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985B1 -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 Google Patents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985B1
KR102663985B1 KR1020180139134A KR20180139134A KR102663985B1 KR 102663985 B1 KR102663985 B1 KR 102663985B1 KR 1020180139134 A KR1020180139134 A KR 1020180139134A KR 20180139134 A KR20180139134 A KR 20180139134A KR 102663985 B1 KR102663985 B1 KR 102663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handle
outside door
lin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1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5462A (en
Inventor
한정호
곽경택
남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9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985B1/en
Publication of KR20200055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4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9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가 개시된다.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혹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수납 가능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프런트 링크; 일단이 상기 프런트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넥팅 링크; 일단이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리어 링크; 및 상기 커넥팅 링크의 운동을 저지하거나 허용하는 관성체를 포함하여; 상하 짧은 4절 링크의 레이 아웃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스트로크를 보다 길게 만들 수 있고, 아웃사이드 핸들이 직선으로 전개 및 수납되어 디자인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is disclosed. an outside door handle that protrud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eyond the door outer panel constituting the door of the vehicle or can be stored in an opening formed in the door outer panel; a front link rotatably connected at one end to a front portion of the outside door hand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 connecting link,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ront link and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 rear link,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side door handle; and an inertial body that prevents or allows movement of the connecting link; The layout of the top and bottom short four-bar links can make the stroke of the outside door handle longer, and the outside handle can be deployed and stored in a straight line, improving the freedom of design.

Figure R1020180139134
Figure R1020180139134

Description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 도어의 개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측면 충돌 후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작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reliably prevent the door from opening during a side collision of a vehicle, and to open the door by manipulating the outside door handle after a side collision. It relates to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that can be used.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나 그 동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차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실을 개폐하기 위해 차실 개폐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Generally, a vehicle has a compartment of a predetermined size in which a driver or his accompanying passengers can ride, and a compartment door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ompartment.

상기 차실 개폐 도어는 탑승자가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의 차실 내측을 향한 내측면에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이 장착되고, 차실 외측을 향한 외측면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장착되어 있다.The cabin opening/closing door is equipped with an inside door handle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facing the inside of the cabin so that passengers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cabin, and an outside door handle is mounted on the outer side facing the outside of the cabin.

상기 각 도어 핸들에는 도어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도어 래치와 연동되게 연결되어, 각 도어 핸들의 조작에 따라 도어 래치가 해방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Each of the door handles is connected in conjunction with a door latch that secures the door to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door latch is released when each door handle is manipulated, allowing the door to be opened.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은 통상적으로 도어의 아웃터 패널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데, 탑승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도어 아웃터 패널에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The outside door handle is usually mounted on the outer panel of the door to enable pivot movement, and is installed on the door outer panel to protrude outwar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occupant can easily grip it.

상기와 같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면, 탑승자의 조작 편의성은 향상되지만, 돌출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로 인해 차량의 외관미가 저하될 수 있고, 또한 차량의 주행 중에 주행 소음을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 저항으로 인한 주행 성능도 저하시킬 수 있다.If the outside door handle is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for the occupants is improved, but the exterior appearance of the vehicle may be deteriorated due to the protruding outside door handle, and also the vehicle's driving convenience may be improved. Not only can it cause driving noise, but it can also deteriorate driving performance due to driving resistance.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 액츄에이터(모터)의 구동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도어 아웃터 패널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으로 돌출하거나 혹은 도어 아웃터 패널에 형성된 수용홀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도어 아웃터 패널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some cases, the outside door handle is driven by an actuator (motor)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door outer panel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or is accommodated inside the receiving hole formed in the door outer panel.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that does not protrude outward beyond the door outer panel is being developed.

종래의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을 액츄에이터를 통해 링크 기구를 매개로 도어 아우터 패널로부터 돌출시키거나 혹은 도어 아우터 패널의 수용홀 내부로 수납시키게 되어 있고, 도어를 차체에 록킹 혹은 해방시키기 위해 조작할 수 있는 키이 실린더를 포함하는 도어 록 기구와, 도어를 차체에 직접 록킹 혹은 해방시키는 도어 래치 기구와 연결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protrudes the outside door handle from the door outer panel through a link mechanism through an actuator or stores it inside the receiving hole of the door outer panel, and locks the door to the vehicle body. Alternatively, it is connected to a door lock mechanism that includes a key cylinder that can be operated to release, and a door latch mechanism that directly locks or releases the door to the vehicle body.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 플러시 도어 핸들이 원치않게 돌출하여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아야 하고, 충돌 사고 발생 후에는 원래의 위치로 원활하게 복귀하여 정상 작동될 필요가 있는 바, 이에 대한 장치 혹은 구조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However, in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as described above,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flush door handle should not protrude unintentionally and prevent the vehicle door from opening, and should not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collision. As it is necessary to return to normal operation smoothly, the development of a device or structure for this has become necessary.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에 플러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원치 않게 돌출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충돌 후에는 조작자에 의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간단한 조작으로 도어를 원활하게 개방할 수 있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can effectively prevent the flush outside door handle from unintentionally protruding and opening the doo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nd after the collision, the flush outside door handl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opened by the operator. The aim is to provide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that can smoothly open the door by simple operation of the outside door hand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혹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수납 가능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프런트 링크; 일단이 상기 프런트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넥팅 링크; 일단이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리어 링크; 및 상기 커넥팅 링크의 운동을 저지하거나 허용하는 관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side door handle that protrud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eyond the door outer panel constituting the door of the vehicle or can be stored in an opening formed in the door outer panel; a front link rotatably connected at one end to a front portion of the outside door hand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 connecting link,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ront link and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 rear link,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side door handle; And it may include an inertial body that prevents or allows movement of the connecting link.

일단이 상기 리어 링크의 소정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link,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rear link,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outer panel.

상기 링크들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housing in which the links are accommodated; One or more guide holes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to guide movement of the connecting link.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일단과 타단들은 핀으로 각각 상기 프런트 링크 및 상기 리어 링크와 체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들에 상기 핀이 삽입되어 안내 이동될 수 있다.One end and the other ends of the connecting link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front link and the rear link with pins; The pin may be inserted into the one or more guide holes and guided.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들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배치된 프런트 가이드 홀과 리어 가이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one or more guide holes may include a front guide hole and a rear guide hole arranged front and rea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과 상기 리어 링크의 일단이 체결되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안내 이동되는 상기 리어 가이드 홀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비상홀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비상홀의 폭은 상기 가이드 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An emergency hole into which the pin can be inserted and moved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rear guide hole into which the pin,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and one end of the rear link are connected, is inserted and guided; The width of the emergency hole may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guide hole.

상기 커넥팅 링크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밀어주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actuator that pushes the connecting link rear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액츄에이터는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드리븐 기어; 및 상기 드리븐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 링크를 밀어주는 섹터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tuator includes a drive gear that rotates by receiving external power; a driven gear engaged with the drive gear and rotating; And it may include a sector gear that engages with the driven gear and rotates to push the connecting link.

상기 커넥팅 링크와 상기 리어 링크는 핀으로 체결되고; 상기 섹터 기어에는 상기 핀을 밀어주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ng link and the rear link are fastened with pins; The sector gear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that pushes the pin.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은 탑승자가 손을 집어 넣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홀이 형성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 및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프런트 링크와 상기 리어 링크가 체결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side door handle includes an outside door handle body with a grip hole formed so that the occupant can easily grasp it by inserting his/her hand. And it may include an outside handle base coupled to the outside door handle body and to which the front link and the rear link are fastened.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는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면 만을 포함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은 구비하지 않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outside door handle body includes only an upper sid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n outer sid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does not include a lower sid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n inner side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t can be configured in the following form.

상기 커넥팅 링크에 의해 회전되어 도어 래치를 해방시키는 도어 래치 레버가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door latch lever that is rotated by the connecting link to release the door latch.

상기 도어 래치 레버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핀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리어 가이드 홀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door latch lever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path of the rear guide hole so that it is rotated by the pin of the connecting link.

상기 도어 래치 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핀; 상기 회전핀과 일체로 형성되고 도어 래치와 케이블 혹은 로드로 연결되도록 연결홀이 형성된 레버 바디; 및 상기 레버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리어 가이드 홀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된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latch lever includes a rotating pin rotatably supported on the housing; A lever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pin and having a connection hole formed to connect the door latch with a cable or rod; and an arm extending from the lever body and disposed to overlap the path of the rear guide hole.

상기 하우징에는 돌출하는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는 상기 회전핀의 소정 각도 이상의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핀에도 상기 스톱퍼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핀의 회전 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 protruding boss is formed on the housing; A stoppe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ss to regulat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on pin beyond a predetermined angle; A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rotary pin to contact the stopper protrusion and prevent the rotary movement of the rotary pin.

상기 보스에는 리턴 규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이 리턴되는 과정에, 상기 리턴 규제 돌기에 상기 아암이 접촉되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A return regula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ss, so that during the arm's return process, the arm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turn regulating protrusion and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과 상기 리어 링크의 일단을 체결하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통과하는 가이드 홀이 상기 관성체에 형성될 수 있다.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pin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and one end of the rear link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inertial body.

상기 관성체의 가이드 홀은 상기 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홀의 일부는 상기 핀의 이동 방향으로부터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핀이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상기 핀이 상기 가이드 홀의 측벽에 닿아서 상기 관성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guide hole of the inertial body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in, and a portion of the guide hole is formed to be bent from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in, so that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and moves along the guide hole. In the process, the pin may contact the side wall of the guide hole to rotate the inertial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관성체가 축방향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관성체에 푸시력을 부여하고, 또한 상기 관성체에 일방향으로 회전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The inertial body is installed in the housing to enable axial movement and rotation; A spring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to apply a push force to the inertial body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link and to provide a rotational restoring force to the inertial body in one direction.

상기 관성체의 일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보스에도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관성체의 서로 인접한 돌기 사이에는 상기 보스의 돌기가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서로 인접한 돌기 사이에도 상기 관성체의 돌기가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이 구비될 수 있다.One or more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ertial body, and one or more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boss formed in the housing, ;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of the boss is releasably inserted may be formed between adjacent protrusions of the inertial body, and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of the inertial body can be releasably inserted may be provided between adjacent protrusions of the boss.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시에 관성체의 회전으로 플러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원치 않게 돌출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충돌 후에는 조작자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을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당기는 것 만으로 관성체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도어를 원활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flush outside door handle from undesirably protruding and opening the door due to the rotation of the inertial body when a vehicle collision occurs, After a collision, the inertial body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simply by the operator pulling the outside door handle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llowing the door to be opened smoothly.

또한, 상하 짧은 레이아웃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스트로크를 보다 길게 만들 수 있으므로 도어 래치와의 연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이 직선 방향으로 전개 및 수납될 수 있으므로,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고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도어 래치 등의 다른 부품과의 연결성이 향상되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중량 및 원가 절감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rt top and bottom layout can make the stroke of the outside door handle longer, which can improve connectivity with the door latch, and the outside door handle can be deployed and stored in a straight direction, improving design freedom. In addition,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outside handle can be improved and rigidity can be increased, and connectivity with other parts such as door latches can be improved, allowing for general purpose use and reducing weight and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가 도어 아우터 패널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기구와 아웃사이드 동 핸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다른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비상 상황에서 작동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래치 레버의 장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래치 레버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성체의 장착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성체의 장착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기구와 관성체의 상호 작동 관계 설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성체의 차량 충돌에 의한 작동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성체의 차량 충돌 이후의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작에 따른 작동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도어 아우터 패널(10)에 형성된 개구부(12)를 통해 도어 아우터 패널(10) 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거나 혹은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외측 표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수용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배치되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수용되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일측이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에 체결되고 타측이 하우징(30)에 지지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링크 기구(40), 상기 링크 기구(40)에 작동력을 부여하여 링크 기구(40)를 통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액츄에이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은 탑승자가 손을 집어 넣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홀(21)이 형성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 및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에 결합되고, 상기 링크 기구(40)가 체결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의 외측면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커버(24)가 결합될 수 있다.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에 장착되는 과정에,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커버(24)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의 외측면에 먼저 결합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에 대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일정한 갭을 가지도록 조립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장착이 완료되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로부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커버(24)가 탈거되게 된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는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측면(27)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면(28)만을 포함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은 구비하지 않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를 도장할 때에, 예를 들면 스프레이 도장할 때에, 도장 작업이 용이해지고, 도장막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균일하게 입혀져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과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10) 사이에는 씰링 커버(60)가 개재되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를 통한 이물질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베이스(23)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보스(25)와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보스(26)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보스(25)와 리어 보스(26)에는 각각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각 체결홀에 상기 링크 기구(40)의 일측이 핀(41)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 기구(40)는 일단이 상기 프런트 보스(25)에 핀(41)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프런트 링크(42)와, 상기 프런트 링크(42)의 타단에 일단이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넥팅 링크(44),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타단에 일단이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 보스(26)에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리어 링크(45) 및, 일단이 상기 리어 링크(45)의 길이 발향을 따른 소정 부위에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30)에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지지 링크(4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과 상기 프런트 링크(42), 상기 커넥팅 링크(44) 및 상기 리어 링크(45)는 4절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액츄에이터(50)의 작동으로 상기 링크 기구(40)의 커넥팅 링크(44)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따른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프런트 링크(42)와 리어 링크(45)는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전개되면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게 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함으로써, 탑승자가 손을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파지홀(21)에 삽입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당겨줌으로써, 도어 래치를 해방되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팅 링크(44)가 상기 액츄에이터(50)에 의해 이동될 때에,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2개의 프런트 가이드 홀(31)과 리어 가이드 홀(32)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30)의 일측면을 관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2개의 가이드 홀(31, 32)들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가이드 홀(31, 32)에는 커넥팅 링크(44)의 양단에 체결된 2개의 핀(43)이 각각 삽입되어, 2개의 핀(43)들이 상기 가이드 홀(31, 32)들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커넥팅 링크(44)가 액츄에이터(50)에 의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안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리어 가이드 홀(32)의 일단에는 리어 가이드 홀(32)의 폭에 비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더 넓게 파여진 비상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홀(33)은 상기 리어 가이드 홀(32)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50)가 고장 혹은 배터리 전원 공급 중단 등의 이유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 탑승자가 수동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조작할 필요가 있는 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도 9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를 가압하면, 커넥팅 링크(44)의 타단에 체결된 핀(43)이 상기 비상홀(33)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후방 부위가 도어 아우터 패널(10)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시이소 운동을 하게 되어, 탑승자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돌출된 후방 부위를 손으로 잡고서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당겨 주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로부터 돌출되면서 록킹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50)의 작동 불능인 비상 상황시에 탑승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돌출(팝업)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의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 링크(46)는 스프링(미도시)과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지지 링크(46)를 시계 방향(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 내부로 수용되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팝 업되면서 상기 지지 링크(4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이후에,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해방시키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지지 링크(46)가 다시 시계 방향으로 원래의 위치로 회전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 링크(46)의 시계 방향 회전 운동에 의해 리어 링크(45), 커넥팅 링크(44) 및 프런트 링크(42)가 연동되어, 팝 업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다시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 내부로 수용되게 할 수 있다.
도 10 과 도 1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액츄에이터 하우징(51)에 수용된 다수개의 기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개의 기어들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52)와, 드라이브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드리븐 기어(53), 드리븐 기어(53)에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일단에 체결된 핀(43)을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혹은 후방으로 밀어주는 섹터 기어(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섹터 기어(54)의 일측면에는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핀(43)과 접촉되어 상기 핀(43)을 밀어주는 돌기(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가 제어기의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작동하면, 상기 드라이브 기어(52)와, 드리븐 기어(53) 및 섹터 기어(54)가 순차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 링크(44)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으로 밀어줌으로써,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20)로부터 팝 업되어, 탑승자가 팝 업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조작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팝 업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은 구동 모터의 역방향 작동 및 액츄에이터(50)와 링크 기구(40)의 상기 서술한 동작과 반대의 동작에 의해 도어 아우터 패널의 개구부(12) 내로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 기구(4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도어 래치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래치 레버(70)는, 도 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도어 래치 레버(70)는, 하우징(30)에 형성된 보스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핀(71)과, 상기 회전핀(71)과 일체로 형성되고 도어 래치와 케이블 혹은 로드로 연결되도록 연결홀(74)이 형성된 레버 바디(72) 및, 레버 바디(7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리어 가이드 홀(32)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된 아암(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핀(43)이 리어 가이드 홀(3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상기 도어 래치 레버(70)의 아암(73)을 밀어주게 되고, 도어 래치 아암(73)은 그 핀(7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도어 래치와 연결된 케이블 혹은 로드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 래치를 해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30)에 보스(34)가 돌출해서 형성되고, 상기 보스(34)에 상기 회전핀(71)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조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스(34)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핀(71)의 소정 각도 이상의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돌기(35)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핀(71)에도 상기 스톱퍼 돌기(35)와 접촉하여 회전핀(71)의 회전 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돌기(7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조작에 의해 도어 래치 레버(70)가 회전 운동을 할 때에, 스톱퍼 돌기(35)와 돌기(75)의 상호 접촉에 의해 도어 래치 레버(70)는 소정 각도까지만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스(34)의 상면에도 리턴 규제 돌기(36)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73)이 리턴되는 과정에, 아암(73)이 상기 리턴 규제 돌기(36)에 접촉되어서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리턴될 수 있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37)에도 프런트 가이드 홀(31)과 리어 가이드 홀(32)이 관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양단에 체결된 핀(43)들은 상기 일측면의 가이드 홀(31, 32)을 통해 삽입된 다음에 타측면(37)의 가이드 홀(31, 32)에 삽입되어 타측면보다 더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면(37)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체(8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관성체(80)의 소정 부위에는 관성체(80)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중량체(81)가 결합될 수 있지만, 별도의 중량체(81)를 관성체(80)에 결합시키는 대신에 관성체(80) 만으로 적절한 중량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관성체(80)를 관통하여 핀축(82)이 관성체(80)와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될 수 있고, 핀축(82)의 일단은 타측면(37)에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보스(38)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핀축(82)의 타단은 타측면(37)에 형성된 지지 플랜지(39)를 관통해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핀축(82)은 압축 스프링(83)을 관통해서 삽입되고, 상기의 압축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관성체(80)에 걸리는 형태로 연결되는 반면에 타단은 상기 지지 플랜지(39)에 걸리는 형태로 연결되어, 관성체(80)가 핀축(82)의 축방향으로 압축 스프링(83)에 의해 탄성력을 받고, 또한 관성체(80)가 외력을 받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이후에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압축 스프링(83)의 복원력을 받게 된다.
상기 관성체(80)의 일측면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의 한쪽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가이드 홈(8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84)은 커넥팅 링크(44)의 타단에 체결된 핀(43)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핀(43)이 가이드 홈(84)에 삽입되어서 가이드 홈(84)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전개 과정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직선 운동을 하는 커넥팅 링크(44)의 핀(43)이 관성체(80)의 가이드 홈(84)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홈(84)은 직선 경로를 형성하되, 그 일부분은 직선 경로부터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고착 방지홈(85)을 형성하여, 링크 기구(40)의 핀(43)이 가이드 홈(84)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84)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고착 방지홈(85)의 홈벽에 닿아서 관성체를 약간 회전시켜 주므로, 아웃 사이드 도어 핸들(20)이 팝업 될 때마다 관성체(80)가 회동 및 복귀 동작을 반복해서 관성체(80)가 고착될 일이 없게 된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관성체(80)의 일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86)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보스(38)에도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38a)가 형성될 수 있다.
관성체(80)의 서로 인접한 돌기(86) 사이에는 고정홈(87)이 형성되고, 보스(38)의 돌기(38a) 사이에도 고정홈(38b)이 구비된다.
차량이 측면 충돌을 받지 않은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관성체(80)는 압축 스프링(83)의 탄성력을 받아서 보스(38) 쪽으로 밀려지고 있고, 또한 관성체(80)의 돌기(86)들은 보스(38)의 돌기(38a)과 밀착하게 된다.
그런데, 측면 충돌이 발생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체(80)가 그 편심된 무게 중심으로 인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 운동 과정에 관성체(80)는 압축 스프링(83)의 축방향 푸시력도 받고 있는 바, 서로 밀착하고 있던 보스(38)의 돌기(38a)와 관성체(80)의 돌기(86)들이 관성체(80)의 회전으로 서로 어긋나면서 관성체(80)가 압축 스프링(83)의 푸시력에 의해 보스 쪽으로 이동하여, 보스(38)의 고정홈(38b)에 관성체(80)의 돌기(86)가 삽입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관성체(80)의 고정홈(87)에 보스(38)의 돌기(38b)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관성체(80)의 회전 운동은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성체(80)가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면, 도어의 개방을 위해 커넥팅 링크(44)의 핀(43)이 직선 운동하는 과정에 관성체(80)의 비틀어진(회전된) 가이드 홈(84)에 삽입되지 못하고, 관성체(80)와 충돌하게 되어, 아웃 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지 못함으로써, 차량의 도어 개방이 확실하게 방지되게 된다.
즉, 차량의 충돌 상황에서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충격력을 받아도, 관성체(80)의 링크 기구(40)에 대해 간섭 작용으로 도어 아우터 패널(10)로부터 돌출되지 못하여, 도어 래치의 작동이 불가하게 되므로, 도어가 개방되지 않아서 탑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충돌 상황이 종료된 이후에, 운전자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폭 방향 외측으로 당겨주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기구(40)의 핀(43)이 관성체(80)의 일측면에 닿은 상태에서, 운전자의 아웃사이드 동 핸들(20)의 조작력이 핀(43)을 통해 관성체(80)에 전달되어, 관성체(80)가 축방향을 따라 밀리게 된다.
이 때에 관성체(80)에는 압축 스프링(83)의 비틀림 복원력이 작용하여, 관성체(80)가 다시 폭 방향 내측으로 회전해서, 도 15에 도시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링크 기구(40)의 운동 과정에 관성체(80)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조작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운전자 혹은 탑승자의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충돌 과정에 개방 방지된 도어를 충돌 이후에 다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tractable exterior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mounted on a door oute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nk mechanism and the outside copper handl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nk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outside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other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outside door handle in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ctuato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n actu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latch lever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 door latch l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bottom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ertial body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ertial body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mutual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a link mechanism and an inertial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of an inertial body due to a vehicle coll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outside door handle after a vehicle collision with an inertial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ttached illustration drawings.
1 to 3, the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width of the vehicle more than the door outer panel 10 through the opening 12 formed in the door outer panel 10. It may include an outside door handle 20 that protrudes outward or is accommodated in the opening so as to form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outer panel 10.
The outside door handle 20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30, which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door outer panel 1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outer panel 10, so as to accommodate the width of the vehicle. It can be installed to be movable in any direction.
The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side fastened to the outside door handle 20 and the other side supported by the housing 30 so that the outside door handle 2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may include a link mechanism 40 that moves the outside door handle 20 and an actuator 50 that applies operating force to the link mechanism 40 to move the outside door handle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link mechanism 40. .
The outside door handle 20 includes an outside door handle body 22 having a grip hole 21 so that a passenger can easily grasp it by inserting his or her hand; And it may include an outside handle base 23 that is coupled to the outside door handle body 22 and to which the link mechanism 40 is fastened.
An outside door handle cover 24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side door handle body 22.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outside door handle 20 to the door outer panel 10, the outside door handle cover 24 is firs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side door handle body 22, and the outside door handle ( 20) and serves to guide the outside door handle 20 to be assembled with a certain gap with respect to the opening 12 of the door outer panel 10, and the outside door handle 20 When installation is completed, the outside door handle cover 24 is removed from the outside door handle 20.
The outside door handle body 22 includes only an upper side 27 along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and an outer side 28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lower side along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and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inner surface along the 22 is configured in an open form, so that when painting the outside door handle body 22, for example, when spray painting, painting work is facilitated, and the paint film is formed on the outside door handle body (22). 22), the exterior appearance of the outside door handle 20 can be improved.
A sealing cover 60 is interposed between the housing 30 and the door outer panel 1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rough the opening 12 of the door outer panel 10.
Referring to FIG. 4, the inner surface of the outside door handle base 23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includes a front boss 25 located at the fro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rear boss 26 located at the rear. is formed integrally, and penetrating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each of the front boss 25 and the rear boss 26, and one side of the link mechanism 40 can be fastened to each fastening hole with a pin 41. .
4 and 5, the link mechanism 40 includes a front link 42,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front boss 25 with a pin 41, and the other end of the front link 42. A connecting link 44,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fastened with a pin 43,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44,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fastened with a pin 43,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rear boss 26. The rear link 45 is rotatably fastened to (43), one end is rotatably fastened with a pin 43 at a predetermined portion along the length of the rear link 45, and the other end is attached to the housing 30. It may include a support link 46 rotatably fastened with a pin 43.
Accordingly, the outside door handle 20, the front link 42, the connecting link 44, and the rear link 45 may form a four-bar link.
Referring to FIG. 6, when the connecting link 44 of the link mechanism 40 moves rea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50, the front link 42 and the rear link 45 As it unfol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outside door handle 20 protrud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outside door handle 20 protrudes further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an the door outer panel 10. By doing so, the passenger inserts his/her hand into the grip hole 21 of the outside door handle 20 and pulls the outside door handle 20, thereby releasing the door latch and opening the door.
7 and 8, when the connecting link 44 is moved by the actuator 50, two front guide holes 31 and a rear guide hole 31 are provided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connecting link 44. The guide hole 32 may be formed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housing 30 while being spaced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at is, the two guide holes 31 and 32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two guide holes 31 and 32 have two pins 43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link 44. )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the two pins 43 move along the guide holes 31 and 32, so that the connecting link 44 can be guided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y the actuator 50. There will be.
Meanwhile, at one end of the rear guide hole 32, an emergency hole 33 may be formed that is wider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an the width of the rear guide hole 32.
The emergency hole 33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rear guide hole 32.
Accordingly, when the actuator 50 does not operate for reasons such as failure or interruption of battery power supply, the occupant needs to manually operate the outside door handle 20.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outer panel 10 is stored inside the opening 12,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9, when the occupant presses the front portion of the outside door handle 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pin 43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44 is received inside the emergency hole 33, and the rear portion of the outside door handle 20 is positioned outside the door outer panel 1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 seesaw movement is performed to further protrude, so when the occupant holds the protruding rear portion of the outside door handle 20 with his hand and pulls it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outside door handle 20 moves toward the door outer panel 10. ), making it possible to open the locked door.
That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the actuator 50 is inoperable, the passenger can open the door by protruding (popping up) the outside door handle 20 by simply pressing the outside door handle 20 without a separate tool. Therefore, the marketability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support link 46 is connected to a spring (not shown), so that the spring moves the support link 46 clockwise (the outside door handle 20 moves the door outer panel 10 After the outside door handle 20 pops up and the support link 46 rotates counterclockwise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that pulls it in the direction accommodated inside the opening of the outside door handle 20 ) is released, the support link 46 is rotated clockwise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the rear link 45 and the connecting link 44 are rotated clockwise by the support link 46. ) and the front link 42 are linked, so that the popped up outside door handle 20 can be accommodated again inside the opening 12 of the door outer panel 10.
Referring to FIGS. 10, 11, and 3, the actuator 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ears accommodated in the actuator housing 51.
A plurality of gears include a drive gear 52 that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a drive motor (not shown), a driven gear 53 that engages and rotates with the drive gear, and a driven gear 53 that engages and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It may include a sector gear 54 that pushes the pin 43 fasten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link 44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One side of the sector gear 54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55 that contacts the pin 43 of the connecting link 44 and pushes the pin 43.
Accordingly, when the drive motor operates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the drive gear 52, driven gear 53, and sector gear 54 rotate sequentially to connect the connecting link 44 to the vehicle. By pushing rear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utside door handle 20 pops up from the door outer panel 20, and the occupant can open the door by manipulating the popped up outside door handle 20.
Meanwhile, the popped up outside door handle 20 can be stored in the opening 12 of the door outer panel by the revers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and the operation opposite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the actuator 50 and the link mechanism 40. You can.
Meanwhile, the door latch lever 70 for opening the door latch while rotat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nk mechanism 4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30, as shown in FIGS. 3 and 12. do.
The door latch lever 70 includes a rotating pin 71 that is inserted into a boss formed in the housing 30 and rotatably supported,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pin 71 and connected to the door latch by a cable or rod. It may include a lever body 72 in which a connection hole 74 is formed, and an arm 73 extending from the lever body 72 and arranged to overlap the path of the rear guide hole 32.
Accordingly, the pin 43 of the connecting link 44 pushes the arm 73 of the door latch lever 70 while moving along the rear guide hole 32, and the door latch arm 73 The door latch can be released by rotating around the pin 71 and pushing or pulling the cable or rod connected to the door latch.
Referring to FIGS. 12 and 13, a boss 3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ousing 30, an assembly hole is formed in the boss 34 into which the rotation pin 71 is inserted and supported, and the boss A stopper protrusion (35)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34) to regulat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ry pin (71)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and the rotary pin (71) also contacts the stopper protrusion (35) to prevent rotation of the rotary pin (71). )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75 that preven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rotrusion.
Accordingly, when the door latch lever 70 rotates by manipulating the outside door handle 20, the door latch lever 70 moves at a predetermined angle due to mutual contact between the stopper protrusion 35 and the protrusion 75. Rotational movement is only possible up to an angle.
In addition, a return regulating protrusion 3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ss 34, so that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arm 73, the arm 73 contacts the return regulating protrusion 36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It can be returned accurately.
Meanwhile, referring to FIG. 14, a front guide hole 31 and a rear guide hole 32 may be formed through the other side 37 of the housing.
The pins 43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link 44 are inserted through the guide holes 31 and 32 on one side and then into the guide holes 31 and 32 on the other side 37.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further than the side.
As shown in FIG. 15, an inertial body 8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37. A weight body 81 that increases the weight of the inertial body 80 may be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nertial body 80, but instead of coupling a separate weight body 81 to the inertial body 80, the inertial body 80 It can be configured to have an appropriate weight using only (80).
The pin shaft 82 can be coupl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inertial body 80 by penetrating the inertial body 80, and one end of the pin shaft 82 is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boss 38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37. It can be inserted and rotatably supported.
Additionally, the other end of the pin shaft 82 may be inserted through the support flange 39 formed on the other side 37 and rotatably supported.
In addition, the pin shaft 82 is inserted through the compression spring 83, and one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is connected to the inertial body 80, whil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lange 39. It is connected in a hanging form, so that the inertial body 80 receives an elastic force by the compression spring 83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n shaft 82, and after the inertial body 80 receives an external force and rotates clockwise, it rotates again. It receives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83) in a 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16, a guide groove 84 extending from one edge of one side to the other edge of the inertial body 8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ertial body 80.
The guide groove 84 is formed to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n 43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44, so that the pin 43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84 and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84. You can move smoothly.
Therefore, as shown in FIG. 17, when the outside door handle 20 is deploy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pin 43 of the connecting link 44, which moves linearly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cts as an inertial body. It can move smoothly along the guide groove 84 of (80).
Meanwhile, the guide groove 84 forms a straight path, and a portion of it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traight path to form an anti-seizing groove 85, so that the pin 43 of the link mechanism 40 is connected to the guide groove 84. ) and rotates the inertial body slightly by touching the groove wall of the anti-seizure groove (85) when it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84), so whenever the outside door handle (20) pops up, the inertial body (80) By repeating the rotation and return operations, the inertial body 80 is prevented from becoming stuck.
Referring again to FIG. 15, one or more protrusions 86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ertial body 80 and protrude in the axi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rrespondingly, the boss 38 also has protrusions 86 in the axial direction. One or more protrusions 38a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may be formed.
A fixing groove 87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protrusions 86 of the inertial body 80, and a fixing groove 38b is also provided between the protrusions 38a of the boss 38.
In a normal situation where the vehicle has not suffered a side collision, the inertial body 80 is pushed toward the boss 38 by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83, and the protrusions 86 of the inertial body 80 are pushed toward the boss 38. )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sion (38a).
However, when a side collision occurs, as shown in FIG. 18, the inertial body 80 rotat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due to its eccentric center of gravity, and during this rotational movement, the inertial body 80 Since it is also receiving the axial push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83, the protrusion 38a of the boss 38 and the protrusion 86 of the inertial body 80, which we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rotate with the inertial body 80. While being misaligned, the inertial body 80 moves toward the boss by the push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83, and the protrusion 86 of the inertial body 8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38b of the boss 38. As the protrusion 38b of the boss 38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87 of the inertial body 80,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inertial body 80 cannot proceed any further, and the inertial body 80 is rotat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status will be maintained.
In this way, when the inertial body 80 is maintained in a state rotat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inertial body 80 is twisted in the process of straight movement of the pin 43 of the connecting link 44 to open the door. As it is not inserted into the (rotated) guide groove 84 and collides with the inertial body 80, the outside door handle 20 cannot protrude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reby ensuring the vehicle door opening. is prevented.
That is, in a vehicle collision situation, even if the outside door handle 20 receives an impact force, it cannot protrude from the door outer panel 10 due to the interference with the link mechanism 40 of the inertial body 80, thereby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latch. Since this becomes impossible, the door cannot be opened, thereby protecting the passengers more safely.
Meanwhile, after the collision situation ends, when the driver pulls the outside door handle 20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19, the pin 43 of the link mechanism 40 moves the inertial body 80. ), the operating force of the driver's outside handle 20 is transmitted to the inertial body 80 through the pin 43, and the inertial body 80 is pushed along the ax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torsional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83 acts on the inertial body 80, so that the inertial body 80 rotates inward again in the width direction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shown in FIG. 15, thereby forming the link mechanism ( Since the inertial body 8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process of 40), the door can be opened by manipulating the outside door handle 20.
In other words, the door that was prevented from opening during the collision can be opened again after the collision by simply manipulating the outside door handle by the driver or passenge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patent claim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도어 아우터 패널(10)에 형성된 개구부(12)를 통해 도어 아우터 패널(10) 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거나 혹은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외측 표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수용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배치되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수용되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일측이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에 체결되고 타측이 하우징(30)에 지지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링크 기구(40), 상기 링크 기구(40)에 작동력을 부여하여 링크 기구(40)를 통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액츄에이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은 탑승자가 손을 집어 넣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홀(21)이 형성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 및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에 결합되고, 상기 링크 기구(40)가 체결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의 외측면에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커버(24)가 결합될 수 있다.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에 장착되는 과정에,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커버(24)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의 외측면에 먼저 결합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에 대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일정한 갭을 가지도록 조립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장착이 완료되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로부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커버(24)가 탈거되게 된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는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측면(27)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면(28)만을 포함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은 구비하지 않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를 도장할 때에, 예를 들면 스프레이 도장할 때에, 도장 작업이 용이해지고, 도장막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22)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균일하게 입혀져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과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10) 사이에는 씰링 커버(60)가 개재되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를 통한 이물질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베이스(23)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보스(25)와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보스(26)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 보스(25)와 리어 보스(26)에는 각각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각 체결홀에 상기 링크 기구(40)의 일측이 핀(41)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 기구(40)는 일단이 상기 프런트 보스(25)에 핀(41)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프런트 링크(42)와, 상기 프런트 링크(42)의 타단에 일단이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넥팅 링크(44),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타단에 일단이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 보스(26)에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리어 링크(45) 및, 일단이 상기 리어 링크(45)의 길이 발향을 따른 소정 부위에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30)에 핀(43)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지지 링크(4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과 상기 프런트 링크(42), 상기 커넥팅 링크(44) 및 상기 리어 링크(45)는 4절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액츄에이터(50)의 작동으로 상기 링크 기구(40)의 커넥팅 링크(44)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따른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프런트 링크(42)와 리어 링크(45)는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전개되면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게 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함으로써, 탑승자가 손을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파지홀(21)에 삽입되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당겨줌으로써, 도어 래치를 해방되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팅 링크(44)가 상기 액츄에이터(50)에 의해 이동될 때에,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2개의 프런트 가이드 홀(31)과 리어 가이드 홀(32)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30)의 일측면을 관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2개의 가이드 홀(31, 32)들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가이드 홀(31, 32)에는 커넥팅 링크(44)의 양단에 체결된 2개의 핀(43)이 각각 삽입되어, 2개의 핀(43)들이 상기 가이드 홀(31, 32)들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커넥팅 링크(44)가 액츄에이터(50)에 의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안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리어 가이드 홀(32)의 일단에는 리어 가이드 홀(32)의 폭에 비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더 넓게 파여진 비상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홀(33)은 상기 리어 가이드 홀(32)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50)가 고장 혹은 배터리 전원 공급 중단 등의 이유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 탑승자가 수동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조작할 필요가 있는 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도 9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를 가압하면, 커넥팅 링크(44)의 타단에 체결된 핀(43)이 상기 비상홀(33)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후방 부위가 도어 아우터 패널(10)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시이소 운동을 하게 되어, 탑승자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돌출된 후방 부위를 손으로 잡고서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당겨 주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로부터 돌출되면서 록킹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50)의 작동 불능인 비상 상황시에 탑승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돌출(팝업)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의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 링크(46)는 스프링(미도시)과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지지 링크(46)를 시계 방향(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 내부로 수용되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팝 업되면서 상기 지지 링크(4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이후에,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해방시키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지지 링크(46)가 다시 시계 방향으로 원래의 위치로 회전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 링크(46)의 시계 방향 회전 운동에 의해 리어 링크(45), 커넥팅 링크(44) 및 프런트 링크(42)가 연동되어, 팝 업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다시 도어 아우터 패널(10)의 개구부(12) 내부로 수용되게 할 수 있다.
도 10 과 도 1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액츄에이터 하우징(51)에 수용된 다수개의 기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개의 기어들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52)와, 드라이브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드리븐 기어(53), 드리븐 기어(53)에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일단에 체결된 핀(43)을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혹은 후방으로 밀어주는 섹터 기어(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섹터 기어(54)의 일측면에는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핀(43)과 접촉되어 상기 핀(43)을 밀어주는 돌기(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가 제어기의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작동하면, 상기 드라이브 기어(52)와, 드리븐 기어(53) 및 섹터 기어(54)가 순차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 링크(44)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으로 밀어줌으로써,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도어 아우터 패널(20)로부터 팝 업되어, 탑승자가 팝 업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조작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팝 업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은 구동 모터의 역방향 작동 및 액츄에이터(50)와 링크 기구(40)의 상기 서술한 동작과 반대의 동작에 의해 도어 아우터 패널의 개구부(12) 내로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 기구(4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도어 래치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래치 레버(70)는, 도 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도어 래치 레버(70)는, 하우징(30)에 형성된 보스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핀(71)과, 상기 회전핀(71)과 일체로 형성되고 도어 래치와 케이블 혹은 로드로 연결되도록 연결홀(74)이 형성된 레버 바디(72) 및, 레버 바디(7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리어 가이드 홀(32)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된 아암(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핀(43)이 리어 가이드 홀(3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상기 도어 래치 레버(70)의 아암(73)을 밀어주게 되고, 도어 래치 아암(73)은 그 핀(7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도어 래치와 연결된 케이블 혹은 로드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 래치를 해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30)에 보스(34)가 돌출해서 형성되고, 상기 보스(34)에 상기 회전핀(71)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조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스(34)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핀(71)의 소정 각도 이상의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돌기(35)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핀(71)에도 상기 스톱퍼 돌기(35)와 접촉하여 회전핀(71)의 회전 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돌기(7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조작에 의해 도어 래치 레버(70)가 회전 운동을 할 때에, 스톱퍼 돌기(35)와 돌기(75)의 상호 접촉에 의해 도어 래치 레버(70)는 소정 각도까지만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스(34)의 상면에도 리턴 규제 돌기(36)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73)이 리턴되는 과정에, 아암(73)이 상기 리턴 규제 돌기(36)에 접촉되어서 원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리턴될 수 있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37)에도 프런트 가이드 홀(31)과 리어 가이드 홀(32)이 관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링크(44)의 양단에 체결된 핀(43)들은 상기 일측면의 가이드 홀(31, 32)을 통해 삽입된 다음에 타측면(37)의 가이드 홀(31, 32)에 삽입되어 타측면보다 더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면(37)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체(8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관성체(80)의 소정 부위에는 관성체(80)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중량체(81)가 결합될 수 있지만, 별도의 중량체(81)를 관성체(80)에 결합시키는 대신에 관성체(80) 만으로 적절한 중량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관성체(80)를 관통하여 핀축(82)이 관성체(80)와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될 수 있고, 핀축(82)의 일단은 타측면(37)에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보스(38)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핀축(82)의 타단은 타측면(37)에 형성된 지지 플랜지(39)를 관통해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핀축(82)은 압축 스프링(83)을 관통해서 삽입되고, 상기의 압축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관성체(80)에 걸리는 형태로 연결되는 반면에 타단은 상기 지지 플랜지(39)에 걸리는 형태로 연결되어, 관성체(80)가 핀축(82)의 축방향으로 압축 스프링(83)에 의해 탄성력을 받고, 또한 관성체(80)가 외력을 받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이후에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압축 스프링(83)의 복원력을 받게 된다.
상기 관성체(80)의 일측면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의 한쪽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가이드 홈(8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84)은 커넥팅 링크(44)의 타단에 체결된 핀(43)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핀(43)이 가이드 홈(84)에 삽입되어서 가이드 홈(84)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전개 과정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직선 운동을 하는 커넥팅 링크(44)의 핀(43)이 관성체(80)의 가이드 홈(84)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홈(84)은 직선 경로를 형성하되, 그 일부분은 직선 경로부터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고착 방지홈(85)을 형성하여, 링크 기구(40)의 핀(43)이 가이드 홈(84)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84)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고착 방지홈(85)의 홈벽에 닿아서 관성체를 약간 회전시켜 주므로, 아웃 사이드 도어 핸들(20)이 팝업 될 때마다 관성체(80)가 회동 및 복귀 동작을 반복해서 관성체(80)가 고착될 일이 없게 된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관성체(80)의 일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86)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보스(38)에도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38a)가 형성될 수 있다.
관성체(80)의 서로 인접한 돌기(86) 사이에는 고정홈(87)이 형성되고, 보스(38)의 돌기(38a) 사이에도 고정홈(38b)이 구비된다.
차량이 측면 충돌을 받지 않은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관성체(80)는 압축 스프링(83)의 탄성력을 받아서 보스(38) 쪽으로 밀려지고 있고, 또한 관성체(80)의 돌기(86)들은 보스(38)의 돌기(38a)과 밀착하게 된다.
그런데, 측면 충돌이 발생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체(80)가 그 편심된 무게 중심으로 인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 운동 과정에 관성체(80)는 압축 스프링(83)의 축방향 푸시력도 받고 있는 바, 서로 밀착하고 있던 보스(38)의 돌기(38a)와 관성체(80)의 돌기(86)들이 관성체(80)의 회전으로 서로 어긋나면서 관성체(80)가 압축 스프링(83)의 푸시력에 의해 보스 쪽으로 이동하여, 보스(38)의 고정홈(38b)에 관성체(80)의 돌기(86)가 삽입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관성체(80)의 고정홈(87)에 보스(38)의 돌기(38b)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관성체(80)의 회전 운동은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성체(80)가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면, 도어의 개방을 위해 커넥팅 링크(44)의 핀(43)이 직선 운동하는 과정에 관성체(80)의 비틀어진(회전된) 가이드 홈(84)에 삽입되지 못하고, 관성체(80)와 충돌하게 되어, 아웃 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지 못함으로써, 차량의 도어 개방이 확실하게 방지되게 된다.
즉, 차량의 충돌 상황에서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이 충격력을 받아도, 관성체(80)의 링크 기구(40)에 대해 간섭 작용으로 도어 아우터 패널(10)로부터 돌출되지 못하여, 도어 래치의 작동이 불가하게 되므로, 도어가 개방되지 않아서 탑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충돌 상황이 종료된 이후에, 운전자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을 폭 방향 외측으로 당겨주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기구(40)의 핀(43)이 관성체(80)의 일측면에 닿은 상태에서, 운전자의 아웃사이드 동 핸들(20)의 조작력이 핀(43)을 통해 관성체(80)에 전달되어, 관성체(80)가 축방향을 따라 밀리게 된다.
이 때에 관성체(80)에는 압축 스프링(83)의 비틀림 복원력이 작용하여, 관성체(80)가 다시 폭 방향 내측으로 회전해서, 도 15에 도시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링크 기구(40)의 운동 과정에 관성체(80)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20)의 조작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운전자 혹은 탑승자의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충돌 과정에 개방 방지된 도어를 충돌 이후에 다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to 3, the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width of the vehicle beyond the door outer panel 10 through the opening 12 formed in the door outer panel 10. It may include an outside door handle 20 that protrudes outward or is accommodated in the opening so as to form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outer panel 10.
The outside door handle 20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30, which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door outer panel 1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outer panel 10, so as to accommodate the width of the vehicle. It can be installed to be movable in any direction.
The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side fastened to the outside door handle 20 and the other side supported by the housing 30 so that the outside door handle 2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may include a link mechanism 40 that moves the outside door handle 20 and an actuator 50 that applies operating force to the link mechanism 40 to move the outside door handle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link mechanism 40. .
The outside door handle 20 includes an outside door handle body 22 having a grip hole 21 so that a passenger can easily grasp it by inserting his or her hand; And it may include an outside handle base 23 that is coupled to the outside door handle body 22 and to which the link mechanism 40 is fastened.
An outside door handle cover 24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side door handle body 22.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outside door handle 20 to the door outer panel 10, the outside door handle cover 24 is firs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side door handle body 22, and the outside door handle ( 20) and serves to guide the outside door handle 20 to be assembled with a certain gap with respect to the opening 12 of the door outer panel 10, and the outside door handle 20 When installation is completed, the outside door handle cover 24 is removed from the outside door handle 20.
The outside door handle body 22 includes only an upper side 27 along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and an outer side 28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lower side along the vehicle height direction and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inner surface along the 22 is configured in an open form, so that when painting the outside door handle body 22, for example, when spray painting, painting work is facilitated, and the paint film is formed on the outside door handle body (22). 22), the exterior appearance of the outside door handle 20 can be improved.
A sealing cover 60 is interposed between the housing 30 and the door outer panel 1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rough the opening 12 of the door outer panel 10.
Referring to FIG. 4, the inner surface of the outside door handle base 23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includes a front boss 25 located at the fro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rear boss 26 located at the rear. is formed integrally, and penetrating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each of the front boss 25 and the rear boss 26, and one side of the link mechanism 40 can be fastened to each fastening hole with a pin 41. .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link mechanism 40 includes a front link 42,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front boss 25 with a pin 41, and the other end of the front link 42. A connecting link 44,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fastened with a pin 43,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44,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fastened with a pin 43,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rear boss 26. The rear link 45 is rotatably fastened to (43), one end is rotatably fastened with a pin 43 at a predetermined portion along the length of the rear link 45, and the other end is attached to the housing 30. It may include a support link 46 rotatably fastened with a pin 43.
Accordingly, the outside door handle 20, the front link 42, the connecting link 44, and the rear link 45 may form a four-bar link.
Referring to FIG. 6, when the connecting link 44 of the link mechanism 40 moves rea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50, the front link 42 and the rear link 45 As it unfol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outside door handle 20 protrud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outside door handle 20 protrudes further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an the door outer panel 10. By doing so, the passenger inserts his/her hand into the grip hole 21 of the outside door handle 20 and pulls the outside door handle 20, thereby releasing the door latch and opening the door.
Referring to Figures 7 and 8, when the connecting link 44 is moved by the actuator 50, two front guide holes 31 and a rear guide hole 31 are provided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connecting link 44. The guide hole 32 may be formed to penetrate one side of the housing 30 while being spaced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at is, the two guide holes 31 and 32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two guide holes 31 and 32 have two pins 43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link 44. )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the two pins 43 move along the guide holes 31 and 32, so that the connecting link 44 can be guided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y the actuator 50. There will be.
Meanwhile, at one end of the rear guide hole 32, an emergency hole 33 may be formed that is wider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an the width of the rear guide hole 32.
The emergency hole 33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rear guide hole 32.
Accordingly, when the actuator 50 does not operate for reasons such as failure or interruption of battery power supply, the occupant needs to manually operate the outside door handle 20.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outer panel 10 is stored inside the opening 12,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9, when the occupant presses the front portion of the outside door handle 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pin 43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44 is received inside the emergency hole 33, and the rear portion of the outside door handle 20 is positioned outside the door outer panel 1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 seesaw movement is performed to further protrude, so when the occupant holds the protruding rear portion of the outside door handle 20 with his hand and pulls it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outside door handle 20 moves toward the door outer panel 10. ), making it possible to open the locked door.
That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the actuator 50 is inoperable, the passenger can open the door by protruding (popping up) the outside door handle 20 by simply pressing the outside door handle 20 without a separate tool. Therefore, the marketability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support link 46 is connected to a spring (not shown), so that the spring moves the support link 46 clockwise (the outside door handle 20 moves the door outer panel 10 After the outside door handle 20 pops up and the support link 46 rotates counterclockwise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that pulls it in the direction accommodated inside the opening of the outside door handle 20 ) is released, the support link 46 is rotated clockwise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the rear link 45 and the connecting link 44 are rotated clockwise by the support link 46. ) and the front link 42 are linked, so that the popped up outside door handle 20 can be accommodated again inside the opening 12 of the door outer panel 10.
Referring to FIGS. 10, 11, and 3, the actuator 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ears accommodated in the actuator housing 51.
A plurality of gears include a drive gear 52 that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a drive motor (not shown), a driven gear 53 that engages and rotates with the drive gear, and a driven gear 53 that engages and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It may include a sector gear 54 that pushes the pin 43 fasten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link 44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One side of the sector gear 54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55 that contacts the pin 43 of the connecting link 44 and pushes the pin 43.
Accordingly, when the drive motor operates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the drive gear 52, driven gear 53, and sector gear 54 rotate sequentially to connect the connecting link 44 to the vehicle. By pushing rear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utside door handle 20 pops up from the door outer panel 20, and the occupant can open the door by manipulating the popped up outside door handle 20.
Meanwhile, the popped up outside door handle 20 can be stored in the opening 12 of the door outer panel by the revers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and the operation opposite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the actuator 50 and the link mechanism 40. You can.
Meanwhile, the door latch lever 70 for opening the door latch while rotat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nk mechanism 4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30, as shown in FIGS. 3 and 12. do.
The door latch lever 70 includes a rotating pin 71 that is inserted into a boss formed in the housing 30 and rotatably supported,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pin 71 and connected to the door latch by a cable or rod. It may include a lever body 72 in which a connection hole 74 is formed, and an arm 73 extending from the lever body 72 and arranged to overlap the path of the rear guide hole 32.
Accordingly, the pin 43 of the connecting link 44 pushes the arm 73 of the door latch lever 70 while moving along the rear guide hole 32, and the door latch arm 73 The door latch can be released by rotating around the pin 71 and pushing or pulling the cable or rod connected to the door latch.
Referring to FIGS. 12 and 13, a boss 3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ousing 30, an assembly hole is formed in the boss 34 into which the rotation pin 71 is inserted and supported, and the boss A stopper protrusion (35)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34) to regulat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ry pin (71)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and the rotary pin (71) also contacts the stopper protrusion (35) to prevent rotation of the rotary pin (71). )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75 that preven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rotrusion.
Accordingly, when the door latch lever 70 rotates by manipulating the outside door handle 20, the door latch lever 70 moves at a predetermined angle due to mutual contact between the stopper protrusion 35 and the protrusion 75. Rotational movement is only possible up to an angle.
In addition, a return regulating protrusion 3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ss 34, so that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arm 73, the arm 73 contacts the return regulating protrusion 36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It can be returned accurately.
Meanwhile, referring to FIG. 14, a front guide hole 31 and a rear guide hole 32 may be formed through the other side 37 of the housing.
The pins 43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link 44 are inserted through the guide holes 31 and 32 on one side and then into the guide holes 31 and 32 on the other side 37.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further than the side.
As shown in FIG. 15, an inertial body 8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37. A weight body 81 that increases the weight of the inertial body 80 may be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nertial body 80, but instead of coupling a separate weight body 81 to the inertial body 80, the inertial body 80 It can be configured to have an appropriate weight using only (80).
The pin shaft 82 can be coupl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inertial body 80 by penetrating the inertial body 80, and one end of the pin shaft 82 is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boss 38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37. It can be inserted and rotatably supported.
Additionally, the other end of the pin shaft 82 may be inserted through the support flange 39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37 and rotatably supported.
In addition, the pin shaft 82 is inserted through the compression spring 83, and one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is connected to the inertial body 80, whil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lange 39. It is connected in a hanging form, so that the inertial body 80 receives an elastic force by the compression spring 83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in shaft 82, and after the inertial body 80 receives an external force and rotates clockwise, it rotates again. It receives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83) in a 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16, a guide groove 84 extending from one edge of one side to the other edg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ertial body 80.
The guide groove 84 is formed to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n 43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44, so that the pin 43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84 and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84. You can move smoothly.
Therefore, as shown in FIG. 17, when the outside door handle 20 is deploy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pin 43 of the connecting link 44, which moves linearly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cts as an inertial body. It can move smoothly along the guide groove 84 of (80).
Meanwhile, the guide groove 84 forms a straight path, and a portion of it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traight path to form an anti-seizing groove 85, so that the pin 43 of the link mechanism 40 is connected to the guide groove 84. ) and rotates the inertial body slightly by touching the groove wall of the anti-seizure groove (85) when it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84), so whenever the outside door handle (20) pops up, the inertial body (80) By repeating the rotation and return operations, the inertial body 80 is prevented from becoming stuck.
Referring again to FIG. 15, one or more protrusions 86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ertial body 80 and protrude in the axi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rrespondingly, the boss 38 also has protrusions 86 in the axial direction. One or more protrusions 38a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may be formed.
A fixing groove 87 is formed between adjacent protrusions 86 of the inertial body 80, and a fixing groove 38b is also provided between the protrusions 38a of the boss 38.
In a normal situation where the vehicle has not suffered a side collision, the inertial body 80 is pushed toward the boss 38 by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83, and the protrusions 86 of the inertial body 80 are pushed toward the boss 38. )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sion (38a).
However, when a side collision occurs, as shown in FIG. 18, the inertial body 80 rotat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due to its eccentric center of gravity, and during this rotational movement, the inertial body 80 Since it is also receiving the axial push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83, the protrusion 38a of the boss 38 and the protrusion 86 of the inertial body 80, which we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rotate with the inertial body 80. While being misaligned, the inertial body 80 moves toward the boss by the push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83, and the protrusion 86 of the inertial body 8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38b of the boss 38. As the protrusion 38b of the boss 38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87 of the inertial body 80,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inertial body 80 cannot proceed any further, and the inertial body 80 is rotat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status will be maintained.
In this way, when the inertial body 80 is maintained in a state rotat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inertial body 80 is twisted in the process of straight movement of the pin 43 of the connecting link 44 to open the door. As it is not inserted into the (rotated) guide groove 84 and collides with the inertial body 80, the outside door handle 20 cannot protrude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reby ensuring the vehicle door opening. is prevented.
That is, in a vehicle collision situation, even if the outside door handle 20 receives an impact force, it cannot protrude from the door outer panel 10 due to the interference with the link mechanism 40 of the inertial body 80, thereby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latch. Since this becomes impossible, the door cannot be opened, thereby protecting the passengers more safely.
Meanwhile, after the collision situation ends, when the driver pulls the outside door handle 20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19, the pin 43 of the link mechanism 40 moves the inertial body 80. ), the operating force of the driver's outside handle 20 is transmitted to the inertial body 80 through the pin 43, and the inertial body 80 is pushed along the ax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torsional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83 acts on the inertial body 80, so that the inertial body 80 rotates inward again in the width direction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shown in FIG. 15, thereby forming the link mechanism ( Since the inertial body 8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process of 40), the door can be opened by manipulating the outside door handle 20.
In other words, the door that was prevented from opening during the collision can be opened again after the collision by simply manipulating the outside door handle by the driver or passenge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patent claims.

10: 도어 아우터 패널
20: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30: 하우징
40: 링크 기구
42: 프런트 링크
44: 커넥팅 링크
45: 리어 링크
50: 액츄에이터
52: 드라이브 기어
53: 드리븐 기어
54: 섹터 기어
60: 씰링 커버
70: 도어 래치 레버
80: 관성체
81: 중량체
82: 핀축
83: 압축 스프링
84: 가이드 홈
85: 고착 방지홈
86: 돌기
87: 고정홈
10: Door outer panel
20: Outside door handle
30: housing
40: link mechanism
42: front link
44: Connecting link
45: rear link
50: actuator
52: drive gear
53: Driven Gear
54: sector gear
60: sealing cover
70: Door latch lever
80: Inertial body
81: heavy body
82: pin axis
83: compression spring
84: Guide groove
85: Anti-seize groove
86: protrusion
87: Fixed groove

Claims (20)

차량의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혹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수납 가능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부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프런트 링크;
일단이 상기 프런트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넥팅 링크;
일단이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리어 링크; 및
상기 커넥팅 링크의 운동을 저지하거나 허용하는 관성체;
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들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일단과 타단들은 핀으로 각각 상기 프런트 링크 및 상기 리어 링크와 체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들에 상기 핀이 삽입되어 안내 이동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들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배치된 프런트 가이드 홀과 리어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n outside door handle that protrud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eyond the door outer panel constituting the door of the vehicle or can be stored in an opening formed in the door outer panel;
a front link rotatably connected at one end to a front portion of the outside door hand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 connecting link,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ront link and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 rear link,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utside door handle; and
an inertial body that blocks or allows movement of the connecting link;
Including,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in which the links are accommodated,
One or more guide holes are formed inside the housing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link,
One end and the other ends of the connecting link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ront link and the rear link with pins,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one or more guide holes and guided and moved,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wherein the one or more guide holes include a front guide hole and a rear guide hole arrang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리어 링크의 소정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 아우터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link,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rear link,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oor outer pan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과 상기 리어 링크의 일단이 체결되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안내 이동되는 상기 리어 가이드 홀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비상홀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비상홀의 폭은 상기 가이드 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An emergency hole into which the pin can be inserted and moved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rear guide hole into which the pin,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and one end of the rear link are connected, is inserted and guided;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emergency hole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guide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밀어주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n actuator that pushes the connecting link rear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
상기 드라이브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드리븐 기어; 및
상기 드리븐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팅 링크를 밀어주는 섹터 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In clause 7,
The actuator is
A drive gear that rotates by receiving external power;
a driven gear engaged with the drive gear and rotating; and
a sector gear meshing with the driven gear and rotating to push the connecting link;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와 상기 리어 링크는 핀으로 체결되고;
상기 섹터 기어에는 상기 핀을 밀어주는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8,
The connecting link and the rear link are fastened with pins;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tor gea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that pushes the p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은
탑승자가 손을 집어 넣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홀이 형성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 및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프런트 링크와 상기 리어 링크가 체결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outside door handle is
An outside door handle body with a grip hole so that the occupant can easily grasp it by inserting his or her hand; and
an outside handle base coupled to the outside door handle body and to which the front link and the rear link are fastened;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바디는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면 만을 포함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측면 및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은 구비하지 않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0,
The outside door handle body includes only an upper sid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n outer sid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does not include a lower sid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n inner side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 a 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에 의해 회전되어 도어 래치를 해방시키는 도어 래치 레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door latch lever that is rotated by the connecting link to release the door latch.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 레버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핀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리어 가이드 홀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2,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wherein the door latch lever is arranged to overlap the path of the rear guide hole so that it is rotated by a pin of the connecting link.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 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핀;
상기 회전핀과 일체로 형성되고 도어 래치와 케이블 혹은 로드로 연결되도록 연결홀이 형성된 레버 바디; 및
상기 레버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리어 가이드 홀의 경로와 오버랩되게 배치된 아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3,
The door latch lever is
a rotating pin rotatably supported in the housing;
A lever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pin and having a connection hole formed to connect the door latch with a cable or rod; and
an arm extending from the lever body and arranged to overlap the path of the rear guide hole;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comprising 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돌출하는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는 상기 회전핀의 소정 각도 이상의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스톱퍼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핀에도 상기 스톱퍼 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핀의 회전 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4,
A protruding boss is formed on the housing;
A stoppe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ss to regulat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on pin beyond a predetermined angle;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ry pi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that contacts the stopper protrusion to preven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ry pi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에는 리턴 규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이 리턴되는 과정에, 상기 리턴 규제 돌기에 상기 아암이 접촉되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5,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wherein a return regula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ss, and when the arm is returned, the arm contacts the return regulating protrusion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링크의 타단과 상기 리어 링크의 일단을 체결하는 상기 핀이 삽입되어 통과하는 가이드 홀이 상기 관성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pin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and one end of the rear link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inertial body.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체의 가이드 홀은 상기 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홀의 일부는 상기 핀의 이동 방향으로부터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핀이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상기 핀이 상기 가이드 홀의 측벽에 닿아서 상기 관성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7,
The guide hole of the inertial body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in,
A portion of the guide hole is formed to be bent from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in, so that when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and moves along the guide hole, the pin touches the side wall of the guide hole and moves the inertial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관성체가 축방향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팅 링크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관성체에 푸시력을 부여하고, 또한 상기 관성체에 일방향으로 회전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ertial body is installed in the housing to enable axial movement and rotation;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spring is installed in the housing to apply a pushing force to the inertial body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link and to provide a rotational restoring force in one direction to the inertial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체의 일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보스에도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관성체의 서로 인접한 돌기 사이에는 상기 보스의 돌기가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서로 인접한 돌기 사이에도 상기 관성체의 돌기가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One or more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ertial body, and one or more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boss formed in the housing, ;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of the boss is releasably inserted is formed between adjacent protrusions of the inertial body, and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of the inertial body is releasably inserted is also provided between adjacent protrusions of the boss. Features a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KR1020180139134A 2018-11-13 2018-11-13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KR1026639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134A KR102663985B1 (en) 2018-11-13 2018-11-13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134A KR102663985B1 (en) 2018-11-13 2018-11-13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462A KR20200055462A (en) 2020-05-21
KR102663985B1 true KR102663985B1 (en) 2024-05-07

Family

ID=7091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134A KR102663985B1 (en) 2018-11-13 2018-11-13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98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820B1 (en)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tractable handle system for vehicle
WO2018010939A1 (en) 2016-07-11 2018-0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Handle device with a surface-flush hand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6770B (en) * 2015-10-21 2021-10-26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Door handle of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820B1 (en)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tractable handle system for vehicle
WO2018010939A1 (en) 2016-07-11 2018-0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Handle device with a surface-flush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462A (en)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1229B1 (en)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KR101875658B1 (en)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EP3763904B1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s
CN108222713A (en) The control device for opening of leveling
KR102104888B1 (en) Auto flush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CN110273601A (en) The device for opening with linear actuators for motor vehicles
US20220194188A1 (en) Handle device for vehicle
US10995527B2 (en)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KR101946915B1 (en) Assembly of Flush Door Dandle for Vehicle
JP4598668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KR102663985B1 (en)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JP6972452B2 (en) Automotive door latch device
US4786091A (en) Device for locking detachable roof in motor vehicle
US11499348B2 (en) Power child lock device
KR20220031439A (en)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e assembly
US20200115935A1 (en)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CN112302437A (en) Electric door lock for vehicle
KR20200025511A (en) Inertia Linkage and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using the same
JP3358980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EP3575523A1 (en) Door lock device
KR20220031419A (en) Door opening prevention structure in vehicle collision
JP2024021300A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JP3314022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