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855B1 - Autonomy mobility - Google Patents
Autonomy mob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4855B1 KR102664855B1 KR1020230144225A KR20230144225A KR102664855B1 KR 102664855 B1 KR102664855 B1 KR 102664855B1 KR 1020230144225 A KR1020230144225 A KR 1020230144225A KR 20230144225 A KR20230144225 A KR 20230144225A KR 102664855 B1 KR102664855 B1 KR 1026648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n
- electric
- frame
- driven gear
- gea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with position, velocity or acceleration sensors
- B25J13/089—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robot with reference to its environ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3—Automatically gu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Abstract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자율주행용 모빌리티는: 프레임에 구비되는 전동모터, 프레임에 구비되고 전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동기어조립체를 갖는 전동기어유닛, 프레임의 일측에 설정 궤적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종동기어조립체를 갖는 종동기어유닛, 종동기어유닛 각각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해당되는 종동기어조립체의 작동으로 축 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리프팅블록, 복수 개인 리프팅블록에 지지되어 리프팅블록과 함께 이동이 되는 상부플레이트, 및 복수 개인 종동기어조립체를 연결하여 전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복수 개인 리프팅블록이 동일 방향과 동일한 속도로 연동되도록 안내하는 동력연계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for autonomous mobility is disclosed. The disclosed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includes: an electric motor provided in a frame, an electric gear unit equipped in the frame and having an electric gear assembly that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electric motor, and a plurality of units arranged along a set trajectory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a driven gear. A driven gear unit having an assembly, a lifting block that is equipped to be raised and lowered on each driven gear unit and whose axial movement is guided by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riven gear assembly, and an upper part that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individual lifting blocks and moves together with the lifting block.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ower linkage transmission unit that connects the plate and the plurality of individual driven gear assemblies to guide the plurality of individual lifting blocks to be link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t the same spe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복수 개의 리프팅블록을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리프팅블록을 통해 상부플레이트를 상승 및 하강 작동함에 따라 모빌리티의 사용 영역을 확장하고, 복수 개인 리프팅블록을 동시에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속도 및 동일한 높이로 상승 및 하강을 유도하도록 동력연계전달부를 구비함에 따라 상부플레이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and more specifically, by equipping a frame with a plurality of lifting blocks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the use area of mobility is expanded by raising and lowering the upper plate through the lifting blocks, and a plurality of lifting blocks are provided on the frame. This relates to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that prevents tilting of the upper plate by providing a power linkage transmission unit to guide the personal lifting block to rise and fall simultaneously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speed, and at the same height.
부처명 : 대구광역시Name of Ministry: Daegu Metropolitan City
과제관리(전문)기관명 :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Name of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organization: Daegu Mechanical Parts Research Institute
연구사업명 : 2023년 로봇산업 가치사슬 확장 및 상생시스템 구축사업Research project name: 2023 robot industry value chain expansion and win-win system construction project
실증/보급과제명 : 자율주행로봇 기반의 물류 자동 운송 시스템의 실증Demonstration/dissemination project name: Demonstration of an automatic logistics transport system based on self-driving robots
기여율 : 1/1Contribution rate: 1/1
과제수행기관명 : 아이엠로보틱스㈜Name of project carrying out organization: iM Robotics Co., Ltd.
연구기간 : 2022.08.11 ~ 2023.10.31Research period: 2022.08.11 ~ 2023.10.31
일반적으로 공장 등에서 물류를 이송하는 자율주행용 모빌리티가 공장자동화, 스마트팩토리의 발전과 함께 개발되어 왔다.In general, autonomous driving mobility that transports logistics in factories has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factory automation and smart factories.
모빌리티 중 무인대차(AGV; Automated Guided Vehicle)는 사람이 직접 조작하지 않고 자동으로 짐을 운반하는 차량을 가리키는 것으로, 산업기술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Among mobility, Automated Guided Vehicle (AGV) refers to a vehicle that automatically transports luggage without direct human operation, and is being used for various purposes as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s.
무인대차는 통상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다양한 부품이나 제품등을 자동으로 이송할 때 사용되는 이송장치를 가리킨다.An unmanned truck refers to a transfer device used to automatically transfer various parts or products when used in industrial sites.
그리고, 모빌리티 중 자율주행로봇(AMR; Autonomous Mobile Robots)은 탑재된 카메라와 라이다, 센서, GPS, 딥러닝을 활용해 주변 환경을 탐지하고 장애물을 피해 목적지를 스스로 찾아 자동으로 짐을 운반하는 차량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작업 동선이 자주 바뀌고 무인대차(AGV) 인프라를 갖추기 힘든 소규모 물류 창고나 호텔, 병원 등에 더 적합하다.Among mobility, autonomous mobile robots (AMR; Autonomous Mobile Robots) utilize mounted cameras, lidar, sensors, GPS, and deep learning to detec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void obstacles, find the destination, and automatically transport luggage. This indicates that it is more suitable for small logistics warehouses, hotels, and hospitals where work flow changes frequently and it is difficult to have autonomous vehicle (AGV) infrastructure.
관련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1423호(발명의 명칭: LiDAR를 이용한 자율주행 AMR 모빌리티)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6843호(발명의 명칭: 다목적 자율주행 차량 제어장치 및 방법)가 제안된 바 있다.Related technologies includ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181423 (title of the invention: autonomous AMR mobility using LiDAR)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06843 (title of the invention: multi-purpose autonomous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has been proposed.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is background technology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at it is widely known prior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기존 자율주행용 모빌리티는 상부플레이트의 복수 지점에 리프터를 설치하여 상부플레이트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각 리프터를 개별적으로 작동 안내함으로써 상부플레이트가 기울어진 채 승강 및 하강됨에 따라 상부플레이트에 적재된 물품이 낙하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부플레이트의 기울어지는 측의 리프터에 부하가 더 가해짐에 따라 해당 리프터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Existing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installs lifters at multiple points on the upper plate and individually guides the operation of each lifter that raises and lowers the upper plate, causing the goods loaded on the upper plate to fall as the upper plate is tilted and raised and lowe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of the lifter deteriorates as more load is applied to the lifter on the inclined side of the upper plate.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레임에 복수 개의 리프팅블록을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리프팅블록을 통해 상부플레이트를 상승 및 하강 작동함에 따라 모빌리티의 사용 영역을 확장하고자 하는 자율주행용 모빌리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s designed to expand the use area of mobility by equipping a frame with a plurality of lifting blocks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thereby raising and lowering the upper plate through the lifting blocks. The purpose is to provide driving mobility.
본 발명은 복수 개인 리프팅블록을 동시에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속도 및 동일한 높이로 상승 및 하강을 유도하도록 동력연계전달부를 구비함에 따라 상부플레이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자율주행용 모빌리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that prevents tilting of the upper plate by providing a power linkage transmission unit to guide a plurality of individual lifting blocks to rise and fall simultaneously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speed, and at the same height.
본 발명은 종동휠에 서스펜션 기능을 구성함으로써 한 쌍의 구동휠을 포함한 다축 휠 전체가 항상 지면에 접하도록 안내함에 따라 불균일한 바닥에 대한 휠의 접지불량으로 인한 불안정한 이동성을 방지하고자 하는 자율주행용 모빌리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suspension function on the driven wheel to guide the entire multi-axis wheel, including a pair of driving wheels, to always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by preventing unstable mobility due to poor grounding of the wheel on an uneven floor for autonomous driv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mobility.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전동모터;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동기어조립체를 갖는 전동기어유닛;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정 궤적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종동기어조립체를 갖는 종동기어유닛; 상기 종동기어유닛 각각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해당되는 상기 종동기어조립체의 작동으로 축 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리프팅블록; 복수 개인 상기 리프팅블록에 지지되어, 상기 리프팅블록과 함께 이동이 되는 상부플레이트; 및 복수 개인 상기 종동기어조립체를 연결하여,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복수 개인 상기 리프팅블록이 동일 방향과 동일한 속도로 연동되도록 안내하는 동력연계전달부를 포함한다.The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An electric motor provided in the frame; an electric gear unit provided on the frame and having an electric gear assembly that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electric motor; a plurality of driven gear units arranged along a set trajectory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having a driven gear assembly; A lifting block provided to b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at each of the driven gear units, and guided in axial movement by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riven gear assembly; A plurality of upper plates supported by the lifting blocks and moved together with the lifting blocks; And a power linkage transmission unit that connects the plurality of driven gear assemblies and guides the plurality of lifting blocks to move in the same direction and at the same spe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상기 프레임은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내측에 복수 개의 보강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am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on the inside that are open toward the top.
상기 전동모터, 상기 전동기어유닛, 상기 종동기어유닛 및 상기 동력연계전달부는 대응되는 상기 보강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 motor, the electric gear unit, the driven gear unit, and the power linkage transmission unit are supported on the corresponding reinforcement bars.
상기 동력연계전달부는,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상기 종동기어조립체끼리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프레임에서 나란하게 배치되며,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연결되는 상기 리프팅블록을 상하 이동 안내하는 종동볼스크류; 상기 종동볼스크류 각각과 기어 결합되는 조인트기어조립체를 구비하여, 대응되는 상기 종동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조인트기어유닛; 대응되는 한 쌍의 상기 조인트기어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전동기어유닛의 일측에 접속되어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전동기어조립체에 기어 결합되며 타측이 대응되는 종동기어조립체에 기어 결합되어 해당되는 상기 종동볼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일측전동볼스크류; 및 상기 전동기어유닛의 타측에 접속되어 상기 일측전동볼스크류와 함께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전동기어조립체에 기어 결합되며 타측이 대응되는 종동기어조립체에 기어 결합되어 해당되는 상기 종동볼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타측전동볼스크류를 포함한다.The power linkage transmission unit transmits power by connecting the driven gear assemblies arranged in pairs, and the driven ball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rame and guides the lifting blocks connected to both sides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move up and down. screw; A joint gear unit including a joint gear assembly geared to each of the driven ballscrews and rotating the corresponding driven ballscrews; 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ectric gear unit disposed between the corresponding pair of joint gear units and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the electric motor, one side is gear-coupled with the electric gear assembly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corresponding. A one-side electric ball screw that is gear-coupled with the driven gear assembly and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corresponding driven ball screw;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electric gear unit to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electric motor together with the one-side electric ball screw, where one side is gear-coupled with the electric gear assembly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gear-coupled with the corresponding driven gear assembly. and includes a second electric ballscrew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corresponding driven ballscrew.
상기 프레임은 이동 중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감지부를 복수 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am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lurality of obstacle detection units that detect obstacles while mov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는 종래 기술과 달리 프레임에 복수 개의 리프팅블록을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리프팅블록을 통해 상부플레이트를 상승 및 하강 작동함에 따라 모빌리티의 사용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prior art, the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lifting blocks on the frame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thereby increasing and lowering the upper plate through the lifting blocks, thereby expanding the use area of mobility. It can be expanded.
본 발명은 복수 개인 리프팅블록을 동시에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속도 및 동일한 높이로 상승 및 하강을 유도하도록 동력연계전달부를 구비함에 따라 상부플레이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ilting of the upper plate by providing a power linkage transmission unit to guide a plurality of individual lifting blocks to rise and fall simultaneously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speed, and at the same height.
본 발명은 종동휠에 서스펜션 기능을 구성함으로써 한 쌍의 구동휠을 포함한 다축 휠 전체가 항상 지면에 접하도록 안내함에 따라 불균일한 바닥에 대한 휠의 접지불량으로 인한 불안정한 이동성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spension function to the driven wheel, thereby guiding the entire multi-axis wheel, including a pair of driving wheels, to always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by preventing unstable mobility due to poor grounding of the wheel on an uneven flo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에서 상부플레이트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에서 동력연계전달부의 구성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의 종동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ith the upper plate remov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mo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linkage transmission unit in autonomous driving mo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1.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ure 1.
Figure 7 is a bottom view of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view of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iven module for autonomous driving mo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utonomous driving mo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에서 상부플레이트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에서 동력연계전달부의 구성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upper plate separated,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 autonomous driving mo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의 측면도이다.Figure 7 is a bottom view of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side view of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의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의 종동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iven module of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100)는 프레임(200), 전동모터(610), 전동기어유닛(620), 종동기어유닛(630), 리프팅블록(640), 상부플레이트(650) 및 동력연계전달부(660)를 포함한다.1 to 10, th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mobility,100)는 무인대차(AGV; Automated Guided Vehicle)나 자율주행로봇(AMR; Autonomous Mobile Robots) 등에 적용 가능하다.At this time,
특히, 프레임(200)은 모빌리티(100)의 전체 외형 또는 부분적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프레임(200)은 육면체 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개방된 둘레면을 막는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아울러, 프레임(200)은 둘레면을 따라 연속 또는 비연속되게 엣지돌기(242)를 돌출 형성하고, 범퍼(244)가 대응되는 엣지돌기(242)에 씌워진다. 범퍼(244)는 외부의 장애물로부터 프레임(2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범퍼(244)는 완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물론, 엣지돌기(242)와 범퍼(244)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Of course, the
또한, 전동모터(610)는 프레임(200)에 고정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 인가시 구동력을 발생한다. 이때, 전동모터(610)는 최소 특히 1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Additionally, the
그리고, 전동기어유닛(620)은 프레임(200)에 설치되고, 전동모터(6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동기어조립체(622)를 갖는다. 그래서, 전동기어유닛(620)은 기어박스인 것으로 한다. 물론, 전동기어조립체(622)는 웜기어나 베벨기어 등 다양한 기어들의 조립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동기어유닛(620)은 기어 이외의 다양한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아울러, 종동기어유닛(630)은 프레임(200)의 일측에 설정 궤적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다. 이때, 종동기어유닛(630)은 전동기어유닛(620)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전동기어유닛(620)과 유사한 높이에 배치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driven
편의상, 프레임(200)은 평면상 사각 형상인 것으로 하고, 종동기어유닛(630)은 프레임(200)의 각 코너 부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100)는 사각 궤적을 따라 종동기어유닛(630)을 4개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For convenience, the
또한, 종동기어유닛(630) 각각은 종동기어조립체(632)를 구비한다. 그래서, 종동기어유닛(630)은 기어박스인 것으로 한다. 물론, 종동기어조립체(632)는 웜기어나 베벨기어 등 다양한 기어들의 조립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종동기어유닛(630)은 기어 이외의 다양한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each driven
그리고, 리프팅블록(640)은 종동기어유닛(630) 각각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해당되는 종동기어조립체(632)의 회전 작동으로 축 방향 이동이 안내된다. 이때, 리프팅블록(64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물론, 리프팅블록(640)은 적어도 둘레면 일부에 기어치를 형성하여 대응되는 종동기어조립체(632)와 기어 결합되어, 종동기어조립체(632)의 작동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상부플레이트(650)는 복수 개인 리프팅블록(640)에 동시에 지지되어, 리프팅블록(640)과 함께 상승 및 하강 이동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100)는 제품이나 물품을 상차 및 하차 안내할 수 있고, 제품이나 물품을 이송할 수 있다.The
상부플레이트(650)는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The
한편, 모든 리프팅블록(640), 특히 4개의 리프팅블록(640)이 동시에 동일한 속도 및 동일한 높이로 상승 및 하강되어야, 상부플레이트(650)가 상승과 하강시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Meanwhile, all lifting
복수 개인 리프팅블록(640)이 서로 다른 속도 및 서로 다른 높이로 상승 및 하강 작동시, 상부플레이트(650)에 적재된 제품이나 물품이 낙하할 수도 있고, 특정한 리프팅블록(640)이 집중 하중이 작용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individual lifting blocks 640 rise and fall at different speeds and different heights, products or articles loaded on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인 리프팅블록(640)이 서로 동일한 속도 및 서로 동일한 높이로 상승 및 하강 작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동력연계전달부(660)가 구비된다.To prevent this, a power
즉, 동력연계전달부(660)는 복수 개인 종동기어조립체(632)를 연결하여, 전동모터(610)의 구동력에 의해, 복수 개인 리프팅블록(640)이 동일 방향과 동일한 속도로 연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power
이때, 프레임(200)은 내부의 공간이 개방되도록 일측 특히 상부면 일부 또는 전체를 개방한 상부개구부(210)를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프레임(200)은 보강을 위해 내부에 다양한 형상의 보강대(230)를 구비한다.Additionally, th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100)의 초기 상태 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동모터(610), 전동기어유닛(620), 종동기어유닛(630) 및 동력연계전달부(660) 등은 프레임(2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 경우, 전동모터(610), 전동기어유닛(620), 종동기어유닛(630) 및 동력연계전달부(660) 등은 상부개구부(210)를 통해 프레임(200)의 상측으로 노출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initial height of the
이때, 전동모터(610), 전동기어유닛(620), 종동기어유닛(630) 및 동력연계전달부(660) 등은 프레임(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대(230)에 고정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모든 리프팅블록(640)이 하강한 초기 상태의 경우, 대기 상태인 상부플레이트(650)가 자중에 의해 리프팅블록(640)을 누르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리프팅블록(640)과 전동기어조립체(622) 및 종동기어조립체(632)는 내부 응력이 증대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all the lifting blocks 640 are lowered, the
이를 개선하기 위해, 프레임(200)은 상부개구부(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220)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대기 상태인 상부플레이트(650)는 플랜지(220)에 접함에 따라 리프팅블록(640)과 전동기어조립체(622) 및 종동기어조립체(632) 등으로 전달되는 자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To improve this, the
물론, 플랜지(2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프레임(200)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f course, the
한편, 동력연계전달부(660)는 종동볼스크류(661), 조인트기어유닛(662), 일측전동볼스크류(664) 및 타측전동볼스크류(665)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종동볼스크류(661)는 중심축이 프레임(200)의 진행 방향 대응되는 한 쌍의 종동기어유닛(630)에 연결된다. 즉, 종동볼스크류(661)는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종동기어조립체(632)끼리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한다.The driven
그리고, 종동볼스크류(661)는 프레임(200)의 내부에서 나란하게 배치된다.And, the driven
특히, 종동볼스크류(661)는 둘레면에 기어치를 형성하고, 축 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 각각이 대응되는 종동기어유닛(630)의 종동기어조립체(632)와 기어 결합된다. 그래서, 종동볼스크류(661)는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 대응되는 종동기어조립체(632)의 작동을 안내함으로써 해당되는 리프팅블록(640)을 상향 또는 하향 이동 안내한다.In particular, the driven
또한, 조인트기어유닛(662)은 나란한 종동볼스크류(661) 각각과 기어 결합되는 조인트기어조립체(663)를 구비하여, 외력에 의해 종동볼스크류(661)를 회전시킨다.In addition, the
특히, 조인트기어유닛(662)은 기어박스인 것으로 한다. 물론, 조인트기어조립체(663)는 웜기어나 베벨기어 등 다양한 기어들의 조립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조인트기어유닛(662)은 기어 이외의 다양한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이때, 나란하게 배치되는 종동볼스크류(661)는 각각 조인트기어유닛(662)을 연결하고, 전동기어유닛(620)은 대응되는 한 쌍의 조인트기어유닛(662)의 사이에 배치된다. 아울러, 대응되는 한 쌍의 조인트기어유닛(662)과 전동기어유닛(620)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driven
한편, 일측전동볼스크류(664)는 전동기어유닛(620)의 일측에 접속되어 전동모터(6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Meanwhile, the one-side
즉, 일측전동볼스크류(664)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전동기어유닛(620)의 전동기어조립체(622)에 기어 결합되며, 타측이 대응되는 종동기어유닛(630)의 종동기어조립체(632)에 기어 결합된다. That is, one side of the one-side
그래서, 전동모터(610)가 가동시, 전동기어유닛(620)의 전동기어조립체(622)는 전동모터(6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전동볼스크류(664)를 회전시킨다. 일측전동볼스크류(664)는 대응되는 조인트기어유닛(662)의 조인트기어조립체(663)를 회전시키고, 이 조인트기어조립체(663)는 해당되는 종동볼스크류(661)를 회전시킨다. 이 후, 종동볼스크류(661)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연결되는 종동기어유닛(630)의 종동기어조립체(632)를 회전시키고, 이 종동기어조립체(632)는 해당되는 한 쌍의 리프팅블록(640)을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Therefore, when the
또한, 타측전동볼스크류(665)는 전동기어유닛(620)의 타측에 접속되어 전동모터(6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In addition, the other
그래서, 전동모터(610)가 가동시, 전동기어유닛(620)의 전동기어조립체(622)는 전동모터(6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측전동볼스크류(664)와 함께 타측전동볼스크류(665)를 회전시킨다. 타측전동볼스크류(665)는 대응되는 조인트기어유닛(662)의 조인트기어조립체(663)를 회전시키고, 이 조인트기어조립체(663)는 해당되는 종동볼스크류(661)를 회전시킨다. 이 후, 종동볼스크류(661)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연결되는 종동기어유닛(630)의 종동기어조립체(632)를 회전시키고, 이 종동기어조립체(632)는 해당되는 한 쌍의 리프팅블록(640)을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So, when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4개의 리프팅블록(640)이 동시에 동일 방향을 따라 동일 속도 및 동일 높이만큼 상승 또는 하강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our lifting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100)가 자율주행로봇(AMR; Autonomous Mobile Robots)일 경우, 프레임(200)은 이동 중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감지부(700)를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이때, 장애물감지부(700)는 LiDAR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장애물감지부(700)는 장애물 감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프레임(200)의 상부면에 설치됨으로써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된다.The
이에 따라, 장애물감지부(700)를 보호하기 위해, 상부플레이트(650)가 대기 상태에서 플랜지(220)에 접한 채 장애물감지부(700)의 상측을 막아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protect the
아울러, 모빌리티(100)가 이동되며, 장애물감지부(700)가 장애물을 감지시, 모빌리티(100)는 주행 방향을 전환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In addition, when the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용 모빌리티(100)는 구동모듈(300) 및 종동모듈(400)을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구동모듈(300)은 프레임(2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고, 프레임(200)의 이동을 위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휠(330)을 구비한다.The
이때, 구동모듈(300)은 진행 방향을 따라 프레임(2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구동모듈(300)은 프레임(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대략 중앙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대략 중앙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구동모듈(300) 각각은 구동휠(330)을 구비한다. 이 경우, 각각의 구동휠(330)은 서로 연결되어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전달될 수도 있으나, 개별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일 방향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적용한다. 각각의 구동휠(330)이 상이한 방향으로 구름 회전시, 프레임(200)은 제자리에서 평면상 회전될 수 있다. 물론, 구동휠(330)은 구름 회전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And, each
그리고, 종동모듈(400)은 프레임(2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 이상 연결되고, 각각이 종동휠(430)을 포함한다.In addition, one or more driven
이때, 종동모듈(400)은 구동모듈(300)을 장착한 프레임(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다른 구동모듈(300)을 장착한 프레임(200)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하나 이상의 구비된다.At this time, one or more driven
실시예로, 프레임(200)은, 진행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에 구동모듈(300)을 기준으로 일측의 종동모듈(400)과 타측의 종동모듈(400)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마찬가지로, 프레임(200)은, 진행 방향을 따라, 타측 가장자리에 구동모듈(300)을 기준으로 일측의 종동모듈(400)과 타측의 종동모듈(400)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Likewise,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100)는 다축 특히 6축 바퀴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Therefore, the
특히, 종동모듈(400) 각각은 종동휠(430)을 포함하는데, 각 종동휠(430)은 자연 구름 회전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특정한 종동휠(430)은 구동휠(330)의 회전력에 대응되도록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each driven
한편, 구동모듈(300) 각각은 구동브라켓(310) 및 구동모터(320)를 포함한다.Meanwhile, each
구동브라켓(310)은 대응되는 구동휠(33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구동브라켓(310)은 강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The driving
그리고, 구동모터(320)는 구동브라켓(310) 각각 또는 프레임(200)에 고정 설치되고, 대응되는 구동휠(3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구동휠(330)은 대응되는 구동모터(3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Additionally, the
또한, 종동모듈(400) 각각은 종동브라켓(410) 및 회전안내브라켓(420)을 포함한다.Additionally, each driven
종동브라켓(410)은 프레임(200)의 진행 방향에 대해 대응되는 구동브라켓(310)의 전측과 후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된다. 편의상, 종동브라켓(410)은 프레임(200)의 진행 방향에 대해 대응되는 구동브라켓(310)의 전측(일측)과 후측(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The driven
물론, 종동브라켓(410)은 내구성과 강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Of course, the driven
그리고, 회전안내브라켓(420)은 대응되는 종동브라켓(410)에 평면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대응되는 종동브라켓(410)과 회전안내브라켓(420)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모빌리티(100)는 주행 중 방향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회전안내브라켓(4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The
특히, 구동브라켓(310)과 종동브라켓(410)은 다양한 방식으로 프레임(2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riving
그리고, 장애물감지부(700)가 전진 이동 중 장애물을 감지시, 한 쌍의 구동모터(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해당되는 구동휠(330)이 정지하거나 회전 속도를 줄이거나 또는 역회전되도록 제어된다.And, when the
아울러, 종동모듈(400) 각각은 휠높이가변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driven
이때, 휠높이가변부(440)는 회전안내브라켓(420)에 연결되고, 대응되는 종동휠(430)을 연결하어, 설정 범위 내에서 종동휠(430)의 높이 가변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the wheel height
이를 위해, 휠높이가변부(440)는 사이드윙(441), 로터리샤프트(442), 피벗핀(443), 현가패드(444) 및 삽입구(445)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wheel height
사이드윙(441)은 대응되는 종동휠(4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그래서, 사이드윙(441)은 종동휠(430) 각각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한 쌍씩 구비되고, 한 쌍의 사이드윙(441)은 대향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사이드윙(441)은 강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The
그리고, 로터리샤프트(442)는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윙(441)의 동일한 일측과 대응되는 종동휠(43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래서, 로터리샤프트(442)는 대응되는 한 쌍의 사이드윙(441)의 일측과 종동휠(430)의 중심에 축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동휠(430) 각각은 로터리샤프트(442)를 기준으로 구름 회전하게 된다.And, the
아울러, 피벗핀(443)은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윙(441)의 동일한 타측을 대응되는 회전안내브라켓(4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래서, 피벗핀(443)은 대응되는 한 쌍의 사이드윙(441)의 타측과 회전안내브라켓(420)에 축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In addition, the
이로써,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윙(441)은 피벗핀(443)을 기준으로 편심 회동되며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종동휠(430)은 해당되는 사이드윙(441)과 함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the pair of opposing
따라서, 바닥의 노면이 불균일할 경우에도, 종동휠(430) 각각은 노면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하 이동되며 바닥에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floor surface is uneven, each of the driven
한편, 종동휠(430) 각각은 노면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하 이동시에도 바닥에 대한 접지력을 유지해야 하고, 서스펜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each driven
그래서, 현가패드(444)와 삽입구(445)가 구비된다.Therefore, a
현가패드(444)는 회전안내브라켓(420)에 하나 이상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탄성 압축성과 탄성 복원성을 갖는다. 즉, 현가패드(444)는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외력 제거시 탄성적으로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현가패드(444)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One or
그리고, 삽입구(445)는 사이드윙(441)이 해당되는 피벗핀(443)을 기준으로 완충 회동되도록,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윙(441)에 형성되어 현가패드(444)를 일대일 또는 일대다 삽입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삽입구(445)는 사이드윙(441) 각각에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응되는 현가패드(444)의 일부를 삽입한다.In addition, the
그래서, 노면 상태에 따라, 사이드윙(441)이 대응되는 피벗핀(443)을 기준으로 하향될 경우 해당되는 현가패드(444)는 하측이 상측 방향으로 압축되고, 사이드윙(441)이 대응되는 피벗핀(443)을 기준으로 상향될 경우 해당되는 현가패드(444)는 상측이 하측 방향으로 압축된다.Therefore, depending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when the
이 후, 노면 상태에 따라, 사이드윙(441)이 대응되는 피벗핀(443)을 기준으로 하향된 상태에서 초기 위치로 상향 복귀할 경우, 해당되는 현가패드(444)는 초기 상태로 탄성 복원되는 힘에 의해 사이드윙(441)의 신속한 이동을 위해 보조력을 발생하게 된다.Afterwards, depending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when the
마찬가지로, 노면 상태에 따라, 사이드윙(441)이 대응되는 피벗핀(443)을 기준으로 상향된 상태에서 초기 위치로 하향 복귀할 경우, 해당되는 현가패드(444)는 초기 상태로 탄성 복원되는 힘에 의해 사이드윙(441)의 신속한 이동을 위해 보조력을 발생하게 된다.Likewise, depending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when the
특히, 현가패드(444)는 대응되는 회전안내브라켓(420)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따라서, 프레임(200)의 진행 방향에 따라, 구동휠(330)을 기준으로 전측의 종동휠(430)만이 바닥의 상대적으로 높은 노면에 위치하더라도, 모든 구동휠(330)과 모든 종동휠(430)은 바닥의 해당되는 노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아울러, 스토퍼핀(446)이 호 궤적의 스토퍼홈(447)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사이드윙(441)이 피벗핀(443)을 기준으로 회동시, 해당 사이드윙(441)은 스토퍼핀(446)과의 접촉을 유지한 채 호 궤적을 따라 회동 안내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with the
특히, 스토퍼핀(446)이 대응되는 사이드윙(441)의 상측에 접한 상태일 때, 모든 구동휠(330)과 해당되는 종동휠(430)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이 경우, 현가패드(444)는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이드윙(441)이 대응되는 스토퍼핀(446)에 접함으로써, 구동휠(330)과 종동휠(430) 전체가 편평한 바닥에 접한 상태에서, 현가패드(444)는 사이드윙(441)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현가패드(444)는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아울러,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윙(4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접한 스토퍼핀(446)을 수용함으로써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스토퍼홈(447)을 형성할 수 있다. 스토퍼홈(447)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편의상, 스토퍼홈(447)은 스토퍼핀(446)이 접한 상태로 이동 안내되도록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opposing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빌리티(100)는 종동휠(430)에 서스펜션 기능을 구성함으로써 한 쌍의 구동휠(330)을 포함한 다축 휠 전체가 항상 지면에 접하도록 안내함에 따라 불균일한 바닥에 대한 휠의 접지불량으로 인한 불안정한 이동성을 방지하고, 휠(330,430)의 안정적 접지와 상부플레이트(650)의 안정적 승하강 동작으로 인해 상부플레이트(650)의 과도한 기울어짐이나 흔들림이 방지됨에 따라 상부플레이트(650)에 놓인 제품이나 물품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0: 모빌리티 200: 프레임
210: 상부개구부 220: 플랜지
230: 보강대 242: 엣지돌기
300: 구동모듈 310: 구동브라켓
320: 구동모터 330: 구동휠
400: 종동모듈 410: 종동브라켓
420: 회전안내브라켓 430: 종동휠
440: 휠높이가변부 441: 사이드윙
442: 로터리샤프트 443: 피벗핀
444: 현가패드 445: 삽입구
446: 스토퍼핀 447: 스토퍼홈
610: 전동모터 620: 전동기어유닛
622: 전동기어조립체 630: 종동기어유닛
632: 종동기어조립체 640: 리프팅블록
650: 상부플레이트 660: 동력연계전달부
661: 종동볼스크류 662: 조인트기어유닛
663: 조인트기어조립체 664: 일측전동볼스크류
665: 타측전동볼스크류 700: 장애물감지부 100: Mobility 200: Frame
210: upper opening 220: flange
230: reinforcement 242: edge protrusion
300: Driving module 310: Driving bracket
320: Drive motor 330: Drive wheel
400: Driven module 410: Driven bracket
420: Rotation guide bracket 430: Driven wheel
440: Variable wheel height 441: Side wing
442: Rotary shaft 443: Pivot pin
444: suspension pad 445: insertion hole
446: Stopper pin 447: Stopper groove
610: electric motor 620: electric gear unit
622: Electric gear assembly 630: Driven gear unit
632: Driven gear assembly 640: Lifting block
650: Upper plate 660: Power linkage transmission unit
661: Driven ball screw 662: Joint gear unit
663: Joint gear assembly 664: One-side electric ball screw
665: Other side electric ball screw 700: Obstacle detection unit
Claims (4)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전동모터;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동기어조립체를 갖는 전동기어유닛;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정 궤적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고, 종동기어조립체를 갖는 종동기어유닛;
상기 종동기어유닛 각각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해당되는 상기 종동기어조립체의 작동으로 축 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리프팅블록;
복수 개인 상기 리프팅블록에 지지되어, 상기 리프팅블록과 함께 이동이 되는 상부플레이트; 및
복수 개인 상기 종동기어조립체를 연결하여,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복수 개인 상기 리프팅블록이 동일 방향과 동일한 속도로 연동되도록 안내하는 동력연계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내부의 공간이 개방되도록 상부면 일부를 개방한 상부개구부를 형성하며, 이동 중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해 상부면에 장애물감지부를 복수 개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부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를 돌출 형성하여,
대기 상태인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플랜지에 접하여 지지되며, 상기 장애물감지부는 상기 플랜지에 접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노출이 방지되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용 모빌리티.
frame;
An electric motor provided in the frame;
an electric gear unit provided on the frame and having an electric gear assembly that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electric motor;
a plurality of driven gear units arranged along a set trajectory on one side of the frame and having a driven gear assembly;
A lifting block provided to b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at each of the driven gear units, and guided in axial movement by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riven gear assembly;
A plurality of upper plates supported by the lifting blocks and moved together with the lifting blocks; and
A power linkage transmission unit that connects the plurality of driven gear assemblies and guides the plurality of lifting blocks to move in the same direction and at the same spe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The frame forms an upper opening that opens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to open the internal space, and has a plurality of obstacle detection units on the upper surface to detect obstacles during movement,
The frame has a flange protruding along the edge of the upper opening,
The upper plate in a standby state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flange, and the obstacle detection unit is protected by preventing exposure in the upward direction by the upper plate in contact with the flange.
상기 프레임은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내측에 복수 개의 보강대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모터, 상기 전동기어유닛, 상기 종동기어유닛 및 상기 동력연계전달부는 대응되는 상기 보강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용 모빌리티.
According to clause 1,
The frame has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on the inside that open upward,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motor, the electric gear unit, the driven gear unit, and the power linkage transmission unit are supported on the corresponding reinforcement bar.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상기 종동기어조립체끼리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프레임에서 나란하게 배치되며,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연결되는 상기 리프팅블록을 상하 이동 안내하는 종동볼스크류;
상기 종동볼스크류 각각과 기어 결합되는 조인트기어조립체를 구비하여, 대응되는 상기 종동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조인트기어유닛;
대응되는 한 쌍의 상기 조인트기어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전동기어유닛의 일측에 접속되어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전동기어조립체에 기어 결합되며 타측이 대응되는 종동기어조립체에 기어 결합되어 해당되는 상기 종동볼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일측전동볼스크류; 및
상기 전동기어유닛의 타측에 접속되어 상기 일측전동볼스크류와 함께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상기 전동기어조립체에 기어 결합되며 타측이 대응되는 종동기어조립체에 기어 결합되어 해당되는 상기 종동볼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타측전동볼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용 모빌리티.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power linkage transmission unit,
a driven ball screw that transmits power by connecting the driven gear assemblies arranged in pairs, and guides the lifting blocks arranged in parallel on the frame and connected to both sides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move up and down;
A joint gear unit including a joint gear assembly geared to each of the driven ballscrews and rotating the corresponding driven ballscrews;
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lectric gear unit disposed between the corresponding pair of joint gear units and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the electric motor, one side is gear-coupled with the electric gear assembly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corresponding. A one-side electric ball screw that is gear-coupled with the driven gear assembly and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corresponding driven ball screw; and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electric gear unit and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the electric motor together with the one-side electric ball screw, one side is gear-coupled with the electric gear assembly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gear-coupled with the corresponding driven gear assembly. Mobility for autonomous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electric ball screw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corresponding driven ball screw.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44225A KR102664855B1 (en) | 2023-10-25 | 2023-10-25 | Autonomy mob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44225A KR102664855B1 (en) | 2023-10-25 | 2023-10-25 | Autonomy mobilit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64855B1 true KR102664855B1 (en) | 2024-05-10 |
Family
ID=9107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44225A KR102664855B1 (en) | 2023-10-25 | 2023-10-25 | Autonomy mob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4855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3428A (en) * | 2007-11-23 | 2009-05-27 | 이호록 | Lifting device |
KR101416412B1 (en) * | 2012-12-28 | 2014-07-08 | (주)한진에프에이에스 | Component conveying system for automotive assembly line |
KR101985891B1 (en) * | 2017-12-11 | 2019-06-04 | 오승훈 | Connecting shaft and lift device having the same |
US20210331542A1 (en) * | 2018-07-11 | 2021-10-28 | Suzhou Umore Robotics Co., Ltd. | A suspension system and a carrying mobile robot |
KR20220072291A (en) * | 2020-11-25 | 2022-06-02 | 주식회사 삼미정공 | AGV with Lifting Device |
-
2023
- 2023-10-25 KR KR1020230144225A patent/KR10266485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3428A (en) * | 2007-11-23 | 2009-05-27 | 이호록 | Lifting device |
KR101416412B1 (en) * | 2012-12-28 | 2014-07-08 | (주)한진에프에이에스 | Component conveying system for automotive assembly line |
KR101985891B1 (en) * | 2017-12-11 | 2019-06-04 | 오승훈 | Connecting shaft and lift device having the same |
US20210331542A1 (en) * | 2018-07-11 | 2021-10-28 | Suzhou Umore Robotics Co., Ltd. | A suspension system and a carrying mobile robot |
KR20220072291A (en) * | 2020-11-25 | 2022-06-02 | 주식회사 삼미정공 | AGV with Lift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89175B2 (en) | Modular dual wheel drive assembly, wheeled devices that include modular dual wheel drive assemblies and methods for moving and/or maneuvering wheeled devices using modular dual wheel drive assemblies | |
WO2018165907A1 (en) | Self leveling autonomous guided vehicle | |
WO2019191899A1 (en) | Automated guided vehicle robot and clamping device thereof | |
CN113525557B (en) | Self-adaptive trolley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 |
KR102664855B1 (en) | Autonomy mobility | |
CN109878406B (en) | AGV trolley capable of adjusting size of bearing platform | |
CN215286594U (en) | Material handling robot | |
CN110482442A (en) | A kind of ultra-thin lifting omnidirectional AGV | |
JP2003118568A (en) | Automatic guided vehicle and its running control method | |
CN212315430U (en) | Two lifting mechanism and have its AGV dolly | |
US20220363526A1 (en) | Driverless transport device and driverless transport system for transporting objects, and method for operating a driverless transport device and a driverless transport system for transporting objects | |
CN116198629B (en) | AGV whole car device and AGV floating chassis device thereof | |
WO2021117086A1 (en) | Conveying vehicle | |
KR20140000187U (en) | Automated Guided Vehicle | |
KR102664854B1 (en) | Mobility equipped with follower-wheel having suspension | |
CN116062066A (en) | Intelligence AGV transfer robot | |
KR20170105743A (en) | Caster apparatus and transfer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2001151115A (en) | Automatically guided vehicle | |
JP2000326880A (en) | Moving robot | |
KR20220154769A (en) | Unmanned transport vehicle equipped with a load lifting device | |
KR101037926B1 (en) | Compact transferring car powered by electronics | |
KR20220156384A (en) | Wheel drive apparatus of automated guided vehicle | |
CN216889978U (en) | Omnidirectional self-walking forklift | |
JP7493083B1 (en) | Running body | |
CN111015622A (en) | Moving device for welding rob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