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953B1 - Movable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Movable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1953B1 KR102501953B1 KR1020180002520A KR20180002520A KR102501953B1 KR 102501953 B1 KR102501953 B1 KR 102501953B1 KR 1020180002520 A KR1020180002520 A KR 1020180002520A KR 20180002520 A KR20180002520 A KR 20180002520A KR 102501953 B1 KR102501953 B1 KR 1025019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conditioner
- blowing
- air
- discharge
- heat exchang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되는 토출구 측부에 이슬(물방울)이 생성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송풍노즐은 내측면에 상기 송풍노즐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토출구를 향하여 비스듬히 형성된 유로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air conditioner capable of reducing the generation of dew (water droplets) on the side of an outlet through which cooled air is discharged into a roo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air conditioner having a passage guide protrusion formed obliquely toward the discharge port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wing nozzle extend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lowing nozz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되는 토출구 측부에 이슬(물방울)이 생성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air conditioner capable of reducing the generation of dew (water droplets) on the side of an outlet through which cooled air is discharged into a room.
일반적으로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증발기(일반적으로는 실내열교환기), 팽창밸브, 응축기(일반적으로는 실외열교환기) 등의 구성부품이 단일 제품에 일체로 포함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In general, a mobile air conditioner has a form in which components such as a compressor, an evaporator (generally an indoor heat exchanger), an expansion valve, and a condenser (generally an outdoor heat exchanger) are integrally included in a single product.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실외기가 별도로 구비되는 일반적인 공조장치에 비하여 설치가 간편하여 소비자가 스스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동 설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Compared to general air conditioners in which an outdoor unit is provided separately, the mobile air conditioner is easy to install, so that consumers can install it by themselves,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movable and installed.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상가,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공간에서 창문과 인접한 장소에는 자유롭게 설치가 가능하다.The mobile air conditioner can be freely installed in a place adjacent to a window in an indoor space such as a shopping mall, office, or home.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냉방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냉매의 역방향 순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냉방사이클과 난방사이클이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general, a mobile air conditioner performs only a cooling function of cooling indoor air, but a cooling cycle and a heating cycle may be switched by enabling reverse circulation of a refrigerant.
근래에는 바닥에 이동바퀴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형태의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개발과 보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obile air conditioners having moving wheels attached to the bottom so that users can easily move them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응축기와 증발기가 하나의 장치 내부에서 구획된 공간에 구분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크기를 소형화하여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냉매와 열교환되어 건물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별도의 설치 덕트를 이용하여 창틀에 설치될 수 있다.The mobile air conditioner can be moved by miniaturizing the size by installing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in a divided state in a partitioned space inside one device. In addition, air that is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may be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using a separate installation duct.
이와 같이,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므로 설치를 위한 별도의 기술을 습득한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가 손쉽게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원하는 장소에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mobile air conditioner is easy to move and install, the user can easily place and install the mobile air conditioner in a desired place without the help of an expert who has acquired a separate installation technique.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이동이 가능하여 원하는 장소의 공기조화를 이룰 수 있으며, 설치를 위하여 건물에 별도의 시공을 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가 손쉽게 이동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Since the portable air conditioner can be moved, it is possible to achieve air conditioning in a desired place, and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separate construction on the building for installation, and since the user can easily move and install it, it is possible to save installation costs.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종래와 같이 벽이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바닥에 거치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므로, 공기조화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는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Since the mobil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used while mounted on the floor rather than being installed on a wall or ceiling as in the prior art, the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air-conditioned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is generally formed at the top of the mobile air conditioner. .
그리고,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상부에 충분한 토출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토출구는 측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토출구가 측방으로 길게 형성되다 보니, 이동형 공기조화기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에서 송풍되는 공기조화된 공기가 토출구의 측부까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여 토출구의 측면에서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a sufficient discharge area at the top of the mobile air conditioner, the discharge port is generally formed to be long in the side. Since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laterally, condensation may occur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port because the air-conditioned air blown from the blower installed inside the mobile air conditioner is not sufficiently supplied to the side of the discharge port.
이동형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눈높이 보다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토출구 측면에 생성된 이슬(물방울)은 사용자에게 쉽게 인식되고 사용자의 신체나 옷에 물기가 묻을 가능성이 높다. 다시말해,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측면에 물방울 맺히게 되면, 이로 인해 외관 품질과 감성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Since the mobile air conditioner is generally located below the user's eye level, the dew (water droplets) generated on the side of the outlet is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and is highly likely to get wet on the user's body or clothes. In other words, when water droplets form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mobile air conditioner, it has a problem in that appearance quality and emotional quality are deteriorated.
따라서, 공기조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 측부까지 공기조화된 공기가 강제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가 구동될 때 토출부 측면에서 이슬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preventing dew from being generated at the side of the discharge port when the mobil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by allowing the air-conditioned air to be forcibly supplied to the side of the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air-conditioned air is discharged.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공기조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에 유로변화를 가함으로써 토출부 측부에서 이슬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ew from being generated at the side of the discharge unit by applying a flow path change to the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air-conditioned air is discharged in a mobile air conditione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용공간을 제2 수용공간 및 제1 수용공간으로 상하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제2 수용공간이 상기 케이스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좌우 측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제2 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송풍유닛은, 상기 제2 송풍유닛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 송풍부와, 상기 제2 송풍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송풍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송풍노즐은 상기 토출구의 하부에서 상기 토출구를 오버랩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송풍부 측에서 일측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송풍노즐은 내측면에 상기 송풍노즐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토출구 측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유로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e for forming an exterior, a partition plate for vertically partitioning an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inside the case into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a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It includes a discharge port formed long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cas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case and a second blowing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to discharge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The second blowing unit includes a second blowing uni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blowing unit is discharged, and a blowing nozzl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blowing unit. It is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second blower so that the discharge port can be overlapped and connected, and the blow nozzle is provided with a flow guide protrusion formed obliquely toward the discharge port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w nozzle extends on the inner surface. Movable type Air conditioning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유로가이드돌기는 상기 송풍노즐이 연장된 방향으로 복수개 나열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low guide protrusions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lowing nozzle extends.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토출부로 배출되는 냉각된 공기가 토출구의 측방으로 강제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의 온도를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구의 온도가 유사하게 유지되어 온도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면서 생성되는 물방울이 사용자의 신체나 옷에 묻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작 후에도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Cool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cibly supplied to the side of the outlet.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port can be kept similar. 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port is maintained similarly, dew condensation caused by a rapid change in temperature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discomfort caused by water droplets generated while the mobile air conditioner is being operated on the user's body or clothes, and to maintain a clean appearance even after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설치키트와 배관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부품이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부품이 설치된 구획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구획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베이스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제2 송풍유닛과 제2 송풍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토출루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토출루버가 도 9의 제2 송풍부에 장착되어 개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유로가이드돌기가 송풍노즐 측면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유로가이드돌기가 송풍노즐 측면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송풍노즐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송풍노즐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송풍노즐에 형성된 토출루버와 유로가이드돌기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의 송풍노즐에 형성된 토출루버와 유로가이드돌기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형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개념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kit and the pipe part are mounted in FIG.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plate on which parts are installed in a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tion plate in which parts are installed in a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tion plate of a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plate of a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econd blowing unit and a second blowing part of a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louver of a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louver of FIG. 10 is opened and closed while being attached to the second blower of FIG. 9 .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low guide protrusions of the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blowing nozzle.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low guide protrusions of a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a blowing nozzle.
1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a blowing nozzle.
1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ir discharged from a blowing nozzle of a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louver and flow guide protrusions formed in a blow nozzle of a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1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louver and a flow guide protrusion are provided in a blow nozzle of a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ir flows inside a mobi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or substitut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실시에의 외관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설치키트(1200)와 배관부(130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a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케이스는 전후방 및 측방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나의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제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할 수 있도록, 전방측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측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케이스(1100)로 구비될 수 있다.The case may consist of a single case forming the front, rear and side exteriors, but the
전후방케이스(1000,1100)의 하부에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고, 전후방케이스(1000,1100)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100)가 전후방케이스(1000,1100)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전방은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배치될 때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lower outer portion of the front and
일반적으로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냉매가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하며, 주변의 공기와 두 차례 열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냉매와 주변의 공기가 열교환을 이룰 수 있도록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내부의 수용공간에 제1,2 열교환기가 구비되는데,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의 수용공간을 구획하여 각각의 수용공간에 제1,2 열교환기를 설치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소형화하고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general, the
이에 따라, 전후방케이스(1000,1100) 및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의해 규정되는 수용공간은 구획플레이트(600)에 의해 상측의 제2 수용공간 및 하측의 제1 수용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ccommodating space defined by the front and
제2 수용공간에는 제2 열교환기(800)와 이에 인접하는 제2 송풍유닛(700)이 설치되고, 제2 열교환기(800)와 제2 송풍유닛(700)은 구획플레이트(600)에 장착될 수 있다.A
그리고, 제1 수용공간에는 제1 열교환기(500)와 이에 인접하는 제1 송풍유닛(300)이 설치되고, 제1 열교환기(500)와 제1 송풍유닛(300)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된 제1 열교환기(500)와 제1 송풍유닛(300)은 그 상단면이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을 지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op surfaces of the
케이스에는 외부의 공기가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흡입구와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기구(1180) 및 토출부(104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구는 제2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2 흡입구 및 제1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1 흡입구로 구비될 수 있다.A suction port through which external air can flow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
상하부로 구획된 수용공간에서 각각 냉매의 응축과 증발이 구분되어 일어나며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가령, 제1 열교환기(500)는 응축기로 작동하고 제2 열교환기(800)는 증발기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각각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제1,2 열교환기(500,800)는 압축기(202)와 냉매배관(400)으로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Condensation and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occur separately in the receiving spac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heat exchange may occur. For example, the
이와 같이,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등의 구성부품이 단일 제품에 일체로 구성된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이동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this way, the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측의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케이스(110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개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전방케이스(1000)는 전반부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후방케이스(1100)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후방부 외관은 물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후방케이스(1100)에는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건물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관부(130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A
배관부(1300)는 상하로 구획된 제2 수용공간 또는 제1 수용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배관부(1300)는 응축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가 설치된 수용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된다.The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냉방을 위해 작동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압축기(202)를 통과한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배관부(1300)를 따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하여 배관부(1300)는 응축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가 설치된 수용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Referring to the case where the
아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제1 열교환기(500)가 응축기로 작동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냉방기로 구동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Below, as shown, the
배관부(1300)는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배관파이프(1310), 배관노즐(1320) 배관커넥터(1330) 및 배관그릴(1340)로 구비될 수 있다.The
배관파이프(1310)는 원통 형상의 긴 관으로 이루어져 배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배관노즐(1320)은 배기파이프를 통해 유동되는 배기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단부이다.The
배관파이프(131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벤딩(ben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배관커넥터(1330)는 후방케이스(1100)와 배관파이프(1310) 사이에 구비되어, 배관파이프(1310)의 일단이 후방케이스(1100)에 장착되도록 안내하게 된다.Further, the
후방케이스(1100) 하부에는 제1 수용공간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기구(1180)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배관파이프(1310)의 일단이 배관커넥터(1330)에 의해서 배기구(1180)와 연결될 수 있다.An
배관부(1300)는 수용공간 내부에서 열교환이 일어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후방케이스(1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외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배관부(1300)의 타단은 창틀을 통하면 실외로 용이하게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창은 실내와 실외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개폐가 용이하게 구성되기 때문이다.The other end of the
즉, 배관부(1300)의 타단의 직경만큼 창을 열고, 창이 열린 틈으로 배관부(1300)의 타단이 실외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벽을 타공하지 않고 배관부(1300)의 타단을 실외로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the window is opened as much as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of the
다만, 배관부(1300)의 타단을 창틀에 거치할 때, 배관부(1300)의 타단을 창틀에 고정시키고, 창 틈을 밀폐시킬 수 있는 설치키트(1200)가 요구된다.However, when the other end of the
설치키트(1200)는 배관부(1300)의 직경에 대응하여 창이 열린 틈을 막아주면서 배관부(1300)의 타단이 움직이지 않도록 배관부(1300)의 타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이다.The
따라서, 설치키트(1200)는 창 틈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되고, 배관부(1300)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설치키트(1200)는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facilitat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구성하는 배관부(1300)와 설치키트(12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부를 구성하는 부품으로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와는 별도로 운용될 수 있다.The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보관 및 이동할 때, 배관부(1300)와 설치키트(1200)의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관부(1300)와 설치키트(1200)를 후방케이스(1100)에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When storing and moving the
가령,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케이스(1100)에 형성된 설치키트 수납부(1170)에 설치키트(1200)를 삽입하여 이동형 공기조화기(10)와 설치키트(1200)가 일체로 거동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the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는 부품이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부품이 설치된 구획플레이트(600)의 사시도이다.4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케이스(1000)는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케이스(1000)는 측방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외관을 라운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외관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As shown, the central portion of the
케이스의 상부에는 토출부(1041)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1041)는 전후방케이스(1000,1100)에 걸쳐 형성되거나 전방케이스(1000)에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discharge unit 1041 may be formed on the top of the case. The discharge unit 1041 may be formed over the front and
토출부(1041)에는 토출부(1041)를 관통하는 토출구(1044)가 형성되어 토출부(1041)가 케이스에 구비되었을 때, 케이스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토출구(1044)의 하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송풍노즐홀(727)과 연통되고, 토출구(1044)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사각 형상을 이루며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1044)의 토출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A
토출부(1041)는 별도의 토출프레임(1040)에 형성되어 토출프레임(1040)이 케이스 상부에 장착됨으로써 케이스 상부에 토출부(1041)가 마련될 수 있다. 또는, 토출부(1041)는 별도의 토출프레임(1040)에 구성되지 않고, 케이스 상부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The discharge part 1041 may be formed in a
토출부(1041)가 별도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든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든 토출부(1041)는 수용공간에서 공기조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실내에서 바닥에 배치되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Whether the discharge part 1041 is formed as a separate frame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e, the discharge part 1041 is a part through which the air-condition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s formed on the top of the
일실시예로, 토출부(1041)는 케이스의 상단에 마련되어 공기조화된 공기가 상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전방측으로 공기조화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104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루버(75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charge part 1041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case to discharge the air-conditioned air upward, and to discharge the air-conditioned air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케이스의 상부에는 조작유닛(1020)이가 마련될 수 있다. 바닥에 배치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조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조작유닛(1020)은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조작유닛(1020)은는 사용자가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작동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여기는 다수의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작유닛(1020)은는 외관상 노출되는 조작판넬과 조작판넬 하부에 설치되는 PCB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The
조작유닛(1020)은 케이스에 직접 설치될 수 있지만, 조작유닛(1020)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케이스에 장착되어 하나의 모듈로서 케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The
토출부(1041)와 조작유닛(1020)은 효율과 편의를 위하여 이동형 공기조화기(10) 상부에 배치되는 점을 고려할 때, 토출부(1041)와 조작유닛(1020)은 하나의 프레임에 구성될 수도 있다.Considering that the discharge unit 1041 and the
후방케이스(1100)는 전방케이스(1000)와 결합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1100)와 전방케이스(1000)가 결합되는 점을 고려하여, 후방케이스(1100)의 선단은 전방케이스(10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The
즉, 전방케이스(1000)의 좌우 측면의 후단이 라운드진 곡률로 이루어 지거나 경사 형성된 경우, 후방케이스(1100)의 좌우 측면 선단부는 전방케이스(1000)의 좌우 측면 후단부와 대응되게 라운드진 곡률로 이루어 지거나 경사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후방케이스(1100)의 상부에는 제2 수용공간의 내외부를 관통시키는 제2 흡입구(11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입구(1110)는 실내의 공기가 제2 수용공간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A
제2 흡입구(1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제2 흡입구(1110)의 충분한 면적확보를 위하여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2 흡입구(1110)에는, 제2 흡입필터(1124)가 지지될 수 있도록, 제2 흡입필터 프레임(11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A second
제2 흡입구(1110)는 제2 흡입그릴(11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실내 공기는 제2 흡입그릴(1120)을 통과하여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흡입그릴(1120)에는 실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홀(hole)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The
제2 흡입그릴(1120)은, 실내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제2 흡입구(111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2 흡입구(1110)에는 제2 흡입필터(1124)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흡입필터(1124)는 제2 흡입그릴(112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제2 흡입구(111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에는 제1 흡입구(1130)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가 제1 수용공간 내부로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A
제1 흡입구(1130)에는 제1 흡입필터(1144)가 지지될 수 있도록, 제1 흡입필터 프레임(1142)이 더 구비될 수 있다.A first
제1 흡입구(1130)는 제1 흡입그릴(11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제1 흡입그릴(1140)은 제1 수용공간 내부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제1 흡입구(1130)에는 제1 흡입필터(1144)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흡입필터(1144)는 제1 흡입그릴(114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제1 흡입구(113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본 발명의 이동형 공기조화기(10) 하부 외관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케이스(1100)의 하단과 결합되고,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exterior of the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저면에는 다수의 이동바퀴(150)가 설치된다. 이동바퀴(15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100) 각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moving
이는 이동바퀴(15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각 모서리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이동할 때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the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 중앙부에는 제1 열교환기(5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500)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제1 냉매파이프(510) 및 제1 방열플레이트(520)로 구비될 수 있다. The
제1 열교환기(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중앙부분에 전후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후방에 배치된 제1 흡입구(113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제1 열교환기(500)를 측방으로 통과한 뒤에 다시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s shown, the
제1 열교환기(500)는 제1 냉매파이프(5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제1 방열플레이트(52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를 냉각(또는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The
즉,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흡입그릴(1140)을 통해 제1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하면서 제1 열교환기(5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되고,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배관부(130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다.That i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through the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에는 압축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다. 압축유닛(200)은 압축기(202)와 이를 지지하는 압축기 프레임(204)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압축기 프레임(204)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장착되는 압축기(202)의 공간효율과 지지강성을 고려하여 삼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A
압축기(202)의 옆에는 어큐뮬레이터(203)가 설치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203)는 액 냉매를 걸러내어 기체상태의 냉매만이 압축기(202)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n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베이스플레이트(100)에는 응축수감지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응축수감지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고이는 응축수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이를 감지하는 장치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ondensate detection device may be installed in the
응축수감지장치에서 일정량 이상의 응축수가 감지되면 알림음을 발생시키거나 외부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When the condensate detection device detects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condensate, it can generate a notification sound or display it externally.
베이스플레이트(100)에는 압축유닛(200)과 밀착하여 지지앵글(95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지지앵글(950)이 상하로 설치되어 압축유닛(200)에 측방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
제1 열교환기(500)의 일측에는 제1 열교환기(500)와 근접하여 제1 송풍오리피스(32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송풍오리피스(323)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2 송풍오리피스(722) 및 제2 송풍가이드(721)와 같은 다수의 부품을 지지할 수 있고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한 공기를 제1 송풍유닛(300) 내부로 안내한다. A
제1 송풍오리피스(323)의 일측에는 제1 송풍가이드(322)가 설치된다. 제1 송풍가이드(322)는 제1 송풍오리피스(323)와 더불어 공기의 유동을 제1 송풍구(324)로 안내한다. A
제1 송풍오리피스(323)와 제1 송풍가이드(322)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제1 임펠러(340)가 위치된다. 제1 임펠러(340)는 제1 송풍모터(330)에 의해 회전하며 제1 송풍구(324)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A
제1 송풍구(324)는 후방케이스(1100)에 형성된 배기구(1180)와 연결되는데 제1 송풍모터(330)의 회전에 의해 제1 송풍유닛(300)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1 송풍구(324)와 연결된 배기구(118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first tuyere 324 is connected to the
제1 송풍구(324)에는 제1 송풍그릴(310)이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제1 송풍그릴(310)은 제1 송풍구(324)를 통하여 제1 송풍유닛(300) 내부로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
수용공간 중앙부에는 구획플레이트(600)가 설치된다. 구획플레이트(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획플레이트(6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2 열교환기(80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며,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
구획플레이트(6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외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로 구획되는데, 구획플레이트(600)가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를 실외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Looking more specifically at the
즉, 구획플레이트(600)를 중심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수용공간에는 실외기에 해당하는 응축기가 형성되고,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수용공간에는 실내기에 해당하는 증발기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 condenser corresponding to an outdoor unit may be formed in a first accommodating space disposed below the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는 제2 열교환기(8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열교환기(800)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제2 냉매파이프(810) 및 제2 방열플레이트(820)로 구비될 수 있다.A
제2 열교환기(8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서 좌우 측방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후방에 배치된 제2 흡입구(111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제2 열교환기(800)를 후방으로 통과한 뒤에 제2 송풍유닛(70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며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s shown, the
제2 열교환기(800)는 증발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냉매파이프(8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제2 방열플레이트(82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는 열교환을 이루게 된다. 냉매는 공기로부터 열을 홉수하여 기체로 상변화하게 되고, 공기는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당해 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The
즉,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냉방기로 구동되는 경우, 후방케이스(1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흡입그릴(1120)을 통해 제2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하면서 제2 열교환기(8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는 토출구(1044)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이동형 공기조화기(10)에 유입되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부품으로 설치되는 제2 송풍유닛(700)에 의해 강제 유동될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제2 송풍유닛(700)은 다양한 종류의 송풍기가 사용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송풍기가 사용될 수 있다. 원심송풍기는 공기가 임펠러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공기량과 압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로서 낮은 압력에서 많은 공기량을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임펠러의 직경을 작게 형성할 수 있어 설치공간을 최소화 가능하므로 이동형 공기조화기(10)를 소형화할 수 있다.Although various types of blowers may be used as the
제2 열교환기(800)의 일측에는 제2 열교환기(800)와 근접하여 제2 송풍오리피스(72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송풍오리피스(722)는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한 공기를 제2 송풍오리피스(722)와 제2 송풍가이드(721)로 구비된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로 안내한다.A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에 형성된 제2 원심유로(723)를 타고 회전하며 제2 송풍구(725)를 통하여 제2 송풍유닛(7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제2 임펠러(740)가 설치된다. 제2 임펠러(740)는 제2 송풍모터(730)에 의해 회전하며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게 된다.A
제2 송풍모터(730)의 회전에 의해 제2 송풍유닛(700)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2 송풍구(725)와 연통된 토출구(1044)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Air introduced into the
한편, 구획플레이트(600)의 일측에는 컨트롤박스(900)가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90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장되는 곳이다. Meanwhile, a
컨트롤박스(900)는 구획플레이트(60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컨트롤박스(900)의 상부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부는 구획플레이트(600)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후방케이스(1100)의 후면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방케이스(1100)의 전후 길이는 상부와 후반부가 서로 상이하다. 즉,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 전후길이는 상부의 전후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이는 수용공간이 상하로 구분된 제2 수용공간과 제1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부품의 배열과 공기의 흐름을 고려하여, 제2 수용공간에는 제2 열교환기(800)를 측방으로 설치하고, 제1 수용공간에는 제1 열교환기(500)를 전후방으로 설치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부보다 하부를 크게 형성하면,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Considering the arrangement of parts install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nd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the flow of air, the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와 상부의 전후길이가 상이함에 따라, 후방케이스(1100)의 중앙부분에는 단차면이 형성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차면이 형성되지 않도록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와 상부 사이를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As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lower and upper parts of the
그리고, 후방케이스(1100) 하부에는 배기구(1180)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1180)는 제1 송풍구(324)와 연결되어 제1 열교환기(500)에서 일교환이 이루어진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으로 배관파이프(1310)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배기구(1180)는 배관파이프(1310)의 일단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제1 흡입그릴(1140)은 후방케이스(1100) 하부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 흡입그릴(11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에서 일측 부분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즉, 제1 흡입그릴(1140)이, 제1 수용공간에 유입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열교환기(50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중앙부분에서 전후로 설치된 경우, 일 측방에서 유입된 공기가 타 측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후방케이스(1100) 하부의 일 측방에는 제1 흡입그릴(1140)이 형성되고, 타 측방에는 배기구(118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이처럼 제1 흡입그릴(1140)을 후방케이스(1100)의 일측 부분에만 형성하는 이유는, 제1 흡입그릴(114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제1 흡입그릴(1140)을 통해 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제1 열교환기(500)의 측방으로 통과하여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후방케이스(1100)의 선단에는 전방케이스(1000)와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됨으로써 전후방케이스(1000,1100)가 체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for fastening with the
또는, 전방케이스(1000)에 상기 체결돌기와 암수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암수 결합함으로써 전후방케이스(1000,1100)가 체결될 수 있다.Alternatively, fasten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trusions and male and female are formed in the
전방케이스(1000)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고, 측면과 상면의 외관을 일부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방케이스(1000)의 후면에는 보강판넬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The
이와 같은 보강판넬은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판넬은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에서 생성되는 수분(응축수 등)을 흡수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Such reinforcing panels may absorb or block noise generated inside the
전면판넬은 전방케이스(1000)에 이중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전면판넬은 전방케이스(1000)에 가조립수단과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이중적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다.The front panel may be double-fixed to the
도 7에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7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플레이트(600)는 수용공간의 횡단면의 형성과 대응하여 대략 사각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케이스(1100) 사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방케이스(1000)와 후방케이스(1100)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 the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제2 바닥구획리브(602)가 형성된다. 제2 바닥구획리브(602)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 다수의 실(室)이 형성되도록 하여 응축수가 유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제2 바닥구획리브(602)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2 바닥구획리브(602)는 구획플레이트(600)와 일체로 형성되며,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Looking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second
이러한 제2 바닥구획리브(602)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열교환기(800)와 같은 다수의 부품이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제2 열교환기(800)에서 생성되어 낙하한 응축수가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서 용이하게 유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second
구획플레이트(600)에는, 다수의 바닥응축수홀(60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바닥응축수홀(604)은 제2 열교환기(800)에서 발생하여 낙하하는 응축수가 구획플레이트(600)의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In the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에는 응축수낙하가이드(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낙하가이드는 바닥응축수홀(604)을 통해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으로 이동하는 응축수가 원활하게 바로 낙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 condensate falling guide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즉, 응축수낙하가이드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으로 이동된 응축수가 타 부위로 흘러가지 않고, 바로 낙하되도록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condensed water falling guide serves to induce the condensed water mov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따라서, 응축수낙하가이드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응축수낙하가이드는 각각의 바닥응축수홀(60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응축수낙하가이드는 바닥응축수홀(604)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바닥응축수홀(604)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the condensate falling guide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한편, 구획플레이트(600)에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다수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일실시예로, 구획플레이트(600)의 선단 우측 부분에는 컨트롤박스설치구(620)가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설치구(620)는 컨트롤박스(900)의 단면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컨트롤박스설치구(620)를 상하로 가로질러 컨트롤박스(900)가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control
구획플레이트(600)의 우측단에는 냉매배관(400)이 통과하는 배관통과홀(624)이 형성될 수 있다.A pipe passage hole 624 through which the
즉, 제1 열교환기(500)와 압축기(202) 및 제2 열교환기(80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는 파이프(pipe)로 이루어지는 냉매배관(400)에 의해 유동되는데, 이러한 냉매배관(400)이 배관통과홀(624)을 통해 상하로 설치되는 것이다. That is, the refrigerant flowing between the
한편, 구획플레이트(600)의 좌우 측면 선단 부근에는 케이스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이나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fastening grooves or fastening protrusions for fastening with the case may be formed near the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도 8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8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수용공간의 바닥부 횡단면의 형성과 대응하여 대략 사각형상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제1 바닥구획리브(102)가 형성된다. 제1 바닥구획리브(102)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다수의 실(室)이 형성되도록 하여 응축수가 유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제1 바닥구획리브(102)가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 상면으로 유입되는 응축수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단에 형성된 응축수배출구(130) 측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Looking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first
이러한 제1 바닥구획리브(102)는 구획플레이트(600)와 일체로 형성되며,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그리고, 제1 바닥구획리브(102)는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열교환기(800)와 같은 다수의 부품이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제1 열교환기(500)에서 생성되어 낙하한 응축수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서 용이하게 유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상면에 형성된 제1 바닥구획리브(102)를 따라 형성된 응축수의 유로의 일측에 스플래시 날개(112)와 스플래시 모터(114)로 구성되는 스플래시 팬(110)이 마련될 수 있다.In the
스플래시 날개(112)는 스플래시 팬(110)의 중앙부에 회전축이 연결된 스플래시 모터(114)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The
스플래시 날개(112)는 제1 바닥구획리브(102)를 따라 형성된 응축수의 유로를 흐르는 응축수가 제1 열교환기(500) 측으로 분무되도록 할 수 있다.The
이는 제1 열교환 측으로 응축수를 분무하여 제1 열교환기(5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의 열교환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facilitate heat exchang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도 9는 제2 송풍유닛(700)과 제2 송풍유닛(700)에 마련된 제2 송풍부(724)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토출루버(75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토출루버(750)가 도 9의 제2 송풍부(724)에 장착되어 개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제2 송풍유닛(700)은, 원심송풍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2 송풍유닛(7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노즐(726), 제2 임펠러(740), 제2 송풍모터(730) 및 제2 송풍하우징(72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제2 송풍하우징(720)은 제2 송풍오리피스(722)와 제2 송풍가이드(721)로 구비될 수 있다.The
제2 송풍오리피스(722)는 중앙부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공기가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에는 제2 임펠러(740)가 설치되고 제2 송풍하우징(720) 일측에 마련된 제2 송풍모터(730)에 의해 회전하며,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제2 임펠러(740)의 회전에 의해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에 제2 임펠러(740)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제2 원심유로(723)를 따라 회전하며 제2 송풍부(724)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A
제2 송풍부(724)는,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제2 송풍하우징(720)의 일측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제2 원심유로(723)와 연통되는 제2 송풍구(725)가 관통 형성된다. 제2 송풍부(724)는 제2 원심유로(723)를 따라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2 송풍하우징(7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2 송풍부(724)의 단부에는 송풍노즐(7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송풍노즐(726)은 제2 송풍부(724) 측에서 일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토출구(1044)와 오버랩된 상태로 토출부(1041)의 하단과 밀착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blowing
공기조화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1044)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고려하여, 토출구(1044)의 충분한 토출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동형 공기조화기(10) 상부에서 측방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제2 송풍구(725)는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 증가를 위해 토출구(1044)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Considering that the
따라서, 송풍노즐(726)은 제2 송풍부(724)와 토출부(1041) 사이에서 제2 송풍구(725)에서 토출구(1044)로 배출되는 공기조화된 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온전히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송풍부(724)에는 제2 송풍그릴(71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외부에서 제2 송풍구(725)를 통화여 제2 송풍유닛(7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As shown, the
제2 송풍부(724)는 제2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곳으로서, 제2 송풍그릴(710)은 제2 송풍구(725)로 먼지와 같은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보다, 제2 송풍구(725)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어 제2 임펠러(740)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The
따라서, 제2 송풍그릴(710)은 제2 송풍구(725)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제2 송풍구(725)를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일실시예로 제2 송풍그릴(7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각형 구조를 이르는 홀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한편, 제2 송풍구(72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변할 수 있도록 송풍노즐(726)에 토출루버(750)가 설치될 수 있다. 토출루버(750)는 토출덮개(751), 토출리브(752) 및 리브회전축으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토출덮개(751)는 제2 송풍구(725)를 차폐하는 부분으로서,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구동되지 않을 때에, 토출덮개(751)가 제2 송풍구(725)를 차폐함으로써 제2 송풍구(725)를 통하여 내부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또한, 토출덮개(751)가 제2 송풍구(725)를 차폐한 상태에서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토출리브(752)는, 토출덮개(75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토출리브(753) 및 토출덮개(751)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토출리브(754)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rib 752 may include a
토출덮개(751)와 토출리브(752)에 의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유로(756)를 따라 제2 송풍부(724)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전환되며 공기조화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구동될 때 제2 송풍부(724)가 개방되고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구동되지 않을 때 제2 송풍부(724)가 차폐될 수 있도록, 토출루버(750)는 회전하며 제2 송풍부(724)를 개폐할 수 있다.The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루버(750)는 양측에 루버회전축(758)이 측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어, 루버회전축(758)이 제2 송풍유닛(700)에 형성된 루버설치홈(760)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루버설치홈(760)은 제2 송풍유닛(700)의 제2 송풍부(724)에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the
한쌍으로 형성되는 루버설치홈(7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루버설치홈(760)에는 토출루버(75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루버모터(770)가 설치될 수 있다. 루버모터(770)가 제공하는 회전동력에 의해 토출루버(750)가 회전하며 제2 송풍부(724)를 차폐하게 되는데, 토출루버(750)가 회전하는 동안 제2 송풍그릴(710)과 토출리브(752)가 간섭하지 않도록 제2 송풍그릴(710)과 토출리브(752)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유로가이드돌기(728)가 송풍노즐(726) 내측면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유로가이드돌기(728)가 송풍노즐(726) 내측면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5는 송풍노즐(726)에서 공기의 유동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6은 유로가이드돌기(728)에 의해 변화되는 공기의 유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수용공간이 케이스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케이스 상부에 좌우 측으로 연장 관통되는 토출구(1044)가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송풍노즐(726)은 제2 송풍부(724)의 단부에 형성되되, 토출구(1044)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송풍노즐(726)은 제2 송풍부(724) 토출구(1044)의 하부에서 토출구(1044)를 오버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송풍구(725)에서 토출구(1044)를 통하여 공기조화된 공기를 배출할 때, 공기조화된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blowing
송풍노즐(726)은 토출구(1044)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2 송풍부(724)에서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송풍노즐(726) 하부에는 제2 송풍유닛(700) 일측으로 빈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노즐 하부에 제2 송풍유닛과 인접하여 컨트롤박스가 설치될 수 있다.Since the
토출구(1044)는 토출면적이 확보되도록 케이스 상부에 좌우측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반면에, 제2 송풍구(725)는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작게 형성되므로, 제2 송풍구(725)의 면적이 토출구(1044)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The
따라서, 제2 송풍구(725)와 토출구(1044)가 송풍노즐홀(727)에 의해 연통되더라도 제2 송풍구(725)에서 배출되는 공기조화된 공기가 제2 송풍구(725)로 고르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즉, 토출구(1044)에서 제2 송풍구(725)와 인접한 부분을 제외한 영역은 제2 송풍구(725)에서 배출되는 냉각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냉각된 공기와 외기가 만나면서 토출구(1044) 측에 결로가 발생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cooled air discharged from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제2 송풍구(725) 일측에서 생성되는 이슬(물방울)이 저감될 수 있도록, 송풍노즐(726) 내측면에 송풍노즐(726)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토출구(1044)를 향하여 비스듬히 형성되는 유로가이드돌기(728)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유로가이드돌기(72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노즐(726)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송풍노즐(726)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제2 송풍구(725)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서, 송풍노즐(726)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송풍노즐(726)의 내측면에 형성된 유로가이드돌기(728)에 의해 토출구(1044)의 측부를 향하여 유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즉, 제2 송풍구(725)와 송풍노즐홀(727)과 토출구(1044)로 형성된 토출유로(105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된 공기 중 일부는, 토출유로(105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송풍노즐(726)의 내측면에 형성된 유로가이드돌기(728)에 의해 토출구(1044) 측부로 강제 유동될 수 있다.That is, some of the cooled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따라서, 토출구(1044) 측부에서 냉각된 공기와 외기가 만나면서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dew condensation when the cooled air and the outside air meet at the side of the
유로가이드돌기(728)는 송풍노즐(726)의 내측면을 따라 토출구(1044)로 유동하는 냉각된 공기를 토출구(1044) 측방으로 효율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044) 측으로 만곡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유로가이드돌기(728)는 송풍노즐(726)이 연장된 방향으로 복수개 나열될 수 있다. 유로가이드돌기(728)가 복수개 나열되면, 유로가이드돌기(728)는 이격 배치될 수 있으므로, 냉각된 공기 또는 토출구(1044) 단부에서 생성된 이슬(물방울)이 유동할 수 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송풍노즐(726)에 형성된 토출루버(750)와 유로가이드돌기(728)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송풍노즐(726)에 형성된 토출루버(750)와 유로가이드돌기(728)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1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용공간이 케이스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상면에 좌우 측으로 연장 관통되는 토출구(1044)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제2 송풍구(725)와 송풍노즐홀(727)과 토출구(1044)로 형성되는 토출유로(1050)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임펠러(740)의 회전에 의해 제2 송풍하우징(720) 내부로 유입되어 토출유로(105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토출루버(750)는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상측에서 토출구(1044)를 개폐할 수 있도록 토출유로(1050)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회동될 수 있다. 토출구(1044)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토출유로(1050)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되는 공기조화된 공기는 토출루버(750)에 의해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전방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The
토출루버(750)에 의해 토출유로(105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되기 때문에, 토출루버(750)에 의해 전방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된 공기 중 일부는 송풍노즐(726)의 전방 내측면과 부딪히면서 토출구(1044)의 측방으로 강제 유동될 수 있다.Sinc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따라서, 토출루버(750)가 마련된 경우에는, 토출구(1044)의 후방부에서 결로가 발생되기 쉽다. 특히, 토출덮개(751) 부분에서 이슬(물방울)이 활발하게 생성될 수 있다. 이는, 냉각된 공기가 리브유로(756)를 따라 유동하기 때문에, 토출덮개(751)의 일측과 타측 온도의 격차가 클 수 있기 때문이다.Therefore, when the
토출루버(750)가 마련된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노즐(726)의 내측면 후방으로 유로가이드돌기(72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이때, 송풍노즐(726)의 후방 내측면에 형성된 유로가이드돌기(728)는 송풍노즐(726) 내측면에서 2.5mm 내지 6mm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는, 송풍노즐(726)의 후방 내측면에 형성된 유로가이드돌기(728)가 송풍노즐(726)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돌출되되, 토출루버(750)가 회전하거나 개폐되면서 토출루버(750)의 후단이 유로가이드돌기(728)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he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형 공기조화기(10)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1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flows inside the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의 작용을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9, the operation of the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에서 냉매와 공기의 유동을 살펴본다.First, the flow of refrigerant and air in the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는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해 사용 가능하나, 여기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10)가 냉방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이때에는 제1 열교환기(500)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고, 제2 열교환기(800)는 증발기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압축기(202)와 제1 열교환기(500) 및 제2 열교환기(800) 사이에는 냉매배관(400)이 연결되어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압축기(202)로부터 기체 냉매가 압축되어 고온고압의 상태로 되어 제1 열교환기(500)로 유입되면, 제1 열교환기(500)에서는 외측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는 응축된다.Therefore, when the gaseous refrigerant is compressed from the
그런 다음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하면서 팽창되어, 제2 열교환기(800)로 유입된다.Then,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expanded while passing through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and introduced into the second heat exchanger (800).
제2 열교환기(800)로 유입된 냉매는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증발한다. 따라서, 냉매는 기체상태가 되는데, 이때 액체상태의 냉매도 잔류하게 되어 실제로는 2상의 냉매가 혼재한다.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이러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203)를 통과한 후에 다시 압축기(202)에 유동하여 냉매의 순환사이클(cycle)을 완성하게 된다.After passing through the
한편, 공기는 제1 열교환기(500) 및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하게 된다.Meanwhile, air exchanges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우선 방열측(제1 수용공간)에서의 공기 유동(도면에서는 검은색 화살표로 표시됨)을 살펴본다. 이때의 공기 유동은 기본적으로 제1 임펠러(340)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First, air flow (indicated by a black arrow in the drawing) in the heat radiation side (first accommodating space) will be examined. Air flow at this time is basically generated by the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제1 송풍모터(330)가 구동하게 되면, 이러한 제1 송풍모터(33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임펠러(340)가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따라서, 후방케이스(1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흡입구(1130)을 통해 후방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1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방향을 전환하여 측방으로 유동하게 되며,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한다.Accordingly, air from the rear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하는 공기는 온도가 상승한다. 즉, 제1 열교환기(500)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이러한 제1 열교환기(5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공기는 고온 상태가 된다.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제1 열교환기(500)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는 제1 송풍오리피스(323)를 통과하여 제1 임펠러(340) 중앙부로 유입된다. 제1 임펠러(340) 중앙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임펠러(340)의 회전에 의해 방사상으로 유동되어 제1 송풍가이드(322)와 제1 송풍오리피스(323) 내부에서 안내되어 상방으로 배출된다.The high-temperature air passing through the
제1 송풍가이드(322)와 제1 송풍오리피스(323) 내부에서 안내되어 상방으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는 배관부(1300)를 통해 건물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된다.The high-temperature air guided inside the
다음으로, 흡열측(제2 수용공간)에서 일어나는 공기의 유동(도면에서는 흰색 화살표로 표시됨)을 살펴본다. 이때의 공기 유동은 기본적으로 제2 임펠러(740)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Next, a flow of air (indicated by a white arrow in the drawing) occurring in the heat absorbing side (second receiving space) will be examined. Air flow at this time is basically generated by the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제2 송풍모터(730)가 구동하게 되면, 이러한 제2 송풍모터(73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임펠러(740)가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따라서, 외기가 후방케이스(110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흡입구(1110)를 통해 제1 수용공간으로 유입된다. 제2 흡입구(1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제2 흡입그릴(1120) 및 제2 흡입구(1110) 측에 설치된 필터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나 악취가 제거될 수 있다.Therefor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제2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제2 열교환기(800)는 증발기로 작용하므로,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passes through the
제2 열교환기(800)를 통과한 저온의 공기는 제2 송풍오리피스(722)를 통해 유동하여 제2 임펠러(740) 중앙으로 유입된다. 제2 임펠러(740) 중앙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임펠러(740)의 회전에 의해 방사상으로 토출되며, 이러한 공기는 제2 송풍가이드(721)와 제2 송풍오리피스(722) 내부에서 안내되어 상측으로 유동하게 된다.The low-temperature air passing through the
제2 송풍가이드(721)와 제2 송풍오리피스(722) 내부에서 안내되어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제2 송풍구(725)를 통해 토출루버(750)를 통과한다. 토출루버(750)를 통과하는 저온의 공기는 방향이 전환되며 배출될 수 있어 실내공간이 원활하게 냉방될 수 있다.The air guided inside the second blowing guide 721 and the
다음으로는, 응축수 유동을 살펴본다.Next, condensate flow is examined.
제2 열교환기(800)에서는 외부의 공기와 내부의 냉매 간에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하여 응축수가 생성된다.In the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제2 열교환기(800) 하부로 내려와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 떨어진다. 구획플레이트(600)의 상면에 떨어진 응축수는 제2 바닥구획리브(602)에 의해 안내되어 유동되며, 이 과정에서 바닥응축수홀(604)을 통해 구획플레이트(600)를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is process descends to the bottom of the
바닥응축수홀(604)을 통과하여 구획플레이트(600)의 하측으로 이동한 응축수는 응축수낙하가이드의 내면을 따고 흘러내리게 되며, 응축수낙하가이드의 하단에 맺힌 다음 하방으로 낙하한다.The condensat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하방으로 낙하한 응축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으로 유입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으로 유입된 응축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에 형성된 제2 바닥구획리브(602)가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단에 마련된 응축수배출구(13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The condensed water that has fallen downward may flow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응축수가 응축수배출구(130) 측으로 유동하면 응축수배출구(130)를 통하여 이동형 공기조화기(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condensate flows toward th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the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as claimed in the claims below,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ll say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10: 이동형 공기조화기 100: 베이스플레이트
102: 제1 바닥구획리브 110: 스플래시 팬
112: 스플래시 날개 114: 스플래시 모터
130: 응축수배출구 150: 이동바퀴
200: 압축유닛 202: 압축기
203: 어큐뮬레이터 204: 압축기 프레임
300: 제1 송풍유닛 310: 제1 송풍그릴
322: 제1 송풍가이드 322: 제1 송풍오리피스
324: 제1 송풍구 330: 제1 송풍모터
340: 제1 임펠러 400: 냉매배관
500: 제1 열교환기 510: 제1 냉매파이프
520: 제1 방열플레이트 600: 구획플레이트
602: 제2 바닥구획리브 604: 바닥응축수홀
620: 컨트롤박스설치구 624: 배관통과홀
700: 제2 송풍유닛 710: 제2 송풍그릴
720: 제2 송풍하우징 721: 제2 송풍가이드
722: 제2 송풍오리피스 723: 제2 원심유로
724: 제2 송풍부 725: 제2 송풍구
726: 송풍노즐 727: 송풍노즐홀
728: 유로가이드돌기 730: 제2 송풍모터
740: 제2 임펠러 750: 토출루버
751: 토출덮개 752: 토출리브
753: 수직토출리브 754: 수평토출리브
756: 리브유로 758: 루버회전축
760: 루버설치홈 770: 루버모터
800: 제2 열교환기 810: 제2 냉매파이프
820: 제2 방열플레이트 900: 컨트롤박스
950: 지지앵글 1000: 전방케이스
1020: 조작유닛 1040: 토출프레임
1041: 토출부 1044: 토출구
1050: 토출유로 1100: 후방케이스
1110: 제2 흡입구 1120: 제2 흡입그릴
1122: 제2 흡입필터 프레임 1124: 제2 흡입필터
1130: 제1 흡입구 1140: 제1 흡입그릴
1142: 제1 흡입필터 프레임 1144: 제1 흡입필터
1170: 설치키트 수납부 1180: 배기구
1200: 설치키트 1300: 배관부
1310: 배관파이프 1320: 배관노즐
1330: 배관커넥터 1340: 배관그릴
d: 이슬(물방울)10: mobile air conditioner 100: base plate
102: first bottom partition rib 110: splash fan
112: splash wing 114: splash motor
130: condensate outlet 150: moving wheel
200: compression unit 202: compressor
203: accumulator 204: compressor frame
300: first blower unit 310: first blower grill
322: first blowing guide 322: first blowing orifice
324: first tuyere 330: first blower motor
340: first impeller 400: refrigerant pipe
500: first heat exchanger 510: first refrigerant pipe
520: first heat dissipation plate 600: partition plate
602: second floor partitioning rib 604: bottom condensate hole
620: control box installation hole 624: pipe passage hole
700: second blower unit 710: second blower grill
720: second blower housing 721: second blower guide
722: second blowing orifice 723: second centrifugal flow path
724: second blower 725: second blower
726: blowing nozzle 727: blowing nozzle hole
728: flow guide projection 730: second blower motor
740: second impeller 750: discharge louver
751: discharge cover 752: discharge rib
753: vertical discharge rib 754: horizontal discharge rib
756: Live Euro 758: Louver Rotation Axis
760: louver installation groove 770: louver motor
800: second heat exchanger 810: second refrigerant pipe
820: second heat dissipation plate 900: control box
950: support angle 1000: front case
1020: control unit 1040: discharge frame
1041: discharge part 1044: discharge port
1050: discharge flow path 1100: rear case
1110: second suction port 1120: second suction grill
1122: second suction filter frame 1124: second suction filter
1130: first suction port 1140: first suction grill
1142: first suction filter frame 1144: first suction filter
1170: installation kit storage unit 1180: exhaust port
1200: installation kit 1300: piping
1310: piping pipe 1320: piping nozzle
1330: pipe connector 1340: pipe grill
d: dew (drops of water)
Claims (11)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용공간을 제2 수용공간 및 제1 수용공간으로 상하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증발기로 작동되는 제2 열교환기;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응축기로 작동되는 제1 열교환기;
상기 제2 수용공간이 상기 케이스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좌우 측으로 연장 관통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제2 송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송풍유닛은, 상기 제2 송풍유닛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 송풍부와, 상기 제2 송풍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송풍노즐과,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전방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송풍노즐 상부에 마련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루버가 구비되며,
상기 송풍노즐은 상기 토출구의 하부에서 상기 토출구를 오버랩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송풍노즐은 내측면에 상기 송풍노즐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만곡된 형태로 비스듬히 형성된 유로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case forming the exterior;
a partition plate for vertically dividing the accommodating space provided inside the case into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and a first accommodating space;
a second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nd operated as an evaporator;
a first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operated as a condenser;
a discharge port extending left and right through an upper part of the case so that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case; and
A second blowing unit install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to discharge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blowing unit includes a second blowing unit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blowing unit is discharged, a blowing nozzle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blowing unit, and a flow path for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 discharge louver is provided above the blowing nozzle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through rotation so as to be switched forward.
The blowing nozzle is formed extending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so that it can be connected by overlapping the discharge port at the bottom of the discharge port,
The blowing nozzle is a mobile air conditioner having a passage guide protrusion formed obliquely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discharge port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wing nozzle extends on an inner surface thereof.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증발기로 작동되는 제2 열교환기;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응축기로 작동되는 제1 열교환기;
상기 제1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1,2 열교환기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압축기; 및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송풍노즐 하부에 상기 제2 송풍유닛과 인접 배치되는 컨트롤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nd operated as an evaporator;
a first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operated as a condenser;
a compressor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and refrigerant pipes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The mobil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 control box install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blowing unit under the blowing nozzle.
상기 유로가이드돌기는 상기 송풍노즐이 연장된 방향으로 복수개 나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low guide projection is a mobi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in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wing nozzle is extended.
상기 제2 송풍유닛은 원심형 송풍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lowing unit is a mobi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centrifugal blow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2520A KR102501953B1 (en) | 2018-01-08 | 2018-01-08 | Movable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2520A KR102501953B1 (en) | 2018-01-08 | 2018-01-08 | Movable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4589A KR20190084589A (en) | 2019-07-17 |
KR102501953B1 true KR102501953B1 (en) | 2023-02-20 |
Family
ID=6751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2520A Active KR102501953B1 (en) | 2018-01-08 | 2018-01-08 | Movable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195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62640B (en) * | 2019-11-29 | 2025-03-11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Integrated air conditioner |
CN210921603U (en) * | 2019-11-29 | 2020-07-03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Integral air conditioner |
CN113719951A (en) * | 2020-05-11 | 2021-11-30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Washing air purifi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4796B1 (en) * | 1995-08-23 | 2004-04-06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Air conditioner |
JP2009117631A (en) * | 2007-11-07 | 2009-05-28 | Panasonic Corp | Cooling system |
-
2018
- 2018-01-08 KR KR1020180002520A patent/KR10250195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4796B1 (en) * | 1995-08-23 | 2004-04-06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Air conditioner |
JP2009117631A (en) * | 2007-11-07 | 2009-05-28 | Panasonic Corp | Cool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4589A (en) | 2019-0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41595B1 (en) | Movable air conditioner | |
KR200342074Y1 (en) | Built-in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 |
US11668473B2 (en) | Air conditioner | |
CN108119963B (en) |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KR20190106560A (en) | Movable air conditioner | |
KR102501953B1 (en) | Movable air conditioner | |
KR200342072Y1 (en) | Built-in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 |
KR102541587B1 (en) | Movable air conditioner | |
KR100605206B1 (en) | Outdoor unit installation system for air conditioner | |
KR102492753B1 (en) | Movable air conditioner | |
KR102454035B1 (en) | Movable air conditioner | |
KR102458497B1 (en) | Movable air conditioner | |
KR20050012223A (en) |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2620355B1 (en) | Air conditioner | |
CN114763930B (en) | Air conditioner | |
KR102522722B1 (en) | Movable air conditioner | |
CN212390516U (en) | Air conditioner | |
KR100573067B1 (en) | Wall-mounted outdoor unit for split type air conditioner and outdoor unit for split type air conditioner | |
CN218846291U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220065786U (en) | Air conditioner | |
KR102666137B1 (en) | Air conditioner | |
CN220042032U (en) | Air conditioner | |
CN218846290U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30036581A (en) | Front suction and 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 |
KR20060124391A (en)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with front s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1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7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1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7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2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1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10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7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2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