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698B1 - 차량용 지문 인증 제어기 및 이의 활용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지문 인증 제어기 및 이의 활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698B1
KR102664698B1 KR1020190106785A KR20190106785A KR102664698B1 KR 102664698 B1 KR102664698 B1 KR 102664698B1 KR 1020190106785 A KR1020190106785 A KR 1020190106785A KR 20190106785 A KR20190106785 A KR 20190106785A KR 102664698 B1 KR102664698 B1 KR 102664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authentication controller
fingerprint authentication
party
us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263A (ko
Inventor
구본우
조덕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6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6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60R25/252Fingerprint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내장된 지문 인증 제어기를 Fob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은 제 3자가 이용 가능한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이 정상적으로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정상인 경우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탈착된 지문 인증 제어기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지문 인증 제어기 및 이의 활용 방법{FINGERPRINT AUTHENTIFICATION CONTROLLER FOR VEHICLE AND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지문 인증 제어기 및 이의 활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내장되어 탈착시 Fob 키로 이용 가능한 지문 인증 제어기 및 이의 활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 시동을 거는 방법으로 과거에는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 측방에 구비되는 키홀에 키를 삽입한 후 회전시킴으로써, 시동 모터를 초기 회전시키고, 아울러 점화 코일로 하여금 스파크플러그로 고압을 인가시켜 실린더 내의 혼합기를 점화시킴으로써 시동이 걸리도록 하였다.
이러한 엔진 시동은 기술 발전을 통하여 리모트 컨트롤에 의한 무선시동 타입 및 근자에 들어서서는 스마트키, 즉 Fob 키를 휴대한 상태에서 버튼을 눌러서 시동을 걸 수 있도록 발전되었다.
이에 더 나아가 최근 차량에도 다양한 생체 인증 기술이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지문 인증 기술 또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문 인증 기술이 적용됨에 따라 등록된 운전자는 Fob 키를 따로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차량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차량 출입 및 시동에 지문 인증 기술이 적용되면서 등록된 운전자는 편리하게 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발렛 서비스와 같이 등록되지 않은 제 3 자가 운전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반드시 Fob 키를 휴대하고 있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지문 인식 기술이 차량에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Fob키를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만 하여 지문 인식 기술의 적용을 퇴색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에 내장된 지문 인증기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인증 절차가 완료될 경우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지문 인증 제어기 및 이의 활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차량에 내장된 지문 인증 제어기를 Fob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은 제 3자가 이용 가능한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이 정상적으로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정상인 경우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탈착된 지문 인증 제어기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가 네비게이션 또는 클러스터의 UI를 제어하여 상기 일반 모드 상태에서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등록된 운전자만 이용 가능한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일반 모드 상태에서 상기 등록된 운전자가 지문 인증 제어기를 탈착함에 따라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탈착된 지문 인증 제어기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가 수락한 제 3 자의 지문을 상기 지문 인증 제어기를 통해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제 3 자에게만 상기 탈착된 지문 인증 제어기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탈착된 지문 인증 제어기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의 설정에 의해 또는 미리 등록된 설정에 의해 상기 차량의 복수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제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증 제어기 활용 방법은 일 실시예로, 상기 확인 결과 비정상인 경우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의 진입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차량에 내장되어 탈착시 Fob 키로 이용 가능한 지문 인증 제어기는, 차량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운전자의 지문을 스캔하기 위한 지문 스캐너, 상기 지문 스캔 결과에 기초하여 Fob 키로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제 3 자 이용이 가능한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되면, 상기 지문 스캐너를 통해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이 정상적으로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차량에 내장 상태에서 탈착 상태가 됨이 확인됨에 따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킨다.
일 실시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만 이용 가능한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에 의해 네비게이션 또는 클러스터의 UI가 제어됨에 따라 상기 일반 모드 상태에서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내장 상태에서 상기 등록된 운전자에 의한 탈착 상태가 확인됨에 따라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의 설정에 의해 또는 미리 등록된 설정에 의해 상기 차량의 복수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제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가 수락한 제 3 자 이용의 지문이 상기 지문 스캐너를 통해 인식됨에 따라, 상기 인식된 제 3 자 이용에게만 상기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Fob 키로 이용 가능한 지문 인증 제어기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은 상기 지문 인증 제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운전자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 스캐너, 제 3 자가 이용 가능한 제 3 자 이용 모드로의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됨에 따라, 상기 지문 스캐너를 통해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이 정상적으로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지문 인증 제어기의 내장 상태에서 탈착 상태가 됨이 확인됨에 따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가 수락한 제 3 자의 지문이 상기 지문 인증 제어기를 통해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제 3 자에게만 상기 탈착된 지문 인증 제어기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발렛 서비스와 같이 지문 인증 제어기에 등록되지 않은 제3 자가 차량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지문 인증 제어기를 탈착하여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별도의 Fob 키를 휴대하고 다녀야만 하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증 제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증 제어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증 제어기 활용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증 제어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증 제어기(1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증 제어기(100)는 차량 시스템(1) 내에 삽입되어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지문 인증 제어기(100)는 차량과 일체감이 들 수 있도록 마감 처리되어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일 예시로, 지문 인증 제어기(100)는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손잡이에 위치하여 도어 개폐시 지문이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차량 내 스티어링 휠에 삽입되어 스티어링 휠을 잡음과 동시에 지문이 인식되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설계 및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지문 인증 제어기(100)는 평상시에는 일반 모드로 동작하여 일반적인 지문 인증 기능을 수행하나, 탈착되는 경우 Fob 키로 이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증 제어기(100)는 등록된 운전자에 의해서만 탈착될 수 있으며, 등록된 운전자에 의해서 탈착된 경우에만 Fob 키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지문 인증 제어기(100)는 등록된 운전자가 아닌 임의의 제 3 자에 의해서는 최초 탈착이 불가하며, 강제로 탈착되더라도 Fob 키로 활성화되지 않는다.
이러한 지문 인증 제어기(100)는 통신모듈(110), 지문 스캐너(120),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통신모듈(110)은 차량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와 같은 통신 모듈(110)은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 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통신모듈(110)은 지문 인증 제어기(100)가 차량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유선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차량으로부터 탈착된 경우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지문 인증 제어기(100)가 차량으로부터 탈착된 경우는 등록된 운전자에 의해 Fob 키로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당연히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반면, 등록된 운전자가 아닌 임의의 제 3 자에 의해 강제로 탈착된 경우에도 전원이 차단되는 것이 아닌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어 차량 및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도난 또는 절도의 경고 알림을 할 수 있다.
지문 스캐너(120)는 운전자나 제 3 자의 지문을 스캔한다.
즉, 지문 스캐너(120)는 미리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을 스캔함으로써 차량이 일반 모드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일반 모드라 함은 차량의 시동, 개인화 서비스, 결제 등 차량의 소유주 또는 렌탈한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을 컨트롤하기 위한 일체의 행위를 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한편,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 정보는 지문 스캐너에 저장할 수 있으나, 저장 보안을 위해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지문 스캐너(120)는 등록된 운전자에 의해 허가된 제 3 자의 지문을 스캔함으로써 허가된 제 3 자에게만 Fob 키가 활성화되게끔 할 수 있다.
반면, 허가되지 않은 제 3 자의 지문을 스캔할 경우에는 차량 및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도난 또는 절도의 경고 알림을 할 수 있다.
메모리(130)에는 지문 스캔 결과에 기초하여 Fob 키로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여기에서, 메모리(13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등록된 운전자만 이용 가능한 일반 모드에서 제 3 자 이용이 가능한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되면, 지문 스캐너(130)를 통해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이 정상적으로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하고, 지문 인증 제어기(100)가 차량에 내장 상태에서 탈착 상태가 됨이 확인됨에 따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킨다.
그밖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또는 LED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인증 여부나 다양한 동작 모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지문 인증 제어기(100)는 유무선 충전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충전부(160)를 통해 차량 내 삽입되어 있는 경우 유선 충전을 통해 충전을 진행하고, 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다양한 무선 충전 기능을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1)은 지문 인증 제어기(1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시스템(1)은 지문 인증 제어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운전자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 스캐너, 제 3 자가 이용 가능한 제 3 자 이용 모드로의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그리고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됨에 따라, 지문 스캐너를 통해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이 정상적으로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하고, 지문 인증 제어기의 내장 상태에서 탈착 상태가 됨이 확인됨에 따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1) 및 지문 인증 제어기(100)에서 수행되는 지문 인증 제어기(100)의 활용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증 제어기 활용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증 제어기 활용 방법은 먼저, 등록된 운전자만 이용 가능한 일반 모드에서 제 3 자가 이용 가능한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한다(S110).
일 실시예로,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일반 모드 상태에서 등록된 운전자가 네비게이션 또는 클러스터의 UI를 제어하여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차량의 네비게이션이나 클러스터의 UI를 제어함으로써, 새로운 지문을 등록하거나 지문을 삭제할 수 있으며, 인증 기능, Fob 기능 활성화, 제 3 자 이용 모드시의 차량 기능 활성화 및 제한 설정 등 다양한 셋팅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일반 모드 상태에서 등록된 운전자가 지문 인증 제어기(100)를 탈착함에 따라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일반 모드가 아닌 시동이 꺼진 상태, 차량 고장 상태 등과 같은 비상 상태에서는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이 정상적으로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120), 확인 결과 정상인 경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한다(S130).
만약, 확인 결과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이 아닌 경우에는 제 3 자 이용 모드의 진입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여 다시 정상적인 지문을 요구하는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탈착된 지문 인증 제어기(100)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킨다(S140).
일 실시예로, 제 3 자 이용 모드에서는 탈착된 지문 인증 제어기(100)가 기존의 Fob 키와 동일하게 동작하게 되고, 탈착된 지문 인증 제어기(100)를 소지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지문이 미등록된 제 3 자의 차량 운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등록된 운전자가 수락한 제 3 자의 지문을 지문 인증 제어기(100)를 통해 인식하게 하고, 인식된 제 3 자에게만 탈착된 지문 인증 제어기(100)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등록된 운전자가 지문 인증 제어기(100)를 탈착시키는 것만으로도 임의의 제 3 자가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그 범위를 더욱 축소시켜 등록된 운전자가 특정한 제 3 자의 지문을 스캔하도록 함으로써, 제 3 자의 지문이 인식된 경우에만 해당 제 3 자에게만 Fob 키로 활성화되게끔 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보안 등의 이유로 등록된 운전자의 설정에 의해 또는 미리 등록된 설정에 의해 차량의 복수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활성화 또는 제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 클러스터나 네비게이션의 UI를 통해 차량의 성능, 즉 속도, 미디어 기능, 시트 설정, 수납 잠금, 운전 거리, 속도, 위치 추적 기능 등을 활성화 시키거나 제한시킬 수 있다.
즉, 허락한 제 3 자가 가족인 경우 해당 기능을 제한시킬 필요는 없으나, 만약 발렛 서비스 직원이거나 임의의 제 3 자인 경우에는 차량의 도난, 개인 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을 일정 거리 이상 주행되지 않도록 제한하거나, 차량의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등 기능 제한을 통해 위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자가 시트 포지션에서 벗어나는 경우 다시 지문을 인식할 것을 요구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모드 상태에서 발렛 서비스 직원인 제 3 자에게 차량을 인도하는 과정에서, 등록된 운전자가 시트 포지션을 벗어나는 경우 제 3 자로 하여금 지문을 인식하는 과정을 요구할 수 있다.
만약, 등록된 지문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차량의 속도, 스티어링 휠 조작 등의 기능이 제한될 수도 있다.
다만,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등록된 운전자 또는 제 3 자로 하여금 지문을 인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반 모드 상태에서 제 3 자의 운전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만 제 3 자로 하여금 운전 등이 가능하게끔 할 수 있어 더욱 높은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1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2에서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3의 지문 인증 제어기 활용 방법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지문 인증 제어기
110: 통신모듈
120: 지문 스캐너
130: 메모리
140: 프로세서
150: 디스플레이 모듈
160: 충전부

Claims (15)

  1. 차량에 내장된 지문 인증 제어기를 Fob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3자가 이용 가능한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이 정상적으로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정상인 경우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탈착된 지문 인증 제어기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인증 제어기 활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가 네비게이션 또는 클러스터의 UI를 제어하여 일반 모드 상태에서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는 것인 지문 인증 제어기 활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등록된 운전자만 이용 가능한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는 것인 지문 인증 제어기 활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일반 모드 상태에서 상기 등록된 운전자가 지문 인증 제어기를 탈착함에 따라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는 것인 지문 인증 제어기 활용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된 지문 인증 제어기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가 수락한 제 3 자의 지문을 상기 지문 인증 제어기를 통해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제 3 자에게만 상기 탈착된 지문 인증 제어기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지문 인증 제어기 활용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된 지문 인증 제어기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의 설정에 의해 또는 미리 등록된 설정에 의해 상기 차량의 복수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제한시키는 것인 지문 인증 제어기 활용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비정상인 경우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의 진입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문 인증 제어기 활용 방법.
  8. 차량에 내장되어 탈착시 Fob 키로 이용 가능한 지문 인증 제어기에 있어서,
    차량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운전자의 지문을 스캔하기 위한 지문 스캐너,
    상기 지문 스캔 결과에 기초하여 Fob 키로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제 3 자 이용이 가능한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되면, 상기 지문 스캐너를 통해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이 정상적으로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차량에 내장 상태에서 탈착 상태가 됨이 확인됨에 따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것인 지문 인증 제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만 이용 가능한 일반 모드에서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는 것인 지문 인증 제어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에 의해 네비게이션 또는 클러스터의 UI가 제어됨에 따라 상기 일반 모드 상태에서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는 것인 지문 인증 제어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내장 상태에서 상기 등록된 운전자에 의한 탈착 상태가 확인됨에 따라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하는 것인 지문 인증 제어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의 설정에 의해 또는 미리 등록된 설정에 의해 상기 차량의 복수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제한시키는 것인 지문 인증 제어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가 수락한 제 3 자 이용의 지문이 상기 지문 스캐너를 통해 인식됨에 따라, 상기 인식된 제 3 자 이용에게만 상기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것인 지문 인증 제어기.
  14. Fob 키로 이용 가능한 지문 인증 제어기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증 제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운전자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 스캐너,
    제 3 자가 이용 가능한 제 3 자 이용 모드로의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 3 자 이용 모드로 진입됨에 따라, 상기 지문 스캐너를 통해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이 정상적으로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 3 자 이용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지문 인증 제어기의 내장 상태에서 탈착 상태가 됨이 확인됨에 따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된 운전자가 수락한 제 3 자의 지문이 상기 지문 인증 제어기를 통해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제 3 자에게만 상기 탈착된 지문 인증 제어기를 Fob 키로 이용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는 것인 차량 시스템.
KR1020190106785A 2019-08-29 2019-08-29 차량용 지문 인증 제어기 및 이의 활용 방법 KR102664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85A KR102664698B1 (ko) 2019-08-29 2019-08-29 차량용 지문 인증 제어기 및 이의 활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85A KR102664698B1 (ko) 2019-08-29 2019-08-29 차량용 지문 인증 제어기 및 이의 활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263A KR20210026263A (ko) 2021-03-10
KR102664698B1 true KR102664698B1 (ko) 2024-05-09

Family

ID=7514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785A KR102664698B1 (ko) 2019-08-29 2019-08-29 차량용 지문 인증 제어기 및 이의 활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6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511A1 (ko) 2014-12-29 2016-07-07 현대다이모스(주)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KR101641267B1 (ko) 2015-02-05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11613B1 (ko) 2016-08-18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511A1 (ko) 2014-12-29 2016-07-07 현대다이모스(주)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KR101641267B1 (ko) 2015-02-05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11613B1 (ko) 2016-08-18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263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236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access and function control utilizing a portable device
CN104816706B (zh) 用于生物识别车辆激活的方法和设备
US95800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n authorized vehicle driveaway
EP2575091B1 (en) Unattended fleet 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CN107251105B (zh) 机动车安防和机动车安全系统
US201102158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a vehicle driveaway
CN109969129A (zh) 服务器装置、汽车共享系统、信息处理方法、以及记录介质
CN109195840A (zh) 利用便携式装置进行车辆访问和功能控制的设备、系统和方法
US10636238B2 (e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vehicl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4786991A (zh) 基于指纹识别的汽车控制方法和系统
KR101754876B1 (ko) 이중 보안을 적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이중 보안 방법
CN104477130B (zh) 用于汽车的锁具
EP3447988A1 (en) Method for authorizing a driver to activate at least one system of a vehicle, based on a biometric authentication process
JP6790917B2 (ja) キーシステムを用いた車載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キーシステム
US20030071714A1 (en) Method for initializing an access control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keys and a plurality of objects
CN111762126A (zh) 车辆智能钥匙管理方法及车辆控制单元
US20180365978A1 (en) Wireless relay device and wireless relay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JP2020113065A (ja) 情報管理システム
KR102664698B1 (ko) 차량용 지문 인증 제어기 및 이의 활용 방법
US2020001504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Transmitt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Transmit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7060058B2 (ja) キーシステムを用いた車載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キーシステム
US20190225188A1 (en) Biometric access control system for vehicle shifter
JP2005239079A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及び車両用盗難防止装置
CN109878454A (zh) 车辆控制系统及控制车门和发动机开启的方法
WO2023232686A1 (en) Vehicle immobili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