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096A - 통신용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커플러 - Google Patents

통신용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096A
KR20210032096A KR1020190113382A KR20190113382A KR20210032096A KR 20210032096 A KR20210032096 A KR 20210032096A KR 1020190113382 A KR1020190113382 A KR 1020190113382A KR 20190113382 A KR20190113382 A KR 20190113382A KR 20210032096 A KR20210032096 A KR 20210032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gnetic core
power line
coupler
coi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362B1 (ko
Inventor
김재훈
조삼규
임영섭
김성덕
전중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13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3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6Circuits for coupling, blocking, or by-passing of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2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the information being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83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coupling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전력선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전력선을 축 삽입하며 선택적으로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전력선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되는 링 형상의 자기코어, 및 자기코어와 전기적 접촉이 불가능하도록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고 전력선의 축 방향을 따라 자기코어를 감싸서 폐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부재를 포함하여, 설치 현장에서 필요에 따른 커플러의 특성 조정이 용이하게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용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커플러{CARTRIDGE TYPE NON-CONTACT COUPLER FOR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통신용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현장에서 필요에 따른 특성 조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PLC)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매개로 음성과 데이터를 고주파 신호에 실어 통신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력선 통신에 사용되는 커플러는 복수의 자기코어로 이루어진 코어부, 및 이 코어부를 권취하는 권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전력선에 인터넷 신호나 음성 신호 등과 각종 신호를 실어주거나 또는 전력선으로부터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627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025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192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1115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468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비접촉식 커플러는 자기코어의 전자기 특성을 이용하여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해당 커플러의 특성이 자기코어의 특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종래의 비접촉식 커플러는 복수의 자기코어로 이루어진 코어부와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이 서로 일체화되도록 제조됨에 따라 해당 커플러의 특성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코어부는 1개 혹은, 복수의 자기코어를 적층하여 일체형으로 제조함에 따라 해당 커플러를 전력선에 적용할 경우 자기코어와 권선비를 전혀 조절할 수가 없이 제조시 해당 커플러의 특성이 결정되는 구조로만 이루어졌으며, 이로써 해당 커플러를 다양한 선로에 공용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어부가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구조의 비접촉식 커플러는 어느 한 자기코어에 불량이 확인될 경우 해당 커플러 전체가 불량으로 분류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코어부를 이루는 각 자기코어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현장에서 필요에 따른 특성 조정이 가능한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는: 전력선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선을 축 삽입하며, 선택적으로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전력선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되는 링 형상의 자기코어; 및 상기 자기코어와 전기적 접촉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선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자기코어를 감싸서 폐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자기코어와 상기 코일부재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2개로 나뉘어지고, 상기 자기코어 각각은 분할된 상기 하우징 각각의 내측면에 구비되도록 적어도 2개로 나뉘어지며, 상기 코일부재는 분할된 상기 하우징 각각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부재는 상기 자기코어와 접촉되더라도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절연성의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를 고정하기 위해 양측 가장자리에 파지관체를 형성하며, 상기 전력선은 상기 튜브에 축 삽입되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파지관체는 상기 코일부재를 안착하여 위치 고정하고 상기 자기코어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요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복수 개의 상기 자기코어가 구분된 채 배치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안내턱을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복수 개의 상기 자기코어를 안착하기 위해 안착단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단은 복수 개의 상기 자기코어를 안착시에 상기 전력선의 축 방향으로 빈공간이 형성될 경우 상기 자기코어를 지지하기 위해 더미코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는 자기코어를 복수로 형성하여 제공하면서도 선택적인 설치 수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선로의 특성에 따라 자기코어와 권선수를 현장에서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선로에 공용으로 호환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자기코어의 선택적인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미코어의 추가 제공 및 반원형 튜브의 추가 제공에 의해 여타 자기코어들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반원형 튜브가 더 제공됨에 따라 전력선의 굵기에 상관없이 공용으로의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의 상부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의 하부하우징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의 상부하우징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의 하부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는 하우징(100,200), 자기코어(300) 및 코일부재(410,42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20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커플러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자기코어(300) 및 코일부재(410,420)를 내부에 구비한다.
하우징(100,200)은 전력선(10)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특히, 하우징(100,200)은 자기코어(300)와 코일부재(410,420) 등을 내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로 나뉘어진다. 편의상, 하우징(100,200)은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으로 나뉘어지는 것으로 한다.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은 다양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부하우징(100)은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상부체결공(150)을 형성하고, 하부하우징(200)은 상부하우징(100)과 조립시 상부체결공(150)에 대응되도록 하부체결공(250)을 형성한다. 그래서, 일치된 상부체결공(150)과 하부체결공(250)을 통해,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을 결속한다.
특히,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은 나사 결합하기 전에 조립을 위한 정위치 설정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부하우징(100)은 하부하우징(200)과 결속되는 부위의 하측면에 상부요철(160)을 돌출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하부하우징(200)은 상부요철(160)을 일대일로 수용하기 위해 하부요철홈(260)을 함몰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부요철(160)과 하부요철홈(260)은 형상, 크기 및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자기코어(300)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전력선(10)을 축 삽입하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부하우징(100)은 자기코어(300)를 장착 또는 수용하도록 상부안착단(110)을 형성하고, 하부하우징(200)은 자기코어(300)를 장착 또는 수용하도록 하부안착단(210)을 형성한다. 이때, 상부안착단(110)과 하부안착단(210)은 전력선(10)의 직경보다 크도록 상부하우징(100)의 내측과 하부하우징(2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아울러, 자기코어(300)는 자기장 생성을 위해 전체적으로 링이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부하우징(100)의 상부안착단(110)과 하부하우징(200)의 하부안착단(210)에 개별적으로 장착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나뉘어질 수 있다. 편의상, 자기코어(300)는 반원통 형상의 2개로 나뉘어지는 것으로 한다.
나뉘어지는 자기코어(300)는,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의 조립시, 대응되는 단면끼리 접하거나 근접됨으로써 원통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한편, 자기코어(300)는 하우징(100,200)에 축 삽입된 전력선(10)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다. 즉, 자기코어(300)는 반원통을 축 방향을 따라 설정 크기만큼 나뉘어진다. 이때, 자기코어(300)는 규격화된 크기로 나뉘어지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상부안착단(110)은 규격화된 크기로 나뉘어진 자기코일을 서로 구분된 채 균일 간격으로 배치하거나 필요에 따라 어느 일측에 집중 배치하기 위해 내측면에 복수 개의 상부안내턱(111)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하부안착단(210)은 규격화된 크기로 나뉘어진 자기코일을 서로 구분된 채 균일 간격으로 배치하거나 필요에 따라 어느 일측에 집중 배치하기 위해 내측면에 복수 개의 하부안내턱(211)을 형성한다.
상부안내턱(111)과 하부안내턱(211)은 하우징(100,200)의 축 방향을 따라 나뉘어진 자기코일이 임의적으로 어느 일측으로 집중되게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부안내턱(111)과 하부안내턱(211)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자기코어(300)는 개별적으로 유지 보수가 가능함에 따라, 설치 현장에서 필요에 따른 커플러의 특성 조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기코어(300)는, 필요한 자기장의 크기에 따라 또는 교체를 위해 일부를 꺼낼 경우, 상부안착단(110)의 축 방향 너비보다 작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자기코어(300)는 흔들림이나 일측으로 집중 치우침이 발생되어 균일한 자기장 형성이 어렵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부안착단(110)은 복수 개의 자기코어(300)를 안착시에 전력선(10)의 축 방향으로 빈공간이 형성될 경우 자기코어(300)를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더미코어(500)를 구비한다. 즉, 자기코어(300)와 하나 이상의 더미코어(500)가 상부안착단(110)의 축 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장착된다.
마찬가지로, 하부안착단(210)은 복수 개의 자기코어(300)를 안착시에 전력선(10)의 축 방향으로 빈공간이 형성될 경우 자기코어(300)를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더미코어(500)를 구비한다. 즉, 자기코어(300)와 하나 이상의 더미코어(500)가 하부안착단(210)의 축 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장착된다.
이때, 더미코어(500)는 자기코어(300)와 마찬가지로 반원(호) 형상이거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코일부재(410,420)는 자기코어(300)와 전기적 접촉이 불가능하도록 하우징(100,200) 내측에 구비되고, 전력선(10)의 축 방향을 따라 자기코어(300)를 감싸서 폐회로를 구성한다.
이때,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으로 나뉘어지는 바, 코일부재(410,420)는 상부하우징(100) 내측에 고정되는 상부코일부재(410) 및 하부하우징(200)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코일부재(420)로 나뉘어질 수 있다.
물론, 상부코일부재(410)와 하부코일부재(4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상부하우징(100)이 상부코일부재(410)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단자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거나, 또는 하부하우징(200)이 하부코일부재(420)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단자부(230)를 형성할 수 있다. 편의상, 하부하우징(200)이 단자부(230)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상부코일부재(410)와 하부코일부재(420)는 권선 코일 형태로 이루어져 단자부(230)에 의해 전체 또는 일부가 전기를 공급받아 자기코어(300)의 전자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상부코일부재(410)와 하부코일부재(4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2상 또는 3상 등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부하우징(100)은 상부코일부재(410)를 정위치 설정하여 상부안착단(110)에 안착된 자기코어(300)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부요입홈(140)을 함몰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하부하우징(200)은 하부코일부재(420)를 정위치 설정하여 하부안착단(210)에 안착된 자기코어(300)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부요입홈(240)을 함몰 형성한다.
특히, 상부코일부재(410)는 대응되는 자기코어(300)와 접촉되더라도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기장 형성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표면을 절연 처리한다.
그리고, 하부코일부재(420)는 대응되는 자기코어(300)와 접촉되더라도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기장 형성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표면을 절연 처리한다.
이때, 상부코일부재(410)와 하부코일부재(420)는 대응되는 자기코어(300)와 상호 작용에 의해 충분한 전자기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절연물질이나 절연코팅 두께 등이 설정된다.
한편, 하우징(100,200)은 내부에 튜브(610,620)를 축 삽입한다. 그리고, 튜브(610,620)는 내부에 전력선(10)을 축 삽입한다. 상세히, 전력선(10)을 축 삽입한 튜브(610,620)는 자기코어(300) 내측에 위치한다.
이때, 튜브(610,620)는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전력선(10)이 자기코어(300)로부터 자기장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튜브(610,620)는 축 방향으로 자기코어(300)와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튜브(610,62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하우징(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튜브(610) 및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하우징(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하부튜브(62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편의상, 튜브(610,620)는 상부튜브(610)와 하부튜브(620)로 나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부튜브(610)와 하부튜브(620)는 전력선(10)을 원주 방향으로 대략 절반씩 감싼다.
그리고, 상부하우징(100)은 상부튜브(610)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상부파지관체(120)를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형성하고, 하부하우징(200)은 하부튜브(620)의 둘레면에 접하도록 하부파지관체(220)를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이 결합시, 대응되는 상부파지관체(120)와 하부파지관체(220)가 대응되는 튜브(610,620)를 가압 고정한다.
아울러, 상부튜브(610)는 상부파지관체(120)와 분리 가능하게 스크류로써 결합되고, 하부튜브(620)는 하부파지관체(220)와 분리 가능하게 스크류(도시하지 않음)로써 결합된다. 그래서, 전력선(10)의 굵기에 따른 교체가 가능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커플러가 전력선(10)의 굵기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접촉식 커플러를 설치하고자 하는 통신 선로(전력선)에 위한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 규격화된 크기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자기코어(300), 및 더미코어(5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100)은 내면에 형성된 상부요입홈(140)에 권선 코일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상부코일부재(410)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부하우징(200)은 내면에 형성된 하부요입홈(240)에 권선 코일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하부코일부재(4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후, 작업자는 해당 비접촉식 커플러의 사용 용도에 따른 전자기 특성을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전자기 특성에 따른 자기코어(300)의 배치 수량을 결정한다.
즉, 비접촉식 커플러는 자기코어(300)의 특성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선로의 특성에 맞게 자기코어(300)의 개수가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코어(300)의 배치 개수에 대한 결정이 완료되면, 결정된 자기코어(300)의 배치 수량만큼이 자기코어(300)를 상부하우징(100)과 하부하우징(200) 각각의 상부안착단(110)과 하부안착단(210) 내에 각각 안착된다.
특히, 자기코어(300)들은 필요에 따라 해당 안착단(110,210) 내의 어느 일측 혹은, 중앙측에 집중시켜 배치하거나 혹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며, 이때, 안착단(110,210) 내에는 각 자기코어(300)의 안착 위치를 안내하는 상부안내턱(111)과 하부안내턱(211)이 돌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각각의 자기코어(300)에 대한 장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자기코어(300)를 안착시킨 후에는 대응되는 안착단(110,210) 내의 각 안착 부위 중 자기코어(300)가 안착되지 않은 잔여 안착 부위에는 더미코어(500)를 안착시킴으로써 사실상 안착단(110,210) 내부가 코어(300,500)들로 채워지면서 자기코어(30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각 자기코어(300)의 안착이 완료되면 각 하우징(100,200) 내에 반원형의 상부튜브(610)와 하부튜브(620)가 결합된다. 이때, 반원형인 튜브(610,620)는 해당 비접촉식 커플러를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선(10)의 굵기에 따라 내경이 결정된 상태로 제공되면서 각 하우징(100,200)에 각각 결합 고정된다. 즉, 상부튜브(610)와 하부튜브(620)는 전력선(1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내경을 갖도록 제조하여 준비한 후 설치하고자 하는 전력선(10)의 종류에 맞게 선택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튜브(610,620)의 결합이 완료되면, 두 하우징(100,200)을 벌린 상태에서 두 하우징(100,200) 사이에 전력선(10)을 위치시킨 다음, 두 하우징(100,200)이 서로 맞대어진 채 결합된다.
이때, 두 하우징(100,200) 간의 대향면에 형성된 상부요철(160)과 하부요철홈(260)이 서로 암수 맞물림으로 인해 서로 간이 정위치를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부하우징(100)의 상부체결공(150)과 하부하우징(200)의 하부체결공(250)은 볼트에 의해 볼팅 처리됨으로써, 비접촉식 커플러에 대한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비접촉식 커플러가 설치 완료되면, 단자부(230)를 통해 외부 통신 기기(도시하지 않음)와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때, 외부 통신 기기라 함은 통신 모뎀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버나 클라이언트 PC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는 사용 도중 자기코어(300)의 손상과 같은 고장 발생시 단순히 두 하우징(100,200)을 서로 벌린 상태에서 손상된 특정한 자기코어(300)만을 분리하여 취출한 다음 새로운 자기코어(300)로 교체하는 작업으로 유지보수가 수행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는 자기코어(300)를 복수로 형성하여 제공하면서도 선택적인 설치 수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선로의 특성에 따라 자기코어(300)와 권선수를 현장에서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선로에 공용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는 각 자기코어(300)의 선택적인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유리하고, 더미코어(500)의 추가 제공 및 튜브(610,620)의 추가 제공에 의해 자기코어(300)들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전력선 100: 상부하우징
110: 상부안착단 120: 상부파지관체
140: 상부요입홈 200: 하부하우징
210: 하부안착단 220: 하부파지관체
230: 단자부 240: 하부요입홈
300: 자기코어 410: 상부코일부재
420: 하부코일부재 500: 더미코어
610: 상부튜브 620: 하부튜브

Claims (7)

  1. 전력선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선을 축 삽입하는 링 형상의 자기코어; 및
    상기 자기코어와 전기적 접촉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전력선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자기코어를 감싸서 폐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코어는 선택적으로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전력선의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자기코어와 상기 코일부재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2개로 나뉘어지고,
    상기 자기코어 각각은 분할된 상기 하우징 각각의 내측면에 구비되도록 적어도 2개로 나뉘어지며,
    상기 코일부재는 분할된 상기 하우징 각각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재는 상기 자기코어와 접촉되더라도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절연성의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를 고정하기 위해 양측 가장자리에 파지관체를 형성하며,
    상기 전력선은 상기 튜브에 축 삽입되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파지관체는 상기 코일부재를 안착하여 위치 고정하고 상기 자기코어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요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 개의 상기 자기코어가 구분된 채 배치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안내턱을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 개의 상기 자기코어를 안착하기 위해 안착단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단은 복수 개의 상기 자기코어를 안착시에 상기 전력선의 축 방향으로 빈공간이 형성될 경우 상기 자기코어를 지지하기 위해 더미코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
KR1020190113382A 2019-09-16 2019-09-16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 KR102621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382A KR102621362B1 (ko) 2019-09-16 2019-09-16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382A KR102621362B1 (ko) 2019-09-16 2019-09-16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096A true KR20210032096A (ko) 2021-03-24
KR102621362B1 KR102621362B1 (ko) 2024-01-08

Family

ID=7525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382A KR102621362B1 (ko) 2019-09-16 2019-09-16 통신용 카트리지의 비접촉식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753A (ko) 2022-09-29 2024-04-05 (주)매트론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373A (ko) * 2016-03-04 2017-09-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옥외용 비접촉식 커플러
KR101966749B1 (ko) * 2015-12-11 2019-04-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기차폐형 변류기
KR20190102543A (ko) * 2018-02-26 2019-09-04 (주)일흥 와류전류를 이용한 용접 케이블용 가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749B1 (ko) * 2015-12-11 2019-04-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기차폐형 변류기
KR20170103373A (ko) * 2016-03-04 2017-09-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옥외용 비접촉식 커플러
KR20190102543A (ko) * 2018-02-26 2019-09-04 (주)일흥 와류전류를 이용한 용접 케이블용 가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753A (ko) 2022-09-29 2024-04-05 (주)매트론 이방성형 비접촉식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362B1 (ko) 202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5549B1 (en) Inductive element
US7102478B2 (en) Power line coupl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WI525653B (zh) 多層變壓器開關
US7289012B2 (en) Electromagnetic coil assembly
KR101323607B1 (ko) 변류기
US2521822A (en) Connector or terminal member
US20140184378A1 (en) Slotted bobbin magnetic component devices and methods
US7128598B2 (en) Cable holder
US8398428B2 (en) Reel for minimizing unreeled cable length
EP0375419B1 (en) Dynamoelectric machine
KR20210032096A (ko) 통신용 카트리지형 비접촉식 커플러
US4179796A (en) Method of making a transformer with an improved insulation system
US6060974A (en) Header plate for a low profile surface mount transformer
EP1036987B1 (en) Safety gas valve with an electromagnet
CA2670111C (en) A multi-point connection module for a transformer coil, and a transformer comprising such a connection module
US20210375539A1 (en) Method for assembling a magnetic inductor and magnetic inductor able to be obtained by means of such a method
KR102137020B1 (ko) 공기조화기의 배관 통신 장치
US20160148754A1 (en) Method of assembling a transformer
US4412196A (en) Solenoid for directional valves
JP2003272933A (ja) トランス
US2482965A (en) Electric connector
JP7443711B2 (ja) 高周波トランス
CN106683850A (zh) 一种模块化变压器
CN106683849A (zh) 一种标准化变压器
KR102023129B1 (ko) 변압기용 코일조립체의 권선 및 탭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