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330B1 - An inflatable kayak - Google Patents

An inflatable kaya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330B1
KR102665330B1 KR1020220103299A KR20220103299A KR102665330B1 KR 102665330 B1 KR102665330 B1 KR 102665330B1 KR 1020220103299 A KR1020220103299 A KR 1020220103299A KR 20220103299 A KR20220103299 A KR 20220103299A KR 102665330 B1 KR102665330 B1 KR 102665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ottom tube
kayak
attachment portion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25273A (en
Inventor
이희재
임이영
Original Assignee
(주)우성아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성아이비 filed Critical (주)우성아이비
Priority to KR1020220103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330B1/en
Priority to EP22207706.7A priority patent/EP4324733A1/en
Publication of KR20240025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2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33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63B34/21Canoes, kayak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4/22Inflatable; having inflat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 Air Bag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튜브가 경사진 외면을 가져 일반적인 카약의 경사진 고형체 구조를 적절히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바닥튜브와 측면튜브의 연결 부위에 빈 공간이 제거되어 빈 공간으로 물의 유입에 따른 제반 문제점과 불량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에 관한 것으로, 본 카약은 공기튜브 형태의 바닥튜브(1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는 측면튜브(2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개방된 양측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테이프(3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개방된 양측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테이프(30)와 접착되는 하부테이프(4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개방된 양측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테이프(30)의 단부가 외면에 부착되는 측면테이프(5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ide tube to have an inclined outer surface to properly implement the inclined solid structure of a typical kayak, and eliminates the empty space at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bottom tube and the side tube, thereby eliminating all problems and defects caused by water flowing into the empty space. This kayak relates to an inflatable kayak that smoothly solves this problem. This kayak includes a bottom tube (10) in the form of an air tube, side tubes (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and the bottom tube (10). ), an upper tape 30 attached to the open upper sides of the bottom tube 10, a lower tape 40 attached to the open lower sides of the bottom tube 10 and bonded to the upper tape 30, and the side tube ( It includes side tapes 50 that are attached to both open sides of 20) and the ends of the upper tape 30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Description

공기주입식 카약{AN INFLATABLE KAYAK}Inflatable Kayak{AN INFLATABLE KAYAK}

본 발명은 낚시 등의 레저 활동에 사용되는 공기주입식 카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튜브가 경사진 외면을 가져 일반적인 카약의 경사진 고형체 구조를 적절히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바닥튜브와 측면튜브의 연결 부위에 빈 공간이 제거되어 빈 공간으로 물의 유입에 따른 제반 문제점과 불량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latable kayak used for leisure activities such as fishing. More specifically, the side tube has a sloping outer surface to properly implement the sloping solid body structure of a typical kayak, and the bottom tube and the side tube This relates to an inflatable kayak in which the empty space at the connection area is eliminated so that all problems and defects caused by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empty space are smoothly resolved.

일반적으로 카약은 선수와 선미가 뾰족하고 1개 이상의 노로 움직이는 경량의 소형 선박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레저 스포츠로서 카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In general, a kayak is a lightweight, small vessel with a pointed bow and stern and powered by one or more oars. Recently, as living standards have improved, interest in kayaking as a leisure sport is increasing.

카약은 대개 1인승 또는 2인승이고 여름에 바다 수렵에 쓰이는 것으로, 길이 7m, 너비 50cm 정도로 선체의 뼈대는 나무로 만들어지며, 뼈대에 털을 없앤 바다표범 가죽을 붙여서 만드는 것이 전통적인 것이다.Kayaks are usually one- or two-seater and are used for sea hunting in the summer. The hull is about 7m long and 50cm wide. The hull frame is made of wood, and it is traditionally made by attaching hairless seal skin to the frame.

카약의 조종자는 방수 재킷을 입고 배의 가운데에 있는 동그란 구멍 속에 발을 뻗고 하반신을 파묻듯이 앉아서 노를 움직여 카약을 이동시킨다. 카약의 선체는 매우 가벼워 혼자 들고 운반할 수 있을 정도이고, 배의 속도가 빠르고 중심이 낮아 높은 파도에도 잘 견디며 전복되더라도 노를 움직여 원상으로 돌릴 수 있다.The kayak operator wears a waterproof jacket, sits with his feet stretched out in a round hole in the center of the boat, and buries his lower body, and moves the kayak by using an oar. The hull of the kayak is so light that it can be carried alone. The boat's speed is fast and its center of gravity is low, so it can withstand high waves and even if it capsizes, i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using the oar.

이러한 종래의 공기주입식 카약의 일예를 도 111에 도시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주입식 카약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S)을 가지며 양측을 따라 한 쌍의 제1 밀봉테이프(101)가 부착되는 바닥튜브(100)와, 상기 바닥튜브(100)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중공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S)을 가지며 양측을 따라 한 쌍의 제2 밀봉테이프(201)가 부착되는 한 쌍의 측면튜브(200)와, 상기 제1 밀봉테이프(101)와 제2 밀봉테이프(201)를 연결하도록 상기 바닥튜브(100)와 측면튜브(200)의 외측면을 따라 부착되는 한 쌍의 측면부착테이프(300)를 포함한다.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inflatable kayak is shown in Figure 111 and its configuration is explained as follows. As shown in Figure 11, a conventional inflatable kayak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air tube so that air is injected into the interior, and has a plurality of shape maintenance lines (S) joined at both ends between the inner surfaces, and a pair along both sides. A bottom tube 100 to which the first sealing tape 101 is attached, and a hollow air tu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0 to allow air to be injected into the bottom tube, with both ends between the inner surfaces. A pair of side tubes (200) having a plurality of shape maintaining lines (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pair of second sealing tapes (201) attached along both sides, the first sealing tape (101) and the second sealing tape (200). It includes a pair of side attachment tapes 300 attached al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bottom tube 100 and the side tube 200 to connect the tape 201.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prior art had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의 공기주입식 카약은 바닥튜브와 측면튜브가 수평판 형태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면과 하면이 경사지면서 매끄러운 외면을 가지는 일반적인 카약의 고형체 구조를 적절히 구현하지 못하여 전체적인 심미감과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inflatable kayaks have a horizontal plate-shaped bottom tube and side tubes, so they cannot properly implement the solid structure of a typical kayak with a smooth outer surface with sloped upper and lower surfaces, which reduces the overall aesthetics and marketability. There was this.

종래의 공기주입식 카약은 상기 측면부착테이프로 상기 바닥튜브와 측면튜브를 부착할 때 상기 본체뷰트와 측면튜브 및 측면부착테이프 사이에 빈 공간(A)이 형성되는데, 이런 빈 공간에 물이 유입되어 채워지면서 접착 부위의 손상을 유발하여 보트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 conventional inflatable kayak, when the bottom tube and the side tube are attached with the side attachment tape, an empty space (A)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butt, the side tube, and the side attachment tape, and water flows into this empty spa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lifespan of the boat was shortened by causing damage to the adhesive area as it was filled.

등록특허 제1577279호 "공기주입식 카약"(2015.12.08)Registered Patent No. 1577279 “Inflatable Kayak” (2015.12.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튜브가 경사진 외면을 가져 일반적인 카약의 경사진 고형체 구조를 적절히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바닥튜브와 측면튜브의 연결 부위에 빈 공간이 제거되어 빈 공간으로 물의 유입에 따른 제반 문제점과 불량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을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side tube has an inclined outer surface to properly implement the inclined solid structure of a typical kayak, and that the empty space at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bottom tube and the side tube is removed to prevent all problems caused by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empty space. We provide inflatable kayaks that allow problems and defects to be smoothly resolv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튜브의 하면에 볼록한 직선부를 형성하여 직진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중량이나 외력에 의한 카약 자체의 꺾임이 원활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하고 바닥튜브가 고형체의 일반적인 카약과 유사한 경사진 하면을 가지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aightness by forming a convex straight por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to smoothly prevent bending of the kayak itself due to weight or external force, to have a stable structure, and to ensure that the bottom tube is a general solid body. The aim is to provide an inflatable kayak that has a sloping bottom surface similar to that of a kaya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외측 둘레가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튜브와;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고, 외측 둘레가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튜브와; 상기 바닥튜브의 개방된 양측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닥튜브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을 따라 부착되도록 상단에 상면부착부가 형성되며,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 외측부착부가 형성되는 상부테이프와; 상기 바닥튜브의 개방된 양측 하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닥튜브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의 하면을 따라 부착되도록 상단에 하면부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외측부착부의 하면에 상면이 부착되도록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 외측부착부가 형성되는 하부테이프와; 상기 측면튜브의 개방된 양측을 커버하도록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측면튜브의 외측과 내측을 따라 상면과 하면에 부착되도록 상단과 하단에 수평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측면부착부가 형성되는 측면테이프를; 포함하고, 상호 접착된 상기 제1 외측부착부와 제2 외측부착부가 상부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튜브의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측면부착부의 외면에 상기 제1 외측부착부의 상면이 부착되어 상기 바닥튜브에 상기 측면튜브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flatable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tube formed in the form of an air tube with an open outer circumference; a pair of side tub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and formed in the form of an air tube with an open outer circumference; It is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tube to cover the open upp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ttom tube, a top attachment portion is formed at the top to be attached along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tube, and a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extends outward from the bottom. an upper tape formed; It is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tube to cover the open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ttom tube, and a lower surface attachment portion is formed at the top to be attach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and the upp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a lower tape extending outward from the top as much as possible to form a second outer attachment portion; A side tape is provided to cover both open sides of the side tube and is formed with a pair of side attachment portions bent horizontally at the top and bottom so as to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long the outer and inner sides of the side tub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attachment portion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tub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and the second outer attachment portion that are bonded to each other are bent upward. The side tube is connected to the tu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튜브의 양측에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외측부착부와 제2 외측부착부의 내측단에 외면이 부착되는 제1 브이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flatable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V shape, is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bottom tube, and has an outer surface attached to the inner end of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and the second outer attachment portion. The first V-tap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mo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튜브의 외측에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호 접착된 상기 제1 외측부착부와 제2 외측부착부의 상단이 일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측면테이프의 외면에 타측면이 부착되는 제2 브이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flatable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V shape, and is provided symmetrically on the outside of the side tube, and the tops of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and the second outer attachment portion that are bonded to each other are on one side. a second V tape attached to the side tape, the other side of which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tap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mo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바닥튜브와 측면튜브는, 그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ttom tube and the side tube of the "inflatable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by having a plurality of shape maintenance lines at both ends join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한 쌍의 측면튜브는, 그 양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튜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ir of side tubes of the "inflatable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form one tu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상기 바닥튜브의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튜브의 직진성을 보장하는 직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flatable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ight portion formed convexly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to ensure the straight movement of the bottom tub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mo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직선부는,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의 상면을 따라 하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제3 브이테이프와,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으로 상기 제3 브이테이프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와, 상기 직선오목부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튜브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raight portion of the "inflatable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lded portion formed by fo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concav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V-shaped lower surface attach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olded portion. 3 V tape, a straight concave port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V tap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and a longitudinal concave por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corresponding to the linear concav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raight convex portion formed to be convex in a straight li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상기 측면튜브의 선단 내측에 라운드지게 장착되고,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어 진입되는 물방울을 차단하는 차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flatable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that is roundly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tip of the side tube and is inclined toward the tip to block incoming water droplet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mo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바닥튜브는, 그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튜브는, 그 선단에 끼워져 장착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선단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ttom tube of the "inflatable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rp tip, and the bottom tube further includes a tip cap that is fitted and mounted on the tip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의 상기 바닥튜브는, 그 후단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튜브는, 그 후단에 끼워져 장착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후단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ttom tube of the "inflatable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rp rear end, and the bottom tube further includes a rear end cap that is fitted and mounted on the rear end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do.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측면튜브가 경사진 외면을 가져 일반적인 카약의 경사진 고형체 구조를 적절히 구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고형체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카약과 유사한 외면을 형성할 수 있어 심미감과 상품성이 향상되며, 바닥튜브와 측면튜브의 연결 부위에 빈 공간이 제거되어 빈 공간으로 물의 유입에 따른 제반 문제점과 불량이 원활히 해소되고, 그에 따라 접착 부위의 손상이 방지되면서 장수명이 보장되는 효과를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ide tube has an inclined outer surfac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perly implement the inclined solid body structure of a general kayak,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orm an external surface similar to a general kayak made of a solid body, thereby improving aesthetics and marketability. In addition, the empty space at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bottom tube and the side tube is removed, so all problems and defects caused by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empty space are smoothly resolve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adhesive area and ensuring long life.

또한, 본 발명은, 바닥튜브의 하면에 볼록한 직선부를 형성하여 직진성이 향상되고, 중량이나 외력에 의한 카약 자체의 꺾임이 원활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그에 따라 카약 자체의 강성이 향상되면서 사용상의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바닥튜브가 고형체의 일반적인 카약과 유사한 경사진 하면을 가지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able structure by forming a convex straight por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which improves straightness and smoothly prevents the kayak itself from bending due to weight or external force. As a result, the rigidity of the kayak itself is improved, making it easier to use. Stability is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bottom tube has the effect of having a sloping bottom surface similar to that of a typical solid kaya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개략적인 분해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개략적인 결합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을 보인 개략적인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약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카약의 저면도,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카약을 보인 개략적인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약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공기주입식 카약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artially explod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combin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4;
Figure 6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kaya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bottom view of the kaya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7;
Figure 9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kaya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7;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kaya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inflatable kayak.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공기튜브 형태의 바닥튜브(1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는 측면튜브(2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개방된 양측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테이프(3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개방된 양측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테이프(30)와 접착되는 하부테이프(4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개방된 양측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테이프(30)의 단부가 외면에 부착되는 측면테이프(50)를 포함한다.1 to 6 are schematic drawings of a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inflatable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tube 10 in the form of an air tube, side tubes 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and the bottom tube 10. An upper tape (30) attached to the open upp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ttom tube (10), a lower tape (40) attached to the open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ttom tube (10) and bonded to the upper tape (30), and the side tube (20). ) is attached to both open sides of the upper tape 30, and the end of the upper tape 3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상기 바닥튜브(10)는 외측 둘레가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카약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바닥튜브(10)는 그 내부로 사용자가 공기를 주입하거나 그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지의 공기주입구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The bottom tube 1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air tube with an open outer circumference, and serves to form the bottom portion of the kayak. It is natural that the bottom tube 10 is equipped with a known air inlet so that the user can inject air into it or exhaust air out of it.

이런 상기 바닥튜브(10)는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11)을 가지는데, 상기 형태유지라인(11)은 공기튜브 형태의 상기 바닥튜브(10)의 내부면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바닥튜브(10)가 평평하게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The bottom tube 10 has a plurality of shape-maintaining lines 11 that are joined at both ends between the inner surfaces, and the shape-maintaining lines 11 ar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bottom tube 10 in the form of an air tube. It is known that the bottom tube 10 can maintain a flat and constant shape by interconnecting.

이와 같이 상기 바닥튜브(10)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바닥튜브(10)를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내부에 다수의 상기 형태유지라인(11)이 부착된 튜브를 당업계에서는 "공간지(Drop Stitch Material)"라 부른다.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bottom tube 10, a tube with a plurality of shape maintenance lines 11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air tube forming the bottom tube 10 is referred to in the art as a "Drop Stitch". It is called “Material”.

상기 측면튜브(2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고 외측 둘레가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본 카약의 양측면 부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측면튜브(20)는 그 내부로 사용자가 공기를 주입하거나 그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지의 공기주입구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The side tubes 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are formed in the form of air tubes with an open outer circumference, and are provided as a pair, and serve to form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kayak. It is natural that the side tube 20 is equipped with a known air inlet so that the user can inject air into it or exhaust air out of it.

이런 상기 측면튜브(20)는 상기 바닥튜브(10)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21)을 가지는데, 상기 형태유지라인(21)은 공기튜브 형태의 상기 측면튜브(20)의 내부면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측면튜브(20)가 평평하게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Like the bottom tube 10, the side tube 20 has a plurality of shape-maintaining lines 21 with both ends joined between its inner surfaces. The shape-maintenance lines 21 are in the form of an air tube. It is known that the inner surfaces of the side tubes 20 are interconnected so that the side tubes 20 can maintain a flat and constant shape.

이와 같은 상기 한 쌍의 측면튜브(20)는 그 양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튜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나의 튜브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튜브(10)와의 접착 및 연결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s of the pair of side tubes 2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form a single tube, which allows for easier adhesion and connection with the bottom tube 10. This is to increase structural stability while making it easy to do.

상기 상부테이프(3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개방된 양측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닥튜브(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을 따라 부착되도록 상단에 상면부착부(31)가 형성되며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 외측부착부(3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튜브(10)의 개방된 양측면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물이 유입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측면튜브(20)에 부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upper tape 30 is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tube 10 to cover the open upp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ttom tube 10, and is attached to the top so as to be attach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A portion 31 is formed and extends outward from the bottom to form a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which covers the upper portions of both open sides of the bottom tube 10 and does not form an empty space through which water flows. It serves to provide a portion that is attached to the side tube 20 so that the side tube 20 is not blocked.

상기 상면부착부(31)는 상기 바닥튜브(10)의 양측 상면에 부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외측부착부(32)는 상기 하부테이프(40)와 부착되는 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측면튜브(20)에 부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upper surface attachment portion 31 serves to provide a portion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bottom tube 10, and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provides a portion to be attached to the lower tape 40. It serves to provide a portion attached to the side tube 20.

상기 하부테이프(4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개방된 양측 하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닥튜브(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을 따라 부착되도록 상단에 하면부착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외측부착부(32)의 하면에 상면이 부착되도록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 외측부착부(4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튜브(10)의 개방된 양측면의 하부를 커버하면서 물이 유입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측면튜브(20)에 부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lower tape 40 is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tube 10 to cover the open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ttom tube 10,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so as to be attach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A portion 41 is formed and extends outward from the top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to form a second outer attachment portion 42, thereby opening the bottom tube 10. It covers the lower part of both sides and serves to provide an attachment area to the side tube 20 to prevent an empty space through which water flows.

상기 하면부착부(41)는 상기 바닥튜브(10)의 양측 하면에 부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외측부착부(42)는 상기 제1 외측부착부(32)에 부착되는 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제1 외측부착부(32)와 함께 상기 측면튜브(20)에 연결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lower surface attachment portion 41 serves to provide attachment portions to both lower surfaces of the bottom tube 10, and the second outer attachment portion 42 is attached to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It serves to provide a portion connected to the side tube 20 along with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상기 측면테이프(50)는 상기 측면튜브(20)의 개방된 양측을 커버하도록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측면튜브(20)의 외측과 내측을 따라 상면과 하면에 부착되도록 상단과 하단에 수평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측면부착부(51)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튜브(20)의 개방된 양측을 커버하면서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부착부(51)는 상기 측면튜브(20)의 양측 상면과 하면에 부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side tape 50 is provided correspondingly to cover both open sides of the side tube 20 and is bent horizontally at the top and bottom to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long the outer and inner sides of the side tube 20. A pair of side attachment portions 51 are formed to cover and seal both open sides of the side tube 20. The side attachment portion 51 serves to provide attachment portions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side tube 20.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카약은 상호 접착된 상기 제1 외측부착부(32)와 제2 외측부착부(42)가 상부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튜브(20)의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측면부착부(51)의 외면에 상기 제1 외측부착부(32)의 상면이 부착되어 상기 바닥튜브(10)에 상기 측면튜브(20)가 연결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측면의 빈 공간의 형성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바닥튜브(10)와 측면튜브(20)가 손쉽게 연결된다.This kayak configured in this way has the side attachment portion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tube 2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and the second outer attachment portion 42, which are bonded to each other, are bent up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51) and the side tube 20 is connected to the bottom tube 10, there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empty space on the side with a simple structure. As a result, the bottom tube 10 and the side tube 20 are easily connected.

본 카약은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튜브(10)의 양측에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외측부착부(32)와 제2 외측부착부(42)의 내측단에 외면이 부착되는 제1 브이테이프(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브이테이프(60)는 그 외부면이 접착되면서 상기 제1 외측부착부(32)와 제2 외측부착부(42)를 보다 견고하면서 밀봉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is kayak is formed in a V shape and is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bottom tube 10, and has a first outer surface attached to the inner end of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and the second outer attachment portion 42. It further includes a V-tape (60). The first V-tape 60 adheres to its outer surface and serves to connect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and the second outer attachment portion 42 in a more robust and sealed manner.

아울러, 본 카약은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튜브(20)의 외측에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호 접착된 상기 제1 외측부착부(32)와 제2 외측부착부(42)의 상단이 일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측면테이프(50)의 외면에 타측면이 부착되는 제2 브이테이프(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브이테이프(70)는 그 외부면이 접착되면서 상기 제1 외측부착부(32)와 측면테이프(50)를 보다 견고하면서 밀봉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is kayak is formed in a V-shape and is provided symmetrically on the outside of the side tube 20, and the upper ends of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and the second outer attachment portion 42 that are bonded to each other are on one side. It is attached to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V-tape 70, the other side of which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tape 50. The second V tape 70 adheres to its outer surface and serves to connect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and the side tape 50 in a more robust and sealed manner.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약은 도 6의 구조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튜브(10)와 측면튜브(20)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측면튜브(20)의 상면이 경사지게 구비되어 그 외면이 고형체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카약의 외면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In the kaya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in this way, as shown in the structural diagram of FIG. 6,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bottom tube 10 and the side tube 20,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tube 20 is inclined so that the outer surface It has a shape similar to the exterior of a typical kayak made of solid material.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약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직선부(80)를 더 포함한다.7 to 9 are schematic drawings of a kaya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inflatable kaya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raight portion 8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튜브(10)의 직진성이 향상되면서 강성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중량이나 외력에 의한 카약 자체의 앞뒤 방향으로 꺾임이 원활히 방지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The straight portion 80 is formed to be convex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As the straightness of the bottom tube 10 is improved, the rigidity is improved, and accordingly, the resistance to weight or external force is improved. This prevents the kayak from bending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resulting in a stable structure.

이와 같은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81)와, 상기 접힘부(81)의 상면을 따라 하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제3 브이테이프(82)와,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으로 상기 제3 브이테이프(82)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83)와, 상기 직선오목부(83)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84)를 포함한다.The straight portion 80 has a folded portion 81 formed by fo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concav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V-shaped lower surfac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olded portion 81. A third V-tape 82 is attached, a straight concave portion 8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to be concave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V-tape 82, and It includes a straight convex part 84 formed to be straight and convex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corresponding to the straight concave part 83.

상기 접힘부(81)는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에 직선으로 함몰되는 부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브이테이프(82)는 상기 접힘부(81)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힘부(81)가 함몰되게 접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folded portion 81 is formed by folding the bottom tube 10 rectilinearly and concavely along the upper surface, and serves to form a straight recessed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The third V tape 82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lded portion 81 to maintain the folded portion 81 in a depressed folded state.

상기 직선오목부(83)는 상기 접힘부(81)에 의해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에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위이고, 상기 직선볼록부(84)는 상기 접힘부(81)에 의해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튜브(10)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traight concave portion 83 is a straight concav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by the folded portion 81, and the straight convex portion 84 is formed by the folded portion 81. A straight convex shap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and serves to improve the straightness of the bottom tube 10.

이와 같은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원하는 길이나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The straight portion 8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bottom tube 10,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med at a desired length or location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tenti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약은 도 9의 구조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튜브(10)와 측면튜브(20)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측면튜브(20)의 상면이 경사지게 구비되어 그 외면이 고형체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카약의 외면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되면서 동시에 상기 바닥튜브(10)도 상기 직선부(80)에 하부로 볼록하게 경사진 구조를 가져 고형체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카약의 바닥면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In the kaya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structural diagram of FIG. 9,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bottom tube 10 and the side tube 20,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tube 20 is inclined. It is provided so that its outer surface has a shape similar to the outer surface of a general kayak made of a solid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bottom tube 10 also has a structure inclined convexly downward to the straight portion 80,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a general kayak made of a solid body It has a similar form.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약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카약은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 내측에 라운드지게 장착되고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차수대(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수대(90)는 본 카약의 주행 중에 전방에서 운전자를 향해 진입되는 물방울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Figure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kaya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inflatable kaya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ank 90 that is roundly mounted inside the tip of the side tube 20 and is inclined toward the tip. The water stop 90 serves to block water droplets entering the driver from the front while the kayak is running.

상기 바닥튜브(10)는 그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튜브(10)의 뾰족한 선단에 끼워져 장착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선단캡(1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선단캡(12)은 상기 바닥튜브(10)의 선단에 진입되는 외부 물체에 의한 상기 바닥튜브(10)의 손상을 저감시키면서 전방으로의 주행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bottom tube 10 has a sharp tip, and further includes a tip cap 12 that is fitted and mounted on the sharp tip of the bottom tube 10 and has a cylindrical shape. The tip cap 12 serves to reduce damage to the bottom tube 10 caused by external objects entering the tip of the bottom tube 10 and improve forward driving ability.

아울러, 상기 바닥튜브(10)는 그 후단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튜브(10)의 뾰족한 후단에 끼워져 장착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후단캡(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후단캡(13)은 상기 바닥튜브(10)의 후단에 진입되는 외부 물체에 의한 상기 바닥튜브(10)의 손상을 저감시키면서 후방으로의 주행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bottom tube 10 has a sharp rear end, and further includes a rear end cap 13 that is fitted and mounted on the pointed rear end of the bottom tube 10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rear end cap 13 serves to reduce damage to the bottom tube 10 caused by foreign objects entering the rear end of the bottom tube 10 and improve rearward driving abilit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claims below.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바닥튜브
11 : 형태유지라인 12 : 선단캡
13 : 후단캡
20 : 측면튜브
21 : 형태유지라인
30 : 상부테이프
31 : 상면부착부 32 : 제1 외측부착부
40 : 하부테이프
41 : 하면부착부 42 : 제2 외측부착부
50 : 측면테이프
51 : 측면부착부
60 : 제1 브이테이프
70 : 제2 브이테이프
80 : 직선부
81 : 접힘부 82 : 제3 브이테이프
83 : 직선오목부 84 : 직선볼록부
90 : 차수대
10: Bottom tube
11: Shape maintenance line 12: Tip cap
13: Rear end cap
20: side tube
21: Shape maintenance line
30: upper tape
31: upper attachment portion 32: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40: lower tape
41: lower surface attachment part 42: second outer attachment part
50: side tape
51: side attachment part
60: 1st V-tape
70: 2nd V-tape
80: straight part
81: folded portion 82: third V tape
83: straight concave portion 84: straight convex portion
90: Chassis stand

Claims (10)

외측 둘레가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튜브(1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고, 외측 둘레가 개방된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튜브(2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개방된 양측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닥튜브(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을 따라 부착되도록 상단에 상면부착부(31)가 형성되며,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 외측부착부(32)가 형성되는 상부테이프(30)와;
상기 바닥튜브(10)의 개방된 양측 하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닥튜브(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을 따라 부착되도록 상단에 하면부착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외측부착부(32)의 하면에 상면이 부착되도록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 외측부착부(42)가 형성되는 하부테이프(40)와;
상기 측면튜브(20)의 개방된 양측을 커버하도록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측면튜브(20)의 외측과 내측을 따라 상면과 하면에 부착되도록 상단과 하단에 수평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측면부착부(51)가 형성되는 측면테이프(50)를; 포함하고,
상호 접착된 상기 제1 외측부착부(32)와 제2 외측부착부(42)가 상부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튜브(20)의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측면부착부(51)의 외면에 상기 제1 외측부착부(32)의 상면이 부착되어 상기 바닥튜브(10)에 상기 측면튜브(2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a bottom tube (10) formed in the form of an air tube with an open outer circumference;
a pair of side tubes (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and formed in the form of air tubes with an open outer circumference;
It is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tube 10 to cover the open upp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ttom tube 10, and an upper surface attachment portion 31 is formed at the top to be attach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an upper tape 30 extending outward from the bottom to form a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It is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tube 10 to cover the open lower portions of the bottom tube 10, and a lower surface attachment portion 41 is formed at the top to be attach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a lower tape (40) extending outward from the top to form a second outer attachment portion (42)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A pair of side attachment portions correspondingly provided to cover both open sides of the side tube 20 and bent horizontally at the top and bottom to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long the outer and inner sides of the side tube 20. The side tape (50) on which (51) is formed; Contain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and the second outer attachment portion 42, which are bonded to each other, are bent up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attachment portion 51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tube 20 is An inflatable kayak,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is attached and the side tube (20) is connected to the bottom tube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약은,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튜브(10)의 양측에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외측부착부(32)와 제2 외측부착부(42)의 내측단에 외면이 부착되는 제1 브이테이프(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kayak,
A first V is formed in a V shape, is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bottom tube 10, and has an outer surface attached to the inner end of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and the second outer attachment portion 42. tape 60;
An inflatable kaya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약은,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튜브(20)의 외측에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호 접착된 상기 제1 외측부착부(32)와 제2 외측부착부(42)의 상단이 일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측면테이프(50)의 외면에 타측면이 부착되는 제2 브이테이프(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kayak,
It is formed in a V shape, is provided symmetrically on the outside of the side tube 20, and the upper ends of the first outer attachment portion 32 and the second outer attachment portion 42, which are bonded to each other, are attached to one side. , a second V-tape (70) whose other sid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tape (50);
An inflatable kaya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튜브(10)와 측면튜브(20)는,
그 내부면 사이에 양단이 결합되는 다수의 형태유지라인(11)(2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ttom tube 10 and the side tube 20 are,
An inflatable kayak characterized by having a plurality of shape maintenance lines (11) (21) whose two ends are join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튜브(20)는,
그 양단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튜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ir of side tubes 20,
An inflatable kayak,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form a single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약은,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튜브(10)의 직진성을 보장하는 직선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kayak,
A straight portion 8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to be straight and convex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nsure the straightness of the bottom tube 10;
An inflatable kaya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80)는,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접어서 형성되는 접힘부(81)와,
상기 접힘부(81)의 상면을 따라 하면이 브이자 형태로 부착되는 제3 브이테이프(82)와,
상기 바닥튜브(10)의 상면으로 상기 제3 브이테이프(82)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직선오목부(83)와,
상기 직선오목부(83)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튜브(10)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직선볼록부(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According to clause 6,
The straight portion 80 is,
A folded portion 8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by folding it concav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hird V tape (82) whose lower surface is attached in a V shap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olded portion (81),
A straight concave portion 83 formed to be concave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V tape 82 of the bottom tube 10, and
A straight convex portion (84) formed to be linearly convex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tube (10) corresponding to the straight concave portion (83),
An inflatable kayak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약은,
상기 측면튜브(20)의 선단 내측에 라운드지게 장착되고,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어 진입되는 물방울을 차단하는 차수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kayak,
A water stop 90 is mounted roundly on the inside of the tip of the side tube 20 and is inclined toward the tip to block incoming water droplets;
An inflatable kaya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튜브(10)는,
그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튜브(10)는,
그 선단에 끼워져 장착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선단캡(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ttom tube 10 is,
The tip is formed sharply,
The bottom tube 10 is,
An inflatable kaya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tip cap (12) that is fitted and mounted on the tip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튜브(10)는,
그 후단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튜브(10)는,
그 후단에 끼워져 장착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후단캡(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카약.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ttom tube 10 is,
The rear end is formed sharply,
The bottom tube 10 is,
An inflatable kaya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rear end cap (13) that is fitted and mounted at the rear end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KR1020220103299A 2022-08-18 2022-08-18 An inflatable kayak KR1026653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299A KR102665330B1 (en) 2022-08-18 2022-08-18 An inflatable kayak
EP22207706.7A EP4324733A1 (en) 2022-08-18 2022-11-16 Inflatable kaya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299A KR102665330B1 (en) 2022-08-18 2022-08-18 An inflatable kaya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273A KR20240025273A (en) 2024-02-27
KR102665330B1 true KR102665330B1 (en) 2024-05-10

Family

ID=8435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299A KR102665330B1 (en) 2022-08-18 2022-08-18 An inflatable kayak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4324733A1 (en)
KR (1) KR10266533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279B1 (en) 2014-03-27 2015-12-29 (주)우성아이비 Inflatable kayak
KR102081189B1 (en) 2018-04-25 2020-02-25 김병주 an inflatable kaya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451Y1 (en) * 1984-09-17 1986-12-06 홍광선 Boats
JP2000016377A (en) * 1998-06-26 2000-01-18 Okamoto Ind Inc Inflatable boat
CN210083471U (en) * 2019-05-13 2020-02-18 威海荣创海洋科技有限公司 Double-air-bag inflatable boat
KR102390764B1 (en) * 2020-04-21 2022-04-26 (주)우성아이비 An inflatable kaya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279B1 (en) 2014-03-27 2015-12-29 (주)우성아이비 Inflatable kayak
KR102081189B1 (en) 2018-04-25 2020-02-25 김병주 an inflatable kaya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24733A1 (en) 2024-02-21
KR20240025273A (en)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279B1 (en) Inflatable kayak
US8286573B2 (en) External inflatable keel for portable inflatable boats
KR101577280B1 (en) Inflatable kayak
US7461612B1 (en) Dual hull kayak
US6106346A (en) Stabilizing fin for a water planing device
US20170210446A1 (en) Portable Wind-Powered Sailing Vessel
KR102665330B1 (en) An inflatable kayak
KR102390764B1 (en) An inflatable kayak
US10556643B2 (en) Boat pontoon
US5649498A (en) Dual-hulled kayak
JPH0661393B2 (en) A sailboat model suitable for water sailing and exhibition
US4938162A (en) Inflatable power catamaran
US7337735B2 (en) Hybridhull boat system
US4998494A (en) Device for enhancing the buoyancy of sailboards and the like
US4829925A (en) Multiple mode sail driven vehicle
KR101393541B1 (en) Boat with improved drive performance
US7677190B2 (en) Slotted hulls for boats
KR102081189B1 (en) an inflatable kayak
US4941419A (en) Catamaran boat structure
US1408270A (en) Marine vessel
JP2016179706A (en) Side float for boat
US20110039460A1 (en) Internally mounted watercraft rowing fin system
RU97108U1 (en) ELASTIC BOTTOM SWIMMING Knot
KR20180002006U (en) A Boat Driven a Motor with a Straight Shape
JP3331585B2 (en) High-speed boat with unsinkab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