의 응축수는, 포트유입구(524)를 통해 분배포트(52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분배포트(520) 내로 유입된 응축수는, 분배홀(521)(도 14참조)을 통해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분배홀(521)을 통해 하측으로 유동하는 응축수는, 로어포트(523)를 통해 응축기(42)로 배출될 수 있다.Condensed water in the distribution space 512 may flow into the distribution port 520 through the port inlet 524. Condensate flowing into the distribution port 520 may flow downward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521 (see FIG. 14). Condensate flowing downward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521 may be discharged to the condenser 42 through the lower port 523.

도 16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6,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16은 분배기(500)를 수직방향으로 절개한 단면투시도이다.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distributor 500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어퍼포트(522)는 분배기하벽(519)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로어포트(523)는 분배기하벽(519)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upper port 522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distribution wall 519. The lower port 523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distribution wall 519.

분배공간(512) 내의 응축수는, 분배기측벽(519)과 어퍼포트(522) 사이에 형성된 포트유입구(524)를 통해 분배홀(521)로 유입될 수 있다. 분배홀(521)로 유입된 응축수는, 로어포트(523)를 향해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로어포트(523)로 유입된 응축수는, 포트토출구(525)를 통해 응축기(42)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Condensed water in the distribution space 512 may flow into the distribution hole 521 through the port inlet 524 formed between the distributor side wall 519 and the upper port 522. Condensate flowing into the distribution hole 521 may flow downward toward the lower port 523. Condensate flowing into the lower port 523 may be discharged toward the condenser 42 through the port outlet 525.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6.

<스태빌라이져><Stabilizer>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10)는, 제1측벽(10a)에 흡입구(11)와 토출구(12)가 형성되고, 제2측벽(10b)에 실외흡입구(16)와 실외토출구(17)가 형성된다. 공기조화기는, 실외토출구(17)와 실외흡입구(16) 사이에 배치되고, 실외토출구(17)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스태빌라이져(62b)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case 10 has an inlet 11 and an outlet 12 formed on the first side wall 10a, and an outdoor inlet 16 and an outdoor outlet 17 on the second side wall 10b. is formed.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between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and the outdoor intake port 16 and includes a stabilizer 62b that guides air flowing to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도 4를 참조하면, 스태빌라이져(62b)는, 실외토출구(17)와 실외흡입구(16)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스(10) 내측면에서 실외팬(35)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송관(501)은, 스태빌라이져(62b)를 기준으로 실외토출구(17)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스태빌라이져(62b)는, 실외토출구(17)를 기준으로 실외팬(35)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벽(62b1)을 포함한다. 이송관(501)은, 적어도 일부가 스태빌라이져(62b) 내부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stabilizer 62b is disposed between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and the outdoor intake port 16, and extend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0 toward the outdoor fan 35. The transfer pipe 501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with respect to the stabilizer 62b. The stabilizer 62b includes a guide wall 62b1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door fan 35 is disposed based on the outdoor outlet 17. At least part of the transfer pipe 501 is disposed inside the stabilizer 62b.

도 4를 참조하면, 이송관(501)은 가이드벽(62b1)과 응축기(42) 사이에 배치된다. 이송관(501)은, 가이드벽(62b1)을 기준으로 응축기(42)가 배치되는 방향에 배치된다. 스태빌라이져(62b)는, 가이드벽(62b1)의 일측 단부에서 응축기(42)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단부벽(62b2)과, 가이드벽(62b1)의 타측 단부에서 응축기(42)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단부벽(62b3)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transfer pipe 501 is disposed between the guide wall 62b1 and the condenser 42. The transfer pipe 501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denser 42 is disposed based on the guide wall 62b1. The stabilizer 62b includes a first end wall 62b2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guide wall 62b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denser 42 is disposed, and a condenser 42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wall 62b1. It includes a second end wall 62b3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disposed.

도 4를 참조하면, 이송관(501)은 제1단부벽(62b2)과 제2단부벽(62b3) 사이에 배치된다. 스태빌라이져(62b)는, 제1단부벽(62b2)과 제2단부벽(62b3) 사이에 배치되고, 가이드벽(62b1)으로부터 응축기(42)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들벽(62b4)을 포함한다. 제1단부벽(62b2)은, 제2단부벽(62b3)보다 실외토출구(17)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송관(501)은 미들벽(62b4)과 제1단부벽(62b2) 사이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transfer pipe 50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nd wall 62b2 and the second end wall 62b3. The stabilizer 62b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nd wall 62b2 and the second end wall 62b3, and includes a middle wall 62b4 extending from the guide wall 62b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denser 42 is disposed. Includes. The first end wall 62b2 is arranged to be spaced further away from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than the second end wall 62b3. The transfer pipe 501 is disposed between the middle wall 62b4 and the first end wall 62b2.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응축기(42)의 상측에 배치되고, 펌프(46)로부터 공급되는 응축수를 응축기(42)로 배출하는 분배기(500)를 더 포함한다. 이송관(501)은 펌프(46)와 분배기(500)를 연결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above the condenser 42 and further includes a distributor 500 that discharges condensed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46 to the condenser 42. The transfer pipe 501 connects the pump 46 and the distributor 500.

도 4를 참조하면, 격벽(36)과 스태빌라이져(62b)는 실외팬(35)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실외토출구(17)로 안내하는 토출유로(17a)를 형성한다. 스태빌라이져(62b)는, 실외팬(35)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실외토출구(17)에 인접한 영역으로 갈수록 격벽(36)과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partition wall 36 and the stabilizer 62b form a discharge passage 17a that guides air flowing from the outdoor fan 35 to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The stabilizer 62b is arrang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partition wall 36 increases from the area adjacent to the outdoor fan 35 to the area adjacent to the outdoor outlet 17.

도 10을 참조하면, 펌프(46)는, 토출유로(17a)의 하측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pump 46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assage 17a.

도 4를 참조하면, 제1측벽(10a)과 제2측벽(10b)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태빌라이져(62b)는, 실외토출구(17)와 실외흡입구(16) 사이에서 제2측벽(10b)의 내측면으로부터 케이스(10)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side wall 10a and the second side wall 10b ar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The stabilizer 62b is arranged to exten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wall 10b to the inside of the case 10 between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and the outdoor intake port 16.

도 9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증발기(44)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응축기(42)로 보내는 드레인유로(300)와, 응축기(42)의 하측에 배치되고 드레인유로(300)를 통해 배출된 응축수를 펌프(46)로 보내는 베이스(45)를 포함한다. 베이스(45)는, 응축기(42)의 하측에 위치한 제1 베이스공간(451)과, 펌프(46)가 배치되는 제2 베이스공간(455)으로 구획하는 구획벽(452)이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9, the air conditioner has a drain passage 300 that sends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44 to the condenser 42, and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denser 42 and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assage 300. It includes a base (45) that sends condensate to the pump (46). The base 45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452 that divides it into a first base space 451 located below the condenser 42 and a second base space 455 where the pump 46 is disposed.

<컨덴서 측 홀과 C/BOX 위치관계><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condenser side hole and C/BOX>

컨트롤박스(51)는, 실내팬 및 실외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가 배치된다. The control box 51 is equipped with a controlle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oor fan and the outdoor fan.

도 3,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330)는, 컨트롤박스(51)로부터 멀어지도록 응축기(42)를 향해 연장된다. 3 and 4, the guide 330 extends toward the condenser 42 and away from the control box 51.

도 5를 참조하면, 드레인팬(310)은, 컨트롤박스(51)와 증발기(44) 사이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drain pan 310 is disposed between the control box 51 and the evaporator 44.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박스(51)는, 실내팬(34)의 중심(34a)을 기준으로 좌우방향 일측에 배치된다. 가이드(330)는, 실내팬(34)의 중심(34a)을 기준으로 좌우방향 중 컨트롤박스(51)가 배치되는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 box 51 is disposed on one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center 34a of the indoor fan 34. The guide 330 is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lative to the center 34a of the indoor fan 34, opposite to where the control box 51 is disposed.

도 4를 참조하면, 흡입구(11)와 실외흡입구(16)는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흡입구(11)와 실외흡입구(16)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토출구(12)와 실외토출구(17)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흡입구(11)의 일측에 증발기(44)가 배치되고, 실외흡입구(16)의 일측에 응축기(42)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intake port 11 and the outdoor intake port 16 are arrang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The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inlet 11 and the outdoor inlet 16 is arranged to intersect the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outlet 12 and the outdoor outlet 17. An evaporator 44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let 11, and a condenser 4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door inlet 16.

도 4를 참조하면, 증발기(44)는, 흡입구(11)가 형성되는 영역에서 케이스(10) 내측에 배치된다. 응축기(42)는 실외흡입구(16)가 형성되는 영역에서 케이스(10) 내측에 배치된다. 도 3, 도 5를 참조하면, 컨트롤박스(51)는, 증발기(44)의 하측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4 , the evaporator 44 is disposed inside the case 10 in the area where the suction port 11 is formed. The condenser 42 is disposed inside the case 10 in the area where the outdoor intake port 16 is formed. Referring to FIGS. 3 and 5, the control box 51 is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44.

압축기(41)는, 케이스(10) 내측에 배치되고, 응축기(42)로 압축된 냉매를 토출한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33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압축기(41)와 실내팬(34) 사이로 배치된다. The compressor 41 is disposed inside the case 10 and discharg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to the condenser 42.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guide 330 is disposed between the compressor 41 and the indoor fan 34, which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베이스(45)는, 응축기(42)의 하측에 배치된다. 펌프(46)는, 베이스(45)로 낙하되는 응축수를 응축기(42) 상측으로 압출한다. The base 45 is disposed below the condenser 42. The pump 46 extrudes condensed water falling to the base 45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ondenser 42.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45)는, 가이드(330)를 통해 응축기(42)로 배출된 응축수를 펌프(46)로 보낸다. 베이스(45)는, 응축기(42)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하벽(453)과, 베이스하벽(453)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경계벽(456)을 포함한다. 경계벽(456)의 전방에 컨트롤박스(51)가 배치된다. 경계벽(456)의 후방으로 펌프(46)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9, the base 45 sends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to the condenser 42 through the guide 330 to the pump 46. The base 45 includes a base lower wall 453 disposed below the condenser 42 and a boundary wall 456 extending upward from the base lower wall 453. A control box 51 is placed in front of the boundary wall 456. A pump 46 is disposed behind the boundary wall 456.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45)는, 베이스하벽(453)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응축기(42)로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41)가 안착되는 압축기마운트(411)를 포함한다. 압축기마운트(411)는, 응축기(42)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펌프(46)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9, the base 45 protrudes upward from the base lower wall 453 and includes a compressor mount 411 on which the compressor 41 that supplies refrigerant to the condenser 42 is mounted. The compressor mount 411 is arranged to guid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condenser 4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mp 46 is disposed.

도 4를 참조하면, 격벽(36)은, 케이스(10) 내부를, 흡입구(11)에서 토출구(12)로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간(101)과 실외흡입구(16)에서 실외토출구(17)로 공기가 유동하는 제2공간(102)으로 구획한다. 가이드(330)는, 제1공간(101)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상기 제2공간으로 보낸다. 증발기(44)는, 제1공간(101)에 배치되고, 컨트롤박스(51)는, 증발기(44)의 하측에 배치된다. 실외팬(35)은, 제2공간(102)에 배치된다. 펌프(46)는, 실외팬(35)의 하측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partition wall 36 forms a first space 101 through which air flows inside the case 10 from the intake port 11 to the discharge port 12, and from the outdoor intake port 16 to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 and is divided into a second space 102 through which air flows. The guide 330 sends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first space 101 to the second space. The evaporator 44 is placed in the first space 101, and the control box 51 is placed below the evaporator 44. The outdoor fan 35 is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102. The pump 46 is disposed below the outdoor fan 35.

<이중증발구조><Dual evaporation structure>

도 10을 참조하면, 분배기(500)는, 펌프(46)로부터 공급받은 응축수를 응축기(42)로 배출한다. 분배기(500)는, 응축기(42)의 상측에 배치되어, 응축기(42)로 물을 배출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distributor 500 discharges the condensed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46 to the condenser 42. The distributor 500 is disposed above the condenser 42 and discharges water into the condenser 42.

도 8, 도 10을 참조하면, 분배기(500)는, 드레인유로(300)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드레인유로(300)는, 응축기(42)의 하단(42a)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드레인유로(300)는, 응축기(42)의 일측면(42c)으로 응축수를 배출한다.Referring to FIGS. 8 and 10 , the distributor 500 is disposed above the drain passage 300. The drain passage 30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lower end 42a of the condenser 42. The drain passage 300 discharges condensed water to one side 42c of the condenser 42.

도 8, 도 10을 참조하면, 분배기(500)는 응축기(42)의 상측면(42d)으로 응축수를 배출한다. 분배기(500)는, 분배공간을 형성하는 분배기바디(510)를 포함한다. 분배기바디(510)의 하벽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분배홀(521)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S. 8 and 10, the distributor 500 discharges condensed water to the upper side 42d of the condenser 42. The distributor 500 includes a distributor body 510 that forms a distribution space. A distribution hole 521 open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lower wall of the distributor body 510.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드레인유로(300)는, 증발기(44)의 하측에 배치되는 드레인팬(310)과, 드레인팬(310)과 연결되고 응축기(42)로 응축수를 배출하는 가이드(3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drain passage 300 includes a drain pan 310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44 and a guide connected to the drain pan 310 and discharging condensate to the condenser 42. Includes (330).

도 8,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330)는, 펌프(46)보다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분배기(500)보다 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송관(501)은, 펌프(46)로부터 압출되는 응축수가 응축기(42)로 배출하도록 응축기(42) 상측으로 보낸다. 이송관(501)의 유입단(501a)은 드레인유로(300)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이송관(501)의 배출단(501b)은 드레인유로(300)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S. 8 and 10 , the guide 330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bove the pump 46 and to be spaced below the distributor 500 . The transfer pipe 501 sends the condensed water extruded from the pump 46 to the upper side of the condenser 42 so that it is discharged into the condenser 42. The inlet end 501a of the transfer pipe 501 is disposed below the drain passage 300, and the discharge end 501b of the transfer pipe 501 is disposed above the drain passage 300.

<분배기><Distributor>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분배기(500)는, 분배공간(512)을 형성하도록 분배기하벽(519)과, 분배기둘레벽(5191)을 포함하는 분배기바디(510)와, 분배기둘레벽(5191)의 일측에 배치되고, 펌프(46)에 의해 압축되는 응축수를 분배공간(512)으로 보내는 유입포트(511)를 포함한다. 분배기하벽(519)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분배홀(521)이 형성된다. 10 to 12, the distributor 500 includes a distributor body 510 including a distributor geometric wall 519 and a distributor peripheral wall 5191 to form a distribution space 512, and a distributor peripheral wall ( 5191) and includes an inlet port 511 that sends condensed water compressed by the pump 46 to the distribution space 512. A distribution hole 521 opening downward is formed in the distribution wall 519.

도 13을 참조하면, 분배기하벽(519)에는, 분배홀(521) 둘레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어퍼포트(522)가 배치된다. 어퍼포트(522)의 일측에는, 어퍼포트(522)의 외둘레벽 일부가 절개되는 포트유입구(524)가 형성된다. 유입포트(511)가 배치되는 분배기둘레벽(5191)에는 유입구(511a)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3, an upper port 522 protruding upward around the distribution hole 521 is disposed on the distribution wall 519.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 522, a port inlet 524 is formed in which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upper port 522 is cut. An inlet port 511a is formed in the distributor peripheral wall 5191 where the inlet port 511 is disposed.

도 13을 참조하면, 포트유입구(524)는 유입구(511a)와 마주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어퍼포트(522)의 외둘레벽의 일부는, 유입구(511a)와 포트유입구(524) 사이에 위치한다. Referring to FIG. 13, the port inlet 524 is formed at a location that does not face the inlet 511a.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upper port 522 is located between the inlet 511a and the port inlet 524.

도 14를 참조하면, 어퍼포트(522)는, 제1둘레벽(522a)과, 제1둘레벽(522a)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둘레벽(522c)을 포함한다. 어퍼포트(522)는 제1둘레벽(522a)과 상기 제2둘레벽(522c) 사이에 포트유입구(524)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4, the upperport 522 includes a first peripheral wall 522a and a second peripheral wall 522c formed at a height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peripheral wall 522a. The upper port 522 has a port inlet 524 formed between the first peripheral wall 522a and the second peripheral wall 522c.

도 15를 참조하면, 제1둘레벽(522a)의 상단은 유입포트(511)에 형성되는 유입구(511a)의 하단보다 높게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5 , the upper end of the first peripheral wall 522a is form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inlet 511a formed in the inlet port 511.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분배기(500)는, 분배홀(521) 둘레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로어포트(523)를 포함한다. 응축기(42)는, 냉매가 유동하는 복수의 튜브(421)와, 복수의 튜브(421) 각각을 연결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리턴밴드(423)를 포함한다. 복수의 로어포트(523)는 복수의 리턴밴드(423)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의 리턴밴드(423) 사이에는 간극(422)이 형성되고, 로어포트(523)는 간극(422) 내로 삽입되게 배치된다. 11 to 12, the distributor 500 includes a lower port 523 that protrudes downward around the distribution hole 521. The condenser 42 includes a plurality of tubes 421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and a plurality of return bands 423 protruding upward to connect each of the plurality of tubes 421. A plurality of lower ports 523 are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return bands 423. A gap 422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return bands 423, and the lower port 523 is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gap 422.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분배기(500)는, 분배공간(512)을 형성하도록 분배기하벽(519)과, 분배기둘레벽(5191)을 포함하는 분배기바디(510)와, 분배기둘레벽(5191)의 일측에 배치되고, 펌프(46)에 의해 압축되는 응축수를 분배공간(512)으로 보내는 유입포트(511)와, 유입포트(5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분배기바디(510)로 유입된 응축수를 응축기(42)로 보내는 복수의 분배포트(520)를 포함한다. 12 to 13, the distributor 500 includes a distributor body 510 including a distributor geometric wall 519 and a distributor peripheral wall 5191 to form a distribution space 512, and a distributor peripheral wall ( 5191), an inlet port 511 that sends condensate compressed by the pump 46 to the distribution space 512, and an inlet port 511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let port 511, and a distributor body. It includes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that send the condensate flowing into (510) to the condenser (42).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복수의 분배포트(520) 각각이 형성되는 상기 분배기하벽(519)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분배홀(521)이 형성된다. 분배포트(520) 각각은, 분배홀(521) 둘레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어퍼포트(522)와, 분배홀(521) 둘레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로어포트(52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2 and 13, a distribution hole 521 opening downward is formed in the distribution geometric wall 519 w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520 is formed. Each of the distribution ports 520 includes an upper port 522 that protrudes upward around the distribution hole 521 and a lower port 523 that protrudes downward around the distribution hole 521.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can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patent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ts scop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Any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In 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each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or combined.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this means that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a particular embodiment and/or drawing may be combined with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and/or drawings. In other words, even if the combination between components is not directly explained, it means that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cases where it is explained that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ny respect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공기조화기 10: 케이스
20: 베인 42: 응축기
44: 증발기 300: 드레인유로
310: 드레인팬 320: 연결유로
330: 가이드 340: 커넥터
500: 분배기 501: 이송관
510: 분배기바디 520: 분배포트
1: Air conditioner 10: Case
20: vane 42: condenser
44: Evaporator 300: Drain flow path
310: Drain pan 320: Connection passage
330: Guide 340: Connector
500: Distributor 501: Transfer pipe
510: Distributor body 520: Distribution port

Claims (15)

제1벽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벽에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벽에 실외흡입구와 실외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증발기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실외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로부터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실외토출구로 보내는 실외팬;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는 드레인유로;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 하측으로 배출된 응축수를 압출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받은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로 배출하는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실외팬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실외토출구로 안내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는, 상기 토출유로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응축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유로를 통해 배출된 응축수를 상기 펌프로 보내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제1베이스공간과 상기 펌프가 배치되는 제2베이스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벽의 일측에는 상기 제1베이스공간 내의 응축수가 상기 제2베이스공간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제1베이스공간과 상기 제2베이스공간을 연결하는 터널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a case in which an inlet and an outlet are formed in a first wall, and an outdoor inlet and an outdoor outlet are formed in a second wall disposed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wall;
an evaporato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heat-exchang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a condenser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evaporator inside the case and heat-exchang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intake port;
an outdoor fan sending heat-exchanged air from the condenser to the outdoor outlet;
A drain passage that discharges condensate generated in the evaporator to the condenser;
a pump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extruding condensate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ndenser; and
It includes a distributor that discharges condensate supplied from the pump to the condenser,
Inside the case, a discharge passage is formed to guide air flowing from the outdoor fan to the outdoor discharge port,
The pump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assage,
The case is disposed below the condenser and includes a base that sends condensat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assage to the pump,
The base includes a partition wall dividing a first base space where the condenser is placed and a second base space where the pump is placed,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tunnel connecting the first base space and the second base spa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so that condensed water in the first base space flows into the second base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응축기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기로 물을 배출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ributor is disposed above the condenser and discharges water into the conden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드레인유로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ributor is an air conditioner disposed above the drain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유로는, 상기 응축기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 passage is an air conditioner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conden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유로는, 상기 응축기의 일측면으로 응축수를 배출하고,
상기 분배기는 상기 응축기의 상측면으로 응축수를 배출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 passage discharges condensed water to one side of the condenser,
The distributor is an air conditioner that discharges condensed water to the upper side of the conden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분배공간을 형성하는 분배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바디의 하벽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분배홀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ributor includes a distributor body forming a distribution space, and a distribution hole opening downward is formed in a lower wall of the distributo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유로는,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드레인팬과 상기 드레인팬과 연결되고 상기 응축기로 응축수를 배출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 passage is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drain pan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and a guide connected to the drain pan and discharging condensed water to the condens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펌프보다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분배기보다 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7,
The guide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above the pump and to be spaced below the distribu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구획벽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계벽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벽은 상기 구획벽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includes a boundary wall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partition wall,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boundary wall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artition wal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벽은 상기 펌프의 전방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use 9,
The boundary wall is an air conditioner disposed in front of the pump.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커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0,
An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n upper cov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ump.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커버에는, 상기 펌프와 상기 분배기를 연결하는 이송관이 관통하는 이송관홀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4,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transfer pipe hole through which a transfer pipe connecting the pump and the distributor passes is formed in the upper cover.
KR1020230105798A 2023-08-11 Air conditioner KR1026661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5798A KR102666140B1 (en) 2023-08-11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727A KR20230158959A (en) 2022-05-13 2022-05-13 Air conditioner
KR1020230105798A KR102666140B1 (en) 2023-08-11 Air conditio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727A Division KR20230158959A (en) 2022-05-13 2022-05-13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329A KR20230159329A (en) 2023-11-21
KR102666140B1 true KR102666140B1 (en) 2024-05-21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708B1 (en) * 2019-10-25 2021-11-16 주식회사 파세코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708B1 (en) * 2019-10-25 2021-11-16 주식회사 파세코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1209A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1602013A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N113310111A (en)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KR102666140B1 (en) Air conditioner
KR102666141B1 (en) Air conditioner
KR102671175B1 (en) Air conditioner
RU2008135085A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S
KR20230159330A (en) Air conditioner
KR20050012223A (en)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11448423B (en) Air conditioner
CN111433520B (en) Heat exchange unit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heat exchange unit
KR102137462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4114953B (en) The indoor set of aircondition
KR20060124391A (en)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666137B1 (en) Air conditioner
CN110017647B (en) Air supply system and refrigerator with same
US20070251255A1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CN217844119U (en)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100234971B1 (en) Drain and support device of airconditioner
KR20230159331A (en) Air conditioner
KR102522722B1 (en) Movable air conditioner
CN101270943B (en) Heat interchang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heat interchanger
KR20230158961A (en) Air conditioner
KR20030043465A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191341Y1 (en) Heat exchanger of air conditio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