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968B1 -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 - Google Patents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968B1
KR102664968B1 KR1020220124167A KR20220124167A KR102664968B1 KR 102664968 B1 KR102664968 B1 KR 102664968B1 KR 1020220124167 A KR1020220124167 A KR 1020220124167A KR 20220124167 A KR20220124167 A KR 20220124167A KR 102664968 B1 KR102664968 B1 KR 102664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variable
housing
cut
win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44753A (ko
Inventor
김현식
김민호
송미경
Original Assignee
(주)매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트론 filed Critical (주)매트론
Priority to KR1020220124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968B1/ko
Publication of KR20240044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95Windings disposed upon ring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6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with special arrangement or spacing of turns of the winding(s), e.g. to produce desired self-reson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6Circuits for coupling, blocking, or by-passing of sig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2003/005Magnetic cores for receiving several windings with perpendicular axes, e.g. for antennae or inductive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83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coupl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결합된 상태에서 토러스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고 분리된 상태에서 내부가 중공되면서 일면이 개방된 반원의 링 형상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자기유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기 코어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모뎀과 연결되며 권선을 형성하는 권선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권선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도 일측에 위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복수회 권선되는 제1 권선부와 상기 제1 권선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 권선부를 기준으로 환상권 형상으로 복수회 권선되는 제2 권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선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가 이방성을 갖게 된다.

Description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anisotropic inductive coupler}
본 발명은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권선부를 구비함으로써 전력선을 통해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 통신(PLC:Power Line Communication)이라 함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물리적인 통신 매체로 활용하여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력선 통신에는, 데이터를 전력선에 실어주거나 또는 전력선으로부터 신호를 추출하는 커플러가 구비된다.
이러한, 커플러는 전력선과 직접 접촉되는 접촉식 커플러와, 전력선과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식 커플러로 구분된다.
상기 커플러는, 전력선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커플러를 기준으로 전력선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 때, 커플러는 등방성을 가짐으로써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원치 않은 모뎀에서 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질 경우 상대적으로 늦게 수신되는 신호는 노이즈로 처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커플러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가 원치 않은 모뎀으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블로킹 필터가 구비된다.
그러나, 두 개의 선이 이용되는 접촉식 커플러의 경우 블로킹 필터의 결합이 가능하나, 하나의 선이 이용되는 비접촉식 커플러의 경우 블로킹 필터와의 결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377206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21-003209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 권선부를 구비함으로써 전력선을 통해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결합된 상태에서 토러스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고 분리된 상태에서 내부가 중공되면서 일면이 개방된 반원의 링 형상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자기유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기 코어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모뎀과 연결되며 권선을 형성하는 권선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권선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도 일측에 위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복수회 권선되는 제1 권선부와 상기 제1 권선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 권선부를 기준으로 환상권 형상으로 복수회 권선되는 제2 권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하우징의 내부가 구획될 수 있도록 하는 구획 수단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구획 수단의 일면에는 가변 부재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일면에는 가변 부재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가변 부재의 걸림을 유도하는 가이드홈이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구획 수단의 일면에는 제1 권선부의 일부가 구획 수단의 일면에서 함몰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홈이 복수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 권선부의 권선 횟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가변 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면서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며 외형을 이루는 가변 몸체와, 상기 가변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가변 부재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정 부재와, 상기 조정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조정 부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면서 절단된 제1 권선부 중 어느 하나를 이음으로써 제1 권선부의 권선 횟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가변 부재와, 상기 가변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가변 부재의 회전 과정에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가변 몸체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연결 부재가 일측으로 이송 또는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부재와, 상기 스위치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절단된 제1 권선부 중 어느 하나를 잇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권선부 중 일부는 호 형상으로 절단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권선부가 구비됨에 따라 전력선을 통한 통신 과정에서 신호의 방향성을 갖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변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제1 권선부의 권선 횟수를 조정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권선 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변 수단의 일 적용예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변 수단의 다른 적용예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변 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변 수단의 구동예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권선 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변 수단의 일 적용예를 보인 요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변 수단의 다른 적용예를 보인 요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변 수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변 수단의 구동예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결합된 상태에서 토러스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고 분리된 상태에서 내부가 중공되면서 일면이 개방된 반원의 링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자기유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기 코어(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모뎀과 연결되며 권선을 형성하는 권선 수단(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권선 수단(4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도 일측에 위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복수회 권선되는 제1 권선부(410)와, 상기 제1 권선부(410)로부터 연장되며 제1 권선부를 기준으로 환상권 형상으로 복수회 권선되는 제2 권선부(4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의 외형을 이루는 부위로, 내부가 중공되면서 일면이 개방된 반원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100)은 내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송전탑의 가공지선(OPGW)과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 쌍의 하우징(100)이 결합될 경우 토러스 또는 도넛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하우징(100)의 내부가 구획될 수 있도록 하는 구획 수단(2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구획 수단(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부가 구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구획 수단(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용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구획 수단(200)에 의하여 자기 코어(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도 좌측(도 2에서) 위치되고, 권선 수단(400)의 일부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도 우측(도 2에서)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구획 수단(200)은 하우징(100)의 내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면서 제2 권선부(420)의 권선을 위한 권선홈(21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선홈(212)은, 구획 수단(200)의 외측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구획 수단(200)의 외측단 일부가 하우징(100)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2 권선부(420)의 권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권선홈(212)은 구획 수단(200)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구획 수단(200)은 하우징(100)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지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획 수단(200)의 일면에는, 가변 부재(520)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10)는, 상기 구획 수단(20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가변 부재(520)가 회전에 의하여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가이드부(210)는 가변 부재(520)의 회전에 따른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호(Arc) 형상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부(210)의 일면에는, 가변 부재(5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가변 부재(520)의 걸림을 유도하는 가이드홈(211)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11)은, 가변 부재(520)가 가이드부(210)를 따라 회전 이송되는 과정에서 가이드부(21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이드부(210)의 이송이 일시적으로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가변 부재(520)의 회전을 위한 힘이 일정량 이상 제공될 경우 가변 부재(520)는 가이드홈(211)을 넘어 다시 가이드부(210)를 따라 회전 이송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가이드홈(211)은 가변 부재(520)가 절단된 제1 권선부들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기 위한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이드홈(211)은 절단된 제1 권선부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가이드홈(211)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구획 수단(200)의 일면에는, 제1 권선부(410)의 일부가 구획 수단(200)의 일면에서 함몰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홈(220)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20)은, 구획 수단(20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제1 권선부(410)의 일부가 구획 수단(200)의 상면에 위치됨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구획 수단(20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안착홈(220)이 구획 수단(20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바, 안착홈(220)의 내부에 제1 권선부(410)의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안착홈(220)에 삽입된 제1 권선부(410)의 일부는 구획 수단(20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게 되며, 이를 통해 가변 부재(520)의 회전 이송 과정에서 과도한 간섭은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안착홈(220)은 복수개로 형성되면서 상호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안착홈(220)은 가이드부(210)와는 직교를 이루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안착홈(220)은 제1 권선부(41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1 권선부(410)의 권선 위치와 대응되는 방향에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자기 코어(300)가 구비된다.
상기 자기 코어(300)는, 구획 수단(200)에 의하여 하우징(100)의 내부에서도 좌측(도 2에서)에 수용되는 것으로, 권선 수단(400)을 통해 전류가 흐를 때 유도 기전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자기 코어(300)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자기유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자기 코어(30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도 우측(도 2에서)에는 권선 수단(400)이 구비된다.
상기 권선 수단(400)은, 모뎀과 연결되는 것으로, 전력선을 통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권선 수단(400)은 제1 권선부(410)와 제2 권선부(4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권선부(410)는, 모뎀(미도시)과 연결되면서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일부가 개방된 링과 유사한 형상으로 복수회 권선되는 구성이다.
즉, 제1 권선부(410)는 도 3에서 상단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1회 권선되고, 다시 우측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2회 권선되고, 이러한 권선이 다수회 반복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권선부(410)는 고상권과 유사한 형태를 띄며, 일종의 로고스키 코일(Rogowskii coil)에 해당되는 것이다.
물론, 제1 권선부(410)는 연결된 하나의 코일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제1 권선부(41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도 우측(도 2에서)에 위치됨을 예로 하며, 자기 코어(3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도 우측에 위치될 경우 좌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제1 권선부(410)를 통한 권선이 이루어진 다음으로 제2 권선부(420)가 권선된다.
상기 제2 권선부(420)는, 제2 권선부(420)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제1 권선부(410)와 동일한 하나의 코일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권선부(420)는 제1 권선부(410)를 기준으로 환상권 형상으로 복수회 권선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제2 권선부(420)는 제1 권선부(410)와 자기 코어(300)를 둘러싸면서 하우징(100)의 내부를 따라 복수회 권선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 때, 제2 권선부(420)가 제1 권선부(410)와 자기 코어(300)를 둘러싸면서 하우징(100)의 내부를 따라 복수회 권선됨에 있어서 가변 수단(500)의 설치를 위해 일부 공간은 권선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2 권선부(420)는 접지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권선부(420)는 전류를 흘려 자속을 발생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구성에 해당하며, 제1 권선부(410)는 제1 권선부(410) 및 제2 권선부(420)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방향성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제1 권선부(410) 및 제2 권선부(420)를 통해 전력선으로 전달되는 신호는, 전력선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흐르게 되는데, 이 때 제1 권선부(410)에 의하여 전력선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흐르는 신호의 속도에서 차이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제1 권선부(410) 및 제2 권선부(420)를 통해 전력선으로 전달되는 신호는, 전달하고자 하는 방향과 전달하지 않고자 하는 방향에서 속도 차이가 발생되고, 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방향으로의 신호가 올바르게 전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권선부(410)에 의하여 전력선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전달되는 신호의 속도 차이는 제1 권선부(410)의 권선 횟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권선부(410) 중 일부는 호 형상으로 절단됨을 예로 하며, 이는 가변 수단(500)을 통해 제1 권선부(410)의 권선 수를 조정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1 권선부(410) 중 일부가 절단됨에 있어서 호 형상으로 절단되는 것은, 가변 수단(500)을 이루는 가변 부재(520)의 회전을 통해 절단된 제1 권선부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권선부(410) 중 일부가 절단되는 형상은, 가이드부(2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권선부(410) 중 일부가 절단됨에 있어서 우측 일부가 절단됨을 예로 한다.
여기서, 제1 권선부(410)의 절단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우측단에 위치된 제1 권선부(410)의 일부가 절단되고, 이 가장 우측단에 위치된 제1 권선부(410)의 일부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에 위치된 제1 권선부(410)의 일부는 절단하지 않고 그 다음의 제1 권선부(410)의 일부가 절단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제1 권선부(410)의 절단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우측단에 위치된 제1 권선부(410)의 일부가 절단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방향으로 하나의 제1 권선부(410) 일부를 건너뛰고 절단되는 형태가 반복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는, 제1 권선부(410)의 특성상 권선되는 과정에서 다시 좌측 방향으로 회귀되게 배치되기 때문이다.
물론, 우측 방향에 위치된 제1 권선부(410)의 일부를 절단한 것을 예로 들었을 뿐, 좌측 방향에 위치된 제1 권선부(410)의 일부가 절단될 수도 있을 것이며, 좌측 방향에 위치된 제1 권선부(410)의 일부가 절단될 경우 가장 좌측단에 위치된 제1 권선부(410)의 일부가 절단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 방향으로 하나의 제1 권선부(410) 일부를 건너뛰고 절단되는 형태가 반복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번 더 설명하면, 제1 권선부(410)의 일부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하나의 제1 권선부(410) 일부를 건너뛰면서 절단되어야만 가변 수단(500)에 의한 절단된 제1 권선부들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제1 권선부(410)의 권선 횟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가변 수단(500)이 구비된다.
상기 가변 수단(500)은, 제1 권선부(410)의 권선 횟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선을 따라 전달되는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신호의 속도 차이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실질적인 제1 권선부(410)의 권선 횟수가 가변되는 것은 아니며, 절단된 제1 권선부(410)와 가변 수단(500)을 통해 절단된 제1 권선부(410)의 연결 위치 조정을 통해 제1 권선부(410)의 권선 횟수가 가변되는 효과를 얻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가변 수단(5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일면에 구비되면서 하우징(10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며 외형을 이루는 가변 몸체(510)와, 상기 가변 몸체(5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가변 부재(52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정 부재(520)와, 상기 조정 부재(5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조정 부재(5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면서 절단된 제1 권선부(410) 중 어느 하나를 이음으로써 제1 권선부(410)의 권선 횟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가변 부재(520)와, 상기 가변 부재(520)의 일측에 형성되며 가변 부재(520)의 회전 과정에서 가이드홈(211)에 삽입되는 삽입부(531)와, 상기 가변 몸체(510)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연결 부재(550)가 일측으로 이송 또는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부재(540)와, 상기 스위치 부재(5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절단된 제1 권선부(410) 중 어느 하나를 잇는 연결 부재(5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변 몸체(510)는, 하우징(100)의 상면(도 2에서 우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변 수단(500)의 외형을 이루는 부위이다.
이러한, 가변 몸체(510)는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이와 함께, 가변 몸체(510)는 하우징(10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가변 몸체(510)의 상측(도 6에서)에는 조정 부재(520)가 구비된다.
상기 조정 부재(520)는, 가변 몸체(51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변 몸체(5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정 부재(520)는 가변 몸체(5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조정 부재(520)의 하단(도 6에서)에는 가변 부재(520)가 구비된다.
상기 가변 부재(520)는, 조정 부재(52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조정 부재(5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면서 절단된 제1 권선부들 중 어느 하나와 접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를 위해, 가변 부재(520)는 도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가변 부재(520)는 사각 평판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또한, 가변 부재(520)는 구획 수단(200)과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절단된 제1 권선부들 중 어느 하나와는 항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가변 부재(520)는 절단된 제1 권선부들 중에서 가장 외측단에 위치된 제1 권선부(410)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우측단(도 4에서)에 위치된 제1 권선부(410)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예로 한다.
그리고, 가변 부재(520)의 하측(도 6에서)에는 삽입부(53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531)는, 가변 부재(52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로 볼록한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이러한, 삽입부(531)는 가변 부재(520)가 가이드부(210)를 따라 회전 이송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가변 부재(520)의 회전 과정에서 가이드홈(211)에 삽입됨으로써 조정 부재(520)에 의한 가변 부재(520)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즉, 삽입부(531)는 가변 부재(520)의 회전 과정에서 가이드홈(211)에 삽입됨으로써 절단된 제1 권선부(410)의 연결 위치를 가이드하는 것이다.
물론, 삽입부(531)가 가이드홈(211)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조정 부재(520)에 일정량 이상의 토크가 가해질 경우 삽입부(531)는 가이드홈(21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가변 몸체(510)에는 스위치 부재(540)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 부재(540)는, 가변 몸체(510)의 상측(도 6에서)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변 몸체(5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위치 부재(540)는 연결 부재(550)의 이송 또는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를 위해, 스위치 부재(540)는 사용자에 의한 작동을 통해 연결 부재(550)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단된 제1 권선부(410)의 연결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스위치 부재(540)는 사용자에 의한 작동 시 연결 부재(550)가 선택적으로 절단된 제1 권선부(410)와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번 더 설명하면, 스위치 부재(540)는 사용자에 의한 작동 시 선택적으로 상하로 이송됨으로써 상측과 하측 중 어느 한 위치로 토글되면서 연결 부재(550)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위치 부재(54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며, 가변 몸체(510)의 우측단에 위치되는 조정 부재(520)의 좌측으로 나란히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스위치 부재(540)의 하단(도 6에서)에는 연결 부재(55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 부재(550)는, 스위치 부재(54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스위치 부재(540)에 의하여 이송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절단된 제1 권선부(410)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결 부재(550)는 도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연결 부재(550)는 사각 평판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예로 한다.
이와 같은, 연결 부재(550)에 의하여 절단된 제1 권선부들 중에서 각각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변 수단(500)은 원격으로 신호를 전달 받아 가변 부재(520) 또는 연결 부재(550)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변 수단(500)에 의하여 제1 권선부(410)의 권선 횟수를 조정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수단의 적용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권선부(410)의 일부는 절단될 수 있을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권선부(410)가 절단됨으로써 A-A', B-B', C-C', D-D'가 형성됨을 예로 한다.
여기서, 절단된 제1 권선부들 중 가장 우측에 위치된 것을 A-A'라 하며, A-A'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B-B', C-C', D-D'라 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제1 권선부(410)가 절단됨으로써 A-A' 내지 D-D'가 형성됨을 예로 하였으나, 더 많게 또는 적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절단된 제1 권선부(410) 위치에는 가변 수단(500)이 구비된다.
먼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수단(500)을 이루는 가변 부재(520)가 A-A'의 연결을 위해 위치될 수 있을 것이며, B-B' 내지 D-D'는 연결 부재(550)에 의하여 연결되지 않은 상태임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가변 부재(520)는, A'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을 통해 B 내지 D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A 내지 D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홈(211)이 형성됨으로써 가변 부재(520)의 연결 위치는 용이하게 가이드된다.
여기서, 가변 부재(520)가 A'와 A 내지 D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됨으로써 제1 권선부(410)의 권선 횟수는 가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가변 부재(520)가 A-A'를 연결하게 될 경우, B-B' 내지 D-D'는 각각의 연결 부재(55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을 것이며, 제1 권선부(410)는 최대의 권선 횟수를 갖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부재(520)가 B-A'를 연결하게 될 경우, C-C' 및 D-D'는 각각의 연결 부재(55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을 것이며, 제1 권선부(410)는 최대의 권선 횟수보다 하나 적은 권선 횟수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 때, B-B'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550)는 스위치 부재(540)에 의하여 상측 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가변 부재(520)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C-C' 및 D-D'는 각각의 연결 부재(550)에 의하여 연결되고, B-A'는 가변 부재(520)에 의하여 연결되며, A와 B'는 연결되는 대상이 없는 상태를 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에서는 제1 권선부가 구비됨에 따라 전력선을 통한 통신 과정에서 신호의 방향성을 갖게 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에서는 가변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제1 권선부의 권선 횟수를 조정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하우징 200. 구획 수단
210. 가이드부 211. 가이드홈
212. 권선홈 220. 안착홈
300. 자기 코어 400. 권선 수단
410. 제1 권선부 420. 제2 권선부
500. 가변 수단 510. 가변 몸체
520. 조정 부재 530. 가변 부재
531. 삽입부 540. 스위치 부재
550. 연결 부재

Claims (5)

  1.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결합된 상태에서 토러스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고, 분리된 상태에서 내부가 중공되면서 일면이 개방된 반원의 링 형상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자기유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기 코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모뎀과 연결되며, 권선을 형성하는 권선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권선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도 일측에 위치되며,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복수회 권선되는 제1 권선부;
    상기 제1 권선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 권선부를 기준으로 환상권 형상으로 복수회 권선되는 제2 권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하우징의 내부가 구획될 수 있도록 하는 구획 수단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구획 수단의 일면에는, 가변 부재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일면에는, 가변 부재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가변 부재의 걸림을 유도하는 가이드홈;이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구획 수단의 일면에는, 제1 권선부의 일부가 구획 수단의 일면에서 함몰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홈;이 복수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 권선부의 권선 횟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가변 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면서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며, 외형을 이루는 가변 몸체;
    상기 가변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가변 부재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정 부재;
    상기 조정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조정 부재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면서 절단된 제1 권선부 중 어느 하나를 이음으로써 제1 권선부의 권선 횟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가변 부재;
    상기 가변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가변 부재의 회전 과정에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가변 몸체의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연결 부재가 일측으로 이송 또는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부재;
    상기 스위치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절단된 제1 권선부 중 어느 하나를 잇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선부 중 일부는 호 형상으로 절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
KR1020220124167A 2022-09-29 2022-09-29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 KR102664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167A KR102664968B1 (ko) 2022-09-29 2022-09-29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167A KR102664968B1 (ko) 2022-09-29 2022-09-29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753A KR20240044753A (ko) 2024-04-05
KR102664968B1 true KR102664968B1 (ko) 2024-05-09

Family

ID=9071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167A KR102664968B1 (ko) 2022-09-29 2022-09-29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9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110B1 (ko) 2014-07-30 2015-11-18 한국전력공사 비접촉식 커플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171B1 (ko) * 2008-03-05 2010-04-2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비접촉식 커플러 및 그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
KR101377206B1 (ko) 2012-10-16 2014-03-25 한국전기연구원 블로킹 필터가 내장된 전력선 통신용 리피터
KR101796270B1 (ko) * 2016-03-04 2017-11-10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옥외용 비접촉식 커플러
KR102621362B1 (ko) 2019-09-16 2024-01-08 한국전력공사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110B1 (ko) 2014-07-30 2015-11-18 한국전력공사 비접촉식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753A (ko)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2639B2 (en) Inductive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nductive component
JP6717127B2 (ja) コイル装置、保持部材および保持部材セット
JP5752936B2 (ja) 非接触スリップリングに適用される伝送線路
US9859051B2 (en) Magnetically permeable core for use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US20150364931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EP3144954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JP3560967B2 (ja) 電力の誘導伝送装置
US20150130291A1 (en)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tting coil and non-contact type power supplying apparatus
JP6201380B2 (ja) 非接触通信コイル、非接触給電装置、及び非接触受電装置
TWI433181B (zh) 具經改良磁性元件之模組化插口及其製造方法
KR102664968B1 (ko)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
CN110770859A (zh) 用于高速数据通信的具有增加的带宽的磁变压器
JP2008029105A (ja) 回転電機用ステータ
EP1271574B1 (en) Circular-development planar windings and inductive component made with one or more of said windings
EP0210691B1 (en) Inductance device comprising a ferromagnetic core with an airgap
KR102577774B1 (ko) 무접점 전력공급 및 데이터통신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라이다 시스템
JP5390162B2 (ja) 電力伝送装置
JP2006279214A (ja) 信号注入・抽出装置
JP3518161B2 (ja) データ通信装置
CN206516463U (zh) 用于使非整数数目的绕组能够在电感器上提供的装置
US7911307B2 (en) Rotary transformer
KR20210032096A (ko) 통신용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커플러
JP3942112B2 (ja) 誘導無線用アンテナ及び誘導通信システム
JP3163997B2 (ja) 無接触信号伝達装置
KR101728783B1 (ko) 플러그형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