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790B1 -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790B1
KR102664790B1 KR1020210103182A KR20210103182A KR102664790B1 KR 102664790 B1 KR102664790 B1 KR 102664790B1 KR 1020210103182 A KR1020210103182 A KR 1020210103182A KR 20210103182 A KR20210103182 A KR 20210103182A KR 102664790 B1 KR102664790 B1 KR 102664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formation
purchase
use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1378A (ko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비씨카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씨카드(주) filed Critical 비씨카드(주)
Priority to KR1020210103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79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8Transaction verification using the card verification value [CVV] associated with the car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에 기록된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드 신청 정보와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매칭함에 따라 상기 카드 번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카드의 사용을 위한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등록의 수행에 따른 카드 등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A METHOD AND A DEVICE FOR PERFORMING CARD REGISTRATION}
본 개시는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무기명 카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구매한 후 사후적으로 구매한 카드를 등록하여 기명 카드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연예인 카드 등 관심사에 맞는 디자인의 카드를 구매하기 위해서 카드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카드 디자인을 선택하거나 특정 이미지에 따른 카드 디자인을 신청해야 한다. 사용자가 신청한 카드는 수일 또는 수십 일에 걸쳐 실물 카드로 제작되고, 카드사와 연계되어 카드 발급 절차를 거친 후 사용자에게 배송되며, 사용자는 배송된 카드를 수령하여 상품 구매 시에 사용하게 된다.
이처럼, 연예인 카드, 사진 카드, 나만의 카드 등 다양한 고객 관심사에 소구하는 카드가 많아지고 있으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여전히 사용자의 카드 선택 과정에서 번거로운 절차가 요구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사용자가 신청한 카드가 실물로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배송되기까지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으며, 홈페이지에서 보는 카드 디자인과 실물로 제작된 카드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 실물 카드를 수령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술한 단점을 극복하고 비용, 시간 및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카드를 구매하고 등록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특2003-0004569호(2003.01.15. 공개), 인터넷상에서의 이미지 디자인 맞춤형 카드 제공 시스템및 방법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용, 시간 및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사용자 관심사에 맞는 디자인의 카드 플레이트를 구매하고 카드 사용을 등록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른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에 기록된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드 신청 정보와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매칭함에 따라 상기 카드 번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카드의 사용을 위한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등록의 수행에 따른 카드 등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번호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물리적으로 마스킹하고 있는 코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고유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카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드 이미지는 QR 코드 이미지 및 바코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와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매칭함에 따라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계정에 대해서 카드 구매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카드 구매자의 신분을 나타내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드 신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한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신청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하여 상기 사용 한도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카드 신청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에 오프라인 구매를 위한 구매 신청 코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신청 코드와 구매 신청 코드 이미지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구매 신청 코드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에 대한 구매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에 기록된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카드 신청 정보와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매칭함에 따라 상기 카드 번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카드의 사용을 위한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카드 등록의 수행에 따른 카드 등록 결과를 제공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드 번호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물리적으로 마스킹하고 있는 코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고유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카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카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드 이미지는 QR 코드 이미지 및 바코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와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매칭함에 따라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계정에 대해서 카드 구매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카드 구매자의 신분을 나타내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카드 신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한도를 결정하고, 상기 카드 신청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하여 상기 사용 한도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드 신청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에 오프라인 구매를 위한 구매 신청 코드를 제공하고, 상기 구매 신청 코드와 구매 신청 코드 이미지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구매 신청 코드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에 대한 구매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제 4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무기명 카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구매한 후 사후적으로 구매한 카드를 등록하여 기명 카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카드 구매 프로세스를 먼저 진행하고, 카드 신청 프로세스를 나중에 진행하면서 카드 등록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전에 카드 구매 계획이 없었더라도,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들 중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의 카드를 구매하면, 구매한 카드에 대해서 카드 신청 및 카드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카드 신청 프로세스를 먼저 진행하고, 카드 구매 프로세스를 나중에 진행하면서 카드 등록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전에 카드 구매 계획이 있는 경우, 카드 신청에 따라 사용자의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한도를 임시로 부여하고, 이후에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를 구매하면 임시 부여된 사용 한도에 따라 카드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코드 이미지로 카드에 기록된 카드 번호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물리적으로 마스킹함으로써, 카드의 유통 과정에서 카드 번호나 CVC 등의 카드 고유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등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사용자 계정에 구매 신청 코드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제 1 실시 예에 따라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제 2 실시 예에 따라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공'은 대상이 특정 정보를 획득하거나 직간접적으로 특정 대상에게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요구되는 관련 동작의 수행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등록 시스템(1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 등록 시스템(1000)은 디바이스(100),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카드 등록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컴퓨터 등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를 구현하는 카드사와 연관된 카드사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카드 등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제 1 서버(예: 앱 서버) 및 카드 등록을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제 2 서버(예: 호스트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30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카드를 유통하는 오프라인 매장과 연관된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오프라인 매장은 다양한 디자인 및 모양의 실물로 구현되는 무기명 카드를 유통하고 고객에게 판매하는 가맹점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편의점, 마트, 백화점 등 다양한 형태의 유통 매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오프라인 매장에 구비되어 코드 리더기, 이미지 리더기 등을 포함하는 POS(Pint Of Sales)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와 연관된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를 구매하였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카드 구매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을 통해 로그인된 컴퓨터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로 구현되거나,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와 같이 외부 서버와 연결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카드 등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카드 등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되어 카드 등록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카드 등록 시스템(1000)에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 등록 시스템(1000)은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 사용자에 대한 신용 정보를 제공하는 신용평가사 서버, 카드 등록 과정에서 요구되는 비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프로세서(110) 및 송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프로세서(110)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에 기록된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획득'이라는 용어는 저장된 것을 찾는 로드(load)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 예에서, 새로운 것을 만드는 생성(generate), 다른 장치로부터 정보를 받아오는 수신(receive) 등의 의미를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에 대한 카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카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카드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로부터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에 대한 카드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카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해당 카드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카드 고유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예컨대, 오프라인 매장에서 연예인, 예술 작품, 자연 경관 등에 대한 다양한 디자인의 무기명화된 카드들이 판매를 위해 전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전시된 다양한 카드들 중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의 카드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사용자 또는 매장 직원의 입력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카드 식별 정보(예: 카드에 부여된 가상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카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카드 고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고,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고객 정보로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단계 S310 이전에 복수의 카드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카드 고유 정보와 복수의 카드 식별 정보 각각을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사전에 카드 고유 정보와 카드 식별 정보가 일대일로 고유하게 매칭되어 관리될 수 있고, 카드 유통 과정에서 각각의 카드에 단일의 카드 식별 정보(예: 카드 식별 번호)가 부여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카드 구매 요청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해당 카드에 부여되는 카드 식별 정보를 통해 카드를 인식하여 디바이스(1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복수의 카드 고유 정보와 복수의 카드 식별 정보 각각의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된 카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카드 고유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카드에 대한 코드 이미지에 기초하여 카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도 4를 더 참조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1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카드(10)의 일 면을 나타내고, 도 4(b)는 카드(20)의 다른 일 면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카드(10)는 일 면에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10)의 앞면에 연예인, 캐릭터, 예술 작품, 자연 경관 등 다양한 대상에 대한 이미지가 프린트될 수 있다.
카드(10)는 다른 일 면에 코드 이미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코드 이미지(20)는 QR(quick response) 코드 이미지 및 바코드 이미지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 이미지(20)는 카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카드(10)의 뒷면에 카드 식별 번호, 카드사, 카드 종류 등에 대한 정보가 담긴 코드 이미지의 형태로 프린트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코드 이미지(20)는 카드 번호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물리적으로 마스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드 이미지(20)는 카드 식별 번호가 포함된 QR 코드가 프린트된 스티커 등의 탈착 가능한 접착성 인쇄물로 구현될 수 있고, 카드(10)의 뒷면에 카드 번호, CVC 등이 기록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 해당 영역 상에 미리 부착된 상태로 유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드 이미지(20)는 사용자의 카드 구매 전까지는 카드 번호, CVC 등이 시각적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마스킹하여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추후 카드 구매 완료 시, 스티커를 떼어내는 등 코드 이미지(20)를 카드(10)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시킨 후에 카드(10)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코드 이미지(20)는 카드(10)에 프린트될 수 있고, 별도의 접착성 인쇄물(예: 보안 스티커)이 카드 번호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물리적으로 마스킹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코드 이미지(20)에는 카드 구매 이후에도 사용자 단말(300)에 의한 QR 코드 스캔을 통해 활용 가능한 유의미한 정보(예: 카드사 앱 링크, 오프라인 매장 정보 등)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코드 이미지(20)에 기초하여 카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카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카드 구매를 신청하는 카드 구매자 또는 매장 직원에 의한 조작 입력에 따라 코드 리더기를 통해 카드(10)에 부착된 코드 이미지(20)를 판독하여 코드 이미지(20)로부터 카드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프로세서(110)는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카드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카드 고유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이처럼, 카드(10)의 뒷면에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 식별 정보가 담긴 QR스티커를 부착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실제 카드 번호가 아닌 다른 식별 번호를 통해 카드 구매 신청이 가능하여 보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카드 식별 정보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는 카드(10)에 부착된 QR 코드 등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쉽게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카드 고유 정보는 실제 카드 번호, CVC 번호 등을 의미하는 반면, 카드 식별 정보는 이러한 카드 고유 정보를 알아내기 위한 코드 정보에 불과하기 때문에, 카드 유통 과정에서 카드 식별 정보가 노출되더라도 카드 사용에 있어서 영향을 주지 않아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는 기설정 방식(예: 신분증 스캔, 계정 로그인)에 따라 카드 구매자에 대한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예: 휴대폰 번호,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를 획득하고, 프로세서(110)는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로부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 및 카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신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의 카드 구매 요청에 따라 카드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이미지 리더기를 통해 사용자의 신분증을 스캔하여 카드 구매자의 신분을 나타내는 이미지(이하, '신분 이미지'라 함)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로부터 카드 구매자의 신분 이미지 또는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이 신분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카드 구매자의 신분 이미지에 기초하여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독출(read out)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로부터 카드 구매자의 신분 이미지가 수신되면, 신분 이미지를 판독하여 신분 이미지(예: 신분증 이미지)로부터 카드 구매자의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예: 이름, 주민등록번호)를 읽어서 얻을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계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계정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는 경우, 검색된 계정을 카드 구매자의 계정으로 결정하고, 검색되지 않는 경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구매자의 신규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와 카드 고유 정보를 매칭함에 따라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계정에 대해서 카드 구매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카드 식별 번호와 매칭되어 있는 카드 번호에 신분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예: 고객번호, 주민등록번호)를 매칭하는 방식으로 카드 구매자에 대한 고객 정보를 임시 등록하고, 카드 구매자의 계정에 대해서 카드 구매가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카드 구매 결과를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익명의 공격자가 카드 식별 정보를 알고 이를 사용하려고 하더라도, 카드 구매자를 식별하여 계정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 카드 구매가 이루어지므로, 정상적인 카드 구매자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카드 구매가 거절되고 카드 번호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카드 구매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카드 구매자가 구매한 카드(10)에 기록된 카드 번호 및 사용자의 개인 정보(예: 성명, 주민등록번호, 신분증 촬영, 휴대폰본인인증, 주소지, 결제정보, 동의서 등)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신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310에 따라 카드 구매가 완료되면, 카드 구매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300)은 카드 등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구매한 카드(10)에 부착된 코드 이미지(20)를 촬영하여 카드 식별 번호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구매한 카드(10)에 기재된 카드 번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카드 등록을 위해 이용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카드 식별 번호, 카드 번호 및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신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프로세서(110)는 카드 신청 정보와 카드 고유 정보를 매칭함에 따라 카드 번호를 활성화하여 카드의 사용을 위한 카드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카드 신청 정보에 포함된 카드 고유 정보와 매칭되는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로딩하고, 로딩된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가 카드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대응되는 경우, 카드 신청 정보와 카드 고유 정보를 매칭하고, 비활성화 상태로 관리되던 카드 번호를 활성화 상태로 갱신하여 카드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카드 신청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용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한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카드 번호가 활성화되기 전에,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해서 기저장된 카드 심사 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소득 정보, 재직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카드 사용 실적, 계좌 잔고 등을 평가하여 사용자의 신용 등급을 결정하고, 신용 등급에 따라 카드 사용 한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에 대한 신용 평가를 수행하는 신용 평가사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신용 등급을 획득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카드 신청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하여 사용 한도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 한도를 임시 저장한다는 것은 카드 번호가 활성화되기 전에 임시로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300)에 대응하는 로그인된 계정(예: 카드 구매자의 계정)을 통해 카드 신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카드 번호가 활성화되기 전까지는 해당 계정에 매칭하여 사용 한도를 임시로 저장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카드 번호가 활성화되는 시점부터 해당 계정에 매칭되는 사용 한도를 확정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10)는 무기명 카드에 해당하고, 디바이스(100)에 의해 카드 등록이 수행됨에 따라 카드 구매자에 대한 기명 카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송신부(120)는 카드 등록의 수행에 따른 카드 등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카드 등록이 성공되었는지 여부, 실패한 경우에는 실패 원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등록 결과를 카드 구매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드 구매자는 자신이 구매한 카드(10)가 성공적으로 등록된 경우, 이후 상품 구매 과정에서 해당 카드(10)를 결제 과정에 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카드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10)에 기록된 카드 번호는 가상 카드 번호일 수 있고, 카드 사용을 위한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가상 카드 번호 및 카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결제 시에 이용되는 카드 번호가 생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계정에 제공되는 구매 신청 코드에 기초하여 카드에 대한 구매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도 5를 더 참조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계정에 구매 신청 코드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오프라인 구매 신청에 기초하여 오프라인 구매를 위한 구매 신청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오프라인 카드 구매를 위한 신청이 수신되는 경우, 랜덤하게 생성된 구매 신청 코드를 사용자 단말(300)에 대응되는 계정에 송신하고, 구매 신청 코드를 기설정 기간 동안 유효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구매 신청 코드 이미지(30)에 기초하여 구매 신청 코드를 획득하고, 획득된 구매 신청 코드와 기저장된 구매 신청 코드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카드(10)에 대한 구매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가 카드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구매 신청 코드를 제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은 저장된 구매 신청 코드를 QR 코드의 형태로 처리하여 구매 신청 코드 이미지(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디스플레이되는 구매 신청 코드 이미지(30)를 판독하여 구매 신청 코드를 추출할 수 있고, 프로세서(110)는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구매 신청 코드가 기저장된 구매 신청 코드와 일치하고, 유효한 상태인 경우에만 카드 구매가 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단계 S310 이전에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오프라인 구매 신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300)에 대응하는 계정에 구매 신청 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단계 S320 이후에 카드 신청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에 오프라인 구매를 위한 구매 신청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 신청 정보에 따라 카드 신청이 완료된 경우, 해당 계정에 구매 신청 코드를 자동 발급하거나, 해당 계정의 오프라인 구매 신청에 따라 구매 신청 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카드 구매 단계가 수행된 이후인지 카드 신청 단계가 수행된 이후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구매 신청 코드의 유효 기간을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카드 신청 이후에 구매 신청 코드가 발급되는 경우의 유효 기간이 카드 신청 이전에 구매 신청 코드가 발급되는 경우의 유효기간보다 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로부터 구매 신청 코드를 포함하는 구매 신청 정보가 수신되고, 수신된 구매 신청 코드가 유효한 경우, 카드 구매자의 신분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의 생략을 허여하는 메시지를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전에 사용자의 개인 정보, 신분증을 촬영한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카드 신청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해당 계정에 구매 신청 코드가 발급된 경우,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에서는 구매 신청 코드 이미지(30)를 획득하는 절차를 통해 구매자의 신분 이미지를 획득하는 절차를 갈음할 수 있고, 프로세서(110)는 수신된 구매 신청 코드와 매칭되어 있는 계정의 개인 정보로부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고, 송신부(120) 및 그밖의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or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20)는 명세서 전반에서 기술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동작 전반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예: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등)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카드(1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10)는 카드 고유 정보가 저장된 IC 칩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카드 구매 단계가 먼저 수행되는 제 1 실시 예 또는 카드 신청 단계가 먼저 수행되는 제 2 실시 예에 따라 카드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제 1 실시 예에서,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10)는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2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카드 구매, 카드 신청 및 카드 등록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것처럼, 먼저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카드 플레이트를 선택하여 구매하고, 신분증 촬영 등의 신분 인증, 주소지 정보와 계좌 정보 등의 입력을 통해 나중에 카드 사용을 신청하면, 카드 심사에 따라 사용 한도가 부여되고 카드 번호가 사용자 정보에 매핑됨에 따라 카드가 등록될 수 있다.
제 2 실시 예에서,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20)는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1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카드 신청, 카드 구매 및 카드 등록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먼저 사용자가 카드 등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신분증 촬영 등의 신분 인증, 주소지 정보와 계좌 정보 등을 입력하여 카드 가입을 먼저 신청하면, 카드 심사에 따라 사용 한도가 임시로 부여되고, 나중에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카드 플레이트를 선택하여 구매하면, 구매한 카드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카드 번호가 사용자 정보에 매핑됨에 따라 카드가 등록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제 1 실시 예에 따라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10에서 디바이스는 카드 구매 프로세스(S610)를 먼저 수행한 후에 카드 신청 프로세스(S620)를 나중에 수행하면서 카드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카드 구매 프로세스(S610)에 따라 단계 S611에서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10)에 대한 구매 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 진열대에 전시된 다양한 디자인의 카드 플레이트들 중에서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사용자 또는 매장 직원의 조작 입력에 따라 카드 구매를 신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12에서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카드(10)의 코드 이미지(20) 및 카드 구매자의 신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구매 신청에 따라 코드 이미지 제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카드(10)의 뒷면에 부착된 코드 이미지(20)가 코드 리딩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면, 코드 리더기를 통해 코드 이미지(20)로부터 카드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카드(10)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카드 구매자의 신분 이미지 제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카드 구매자의 신분증이 이미지 리딩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삽입되면, 해당 신분증을 촬영하여 구매자의 신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13에서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구매 신청 정보를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카드 식별 정보 및 카드 구매자의 신분 이미지(또는 신분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신청 정보를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14에서 디바이스(100)는 코드 이미지(20)로부터 획득되는 카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카드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카드 고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할 수 있다.
단계 S615에서 디바이스(100)는 신분 이미지에 기초하여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신분 이미지로부터 카드 구매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의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계정을 검색하거나 신규 생성하여 고객 정보로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단계 S611 이전에 사용자 계정에 제공된 구매 신청 코드에 기초하여 카드 구매자의 카드(10)에 대한 구매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612에서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구매 신청 코드 제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3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구매 신청 코드 이미지(30)로부터 구매 신청 코드를 추출하여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계 S615에서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구매 신청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구매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해당 구매 신청 코드가 발급된 계정을 검색하여 해당 계정의 개인 정보와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구매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616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와 카드 고유 정보를 매칭하고, 단계 S617에서 카드 구매 결과를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카드 고유 정보에 포함된 카드 번호에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예: 고객번호, 주민번호 생성)를 매칭하는 방식으로 카드 구매자에 대한 고객 정보를 카드 번호에 임시 등록하고, 카드 구매가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카드 구매 결과를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카드 구매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카드 구매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 카드 구매자에게 카드(1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카드 구매 프로세스(S610) 전반에서 카드 구매 대금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카드 신청 프로세스(S620)에 따라 단계 S621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신청 정보를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300)은 구매된 카드(10)의 카드 등록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카드 등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예: 성명, 주민등록번호, 신분증 촬영 등) 및 카드(10)에 기록된 카드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카드(10)에 기록된 카드 번호를 물리적으로 마스킹하는 코드 이미지(20)를 제거하여 카드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카드 번호,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신분증 촬영을 통해 획득되는 신분 이미지를 포함하는 카드 신청 정보를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22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드 신청 정보와 카드 고유 정보를 매칭하고 사용자의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한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카드 신청 정보에 포함된 카드 번호를 로딩하고, 로딩된 카드 번호와 매칭되어 있는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가 카드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대응되는 경우, 카드 신청 정보와 카드 번호를 매칭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대해서 기저장된 카드 심사 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소득 정보, 재직 정보, 카드 사용 실적, 계좌 잔고 등을 평가하여 사용자의 신용 등급을 결정하고, 신용 등급에 따라 해당 카드 번호에 부여되는 사용 한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623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드 번호를 활성화하여 카드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사용 한도가 결정되면, 비활성화 상태로 관리되던 카드 번호를 활성화 상태로 갱신하여 카드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624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드 등록 결과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은 카드 등록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한 카드(10)가 성공적으로 등록된 경우, 이후의 상품 구매 과정에서 해당 카드(10)를 결제 과정에 개시할 수 있다.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전에 카드 구매 계획이 없었더라도,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들 중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의 카드를 구매하면, 구매한 카드에 대해서 카드 신청 및 카드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제 2 실시 예에 따라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 디바이스는 카드 신청 프로세스(S710)를 먼저 수행한 후에 카드 구매 프로세스(S720)를 나중에 수행하면서 카드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카드 신청 프로세스(S710)에 따라 단계 S711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신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3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예: 성명, 주민등록번호, 신분증 촬영 등)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신분증 촬영을 통해 획득되는 신분 이미지를 포함하는 카드 신청 정보를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12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드 신청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용 정보를 획득하고, 단계 S713에서 사용자의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한도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카드 신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소득 정보, 재직 정보 등 한도 심사에 이용되는 공공데이터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기저장된 카드 심사 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신용 등급을 결정할 수 있고, 신용 등급에 따라 사용 한도를 결정하되, 카드 번호가 활성화되기 전까지는 해당 사용자 계정에 매칭하여 사용 한도를 임시 저장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단계 S714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드 신청 결과를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은 카드 신청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카드 구매 프로세스(S720)에 따라 단계 S721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의 구매를 위한 신청을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고, 단계 S722에서 디바이스(100)는 구매 신청에 이용되는 구매 신청 코드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카드 신청이 완료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오프라인 카드 구매를 위한 사용자의 신청 입력을 수신하여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고, 디바이스(100)는 기설정 방식(예: 랜덤 난수 발생)으로 구매 신청 코드를 생성하여 카드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계정의 사용자 단말(300)에 발급할 수 있다.
단계 S723에서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에 대한 구매 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매장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디자인의 카드 플레이트 중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723은 단계 S6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724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구매 신청 코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단계 S725에서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구매 신청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구매 신청에 따라 오프라인 구매를 위한 구매 신청 코드 제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단말(3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장된 구매 신청 코드를 시각화하여 구매 신청 코드 이미지(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코드 리딩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구매 신청 코드 이미지(30)로부터 구매 신청 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726에서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카드의 코드 이미지 및 카드 구매자의 신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723은 단계 S612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727에서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구매 신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프라인 매장 단말(200)은 구매 신청 코드, 카드 식별 정보 및 카드 구매자의 신분 이미지(또는 신분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신청 정보를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28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드 신청 정보와 카드 고유 정보를 매칭하고 카드 번호를 활성화하여 카드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구매 신청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구매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코드 이미지(20)로부터 획득되는 카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고, 신분 이미지에 기초하여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독출하고, 구매 신청 코드와 매칭되어 있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구매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구매 가능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카드 고유 정보에 포함된 카드 번호에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매칭하고, 해당 카드 번호를 활성화 상태로 갱신하여 카드 등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카드 번호가 활성화되는 시점부터 해당 계정에 임시 저장되어 있던 사용 한도를 확정하여 해당 카드 번호에 부여할 수 있다.
단계 S729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드 구매 결과 및 카드 등록 결과를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은 카드 구매 결과 및 카드 등록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한 카드(10)가 성공적으로 구매되고 등록된 경우, 이후의 상품 구매 과정에서 해당 카드(10)를 결제 과정에 개시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전에 카드 구매 계획이 있는 경우, 카드 신청에 따라 사용자의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한도를 임시로 부여하고, 이후에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를 구매하면 임시 부여된 사용 한도에 따라 카드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도시된 단계들의 순서 및 조합은 일 실시 예이고, 명세서에 기재된 각 구성요소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순서, 조합, 분기, 기능 및 그 수행 주체가 추가, 생략 또는 변형된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카드 등록 시스템
100: 디바이스
110: 프로세서 120: 송신부
200: 오프라인 매장 단말 300: 사용자 단말
10: 카드 20: 코드 이미지
30: 구매 신청 코드 이미지

Claims (17)

  1. 디바이스가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부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에 기록된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카드 신청 정보와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매칭함에 따라 상기 카드 번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카드의 사용을 위한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송신부가 상기 카드 등록의 수행에 따른 카드 등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신청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에 오프라인 구매를 위한 구매 신청 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구매 신청 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기 이전에 수행되는 경우, 상기 구매 신청 코드에 대한 유효한 상태 기간을 나타내는 제1 유효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 상기 구매 신청 코드에 대한 유효한 상태 기간을 나타내는 제2 유효기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효기간은 상기 제1 유효기간보다 더 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번호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물리적으로 마스킹하고 있는 코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고유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카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이미지는 QR 코드 이미지 및 바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와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매칭함에 따라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계정에 대해서 카드 구매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카드 구매자의 신분을 나타내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독출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유효기간은 기설정 기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구매 신청 코드가 유효 상태인 경우, 상기 카드 구매자의 신분을 나타내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독출하는 수행을 생략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드 신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한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신청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하여 상기 사용 한도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신청 코드와 구매 신청 코드 이미지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구매 신청 코드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에 대한 구매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카드에 기록된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카드 신청 정보와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매칭함에 따라 상기 카드 번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카드의 사용을 위한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카드 등록의 수행에 따른 카드 등록 결과를 제공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드 신청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에 오프라인 구매를 위한 구매 신청 코드를 제공하고,
    상기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수행이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수행보다 이전에 수행되는 경우, 상기 구매 신청 코드에 대한 유효한 상태 기간을 나타내는 제1 유효기간을 결정하고,
    상기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수행이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수행보다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 상기 구매 신청 코드에 대한 유효한 상태 기간을 나타내는 제2 유효기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유효기간은 상기 제1 유효기간보다 더 긴,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드 번호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물리적으로 마스킹하고 있는 코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고유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카드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카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이미지는 QR 코드 이미지 및 바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와 상기 카드 고유 정보를 매칭함에 따라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계정에 대해서 카드 구매 결과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카드 구매자의 신분을 나타내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독출하는,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유효기간은 기설정 기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구매 신청 코드가 유효 상태인 경우, 상기 카드 구매자의 신분을 나타내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 구매자 식별 정보를 독출하는 수행을 생략하는,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드 신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카드 신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한도를 결정하고,
    상기 카드 신청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에 매칭하여 상기 사용 한도를 임시 저장하는,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드 신청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에 오프라인 구매를 위한 구매 신청 코드를 제공하고,
    상기 구매 신청 코드와 구매 신청 코드 이미지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구매 신청 코드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에 대한 구매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17.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10103182A 2021-08-05 2021-08-05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664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182A KR102664790B1 (ko) 2021-08-05 2021-08-05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182A KR102664790B1 (ko) 2021-08-05 2021-08-05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378A KR20230021378A (ko) 2023-02-14
KR102664790B1 true KR102664790B1 (ko) 2024-05-10

Family

ID=85220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182A KR102664790B1 (ko) 2021-08-05 2021-08-05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79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569A (ko) 2001-07-05 2003-01-15 삼성캐피탈 주식회사 인터넷상에서의 이미지 디자인 맞춤형 카드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20120133706A (ko) * 2011-05-31 2012-12-11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카드 등록 장치 및 그 방법
KR101931507B1 (ko) * 2017-06-07 2018-12-21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카드발급 장치, 금융기기, 금융기기를 이용한 카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378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39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mobile payment
US20130240622A1 (en) Facilitating mobile device payments using mobile payment account, mobile barcode and universal digital mobile currency
JP6303488B2 (ja) 決済システム、および、決済方法
US20180032996A1 (en) Data sharing with card issuer via wallet app in payment-enabled mobile device
KR101487430B1 (ko) 병행수입품 a/s 관리시스템
TWI689879B (zh) 服務提供系統、記憶使用於其之電腦程式的記憶媒體、及服務提供系統的控制方法
US11593849B2 (en) Employee profile for customer assignment, analytics and tip payments
WO2013062481A1 (en) Anonymous collection, presentment and reverse auction of payment receipt items
CN108369705A (zh) 动态安全编码授权验证服务
US10185940B2 (en) Image capture transaction payment
KR102664790B1 (ko) 카드 등록을 수행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JP7258592B2 (ja) 決済管理システム、決済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101238900B1 (ko) 복권 발매 시스템 및 방법
US20200387922A1 (en) Points management method and points management apparatus
JP7375602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JP7332858B2 (ja) 電子決済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電子決済プログラム
JP7457197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80308156A1 (en) Server device and service method
KR101621302B1 (ko) 고객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는 코드인식앱이 탑재된 스마트기기
JP7388017B2 (ja) 処理方法、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AU2018101042A4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recording loyalty data
WO2022009414A1 (ja) 推薦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20230096427A (ko) 듀얼 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46999A (ko) 상품 거래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220120841A (ko) 간편 출입 인증을 지원하는 결제 처리 방법 및 결제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