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137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137B1
KR102666137B1 KR1020230105800A KR20230105800A KR102666137B1 KR 102666137 B1 KR102666137 B1 KR 102666137B1 KR 1020230105800 A KR1020230105800 A KR 1020230105800A KR 20230105800 A KR20230105800 A KR 20230105800A KR 102666137 B1 KR102666137 B1 KR 102666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disposed
outdoor
cas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5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59331A (en
Inventor
김학재
문동수
박민규
이종철
최성식
김민규
김형준
김강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5873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58963A/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137B1/en
Publication of KR20230159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3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1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24F1/028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with vertically arranged f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Abstract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1측벽에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측벽에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측벽에 실외흡입구와 실외토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실내팬;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흡입구로부터 상기 실외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실외팬;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응축기;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냉매를 압축시켜 상기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팬과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제1송풍공간과, 상기 실외팬과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제2송풍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압축기가 배치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This disclosure relates to air conditioners.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ase forming an inlet and an outlet on a first side wall, and an outdoor inlet and an outdoor outlet on a second side wall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ide wall; an indoor fan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forming an airflow from the intake port to the discharge port; an outdoor fan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forming an air flow from the outdoor intake port to the outdoor discharge port; an evaporato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heat-exchanging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A condense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heat-exchanging air flowing into the outdoor intake port; a compressor disposed inside the case, compressing refrigerant and sending it to the condenser; and a body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forming a first blowing space in which the indoor fan and the evaporator are disposed, and a second blowing space in which the outdoor fan and the condenser are disposed, the body comprising the case. It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inside which the compressor is placed.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a window.

공기조화기는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장치이다.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cools, heats, or purifies sucked indoor air and supplies it indoors.

공기조화기는 창문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뒤 실내로 공급하고,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뒤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케이스 내부 실내측에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실내팬 및 실내열교환기가 배치되고, 케이스 내부 실외측에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실외팬 및 실외열교환기가 배치된다.An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on a window and can suck in indoor air, exchange heat with it, supply it indoors, and suck in outdoor air, exchange heat with it, and then discharge it outdoors. In the case of such a window-type air conditioner, an indoor fan through which indoor air flows and an indoor heat exchanger are disposed on the indoor side of the case, and an outdoor fan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are dispos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case.

하지만,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케이스 내부에 실내측유로와 실외측유로를 구분하기 위한 부품, 실내팬 및 실내열교환기를 설치하기 위한 부품 및 실외팬 및 실외열교환기를 설치하기 위한 부품이 별도로 구비되고, 해당 부품들을 단일체로 조립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s separately equipped with parts for distinguishing the indoor and outdoor flow paths, parts for installing the indoor fan and indoor heat exchanger, and parts for installing the outdoor fan and outdoor heat exchanger inside the case.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assemble the parts into a single unit.

한국특허문헌 10-2019-0133477Korean Patent Document 10-2019-0133477 한국특허문헌 10-2019-0078874Korean Patent Document 10-2019-0078874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 수가 감소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with a reduced number of parts.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이 간편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is easy to assemble.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강성이 강화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따.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with enhanced rigidity.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수리가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is easy to repair.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with reduced noise and vibration.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divides the inside of the case into a plurality of space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1측벽에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측벽에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측벽에 실외흡입구와 실외토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n inlet and an outlet formed on a first side wall, and an outdoor inlet and an outdoor outlet formed on a second side wall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ide wall. Includes cases where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실내팬을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includes an indoor fan that creates an air flow from the intake port to the discharge port.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흡입구로부터 상기 실외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실외팬을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includes an outdoor fan that creates an air flow from the outdoor intake port to the outdoor discharge port.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includes an evaporator that heat-exchanges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응축기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includes a condenser that exchanges heat with air flowing into the outdoor intake port.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냉매를 압축시켜 상기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includes a compressor that compresses refrigerant and sends it to the condenser.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팬과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제1송풍공간과, 상기 실외팬과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제2송풍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body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forming a first blowing space in which the indoor fan and the evaporator are disposed, and a second blowing space in which the outdoor fan and the condenser are disposed.

상기 바디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압축기가 배치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The body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compressor is placed inside the case.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제1송풍공간의 하측에 배치된다.The receiving space is disposed below the first blowing space.

상기 제1송풍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높이는, 상기 제2송풍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height of the first blowing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blowing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 바닥면으로 낙하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의 상측으로 압출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further includes a pump that extrudes condensed water falling to the bottom of the case to the upper side of the condenser.

상기 바디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펌프가 배치되는 펌프수용부를 형성한다. The body forms a pump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pump is disposed inside the case.

상기 펌프수용부는 상기 제2송풍공간의 하측에 배치된다.The pump receiving portion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blowing space.

상기 펌프수용부가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The length of the pump receiving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receiving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팬을 구동시키는 실내팬모터를 더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further includes an indoor fan motor that drives the indoor fan.

상기 바디는, 상기 실내팬모터가 배치되는 제1구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구동공간은 상기 제1송풍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사이에 배치된다. The body forms a first driving space in which the indoor fan motor is disposed, and the first driving spac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lowing space and the receiving space.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외팬을 구동시키는 실외팬모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상기 실외팬모터가 배치되는 제2구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구동공간은 상기 제2송풍공간과 상기 펌프수용부 사이에 배치된다.The air conditioner further includes an outdoor fan motor that drives the outdoor fan. The body forms a second driving space in which the outdoor fan motor is disposed, and the second driving space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lowing space and the pump receiving portion.

상기 바디는, 상기 펌프수용부의 전방을 커버하는 제1펜스를 포함한다. The body includes a first fence covering the front of the pump receiving portion.

상기 실내팬 및 실외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가 배치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제1펜스의 전방에 배치된다.It includes a control box in which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oor fan and the outdoor fan is disposed, and the control box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fence.

상기 바디는, 상기 실내팬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측벽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바디; 및 상기 실외팬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측벽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제2 바디를 포함한다. The body may include: a first body convexly formed toward the second side wall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indoor fan is disposed; and a second body convexly formed toward the first side wall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outdoor fan is disposed.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2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볼록단부는,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제1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볼록단부보다 상기 제2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된다.A first convex end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side wall in the first body is disposed closer to the second side wall than a second convex e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ide wall in the second body.

케이스는, 제1측벽에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측벽의 반대면인 제2측벽에 실외흡입구와 실외토출구를 형성한다. The case forms an inlet and an outlet on a first side wall, and forms an outdoor inlet and an outdoor outlet on a second side wall,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side wall.

바디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측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한다. The body is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divides the inside of the case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상기 바디는, 상기 실내팬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2공간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볼록부와, 상기 실외팬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1공간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볼록부를 포함한다.The body includes a first convex portion formed convexly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pace so that the indoor fan is disposed, and a second convex portion formed convexly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pace so that the outdoor fan is disposed.

상기 제1볼록부는, 상기 실외흡입구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제2볼록부는 상기 흡입구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The first convex part protrudes convex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door inlet is disposed, and the second convex part protrudes convex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is disposed.

상기 제2볼록부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는, 상기 제1볼록부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2볼록부의 하측으로 압축기가 배치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The length at which the second convex portion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at which the first convex portion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ody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compressor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convex portion.

상기 실내팬 및 실외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가 배치되는 컨트롤박스를 더 포함하고, 제2볼록부의 전방으로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컨트롤박스가 배치되는 제3공간이 형성된다.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box in which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oor fan and the outdoor fan is disposed, and the first space in which the evaporator is disposed and the third space in which the control box is disposed are formed in front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배치된다.The control box is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상기 바디는, 상기 제2공간의 하측으로 펌프가 배치되는 펌프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3공간과 상기 펌프수용부를 구획하는 제1펜스를 포함한다. The body forms a pump receiving portion in which a pump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space, and the body includes a first fence dividing the third space and the pump receiving por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케이스 내부 실내측유로와 실외측유로를 구분하는 바디를 구비함으로써, 송풍성능이 강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lowing performance can be enhanced by providing a body that separates the indoor side flow path and the outdoor side flow path inside the case.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일의 바디에 팬 및 열교환기를 조립함으로써, 부품 수가 감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by assembling the fan and the heat exchanger in a single body.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일의 바디에 팬 및 열교환기를 조립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조립이 간편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ssembly of an air conditioner can be simplified by assembling a fan and a heat exchanger in a single body.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일의 바디에 압축기를 커버하는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noise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can be reduced by providing a space covering the compressor in a single body.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바디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컴팩트한 공기조화기를 제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ompact air conditioner can be manufactured by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by the bod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바디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바디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바디의 상방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1 is a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 is a front view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front view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side view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9 is an upward perspective view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be placed in the window assembly (9). The air conditioner (1)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window assembly (9).

창문어셈블리(9)는 창틀(91) 및 창문(92)을 포함할 수 있다. 창틀(91)은 창문어셈블리(9)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창틀(91)은 내측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창문(92)은 창틀(91)의 내측공간에서 이동될 수 있다. 창문(92)의 내측에는 유리(Glass)가 고정될 수 있다.The window assembly 9 may include a window frame 91 and a window 92. The window frame 91 may form the outer shape of the window assembly 9. The window frame 91 may form a space on the inside. The window 92 can be moved in the inner space of the window frame 91. Glass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window 92.

공기조화기(1)는 창틀(91)과 창문(9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창틀(91)과 창문(92) 사이에는 공간(93)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틀(91)과 창문(92) 사이의 공간(93)에 설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be placed between the window frame 91 and the window 92. A space 93 may be formed between the window frame 91 and the window 92. The air conditioner (1) may be installed in the space (93) between the window frame (91) and the window (92).

공기조화기(1)와 창문어셈블리(9) 사이에는 키트(94)가 배치될 수 있다. 키트(94)는 공기조화기(1)를 창문어셈블리(9)에 고정시킬 수 있다. 키트(94)는 공기조화기(1)와 창문어셈블리(9) 사이 틈새를 밀봉할 수 있다.A kit 94 may be placed between the air conditioner 1 and the window assembly 9. The kit 94 can fix the air conditioner (1) to the window assembly (9). The kit 94 can seal the gap between the air conditioner (1) and the window assembly (9).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고정될 수 있다. 창문어셈블리(9)를 기준으로 실내공간(Indoor Space)과 실외공간(Outdoor Space)이 구분될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기(1)를 설명함에 있어서, 실내공간을 향하는 실내측을 전방으로, 실외공간을 향하는 실외측을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can be fixed to the window assembly (9). Indoor space and outdoor space can be distinguished based on the window assembly 9. Hereinafter, when describing the air conditioner 1, the indoor side facing the indoor space can be defined as the front, and the outdoor side facing the outdoor space can be defined as the rear.

공기조화기(1)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내공간으로 송풍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실외공기를 실외공간으로 송풍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흡입구(11) 및 토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 can suck indoor air and blow the sucked indoor air into the indoor space. The air conditioner (1) can suck in outdoor air and blow the sucked outdoor air to the outdoor space. 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inlet 11 and an outlet 12. Air in the indoor space may flow into the air conditioner (1) through the intake port (11).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er (1) through the intake port (11) may be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흡입구(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흡입구(11)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흡입구(11)와 이격될 수 있다.The intake port 1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charge port 12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uction port 11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11.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실내공간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내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The intake port 11 and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open toward the indoor space. The suction port 11 and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The suction port 11 and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air conditioner (1) may protrude from the window assembly (9) toward the indoor space.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되어 열교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흡입구(11)의 일측에 이격된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Air in the indoor space may flow into the air conditioner (1) through the intake port (11) and exchange heat. The air heat exchang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1) may be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intake port (11).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10)는 공기조화기(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case 10. Case 10 may have a space inside. Case 10 can form the external shape of the air conditioner (1).

케이스(10)는 프론트케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는 실내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의 일부는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내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Case 10 may include a front case 13. The front case 13 may be arranged toward the indoor side. A portion of the front case 13 may protrude from the window assembly 9 toward the indoor space.

케이스(10)는 리어케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는 실외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의 일부는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외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는 프론트케이스(13)와 결합될 수 있다.Case 10 may include a rear case 14. The rear case 14 may be disposed toward the outdoor side. A portion of the rear case 14 may protrude from the window assembly 9 toward the outdoor space. The rear case 14 may be combined with the front case 13.

흡입구(11)는 프론트케이스(13)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프론트케이스(13)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intake port 11 may be formed in the front case 13. The intake port 1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3.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formed in the front case 13.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3. The intake port 11 and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3.

공기조화기(1)는 그릴(1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릴(15)은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탈착될 수 있다. 그릴(15)은 흡입구(11)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그릴(15)을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릴(15)은 토출구(12)와 이격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grill 15. The grill 15 can be detach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3. The grill 15 may be disposed at the intake port 11. Air in the indoor space may be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er (1) through the grill (15). The grill 15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port 12.

공기조화기(1)는 베인(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20)은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개폐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프론트케이스(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인(20)은 그릴(15)과 이격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vane 20. Vane 20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case 13. The vane 20 may be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12. The vane 20 can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2. The vane 20 may be rotatably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12. The vane 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case 13. The vane 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grill 15. The vane 20 can control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도 3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3은 공기조화기(1)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air conditioner (1).

프론트케이스(13)는 프론트플레이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33)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흡입구(11) 및 토출구(12)는 프론트플레이트(133)에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case 13 may include a front plate 133. The front plate 133 may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3. The intake port 11 and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formed in the front plate 133.

프론트플레이트(133)는 제1 플레이트(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제1 플레이트(131)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plate 133 may include a first plate 131. The first plate 13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take port 11 may be formed by opening in the first plate 131.

프론트플레이트(133)는 제2 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3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제2 플레이트(132)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plate 133 may include a second plate 132. The second plate 132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charge hole 12 may be formed as an opening in the second plate 132.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는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first plate 131 and the second plate 132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e first plate 131 and the second plate 132 may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릴(15)은 프론트플레이트(133)에 탈착될 수 있다. 그릴(15)은 흡입구(11)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릴(15)은 제1 플레이트(131)에 결합될 수 있다.The grill 15 can be detached from the front plate 133. The grill 15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intake port 11. The grill 15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late 131.

베인(20)은 프론트플레이트(1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제2 플레이트(132)에 결합될 수 있다.The vane 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plate 133. The vane 20 may be rotatably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12. Vane 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late 132.

프론트케이스(13)는 탑플레이트(134)를 포함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134)는 프론트케이스(13)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134)는 프론트플레이트(13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탑플레이트(134)는 리어케이스(14)와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case 13 may include a top plate 134. The top plate 134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case 13. The top plate 134 may extend rearward from the front plate 133. The top plate 134 may be combined with the rear case 14.

프론트케이스(13)는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프론트케이스(13)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리어케이스(14)와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case 13 may include a first side plate 135. The first side plate 135 may form one side of the front case 13. The first side plate 135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side plate 135 may be combined with the rear case 14.

프론트케이스(13)는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프론트케이스(13)의 타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리어케이스(14)와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case 13 may include a second side plate 136. The second side plate 136 may form the other side of the front case 13. The second side plate 136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side plate 136 may be combined with the rear case 14.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와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와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프론트케이스(13)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와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사이드플레이트"로 이름될 수 있다.The first side plate 135 and the second side plate 136 may face each other. The first side plate 135 and the second side plate 136 may form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case 13. The first side plate 135 and the second side plate 136 may be named “side plates.”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어셈블리(AS)를 포함할 수 있다. 어셈블리(AS)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어셈블리(AS)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은, 케이스(10) 내부로부터 별도로 분리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assembly (AS) disposed inside the case 10. Assembly (AS) may refer to a collection of parts arranged inside the case 10. Each part constituting the assembly AS may be separately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case 10.

공기조화기(1)는 제1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first unit 30. The first unit 30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

공기조화기(1)는 제2 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second unit 40. The second unit 40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

공기조화기(1)는 제3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50)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third unit 50. The third unit 50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

제1 유닛(30)과 제2 유닛(40)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유닛(40)의 일부 부품은 제1 유닛(3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The first unit 30 and the second unit 40 may be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some parts of the second unit 40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unit 30.

제2 유닛(40)과 제3 유닛(50)은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3 유닛(50)의 일부 부품은 제1 유닛(30)과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unit 40 and the third unit 50 may be coupled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At this time, some parts of the third unit 5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unit 30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다만, 상술한 제1, 2, 3유닛(30, 40, 50)에 대한 설명은 공기조화기(1)의 전체적인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2, 3유닛(30, 40, 50) 각각의 구분이 엄격하게 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제1, 2, 3유닛(30, 40, 50) 각각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 중 일부를 의미하는 개념일 수 있다. 제1, 2, 3유닛(30, 40, 50) 각각은 복수의 부품의 조립체일 수 있고, 각 유닛(30, 40, 50)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각 유닛(30, 40, 50)으로부터 별개로 분리될 수 있다. 각 유닛(30, 40, 50)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별개로 분리되어 별도의 독립적인 유닛을 구성할 수도 있다.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above-mentioned first, second, and third units (30, 40, and 50) is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mbined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1),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units (30, 40, 50) Each division is not strictly defined. In other words, each of the above-described first, second, and third units 30, 40, and 50 may be a concept meaning some of the parts disposed inside the case 10.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units (30, 40, and 50) may be an assembly of a plurality of parts, and the parts constituting each unit (30, 40, and 50) are separate from each unit (30, 40, and 50). can be separated into The parts constituting each unit 30, 40, and 50 may be separated to form a separate, independent unit.

공기조화기(1)는 바디(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0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300)는 실내팬(34) 및 실외팬(35)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body 300. Body 300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 The body 300 may provide a space where the indoor fan 34 and the outdoor fan 35 are placed.

공기조화기(1)는 실내팬(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실내팬(34)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팬(34)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바디(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indoor fan 34. The first unit 30 may include an indoor fan 34. The indoor fan 34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indoor fan 34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300.

공기조화기(1)는 실외팬(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실외팬(3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팬(35)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바디(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outdoor fan (35). The first unit 30 may include an outdoor fan 35. The outdoor fan 35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outdoor fan 35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300.

실내팬(34)과 실외팬(35)은 "팬"으로 이름될 수 있다.The indoor fan 34 and the outdoor fan 35 may be named “fans.”

공기조화기(1)는 압축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압축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4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41)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41)는 제2 바디(32)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compressor 41. The second unit 40 may include a compressor 41. The compressor 41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compressor 41 can compress the refrigerant. The compressor 41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body 32.

공기조화기(1)는 실외열교환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실외열교환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실외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바디(300)와 결합될 수 있다.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실외공기는, 실외열교환기(42)를 통과할 수 있다.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42)로 유입되어 실외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outdoor heat exchanger (42). The second unit 40 may include an outdoor heat exchanger 42.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can exchange heat with outdoor air and a refrigerant.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may be combined with the body 300. Outdoor air blown by the outdoor fan (35) can pass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41 may flow in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and exchange heat with outdoor air.

공기조화기(1)는 팽창장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팽창장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바디(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를 통과한 냉매는 팽창장치(43)로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expansion device 43. The second unit 40 may include an expansion device 43. The expansion device 43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expansion device 43 can expand the refrigerant. The expansion device 43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300.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may flow into the expansion device (43) and expand.

공기조화기(1)는 실내열교환기(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실내열교환기(44)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바디(300)와 결합될 수 있다. 팽창장치(43)를 통과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44)로 유입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indoor heat exchanger (44). The second unit 40 may include an indoor heat exchanger 44.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may be combined with the body 300.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pansion device 43 flows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and can exchange heat with indoor air.

압축기(41), 실외열교환기(42), 팽창장치(43) 및 실내열교환기(44)는 냉매배관(미도시)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mpressor 41, outdoor heat exchanger 42, expansion device 43, and indoor heat exchanger 44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refrigerant pipes (not shown).

공기조화기(1)는 베이스(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베이스(4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5)는 케이스(1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45)는 바디(3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41), 실외열교환기(42), 팽창장치(43) 및 실내열교환기(44)는 베이스(4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base 45. The second unit 40 may include a base 45. The base 45 may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10. The base 45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300. The compressor 41,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the expansion device 43,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45.

공기조화기(1)는 컨트롤박스(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50)은 컨트롤박스(51)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5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51)의 내부에는 베인모터(29)(도 4참조), 실내팬(34), 실외팬(35), 압축기(41) 및 팽창장치(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PCB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부품들(29, 34, 35, 41, 4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control box (51). The third unit 50 may include a control box 51. The control box 51 may be placed inside the case 10. Inside the control box 51, there is a controller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ne motor 29 (see FIG. 4), indoor fan 34, outdoor fan 35, compressor 41, and expansion device 43. ) can be placed. The controller can be mounted on a PCB board.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29, 34, 35, 41, and 43.

공기조화기(1)는 블럭(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50)은 블럭(52)을 포함할 수 있다. 블럭(52)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블럭(52)은 컨트롤박스(5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블럭(52)의 내측에는 수배관 또는 냉매배관이 배치될 수 있다. 블럭(52)은 상기 수배관 또는 상기 냉매배관을 커버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block 52. Third unit 50 may include block 52 . Block 52 may be placed inside case 10. Block 52 may extend upward from the control box 51. A water pipe or a refrigerant pipe may be disposed inside the block 52. Block 52 may cover the water pipe or the refrigerant pipe.

도 4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1)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onditioner 1 shown in FIG. 2.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그릴(15)을 통과하여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ir in the indoor space may flow into the case 10 through the intake port 11. Air in the indoor space may pass through the grill 15 and flow into the case 10.

실내열교환기(44)는 케이스(10) 내부에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실내열교환기(44)에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The indoor heat exchanger 44 may be disposed at an angle inside the case 10.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port 11 may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실내팬(34)은 실내열교환기(44)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흡입구(11)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실내팬(34)은 횡류팬일 수 있다.The indoor fan 34 may be disposed downstream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The indoor fan 34 can suck in air outside the case 10 through the intake port 11. The indoor fan 34 may be a cross-flow fan.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토출구(12)로 유동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개폐할 수 있고,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Air blown by the indoor fan 34 may flow to the discharge port 12. The vane 20 may be rotatably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12. The vane 20 can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2 and control the flow direction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공기조화기(1)는 베인(20)을 회전시키는 베인모터(29)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모터(29)는 케이스(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인모터(29)는 모터축(291)을 통해 베인(20)과 연결될 수 있다. 베인(20)은 베인모터(29)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vane motor 29 that rotates the vane 20. The vane motor 29 may be fixed inside the case 10. The vane motor 29 may be connected to the vane 20 through the motor shaft 291. The vane 20 can be rotated by driving the vane motor 29.

공기조화기(1)는 실외흡입구(1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outdoor intake port (16). Air from the outdoor space may flow into the case 10 through the outdoor intake port 16.

공기조화기(1)는 제1 실외그릴(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외그릴(18)은 실외흡입구(16)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제1 실외그릴(18)을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first outdoor grill 18. The first outdoor grill 18 may be disposed at the outdoor intake port 16. Air from the outdoor space may flow into the case 10 through the first outdoor grill 18.

공기조화기(1)는 실외토출구(17)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는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외토출구(17)는 실외흡입구(16)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실외토출구(17)와 실외흡입구(16)는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n outdoor outlet (17). The air inside the case 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door intake port 1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and the outdoor intake port 16 may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공기조화기(1)는 제2 실외그릴(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외그릴(19)은 실외토출구(19)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는 제2 실외그릴(19)을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실외그릴(19)은 제1 실외그릴(18)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실외그릴(18)과 제2 실외그릴(19)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second outdoor grill 19. The second outdoor grill 19 may be disposed at the outdoor discharge port 19. The air inside the case 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second outdoor grill 19. The second outdoor grill 19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utdoor grill 18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outdoor grill 18 and the second outdoor grill 19 may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실외흡입구(16), 실외토출구(17), 제1 실외그릴(18) 및 제2 실외그릴(19)은 리어케이스(14)(도 3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The outdoor intake port 16,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the first outdoor grill 18, and the second outdoor grill 19 may be disposed in the rear case 14 (see FIG. 3).

실외열교환기(42)는 실외흡입구(16)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실외열교환기(42)에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may be arranged to face the outdoor intake port 16.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intake port 16 may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실외팬(35)은 실외열교환기(42)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실외흡입구(16)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실외팬(35)은 횡류팬일 수 있다.The outdoor fan 35 may be disposed downstream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The outdoor fan 35 can suck in air outside the case 10 through the outdoor intake port 16. The outdoor fan 35 may be a cross-flow fan.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실외토출구(17)로 유동할 수 있다.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Air blown by the outdoor fan 35 may flow to the outdoor outlet 17. Air blown by the outdoor fan 35 may be discharged to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공기조화기(1)는 실내팬(34)이 배치되는 공간과 실외팬(35)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분짓는 바디(3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팬(34)과 실외팬(35)은 바디(300)와 결합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body 300 that separates a space where the indoor fan 34 is placed and a space where the outdoor fan 35 is placed. The indoor fan 34 and the outdoor fan 35 may be combined with the body 300.

공기조화기(1)는 제1 공간(1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101)은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제1 공간(10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공간(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되어,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내팬(34) 및 실내열교환기(44)는 제1 공간(1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first space 101. The first space 101 may be formed inside the case 10. Air in the indoor space may flow into the first space 101 through the intake port 11. Air flowing into the first space 101 may be blown by the indoor fan 34 and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The indoor fan 34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44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space 101.

공기조화기(1)는 제2 공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간(102)은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제2 공간(10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공간(102)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되어,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외팬(35) 및 실외열교환기(42)는 제2 공간(10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second space 102. The second space 102 may be formed inside the case 10. Air from the outdoor space may flow into the second space 102 through the outdoor inlet 16. Air flowing into the second space 102 may be blown by the outdoor fan 35 and discharged into the outdoor space through the outdoor outlet 17. The outdoor fan 35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42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space 102.

바디(300)는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을 분리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공간을 구분지을 때, 제1 공간(101)을 "실내측"으로, 제2 공간(102)을 "실외측"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body 300 may separate the first space 101 and the second space 102. When classify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ase 10, the first space 101 can be defined as the “indoor side” and the second space 102 can be defined as the “outdoor side.”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바디(300)를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the body 300 will be described.

도 5는 바디(300)를 비스듬히 투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바디(300)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실내팬(34)과 실외팬(35)이 설치된 상태의 바디(300)의 정면도이다.Figure 5 is an oblique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300. Figure 6 is a view of the body 300 viewed from the front.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body 300 with the indoor fan 34 and the outdoor fan 35 installed.

바디(300)는 일체형일 수 있다. 바디(300)를 구성하는 각 부위들(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은 일체형일 수 있다.The body 300 may be integrated. Each part 310, 320, 330, 340, 350, 360, 370, and 380 constituting the body 300 may be integrated.

바디(300)는 제1 바디(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3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바디(310)는 실내팬(34)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Body 300 may include a first body 310. The first body 31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body 310 may provide a space where the indoor fan 34 is placed.

바디(300)는 제1 외벽(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벽(320)은 제1 바디(3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외벽(320)은 제1 바디(3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도 4참조)는 제1 바디(310)와 제1 외벽(320)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300 may include a first outer wall 320. The first outer wall 320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first body 310. The first outer wall 32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rst body 310. The discharge port 12 (see FIG. 4) may be formed along the first body 310 and the first outer wall 320.

바디(300)는 제2 바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3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바디(330)는 실외팬(35)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Body 300 may include a second body 330. The second body 32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body 330 may provide a space where the outdoor fan 35 is placed.

바디(300)는 제2 외벽(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벽(340)은 제2 바디(33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외벽(340)은 제2 바디(3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외토출구(17)(도 4참조)는 제2 바디(330)와 제2 외벽(340)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300 may include a second outer wall 340. The second outer wall 340 may protrude rearward from the second body 330. The second outer wall 34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econd body 330.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see FIG. 4) may be formed along the second body 330 and the second outer wall 340.

바디(300)는 탑플레이트(350)를 포함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350)는 바디(3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350)는 제1 바디(310)와 제2 바디(330)를 연결할 수 있다.The body 300 may include a top plate 350. The top plate 350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00. The top plate 350 may connect the first body 310 and the second body 330.

바디(300)는 격벽(360)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360)은 제1 바디(310)와 제2 바디(330)를 연결할 수 있다. 격벽(360)은 제1 바디(310)와 제2 바디(330)의 일부분일 수 있다. 격벽(360)은 실내팬(34)이 배치되는 공간(313)과 실외팬(35)이 배치되는 공간(333)을 구획할 수 있다.Body 30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360. The partition 360 may connect the first body 310 and the second body 330. The partition wall 360 may be a part of the first body 310 and the second body 330. The partition wall 360 may partition a space 313 where the indoor fan 34 is placed and a space 333 where the outdoor fan 35 is placed.

바디(300)는 압축기하우징(37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하우징(370)은 제1 바디(3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하우징(370)의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Body 300 may include a compressor housing 370. The compressor housing 37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310.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compressor housing 370.

바디(300)는 펜스(380)를 포함할 수 있다. 펜스(380)는 제2 바디(33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펜스(380)의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Body 300 may include a fence 380. The fence 38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330.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fence 380.

제1 바디(310)는 제1 내벽(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벽(311)은 제1 외벽(3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벽(31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내벽(311)은 수평방향으로 굴곡질 수 있다. 제1 내벽(311)은 후방을 향해 볼록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토출구(12)(도 4참조)는 제1 내벽(311)과 제1 외벽(320)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ody 310 may include a first inner wall 311. The first inner wall 31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wall 320. The first inner wall 31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inner wall 311 may be cur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inner wall 311 may have a convex cross section toward the rear. The discharge port 12 (see FIG. 4) may be formed along the first inner wall 311 and the first outer wall 320.

제1 바디(310)는 실내팬서포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팬서포터(312)는 제1 내벽(31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내팬서포터(312)는 제1 외벽(3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내팬(34)은 실내팬서포터(312)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The first body 310 may include an indoor fan supporter 312. The indoor fan supporter 312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ner wall 311. The indoor fan supporter 312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outer wall 320. The indoor fan 34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door fan supporter 312.

제1 바디(310)는 제1 송풍공간(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벽(311) 및 제1 외벽(320)은 제1 송풍공간(313)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실내팬(34)은 제1 송풍공간(31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송풍공간(313)은 실내팬서포터(312)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ody 310 may include a first blowing space 313. The first inner wall 311 and the first outer wall 320 may form a boundary of the first blowing space 313. The indoor fan 34 may be disposed within the first ventilation space 313. The first ventilation space 313 may be formed above the indoor fan supporter 312.

제1 바디(310)는 제1 모터서포터(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서포터(314)는 실내팬서포터(312)의 하측에 이격될 수 있다. 제1 모터서포터(314)는 압축기하우징(37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body 310 may include a first motor supporter 314. The first motor supporter 314 may be spaced below the indoor fan supporter 312. The first motor supporter 314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pressor housing 370.

제1 바디(310)는 제1 구동공간(3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공간(315)은 실내팬서포터(312)와 제1 모터서포터(31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동공간(315)은 실내팬모터(349)(도 7참조)가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The first body 31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space 315. The first driving space 315 may be formed between the indoor fan supporter 312 and the first motor supporter 314. The first driving space 315 may be a space where the indoor fan motor 349 (see FIG. 7) is placed.

제1 바디(310)는 실내팬투입구(316)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팬투입구(316)는 제1 내벽(31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내팬투입구(316)는 제1 송풍공간(31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내팬투입구(316)는 탑플레이트(350)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실내팬투입구(316)를 통해 입출입될 수 있다.The first body 310 may include an indoor fan inlet 316. The indoor fan inlet 316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inner wall 311. The indoor fan inlet 316 may be located above the first ventilation space 313. The indoor fan inlet 316 may be formed by opening in the top plate 350. The indoor fan 34 can enter and exit through the indoor fan inlet 316.

제2 바디(330)는 제2 내벽(3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벽(331)은 제2 외벽(3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내벽(33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내벽(331)은 수평방향으로 굴곡질 수 있다. 제2 내벽(331)은 전방을 향해 볼록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실외토출구(17)(도 4참조)는 제2 내벽(331)과 제2 외벽(340)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330 may include a second inner wall 331. The second inner wall 33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wall 340. The second inner wall 33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inner wall 331 may be cur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inner wall 331 may have a cross-section that is convex toward the front.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see FIG. 4) may be formed along the second inner wall 331 and the second outer wall 340.

제2 바디(330)는 실외팬서포터(33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팬서포터(332)는 제2 내벽(33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외팬서포터(332)는 제2 외벽(34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외팬(35)은 실외팬서포터(332)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330 may include an outdoor fan supporter 332. The outdoor fan supporter 332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inner wall 331. The outdoor fan supporter 332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outer wall 340. The outdoor fan 35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door fan supporter 332.

제2 바디(330)는 제2 송풍공간(3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벽(331) 및 제2 외벽(340)은 제2 송풍공간(333)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실외팬(35)은 제2 송풍공간(33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송풍공간(333)은 실외팬서포터(332)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330 may include a second blowing space 333. The second inner wall 331 and the second outer wall 340 may form a boundary of the second blowing space 333. The outdoor fan 35 may be disposed within the second ventilation space 333. The second ventilation space 333 may be formed above the outdoor fan supporter 332.

제2 바디(330)는 제2 모터서포터(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터서포터(334)는 실외팬서포터(332)의 하측에 이격될 수 있다. 제2 모터서포터(334)는 펜스(38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330 may include a second motor supporter 334. The second motor supporter 334 may be spaced below the outdoor fan supporter 332. The second motor supporter 334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ence 380.

제2 바디(330)는 제2 구동공간(3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공간(335)은 실외팬서포터(332)와 제2 모터서포터(33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동공간(335)은 실외팬모터(359)(도 7참조)가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The second body 330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space 335. The second driving space 335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door fan supporter 332 and the second motor supporter 334. The second driving space 335 may be a space where the outdoor fan motor 359 (see FIG. 7) is placed.

제2 바디(330)는 실외팬투입구(33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팬투입구(336)는 제2 내벽(33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외팬투입구(336)는 제2 송풍공간(33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외팬투입구(336)는 탑플레이트(350)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실외팬투입구(336)를 통해 입출입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330 may include an outdoor fan inlet 336. The outdoor fan inlet 336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inner wall 331. The outdoor fan inlet 336 may be located above the second ventilation space 333. The outdoor fan inlet 336 may be formed by opening in the top plate 350. The outdoor fan 35 can enter and exit through the outdoor fan inlet 336.

압축기하우징(370)은 제1 하우징벽(3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벽(371)은 제1 바디(3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하우징벽(371)은 제1 모터서포터(314)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Compressor housing 37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wall 371. The first housing wall 371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310. The first housing wall 371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motor supporter 314.

압축기하우징(370)은 제2 하우징벽(3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벽(372)은 제1 바디(3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하우징벽(372)은 제1 외벽(3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Compressor housing 370 may include a second housing wall 372. The second housing wall 372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body 310. The second housing wall 372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outer wall 320.

압축기하우징(370)은 수용공간(37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373)은 제1 하우징벽(371) 및 제2 하우징벽(372)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압축기(41)(도 3참조)는 수용공간(373)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mpressor housing 370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space 373. The receiving space 373 may be surrounded by a first housing wall 371 and a second housing wall 372. Compressor 41 (see FIG. 3) may be dispos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373.

펜스(380)는 제1 펜스(3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펜스(381)는 제2 바디(33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펜스(381)는 압축기하우징(37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펜스(38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펜스(381)는 제2 모터서포터(334)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펜스(381)는 펌프수용부(384)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The fence 380 may include a first fence 381. The first fence 381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body 330. The first fence 381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mpressor housing 370. The first fence 38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fence 381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motor supporter 334. The first fence 381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pump receiving portion 384.

펜스(380)는 어퍼펜스(38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펜스(382)는 제2 바디(33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어퍼펜스(382)는 제2 모터서포터(334)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어퍼펜스(382)는 제1 펜스(38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펜스(382)는 펌프수용부(38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어퍼펜스(382)는 제1 펜스(381)와 제2 펜스(383)를 연결할 수 있다.The fence 380 may include an upper fence 382. The upper fence 382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330. The upper fence 382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motor supporter 334. The upper fence 382 may extend rearward from the first fence 381. The upper fence 382 may be located above the pump receiving portion 384. The upper fence 382 may connect the first fence 381 and the second fence 383.

펜스(380)는 제2 펜스(3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펜스(383)는 제2 바디(33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펜스(383)는 압축기하우징(37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펜스(38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펜스(383)는 제2 모터서포터(334)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펜스(383)는 펌프수용부(384)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fence 380 may include a second fence 383. The second fence 383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330. The second fence 383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mpressor housing 370. The second fence 383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fence 383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motor supporter 334. The second fence 383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pump receiving portion 384.

펜스(380)는 펌프수용부(384)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수용부(384)는 어퍼펜스(38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펜스(381)와 제2 펜스(383)는 펌프수용부(384) 전방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열교환기(42, 44)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펌프(46)(도 10참조)는 펌프수용부(384)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ence 380 may include a pump receiving portion 384. The pump receiving portion 384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ence 382. The first fence 381 and the second fence 383 may cover a portion of the front of the pump receiving portion 384. A pump 46 (see FIG. 10) that discharges condensate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rs 42 and 44 may be disposed within the pump receiving portion 384.

도 8을 참조하여, 바디(300)를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 8 , the body 300 will be described.

도 8은 바디(300)를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8 shows the body 300 as viewed from the side.

제1 바디(310)의 높이(H1)는 제2 바디(330)의 높이(H2)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바디(330)는 제1 바디(310)보다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height H1 of the first body 310 may be smaller than the height H2 of the second body 330. The second body 330 may protrude lower than the first body 310 .

제1 바디(310)는 상하방향의 제1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제1 높이(H1)는 탑플레이트(350)로부터 실내팬서포터(312)까지의 상하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The first body 310 may have a first height H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height H1 may refer to the vertical height from the top plate 350 to the indoor fan supporter 312.

제2 바디(330)는 상하방향의 제2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제2 높이(H2)는 탑플레이트(350)로부터 실외팬서포터(332)까지의 상하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330 may have a second height H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height H2 may refer to the vertical height from the top plate 350 to the outdoor fan supporter 332.

실내팬(34)의 상하방향 길이는, 실외팬(35)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The vertical length of the indoor fan 34 may be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outdoor fan 35.

압축기하우징(370)은 제1 바디(3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펜스(380)는 제2 바디(33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compressor housing 370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310. The fence 380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330.

압축기하우징(370)의 높이는 펜스(380)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압축기하우징(370)의 상부는 제2 바디(330)와 수평방향으로 대응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compressor housing 370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fence 380. The upper part of the compressor housing 370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body 330 in a horizontal direction.

도 9를 참조하여, 바디(300)를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 9 , the body 300 will be described.

도 9는 바디(300)를 상측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9 shows the body 300 viewed from above.

실내팬(34)은 탑플레이트(350)에 형성된 실내팬투입구(316)를 통해 제1 바디(310) 내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실내팬(34)을 인출하여, 실내팬(34)을 청소할 수 있다.The indoor fan 34 may be pulled out from within the first body 310 through the indoor fan inlet 316 formed in the top plate 350. The user can remove the indoor fan 34 and clean the indoor fan 34.

실외팬(35)은 탑플레이트(350)에 형성된 실외팬투입구(336)를 통해 제2 바디(330) 내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외팬(35)을 인출하여, 실외팬(35)을 청소할 수 있다.The outdoor fan 35 may be pulled out from within the second body 330 through the outdoor fan inlet 336 formed in the top plate 350. The user can remove the outdoor fan 35 and clean the outdoor fan 35.

실내팬투입구(316)와 실외팬투입구(336) 사이에는 격벽(360)이 배치될 수 있다. 격벽(360)은 실내팬투입구(316)와 실외팬투입구(336)를 구획할 수 있다.A partition wall 3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door fan inlet 316 and the outdoor fan inlet 336. The partition wall 360 may partition the indoor fan inlet 316 and the outdoor fan inlet 336.

실내팬투입구(316)의 일부와 실외팬투입구(336)의 일부는 수평방향으로 대응될 수 있다. 실내팬투입구(316)와 실외팬투입구(336)는 수평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할 수 있다.A portion of the indoor fan inlet 316 and a portion of the outdoor fan inlet 336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indoor fan inlet 316 and the outdoor fan inlet 336 may be positioned offse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실내팬투입구(316) 내로 투입된 실내팬(34)은 실내팬서포터(312)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The indoor fan 34 inserted into the indoor fan inlet 316 may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door fan supporter 312.

실외팬투입구(336) 내로 투입된 실외팬(35)은 실외팬서포터(332)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The outdoor fan 35 inserted into the outdoor fan inlet 336 may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door fan supporter 332.

제1 내벽(311)은 제1 외벽(320)이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벽(311)은 실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wall 311 may be formed to be convex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outer wall 320 protrudes. The first inner wall 311 may be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outdoor side.

제2 내벽(331)은 제2 외벽(340)이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벽(331)은 실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inner wall 331 may be formed to be convex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outer wall 340 extends. The second inner wall 331 may be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indoor side.

도 10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air conditioner 1 will be described.

도 10은 공기조화기(1)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onditioner 1 cut horizontally.

압축기(41)는 베이스(45)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41)는 베이스(45)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압축기(41)는 압축기하우징(37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Compressor 41 may be placed on base 45. The compressor 41 may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45. The compressor 41 may be placed inside the compressor housing 370.

압축기(41)는 압축기본체(411)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본체(411)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본체(411)는 냉매토출관(413)과 연결될 수 있다.The compressor 41 may include a compressor body 411. The compressor body 411 can compress refrigerant. The compressor body 411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 413.

압축기(41)는 어큐뮬레이터(41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412)는 압축기본체(411)와 연결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412)는 냉매유입관(414)과 연결될 수 있다.Compressor 41 may include an accumulator 412. The accumulator 412 may b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body 411. The accumulator 412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inlet pipe 414.

공기조화기(1)는 차음부재(415)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41)는 차음부재(415)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차음부재(415)는 압축기(41)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차음부재(415)는 압축기(4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sound insulation member 415. The compressor 41 may be placed inside the sound insulation member 415. The sound insulation member 415 can reduce noise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41. The sound insulation member 415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compressor 41.

압축기하우징(370)은 차음부재(415)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하우징(370)은 압축기(41)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차음부재(415)는 수용공간(373)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mpressor housing 37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sound insulation member 415. The compressor housing 370 can reduce noise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41. The sound insulation member 415 may be dispos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373.

제1 하우징벽(371)은 압축기(4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벽(371)은 차음부재(415)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wall 371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compressor 41. The first housing wall 371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ound insulation member 415.

제2 하우징벽(372)은 제1 하우징벽(37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하우징벽(372)은 압축기(41)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벽(372)은 차음부재(415)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wall 372 may extend rearward from the first housing wall 371. The second housing wall 372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mpressor 41. The second housing wall 372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ound insulation member 415.

냉매토출관(413) 및 냉매유입관(414)은 펌프수용부(384)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냉매토출관(413) 및 냉매유입관(414)은 압축기(4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펜스(38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 413 and the refrigerant inlet pipe 414 may extend toward the pump receiving portion 384. 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 413 and the refrigerant inlet pipe 414 extend rearward from the compressor 41 and may extend inside the fence 380.

공기조화기(1)는 펌프(46)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46)는 실외팬(35)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의 경우, 실외팬(35)에 의해 펌프(46)가 가려진 상태일 수 있다. 도 10은, 펌프(46)의 수배관만이 도시된 상태일 수 있으나, 펌프(46)는 실외팬(35)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pump 46. The pump 46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outdoor fan 35. In the case of FIG. 10, the pump 46 may be obscured by the outdoor fan 35. 10 may show only the water pipe of the pump 46,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ump 46 is disposed below the outdoor fan 35.

펌프(46)는 열교환기(42, 44)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다. 펌프(46)는 증발기(44)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케이스(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펌프(46)는 베이스(45)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46)는 압축기(41)의 일측에 이격배치될 수 있다. 펌프(46)는 펌프수용부(384)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pump 46 can discharge condensate generated from the heat exchangers 42 and 44. The pump 46 can discharg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evaporator 44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Pump 46 may be placed in base 45. The pump 46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compressor 41. Pump 46 may be disposed within pump receiving portion 384.

펜스(380)는 펌프(46)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펌프(46)는 실외팬(3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펜스(380)는 실외팬(35)이 배치되는 공간과 펌프(46)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Fence 38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pump 46. The pump 46 may be placed below the outdoor fan 35. The fence 380 may divide a space where the outdoor fan 35 is placed and a space where the pump 46 is placed.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0.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10)는, 제1측벽(10a)에 흡입구(11)와 토출구(12)가 형성되고, 제2측벽(10b)에 실외흡입구(16)와 실외토출구(17)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case 10 has an inlet 11 and an outlet 12 formed on the first side wall 10a, and an outdoor inlet 16 and an outdoor outlet 17 on the second side wall 10b. is formed.

바디(300)는, 실내팬(34)과 증발기(44)가 배치되는 제1송풍공간(101)과, 실외팬(35)과 응축기(42)가 배치되는 제2송풍공간(102)을 형성한다. The body 300 forms a first blowing space 101 in which the indoor fan 34 and the evaporator 44 are placed, and a second blowing space 102 in which the outdoor fan 35 and the condenser 42 are placed. do.

도 5를 참조하면, 바디(300)는, 케이스(10) 내부에 압축기(41)가 배치되는 수용공간(373)을 형성한다. 수용공간(373)은 제1송풍공간(101)의 하측에 배치된다. 바디(300)는, 케이스(10) 내부에서 펌프(46)가 배치되는 펌프수용부(384)를 형성한다. 펌프수용부(384)는 제2송풍공간(102)의 하측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5, the body 300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373 in which the compressor 41 is placed inside the case 10. The receiving space 373 is disposed below the first blowing space 101. The body 300 forms a pump receiving portion 384 in which the pump 46 is disposed within the case 10. The pump receiving portion 384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lowing space 102.

도 8을 참조하면, 제1송풍공간(10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높이(H1)는, 제2송풍공간(10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높이(H2)보다 작게 형성된다. 펌프수용부(384)가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길이(H4)는 수용공간(373)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H3)보다 짧게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height H1 formed by the first blowing space 101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height H2 formed by the second blowing space 10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ngth H4 formed by the pump receiving portion 384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H3 formed by the receiving space 373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5를 참조하면, 바디(300)는, 실내팬모터가 배치되는 제1구동공간(315)을 형성한다. 제1구동공간(315)은 제1송풍공간(101)과 수용공간(373) 사이에 배치된다. 바디(300)는, 실외팬모터가 배치되는 제2구동공간(335)을 형성한다. 제2구동공간(335)은 제2송풍공간(102)과 펌프수용부(384) 사이에 배치된다. 바디(300)는, 펌프수용부(384)의 전방을 커버하는 제1펜스(381)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body 300 forms a first driving space 315 in which an indoor fan motor is placed. The first driving space 315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lowing space 101 and the receiving space 373. The body 300 forms a second driving space 335 where an outdoor fan motor is placed. The second driving space 335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lowing space 102 and the pump receiving portion 384. The body 300 includes a first fence 381 that covers the front of the pump receiving portion 384.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컨트롤박스(51)는, 제1펜스(381)의 전방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S. 3 and 5 , the control box 5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fence 381.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바디(300)는, 실내팬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2측벽(10b)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바디(310)과, 실외팬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측벽(10a)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제2 바디(330)를 포함한다. 제1 바디(310)에서 제2측벽(10b)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볼록단부(310b)는, 제2 바디(330)에서 제1측벽(10a)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볼록단부(330b)보다 상기 제2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ures 4 and 5, the body 300 includes a first body 310 that is convexly formed toward the second side wall 10b to form a space in which an indoor fan is placed, and a space in which an outdoor fan is placed. It includes a second body 330 that is convexly formed toward the first side wall 10a. The first convex end 310b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side wall 10b in the first body 310 is a second convex e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ide wall 10a in the second body 330 ( It is disposed closer to the second side wall than 330b).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바디(300)는, 케이스(10) 내측을 제1공간(101, 또는 '제1송풍공간')과 제2공간(102. 또는 '제2송풍공간')으로 구획한다. 실내팬(34)은, 제1공간(101)에 배치되고, 흡입구(11)로부터 토출구(12)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킨다. 실외팬(35)은, 제2공간(102)에 배치되고, 실외흡입구(16)로부터 실외토출구(17)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킨다. 증발기(44)는, 제1공간(101)에 배치되고, 흡입구(11)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응축기(42)는 제2공간(102)에 배치되고, 실외흡입구(16)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Referring to Figures 4 and 5, the body 300 has a first space (101, or 'first blowing space') and a second space (102, or 'second blowing space') inside the case 10. divided into The indoor fan 34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101 and creates an air flow from the intake port 11 to the discharge port 12. The outdoor fan 35 is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102 and creates an air flow from the outdoor intake port 16 to the outdoor discharge port 17. The evaporator 44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101 and exchanges heat with th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11. The condenser 42 is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102 and exchanges heat with the air flowing into the outdoor intake port 16.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바디(300)는, 실내팬(34)이 배치되도록 제2공간(102)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볼록부(310a)와, 실외팬(35)이 배치되도록 제1공간(101)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볼록부(330a)를 포함한다. 제1볼록부(310a)는, 실외흡입구(16)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제2볼록부(330a)는 흡입구(11)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body 300 has a first convex portion 310a formed convexly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pace 102 so that the indoor fan 34 is disposed, and an outdoor fan 35. It includes a second convex portion 330a that is convexly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pace 101 to be disposed. The first convex portion 310a protrudes convex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door intake port 16 is disposed. The second convex portion 330a protrudes convex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port 11 is disposed.

도 5를 참조하면, 제2볼록부(330a)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는, 제1볼록부(310a)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바디(300)는, 제2볼록부(330a)의 하측으로 압축기가 배치되는 수용공간(373)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length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330a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convex portion 310a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ody 300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373 in which the compressor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convex portion 330a.

도 3 내지 도 5, 도 10을 참조하면, 제2볼록부(330a)의 전방으로 증발기(44)가 배치되는 상기 제1공간(101)과 컨트롤박스(51)가 배치되는 제3공간(103)이 형성된다. 컨트롤박스(51)는 증발기(44)의 하측에 배치된다. 3 to 5 and 10, the first space 101 in which the evaporator 44 is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330a and the third space 103 in which the control box 51 is located ) is formed. The control box 51 is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44.

바디(300)는, 제2공간(102)의 하측으로 펌프(46)가 배치되는 펌프수용부(384)를 형성한다. 바디(300)는 제3공간(103)과 펌프수용부(384)를 구획하는 제1펜스(381)를 포함한다.The body 300 forms a pump receiving portion 384 in which the pump 46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pace 102. The body 300 includes a first fence 381 that partitions the third space 103 and the pump receiving portion 384.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can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patent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ts scop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Any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In 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each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or combined.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this means that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a particular embodiment and/or drawing may be combined with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and/or drawings. In other words, even if the combination between components is not directly explained, it means that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cases where it is explained that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ny respect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공기조화기 10: 케이스
20: 베인 300: 바디
310: 제1 바디 320: 제1 외벽
330: 제2 바디 340: 제2 외벽
350: 탑플레이트 360: 격벽
370: 압축기하우징 380: 펜스
1: Air conditioner 10: Case
20: vane 300: body
310: first body 320: first outer wall
330: second body 340: second outer wall
350: Top plate 360: Bulkhead
370: Compressor housing 380: Fence

Claims (18)

제1측벽에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측벽에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측벽에 실외흡입구와 실외토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실내팬;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흡입구로부터 상기 실외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실외팬;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응축기;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냉매를 압축시켜 상기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팬과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제1송풍공간과, 상기 실외팬과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제2송풍공간을 형성하는 바디; 및
상기 케이스 바닥면으로 낙하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기의 상측으로 압출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압축기가 배치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펌프가 배치되는 펌프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수용부가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a case forming an inlet and an outlet on a first side wall, and forming an outdoor inlet and an outdoor outlet on a second side wall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ide wall;
an indoor fan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forming an airflow from the intake port to the discharge port;
an outdoor fan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forming an air flow from the outdoor intake port to the outdoor discharge port;
an evaporato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heat-exchanging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A condense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heat-exchanging air flowing into the outdoor intake port;
a compressor disposed inside the case, compressing refrigerant and sending it to the condenser;
a body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forming a first blowing space in which the indoor fan and the evaporator are disposed, and a second blowing space in which the outdoor fan and the condenser are disposed; and
It includes a pump that extrudes condensate falling to the bottom of the case to the upper side of the condenser,
The body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compressor is placed inside the case, and a pump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pump is placed in the cas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length of the pump receiving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receiving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제1송풍공간의 하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space is an air conditioner disposed below the first blowing sp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높이는, 상기 제2송풍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2,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height of the first blowing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blowing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수용부는 상기 제2송풍공간의 하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ump receiving part is an air conditioner disposed below the second blowing spa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팬을 구동시키는 실내팬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실내팬모터가 배치되는 제1구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구동공간은 상기 제1송풍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door fan motor that drives the indoor fan,
The body forms a first driving space where the indoor fan motor is disposed,
The first driving space is an air condition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blowing space and the receiving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팬을 구동시키는 실외팬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실외팬모터가 배치되는 제2구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구동공간은 상기 제2송풍공간과 상기 펌프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utdoor fan motor that drives the outdoor fan,
The body forms a second driving space where the outdoor fan motor is disposed,
The second driving space is an air condition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lowing space and the pump receiving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펌프수용부의 전방을 커버하는 제1펜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5,
The body is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first fence covering the front of the pump receiving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팬 및 실외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가 배치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제1펜스의 전방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use 9,
It includes a control box in which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oor fan and the outdoor fan is placed,
The control box is an air conditioner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fe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실내팬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측벽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바디; 및
상기 실외팬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측벽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제2 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is,
a first body convexly formed toward the second side wall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indoor fan is disposed; an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second body convexly formed toward the first side wall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outdoor fan is dispos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2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볼록단부는,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제1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볼록단부보다 상기 제2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convex end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side wall in the first body is disposed closer to the second side wall than the second convex end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ide wall in the second body. energy.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setup registration fee.◈ 제1측벽에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측벽의 반대면인 제2측벽에 실외흡입구와 실외토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측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바디;
상기 제1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실내팬;
상기 제2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흡입구로부터 상기 실외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실외팬;
상기 제1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상기 제2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실외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실내팬 및 실외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가 배치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실내팬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2공간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볼록부와, 상기 실외팬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1공간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볼록부는, 상기 실외흡입구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제2볼록부는 상기 흡입구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제2볼록부의 전방으로 상기 증발기가 배치되는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컨트롤박스가 배치되는 제3공간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a case forming an inlet and an outlet on a first side wall, and forming an outdoor inlet and an outdoor outlet on a second side wall opposite the first side wall;
a body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dividing the inside of the case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n indoor fan disposed in the first space and forming an airflow from the intake port to the discharge port;
an outdoor fan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and forming an airflow from the outdoor intake port to the outdoor discharge port;
an evaporator disposed in the first space and heat-exchanging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a condenser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and heat-exchanging air flowing into the outdoor intake port; and
It includes a control box in which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oor fan and the outdoor fan is placed,
The body includes a first convex portion formed convexly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pace so that the indoor fan is disposed, and a second convex portion formed convexly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pace so that the outdoor fan is disposed,
The first convex portion protrudes convex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door intake port is disposed,
The second convex portion protrudes convex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is disposed,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first space in which the evaporator is disposed and the third space in which the control box is disposed are formed in front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삭제delete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setup registration fe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볼록부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는, 상기 제1볼록부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2볼록부의 하측으로 압축기가 배치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3,
The length at which the second convex portion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at which the first convex portion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ody is an air conditioner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compressor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convex portion.
삭제delete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setup registration fe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3,
The control box is an air conditioner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8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setup registration fe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제2공간의 하측으로 펌프가 배치되는 펌프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제3공간과 상기 펌프수용부를 구획하는 제1펜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3,
The body forms a pump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pump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space,
The body is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first fence dividing the third space and the pump receiving portion.
KR1020230105800A 2023-08-11 Air conditioner KR1026661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5800A KR102666137B1 (en) 2023-08-11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731A KR20230158963A (en) 2022-05-13 2022-05-13 Air conditioner
KR1020230105800A KR102666137B1 (en) 2023-08-11 Air conditio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731A Division KR20230158963A (en) 2022-05-13 2022-05-13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331A KR20230159331A (en) 2023-11-21
KR102666137B1 true KR102666137B1 (en) 2024-05-17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708B1 (en) * 2019-10-25 2021-11-16 주식회사 파세코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708B1 (en) * 2019-10-25 2021-11-16 주식회사 파세코 Window type air-conditioner having condensate dry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1593A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50000366A (en) Built-in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KR102666137B1 (en) Air conditioner
KR20230159331A (en) Air conditioner
KR101198577B1 (en) Open and close structure of outdoor air suction equipment
KR20050012223A (en)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550793B1 (en)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KR102501953B1 (en) Movable air conditioner
KR102492753B1 (en) Movable air conditioner
KR20060124391A (en)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666144B1 (en) Air conditioner
KR20230158960A (en) Air conditioner
KR200156408Y1 (en) Indoor unit of separating type airconditioner
KR20230158961A (en) Air conditioner
KR102162354B1 (en) Outdoor Unit
KR102438932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230159332A (en) Air conditioner
KR200186559Y1 (en) One-body type airconditioner
JP2018119714A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JP7025682B2 (en) Duct type air conditioner
JP6923845B2 (en) Duct type air conditioner
KR20230158955A (en) Air conditioner
KR100564457B1 (en) Air conditioner
KR100697198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20240049034A (e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