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317B1 - emergency door with double open structure - Google Patents

emergency door with double ope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317B1
KR102664317B1 KR1020240023291A KR20240023291A KR102664317B1 KR 102664317 B1 KR102664317 B1 KR 102664317B1 KR 1020240023291 A KR1020240023291 A KR 1020240023291A KR 20240023291 A KR20240023291 A KR 20240023291A KR 102664317 B1 KR102664317 B1 KR 102664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cision
area
inner door
forc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32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창현
Original Assignee
주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현 filed Critical 주창현
Priority to KR102024002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3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3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2003/343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t least two axes of rotation without additional frame withi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2003/345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dditional rotating frame within the wing
    • E06B2003/34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dditional rotating frame within the wing where the additional frame rotates around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문틀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고 내측에 절개구가 마련되는 외측 문부; 및 상기 절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외측 문부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방향과 반대인 타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 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구는 상기 외측 문부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개구가 외측 문부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실외측(제2 영역)에 일정이상의 높이로 침수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내측 문부를 잡아 당겨 절개구를 오픈하더라도 제2 영역의 물이 제1 영역(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한층 최소화할 수 있다.An emergency door with a double open structure is opened. The emergency door of the double ope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door portion tha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only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door frame, opens or closes the entrance, and has a cutout on the inside; and an inner door portion tha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only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door portion to open or close the incision, and the incision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doo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in a given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ut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door, so that flooding occurs at a height above a certain level on the outdoor side (second area), and the user pulls the inner door to open the cutout. Even if the is opened, the inflow of water from the second area into the first area (indoor side) can be further minimized.

Description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emergency door with double open structure}Emergency door with double open structure}

본 발명은 양방향 출입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특히 침수 발생시 사람이 신속하게 탈출 가능하도록 하여 인명 피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door with a double open structure tha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entry and exit in both directions, allowing people to escape quickly in the event of flooding,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casualties.

점차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폭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배수 정비가 미비한 저지대나 낙후지역의 경우 특히 지하세대 및 지하상가, 지하 주차장 등으로 우수가 순간적으로 유입되어 많은 인명사고가 발생하고 있다.Due to climate change, localized heavy rain is gradually occurring, and as a result, in low-lying areas or underdeveloped areas where drainage is inadequate, rainwater flows instantaneously into underground households, underground shopping malls, and underground parking lots, causing many casualties.

현재 소방 방화문 구조는 안에서 밖으로 밀어 개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외측에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차오르게 되면 일반 성인은 안에서 밖으로 방화문을 밀어 오픈하기 힘든 상황이다.Currently, the fire door structure is designed to be opened by pushing it from the inside out, so when water rises above a certain level on the outside, it is difficult for an ordinary adult to open the fire door by pushing it from the inside ou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062936호에는 양방향으로 개방이 가능한 비상용 탈출 방화문이 개시되어 있다.To solve this problem,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62936 discloses an emergency escape fire door that can be opened in both direction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화문은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문의 하단과 외측의 외측문 하단이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바, 예를 들어 실외 공간이 침수된 상태이고 실내에서 사람이 내측 문을 개방시키게 되면, 현재 실외 공간에 있는 물이 그대로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커다란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fire door, the bottom of the inner door located on the inside and the bottom of the outer door on the outside are made identical to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outdoor space is flooded and a person opens the inner door from indoors, Currently, a major problem is bound to arise where water from the outdoor space flows directly into the indoor space.

또한, 종래의 방화문은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문의 하단과 외측의 외측문 하단이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바, 침수 높이에 대응하는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문과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문의 모든 부위에 수압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외측문과 내측문의 수압 작용 부위에 뒤틀림이 발생하여 내측문이 제대로 오픈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conventional fire door, the bottom of the inner door located on the inside and the bottom of the outer door on the outside are made the same, so water pressure is applied to all parts of the inner door located on the inside and the outer door located on the outside corresponding to the flood height. This may cause distortion in the water pressure applied areas of the outer and inner doors, making it difficult for the inner door to open properl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062936호(2021. 6. 1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62936 (published on June 1, 202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방향 출입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특히 침수 발생시 사람이 신속하게 탈출 가능하도록 하여 인명 피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측 문의 하단부와 외측 문의 하단부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거리를 형성함으로써, 내측 문의 개방시에도 실외측 영역에 있는 물의 실내 측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측 문의 뒤틀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I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for two-way entry and exit, so that not only can people minimize casualties by allowing people to escape quickly in the event of flooding, but also the lower part of the inner door and the lower part of the inner door. By creating a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ower parts of the outer door, the inflow of water from the outdoor area into the indoor area can be minimized even when the inner door is opened, and an emergency door with a double open structure is provide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twisting of the inner door. The purpose is t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문틀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고 내측에 절개구가 마련되는 외측 문부; 및 상기 절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외측 문부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방향과 반대인 타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 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구는 상기 외측 문부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er door portion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only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door frame, opens or closes the entrance, and has an incision on the inside; and an inner door portion tha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only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door portion to open or close the incision, and the incision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door. An emergency door with a double open structure formed in a given position is provided.

상기 절개구의 최하측과 상기 외측 문부의 하단부의 사이거리는 5 내지 30c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most side of the incision a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door is preferably 5 to 30 cm.

상기 내측 문부의 오픈시, 상기 내측 문부가 급속도로 오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외측 문부와 상기 내측 문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inner door is opened, it may further include a damper installed to connect the outer door and the inner door to prevent the inner door from opening rapidly.

상기 댐퍼는 유압 실린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damper may have a hydraulic cylinder structure.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절개구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측 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문; 상기 내측 문에 마련되며, 상기 절개구의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잠금돌기와, 상기 잠금돌기를 상기 잠금홈 내측으로 삽입 또는 이탈시키도록 동작하는 레버를 갖는 도어 핸들; 및 상기 도어 핸들에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레버의 동작을 허용 또는 구속 가능한 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door portion includes an inner door that has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ision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door portion; a door handle provided on the inner door, having a locking protrusion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a lock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incision, and a lever operating to insert or remove the locking protrusion into or out of the locking groove; and a locking part that can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door handle and allows or restricts the operation of the lever.

상기 락킹부는, 상기 도어 핸들의 핀 삽입홀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레버의 구동을 구속 또는 허용하는 락킹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unit may include a locking pin that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pin insertion hole of the door handle to restrain or allow the operation of the lever.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절개구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측 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문; 및 상기 내측 문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내측 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절개구의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잠금돌기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돌출되는 레버와,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돌출되되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회전축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편을 갖는 도어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door portion includes an inner door that has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ision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door portion; and a rotating shaft rotatably provided on the inner door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door, and a lock that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and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a protrusion, a lever protruding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shaft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protrud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and protruding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It may include a door handle.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잠금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레버를 회전시킬때, 상기 복수의 돌출편은 상기 절개구의 내벽이 상기 내측 문으로부터 일정이상 이격되도록 지렛대 방식으로 상기 절개구의 내벽을 가압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편은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잠금돌기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lever is rotated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press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in a lever manner so that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door by a certain amount,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he protruding pieces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locking protrusion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외측 문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제1 영역에서 잡아당기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절개구를 개방하도록 회전하되, 상기 제1 영역의 반대측인 제2 영역에서 상기 내측 문부를 강제적으로 푸시하여 상기 절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강제 개방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The inner door rotates to open the incision through a pulling operation in a first area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outer door, and forcibly pushes the inner door in a second area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area. A forced opening may be further provided to open the incision.

상기 강제 개방부는, 상기 내측 문에 형성된 제1 로드 삽입홀에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도어 핸들에 마련된 제2 로드 삽입홀에 삽입되는 강제 개방로드;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강제 개방로드에 비해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노브; 및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상기 외측 문부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지지되고 그 타단은 상기 노브에 지지되어 상기 강제 개방로드와 상기 노브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를 상기 도어 핸들 측으로 푸시할 때,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가 상기 도어 핸들 내측으로 더욱 삽입되면서 상기 레버를 가압하여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잠금홈에 기삽입된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The forced opening portion includes a forced opening rod inserted into a first rod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inner door and a second rod insertion hole provided in the door handle; a knob integral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forcibly opening rod,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and having an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the forcibly opening rod; and an elastic member,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outer door portion facing the second area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knob, to elastically support the forced opening rod and the knob, and the knob is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When pushed to the side, the end of the forced opening rod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door handle and the lever can be pressed to release the locking protrusion from being alread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외측 문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제1 영역에서 잡아당기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절개구를 개방하도록 회전하되, 상기 제1 영역의 반대측인 제2 영역에서 상기 내측 문부를 강제적으로 푸시하여 상기 절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강제 개방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The inner door rotates to open the incision through a pulling operation in a first area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outer door, and forcibly pushes the inner door in a second area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area. A forced opening may be further provided to open the incision.

상기 강제 개방부는, 상기 내측 문에 형성된 제1 로드 삽입홀에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레버를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강제 개방로드;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강제 개방로드에 비해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노브; 및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상기 외측 문부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지지되고 그 타단은 상기 노브에 지지되어 상기 강제 개방로드와 상기 노브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를 상기 도어 핸들 측으로 푸시할 때,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가 상기 레버를 가압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잠금홈에 기삽입된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The forced opening portion includes a forced opening rod that is inserted into a first rod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inner door and is provided to press the lever in a direction from the second area toward the first area; a knob integral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forcibly opening rod,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and having an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the forcibly opening rod; and an elastic member,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outer door portion facing the second area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knob, to elastically support the forced opening rod and the knob, and the knob is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When pushed to the side, the end of the forced opening rod presses the lever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and release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has already been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상기 강제 개방부는,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상기 내측 문의 일측면과 상기 노브 사이에서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가 상기 도어 핸들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제한 가능한 강제 개방제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orced opening portion is provid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elastic member between one side of the inner door facing the second area and the knob, and has a forced opening limit capable of restricting the end of the forced opening rod from approaching the door handle. Additional absences may be included.

상기 강제 개방제한부재는,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상기 내측 문의 일측면에 그 폭방향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노브에 그 폭방향 타단이 지지되며, 그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C자 단면 구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orced opening limiting member has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inner door facing the second area and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supported by the knob, and a gap is formed between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overall shape is C-shaped. It may be prepared to have a cross-sectional structure.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절개구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측 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문; 및 사용자 동작을 통해 상기 절개구의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절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내측 문에 마련되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문은, 상기 도어 핸들이 마련되는 제1 접이식 문; 및 상기 외측 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1 접이식 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접이식 문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door portion includes an inner door that has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ision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door portion; and a door handle provided on the inner door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a lock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through a user's action to open or close the incision, wherein the inner door has the door handle. A first folding door provided; And it may include a second folding do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door part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olding door.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에 의하면, 절개구가 외측 문부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실외측(제2 영역)에 일정이상의 높이로 침수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내측 문부를 잡아 당겨 절개구를 오픈하더라도 제2 영역의 물이 제1 영역(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한층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ergency door of the double ope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utout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door, thereby causing flooding at a height above a certain level on the outdoor side (second area). Therefore, even if the user pulls the inner door to open the incision, the flow of water from the second area into the first area (inside the room) can be further minimized.

또한, 침수에 따른 제2 영역의 물이 내측 문부에 작용하는 수압을 최소화하여 내측 문부의 뒤틀림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내측 문부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ater in the second area due to flooding minimizes water pressure acting on the inner door, thereby minimizing distortion of the inner door, allowing the user to easily open the inner door.

또한, 제1 영역의 반대측인 제2 영역에서 내측 문부를 강제적으로 푸시하여 절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강제 개방부가 마련됨으로써, 비상상황시 제2 영역에서 제1 영역으로만 대피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한 사람들의 인명피해 발생을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a forced opening is provided in the second area,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area, to open the incision by forcibly pushing the inner door, so that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re is no choice but to evacuate from the second area to the first area. It can protect people in the situation from casualties.

또한, 외측 문부와 내측 문부의 접촉 부위에 끼인 이물질이 고화된 상황에서도 지렛대 원리를 적용하여 내측 문부가 원활하게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n a situation where foreign matter stuck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outer door and the inner door has solidified, the lever principle can be applied to allow the inner door to rotate smooth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평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외측 문부와 내측 문부의 오픈 동작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부분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의 도어 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에서 도 3의 강제 개방부 작동에 의해 도어 핸들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평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and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ergency door of a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outer door portion and the inner door portion in Figure 1;
Figure 3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ergency door of a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n emergency door with a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and partial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ergency door of a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handle of an emergency door with a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handle rotating due to the operation of the forced opening part of Figure 3 in the emergency door of the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and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ergency door of a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is is provided to inform you. In the drawings, like symbols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가정집과 상가 등과 같이 보안이 필요한 출입구에 마련되거나, 창고, 학교, 주차장 등 상대적으로 보안에 큰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는 장소의 출입구에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서, 방화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양방향 출입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특히 침수 발생시 사람이 신속하게 탈출 가능하도록 하여 인명 피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emergency door with a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at an entrance that requires security, such as a home or a commercial building, or at an entrance to a place where relative security is not required, such as a warehouse, school, or parking lot. It can be used as a fire door and has a structure that allows entry and exit in both directions, allowing people to escape quickly in the event of flooding, thereby minimizing casualties.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various embodiments.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외측 문부(100)와 내측 문부(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emergency door of the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door portion 100 and an inner door portion 200.

먼저, 외측 문부(100)는 가정집, 상가, 창고, 학교, 지하 주차장 등의 출입구에 설치된 문틀(10)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며, 내측에 절개구(110)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일측방향으로만 회전'이라 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내에서 실외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외측 문부(100)는 경첩 등을 통해 문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First, the outer door 10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only one direction based on the door frame 10 installed at the entrance to a home, shopping mall, warehouse, school, underground parking lot, etc. to open or close the entrance, and is installed on the inside. An incision 110 is provided. Here, 'rotation in one direction only' means rotation only from indoor to outdoor direc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outer door portion 1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door frame 10 through a hinge or the like.

부연하자면, 소방법 기준상 방화문은 실내에서 실외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출입구를 오픈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화재시 기밀성을 위해 반대로 실외방향에서 실내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구조를 갖고 있다. To elaborate, according to fire law standards, fire doors have a structure that opens the entrance by rotating only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 direction, and have a structure that cannot rotate from the outdoor direction to the indoor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airtightness in the event of a fire.

덧붙이자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10)의 내면에는 돌출턱(11)이 마련되어 있는바, 전술한 바와 같이 방화문은 실외방향에서 실내측 방향을 향해 회전하여 출입구를 오픈할 수 없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실외측에 침수가 발생하여 대략 50cm 정도로 물이 차오르는 상황이 발생하면, 수압에 의해 실내측에 있는 사람들은 방화문, 즉 외측 문부(100)를 실외측을 향해 푸시하여 출입구를 오픈하기 힘들게 되며, 이에 따라 인명 사고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였고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a protruding protrusion 11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frame 10, and as described above, the fire door rotates from the outdoor direction toward the indoor direction to open the entrance. It has a structure that cannot be done. In this structure, when flooding occurs on the outdoor side and the water rises to about 50 cm, people on the indoor side push the fire door, that is, the outer door portion 100, toward the outdoor side due to water pressure to open the entrance. It becomes difficult, and as a result, fatal accidents frequently occu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is problem.

다음,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문부(200)는 절개구(1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외측 문부(100)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방향과 반대인 타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타측방향으로만 회전'이라 함은 실외에서 실내측 방향으로만 회전, 즉 실내측에 있는 사용자가 내측 문부(200)를 잡아 당기는 방식으로 절개구(110)를 개방하는 것을 의미한다.Nex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inner door 200 is rotatable only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door 100 to open or close the incision 110. It is installed. Here, the term 'rotation only in the other direction' means rotation only from the outdoor to the indoor direction, that is, the user on the indoor side opens the incision 110 by pulling the inner door 200. .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내측을 제1 영역이라 하고 실외측을 제2 영역이라 칭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ndoor side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area and the outdoor side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area.

덧붙여, 가정집, 상가, 창고, 학교의 경우 제1 영역은 건물 내부 공간을 의미하고, 제2 영역은 건물 외부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지하 주차장의 경우 제1 영역은 주차 공간이 마련된 장소를 의미하고, 제2 영역은 지상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이 마련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case of homes, stores, warehouses, and schools, the first area refers to the space inside the building, and the second area refers to the space outside the building. Additionally, in the case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e first area may refer to a place where a parking space is provided, and the second area may refer to a space provided with stairs to move to the ground.

즉,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침수 상황 발생시, 실내측(제1 영역)에 있는 사람이 내측 문부(200)를 실내측(제1 영역) 방향을 향해 잡아당겨서 외측 문부(100)의 절개구(110)를 오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실외측(제2 영역)에 전술한 바와 같이 50cm 정도의 수위로 침수가 발생하더라도 실내측(제1 영역)에 있는 사람들은 내측 문부(200)를 오픈한 후 절개구(110)를 통해 실외측(제2 영역)으로 탈출할 수 있다. 덧붙이자면, 내측 문부(200)의 경우 외측 문부(100)와 반대로 실외측에서 실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열리는 구조이므로, 수압에 관계없이 노약자도 쉽게 오픈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looding situation occurs as described above, a person on the indoor side (first area) pulls the inner door 200 toward the indoor side (first area) to create an incision in the outer door 100.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open (110). Accordingly, even if flooding occurs at a water level of about 50 cm as described above on the outdoor side (second area), people on the indoor side (first area) open the inner door 200 and open the incision 110. You can escape to the outdoor side (second area) through.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inner door 200, as opposed to the outer door 100, it has a structure that is opened by pulling in the direction from the outdoor side to the indoor side, so even the elderly and infirm can easily open it regardless of the water pressure.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절개구(110)는 외측 문부(100)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절개구(110)의 최하측과 외측 문부(100)의 하단부의 사이거리(d)는 5 내지 30cm로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ision 110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door 100, and specifically, the incision 110 The distance (d) between the lowermost part of the sphere 110 and the lower part of the outer door 100 may be 5 to 30 cm.

사이거리가 5cm 미만인 경우 절개구의 개방시 실외측의 물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저감되고, 사이거리가 30cm를 초과하는 경우 사람이 사이거리만큼의 높이를 넘어 이동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If the distance is less than 5 cm,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inflow of water from the outdoor side into the indoor side when the incision is opened is reduced, and if the distance is more than 30 cm, it is inconvenient for people to move beyond the height of the distance. there is.

이와 같이, 절개구(110)의 최하측, 즉 내측 문부(200)의 최하단이 외측 문부(100)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실외측(제2 영역)에 일정이상의 높이로 침수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내측 문부(200)를 잡아 당겨 절개구(110)를 오픈하더라도 제2 영역의 물이 제1 영역(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한층 최소화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상기 사이거리(d)가 10cm이고, 제2 영역의 물이 바닥면(외측문부의 하단부와 대응)으로부터 15cm의 높이로 차있는 경우, 그 차이인 5cm 정도에 대응하는 물만 실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측으로의 물 유입을 최소화하여 추가적인 피해가 크게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lowermost side of the cutout 110, that is, the lowest end of the inner door 200,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door 100, so that it is raised to a height of a certain level or more on the outdoor side (second area). Even if a flooding situation occurs and the user pulls the inner door 200 to open the incision 110, the inflow of water from the second area into the first area (inside the room) can be further minimized. To elaborate, if the distance (d) above is 10cm and the water in the second area is filled to a height of 15cm from the floo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outer door), only the water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of about 5cm flows into the interior.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interior to minimize additional damage.

또한, 침수에 따른 제2 영역의 물이 내측 문부(200)에 작용하는 수압을 최소화하여 내측 문부(200)의 뒤틀림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내측 문부(200)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ater in the second area due to flooding minimizes the water pressure acting on the inner door 200, thereby minimizing distortion of the inner door 200, allowing the user to easily open the inner door 200. You can.

예를 들어, 상기 사이거리(d)가 10cm이고, 제2 영역의 물이 바닥면(외측문부의 하단부와 대응)으로부터 5cm의 높이로 차있는 경우에는 내측 문부(200)에 수압이 작용하지 않아 내측 문부(200)의 튀틀림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사이거리(d)가 10cm이고, 제2 영역의 물이 바닥면(외측문부의 하단부와 대응)으로부터 20cm의 높이로 차있는 경우에는 내측 문부(200)의 하부측 일부에만 작은 수압이 작용할 수 있는바 내측 문부(200)가 뒤틀림되는 심각한 상황까지 발생하지 않게 된다.For example, if the distance d is 10 cm and the water in the second area is filled to a height of 5 cm from the floo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outer door part), water pressure does not act on the inner door part 200. Twisting of the inner door portion 200 does not occur.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d is 10 cm and the water in the second area is filled to a height of 20 cm from the floo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outer door part), a small water pressure is applied only to the lower part of the inner door part 200. As a result, a serious situation in which the inner door portion 200 is distorted does not occur.

한편, 사용자가 제1 영역에서 내측 문부(200)를 잡아당겨 절개구(110)를 오픈하여 절개구(110)를 통해 제2 영역으로 탈출하고자 시도하는 과정에서, 제2 영역의 수위가 사이거리(d)보다 높은 경우 내측 문부(200)에 일부 작용하는 수압으로 인해 내측 문부(200)가 급속도로 오픈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측 문부(200)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는 내측 문부(200)의 급격한 회전으로 인해 타격되어 안전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ocess where the user pulls the inner door 200 in the first area to open the incision 110 and attempts to escape to the second area through the incision 110, the water level in the second area changes to a distance between the two areas. If it is higher than (d), a situation may occur in which the inner door 200 is rapidly opened due to water pressure partially acting on the inner door 200. In this case, a user located near the inner door 200 may be struck due to the rapid rotation of the inner door 200 and may suffer a safety accident.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문부(200)의 오픈시, 내측 문부(200)가 급속도로 오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측 문부(100)와 내측 문부(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댐퍼(1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inner door 200 is opened, the outer door 100 and the inner door 200 are provided to prevent the inner door 200 from opening rapidly. A damper 140 may be further installed to connect the two.

여기서, 댐퍼(140)는 유압 실린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압 작용에 의해 내측 문부(200)가 실내측(제1 방향)으로 급속도로 오픈되는 것을 완충하여 오픈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Here, the damper 140 may have a hydraulic cylinder structure, and thus can reduce the opening speed by cushioning the rapid opening of the inner door 200 toward the interior (first direction) due to hydraulic ac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문부(200)는 내측 문(210), 도어 핸들(2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inner door portion 200 includes an inner door 210 and a door handle 220.

내측 문(210)은 절개구(1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절개구(110)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외측 문부(100)에 경첩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inner door 210 has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ision 110 to open or close the incision 110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door 100 through a hinge or the like.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핸들(220)은 내측 문(2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절개구(110)를 형성하는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120)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잠금돌기(221)와, 잠금돌기(221)를 잠금홈(120) 내측으로 삽입 또는 이탈시키도록 동작하는 레버(222)를 갖는다. 레버(222)는 도어 핸들 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레버의 회동에 따라 잠금돌기(221)는 직선 왕복운동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door handle 2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door 210, and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120 formed on the inner wall forming the incision 110. It has a protrusion 221 and a lever 222 that operates to insert or remove the locking protrusion 221 into or out of the locking groove 120. The lever 222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door handle body, and the locking protrusion 221 reciprocates in a straight lin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한편, 절개구(100)를 형성하는 내벽면에도 내측 문(21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고 타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내측 문(210)과 접촉하여 회동 방향을 제한하는 돌출턱(11)이 마련된다.Meanwhile, on the inner wall forming the incision 100, there is a protruding protrusion 11 that contacts the inner door 210 to limit the rotation direction so that the inner door 210 can rotate in only one direction and prevents it from rotating in the other direction. This is prepared.

즉, 사용자는 레버(222)를 손으로 잡은 후 레버(222)를 실내측(제1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잠금돌기(221)가 잠금홈(12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내측 문(210)을 회전시켜 절개구(110)를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레버(222)를 손으로 잡은 후 레버(222)를 실외측(제2 방향)으로 밀면서 잠금돌기(221)가 잠금홈(120) 내측으로 삽입하여 내측 문(210)이 절개구(110)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holds the lever 222 by hand and then pulls the lever 222 toward the indoor side (first direction) to move the locking protrusion 221 to separate from the locking groove 120, thereby opening the inner door 210. The incision 110 can be opened by rotating. Conversely, the user holds the lever 222 by hand and then pushes the lever 222 toward the outdoor sid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221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0 and the inner door 210 is opened through an incision. (110) can be kept closed.

한편, 내측 문부(200)는 평상시에는 자유롭게 오픈하여 이동 통로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침수상황과 같은 비상시에만 사용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레버(222)를 손으로 잡아당겨 오픈동작을 실시하더라도 내측 문(210)이 회전하여 절개구(110)가 개방되는 상황이 자유롭게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Meanwhile, the inner door 200 is not freely opened and used as a movement passage in normal times, but is provided to be used only in emergencies such as flood situations. In normal times, the user pulls the lever 222 by hand to open the door. Even so, it is necessary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inner door 210 rotates and the incision 110 is opened.

이를 위해, 내측 문부(200)는 도어 핸들(220)에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레버(222)의 동작(잡아당기거나 미는 동작)을 허용 또는 구속 가능한 락킹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inner door portion 200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not shown) that can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door handle 220 and allows or restrains the operation (pulling or pushing operation) of the lever 222. there is.

구체적으로, 락킹부(미도시)는 도어 핸들(220)의 핀 삽입홀(미도시)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레버(222)의 구동을 구속 또는 허용하는 락킹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관리자가 락킹핀(미도시)이 핀 삽입홀(미도시)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할 수 있고, 침수상황과 같은 위급상황 발생시에는 락킹핀(미도시)을 핀 삽입홀(미도시)로부터 제거하여 누구나 손쉽게 레버(222) 동작을 통해 내측 문(210)을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락킹핀(미도시)은 관리자만 제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누구나 손쉽게 핀 삽입홀(미도시)로부터 빼내어 제거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cking portion (not shown) may include a locking pin (not shown) that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pin insertion hole (not shown) of the door handle 220 and restrains or allows the operation of the lever 222. . Therefore, in normal times, the manager can maintain the locking pin (not shown)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not shown), and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looding situation occurs, the locking pin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not shown). By removing it from (not shown), anyone can easily open the inner door 210 by operating the lever 222. Of course, not only the administrator can remove the locking pin (not shown), but anyone can easily remove it by pulling it out from the pin insertion hole (not shown).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emergency door of the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전술한 설명에서는 제2 영역의 침수상황 발생으로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내측 문부(200)를 오픈하여 제2 영역으로 탈출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2 영역이 급속도로 수위가 상승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제2 영역(예를 들어 지상으로 올라가는 지하주차장의 계단)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계단을 통해 지상으로 이동하기 불가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escription was based on a case where people located in the first area open the inner door 200 and escape to the second area due to a flooding situation in the second area. However, on the contrary, the second area rapidly rises to the level of water. A situation may arise where the level rises and people located in the second area (for example, the stairs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at goes up to the ground level) cannot move to the ground level through the stairs.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내측 문부(200)를 실내측(지하 주차장의 주차공간 등)으로 회전시켜 절개구(110)를 개방하여 절개구를 통해 상기 실내측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구조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bove-mentioned situation occurs, people located in the second area rotate the inner door 200 toward the indoor side (parking space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etc.) to open the incision 110 and pass through the incision. An emergency rescue is provided to enable evacuation to the indoor side.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제1 영역의 반대측인 제2 영역에서 내측 문부(200)를 강제적으로 푸시하여 절개구(11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강제 개방부(300)를 더 포함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emergency door of the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cibly pushes the inner door portion 200 in the second area opposite to the first area. It further includes a forced opening portion 300 that allows the incision 110 to be open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강제 개방부(300)는 강제 개방로드(310), 노브(320), 탄성부재(330)를 포함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ced opening portion 300 includes a forced opening rod 310, a knob 320, and an elastic member 330.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 개방로드(310)는 내측 문(210)에 형성된 제1 로드 삽입홀(211)에 삽입됨과 더불어 도어 핸들(220)에 마련된 제2 로드 삽입홀(미도시)에 삽입되도록 일정 이상의 길이로 마련된다.3 and 4, the forced opening rod 3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rod insertion hole 211 formed in the inner door 210 and the second rod insertion hole (211) provided in the door handle 220. (not shown) is prepared to a certain length or more to be inserted into the device.

노브(3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서,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강제 개방로드(310)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2 영역에 배치되며 강제 개방로드(310)에 비해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The knob 320 is a part held by the user's hand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orced opening rod 310 located in the second area. The knob 320 is disposed in the second area and has an expanded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the forced opening rod 310. It is made to have.

탄성부재(330)는 제2 영역을 향하는 외측 문부(100)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지지되고 그 타단은 노브(320)에 지지되어 강제 개방로드(310)와 노브(3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탄성부재(330)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The elastic member 330 has one end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outer door 100 facing the second area and the other end supported on the knob 320 to elastically open the forced opening rod 310 and the knob 320. I support it. The elastic member 330 can be used as a coil spring, for example.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이 노브(3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노브(320)와 강제 개방로드(310)를 도어 핸들(220) 측으로 푸시하게 되면, 강제 개방로드(310)의 단부가 도어 핸들(220) 내측으로 더욱 삽입(이동)되면서 레버(222)를 가압하여 잠금돌기(221)가 잠금홈(120)에 기삽입된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Here, as shown in FIG. 3, when a person located in the second area holds the knob 320 with his hand and pushes the knob 320 and the forced opening rod 310 toward the door handle 220, As the end of the forced opening rod 310 is further inserted (moved) inside the door handle 220, the lever 222 is pressed to release the locking protrusion 221 from being previous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0.

즉, 잠금돌기(221)가 잠금홈(12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이 노브(320)와 강제 개방로드(310)가 아닌 내측 문(210)을 제1 영역을 향해 푸시하더라도 내측 문(210)을 회전시켜 개방시킬 수 없다.That is, with the locking protrusion 221 inserted inside the locking groove 120, a person located in the second area uses the inner door 210 rather than the knob 320 and the forced opening rod 310 to open the first area. Even if you push toward it, the inner door 210 cannot be rotated and opened.

그러나, 잠금돌기(221)가 잠금홈(12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이 노브(320)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노브(320)를 제1 영역을 향해 가압하게 되면, 강제 개방로드(310)의 단부가 레버(222)를 가압하여 잠금돌기(221)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며, 노브(320)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내측 문(210) 또한 제1 영역을 향해 회전하면서 절개구(110)가 오픈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locking protrusion 221 is inserted inside the locking groove 120 and a person located in the second area holds the knob 320 with his hand and presses the knob 320 toward the first area, , the end of the forced opening rod 310 presses the lever 222 to unlock the locking protrusion 221, and the inner door 210 also moves toward the first area by the force pressing the knob 320. The incision hole 110 may be opened while rotating.

한편, 강제 개방부(300)는 평상시에는 자유롭게 동작이 불가하도록 하고 침수상황과 같은 비상시에만 사용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평상시 특히 호기심많은 영유아들이 호기심에 노브(320)를 가압하여 내측 문(210)을 회전시키는 상황이 자유롭게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rced opening part 300 cannot be operated freely in normal times and is designed to be used only in emergencies such as flood situations. In normal times, especially curious infants and children press the knob 320 out of curiosity to open the inner door 210. It is necessary to prevent spinning situations from occurring freely.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 개방부(300)는, 제2 영역을 향하는 내측 문(210)의 일측면과 노브(320) 사이에서 탄성부재(330)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며, 강제 개방로드(310)의 단부가 도어 핸들(220)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제한 가능한 강제 개방제한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the forced opening portion 300 is provid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elastic member 330 between one side of the inner door 210 facing the second area and the knob 320. , the end of the forced opening rod 310 may further include a forced opening limiting member 340 capable of restricting access to the door handle 220 side.

구체적으로, 강제 개방제한부재(340)는, 제2 영역을 향하는 내측 문(210)의 일측면에 그 폭방향 일단이 지지되고 노브(320)에 그 폭방향 타단이 지지되며, 그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 일정이하의 간극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C자 단면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forced opening limiting member 340 has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inner door 210 facing the second area,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supported by the knob 320,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ap below a certain level is formed between them to have an overall C-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강제 개방제한부재(340)는 탄성부재(330)를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는 노브(3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비상시 사용자는 강제 개방제한부재(340)를 노브(320)와 강제 개방로드(310)의 측방향으로 잡아당기도록 이동시켜 제거할 수 있으며, 이후 노브(320)를 푸시하여 내측 문(210)을 개방시킬 수 있다. The forced opening limiting member 340 can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knob 320 when installed to surround the elastic member 330, and in an emergency, the user can connect the forced opening limiting member 340 to the knob 320 and the forced opening rod. It can be removed by pulling it in the lateral direction of 310, and then the inner door 210 can be opened by pushing the knob 320.

이에 따라, 강제 개방제한부재(3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거시킬때, 그 길이방향 양단 사이의 간극이 탄성부재(330)의 직경보다 작은 초기 상태에서 측면 이탈이 가능하게 적어도 탄성부재(3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상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강제 개방제한부재(340)는 두께가 얇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orced opening limiting member 340 is removed by moving laterally as described above, the lateral separation is possible at least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gap between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lastic member 330. It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elastic member 330. For example, the forced opening limiting member 340 may be made of a thin plastic material.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설명하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ergency door of a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제1 실시예의 내측 문부 구조가 변경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문부(200)는 평상시 오픈되어 출입구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침수상황 등과 같은 비상시의 경우에만 오픈되는 것으로서, 대략 수개월 내지 수년과 같이 장시간 절개구(110)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외측 문부(100)와 내측 문부(200)의 접촉 부위에 끼인 이물질이 고화되어 쉽게 회동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침수상황이 발생하여 급박하게 대피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레버(제1 실시예 참조)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쉽게 내측 문부(200)를 회동시키지 못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emergency door of the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nge in the inner door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door 200 is not normally open and functions as an entrance, but is opened only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a flood situation, and maintains the incision 110 clo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approximately several months to several years. In this case, a situation may occur in which foreign substances caught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outer door 100 and the inner door 200 are solidified and cannot be easily rotated. In this case, even though a flooding situation occurs and an urgent evacuation is required,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user cannot easily rotate the inner door 200 by simply pulling the lever (see the first embodiment) and cannot quickly evacuate. there is.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 문부 구조가 변경된 것으로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문부(200)는 내측 문(210)과 도어 핸들(420)을 포함한다.The emergency door of the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inner door structure changed to prevent such problems from occurring. As shown in FIGS. 5 to 7, the inner door portion 200 is the inner door portion. Includes (210) and door handle (420).

내측 문(210)은 절개구(1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절개구(110)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외측 문부(100)에 경첩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inner door 210 has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ision 110 to open or close the incision 110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door 100 through a hinge or the like.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핸들(420)은 내측 문(21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서, 회전축(421), 잠금돌기(422), 레버(423) 및 복수의 돌출편(424)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5 to 7, the door handle 420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inner door 210, and includes a rotating shaft 421, a locking protrusion 422, a lever 423,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Includes (424).

회전축(421)은 잠금홈(120) 근방에 위치하는 내측 문(210)의 일측에 별도의 브래킷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The rotation shaft 421 is provided to be rotatable through a separate bracket, etc. on one side of the inner door 210 located near the locking groove 120.

잠금돌기(422)는 회전축(421)의 일측에 돌출되며 회전축(421)의 회전에 따라 절개구(110)의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120)에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이루어진다. The locking protrusion 422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421 and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120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hole 110 as the rotating shaft 421 rotates.

레버(423)는 잠금돌기(422)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로 회전축(421)의 타측에 일정이상의 거리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축(421)을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된다.The lever 423 protrudes at a certain distance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shaft 421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422 protrudes, and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with his hand and rotate the rotation shaft 421.

즉, 사용자는 레버(423)를 손으로 잡은 후 레버(423)의 단부를 실내측(제1 방향)으로 잡아당겨 회전축(421)을 회전시켜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내측 문(210)을 회전시켜 절개구(110)를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레버(423)의 단부를 손으로 잡은 후 레버(423)의 단부를 실외측(제2 방향)으로 밀면서 회전축(421)을 회전시켜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내측 문(210)이 절개구(110)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holds the lever 423 by hand and then pulls the end of the lever 423 toward the indoor side (first direction) to rotate the rotation axis 421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422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20. By moving it as much as possible, the inner door 210 can be rotated to open the incision hole 110. Conversely, the user holds the end of the lever 423 with his hand and then rotates the rotation axis 421 while pushing the end of the lever 423 toward the outdoor sid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422 is inside the locking groove 120.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door 210, the incision hole 110 can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편(424)은 회전축(421)의 외면에 돌출되되 잠금돌기(422)가 회전축(42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된다.As shown in FIGS. 5 to 7,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424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421 and are inclined in a direction relativ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422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421. It protrudes.

부연하자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내측 문(210)이 절개구(110)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복수의 돌출편(424)과 절개구(110)를 형성하는 내벽 사이에는 일정이상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돌출편(424)은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된다.To elaborate, as shown in FIG. 5,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protrusion 422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0 and the inner door 210 closes the incision 110, a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424 ) and the inner wall forming the incision 110,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424 protrude in an inclined direction so that a gap of a certain amount or more is formed.

여기서, 복수의 돌출편(424)은 회전축(42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잠금돌기(422)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형성된다.Here,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424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both directions of the locking protrusion 422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421.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내측 문(210)이 절개구(110)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긴급 대피를 위해 사용자가 절개구(110)를 개방하고자 레버(423)의 단부를 손으로 잡고 사용자 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회전축(421)을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421)의 회전에 따라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으로부터 벗어나서 잠금돌기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protrusion 422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0 and the inner door 210 closes the incision 110, the user uses the lever 423 to open the incision 110 for emergency evacuation. ) by holding the end of it with your hand and pulling it toward the user to rotate the rotation axis 421, the locking protrusion 422 moves away from the locking groove 12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421 and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rojection is released. do.

또한, 회전축(421)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돌출편(424)은 절개구(110)를 형성하는 내벽을 일정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게 된다.In addition, as the rotation shaft 421 rotates,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424 press the inner wall forming the incision hole 110 with a certain force or more.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사용자가 레버(423)를 회전시킬때, 복수의 돌출편(424)은 절개구(110)의 내벽이 내측 문(210)으로부터 일정이상 이격되도록 하거나, 반대로 내측 문(210)이 절개구(110)의 내벽으로부터 일정이상 이격되도록 절개구(110)의 내벽을 가압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복수의 돌출편(424)은 일종의 지렛대로 기능하게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장시간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이물질이 고착된 상태에서 이와 같이 지렛대 방식을 통해 강제로 내측 문(210)과 절개구(110)의 내벽 사이의 거리가 미세하게나마 증가하도록 벌림으로써 내측 문(210)을 쉽게 오픈시킬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rotates the lever 423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422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120,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424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hole 110.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110 is pressed so that i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door 210 by a certain amount or, conversely, the inner door 210 is spac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110 by a certain amount. To elaborate,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424 function as a kind of lever, and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where foreign matter is fixed by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for a long time, the inner door 210 and the incision are forced through the lever method. The inner door 210 can be easily opened by ope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walls of 110 to slightly increase.

부연하자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편(424)이 절개구(110)의 내벽을 가압하여 내측 문(210)과 절개구(110)의 내벽 사이의 거리가 미세하게나마 증가하도록 벌리게 되면, 내측 문(210) 표면과 절개구(110)의 내벽 사이에서 고착화된 이물질이 이로부터 쉽게 이탈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내측 문(210)이 한층 손쉽게 오픈될 수 있다.To elaborat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424 press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110 and spread them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door 210 and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110 increases slightly, the inner wall Foreign matter stuck between the surface of the door 210 and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11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it, and thus the inner door 210 can be opened more easily.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내측 문부(200)를 실내측(지하 주차장의 주차공간 등)으로 회전시켜 절개구(110)를 개방하여 절개구를 통해 상기 실내측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구조를 제공한다.(제2 실시예 참조)As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the emergency door of the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people located in the second area to open the inner door 200 to the indoor side (parking space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etc.). It provides an emergency structure that opens the incision 110 by rotating it and allows evacuation to the indoor side through the incision (see second embodiment).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제1 영역의 반대측인 제2 영역에서 내측 문부(200)를 강제적으로 푸시하여 절개구(11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강제 개방부(300)를 더 포함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the emergency door of the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cibly pushes the inner door portion 200 in the second area opposite to the first area to create an incision. It further includes a forced opening portion 300 that allows opening (110).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 개방부(300)는 강제 개방로드(310), 노브(320), 탄성부재(330)를 포함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forced opening portion 300 includes a forced opening rod 310, a knob 320, and an elastic member 330.

여기서, 강제 개방로드(310)는 내측 문(210)에 형성된 제1 로드 삽입홀(211)에 삽입됨과 더불어 도어 핸들(420)의 레버(423)를 제2 영역에서 제1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 가능하도록 일정 이상의 길이로 마련된다.Here, the forced opening rod 3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rod insertion hole 211 formed in the inner door 210 and moves the lever 423 of the door handle 420 in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area to the first area. It is provided with a length of a certain length or more to enable pressurization.

노브(3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서,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강제 개방로드(310)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2 영역에 배치되며 강제 개방로드(310)에 비해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The knob 320 is a part held by the user's hand a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orced opening rod 310 located in the second area. The knob 320 is disposed in the second area and has an expanded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the forced opening rod 310. It is made to have.

탄성부재(330)는 제2 영역을 향하는 외측 문부(100)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지지되고 그 타단은 노브(320)에 지지되어 강제 개방로드(310)와 노브(3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탄성부재(330)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The elastic member 330 has one end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outer door 100 facing the second area and the other end supported on the knob 320 to elastically open the forced opening rod 310 and the knob 320. I support it. The elastic member 330 can be used as a coil spring, for example.

여기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이 노브(3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노브(320)와 강제 개방로드(310)를 도어 핸들(420) 측으로 푸시하게 되면, 강제 개방로드(310)의 단부가 도어 핸들(420)의 레버(423)를 가압하여 회전축(421)을 회전시키면서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에 기삽입된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Here, as shown in FIG. 7, when a person located in the second area holds the knob 320 with his hand and pushes the knob 320 and the forced opening rod 310 toward the door handle 420, The end of the forced opening rod 310 presses the lever 423 of the door handle 420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421, releasing the locking protrusion 422 from being previous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0.

즉,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이 노브(320)와 강제 개방로드(310)가 아닌 내측 문(210)을 제1 영역을 향해 푸시하더라도 내측 문(210)을 회전시켜 개방시킬 수 없다.That is, with the locking protrusion 422 inserted inside the locking groove 120, a person located in the second area uses the inner door 210 rather than the knob 320 and the forced opening rod 310 to open the first area. Even if you push toward it, the inner door 210 cannot be rotated and opened.

그러나,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이 노브(320)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노브(320)를 제1 영역을 향해 가압하게 되면, 강제 개방로드(310)의 단부가 레버(423)를 가압하여 회전축(421)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잠금돌기(422)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며, 노브(320)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내측 문(210) 또한 제1 영역을 향해 회전하면서 절개구(110)가 오픈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locking protrusion 422 is inserted inside the locking groove 120 and a person located in the second area holds the knob 320 with his hand and presses the knob 320 toward the first area, , the end of the forced opening rod 310 presses the lever 423, so that the rotation shaft 421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rotrusion 422 is released, and the inner side is moved by the force pressing the knob 320. The door 210 may also rotate toward the first area to open the incision hole 110.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강제 개방제한부재(340)를 가지며(도 4 참조), 이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door of the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rced opening limiting member 340 like the second embodiment (see FIG. 4), which is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so the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 it.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 emergency door of a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제1 실시예의 내측 문부 구조가 변경된 것이다. The emergency door with a double op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nged inner door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문부(500)는 내측 문(510), 도어 핸들(220)을 포함한다. 도어 핸들(220)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inner door portion 500 includes an inner door 510 and a door handle 220. The structure of the door handle 22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내측 문(510)은 절개구(1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절개구(110)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외측 문부(100)에 경첩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inner door 510 has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ision 110 to open or close the incision 110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door 100 through a hinge or the like.

도어 핸들(220)은 내측 문(5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절개구(110)의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120)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잠금돌기(221)와, 잠금돌기(221)를 잠금홈(120) 내측으로 삽입 또는 이탈시키도록 동작하는 레버(222)를 갖는다(도어 핸들과 관련된 부분은 제1 실시예 참조).The door handle 2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door 510, has a locking protrusion 221 that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120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110, and locks the locking protrusion 221. It has a lever 222 that operates to insert or remove the inside of the groove 120 (see the first embodiment for the part related to the door handle).

즉, 사용자는 레버(222)를 손으로 잡은 후 레버(222)를 실내측(제1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잠금돌기(221)가 잠금홈(12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내측 문(510)을 회전시켜 절개구(110)를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레버(222)를 손으로 잡은 후 레버(222)를 실외측(제2 방향)으로 밀면서 잠금돌기(221)가 잠금홈(120) 내측으로 삽입하여 내측 문(510)이 절개구(110)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holds the lever 222 with his hand and then pulls the lever 222 toward the indoor side (first direction) to move the locking protrusion 221 to separate from the locking groove 120, thereby opening the inner door 510. The incision 110 can be opened by rotating. Conversely, the user holds the lever 222 by hand and then pushes the lever 222 toward the outdoor sid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221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0 and the inner door 510 is opened through the incision. (110) can be kept closed.

여기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문(510)은, 도어 핸들(220)이 마련되는 제1 접이식 문(511)과, 외측 문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더불어 제1 내측 문(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접이식 문(512)을 포함한다. 제1 접이식 문(511)과 제2 접이식 문(512)의 절첩 부위에는 경첩 등이 마련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8, the inner door 51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olding door 511 on which the door handle 220 is provided and the outer door portion 100, and the first inner door It includes a second folding door 512 rotatably connected to 510. Hinges, etc. may be provided at the folded portions of the first folding door 511 and the second folding door 512.

즉, 내측 문(510)은 절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 접이식 문(511)과 제2 접이식 문(512)이 서로 접혀진 상태로 외측 문부(100)에 대해 회전하면서 절개구(110)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절개구(110)를 형성하는 상측 내벽과 하측 내벽에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제1 접이식 문(511)의 상하측에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롤러(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That is, the inner door 510 has a foldable structure, and the first foldable door 511 and the second foldable door 512 are folded together and rotate with respect to the outer door portion 100 to open the incision 110. It can be opened. Here, guide rails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inner walls forming the incision 110,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folding door 511 can slide along the guide rails (not shown). A slide roller (not shown) may be provid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문틀 11: 돌출턱
100: 외측 문부 110: 절개구
120: 잠금홈 140: 댐퍼
200: 내측 문부 210: 내측 문
220: 도어 핸들 221: 잠금돌기
222: 레버 300: 강제 개방부
310: 강제 개방로드 320: 노브
330: 탄성부재 340: 강제 개방제한부재
420: 도어 핸들 421: 회전축
422: 잠금돌기 423: 레버
424: 돌출편 500: 내측 문부
510: 내측 문 511: 제1 접이식 문
512: 제2 접이식 문
10: door frame 11: protruding jaw
100: outer portal 110: incision
120: Locking groove 140: Damper
200: inner door 210: inner door
220: Door handle 221: Locking protrusion
222: Lever 300: Force opening portion
310: Forced opening rod 320: Knob
330: elastic member 340: forced opening limiting member
420: Door handle 421: Rotation axis
422: locking protrusion 423: lever
424: protruding piece 500: inner door portion
510: inner door 511: first folding door
512: second folding door

Claims (7)

문틀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고 내측에 절개구가 마련되는 외측 문부; 및
상기 절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외측 문부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방향과 반대인 타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 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구는 상기 외측 문부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절개구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측 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문; 및
상기 내측 문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내측 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절개구의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잠금돌기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돌출되는 레버와,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돌출되되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회전축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편을 갖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An outer door portion tha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only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door frame, opens or closes the doorway, and has a cutout on the inside; and
An inner door portion installed to be rotatable only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door portion to open or close the incision,
The incision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door,
The inner door is,
an inner door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ision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door; and
A rotating shaft rotatably provided on the inner door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door, a lock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and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as the rotating shaft rotates. , a lever protruding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protrud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and protruding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An emergency door with a double open structur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oor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잠금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레버를 회전시킬때, 상기 복수의 돌출편은 상기 절개구의 내벽이 상기 내측 문으로부터 일정이상 이격되도록 지렛대 방식으로 상기 절개구의 내벽을 가압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편은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잠금돌기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lever is rotated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press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in a lever manner so that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door by a certain amount,
An emergency door with a double open structure, wherein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both directions of the locking protrusion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외측 문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제1 영역에서 잡아당기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절개구를 개방하도록 회전하되,
상기 제1 영역의 반대측인 제2 영역에서 상기 내측 문부를 강제적으로 푸시하여 상기 절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강제 개방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ner door rotates to open the incision through a pulling operation in a first area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outer door,
An emergency door with a double ope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forced opening part is further provided in a second area opposite to the first area to forcibly push the inner door to open the inci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개방부는,
상기 내측 문에 형성된 제1 로드 삽입홀에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레버를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강제 개방로드;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강제 개방로드에 비해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노브; 및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상기 외측 문부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지지되고 그 타단은 상기 노브에 지지되어 상기 강제 개방로드와 상기 노브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를 상기 도어 핸들 측으로 푸시할 때,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가 상기 레버를 가압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잠금홈에 기삽입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orced opening part is
a forced opening rod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rod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inner door and is provided to press the lever in a direction from the second area toward the first area;
a knob integral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forcibly opening rod,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and having an enlarged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the forcibly opening rod; and
an elastic member whose one end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outer door facing the second area and whos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knob to elastically support the forced opening rod and the knob;
When the knob is pushed toward the door handle, the end of the forced opening rod presses the lever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and release the locking protrusion from being previous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emergency do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개방부는,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상기 내측 문의 일측면과 상기 노브 사이에서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가 상기 도어 핸들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제한 가능한 강제 개방제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According to clause 4,
The forced opening part is
It is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elastic member between one side of the inner door facing the second area and the knob, and further includes a forced opening limiting member capable of restricting access of the end of the forced opening rod to the door handle side. An emergency door with a double open structure, characterized b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개방제한부재는,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상기 내측 문의 일측면에 그 폭방향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노브에 그 폭방향 타단이 지지되며, 그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C자 단면 구조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According to clause 5,
The forced opening limiting member is,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inner door facing the second area,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is supported on the knob, and a gap is formed between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have an overall C-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 emergency door with a double ope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절개구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측 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문; 및
사용자 동작을 통해 상기 절개구의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절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내측 문에 마련되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문은,
상기 도어 핸들이 마련되는 제1 접이식 문; 및
상기 외측 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1 접이식 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접이식 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ner door is,
an inner door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ision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door; and
It includes a door handle provided on the inner door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cision through a user's action to open or close the incision,
The inner door is,
a first folding door provided with the door handle; and
An emergency door with a double open structure, comprising a second folding do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er door part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olding door.



KR1020240023291A 2022-12-20 2024-02-19 emergency door with double open structure KR1026643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3291A KR102664317B1 (en) 2022-12-20 2024-02-19 emergency door with double ope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9070A KR102664307B1 (en) 2022-12-20 2022-12-20 emergency door with double open structure
KR1020240023291A KR102664317B1 (en) 2022-12-20 2024-02-19 emergency door with double open structu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9070A Division KR102664307B1 (en) 2022-12-20 2022-12-20 emergency door with double open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317B1 true KR102664317B1 (en) 2024-05-08

Family

ID=910720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9070A KR102664307B1 (en) 2022-12-20 2022-12-20 emergency door with double open structure
KR1020240023291A KR102664317B1 (en) 2022-12-20 2024-02-19 emergency door with double open structur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9070A KR102664307B1 (en) 2022-12-20 2022-12-20 emergency door with double ope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6430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672U (en) * 2011-10-25 2013-05-03 김도수 Fire prevention door for Vessel
JP3189155U (en) * 2013-12-13 2014-02-27 フジメタル株式会社 Door with child door
JP2017155445A (en) * 2016-02-29 2017-09-07 株式会社ティーアンドティー・タカマツタテグ Folding door
KR20210062936A (en) 2019-11-22 2021-06-01 방경률 Emergency exit door
JP7059869B2 (en) * 2018-08-29 2022-04-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Image form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672U (en) * 2011-10-25 2013-05-03 김도수 Fire prevention door for Vessel
JP3189155U (en) * 2013-12-13 2014-02-27 フジメタル株式会社 Door with child door
JP2017155445A (en) * 2016-02-29 2017-09-07 株式会社ティーアンドティー・タカマツタテグ Folding door
JP7059869B2 (en) * 2018-08-29 2022-04-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Image forming device
KR20210062936A (en) 2019-11-22 2021-06-01 방경률 Emergency exit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307B1 (en)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4617A (en) Latch for "sliding" door or window
KR102366950B1 (en) Escape door for tunnel
US20100300000A1 (en) Single action vent stop
KR102664317B1 (en) emergency door with double open structure
US4009537A (en) Automatic astragal
KR20110030258A (en) The safety door
KR101778077B1 (en) Security door for door
JP2008240489A (en) Admission port and rescue entrance
KR102427615B1 (en) Touch-lever type lift slinging device
EP3315700A1 (en) Slide and turn door assembly, support mechanism therefor and actuating mechanism for securing the support mechanism
KR102221275B1 (en) Window safety locking device for ventilation and fall prevention
KR102098676B1 (en) sliding window for improved security and hygiene
JP4047196B2 (en) Locking device for shutter device
KR101840085B1 (en) Security grille having function of handrail pole and window having the same
KR102669388B1 (en) Locking device of a sliding type window
JPH09273361A (en) Hinged door for entrance/exit
KR200357498Y1 (en) Movable safety window
KR102543106B1 (en) Folding door
JP4159458B2 (en) shutter
KR200378247Y1 (en) Movable safety window
JP2010043407A (en) Rainwater infiltration prevention device of sliding door
JP2500871Y2 (en) Diaphragm structure
KR20050101258A (en) Movable safety window
JP2007009626A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230161178A (en) Locking device of a sliding type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