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573B1 -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573B1
KR102663573B1 KR1020160104225A KR20160104225A KR102663573B1 KR 102663573 B1 KR102663573 B1 KR 102663573B1 KR 1020160104225 A KR1020160104225 A KR 1020160104225A KR 20160104225 A KR20160104225 A KR 20160104225A KR 102663573 B1 KR102663573 B1 KR 102663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main body
hole
guide assembly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19924A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573B1/en
Publication of KR20180019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9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57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와 본체부간 조립 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한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전력변환장치와 모터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전력변환장치로부터 연장된 3상 러그케이블에 접속되고, 상대적으로 연장 길이가 짧은 일측부와, 상기 일측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후 상기 모터로부터 연장된 링터미널에 접속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대적으로 연장 길이가 긴 타측부를 갖는 복수개의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가 각각 끼워지는 복수개의 삽입홀과,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홀이 관통되어 있는 버스바 끼움부와, 상기 버스바 끼움부 옆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출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를 서로 구획시키면서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채널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 vehicle to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between the bus bar and the main body, and is connected to a three-phase lug cable extending from the power convert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vehicle's power converter and the motor. , a plurality of bus bars having one side having a relatively short extension length and the other side having a relatively long extension length, which is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one side and extends horizontally to be connected to a ring terminal extending from the motor;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is respectively inserted, a bus bar fitting part through which the insertion hole penetrates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and an integrated part next to the bus bar fitting part. It is formed, extends from the outlet of the insertion hole, and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that partitions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from each other and includes a channel portion that guides the inse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Description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terminal guide assembly for automobile}Terminal guide assembly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교류 3상 전력을 전송하는 버스바 고정용 커버 없이 용이하게 버스바를 장착시킬 수 있게 한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 vehicle that allows easy mounting of a bus bar without a cover for fixing a bus bar that transmits alternating current three-phase power for driving a motor of a vehicle. will be.

최근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자동차 및 이 둘의 장점을 결합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환경차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Recently, environmentally friendly cars such as hybrid cars, electric cars, and plug-in hybrid cars that combine the advantages of both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이러한 환경차들은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AC 3상 전압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인 고전압 배터리의 DC 전압을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AC 3상 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가 필요하다.These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s require AC 3-phase voltage to drive the motor. Therefore, a device is needed to convert the DC voltage of the high-voltage battery, which is the power source, into AC three-phase voltage to drive the motor.

또한 차량에 쓰이는 12V 저전압으로도 변환을 위한 장치도 필요하다. 앞의 것을 인버터라 칭하고 뒤에 것을 LDC(Low DC-DC Converter)라 하며, 이 둘을 합쳐서 전력변환장치라 한다.Additionally, a device for conversion to the 12V low voltage used in vehicles is also needed. The former one is called an inverter and the latter one is called an LDC (Low DC-DC Converter), and the two together are called a power conversion device.

예컨대,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고전압배터리, 저전압배터리, 전력변환장치, 모터, 발전기, 엔진을 포함한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경우에는 충전기가 추가된다. 전기차의 경우에는 하이브리드 차량 대비 발전기와 엔진이 없는 대신 충전기가 추가되어 있다.For example,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a hybrid vehicle, a hybrid vehicle includes a high-voltage battery, a low-voltage battery, a power conversion device, a motor, a generator, and an engine. In the case of plug-in hybrids, a charger is added. Compared to hybrid vehicles, electric vehicles do not have a generator or engine, but a charger is added.

환경차에서 전력변환장치는 구동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이고, 또한 이러한 전력변환장치 또는 모터에 전력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부품들도 내구성 있게 제조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조립성도 매우 중요할 수 있다.In eco-friendly vehicles, the power conversion device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driving system, and parts for smoothly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conversion device or motor must not only be manufactured to be durable, but also assembly can be very important.

예컨대, 모터의 전력 공급은 고전압배터리, 전력변환장치(예: LDC, 인버터) 및 모터의 순으로 이루어지며, 각 부품에서 부품으로 전력공급은 고전압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력전달을 한다.For example, power supply to a motor is accomplished in the following order: high-voltage battery, power conversion device (e.g., LDC, inverter), and motor, and power is supplied from each component to each component using a high-voltage cable.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력변환장치에서 모터로 전력공급시에는 일반적으로 3상 러그케이블 또는 3상 고전압케이블을 이용한다. 여기서, 러그케이블은 미리 정해져 있는 길이의 케이블과 같은 전선과, 전선의 양단에 전기적 연결되며 볼트 체결용 볼트 구멍을 갖는 러그(lugs)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supplying power from a power conversion device to a motor, a three-phase lug cable or a three-phase high voltage cable is generally used. Here, the lug cable is composed of a cable-like wire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lug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re and have bolt holes for fastening bolts.

모터로 인가되는 전력은 3상 러그케이블,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 링터미널, 코일 순으로 흐르게 되며, 이로써, 모터가 구동을 시작한다. 발전의 경우에는 역순으로 이루어진다.The power applied to the motor flows in the following order: 3-phase lug cable, terminal guide assembly, ring terminal, and coil, and the motor starts to drive. In the case of power generation, it happens in the reverse order.

종래 기술에 따른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는 3상 러그케이블과 링터미널간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연결통로 역할을 한다. 만일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 없이 3상 러그케이블과 링터미널이 직결되면, 3상 인출부 코일을 지지하는 부분이 없게 되므로 절연상 문제가 될 수 있다.The terminal gui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serves as a connecting passage for current to flow between the three-phase lug cable and the ring terminal. If a three-phase lug cable and a ring terminal are directly connected without a terminal guide assembly, there may be an insulation problem because there is no part to support the three-phase outlet coil.

종래 기술에 따른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구조와 같이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3상별 가이드홈(1)의 상부(상면)가 위쪽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터미널 블록(2)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terminal gui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terminal block (2) in which the upper part (upper surface) of the three-phase guide groove (1) is formed with a step like a staircase structure and is open upward. Includes.

터미널 블록(2)에는 웰드 너트(3, 4)가 설치된다. 웰드 너트(3, 4) 중 어느 하나는 터미널 블록(2)의 각 가이드홈(1)의 일측 끝단의 상면에 형성된 일측 너트안착부(5)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각 가이드홈(1)의 타측 끝단의 측면에 형성된 타측 너트안착부(6)에 설치된다.Weld nuts (3, 4) are installed in the terminal block (2). One of the weld nuts (3, 4) is installed in one nut seating portion (5)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end of each guide groove (1) of the terminal block (2), and the other is installed in each guide groove (1) It is installed on the other nut seating portion (6) formed on the side of the other end.

종래 기술에 따른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는 각 가이드홈(1) 별로 안착되도록, 가이드홈(1)의 계단 형상에 대응하게 절곡된 금속 스트립 형상의 버스바(7)와, 터미널 블록(2)의 형상 구조를 고려하여 별도의 사출 성형에 의해 만들어지는 버스바 커버(8)를 포함한다. 여기서, 버스바(7)는 일종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터미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의 하위 부속품에 해당될 수 있다.The terminal gui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bus bar 7 in the shape of a metal strip bent to correspond to the step shape of the guide groove 1 so that each guide groove 1 is seated, and a shape structure of the terminal block 2. In consideration of this, it includes a bus bar cover (8) made by separate injection molding. Here, the bus bar 7 serves as a terminal for a kind of electrical connection and may correspond to a lower accessory of the terminal guide assembly.

종래 기술의 버스바 커버(8)는 모든 버스바(7)의 상면 및 가이드홈(1) 주변을 기준으로 터미널 블록(2)의 중간 부위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다. 이런 종래 기술의 버스바 커버(8)는 터미널 블록(2)에 마련된 복수개의 걸림턱에 각각 조립되는 걸림편(9)을 구비하고 있다.The bus bar cover 8 of the prior art has an area that can cover the upper surfaces of all bus bars 7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terminal block 2 around the guide groove 1. The bus bar cover 8 of this prior art is provided with locking pieces 9 that are respectively assembled on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provided on the terminal block 2.

이러한 종래 기술의 버스바 커버(8)는 터미널 블록(2)에 조립되어서, 가이드홈(1) 별로 버스바 커버(8)과 터미널 블록(2)의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버스바(7)를 고정하는 역할 및 이물질 유입 방지 역할을 담당한다.The bus bar cover 8 of this prior art is assembled to the terminal block 2,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us bars 7 interposed between the bus bar cover 8 and the terminal block 2 for each guide groove 1. It plays a role in fixing and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에서 버스바 커버가 별도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버스바를 가이드홈에 각각 안착시켜주는 조립 과정 이후, 별도로 버스바 커버를 터미널 블록에 더 조립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만일 버스바 커버가 없다면 버스바는 가이드홈에 고정되지 않는다.However, since the bus bar cover is manufactured separately in the terminal gui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ly assemble the bus bar cover to the terminal block after the assembly process of seating each bus bar in the guide groove. If there is no bus bar cover, the bus bar is not fixed to the guide groove.

또한, 종래 기술의 버스바 커버는 버스바를 압착 구조로 고정하기 위한 버스바 커버의 걸림편을 개별적으로 터미널 블록의 걸림턱에 각각 결착시키야 하므로, 조립이 복잡하고, 걸림편 및 걸림턱들 중 일부가 미체결될 수 있는 조립 불량이 발생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us bar cover of the prior art requires the locking pieces of the busbar cover to be individually fastened to the locking protrusions of the terminal block for fixing the bus bar in a compression structure, so assembly is complicated, and some of the locking pieces and protrusions are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prone to assembly defects that may result in non-fastening.

또한, 종래 기술의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는 버스바 커버를 별도로 터미널 블럭에 조립하는 방식이므로, 부품 조립 과정에서 버스바의 표면과 버스바 커버의 내표면 사이에 이물이 유입되기 쉽다. 즉, 이물질이 유입된 상태로 버스바와 터미널 블록간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rminal guide assembly of the prior art is a method of assembling the bus bar cover separately to the terminal block, foreign matter is likely to enter between the surface of the bus ba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us bar cover during the component assembly process. In other words, assembly between the bus bar and the terminal block can be performed with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즉, 버스바 커버는 자동차에 설치되어 사용하는 도중 이물질 유입 방지의 수단으로 사용되지만, 조립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이물질 유입으로 인하여 상간 절연이 되지 않아서, 결국 별도 제작 후 조립되는 버스바 커버로 인해 버스바의 절연파괴가 일어나는 아이러니컬한 상황이 조립 과정 및 제조 후 테스트 과정에서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다.In other words, the bus bar cover is installed on the car and used as a means of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during use. However, due to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that may occur during the assembly process, the bus bar cover is not insulated between phases, so the bus bar cover is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assembled. An ironic situation in which insulation breakdown occurs during the assembly process and post-manufacturing testing process.

이렇게 종래 기술에서는 이물질 방지를 위해 버스바 커버를 별도로 제작하여 터미널 블록에 조립시켰지만, 그 조립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실제로 버스바 커버로 인한 절연파괴 문제가 발생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prior art, a bus bar cover was manufactured separately and assembled on the terminal block to prevent foreign matter, but the assembly work was very complicated and an insulation breakdown problem actually occurred due to the bus bar cover, so a means to solve this problem was needed. Development is urgently required.

본 발명 목적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버스바를 삽입홀에 끼우는 것만으로 버스바의 조립 및 고정이 이루어져서 버스바 조립을 단순히 할 수 있고, 조립 공정상에 소요되는 비용 증가 문제를 해소하면서, 조립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situation, and the bus bar can be assembled and fixed simply by inserting the bus bar into the insertion hole, so that the bus bar can be simply assembled, and the problem of increased cost during the assembly process is solved. The goal is to provide a terminal guide assembly for vehicles that can prevent assembly errors while eliminating the problem.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는, 자동차의 전력변환장치와 모터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전력변환장치로부터 연장된 3상 러그케이블에 접속되고, 상대적으로 연장 길이가 짧은 일측부와, 상기 일측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후 상기 모터로부터 연장된 링터미널에 접속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대적으로 연장 길이가 긴 타측부를 갖는 복수개의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가 각각 끼워지는 복수개의 삽입홀과,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홀이 관통되어 있는 버스바 끼움부와, 상기 버스바 끼움부 옆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출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를 서로 구획시키면서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채널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The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a three-phase lug cable extending from the power conversion device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power conversion device of the vehicle and the motor, and is relatively extended. a plurality of bus bars having one side that is short in length and the other side that is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one side and extends horizontally to be connected to a ring terminal extending from the motor, and has a relatively long extension length;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is respectively inserted, a bus bar fitting part through which the insertion hole penetrates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and an integrated part next to the bus bar fitting part. It is formed, extends from the outlet of the insertion hole, and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that partitions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from each other and includes a channel portion that guides the inse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상기 본체부의 상기 채널부는,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가 놓여지는 각각의 안착면의 양측 위치에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버스바 끼움부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제 1 가이드벽을 포함한다.The channel portion of 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guide wall that protrudes relatively mor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us bar fit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positions on both sides of each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is placed.

상기 본체부의 상기 채널부의 상기 안착면은,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가 놓여지는 기준표면; 및 상기 버스바와 접속되기 위한 상기 링터미널과의 두께 간섭을 없애도록, 상기 기준표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단차표면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seating surface of the channel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reference surface o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is placed; and a stepped surface formed relatively lower than the reference surface to eliminate thickness interference with the ring terminal for connection to the bus bar.

상기 채널부의 상기 안착면의 상기 기준표면에는, 상기 링터미널과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볼트가 체결되는 제 1 웰드 너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웰드 너트와 상기 단차표면의 사이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표면에는 경사걸림턱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걸림턱은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을 기준으로 하경사구배를 갖는다.A first weld nut to which a first bol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ing terminal and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is fastened is installed on the reference surface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channel portion, and the first weld nut and the An inclined stopper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eference surface based on the position between the step surfaces, and the inclined stopper has a downward slope based o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 끼움부의 상기 삽입홀을 통과한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웰드 너트의 중심 방향과 일치되도록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제 1 볼트 통과홀; 및 상기 제 1 볼트 통과홀과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걸림턱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제 1 볼트 통과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걸림홀;을 포함한다.The bus ba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bus bar fitting, and penetrat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to coincide with the center direction of the first weld nut. first bolt through hole; And i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lt through hole and the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penetrat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inclined locking protrusion, and has a diameter of the first bolt through hole. It includes a locking hole having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가 상기 버스바 끼움부의 삽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경사걸림턱의 하경사구배를 따라 상기 경사걸림턱을 타고 넘을 때 탄성 변형되고, 상기 경사걸림턱에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상기 걸림홀이 끼워질 때 상기 탄성 변형으로부터 원래 상태로 복원되며, 상기 걸림홀과 상기 경사걸림턱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로부터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The bus bar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bus bar fitting and rides over the inclined stopper along the downward slope of the inclined stopper, and is attached to the inclined stopper. When the locking hole on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is inserted, the original state is restored from the elastic deformation, and separation from the main body can be prevented by the locking hole and the inclined locking protrusion.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버스바의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형성된 절곡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버스바 끼움부의 삽입홀의 입구의 저부에 형성된 모따기면(chamfer surface)과, 상기 버스바 끼움부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볼트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트 장착부에는, 상기 3상 러그케이블과 상기 버스바의 일측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2 볼트가 체결되는 제 2 웰드 너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웰드 너트의 너트 구멍 방향이 상기 버스바의 일측부의 제 2 볼트 통과홀과 일치되어 있다.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chamfer surfac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let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bus bar fitting based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ent portion form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and a bottom of the bus bar fitting portion. It further includes a bolt mounting part integrally formed in the bolt mounting part, and a second weld nut to which a second bolt is fasten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hree-phase lug cable and one side of the bus bar is installed, and the second weld nut is installed in the bolt mounting part. 2 The direction of the nut hole of the weld nut is consistent with the second bolt through hole on one side of the bus bar.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버스바의 일측부를 서로 구획하도록, 상기 볼트 장착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 2 가이드벽을 더 포함한다.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guide wall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lt mounting portion to partition one side of the bus bar from each other.

상기 본체부는, 상기 채널부의 양측 외표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를 자동차에 설치하기 위한 부시(bush) 조립용 구멍을 갖는 설치돌기를 더 포함한다.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out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channel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n installation protrusion having a hole for assembling a bush for installing the main body portion in an automobile.

상기 설치돌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돌기의 상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채널부의 제 1 가이드벽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설치돌기의 저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볼트 장착부의 저면으로부터 이격 높이만큼 더 높게 위치되어 있다.The installation protrus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upper part of the installation protrusion protrudes mor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wall of the channel part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protrusion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lt mounting part of the main body part. It is located higher.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는, 본체부에 일체형으로 버스바 끼움부 및 경사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버스바 끼움부의 삽입홀에 버스바를 끼운 후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도, 버스바의 걸림홀이 경사걸림턱에 고정되고, 삽입홀 내에 위치되는 버스바의 해당 부위가 버스바 끼움부에 감싸져서 보호될 수 있고, 단순히 삽입하는 과정만으로 본체부와 버스바를 상호 조립 가능함에 따라서, 조립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s bar fitting portion and an inclined locking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in the main body, so that the catching hole of the bus bar is opened just by inserting the bus bar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bus bar fitting portion and then pushing it in.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bus bar, which is fixed to the inclined stopper and located in the insertion hole, can be protected by being wrapped around the bus bar fitting, and the main body and the bus bar can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simply through the insertion process, making assembly and fixation eas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do.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는, 기존의 버스바 커버를 조립하는 공정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전체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의 조립 공정을 상대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고, 조립 과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버스바 커버의 삭제로 인한 중량을 저감시키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vehicle terminal gui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liminate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existing bus bar cover, so the assembly process of the entire vehicle terminal guide assembly can be relatively simplifi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assembly process can be improv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the weight can be reduced by removing the bus bar cover, and the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체부의 배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 A-A의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gui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terminal guide assembly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rear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ure 2;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in the mentioned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addition is not excluded.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체부의 배면도이다.In the drawing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 vehicle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rear view of the main body portion shown in FIG. 3. It is also a degre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는 크게 3상 전력을 전송하기 위하여, 복수개(예: 3개)의 버스바(100)와 1개의 본체부(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2 to 4, the vehicle terminal guide assembl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largely includes a plurality of (e.g., three) bus bars 100 and one main body portion 200 in order to transmit three-phase power. Includes.

3개의 버스바(100)와 1개의 본체부(200)를 포함한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는 자동차의 전력변환장치(미 도시)와 모터(미 도시)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동차는 차량을 지칭하나, 이외에도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를 사용하거나 혹은 적용하고 있는 제품 자체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vehicle terminal guide assembly including three bus bars 100 and one main body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a power conversion device (not shown) and a motor (not shown) of the vehicle. In this embodiment, the automobile refers to a vehicle, but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a general name for the product itself that uses or is applied to the terminal guide assembly to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각 버스바(100)는 절곡된 일측부(110)(수직 방향 부위) 및 타측부(120)(수평 방향 부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성 변형 및 복원 성능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each bus bar 100 is composed of a bent one side 110 (vertical portion) and the other side 120 (horizontal portion), and has elastic deformation and restoration performance. It is made of metal material.

여기서, 각 버스바(100)의 일측부(110)는 전력변환장치로부터 연장된 3상 러그케이블(10)에 접속되고, 상대적으로 연장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버스바(100)의 타측부(120)의 길이는 일측부(1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고, 타측부(120)가 탄성 변형 및 복원 성능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기에 설명할 바와 같이, 버스바(100)의 타측부(120)는 탄성 변형 이후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Here, one side 110 of each bus bar 100 is connected to the three-phase lug cable 10 extending from the power conversion device, and the extension length is formed to be relatively short.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100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ne side 110, and because the other side 1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elastic deformation and restoration performance, as follows. As will be described,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100 may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fter elastic deformation.

또한, 각 버스바(100)의 타측부(120)는 상기 일측부(110)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후 상기 모터로부터 연장된 링터미널(20)에 접속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고, 일측부(110)에 비하여 타측부(120)의 연장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120 of each bus bar 100 is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one side 110 and then extends horizontally to be connected to the ring terminal 20 extending from the motor, and the one side 110 Compared to the other side portion 120, the extension length is formed to be relatively lon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부(200)는 고내열성이면서도 절연성 및 기계적 강도가 큰 고분자 재료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플라스틱 재질(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멘즈이미다졸(PBI),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서 확인될 수 있는 형상 또는 구조를 갖도록 사출되어서, 일체형 몸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main body 200 is made of any one plastic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of polymer materials that are highly heat-resistant and have high insulation and mechanical strength (e.g., engineering plastic materials, polyamide-imide (PAI), polyether). It is formed of any one of etherketone (PEEK), polymenzimidazole (PBI), and polyphenylene sulfide (PPS), and is injected to have a shape or structure that can be confirmed in the drawing, so that it has the shape of an integrated body. You can have

도 4에 보이듯이, 본체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버스바(100)의 타측부(120)가 각각 끼워지는 복수개(예: 3개)의 삽입홀(211)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 the main body 200 includes a plurality of (eg, three) insertion holes 211 into which the other side portion 120 of the bus bar 100 shown in FIG. 3 is respectively inserted.

또한, 본체부(200)는 버스바(100)의 타측부(120)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홀(211)이 관통되어 있는 버스바 끼움부(21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200 includes a bus bar fitting portion 210 through which the insertion hole 211 penetrates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other side portion 120 of the bus bar 100.

버스바 끼움부(210) 및 그의 삽입홀(211)의 역할은 버스바(100)의 조립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삽입홀(211)에 삽입된 해당 버스바(100)의 부위는 버스바 끼움부(210)에 의해 지지 및 보호되어서, 절연 성능이 발휘된다. 이를 위해서, 버스바 끼움부(210) 및 삽입홀(211)은 본체부(2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즉, 버스바 끼움부(210)는 기존과 같이 별도의 커버로 제작될 필요가 없으므로, 본체부(200)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조 과정에서 별도의 커버 조립에 따른 이물질 유입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고, 버스바(100)에 대한 조립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The role of the bus bar fitting portion 210 and its insertion hole 211 is to guide the assembly of the bus bar 100. The portion of the bus bar 10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11 is supported and protected by the bus bar fitting portion 210, thereby providing insulation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he bus bar fitting part 210 and the insertion hole 211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200. That is, the bus bar fitting part 210 does not need to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cover as befor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the main body 200,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due to separate cover assembly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play a role in simplifying the assembly of the bus bar 100. can do.

또한, 본체부(200)는 버스바 끼움부(210) 옆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채널부(220)를 포함한다. 채널부(220)는 상기 삽입홀(211)의 출구(211a)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버스바(100)의 타측부(120)를 서로 구획시키면서 상기 버스바(100)의 타측부(120)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200 includes a channel portion 220 formed integrally next to the bus bar fitting portion 210. The channel portion 220 extends from the outlet 211a of the insertion hole 211 and separates the other side portion 120 of the bus bar 100 from each other. It plays a role in guiding insertion.

삽입홀(211)은 도 4에 도시된 본체부(200)의 배면쪽 입구(211b)로부터 버스바 끼움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도 3에 도시된 삽입홀(211)의 출구(211a)까지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삽입홀(211)은 버스바 끼움부(210)의 상면, 양측면 및 저면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삽입홀(211)의 출구(211a) 및 입구(211b)는 개방되어 있다.The insertion hole 211 extends from the rear inlet 211b of the main body 200 shown in FIG. 4 to the outlet of the insertion hole 211 shown in FIG. 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s bar fitting portion 210 ( It is connected penetratingly up to 211a). At this time, the insertion hole 211 is closed by the top, both sides, and bottom of the bus bar fitting portion 210, and the outlet 211a and the inlet 211b of the insertion hole 211 are open.

또한, 삽입홀(211)의 구멍 단면은 삽입 공차를 제외하고 버스바(100)의 두께 단면과 대등하게 형성되어서, 삽입 공차보다 큰 이물질의 유입을 원천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ole cross section of the insertion hole 211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thickness cross section of the bus bar 100 excluding the insertion tolerance, making it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larger than the insertion tolerance.

도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체부(200)의 채널부(220)는 버스바(100)의 타측부(120)가 놓여지는 각각의 안착면(221)의 양측 위치에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버스바 끼움부(210)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제 1 가이드벽(2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면(221)이 총 3개 인 것을 고려할 때, 각 안착면(221)을 기준으로 제 1 가이드벽(224)은 총 4개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As can be seen through Figure 3, the channel portion 220 of the main body portion 200 i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each seating surface 221 on which the other side portion 120 of the bus bar 100 is placed relative to the vertical direction. It includes a first guide wall 224 that protrudes relatively mor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us bar fitting portion 210. Here, considering that there are a total of three seating surfaces 221, a total of four first guide walls 224 may be formed based on each seating surface 221.

제 1 가이드벽(224)은 버스바(100)의 타측부(120)의 삽입 또는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제 1 가이드벽(224)은 버스바(10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내부 설치 공간에 존재하는 구조물(미 도시)이 본체부(200)에 접촉하더라도, 제 1 가이드벽(224)의 끝단에 먼저 접촉할 뿐 버스바(100)의 타측부(120)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게 하는 간격 유지구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guide wall 224 serves to guide the insertion or movement of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100. In addition, since the first guide wall 224 protrudes relatively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bus bar 100, even if a structure (not shown) existing in the interior installation space of the vehicle contacts the main body 200, the first guide wall 224 It can also serve as a gap maintainer that only contacts the end of the guide wall 224 first and prevents it from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100.

본체부(200)의 채널부(220)의 안착면(221)은 해당 버스바(100)의 개수에 대응하게 3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안착면(221)은 버스바(100)의 타측부(120)가 놓여지고, 상기 타측부(120)의 저면에 밀착되는 기준표면(222)을 포함한다.There may be three seating surfaces 221 of the channel portion 220 of the main body portion 20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us bars 100. Each seating surface 221 includes a reference surface 222 on which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100 is placed an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other side 120.

또한, 안착면(221)은 버스바(100)와 접속되기 위한 도 2에 도시된 링터미널(20)과의 두께 간섭(예: 링터미널(20)에서 전선을 감싸는 원형 부위가 단자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기 때문에 발생하는 두께 간섭)을 없애도록, 상기 기준표면(222)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단차표면(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단차표면(223)은 안정되게 링터미널(20)을 지지하면서도, 링터미널(20)의 단자면이 버스바(100)의 타측부(12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착면(221)의 기준표면(222)과 삽입홀(211)의 바닥면은 동일한 레벨을 가지고 있으므로, 버스바(100)의 타측부(120)의 삽입 방향이 직선 방향과 동일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버스바(100)의 삽입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surface 221 has a thickness that interferes with the ring terminal 20 shown in FIG. 2 for connection to the bus bar 100 (e.g., the circular area surrounding the wire in the ring terminal 20 is relative to the terminal thickness).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surface 223 formed relatively lower than the reference surface 222 to eliminate thickness interference caused by the thickness. In particular, the stepped surface 223 can stably support the ring terminal 20 and help the terminal surface of the ring terminal 20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100. There is an advantage. In addition, since the reference surface 222 of the seating surface 22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211 are at the same level,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100 is the same as the straight line direction. , As a result, insertion and assembly of the bus bar 100 can be facilitated.

또한, 채널부(220)의 안착면(221)의 기준표면(220)에는 제 1 웰드 너트(230)가 설치되어 있고, 경사걸림턱(24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걸림턱(240)은 버스바(100)를 본체부(2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a first weld nut 230 is installed on the reference surface 220 of the seating surface 221 of the channel portion 220, and an inclined locking protrusion 240 is formed integrally. The inclined stopper 240 serves to secure the bus bar 100 to the main body 200.

제 1 웰드 너트(230)는 채널부(220)의 기준표면(220)별로 배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해당 너트 설치홈부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weld nut 230 is arranged for each reference surface 220 of the channel portion 220 and is installed to be seated in the corresponding nut installation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 웰드 너트(230)는 도 2에 도시된 링터미널(120)과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12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볼트(미 도시)가 체결되는 곳에 해당한다.The first weld nut 230 corresponds to a place where a first bolt (not show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ing terminal 120 shown in FIG. 2 and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is fastened.

또한, 경사걸림턱(240)은 기준표면(220)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제 1 웰드 너트(230)와 상기 단차표면(223)의 사이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표면(222)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clined stopping protrusion 240 protrudes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reference surface 220, and is positioned at the reference surface 222 based on the position between the first weld nut 230 and the step surface 223. It is formed as one piece.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 A-A의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ure 2.

도 5를 참조하면, 경사걸림턱(240)은 버스바(100)의 타측부(120)의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을 기준으로 하경사구배(s)를 갖는다. 이때, 하경사구배(s)의 시작점은 경사걸림턱(240)의 경사면 아래쪽 부위와 본체부(200)의 채널부(220)의 안착면(221)이 만나는 지점에 해당한다. 또한, 하경사구배(s)의 끝점은 경사걸림턱(240)의 경사면 위쪽 부위와 버스바(100)의 걸림홀(102)의 상면테두리가 만나기 직전의 지점에 해당하고, 이때, 적어도 경사걸림턱(240)의 경사면 위쪽 부위는 상기 걸림홀(102)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즉, 경사걸림턱(240)의 돌출 높이는 적어도 버스바(1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링터미널(20)의 저면이 볼트 조립에 의해서 버스바(100)의 타측부(120)의 상면에 물리적으로 완벽하게 접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inclined stopping protrusion 240 has a downward slope s based o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other side portion 120 of the bus bar 100. At this time, the starting point of the lower slope gradient (s) corresponds to the point where the lower part of the slope of the inclined stopper 240 and the seating surface 221 of the channel part 220 of the main body part 200 meet. In addition, the end point of the lower slope slope (s) corresponds to the point just before the upper part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locking protrusion 240 and the upper edge of the locking hole 102 of the bus bar 100 meet, and at this time, at least the slope locking step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hin 240 may not protrude outward from the locking hole 102. That is,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inclined stopper 240 may be formed to be at least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us bar 100. Accordingly, the bottom surface of the ring terminal 20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can be perfectly physically contacted with the top surface of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100 by assembling bolts.

즉, 상기 경사걸림턱(240)이 링터미널(20)과 버스바(100)간 접촉에 장애물로 작용되지 않을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링터미널(20)과 버스바(100)의 타측부(120)의 접촉 품질이 보장될 수 있다.That is, the inclined stopping protrusion 240 may not act as an obstacle to contact between the ring terminal 20 and the bus bar 100, and as a result, the other side of the ring terminal 20 and the bus bar 100 (120) contact quality can be guaranteed.

도 3을 참조하면, 각 버스바(100)는 제 1 볼트 통과홀(101), 걸림홀(102), 제 2 볼트 통과홀(10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each bus bar 100 includes a first bolt through hole 101, a catching hole 102, and a second bolt through hole 103.

제 1 볼트 통과홀(101)은 버스바 끼움부(210)의 삽입홀(211)을 통과한 버스바(100)의 타측부(120)에 형성되며, 제 1 웰드 너트(230)의 중심 방향과 일치되도록 상기 버스바(100)의 타측부(12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The first bolt passing hole 101 is formed on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100 that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211 of the bus bar fitting 210, and is locate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first weld nut 230. It is penetr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100 so as to coincide with .

걸림홀(102)는 제 1 볼트 통과홀(101)과 버스바(100)의 타측부(120)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며, 경사걸림턱(240)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상기 버스바(100)의 타측부(12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제 1 볼트 통과홀(10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다.The locking hole 10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lt through hole 101 and the end of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100, and is positioned on the bus bar 100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inclined locking protrusion 240. It penetrates the other side portion 1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has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bolt through hole 101.

도 3 내지 도 5에 보이듯이, 본체부(200)는 버스바 끼움부(210)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볼트 장착부(250)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3 to 5 , the main body 200 further includes a bolt mounting portion 250 integral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us bar fitting portion 210.

여기서, 볼트 장착부(250)에는 3상 러그케이블(10)(도 2 참조)과 버스바(100)의 일측부(11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2 볼트(미 도시)가 체결되는 제 2 웰드 너트(260)가 설치되어 있다.Here, a second bolt (not show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hree-phase lug cable 10 (see FIG. 2) and one side 110 of the bus bar 100 is fastened to the bolt mounting portion 250. A weld nut (260) is installed.

제 2 웰드 너트(260)는 해당 삽입홀(211) 각각의 아래쪽에 해당하는 볼트 장착부(260)의 배면쪽 측면에 배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해당 너트 설치홈부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있다.The second weld nut 26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bolt mounting portion 260 below each of the insertion holes 211, and is installed to be seated in the nut installation groov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따라서, 제 2 웰드 너트(260)의 너트 구멍 방향은 상기 버스바(100)의 일측부(110)의 제 2 볼트 통과홀(103)과 일치되어 있다. 제 2 웰드 너트(260)의 배치 방향은 버스바(100)의 일측부(110)의 내측면에 대향될 수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direction of the nut hole of the second weld nut 260 is consistent with the second bolt through hole 103 of one side 110 of the bus bar 100.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weld nut 260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direction that can be opposed to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110 of the bus bar 100.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100)의 일측부(110)와 타측부(120)는 절곡 또는 벤딩 가공에 의해 제작되기 때문에, 일측부(110)와 타측부(120) 사이에는 벤딩 가공에 의한 미리 정한 곡율을 갖는 절곡부(115)가 형성된다. 여기서, 절곡부(115)는 버스바(100)의 일측부(110)의 내측면에 본체부(200)의 표면에 밀착되는 것을 방해하는 조립 저해 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립 저해 요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절곡부(115)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버스바 끼움부(210)의 삽입홀(211)의 입구(211b)의 저부에는 모따기면(211c)(chamfer surface)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모따기면(211c)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상기 절곡부(115)가 수용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버스바(100)의 일측부(110)의 내측면은 본체부(200)의 표면에 완전 밀착될 수 있고, 버스바(100)의 변형을 줄이면서, 조립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5, since one side 110 and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100 are manufactured by bending or bending, there is a space between one side 110 and the other side 120. A bent portion 115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is formed by bending processing. Here, the bent portion 115 may act as an assembly-impeding element that prevents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110 of the bus bar 100 from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Therefore, in order to remove this assembly-impairing element, a chamfered surface 211c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let 211b of the insertion hole 211 of the bus bar fitting portion 210 based o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ent portion 115 ( A chamfer surface is formed more. Since the bent portion 115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chamfered surface 211c,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110 of the bus bar 100 will be in complet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It is possible to maximize assembly performance while reducing deformation of the bus bar 100.

또한, 본체부(200)는 상기 볼트 장착부(25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 2 가이드벽(251)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가이드벽(251)은 버스바(100)의 일측부(110)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가이드벽(251)은 버스바(100)의 일측부(110)를 서로 구획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버스바(100) 끼리 서로 통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20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guide walls 251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lt mounting portion 250. Here, the second guide wall 251 may be disposed between one side portion 110 of the bus bar 100. Accordingly, the second guide wall 251 plays the role of dividing one side 110 of the bus bar 100 from each other, and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bus bars 100 from conducting electricity to each other.

또한, 본체부(200)는 앞서 설명한 채널부(220)의 양측 외표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200)를 자동차에 설치하기 위한 부시(bush) 조립용 구멍을 갖는 설치돌기(270)를 더 포함한다. 설치돌기(270)는 본체부(200)의 양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총 2개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최적 설계로 인한 개수일 뿐, 그의 개수 및 형성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내용으로만 한정되지 않을 수 있고, 본체부(20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기준에 따라 다양화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2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channel part 220 described above, and has an installation protrusion 270 having a hole for assembling a bush for installing the main body 200 in a car. ) further includes. The installation protrusions 270 are formed integrally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00 and consist of a total of two, but this is only the number due to optimal design, and their number and formation posi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It can also be diversified depending on the standards for stably fixing the main body 200.

예컨대, 각 설치돌기(27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돌기(270)의 상부는 본체부(200)의 채널부(220)의 제 1 가이드벽(224)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어 있고, 설치돌기(270)의 저부는 본체부(200)의 볼트 장착부(25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 높이(h)(도 4 참조)만큼 더 높게 위치되어 있다.For example, each installation protrusion 27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protrusion 270 protrudes furt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wall 224 of the channel portion 220 of the main body portion 200,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protrusion 270 is located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bolt mounting portion 250 of the main body 200 by the separation height h (see FIG. 4).

이렇게 설치돌기(27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써, 본체부(200)의 중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고, 본체부(200)가 설치될 위치의 대상 구조물에 대응하여 형상적으로 교합됨으로써, 본체부(200)가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Since the installation protrusion 270 is formed in this way, the weight of the main body 200 can be relatively reduced, and the main body 200 is geometrically engaged with the target structure at the location where it is to be installed, so that the main body 200 ( 200) can be installed stably.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 버스바(100)는 본체부(200)의 삽입홀(211)에 삽입시키고, 결착될 때까지 밀어 넣는 행위 만으로 용이하게 본체부(200)에 조립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5, each bus bar 100 can be easily assembled into the main body 200 by simply inserting it into the insertion hole 211 of the main body 200 and pushing it until fastened. You can.

즉, 버스바(100)의 타측부(120)는 버스바 끼움부(210)의 삽입홀(211)을 통과하여 경사걸림턱(240)의 하경사구배(s)를 따라 상기 경사걸림턱(240)을 타고 넘을 때 탄성 변형될 수 있다.That is,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100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211 of the bus bar fitting 210 and follows the downward slope s of the inclined locking ledge 240. 240), it may undergo elastic deformation.

이후, 버스바(100)의 타측부(120)의 걸림홀(102)이 경사걸림턱(240)에 끼워질 때, 상기 버스바(100)의 타측부(120)는 상기 탄성 변형으로부터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Thereafter, when the locking hole 102 of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100 is inserted into the inclined locking protrusion 240, the other side 120 of the bus bar 10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from the elastic deformation. is restored to

이러한 버스바(100)는 걸림홀(102)과 경사걸림턱(240)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200)로부터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The bus bar 1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00 by the locking hole 102 and the inclined locking protrusion 240.

이렇듯, 본 발명의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는 버스바를 단순히 삽입하는 과정만으로 본체부와 버스바를 상호 조립 가능함에 따라서, 조립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기존의 버스바 커버를 조립하는 공정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전체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의 조립 공정을 상대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고, 조립 과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기존의 버스바 커버의 삭제로 인한 중량을 저감시키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ssemble the main body and the bus bar by simply inserting the bus bar, thereby facilitating assembly and fixation, and eliminat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existing bus bar cover. Therefor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entire vehicle terminal guide assembly can be relatively simplified, the convenience of the assembly process can be improve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weight due to the deletion of the existing bus bar cover. can be sav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expre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that are equivalent or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버스바 101 : 제 1 볼트 통과홀
102 : 걸림홀 103 : 제 2 볼트 통과홀
110 : 일측부 115 : 절곡부
120 : 타측부 200 : 본체부
210 : 버스바 끼움부 211 : 삽입홀
220 : 채널부 230 : 제 1 웰드 너트
240 : 경사걸림턱 250 : 볼트 장착부
260 : 제 2 웰드 너트 270 : 설치돌기
100: bus bar 101: first bolt through hole
102: Holding hole 103: Second bolt passing hole
110: one side 115: bent part
120: Other side 200: Main body
210: bus bar fitting 211: insertion hole
220: Channel portion 230: First weld nut
240: Inclined locking jaw 250: Bolt mounting part
260: Second weld nut 270: Installation protrusion

Claims (10)

자동차의 전력변환장치와 모터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전력변환장치로부터 연장된 3상 러그케이블에 접속되고, 상대적으로 연장 길이가 짧은 일측부와, 상기 일측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후 상기 모터로부터 연장된 링터미널에 접속되도록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대적으로 연장 길이가 긴 타측부를 갖는 복수개의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가 각각 끼워지는 복수개의 삽입홀과,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홀이 관통되어 있는 버스바 끼움부와, 상기 버스바 끼움부 옆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출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를 서로 구획시키면서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채널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채널부는,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가 놓여지는 각각의 안착면의 양측 위치에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버스바 끼움부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제 1 가이드벽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상기 채널부의 상기 안착면은,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가 놓여지는 기준표면; 및
상기 버스바와 접속되기 위한 상기 링터미널과의 두께 간섭을 없애도록, 상기 기준표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단차표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
인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
It is connected to a three-phase lug cable extending from the power conversion devic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power conversion device and the motor of the vehicle, has one side with a relatively short extension length, and is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one side. a plurality of bus bars extending horizontally to be connected to ring terminals extending from the motor and having the other side portion having a relatively long extension length;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is respectively inserted, a bus bar fitting part through which the insertion hole penetrates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and an integrated body next to the bus bar fitting part. It is formed, extends from the outlet of the insertion hole, and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that guides the inse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while dividing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from each other,
The channel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It includes a first guide wall that protrudes relatively mor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us bar fit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positions on both sides of each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is placed,
The seating surface of the channel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is,
a reference surface o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is placed; and
Consisting of a stepped surface formed relatively lower than the reference surface to eliminate thickness interference with the ring terminal for connection to the bus bar.
In-vehicle terminal guide assemb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부의 상기 안착면의 상기 기준표면에는,
상기 링터미널과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1 볼트가 체결되는 제 1 웰드 너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웰드 너트와 상기 단차표면의 사이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표면에는 경사걸림턱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걸림턱은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을 기준으로 하경사구배를 갖는 것
인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On the reference surface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channel portion,
A first weld nut to which a first bolt is fasten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ring terminal and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is installed,
An inclined locking protrusion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eference surface based on the position between the first weld nut and the step surface,
The inclined stopping protrusion has a downward slope based o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In-vehicle terminal guide assemb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 끼움부의 상기 삽입홀을 통과한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웰드 너트의 중심 방향과 일치되도록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제 1 볼트 통과홀; 및
상기 제 1 볼트 통과홀과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걸림턱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제 1 볼트 통과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걸림홀;을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4,
The bus bar is,
A first bolt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that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bus bar fitting, and penetrat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to coincide with the center direction of the first weld nut. ; and
I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lt through hole and the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penetrat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inclined stopper, and has a diamete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bolt through hole. Containing a holding hole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In-vehicle terminal guide assembl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가 상기 버스바 끼움부의 삽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경사걸림턱의 하경사구배를 따라 상기 경사걸림턱를 타고 넘을 때 탄성 변형되고, 상기 경사걸림턱에 상기 버스바의 타측부의 상기 걸림홀이 끼워질 때 상기 탄성 변형으로부터 원래 상태로 복원되며, 상기 걸림홀과 상기 경사걸림턱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로부터의 분리가 방지되는 것
인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5,
The bus bar is,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it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bus bar fitting and rides over the inclined stopper along the lower slope of the inclined stopper, and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is attached to the inclined stopper. When the locking hole is inserted, the original state is restored from the elastic deformation, and separation from the main body is prevented by the locking hole and the inclined locking protrusion.
In-vehicle terminal guid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버스바의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형성된 절곡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버스바 끼움부의 삽입홀의 입구의 저부에 형성된 모따기면(chamfer surface)과, 상기 버스바 끼움부의 저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볼트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트 장착부에는,
상기 3상 러그케이블과 상기 버스바의 일측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 2 볼트가 체결되는 제 2 웰드 너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웰드 너트의 너트 구멍 방향이 상기 버스바의 일측부의 제 2 볼트 통과홀과 일치되어 있는 것
인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part,
A chamfer surfac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ntranc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bus bar fitting based o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ent portion form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us bar, and a chamfer surfac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of the bus bar fitting. Further comprising a bolt mounting portion,
In the bolt mounting part,
A second weld nut to which a second bolt is fasten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hree-phase lug cable and one side of the bus bar is installed,
The direction of the nut hole of the second weld nut is consistent with the second bolt through hole on one side of the bus bar.
In-vehicle terminal guide assembl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버스바의 일측부를 서로 구획하도록, 상기 볼트 장착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제 2 가이드벽을 더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7,
The main body part,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guide wall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lt mounting portion to partition one side of the bus bar from each other.
In-vehicle terminal guide assembl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채널부의 양측 외표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를 자동차에 설치하기 위한 부시(bush) 조립용 구멍을 갖는 설치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8,
The main body part,
It is integrally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channel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n installation protrusion having a hole for assembling a bush for installing the main body portion in a vehicle.
In-vehicle terminal guide assembl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돌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돌기의 상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채널부의 제 1 가이드벽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설치돌기의 저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볼트 장착부의 저면으로부터 이격 높이만큼 더 좋게 위치되어 있는 것
인 차량용 터미널 가이드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9,
The installation protrus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upper part of the installation protrusion protrudes mor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wall of the channel part of the main body part,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protrusion is better positioned by the height of the separation from the bottom of the bolt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In-vehicle terminal guide assembly.
KR1020160104225A 2016-08-17 2016-08-17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utomobile KR1026635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225A KR102663573B1 (en) 2016-08-17 2016-08-17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225A KR102663573B1 (en) 2016-08-17 2016-08-17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924A KR20180019924A (en) 2018-02-27
KR102663573B1 true KR102663573B1 (en) 2024-05-08

Family

ID=6139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225A KR102663573B1 (en) 2016-08-17 2016-08-17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5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638B1 (en) * 2021-10-15 2023-11-06 주식회사 경신 Multi earth terminal
KR102449780B1 (en) 2022-04-28 2022-10-04 노영호 Terminal assembly silicon drying rack for electric mot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210Y1 (en) * 2002-05-07 2002-07-26 최현길 Power terminal having easiness corporating structure
JP2003317821A (en) * 2002-04-25 2003-11-07 Yazaki Corp Wire/cable connector structure
JP2012069347A (en) 2010-09-22 2012-04-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Connector
JP2012186882A (en) 2011-03-03 2012-09-27 Sumitomo Wiring Syst Ltd Terminal bloc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724B1 (en) * 2006-09-08 2008-09-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Ring Terminal
KR101019269B1 (en) * 2008-04-01 2011-03-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Housing assembly for waterproof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7821A (en) * 2002-04-25 2003-11-07 Yazaki Corp Wire/cable connector structure
KR200283210Y1 (en) * 2002-05-07 2002-07-26 최현길 Power terminal having easiness corporating structure
JP2012069347A (en) 2010-09-22 2012-04-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Connector
JP2012186882A (en) 2011-03-03 2012-09-27 Sumitomo Wiring Syst Ltd Terminal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924A (en)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3260B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junction box
US10131293B2 (en) Automobile power supply device
US20160104967A1 (en) Charging connector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KR102107250B1 (en) Service Plug Unit, Device Unit And Power Disconnecting System For Electric Automobile Having The Same
US9161468B2 (en) Electric box for vehicle
JP6417600B2 (en) Bus bar unit and bus bar unit manufacturing method
US2015021453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necting battery cells
KR102663573B1 (en) terminal guide assembly for automobile
CN109672059B (en)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wire harness to inner circuit body of housing
CN208589621U (en) Bus unit for drive motor and the terminal assemblies including it
CN108701797B (en) Wiring module and power storage module
CN104540713A (en) Automotive power lead with a jump-start connection point
US20100224403A1 (en) Power storage apparatus
US20130228367A1 (en) Electric wire fixing device
US10516243B2 (en) Wire harness connecting structure for two circuit assemblies
US10091898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US10978836B2 (en) Housing element, electric line arrangeme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20190027095A (en) Charger inlet for electric vehicle with improved earth structure
KR101386205B1 (en) Connect for electric vehicle discharging
KR20090006803U (en) Bus-bar mounting structure for hybrid electric vehicle
CN109643927B (en) Bus bar unit
KR20190055767A (en) Connector with a bulkhead structure with enough space for retainer
KR20190042232A (en) Guide device for moving of charging cable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160016192A (en) Fixing method and insulation structure for moter terminal of hybrid vehicle
JPS63312243A (en) Conductive connector between unit section piece of mutually joined conductive r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