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676B1 - 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 Google Patents

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676B1
KR102664676B1 KR1020210189187A KR20210189187A KR102664676B1 KR 102664676 B1 KR102664676 B1 KR 102664676B1 KR 1020210189187 A KR1020210189187 A KR 1020210189187A KR 20210189187 A KR20210189187 A KR 20210189187A KR 102664676 B1 KR102664676 B1 KR 102664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waste
sterilization
box
inpu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1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99824A (en
Inventor
오명석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엠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엔테크(주) filed Critical 엠엔테크(주)
Priority to KR102021018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676B1/en
Publication of KR20230099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824A/en
Priority to KR1020230125675A priority patent/KR1026646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67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2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56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C19/0075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medical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은,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의료폐기물 수거처로 이동시키는 단계; 투입장치를 이용하여, 의료폐기물을 차량에 탑재된 컨테이너 내의 분쇄장치 내로 투입하는 의료폐기물 투입 단계; 상기 분쇄장치에 투입된 의료폐기물을 분쇄하는 의료폐기물 분쇄 단계; 상기 분쇄장치에서 분쇄된 의료폐기물을 상기 멸균장치의 멸균조 내로 이송하는 의료폐기물 투입 이송 단계; 상기 멸균조 내부에 투입된 의료폐기물을 멸균 처리하는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단계; 및 멸균 처리가 완료된 의료폐기물을 상기 멸균조에서 상기 컨테이너 밖으로 배출하는 의료폐기물 배출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sterilizing medical waste using a mobile sterilization system is disclosed.
A method of sterilizing medical waste using a mobile ster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moving the mobile sterilization system to a medical waste collection point while being mounted on a vehicle; A medical waste input step of injecting medical waste into a crushing device in a container mounted on a vehicle using an input device; A medical waste crushing step of crushing the medical waste input into the crushing device; A medical waste input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medical waste pulverized in the grinding device into a sterilization tank of the sterilization device; A 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 step of sterilizing medical waste introduced into the sterilization tank; and a medical waste discharge step of discharging the sterilized medical waste from the sterilization tank out of the container.

Description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된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료폐기물을 멸균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terilizing medical wast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sterilizing medical waste using a mobile sterilization system mounted on a vehicle.

폐기물관리법에 따르면, 의료폐기물은 보건·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과 인체 조직 등 적출물, 실험 동물의 사체 등 보건·환경보호 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료폐기물은 크게 격리의료폐기물, 위해의료폐기물 및 일반의료폐기물로 구분된다.According to the Waste Management Act, medical waste refers to waste discharged from health and medical institutions, animal hospitals, testing and inspection institutions, etc., including waste that is likely to cause harm to the human body such as infection, extracts such as human tissue, and carcasses of laboratory animals, etc. for heal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is refers to waste that is recognized as requiring special management. These medical wastes are largely divided into quarantined medical waste, hazardous medical waste, and general medical waste.

격리의료폐기물은 감염병으로부터 타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격리된 사람에 대한 의료행위에서 발생한 일체의 의료폐기물을 의미하고, 위해의료폐기물은 조직물류폐기물, 병리계폐기물, 손상성폐기물, 생물·화학폐기물 및 혈액오염폐기물에 해당하는 의료폐기물을 의미한다. 또한, 일반의료폐기물은,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이 함유되어 있는 탈지면, 붕대, 거즈,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일회용주사기, 수액세트에 해당하는 의료폐기물을 의미한다. 이들 의료폐기물 중에서, 격리의료폐기물 및 위해의료폐기물과 멸균 처리되지 않은 일반의료폐기물은 병원성폐기물전용소각장에서만 소각할 수 있지만, 멸균 처리된 일반의료폐기물에 한하여 산업폐기물 소각장에서의 소각 처리가 허용된다.Quarantine medical waste refers to all medical waste generated from medical treatment on people quarantined to protect others from infectious diseases, and hazardous medical waste includes tissue logistics waste, pathological waste, damaging waste, biological and chemical waste, and blood. This refers to medical waste that is considered polluted waste. In addition, general medical waste refers to medical waste corresponding to cotton pads, bandages, gauze, disposable diapers, sanitary napkins, disposable syringes, and IV sets containing blood, body fluids, secretions, and excretions. Among these medical wastes, quarantined medical waste, hazardous medical waste, and general medical waste that has not been sterilized can only be incinerated in a dedicated incinerator for pathogenic waste. However, only sterilized general medical waste is allowed to be incinerated in an industrial waste incinerator.

따라서, 일반의료폐기물을 멸균 처리하여 산업폐기물소각장에서 처리할 경우 병원성 폐기물 전용 소각장의 부하를 줄일 수 있어서, 의료폐기물의 원활한 처리가 가능하다. 특히, 환경부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전체 의료폐기물중 일반의료폐기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으므로, 일반의료폐기물을 산업폐기물 소각장에서 처리하는 양을 증가시키는 것에 따른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Therefore, when general medical waste is sterilized and disposed of in an industrial waste incinerator, the load on the incinerator dedicated to pathogenic waste can be reduced, enabling smooth treatment of medical waste. In particular, according to recent data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general medical waste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all medical waste, so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mount of general medical waste treated at industrial waste incinerators is expected to be very large.

그러나 설치 위치의 조건 및 민원에 따라 멸균 처리시설을 신규로 설치하거나 증설하는 것이 매우 힘든 실정이다. 게다가, 의료폐기물이 다량 발생하고 또한 법규에 맞게 멸균 처리시설의 설치가 가능한 대형병원의 수 및 그로부터 배출되는 의료폐기물의 양은 전체 배출 의료폐기물의 양에 비교하면 극히 일부이고, 대부분의 의료폐기물은 많은 수의 중소형 병원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 또한 멸균 처리시설의 신규 설치 및 증설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고정형 멸균 처리시설은 처리 용량이 크고 여러 곳에서 산발적으로 조금씩 발생하는 의료폐기물에 대한 대처가 어렵다. 또한, 이러한 고정형 멸균 처리시설을 중소형병원에 설치하기가 실질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install or expand new sterilization facilit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civil complaints. In addition, the number of large hospitals that generate large amounts of medical waste and can install sterilization facilities in compliance with the law and the amount of medical waste discharged from them are only a small portion compared to the total amount of medical waste discharged, and most medical waste is generated in large quantities. It is occurring in small and medium-sized veterinary hospitals, and this is also making it difficult to install or expand new sterilization facilities. In addition, fixed sterilization facilities have a large processing capacity and are difficult to deal with medical waste that is generated little by little sporadically in various places. In addition,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install such fixed sterilization treatment faciliti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17286(공개일자 : 2003년 3월 3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17286 (Publication Date: March 3, 2003)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한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일정량 의료폐기물이 발생된 의료시설에 방문하여 의료폐기물을 수거 및 멸균 처리하므로, 주민 반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oints, and uses a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that is mounted on a vehicle and can be moved, and visits medical facilities that generate a certain amount of medical waste to collect and sterilize the medical waste, thereby enabling residents to use i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erilization method for medical waste that can minimize opposi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차량에 탑재된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내에 배치된 분쇄장치, 이송장치 및 멸균장치와, 의료폐기물을 컨테이너 내의 분쇄장치로 투입하는 투입장치와, 분쇄 및 멸균처리된 폐기물을 컨테이너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와, 상기 분쇄장치, 상기 이송장치, 상기 멸균장치, 상기 투입장치 및 상기 배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멸균 시스템을 이용하는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은,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의료폐기물 수거처로 이동시키는 단계; 투입장치를 이용하여, 의료폐기물을 차량에 탑재된 컨테이너 내의 분쇄장치 내로 투입하는 의료폐기물 투입 단계; 상기 분쇄장치에 투입된 의료폐기물을 분쇄하는 의료폐기물 분쇄 단계; 상기 분쇄장치에서 분쇄된 의료폐기물을 상기 멸균장치의 멸균조 내로 이송하는 의료폐기물 투입 이송 단계; 상기 멸균조 내부에 투입된 의료폐기물을 멸균 처리하는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단계; 및 멸균 처리가 완료된 의료폐기물을 상기 멸균조에서 상기 컨테이너 밖으로 배출하는 의료폐기물 배출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a container mounted on a vehicle, a crushing device, a transfer device, and a sterilization device arranged within the container, and an input device for injecting medical waste into the crushing device within the container. A medical treatment using a mobile sterilization system including a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crushed and sterilized wast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rushing device, the transfer device, the sterilization device, the input device, and the discharge device. A waste sterilization treatment method is provided, which includes moving a mobile sterilization treatment system mounted on a vehicle to a medical waste collection site; A medical waste input step of injecting medical waste into a crushing device in a container mounted on a vehicle using an input device; A medical waste crushing step of crushing the medical waste input into the crushing device; A medical waste input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medical waste pulverized in the grinding device into a sterilization tank of the sterilization device; A medical waste sterilization treatment step of sterilizing the medical waste introduced into the sterilization tank; and a medical waste discharge step of discharging the sterilized medical waste from the sterilization tank out of the container.

상기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단계는, 상기 멸균조의 내부를 밀폐시킨 상태로, 증기발생기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기 멸균조 내에 주입하는 증기 멸균 처리 단계와, 상기 멸균조의 내부를 밀폐시킨 상태로, 마이크웨이브 발생기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멸균조 내로 방사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멸균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The medical waste sterilization treatment step includes a steam sterilization treatment step of injecting steam generated from a steam generator into the sterilization tank with the interior of the sterilization tank sealed, and a microwave generator with the interior of the sterilization tank sealed. It includes a microwave sterilization step of irradiating microwaves generated in the sterilization tank.

상기 투입장치는,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를 포함하는 박스 유닛과, 상기 컨테이너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박스 유닛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프레임과, 상기 박스 유닛을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승강시키는 박스 승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프레임은 직선 레일홈과 상기 직선 레일홈의 상부에 형성된 곡선 레일홈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레일바를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박스 유닛은 상기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를 지지한 채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휠 브래킷과, 상기 휠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직선 레일홈을 따라 구르는 하부 레일 휠 및 상부 레일 휠을 포함하며, 상기 휠 브래킷은 상기 하부 레일 휠이 설치된 브래킷 바디와, 상기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와 결합되고 힌지축에 의해 상기 브래킷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브래킷 바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폐기물 투입 단계는, 상기 하부 레일 휠이 상기 직선 레일홈에 있고 상기 상부 레일 휠이 상기 곡선 레일홈에 있을 때까지 상기 박스 유닛을 상승시켜, 상기 브래킷 바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의 상단 개방부를 기울이는 것을 포함한다.The input device includes a box unit including a medical waste input box, a rail frame coupled to the rear part of the container and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ox unit, and a box lifting unit that elevates the box unit along the rail frame. It includes, wherein the rail frame integrally includes a pair of rail bars each including a straight rail groove and a curved rail groove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straight rail groove, and the box unit supports the medical waste input box. It includes a wheel bracket that is installed to be able to go up and down along the rail frame, and a lower rail wheel and an upper rail wheel that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wheel bracket and roll along the straight rail groove, wherein the wheel bracket is the lower rail wheel. It includes an installed bracket body and a bracket bar coupled to the medical waste input box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racket body by a hinge axis, and in the medical waste input step, the lower rail wheel is in the straight rail groove and the upper Raising the box unit until the rail wheel is in the curved rail groove and tilting the top opening of the medical waste input box by rotating the bracket bar about the hinge axis.

상기 의료폐기물 투입 단계는 의료폐기물이 채워지는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의 무게를 박스 무게 측정부로 측정하여, 상기 박스 무게 측정부가 측정한 무게가 설정 무게 이상이 되면, 상기 승강 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박스 유닛을 상승시키는 것을 포함한다.In the medical waste input step, the weight of the medical waste input box filled with medical waste is measured by the box weight measuring unit, and when the weight measured by the box weighing unit exceeds the set weight, the lifting unit is driven, and the box unit is driven. Includes raising .

상기 의료폐기물 투입 이송 단계는, 상기 멸균조 내로 투입되는 의료폐기물의 용량이 미리 정해진 처리 용량에 도달한 경우, 상기 이송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멸균조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포함한다.The medical waste input and transfer step includes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and sealing the interior of the sterilization tank when the volume of medical waste introduced into the sterilization tank reaches a predetermined processing capacity.

상기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은 공기 정화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기하는 공기 정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dical waste sterilization method further includes an air purification step of purifying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and exhausting it to the outside using an air purification device.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멸균장치 및 상기 분쇄장치로부터 상기 컨테이너의 일측에 형성된 배기구까지 연장된 배기 관로와, 상기 배기 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터보팬과, 상기 배기 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 관로를 흐르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기와, 상기 배기 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 관로를 흐르는 공기 중의 분진을 원심력으로 제거하는 싸이클론을 포함한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includes an exhaust pipe extending from the sterilization device and the crushing device to an exhaust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a turbo fan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to generate an air flow that exhausts air through the exhaust port, and It includes a deodorizer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to remove bad odors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exhaust pipe, and a cyclone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to remove dust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exhaust pipe using centrifugal force.

상기 싸이클론은 상기 탈취기를 기준으로 상기 배기 관로의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관로는 상기 멸균장치로부터 상기 배기구까지 이어진 주 관로와 상기 분쇄장치와 상기 주 관로를 접속시키는 접속 관로를 포함하한다.The cyclone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exhaust pipe with respect to the deodorizer, and the exhaust pipe includes a main pipe extending from the sterilization device to the exhaust port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pulverizing device and the main pipe. .

상기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각각이 중앙 힌지에 의해 반으로 접혀지는 한 쌍의 협폭 측판과, 양 측단이 측단 모서리 힌지들에 의해 한 쌍의 협폭 측판 각각의 양 측단에 접이식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광폭 측판과, 한 쌍의 광폭 측판 중 하나의 광폭 측판의 하단에 접이식으로 결합된 바닥판을 포함한다.The medical waste input box i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includes a pair of narrow side plates, each of which is folded in half by a central hinge, and both side ends are folded and joined to both sides of the pair of narrow side plates by side edge hinges. It includes a pair of wide side plates and a bottom plate folded and coupled to the bottom of one of the pair of wide side plates.

상기 공기 정화 단계는 상기 주 관로와 상기 접속 관로 사이의 접속부에 설치된 댐퍼를 이용하여, 상기 주 관로와 상기 접속 관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air purifying step includes selectively blocking the main pipe and the connection pipe using a damper installed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pipe and the connection pip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은 멸균 처리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이 의료폐기물이 일정량 이상 발생된 병원 등 의료시설에 직접 방문하여 의료폐기물을 수거하여 멸균 처리할 수 있으므로, 시설 설치에 따른 주민의 반대와 민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sterilizing medical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vehicle equipped with a sterilization system to directly visit medical facilities such as hospitals where medical waste is generated in a certain amount or more, collect the medical waste, and sterilize it, so the facility can be installed. Residents' objections and complaints can be resolved.

또한, 본 발명은 투입장치에 의료폐기물을 투입하는 시점부터 의료폐기물이 분쇄 및 멸균되어 외부로 나오는 최종단계까지 모든 과정이 자동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all processes can be automated, from the point of inserting medical waste into the input device to the final stage where the medical waste is pulverized and sterilized and brought out to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에 이용되는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멸균 처리 작업하는 상태에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에 이용되는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멸균 처리 작업하는 상태에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에 이용되는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운행중인 차량에 실려 이동하는 상태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에 이용되는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운행중인 차량에 실려 이동하는 상태에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의 투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예 따른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에 이용되는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의의 제어와 관련된 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bile sterilization system used in the medical waste ster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erilization process stat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bile sterilization system used in the medical waste ster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erilization state.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bile sterilization system used in the medical waste ster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being transported in a running vehicle.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mobile sterilization system used in the medical waste ster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being transported in a running vehicle.
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generally explaining the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shown in Figures 1 to 4.
Figures 6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input device of the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shown in Figures 1 to 5.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elements related to the control of a mobile sterilization system used in the sterilization method of medical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sterilizing medical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r shap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dditionally,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parts unrelated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only in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 using the same symbols, and in other embodiments, only component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other member. Additionally,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ay mean that it further includes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발명에 따른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은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한 멸균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료폐기물을 멸균 처리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The medical waste ster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rilizes medical waste using a sterilization system that is mounted on a vehicle and can be moved. Below, 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dical waste ster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that can be used in the 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first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은, 운행 가능한 차량에 설치된 채, 의료폐기물, 특히, 멸균 처리되지 않은 일반의료폐기물을 분쇄 및 멸균 처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차량에 탑재되고 처리 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9)와, 컨테이너(9) 내에 설치되며 의료폐기물을 분쇄하는 분쇄장치(4)와, 컨테이너(9) 내에 설치되며 분쇄된 의료폐기물을 멸균 처리하는 멸균장치(6)와, 컨테이너(9)의 외부에서 컨테이너(9) 내부의 분쇄장치(4) 내로 의료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장치(2)와, 분쇄장치(4)에서 분쇄된 의료폐기물을 멸균장치(6)로 이송하는 이송장치(5)와, 멸균장치(6)에서 멸균된 의료폐기물을 컨테이너(9)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mobile ster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that can be driven, and crushes and sterilizes medical waste, especially general medical waste that has not been sterilized. Constructed to be discharged, a container (9) mounted on a vehicle and forming a processing space, a crushing device (4) installed within the container (9) to crush medical waste, and a crushing device (4) installed within the container (9) to crush medical waste. A sterilization device (6) for sterilizing waste, an input device (2) for injecting medical waste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9) into the crushing device (4) inside the container (9), and crushing in the crushing device (4). It includes a transfer device (5) that transfers the medical waste to the sterilization device (6), and a discharge device (7) that discharges the medical waste sterilized in the sterilization device (6)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9).

또한, 본 실시예의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은, 의료폐기물을 분쇄하고 멸균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정화장치(8)를 더 포함한다. 공기정화장치(8)는 멸균장치(6) 및 분쇄장치(4)로부터 컨테이너(9)의 일측에 형성된 배기구(91)까지 연결된 배기 관로(81)와, 배기 관로(81)에 설치되어 배기구(91)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터보팬(83)과, 배기 관로(81)에 설치되어 배기 관로(81)를 흐르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기(85)와, 배기 관로(81)에 설치되어 배기 관로(81)를 흐르는 공기 중의 먼지를 원심력으로 제거하는 싸이클론(87)을 포함한다. 악취는 황화수소, 암모니아 등과 같이 금속을 부식시키는 성분을 다량 포함하므로, 싸이클론(87) 및 터보팬(83)은, 악취 성분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탈취기(85)를 기준으로 배기 관로(81)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 관로(81)는 이하 설명되는 멸균장치(6)의 멸균조(61) 내 악취 및 분진을 포함한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관로와 분쇄장치(4) 내 악취 및 분진을 포함한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관로가 탈취기(85)를 기준으로 상류측에서 합류하고, 탈취기(85)에서 배기구(91)까지는 하나의 관로로 이루어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bile sterilization system of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air purification device 8 that purifies contaminated air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during the process of pulverizing and sterilizing medical waste. The air purification device (8) is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81) connected from the sterilization device (6) and the grinding device (4) to the exhaust port (91)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9), and is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81) to provide an exhaust port (81). A turbofan 83 that generates an air flow that discharges air through 91), a deodorizer 85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81 to remove odors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exhaust pipe 81, and an exhaust pipe 85 It includes a cyclone (87) installed in (81) to remove dust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exhaust pipe (81) using centrifugal force. Since the odor contains a large amount of components that corrode metals, such as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the cyclone 87 and the turbofan 83 are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81 based on the deodorizer 85 to protect from the odor components. It is preferable to place it on the downstream side. The exhaust pipe 81 is a pipe for sucking in polluted air including odor and dust in the sterilization tank 61 of the sterilization device 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a pipe for sucking in polluted air including odor and dust in the pulverizing device 4. It is preferable that the deodorizer 85 joins from the upstream side and is formed as a single pipe from the deodorizer 85 to the exhaust port 91.

탈취기(85)는 악취 성분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건식 탈취부와 물 또는 수분으로 악취 성분을 용해하여 제거하는 습식 탈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eodorizer 85 preferably includes a dry deodorizer that adsorbs and removes odor components and a wet deodorizer that removes odor components by dissolving them with water or moisture.

컨테이너(9)의 측면과 후면은 셔터도어(92, 94)를 포함한다. 또한, 컨테이너(9)의 상부면에는 탈취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91)가 형성된다. 배기구(91)는 공기정화장치(8)의 배기 관로(81)의 말단에 접속된다. The sides and rear of the container 9 include shutter doors 92 and 94. Additionally, an exhaust port 91 through which deodorized air is discharg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9. The exhaust port 91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exhaust pipe 81 of the air purifying device 8.

또한,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은, 투입장치(2), 분쇄장치(4), 이송장치(5), 멸균장치(6) 및 공기정화장치(8)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를 포함한다. 제어부(10)는 외부의 입력부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입력부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한 외부 명령에 따라 투입장치(2), 분쇄장치(4), 이송장치(5), 멸균장치(6) 및 공기정화장치(8)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다양한 센서와 연결되어 그 센서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투입장치(2), 분쇄장치(4), 이송장치(5), 멸균장치(6) 및 공기정화장치(8)의 전체 기능 또는 일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sterilization system includes a control unit 10 for controlling the input device 2, the grinding device 4, the transfer device 5, the sterilization device 6, and the air purification device 8. The control unit 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input unit or remote controller, and operates the input device 2, grinding device 4, transfer device 5, sterilization device 6, and air according to external commands through the input device or remote controller. The purification device (8)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 is connected to various sensors and according to the signals provided from the sensors, the input device 2, the grinding device 4, the transfer device 5, the sterilization device 6, and the air purification device 8 ) can control all or part of the functions.

컨테이너(9)의 내부 바닥면 상에 분쇄장치(4), 이송장치(5) 및 멸균장치(6)가 설치된다. 또한 컨테이너(9)의 후면부에는 후면 셔터도어(9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후면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투입장치(2)는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9)의 후면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를 포함하는 박스 유닛(400)과 박스 유닛(400)을 하단의 로딩 위치에서 상단의 덤핑 위치로 또는 상단의 덤핑 위치에서 하단의 로딩 위치로 승하강 이동시키는 박스 승강 유닛(500)을 포함한다.A grinding device 4, a transfer device 5, and a sterilization device 6 are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container 9. In addition, a rear opening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rear shutter door 94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container 9, and the insertion device 2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rear of the container 9, as described below. , box unit 400 including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and box lifting to move the box unit 400 from the lower loading position to the upper dumping position or from the upper dumping position to the lower loading position. Includes unit 500.

분쇄장치(4)는 상단의 덤핑 위치로 이동되어 기울여진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로부터 의료폐기물을 투입 받아 분쇄하도록 투입장치(4)와 인접하게 컨테이너(9) 내에 배치된다. 멸균장치(6)는 컨테이너(9) 내에서 전후로 길게 배치된 멸균조(61)와, 멸균을 위한 증기를 발생시켜 멸균조(61) 내로 공급하는 증기발생기(62)와, 멸균을 위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켜 멸균조(61) 내로 제공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63)를 포함한다. 또한, 멸균조(61)에는 멸균조(61) 내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The crushing device 4 is moved to the upper dumping position and placed in the container 9 adjacent to the input device 4 to receive medical waste from the tilted medical waste input box 420 and crush it. The sterilization device 6 includes a sterilization tank 61 arranged long back and forth within the container 9, a steam generator 62 that generates steam for sterilization and supplies it into the sterilization tank 61, and a microwave for sterilization. It includes a microwave generator 63 that generates and provides it into the sterilization tank 61. Additionally, a sensor that measures temperature/humidity within the sterilization tank 61 may be installed in the sterilization tank 61.

또한, 본 실시예의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은 투입장치(2), 분쇄장치(4), 이송장치(5), 멸균장치(6) 및 공기정화장치(8)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자체 구비된 발전기(11)를 이용하여 발전시켜 얻도록 구성된다. 슈퍼커패시터의 개발로 축전 효율이 좋아짐에 따라 차량 운전에 따라 발생한 전력을 효율적으로 저장하여 이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투입장치(2), 분쇄장치(4), 이송장치(5), 멸균장치(6) 및 공기정화장치(8)를 작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of this embodiment uses a self-contained generator to provide power to operate the input device (2), grinding device (4), transfer device (5), sterilization device (6), and air purification device (8). It is constructed to be obtained by developing using (11). As power storage efficiency has improved with the development of supercapacitors, the power generated during vehicle operation can be efficiently stored and this stored power can be used to operate the input device (2), grinding device (4), transfer device (5), and sterilization device ( 6) and air purification device (8) can be operated.

차량 운행 중 그리고 시스템 운전 중에, 편중된 무게에 의해 차량 또는 시스템이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는 것을 막아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컨테이너(9) 내에 탑재되는 장치(2, 4, 5, 6, 7, 8)들의 중량 밸런스가 적절히 배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컨테이너(9)의 좌우폭의 중심선(X)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가장 무겁고 전후로 기다란 멸균조(61)와 발전기(11)가 배치되고, 중심선(X)을 기준으로 반대측에는 증기발생기(62),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63), 분쇄장치(4), 투입장치(2) 및 터보팬(83)이 배치된다. 투입장치(2)는 상대적으로 좌우 이동이 용이한데, 차량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좌우폭 중심선(X)에 대하여 투입장치(2)의 설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터보팬(83)은 컨테이너(9)의 전방 측 상부면에 형성된 배기구(91)의 수직 아래에 있도록 운전석과 인접한 컨테이너(9)의 내부 전방측에 배치된다.Devices (2, 4, 5, 6, 7, 8) mounted within the container (9) to ensure stability by preventing the vehicle or system from leaning to the left or right due to unbalanced weight during vehicle operation and system operation. The weight balance must be properly distributed. For this purpose, the heaviest and longest sterilizing tank 61 and the generator 11 are placed on one side based on the center line (X)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container 9, and the steam generator 62 is placed on the opposite side based on the center line (X). ), a microwave generator 63, a grinding device 4, an input device 2, and a turbo fan 83 are disposed. The insertion device 2 is relatively easy to move left and right, and in order to balance the vehicl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sertion device 2 can b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width center line (X). Meanwhile, the turbofan 83 is dispos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container 9 adjacent to the driver's seat so as to be vertically below the exhaust port 9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container 9.

도 2 및 도 6 내지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장치(2)는 컨테이너(9)의 후면부에 결합 설치되어, 후면부의 개방부와 나란하게 위치한다. 투입장치(2)는, 컨테이너(9)의 후면부에 형성된 개방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분쇄장치(4) 내로 의료폐기물을 투입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를 포함하는 박스 유닛(400)과, 박스 유닛(400)이 로딩 위치에서 덤핑 위치까지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레일 프레임(200)과, 박스 유닛(400)을 하단의 로딩 위치에서 상단의 덤핑 위치로 또는 상단의 덤핑 위치에서 하단의 로딩 위치로 이동시키는 박스 승강 유닛(500)을 포함한다.As well shown in Figures 2 and 6 to 8, the insertion device 2 is coupled to the rear part of the container 9 and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opening of the rear part. The input device 2 is configured to input medical waste into the crushing device 4 with the opening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container 9 open, and includes a box unit 400 including a medical waste input box 420. ) and a rail frame 200 that guides the box unit 400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loading position to the dumping position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box unit 400 from the lower loading position to the upper dumping position or It includes a box lifting unit 500 that moves the box from the upper dumping position to the lower loading position.

박스 유닛(400)은 박스 승강 유닛(500)에 의해 작업자가 의료폐기물을 박스 유닛(400)에 실을 수 있는 하단의 로딩 위치로부터 박스 유닛(400)에 실린 의료폐기물을 컨테이너(9) 내의 분쇄장치(4)에 쏟아 부을 수 있는 상단의 덤핑 위치까지 레일 프레임(200)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박스 유닛(400)이 상단의 덤핑 위치에 도달할 때 박스 유닛(400)에 포함된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의 상단 개방부가 컨테이너(9) 내 분쇄장치(4)의 호퍼(42)를 향하도록 기울여져,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에 담긴 의료폐기물이 분쇄장치(4)의 호퍼(42) 내로 쉽게 쏟아질 수 있는데, 박스 유닛(400)이 상단의 덤핑 위치에 도달하여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가 기울여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다음에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The box unit 400 grinds the medical waste loaded in the box unit 400 into the container 9 from the lower loading position where the worker can load the medical waste into the box unit 400 by the box lifting unit 500. It can be raised along the rail frame 200 to a dumping position at the top where it can be poured into the device 4. When the box unit 400 reaches the upper dumping position, the upper opening of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included in the box unit 400 faces the hopper 42 of the crushing device 4 in the container 9. It is tilted so that the medical waste contained in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can easily be poured into the hopper 42 of the crusher 4, and the box unit 400 reaches the upper dumping position to insert the medical waste into the box. The configuration in which (420) is tilt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next.

레일 프레임(200)은 직선 레일홈(212)과 직선 레일홈(212)의 상부에 형성된 곡선 레일홈(214)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레일바(210, 210)와, 한 쌍의 레일바(210, 210)를 지지하며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바(240, 240)와, 한 쌍의 지지바(240, 24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230a, 230b, 230c)를 포함한다. The rail frame 200 includes a pair of rail bars 210, 210 each including a straight rail groove 212 and a curved rail groove 214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raight rail groove 212, and a pair of rail bars. A pair of support bars (240, 240) supporting (210, 210) and fixedly coupled to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230a)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support bars (240, 240) , 230b, 230c).

박스 유닛(400)은, 의료폐기물을 채울 수 있는 상단 개방형 공간이 형성된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와,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를 지지한 채 레일 프레임(200)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휠 브래킷(440)과, 휠 브래킷(4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직선 레일홈(212)을 따라 구르는 한 쌍의 하부 레일 휠(452) 및 한 쌍의 상부 레일 휠(454)을 포함한다.The box unit 400 includes a medical waste input box 420 having an open space at the top that can be filled with medical waste, and a device that can b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rail frame 200 while supporting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It includes a wheel bracket 440, a pair of lower rail wheels 452 and a pair of upper rail wheels 454 that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wheel bracket 440 and roll along the straight rail groove 212.

여기에서 휠 브래킷(440)은, 한 쌍의 하부 레일 휠(452)이 설치되고 한 쌍의 브래킷 아암과 브래킷 베이스로 이루어진 브래킷 바디(442)와,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와 직접 결합되되, 힌지축(460)에 의해 브래킷 바디(442)의 한 쌍에 아암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쌍의 상부 레일 휠(454)이 설치된 한 쌍의 브래킷 바(444)를 포함한다.Here, the wheel bracket 440 is directly coupled to the bracket body 442, which has a pair of lower rail wheels 452 installed and consists of a pair of bracket arms and a bracket base, and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arm of a pair of bracket bodies 442 by a hinge axis 460, and includes a pair of bracket bars 444 on which a pair of upper rail wheels 454 are installed.

하부 레일 휠(452)과 상부 레일 휠(454)이 레일 프레임(200)의 직선 레일홈(2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이에 따라 박스 유닛(400), 즉 휠 브래킷(440)과 휠 브래킷(440)에 결합된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는, 휠 브래킷(440)에 설치된 하부 레일 휠(452)과 상부 레일 휠(454) 모두가 직선 레일홈(212)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박스 유닛(400)의 승강은 박스 승강유닛(50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lower rail wheel 452 and the upper rail wheel 454 are slidably fitted into the straight rail groove 212 of the rail frame 200, and thus the box unit 400, that is, the wheel bracket 440 and the wheel bracket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coupled to (440) moves up and down by both the lower rail wheel 452 and the upper rail wheel 454 installed on the wheel bracket 440 moving along the straight rail groove 212. Can be elevated to . And the box unit 400 is lifted and lowered by driving the box lift unit 500.

박스 유닛(400)이 상단의 덤핑 위치에 가까워지면, 하부 레일 휠(452)은 직선 레일홈(212)에 있되, 상부 레일 휠(454)이 곡선 레일홈(214)에 진입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박스 유닛(400)이 더 상승하면, 상부 레일 휠(454)이 설치된 브래킷 바(444) 및 이와 직접 결합된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가 힌지축(46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단의 덤핑 위치에 도달하면,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는 상단 개방부가 분쇄장치(4)의 호퍼(42)를 향하도록 기울여지며, 따라서 작업자 없이도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의 상승 및 그에 뒤 이은 의료폐기물의 덤핑에 의해 분쇄장치(4) 내로 의료폐기물의 투입이 자동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box unit 400 approaches the dumping position at the top, the lower rail wheel 452 is in the straight rail groove 212, and the upper rail wheel 454 enters the curved rail groove 214, in this state. When the box unit 400 rises further, the bracket bar 444 on which the upper rail wheel 454 is installed and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directly coupled thereto rotate around the hinge axis 460, and the upper rail wheel 454 is installed. Upon reaching the dumping position,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is tilted with its upper opening towards the hopper 42 of the shredding device 4, thereby allowing the lifting of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and subsequent medical treatment without the operator. The input of medical waste into the crushing device 4 can be carried out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by dumping the waste.

박스 승강 유닛(500)의 구동에 의해 박스 유닛(400)이 하강하는데, 이 과정에서 곡선 레일홈(214)에 있던 상부 레일 휠(454)이 직선 레일홈(212)에 진입하는 것에 의해, 브래킷 바(444) 및 이와 직접 결합된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가 힌지축(460)에 대하여 회동하여 원래의 상태, 즉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의 상단 개방부가 수직으로 상측을 향하는 상태로 돌아오며, 이 상태에서 상부 레일 휠(454)과 하부 레일 휠(452)이 직선 레일홈(212)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박스 유닛(400)은 하단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다.The box unit 400 is lowered by driving the box lifting unit 500, and in this process, the upper rail wheel 454 in the curved rail groove 214 enters the straight rail groove 212, causing the bracket The bar 444 and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directly coupled there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460 to return to their original state, that is, the upper opening of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faces vertically upward. In this state, the upper rail wheel 454 and the lower rail wheel 452 move downward along the straight rail groove 212, so that the box unit 400 can descend to the lower position.

박스 승강 유닛(500)은, 레일 프레임(200)의 하부 연결부(230c)에 연결되어 상하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구동 실린더(520)와, 구동 실린더(52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체인 스프로킷(540)과, 일단이 레일 프레임(20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휠 브래킷(440), 보다 구체적으로는 휠 브래킷(440)의 브래킷 바디(442)에 고정되되 체인 스프로킷(540)에 걸쳐져 결합된 체인(560) 포함한다. 구동 실린더(520)의 신장 구동에 의해 체인 스프로킷(540)이 상승하며, 이에 따라 최대로 상승된 체인 스프로킷(540)과 휠 브래킷(440)에 연결된 체인(560)의 타단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아지면서 휠 브래킷(440) 및 휠 브래킷(440)에 설치된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가 상단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단 위치에서, 휠 브래킷(440)의 브래킷 바디(442)에 설치된 하부 레일 휠(452)은 직선 레일홈(212)에 있고, 브래킷 바(444)에 설치된 상부 레일 휠(454)은 곡선 레일홈(214) 내로 있게 되므로, 브래킷 바(444)가 브래킷 바디(442)에 대하여 회동하고, 이에 따라 브래킷 바디(442)에 직접 결합된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는 경사지게 기울여져, 의료폐기물을 분쇄장치(4)의 호퍼(42) 내로 쏟아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The box lifting unit 500 includes a drive cylinder 520 that is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230c of the rail frame 200 and extends or contracts vertically, and a chain sprocket rotatably installed at the tip of the drive cylinder 520 ( 540),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rail frame 20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wheel bracket 440, more specifically, the bracket body 442 of the wheel bracket 440, and is coupled to the chain sprocket 540. Includes chain 560. The chain sprocket 540 is raised by the extension drive of the drive cylinder 520, and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chain sprocket 540, which is raised to the maximum, and the other end of the chain 560 connected to the wheel bracket 440 is shortest. As it falls, the wheel bracket 440 and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installed on the wheel bracket 440 rise to the top. In this upper position, the lower rail wheel 452 installed on the bracket body 442 of the wheel bracket 440 is in the straight rail groove 212, and the upper rail wheel 454 installed on the bracket bar 444 is curved. Since it is within the rail groove 214, the bracket bar 444 rotates with respect to the bracket body 442, and accordingly,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directly coupled to the bracket body 442 is tilted, thereby discharging medical waste. is in a state where it can be poured into the hopper 42 of the grinding device 4.

도 7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각각이 중앙 힌지(421)에 의해 반으로 접혀지는 한 쌍의 협폭 측판(422. 422)과, 양 측단이 측단 모서리 힌지(423)들에 의해 한 쌍의 협폭 측판(422) 각각의 양 측단에 접이식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광폭 측판(424, 424)과, 한 쌍의 광폭 측판(424, 424) 중 하나의 광폭 측판(424)의 하단에 하단 모서리 힌지(425)에 의해 접이식으로 결합된 바닥판(426)을 포함한다. 의료폐기물 투입 작업시에는, 도 9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는 협폭 측판(422)이 펼쳐지고 협폭 측판(422)과 장폭 측판(424)이 90도를 이루며 바닥판(426)이 광폭 측판(424)과 직각을 이루면서 바닥을 막고 있는 형태로 사용되며, 차량 주행 중에는 다른 차량 또는 다른 간섭물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협폭 측판(422)이 중앙 힌지(421)를 기준으로 접히고, 협폭 측판(422)과 광폭 측판(424) 사이의 각도도 최대한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바닥판(426)도 광폭 측판(424)과 거의 포개어진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S. 7 and 9,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i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includes a pair of narrow side plates 422, each of which is folded in half by a central hinge 421, and a pair of narrow side plates 422. A pair of wide side plates (424, 424) whose side ends are folded and joined to both side ends of each of the pair of narrow side plates (422) by side edge hinges (423), and a pair of wide side plates (424, 424) It includes a bottom plate 426 folded and coupled to the bottom of one of the wide side plates 424 by a bottom corner hinge 425. During the medical waste input operation, as shown in (a) of FIG. 9, the narrow side plate 422 of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is unfolded, and the narrow side plate 422 and the long side plate 424 form an angle of 90 degrees. The floor plate 426 is used in a form that blocks the floor while forming a right angle to the wide side plate 424, as shown in Figure 9(b) to avoid interference with other vehicles or other interferenc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 the narrow side plate 422 is folded based on the central hinge 421, and the angle between the narrow side plate 422 and the wide side plate 424 is maintained as folded as possible. The bottom plate 426 is also almost overlapped with the wide side plate 424.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분쇄장치(4)는 일측에 의료폐기물 투입구가 형성된 호퍼(42)와, 호퍼(42)의 하부에 결합되어 호퍼(42)를 통해 분쇄 챔버 내로 투입된 의료폐기물을 복수개의 분쇄 롤러들로 분쇄하는 분쇄기(4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2, and 5, the grinding device 4 is coupled to a hopper 42 with a medical waste inlet formed on one side, and the lower part of the hopper 42, and the medical waste is fed into the grinding chamber through the hopper 42. It includes a crusher 44 that crushes medical waste with a plurality of crushing rollers.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기정화장치(8)는 의료폐기물을 분쇄하고 멸균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멸균조(61)와 접속된 주 입구로부터 컨테이너(9)의 상부면에 형성된 배기구(91)까지 연장되어 그 말단이 배기구(91)에 접속된 배기 관로(81)를 포함한다. 이때, 배기 관로(81)의 주 입구는 멸균조(61)의 배기포트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기 관로(81)는 분쇄장치(4)의 호퍼(42)에 접속된 접속 관로(812)를 포함하며, 이 접속 관로가 멸균조(61)에서 배기구(91)까지 이어진 주 관로에 접속됨으로써, 멸균조(61)와 분쇄장치(4)에 발생한 악취를 동시에 제거거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관로와 주 관로의 접속부에는 멸균조(61)에서 배기구(91)까지 이어지는 배기 통로와 분쇄장치(4)에서 배기구(91)까지 이어진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댐퍼(89)가 설치되어, 멸균조(61) 내부와 분쇄장치(4) 내부의 악취를 동시에 제거하는 작동과 멸균조(61) 내부와 분쇄장치(4) 내부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작동을 모두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mentioned above, the air purification device 8 is configured to purify contaminated air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during the process of pulverizing and sterilizing medical waste, and is configured to discharge a container ( It includes an exhaust pipe 81 that extends to the exhaust port 9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9) and whose end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9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inlet of the exhaust pipe 81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of the sterilization tank 61. In addition, the exhaust pipe 81 includes a connection pipe 812 connected to the hopper 42 of the grinding device 4, and this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main pipe extending from the sterilization tank 61 to the exhaust port 91. By doing so, the bad odor generated in the sterilization tank 61 and the grinding device 4 can be remov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a damper 89 is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and the main pipe to selectively block the exhaust passage leading from the sterilization tank 61 to the exhaust port 91 and the passage leading from the crusher 4 to the exhaust port 91. , an operation to simultaneously remove bad odors inside the sterilization tank (61) and the inside of the grinding device (4), and an operation to remove bad odors by selecting only one of the inside of the sterilization tank (61) and the inside of the grinding device (4) can be performed. It is desirable to have it.

또한, 공기정화장치(8)는 배기 관로(81)에 설치되어 배기구(91)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터보팬(83)과, 배기 관로(81)에 설치되어 배기 관로(81)를 흐르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기(85)와, 탈취기(85)를 기준으로 배기 관로(81)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배기 관로(81)를 흐르는 공기 중의 먼지를 원심력으로 제거하는 싸이클론(87)을 포함한다. 터보팬(83)의 구동에 따라 주 입구 및/또는 접속 관로(812)를 통해 멸균조(61)의 내부 및/또는 분쇄장치(4)의 내부에서 흡입된 악취와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탈취기(85)를 통과하면서 악취가 제거되고 다음 싸이클론(87)을 통해 분진이 제거된 후, 배기구(9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싸이클론(87)은 원심력에 의해 분진을 아래로 떨어뜨리는 본체와 본체에서 떨어지는 분진을 모아 저장하는 분진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멸균조(6) 바깥쪽의 컨테이너(9) 내부 공간과 연결된 다른 접속 관로 배기 관로(81)에 더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분쇄장치(4) 내부의 악취 및 분진과 멸균조(61) 내부의 악취 및 분진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컨테이너(9) 내부의 악취 및 분진도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purification device 8 is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81 and includes a turbo fan 83 that generates an air flow that exhausts air through the exhaust port 91, and a turbo fan 83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81 to generate an air flow that discharges air through the exhaust port 91. A deodorizer 85 that removes bad odors in the air flowing through 81, and is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exhaust pipe 81 based on the deodorizer 85 to remove dust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exhaust pipe 81 by centrifugal force. Includes Cyclone (87). As the turbofan 83 is driven, the air containing bad odors and dust sucked from the inside of the sterilization tank 61 and/or the inside of the grinding device 4 through the main inlet and/or connection pipe 812 is deodorized. The odor is removed as it passes through (85) and the dust is removed through the next cyclone (87), after which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91). The cyclone 87 may include a main body that drops dust downward by centrifugal force and a dust container that collects and stores dust falling from the main body.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urther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81, another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9 outside the sterilization tank 6. In this case, not only the odor and dust inside the grinding device 4 and the sterilization tank 61, but also the odor and dust inside the container 9 can be removed, if necessary.

이송장치(5)는 분쇄기(44)에서 분쇄된 분쇄 의료폐기물을 전방으로 상승시키면서 이송하는 제1 이송 컨베이어(51)와,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51)의 말단에서 분쇄 의료폐기물을 받아 멸균조(61)의 일측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분쇄 의료폐기물을 투입하는 제2 이송 컨베이어(52)를 포함한다. 제1 이송 컨베이어(51)와 제2 이송컨베이어(52)는 각각 기밀 구조로 형성된 관 내에 배치된 채 분쇄 의료폐기물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ansfer device 5 includes a first transfer conveyor 51 that transfers the pulverized medical waste pulverized in the crusher 44 while raising it forward, and a sterilization tank that receives the pulverized medical waste at the end of the first transfer conveyor 51. It includes a second transfer conveyor (52) that inputs the pulverized medical waste through an inlet formed on one side of (61).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ransfer conveyor 51 and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52 are configured to transfer pulverized medical waste while being disposed within a pipe formed with an airtight structure.

멸균조(61)는 이송장치(5)에 포함된 제1 컨베이어(51)와 제2 컨베이어(52)를 타고 이송된 의료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멸균 처리가 완료된 의료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멸균조(61)의 투입구는 이송장치(5)의 말단,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컨베이어(52)의 말단에서 나오는 의료폐기물을 받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멸균장치(5)의 가동시에는 투입구를 막는 도어에 의해 기밀적으로 막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erilization tank 61 includes an inlet through which medical waste transported on the first conveyor 51 and the second conveyor 52 included in the transfer device 5 is inpu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medical waste that has completed sterilization treatment is discharged. do.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inlet of the sterilization tank 6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to receive medical waste coming from the end of the transfer device 5, more specifically, the end of the second conveyor 52. Also, when the sterilization device 5 is in opera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inlet is airtightly closed by a door that blocks it.

이송장치(5) 또는 이송장치(5)에 구비된 컨베이어가 모터 및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는 왕복 이송 구동부(M)에 연결되어, 이송장치(5) 또는 이송장치(5)에 구비된 컨베이어의 말단이 멸균조(61)의 투입구 내로 들어가거나 나오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멸균조(61) 내로 의료폐기물 투입시에는 이송장치(5)의 말단이 전진하여 투입구 내측에 위치하고, 멸균 처리 시작 직전에 이송장치(5)의 말단이 후퇴한 후 투입구가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fer device 5 or the conveyor provided in the transfer device 5 is connected to the reciprocating transfer drive unit (M) including a motor and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the transfer device 5 or the conveyor provided in the transfer device 5 The end can be allowed to enter or exit the inlet of the sterilization tank (61). In this case, when medical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sterilization tank 61, the end of the transfer device 5 advances and is located inside the inlet, and just before the start of sterilization treatment, the end of the transfer device 5 retracts and the inlet is closed. It can be.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멸균 처리 시 투입구 및 배출구가 멸균조(61)의 외부에 대하여 기밀적으로 닫힐 수 있다. 멸균조(61)는 멸균조(61)의 외부와 기밀적으로 분리된 멸균 처리 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멸균조(61)의 상부에는 증기발생기(62)에서 발생한 증기를 멸균조(61) 내에 공급하기 위한 증기 공급 포트(614)와 공기정화장치(8)와 연결되는 배기포트(615)가 형성된다. 또한, 멸균조(61)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63)에서 발생한 마이크로웨이브가 투과되는 마이크로웨이브 투과창(616)을 포함할 수 있다. 멸균조(61) 내에는 멸균이 완료된 의료폐기물을 배출구를 통해 내보내도록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배출장치(7) 또는 이송장치(5)의 컨베이어를 멸균조(61) 내부까지 연장시켜, 배출장치(7) 또는 이송장치(5)에 구비된 배출 컨베이어가 멸균조(61) 내 의료폐기물을 이동시키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배출장치(7)는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는 멸균조(61)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장치(7)는 멸균장치(6)에서 멸균된 의료폐기물을 멸균조(61)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받아 컨테이너(9)의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장치(7)는 배출구를 통해 받은 멸균이 완료된 의료폐기물을 컨테이너(9)의 외부로 내보내도록 이송시키는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멸균된 의료폐기물을 배출하는 동안 컨테이너(9)의 측면 셔터도어는 개방된다. 또한, 멸균조(61)에는 멸균 처리가 완료된 멸균조(61) 내부에 살균수를 분사하여 멸균조(61) 내부를 세척함과 동시에 살균하는 살균수 분사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during sterilization, the inlet and outlet may be airtightly closed to the outside of the sterilization tank 61. The sterilization tank 61 includes a sterilization processing space that is airtightly sepa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sterilization tank 61. In addition, at the top of the sterilization tank 61, there is a steam supply port 614 for supplying steam generated from the steam generator 62 into the sterilization tank 61 and an exhaust port 615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8. is formed Additionally, the sterilization tank 61 may include a microwave transmission window 616 through which microwaves generated from the microwave generator 63 are transmitted. A transport means may be installed in the sterilization tank 61 to transport the sterilized medical waste through an outlet. Alternatively, the conveyor of the discharge device 7 or the transfer device 5 is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sterilization tank 61, so that the discharge conveyor provided in the discharge device 7 or the transfer device 5 is inside the sterilization tank 61. Moving your medical waste may also be considered. The discharge device 7 may include a discharge conveyor. The outlet is preferab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terilization tank 61. In addition, the discharge device 7 receives medical waste sterilized in the sterilization device 6 through an outlet formed in the sterilization tank 61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9. The discharge device 7 includes a discharge conveyor that transfers the sterilized medical waste receiv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9. The side shutter door of the container 9 is opened while discharging the sterilized medical waste. Additionally, the sterilizing tank 61 may be equipped with a sterilizing water spray unit that sprays sterilizing water into the sterilizing tank 61 on which sterilization has been completed to clean and sterilize the inside of the sterilizing tank 61 at the same time.

멸균 처리 완료 후, 멸균 처리된 의료폐기물을 바로 배출시키지 않고, 먼거리에 있는 산업폐기물 소각장까지 이동한 후, 그곳에서 배출시킬 수도 있다. 컨테이너(9)의 외부로 배출된 의료폐기물은 폐기물 수거함(W)으로 떨어져 수거될 수 있다. 멸균 처리가 완료된 의료폐기물은 산업폐기물 소각장에서 다른 일반 산업폐기물과 함께 소각될 수 있다. After sterilization is completed, the sterilized medical waste may not be discharged immediately, but may be transported to a distant industrial waste incinerator and then discharged there. Medical waste discharged outside of the container (9) can fall into the waste collection bin (W) and be collected. Medical waste that has been sterilized can be incinerated along with other general industrial waste in an industrial waste incinerator.

도 5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은, 의료폐기물이 채워진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120)의 무게를 측정하는 박스 무게 측정부(12)와, 분쇄기(44)의 작동 부하를 측정하는 분쇄기 부하 측정부(13)와, 의료폐기물이 투입된 멸균조(62)의 무게를 측정하는 멸균조 무게 측정부(14)를 포함한다. 박스 무게 측정부(12)와 멸균조 무게 측정부(14)는 예컨대 로드셀과 같이 무게를 직접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분쇄기 부하 측정부(13)는 분쇄기(44)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부하를 감지하는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분쇄기(44)의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가 이용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10 together, the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measures the operating load of the box weight measuring unit 12 and the crusher 44, which measures the weight of the medical waste input box 120 filled with medical waste. It includes a crusher load measuring unit 13 that measures the weight of the sterilizing tank 62 into which medical waste is placed, and a sterilizing tank weight measuring unit 14 that measures the weight of the sterilizing tank 62 into which medical waste is added. The box weight measurement unit 12 and the sterilization tank weight measurement unit 14 may be sensors that directly measure weight, such as a load cell. The crusher load measuring unit 13 is preferably a sensor that detects the load of the motor that drives the crusher 44, but a sensor that measures the weight of the crusher 44 may also be used.

또한,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은 증기 멸균 처리 시간과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은 알람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timer 15 that measures the steam sterilization processing time and the microwave sterilization time. Additionally, the mobile steriliz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etc.

이하에서는 전술한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료폐기물을 멸균 처리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sterilizing medical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terilizes medical waste using the above-described mobile steriliz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도 1, 도 2, 도 5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은,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의료폐기물 수거처로 이동시키는 단계(S0)와, 의료폐기물을 차량에 탑재된 컨테이너(9) 내의 분쇄장치(4) 내로 투입하는 투입 단계(S1)와, 분쇄장치(4)에 투입된 의료폐기물을 일정 크기 이하 입자로 분쇄하는 분쇄 단계(S2)와, 분쇄장치(4)에서 일정 크기 이하 입자로 분쇄된 의료폐기물을 멸균장치(6)의 멸균조(61) 내로 이송하는 투입 이송 단계(S3)와, 멸균조(61)의 내부를 밀폐시킨 상태로, 멸균장치(6)의 증기발생기(62)에서 발생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멸균조(61) 내에 주입하여 의료폐기물을 멸균 처리하는 증기 멸균 처리 단계(S4)와, 멸균장치(6)의 마이크웨이브 발생기(63)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멸균조(61) 내로 방사하여 의료폐기물을 멸균 처리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멸균 처리 단계(S5)와, 멸균 처리가 완료된 의료폐기물을 멸균조(61)의 하부 측에 배치된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한 배출장치(7)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단계(S6)를 포함한다. 멸균 처리된 후 배출되는 의료폐기물은 의료폐기물 수거함 또는 톤백에 저장된 후 산업용폐기물 소각장으로 운반되어 소각될 수 있다. 탈취기(85)는 의료폐기물의 분쇄 및 멸균 과정에서 발생한 악취를 포집 및 제거하고, 싸이클론(87)은 분쇄 및 멸균 과정에서 발생한 분진을 포집하여 제거한다. 악취와 분진이 제거된 공기, 즉 정화된 공기는 배기 관로(81)를 지나 컨테이너(9)의 상부면에 형성된 배기구(9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Referring to FIGS. 1, 2, 5, and 11 together, the medical waste ster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moving the mobile sterilization system to a medical waste collection point while being mounted on a vehicle ( S0), an input step (S1) of injecting the medical waste into the crushing device 4 in the container 9 mounted on the vehicle, and a crushing step of pulverizing the medical waste introduced into the crushing device 4 into particles of a certain size or less. (S2), an input transfer step (S3) in which medical waste pulverized into particles of a certain size or less in the grinding device 4 is transferred into the sterilization tank 61 of the sterilization device 6, and the interior of the sterilization tank 61 A steam sterilization process step (S4) in which medical waste is sterilized by injecting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steam generated from the steam generator 62 of the sterilization device 6 into the sterilization tank 61 in a sealed state, and the sterilization device. A microwave sterilization process step (S5) in which medical waste is sterilized by radiating microwaves generated from the microwave generator 63 of (6) into the sterilization tank 61, and the sterilization completed medical waste is placed in a sterilization tank ( It includes a discharge step (S6) of discharging to the outside by a discharge device (7) including a discharge conveyor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61). Medical waste discharged after sterilization can be stored in a medical waste collection box or ton bag and then transported to an industrial waste incinerator for incineration. The deodorizer 85 collects and removes bad odors generated during the grinding and sterilization process of medical waste, and the cyclone 87 collects and removes dust generated during the grinding and sterilization process. Air from which bad odors and dust have been removed, that is, purified air, passes through the exhaust pipe 81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9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9.

투입 단계(S1)는 작업자가 의료폐기물을 하단 로딩 위치에 있는 박스 유닛(400)의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에 투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10)는 박스 무게 측정부(12)가 측정한 무게가 일정 무게 이상이 되면, 알람을 발생시켜 작업자에 알려준 후, 박스 승강 유닛(500)을 구동하여 박스 유닛(400)을 하단의 로딩 위치에서 상단의 덤핑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박스 유닛(400)이 상단 덤핑 위치에 도달하면, 전술한 박스 유닛(400)과 레일 프레임(200)의 구조에 의해,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의 상단 개방부가 일정 각도 기울여짐에 따라,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420)에 담긴 의료폐기물이 분쇄장치(4)의 호퍼(42) 내로 쏟아져 투입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0)는 박스 승강 유닛(500)을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박스 유닛(400)을 상단 덤핑 위치에서 하단 로딩 위치로 하강시킨다. 제어부(10)는 분쇄기 부하 측정부(13) 및/또는 멸균조 무게 측정부(14)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투입 장치(2)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재개할 수 있다. The input step (S1) includes the worker putting medical waste into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of the box unit 400 at the lower loading position. At this time, when the weight measured by the box weight measuring unit 12 exceeds a certain weight, the control unit 10 generates an alarm to notify the operator, and then drives the box lifting unit 500 to lower the box unit 400 to the bottom. Raise it from the loading position to the dumping position at the top. When the box unit 400 reaches the upper dumping position, the upper opening of the medical waste input box 420 is tilted at a certain angle due to the structure of the box unit 400 and the rail frame 200, Medical waste contained in the waste input box 420 is poured into the hopper 42 of the crushing device 4. Next, the control unit 10 drives the box lifting unit 500 in the reverse direction to lower the box unit 400 from the upper dumping position to the lower loading position. The control unit 10 may stop or resume the operation of the input device 2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grinder load measurement unit 13 and/or the sterilization tank weight measurement unit 14.

분쇄 단계(S2)는 호퍼(42)를 통해 분쇄기(44) 내로 투입된 의료폐기물을 일정 입자 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10)는 분쇄기 부하 측정부(13)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부하값이 일정 부하값이 이상인 경우, 투입장치(2)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The pulverizing step (S2) includes pulverizing the medical waste introduced into the pulverizer 44 through the hopper 42 to a certain particle size or less.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input device 2 when the load value is above a certain load valu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crusher load measurement unit 13.

투입 이송 단계(S3)는 분쇄 장치(4)에 의해 분쇄된 의료폐기물을 멸균장치(6)의 멸균조(61) 내로 이송하여 투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멸균조 무게 측정부(14)에서 측정된 무게 정보에 따라 멸균조(61) 내로 투입되는 의료폐기물 용량이 미리 정해진 처리 용량에 도달한 경우, 이송장치(5)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멸균조(61) 내의 멸균 처리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킨다.The input transfer step (S3) includes transferring and inserting the medical waste pulverized by the grinding device 4 into the sterilization tank 61 of the sterilization device 6. At this time, when the volume of medical waste introduced into the sterilization tank 61 according to the weigh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terilization tank weight measuring unit 14 reaches the predetermined processing capacity,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5 is stopped and sterilization is performed. The sterilization space in the tank 61 is sealed from the outside.

증기 멸균 처리 단계(S4)는 증기발생기(62)에서 발생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멸균조(61) 내에 주입하여 의료폐기물을 멸균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시간당 증기 주입량은 미리 정해진다. 또한, 제어부(10)는 타이머(15)에서 측정된 시간 정보에 따라 증기 멸균 처리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면 멸균조(61) 내로의 증기 주입을 멈추고 증기 멸균 처리를 종료한다.The steam sterilization process step (S4) includes sterilizing medical waste by injecting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steam generated from the steam generator 62 into the sterilization tank 61. The amount of steam injection per hour is predetermined. In addition, when the steam sterilization process time reaches the set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imer 15, the control unit 10 stops injecting steam into the sterilization tank 61 and ends the steam sterilization process.

마이크로웨이브 멸균 처리 단계(S5)는, 증기 멸균 처리와 동시 또는 증기 멸균 처리 종료 후,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63)에서 발생한 마이크로웨이브를 멸균조(61) 내에 방사하여 의료폐기물을 멸균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웨이브 출력은 미리 정해진다. 또한, 제어부(10)는 타이머(15)에서 측정된 시간 정보에 따라 마이크로 멸균 처리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면 마이크로웨이브 발생 및 방사를 종료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멸균 처리를 종료한다.The microwave sterilization treatment step (S5) includes sterilizing medical waste by radiating microwaves generated from the microwave generator 63 into the sterilization tank 61 simultaneously with or after the steam sterilization treatment. . The microwave power is predetermin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 terminates microwave generation and radiation when the micro sterilization process time reaches the set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imer 15, thereby ending the microwave sterilization process.

배출 단계(S6)는 멸균 처리가 완료된 의료폐기물을 멸균조(61)의 하부 측에 배치된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배출장치(7)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The discharge step (S6) includes discharging the sterilized medical waste to the outside through a discharge device 7 including a discharge conveyor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rilization tank 61.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은 의료폐기물의 분쇄 및 멸균 과정에서 악취와 분진을 제거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기구(9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정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dical waste ster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ir purification step of removing odor and dust during the process of pulverizing and sterilizing medical waste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91. Include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은 의료폐기물의 분쇄가 완료된 분쇄장치(4)의 내부, 즉, 호퍼(42)의 내부와 분쇄기(44)의 내부를 살균수로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sterilizing medical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volves washing the inside of the grinding device 4, where the grinding of medical waste has been completed, that is, the inside of the hopper 42 and the inside of the grinder 44, with sterilizing water. Additional steps may be included.

지금까지,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o shown and described, but is limited to the appended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투입장치 4: 분쇄장치
5: 이송장치 6: 멸균장치
7: 배출장치 8: 공기정화장치
9: 컨테이너
2: Insertion device 4: Grinding device
5: Transfer device 6: Sterilization device
7: Discharge device 8: Air purification device
9: container

Claims (10)

차량에 탑재된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내에 배치된 분쇄장치, 이송장치 및 멸균장치와, 의료폐기물을 컨테이너 내의 분쇄장치로 투입하는 투입장치와, 분쇄 및 멸균처리된 폐기물을 컨테이너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와, 상기 분쇄장치, 상기 이송장치, 상기 멸균장치, 상기 투입장치 및 상기 배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멸균 시스템을 이용하는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으로서,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의료폐기물 수거처로 이동시키는 단계;
투입장치를 이용하여, 의료폐기물을 차량에 탑재된 컨테이너 내의 분쇄장치 내로 투입하는 의료폐기물 투입 단계;
상기 분쇄장치에 투입된 의료폐기물을 분쇄하는 의료폐기물 분쇄 단계;
상기 분쇄장치에서 분쇄된 의료폐기물을 상기 멸균장치의 멸균조 내로 이송하는 의료폐기물 투입 이송 단계;
상기 멸균조 내부에 투입된 의료폐기물을 멸균 처리하는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단계; 및
멸균 처리가 완료된 의료폐기물을 상기 멸균조에서 상기 컨테이너 밖으로 배출하는 의료폐기물 배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장치는,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를 포함하는 박스 유닛과, 상기 컨테이너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박스 유닛이 하단의 로딩 위치에서 상단의 덤핑 위치까지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승강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레일 프레임과, 상기 박스 유닛을 상기 로딩 위치에서 상기 덤핑 위치로 또는 상기 덤핑 위치에서 상기 로딩 위치로 이동시키는 박스 승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 프레임은 직선 레일홈과 상기 직선 레일홈의 상부에 형성된 곡선 레일홈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레일바를 일체로 포함하며,
상기 박스 유닛은 상기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를 지지한 채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휠 브래킷과, 상기 휠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직선 레일홈을 따라 구르는 하부 레일 휠 및 상부 레일 휠을 포함하고,
상기 휠 브래킷은 상기 하부 레일 휠이 설치된 브래킷 바디와, 상기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와 결합되고 힌지축에 의해 상기 브래킷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브래킷 바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레일 휠과 상기 상부 레일 휠이 상기 직선 레일홈에 있을 때 상기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는 상하로 직선 이동하고, 상기 하부 레일 휠이 상기 직선 레일홈에 있고 상기 상부 레일 휠이 상기 곡선 레일홈에 있을 때 상기 브래킷 바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의 상단 개방부가 상기 분쇄장치의 호퍼 내부를 향하도록 기울여지고,
상기 박스 승강유닛은 상하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구동 실린더와, 상기 구동 실린더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체인 스프로킷과, 상기 체인 스프로킷에 걸쳐진 상태로 일단이 상기 레일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브래킷 바디에 고정된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각각이 중앙 힌지에 의해 반으로 접혀지는 한 쌍의 협폭 측판과, 양 측단이 측단 모서리 힌지들에 의해 한 쌍의 협폭 측판 각각의 양 측단에 접이식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광폭 측판과, 한 쌍의 광폭 측판 중 하나의 광폭 측판의 하단에 접이식으로 결합된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
A container mounted on a vehicle, a crushing device, a transfer device, and a sterilization device arranged within the container, an input device for injecting medical waste into the crushing device in the container, and a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he crushed and sterilized wast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A medical waste sterilization treatment method using a mobile sterilization system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rushing device, the transfer device, the sterilization device, the input device, and the discharge device,
Moving the mobile sterilization system mounted on a vehicle to a medical waste collection site;
A medical waste input step of injecting medical waste into a crushing device in a container mounted on a vehicle using an input device;
A medical waste crushing step of crushing the medical waste input into the crushing device;
A medical waste input transfer step of transferring the medical waste pulverized in the grinding device into a sterilization tank of the sterilization device;
A 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 step of sterilizing medical waste introduced into the sterilization tank; and
It includes a medical waste discharge step of discharging sterilized medical waste from the sterilization tank out of the container,
The input device includes a box unit including a medical waste input box, and a rail frame that is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guides the box unit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loading position at the bottom to the dumping position at the top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a box lifting unit that moves the box unit from the loading position to the dumping position or from the dumping position to the loading position,
The rail frame integrally includes a pair of rail bars each including a straight rail groove and a curved rail groove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straight rail groove,
The box unit includes a wheel bracket that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rail frame while supporting the medical waste input box, a lower rail wheel and an upper rail wheel that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wheel bracket and roll along the straight rail groove. Including,
The wheel bracket includes a bracket body on which the lower rail wheel is installed, and a bracket bar coupled to the medical waste input box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racket body by a hinge axis,
When the lower rail wheel and the upper rail wheel are in the straight rail groove, the medical waste input box moves straight up and down, the lower rail wheel is in the straight rail groove, and the upper rail wheel is in the curved rail groove. When the bracket bar rotates around the hinge axis, the upper opening of the medical waste input box is tilt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pper of the crushing device,
The box lifting unit includes a drive cylinder that extends or retracts up and down, a chain sprocket rotatably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drive cylinder,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rail frame while hanging over the chain sprocke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ttached to the bracket. Includes a chain fixed to the body,
The medical waste input box i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includes a pair of narrow side plates, each of which is folded in half by a central hinge, and both side ends are folded and joined to both sides of the pair of narrow side plates by side edge hinges. A method of sterilizing medical waste, comprising a pair of wide side plates and a bottom plate folded and coupled to the bottom of one of the pair of wide side pl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단계는,
상기 멸균조의 내부를 밀폐시킨 상태로, 증기발생기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기 멸균조 내에 주입하는 증기 멸균 처리 단계와,
상기 멸균조의 내부를 밀폐시킨 상태로, 마이크웨이브 발생기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멸균조 내로 방사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멸균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
In paragraph 1.
The medical waste sterilization treatment step is,
A steam sterilization process step of injecting steam generated from a steam generator into the sterilization tank while the interior of the sterilization tank is sealed;
A medical waste sterilization method comprising a microwave sterilization step of radiating microwaves generated from a microwave generator into the sterilization tank while the interior of the sterilization tank is sealed.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폐기물 투입 단계는, 의료폐기물이 채워지는 의료폐기물 투입 박스의 무게를 박스 무게 측정부로 측정하여, 상기 박스 무게 측정부가 측정한 무게가 설정 무게 이상이 되면, 상기 승강 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박스 유닛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In the medical waste input step, the weight of the medical waste input box filled with medical waste is measured by the box weight measuring unit, and when the weight measured by the box weighing unit exceeds the set weight, the lifting unit is driven to box the box. A method of sterilizing medical waste,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is rai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폐기물 투입 이송 단계는, 상기 멸균조 내로 투입되는 의료폐기물의 용량이 미리 정해진 처리 용량에 도달한 경우, 상기 이송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멸균조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medical waste input and transfer step, when the volume of medical waste introduced into the sterilization tank reaches a predetermined processing capacity,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is stopped and the interior of the sterilization tank is sealed. Sterilization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89187A 2021-12-28 2021-12-28 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KR1026646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187A KR102664676B1 (en) 2021-12-28 2021-12-28 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KR1020230125675A KR102664678B1 (en) 2021-12-28 2023-09-20 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187A KR102664676B1 (en) 2021-12-28 2021-12-28 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675A Division KR102664678B1 (en) 2021-12-28 2023-09-20 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824A KR20230099824A (en) 2023-07-05
KR102664676B1 true KR102664676B1 (en) 2024-05-09

Family

ID=871590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187A KR102664676B1 (en) 2021-12-28 2021-12-28 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KR1020230125675A KR102664678B1 (en) 2021-12-28 2023-09-20 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675A KR102664678B1 (en) 2021-12-28 2023-09-20 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6467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070B1 (en) * 1998-11-11 2001-06-01 안상길 Vehicle for drying organic waste
KR200321315Y1 (en) * 2003-05-02 2003-07-28 이기원 fold way portable shopping cart
KR102126463B1 (en) * 2019-08-05 2020-06-25 (주)유이엔티 Medical waste processing system by using microwave and stea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4798B2 (en) * 1991-08-07 1995-12-13 株式会社長野計器製作所 Medical wast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KR20030017286A (en) 2001-08-24 2003-03-03 가부시끼가이샤 키 앤드 크래프트 Medical waste treatment system and stirilizer device
KR20120012670A (en) * 2010-08-02 2012-02-10 최성옥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garbag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070B1 (en) * 1998-11-11 2001-06-01 안상길 Vehicle for drying organic waste
KR200321315Y1 (en) * 2003-05-02 2003-07-28 이기원 fold way portable shopping cart
KR102126463B1 (en) * 2019-08-05 2020-06-25 (주)유이엔티 Medical waste processing system by using microwave and st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824A (en) 2023-07-05
KR20230136588A (en) 2023-09-26
KR102664678B1 (en)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4677B1 (en) Mobile 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US7144550B2 (en) Mobile apparatus and process for treating infectious waste
KR101293675B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pulverizing infectious waste
US5720438A (en) Mobile apparatus and process for treating infectious waste
EP2794133B1 (en) Treatment assembly and method for sterilizing medical waste
KR102402072B1 (en)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waste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EP3429642B1 (en) Biomedical waste treatment assembly and method
KR102664676B1 (en) Medical waste steriliz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mobile sterilization processing system
KR20060085847A (en) Apparatus for treating medical waste
JP4129752B2 (en) Crusher input device
KR102308592B1 (en) Apparatus for crushing and sterilizing medical waste
KR102542719B1 (en) Apparatus for medical wastes sterilization
JP2004358036A (en) Medical waste disposing system
KR102642818B1 (en) Mobile medical waste sterilization treatment system
KR20230105127A (en) Waste Sterilizer
US10946422B2 (en) Small-footprint systems, components, and methods for sterilizing medical waste
KR102574923B1 (en) Medical Waste Treatment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Cooling and Drying Process
CN109174420A (en) A kind of Biohazard Waste recycling crushing plant
KR102629230B1 (en) Mobile medical waste disposal system and method
JP2007245152A (en) Throw-in device for breaker
KR102521048B1 (en) Medical Waste Disposal Apparatus Having a Rotating Hopper
CN108403032A (en) A kind of dustbin with garbage monitoring and detection function
KR20240008442A (en) Medical waste treatment device
CN117685575A (en) Medical waste transportation incine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