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807B1 - 다기능 방화복 세트 - Google Patents

다기능 방화복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807B1
KR102664807B1 KR1020220110174A KR20220110174A KR102664807B1 KR 102664807 B1 KR102664807 B1 KR 102664807B1 KR 1020220110174 A KR1020220110174 A KR 1020220110174A KR 20220110174 A KR20220110174 A KR 20220110174A KR 102664807 B1 KR102664807 B1 KR 102664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helmet
water
hose
s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31560A (ko
Inventor
호봉식
호유찬
호성웅
Original Assignee
호봉식
호유찬
호성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봉식, 호유찬, 호성웅 filed Critical 호봉식
Priority to KR1020220110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807B1/ko
Publication of KR20240031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3Fire-resistant or fire-fighter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5Active or passive body 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8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0Speech recognition techniques specially adapted for robustness in adverse environments, e.g. in noise, of stress induced spee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방화복 세트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방화복; 방화헬멧; 방화장갑; 및 방화슈즈;를 포함하는 세트로서, 각 구성품에 호스를 이용해 노즐을 구성함으로써, 각 구성품 외부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착용자가 불속에서 진압작업을 수행할 때 원할하도록 해주는, 다기능 방화복 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방화복 세트{Multifunctional fireproof clothing set}
본 발명은 다기능 방화복 세트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방화복; 방화헬멧; 방화장갑; 및 방화슈즈;를 포함하는 세트로서, 각 구성품에 호스를 이용해 노즐을 구성함으로써, 각 구성품 외부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착용자가 불속에서 진압작업을 수행할 때 원할하도록 해주는, 다기능 방화복 세트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의 영토는 대부분이 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산은 장관을 펼치기도 하지만, 관리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화재에 매우 취약한 편인데, 근래 대한민국에서도 2019년 강원도에서 고성, 속초와 강릉, 동해, 인제 일대를 덮친 대형 산불이 발생된 이력이 있고, 이러한 대형 산불 뿐만 아니어도, 크고 작은 산불이 자주 일어나는 실정이다.
이러한 산불이 발생되면, 소방차는 물론 소방헬기가 출동하여 화재를 진압하는데, 산불의 경우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1차적으로 급수된 물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여도, 급수된 물을 재충전하기 위한 시간동안 바람으로 인해 화재가 다시 번지는 등, 진압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산을 이용할 수 있는 화재 관리 기술을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출원인이 출원한 종래 기술 중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0021호에는 산불 진화 및 물관리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산불 진화 및 물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곡에서 발생하는 물을 활용하여 단계식 보를 만들고, 상기 보의 지하에 물탱크를 설치하여 물을 저장하여 필요할 때 공급하거나 산등에 설치한 물탱크에 저장한 물을 공급하여 저장한 후 건조한 시기 또는 산불의 발생시에 산불 진화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불을 진화하고 물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산불 진화 및 물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계곡(10)의 상류, 중류, 하류의 각 위치에 설치하는 보(11)와; 상기 보(11)의 지하에 설치하며 보(11)를 넘친 물이 저장되는 입수구(14)를 형성한 지하 물탱크(13)와; 상기 지하 물탱크(13)와 물공급 펌프(17) 및 물공급 파이프(19)로 연결하며 산 정상이나 산등(25)에 설치하여 노즐 파이프(21)로 연결한 물탱크(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산불은 정해진 특정 위치에서만 발생되는 것이 아닌, 임의의 공간에서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고 확산된다. 이에 따라, 고정된 물공급수단 외에도, 임의의 위치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화재 진압을 위해 진입하는 진압자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도 절실하다. 종래 방화복이 제조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화복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방화복은, 상술된 산불의 경우 뿐만 아니어도, 건물, 아파트, 상가 등 일반적인 실내화재에서도 화재진압자를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중요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화복 역시 실내화재에서도 주요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방화복에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2108428호에는 화재 진압용 스마트 방화복 세트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화재 진압용 방화복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관이 현장에 진입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제실과의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성의 향상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소방관의 위치나 움직임, 심박측정, 맥박측정, 충격 측정 등을 감지하여 이를 통제실로 송신함으로써, 소방관이 위험 상황에 발생시 이를 통제실에서 신속하게 파악 및 조치가 가능하게 하는 등 소방관의 안전 확보 및 원활한 작업 지시가 가능하게 하는 화재 진압용 스마트 방화복 세트에 관한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0021호(2010.11.12.) 등록특허공보 제10-2108428호(2020.05.07.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복; 방화헬멧; 방화장갑; 및 방화슈즈;를 포함하는 세트로서, 각 구성품에 호스를 이용해 노즐을 구성함으로써, 각 구성품 외부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착용자가 불속에서 진압작업을 수행할 때 원할하도록 해주는, 다기능 방화복 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화복 세트는, 방화복(10), 방화헬멧(20), 방화장갑, 방화슈즈 및 소화탱크를 구성품으로 포함하는 방화복 세트에 있어서, 상기 소화탱크(30)를 제외한 방화복 세트 각각의 구성품에는 호스가 배선되고, 상기 호스에는 다수의 노즐이 일정간격으로 구성되어 각 구성품의 외부로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착용자가 화재현장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화복(10)의 외측으로는 상기 호스로부터 연장되어 착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용호스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탱크(30)는 소화액; 또는 물과 산소;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소화탱크(30)의 물은 방화복(10)으로 공급되고, 산소는 방화헬멧(20)으로 공급되되,
각 구성품에 구성된 각각의 호스 단부에는 연결구(2) 또는 결합구(3)가 구성되어, 인접한 다른 구성품에 구성된 각각의 호스 단부에 구성된 결합구(3) 또는 연결구(2)와 결합되어,
상기 소화탱크(30)로부터 공급된 물이 각 구성품에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화헬멧(20)은,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헬멧(21)과;
상기 헬멧(21)의 일측 중 착용자의 눈을 포함한 안면 전면 일부를 보호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보호경(22)과;
상기 헬멧(21)의 일측 중 착용자의 입을 보호하도록 하는 방독면마스크(23)와;
상기 헬멧(21)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 중 착용자의 귀 부분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며, 음성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헤드셋(24)과;
상기 헬멧(21)의 일측에 구성되어 주변에 광원을 제공하는 등기구(25)와;
상기 헬멧(21)의 일측 중 보호경(22)의 상측에 인접하게 구성되어 보호경(22)을 세척하도록 기능하는 세척부(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부(26)는,
소정의 박스형상으로서 내부에 세척수단(26b)을 구비하고,
내부 다른 일측에는 상기 세척수단(26b)의 상/하 조절을 제어하는 상/하조절부(26a)가 구성되되,
상기 세척수단(26b)은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탱크(30)가 물과 산소를 공급하는 경우,
산소와 물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31)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물공급구(32)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31)를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탱크(30)가 소화액을 공급하는 경우, 소화액의 배출을 위한 메인배출구를 더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 방화복 세트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소화탱크(30)의 펌프에 연결되어 펌프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분사세기를 제어하는 분사세기제어부와;
노즐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분사방향제어부와;
헤드셋(24)에 연결되어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와;
방화헬멧(20)의 등기구(25)에 연결되어 등기구(25)를 제어하는 등기구제어부와;
보호경(22)을 세척하는 세척부(26)의 수동 또는 자동 제어를 기능하는 보호경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 방화복 세트의 각 구성품 중 일측에 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버튼의 눌름을 인지하는 버튼눌림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눌림인식부의 인식에 따라 각 제어부 및 통신부가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인식부에 인식된 음성에 기반하여 각 제어부 및 통신부가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화헬멧(20) 또는 보호경(22)은 일측에 기울기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경제어부는,
상기 기울기센서의 감지값에 기반하여 세척부(26)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화복 세트에 의하면, 방화복; 방화헬멧; 방화장갑; 및 방화슈즈;를 포함하는 세트로서, 각 구성품에 호스를 이용해 노즐을 구성함으로써, 각 구성품 외부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착용자가 불속에서 진압작업을 수행할 때 원할하도록 해주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화복 세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화복 세트의 방화헬멧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화복 세트의 각 구성물을 연결하는 호스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화복 세트에 부가되는 소화탱크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화복 세트에 부가되는 소화탱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화복 세트의 제어모듈의 기능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다기능 방화복 세트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방화복; 방화헬멧; 방화장갑; 및 방화슈즈;를 포함하는 세트로서, 각 구성품에 호스를 이용해 노즐을 구성함으로써, 각 구성품 외부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착용자가 불속에서 진압작업을 수행할 때 원할하도록 해주는, 다기능 방화복 세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화복 세트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화복 세트는, 도 1에 도시된 방화복(10)과; 방화헬멧(20);을 주요하게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착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방화장갑;과 발에 착용되는 방화슈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화복(10), 방화헬멧(20), 방화장갑 및 방화슈즈 각각의 구성품에는 호스를 배선하고 일정 간격마다 각 구성품의 외측으로 노출된 노즐을 구성하여, 각 구성품의 외측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구성품은 겉표면의 내측으로 속면을 더 두어 2중의 면을 가지도록 하고, 그 사이에 호스를 배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혹은 각 구성품의 외면에 호스를 배선할 수도 있고, 내면에 호스를 접착시켜 배선할 수도 있는데, 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호스의 일정간격마다 노즐(11)이 구성되며 상기 노즐(11)은 각 구성품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즐(11)은 통상의 직선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종래의 부채꼴 모양으로 퍼져서 분사되는 것일 수도 있다. 아울러, 근래 직선방향 분사와 부채꼴 모양 분사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노즐을 채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노즐(11)에 조작구성과 조작수단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노즐(11)의 상술된 예시는, 소화탱크에서 설명되는 분사구에서도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각 구성품 중, 방화복(10)은 상/하의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고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호스는 도 4에 도시된 소화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데, 이때, 각 구성품은 별도로 착용되기 때문에, 소화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해서 호스를 연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소화탱크(30)로부터 공급된 물은 방화복(10)이 공급받아, 그 외의 방화헬멧(20); 방화장갑; 및 방화슈즈;가 각각 공급받기 위하여 호스를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화복 세트의 각 구성물을 연결하는 호스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에서와 같이, 각 구성품들의 단부에 위치된 호스(1)는 연결구(2) 또는 결합구(3)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각 구성품들의 단부란, 예를 들어 방화복과 방화헬멧이 인접하는 호스의 끝단부를 의미한다. 즉, 소화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은 방화복의 호스가, 어느 끝 지점에 가서는, 방화헬멧의 호스와 연결되어야지만 방화헬멧이 소화탱크의 물의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화복(10)의 호스 일측에는 방화복(10) 외부로 더 길게 연장된 음용호스(도면부호 미표시, 도 1의 방화복 상측의 구성)가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작업자가 방화복 세트를 착용 후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음용을 위한 흡입 작용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음용호스의 단부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종래 음료수 용기의 음용부분 등의 구조를 참고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결합구(3)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2)는 상기 결합구(3)의 돌출부가 내삽되어 결합되가 위해 나사산이 내면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여 결합되되, 수밀성 향상을 위하여 패킹링(4)이 연결구(2)와 결합구(3) 사이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호스(1)의 상술된 연결 예시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일 뿐,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더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정수기에 구성된 호스 연결을 위한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즉, 호스(1)의 편리한 연결만 가능하다면, 본 발명을 출원하는 시점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자명한 모든 구성을 국한하지 않고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방화헬멧(20)은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화복 세트의 방화헬멧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천 또는 내연재질의 금속/비금속의 재질을 가지며,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헬멧(21)과; 상기 헬멧(21)의 일측 중 착용자의 눈을 포함한 안면 전면 일부를 보호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보호경(22)과; 상기 헬멧(21)의 일측 중 착용자의 입을 보호하도록 하는 방독면마스크(23)와; 상기 헬멧(21)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 중 착용자의 귀 부분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며, 음성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헤드셋(24)과; 상기 헬멧(21)의 일측에 구성되어 주변에 광원을 제공하는 등기구(25)와; 상기 헬멧(21)의 일측 중 보호경(22)의 상측에 인접하게 구성되어 보호경(22)을 세척하도록 기능하는 세척부(2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세척부(26)는 소정의 박스형상으로서 내부에 세척수단(26b)을 구비하고, 내부 다른 일측에는 상기 세척수단(26b)의 상/하 조절을 제어하는 상/하조절부(26a)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하조절부(26a)는 랙(래크)과 피니언일 수 있으며, 피니언의 구동은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모터의 제어는 별도의 제어모듈을 통해 제어된다.
이때, 제어모듈은 후술되겠지만 방화복(10) 내부에 칩 등의 구성으로 안전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화헬멧(20)의 일측에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시켜, 착용자 신체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때 기울기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하조절부(26a)를 제어하여 세척수단(26b)이 하강하여 보호경(22)의 외면을 닦아주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수단(26b)은 브러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호경(22)의 외면으로 하강되면서 보호면(22)의 외면에 흡착된 잿가루, 물 등을 닦아주도록 하여 착용자의 시야 확보를 돕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세척부(26)의 세척은 별도의 버튼을 방화헬멧, 방화복 또는 방화장갑 등에 별도로 포함함으로써, 버튼을 눌러 수동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화복 세트에 부가되는 소화탱크을 나타낸 것이다.
상술된 소화탱크(30)는 통상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등에 멜 수 있는 종래 기술을 이용하도록 한다.
조금 더 부연하면, 소화탱크(30)는 사용자가 방독면마스크(23)를 통해 산호를 공급받으면서, 호스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물의 공급을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따른 소화탱크는 산소물탱크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소화탱크(30)는 산소와 물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31)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물공급구(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물공급구(32)로 물을 공급하는 외부란, 별도의 물탱크 등일 수 있으며, 호스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호스는 내연재질로 구성되며, 또한 착용자가 길을 찾는데 유용하기도 하다.
한편, 상술된 소화탱크(30)는 산소 및 물 대신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분사탱크일 수도 있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4a를 참조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화복 세트에 부가되는 소화탱크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4a와 같이, 소화탱크(30)에서 분사하는 내용물(약재)이 소화액인 경우, 통상의 소화기 혹은 소화탱크의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되, 재질은 티타늄 등으로 구성하여 가볍고 강도 및 인장력이 우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질을 티타늄으로 하는 경우, 소화탱크(30)를 개조하여 압력을 종래의 소화기보다 더 세게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압력을 더 세게 조절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기술력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된 구성의 경우, 소화탱크(30)는 음용호스에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화탱크(30)를 도 4a와 같이 구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메인배출구(통상 소화기의 소화액 분출구)를 따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화탱크(30)에서 소화액을 분사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화복 세트에서는 [표 1]과 같이 전신에서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 현장에 침투가 더 용이하게 인명구조 및 화재진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소화탱크(30)의 제어패널에서 방화복, 방화헬멧, 방화슈즈, 방화장갑 등 각 부위별로 선택적으로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a의 제어패널은, 소화탱크(30)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물리적인 패널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제어패널은 상술된 부위별제어부 외에도, 분사액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밸브를 제어하는 분사세기제어부와; 소화탱크(30) 내부의 소화액의 용량을 판단하는 센서(수위센서) 등의 용량판단모듈(도면에 미도시)로부터 소화액의 용량값을 수신하여 정보로서 출력하는 분사액판단부와; 상기 분사액판단부에 따른 정보 혹은 소화탱크(30) 사용에 따른 시간정보 등을 음성정보로 생성하는 음성정보생성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음성정보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음성정보는 헤드셋(24)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방화복 세트의 제어모듈의 기능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5에 따른 제어모듈은, 소화탱크(30)의 펌프에 연결되어 펌프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분사세기를 제어하는 분사세기제어부와; 노즐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분사방향제어부와; 상기 헤드셋(24)에 연결되어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와; 상기 방화헬멧(20)의 등기구(25)에 연결되어 등기구(25)를 제어하는 등기구제어부와; 상기 보호경(22)의 수동 또는 자동제어를 기능하는 보호경제어부와; 방화복 세트 일측에 구성된 버튼의 눌름을 인지하는 버튼눌림인식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모듈의 각 제어는, 방화복 세트 각 구성품 일측에 버튼을 구성하여 수동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의 각 제어는 음성인식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하여 제어모듈은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인식을 위한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음성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은 음성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음성에 기반하여, 각 제어부가 기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즐(11)의 방향제어를 위한 상기 노즐(11)은 아래 [표 2]를 참조하도록 한다.
[표 2]에 따르면, 노즐(11)은 통상의 것들과 같이 호스(1)의 일측에 연통되어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호스(1)를 이동하는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노즐(11)의 단부는 물이 분무형태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노즐의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노즐(11)은 호스와 마찬가지로 유연한 플렉시블한 재질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다만, 노즐(11)의 주변부로는, 하측브라켓(11a) 및 회전브라켓(11b)이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하측브라켓(11a)은 호스(1)의 일측에 안착되는 하단부와, 반구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에 노즐(11)이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이 높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브라켓(11a)은 하측브라켓(11a)의 상단부에 위치되는 힌지(11c)가 하단부에 구성되며, 마찬가지로 내부에는 노즐(11)이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이 높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하측브라켓(11a)의 상단부는 반구보다 다소 긴 'C'의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회전브라켓(11b)의 일측으로는 하측브라켓(11a)의 상단부의 일부가 내삽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여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하측브라켓(11a)의 상단부의 일부가 내삽될 수 있는 홈은 길게 형성되어 회전브라켓(11b)이 회전되는 반경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표 1]과 같이 하측브라켓(11a) 상단부의 하면 일측에는 오목한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홈에는 내측면에 축으로 고정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의 축에는 기어가 결합되며, 상기 기어는 상기 오목한 홈 내부의 다른 일측에 구비된 모터의 축에 형성된 제2 기어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모터는 상술된 제어모듈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는, 별도의 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조작한 경우, 동작되어 회전브라켓(11b)이 좌/우로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혹은 자동의 개념으로 하측브라켓(11a)의 좌/우측 일측에 화재감지센서 또는 연기감지센서 또는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양측의 센서 중 더 강한 감지값을 가지거나, 혹은 어느 일측에서만 감지값을 가지는 경우, 제어모듈에 의해 해당 방향으로 회전브라켓(11b)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방화복
11 : 노즐
1 : 호스
2 : 연결구
3 : 결합구
4 : 패킹링
20 : 방화헬멧
21 : 헬멧
22 : 보호경
23 : 방독면마스크
24 : 헤드셋
25 : 등기구
26 : 세척부
26a : 상/하조절부
26b : 세척수단
30 : 소화탱크
31 : 배출구
32 : 물공급구

Claims (12)

  1. 방화복(10), 방화헬멧(20), 방화장갑, 방화슈즈, 소화탱크 및 제어모듈을 구성품으로 포함하는 방화복 세트에 있어서,
    상기 소화탱크(30)를 제외한 방화복 세트 각각의 구성품에는 호스가 배선되고, 상기 호스에는 다수의 노즐이 일정간격으로 구성되어 각 구성품의 외부로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착용자가 화재현장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되,
    상기 방화헬멧(20)은,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헬멧(21)과;
    상기 헬멧(21)의 일측 중 착용자의 눈을 포함한 안면 전면 일부를 보호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보호경(22)과;
    상기 헬멧(21)의 일측 중 착용자의 입을 보호하도록 하는 방독면마스크(23)와;
    상기 헬멧(21)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 중 착용자의 귀 부분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며, 음성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헤드셋(24)과;
    상기 헬멧(21)의 일측에 구성되어 주변에 광원을 제공하는 등기구(25)와;
    상기 헬멧(21)의 일측 중 보호경(22)의 상측에 인접하게 구성되어 보호경(22)을 세척하도록 기능하는 세척부(26);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소화탱크(30)의 펌프에 연결되어 펌프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분사세기를 제어하는 분사세기제어부와;
    노즐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분사방향제어부와;
    헤드셋(24)에 연결되어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와;
    방화헬멧(20)의 등기구(25)에 연결되어 등기구(25)를 제어하는 등기구제어부와;
    보호경(22)을 세척하는 세척부(26)의 수동 또는 자동 제어를 기능하는 보호경제어부;를 포함하며,
    방화헬멧(20) 또는 보호경(22)은 일측에 기울기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경제어부는,
    상기 기울기센서의 감지값에 기반하여 세척부(26)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화복 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화복(10)의 외측으로는 상기 호스로부터 연장되어 착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용호스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화복 세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화탱크(30)는 소화액; 또는 물과 산소;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것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화복 세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화탱크(30)의 물은 방화복(10)으로 공급되고, 산소는 방화헬멧(20)으로 공급되되,
    각 구성품에 구성된 각각의 호스 단부에는 연결구(2) 또는 결합구(3)가 구성되어, 인접한 다른 구성품에 구성된 각각의 호스 단부에 구성된 결합구(3) 또는 연결구(2)와 결합되어,
    상기 소화탱크(30)로부터 공급된 물이 각 구성품에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화복 세트.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26)는,
    소정의 박스형상으로서 내부에 세척수단(26b)을 구비하고,
    내부 다른 일측에는 상기 세척수단(26b)의 상/하 조절을 제어하는 상/하조절부(26a)가 구성되되,
    상기 세척수단(26b)은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화복 세트.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화탱크(30)가 물과 산소를 공급하는 경우,
    산소와 물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31)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물공급구(32)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31)를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화복 세트.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화탱크(30)가 소화액을 공급하는 경우, 소화액의 배출을 위한 메인배출구를 더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화복 세트.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방화복 세트의 각 구성품 중 일측에 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버튼의 눌름을 인지하는 버튼눌림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눌림인식부의 인식에 따라 각 제어부 및 통신부가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화복 세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인식부에 인식된 음성에 기반하여 각 제어부 및 통신부가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방화복 세트.
  12. 삭제
KR1020220110174A 2022-08-31 2022-08-31 다기능 방화복 세트 KR102664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174A KR102664807B1 (ko) 2022-08-31 2022-08-31 다기능 방화복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174A KR102664807B1 (ko) 2022-08-31 2022-08-31 다기능 방화복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560A KR20240031560A (ko) 2024-03-08
KR102664807B1 true KR102664807B1 (ko) 2024-05-14

Family

ID=9023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174A KR102664807B1 (ko) 2022-08-31 2022-08-31 다기능 방화복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8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7102A (ja) * 2007-10-15 2009-05-07 Hatsuta Seisakusho Co Ltd 防火服
KR102296382B1 (ko) * 2020-06-15 2021-09-02 주식회사 휴미디어 위험 감지 기능을 갖는 소방관용 보호장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657B1 (ko) 2009-05-04 2011-08-31 호성일 산불 진화 및 물관리 시스템
KR20110024601A (ko) * 2009-09-02 2011-03-09 최원민 탈부착이 가능한 와이퍼가 부착된 헬멧
KR101404233B1 (ko) * 2012-11-15 2014-06-05 경기도 소방용 방화복
KR20180000441A (ko) * 2016-06-23 2018-01-03 (주)주영세이프 소방복
KR102108428B1 (ko) 2019-01-24 2020-05-07 주식회사 호신 화재 진압용 스마트 방화복 세트
KR20200103432A (ko) * 2019-02-25 2020-09-02 서울특별시 다기능 진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7102A (ja) * 2007-10-15 2009-05-07 Hatsuta Seisakusho Co Ltd 防火服
KR102296382B1 (ko) * 2020-06-15 2021-09-02 주식회사 휴미디어 위험 감지 기능을 갖는 소방관용 보호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560A (ko)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23033A (zh) 一种消防救援的智能逃生辅助机器人
KR102664807B1 (ko) 다기능 방화복 세트
CN207701032U (zh) 一种消防窗
CN111688927A (zh) 一种消防救援无人机
US3223172A (en) Firefighting apparatus
CN204469050U (zh) 一种防烫隔热耐高温安全型消防服
KR20230172677A (ko) 다기능 방화복 세트
US4310926A (en) Fireproof suit
CN110237472A (zh) 一种楼宇消防安全用自动化灭火装置
CN109157775B (zh) 消防防护服
CN205814903U (zh) 一种新型的高安全性消防灭火战斗服
CN214388563U (zh) 一种高分子阻燃灭火防护服
RU25213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пожарного от теплового излучения
CN112999539A (zh) 消防逃生箱
KR102653304B1 (ko) 통기 가능한 가스 및 물 호스 장치
CN210329501U (zh) 一种消防头盔
CN204671780U (zh) 一种防火披风
US6719214B1 (en) Fire-extinguishing device
CN102872552B (zh) 火场抢险护身器
CN217366942U (zh) 一种高层住宅楼人员用防火服
KR102382876B1 (ko) 화재 대피용 일체형 생존키트 및 이와 연동되는 피난유도 led라인 시스템
CN214512310U (zh) 一种舰用新型隔热避火服
CN215653573U (zh) 一种化工安全用消防装置
CN219231261U (zh) 一种灭火防护服
KR102619893B1 (ko)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