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412B1 - 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412B1
KR102663412B1 KR1020230044551A KR20230044551A KR102663412B1 KR 102663412 B1 KR102663412 B1 KR 102663412B1 KR 1020230044551 A KR1020230044551 A KR 1020230044551A KR 20230044551 A KR20230044551 A KR 20230044551A KR 102663412 B1 KR102663412 B1 KR 102663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screen
microphone
speak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53561A (en
Inventor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4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412B1/en
Publication of KR2023005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5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41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 스피커와 마이크를 화면 상에 배치하고, 스피커와 마이크 사이에 방진 소재를 배치함으로써 화면 크기를 크게 하고 풀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By arranging a speaker and a microphone on the screen and placing a dustproof material between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the screen size can be increased and a full touch screen can be implemented.

Description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패널이 스피커와 마이크의 진동판과 일체화된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 which a display panel is integrated with the diaphragm of a speaker and a microphone, and a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전자장치는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표시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microphone, 이하 "마이크"라 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that reproduces video signals and an audio output device that reproduces audio signals.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crophone”) that converts sound waves into electrical signals.

모바일 기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등을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는 멀티 미디오 신호를 재현하기 위하여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장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음파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Mobile devices include mobile phones, smartphones, tablet computers, laptop computers, wearable devices, etc. A mobile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that outputs a video signal to reproduce a multi-media signal, a speaker that outputs an audio signal, and a microphone that converts sound waves into electrical signals.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의 귀와 입 위치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표시패널의 위에 스피커가 배치되고, 표시패널의 아래에 마이크가 배치된다. 이러한 스피커와 마이크로 인하여 화면 크기가 작아져 스마트 폰의 전면 전체에 이미지가 표시되는 풀 터치 스크린(full touch screen)을 구현할 수 없다.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음파에 대하여 마이크가 노출될 수 있도록 스마트 폰의 전면 케이스에 마이크 홀(Mic hole)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마이크 홀을 통해 물이 침투되기 때문에 스마트 폰의 방수 설계가 어렵다.In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 speaker is placed above the display panel so that it is located close to the user's ears and mouth, and a microphone is placed below the display panel. Due to these speakers and microphones, the screen size becomes smaller, making it impossible to implement a full touch screen that displays images on the entire front of the smartphone. A microphone hole is formed on the front case of the smartphone so that the microphone is exposed to sound waves resulting from the user's voice. Water penetrates through this microphone hole, making it difficult to design a smartphone to be waterproof.

따라서, 본 발명은 화면 크기를 크게 하고 풀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으며, 방수 설계가 용이한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screen size and implement a full touch screen, and is easily waterproof, and a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에 배치된 커버 글라스;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스피커;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상기 스피커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마이크; 및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과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미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미드 프레임은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에는 상기 스피커가 수용되고, 상기 제2 홀에는 상기 마이크가 수용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providing a screen; a cover glass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a speaker dispos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a microphone dispos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and spaced apart from the speaker; and a mid-frame disposed between a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a back cover, wherein the mid-frame includes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wherein the speaker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hole, and in the second hole. The microphone can be accommodated.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는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에 배치된 커버 글라스;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스피커;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상기 스피커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마이크; 및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과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미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미드 프레임은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에는 상기 스피커가 수용되고, 상기 제2 홀에는 상기 마이크가 수용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providing a screen; a cover glass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a speaker dispos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a microphone dispos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and spaced apart from the speaker; and a mid-frame disposed between a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a back cover, wherein the mid-frame includes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wherein the speaker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hole, and in the second hole. The microphone can be accommodated.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배면에 스피커와 마이크를 배치하여 화면 크기를 크게 하고 풀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screen size and implement a full touch screen by placing a speaker and microphone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그리고,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진동이 마이크에 직접 전달하기 때문에 마이크 홀이 없으므로, 모바일 기기의 방수 설계에 유리하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vibration of the display panel directly to the microphone, there is no microphone hole,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waterproof design of mobile devices.

그리고, 본 발명은 표시패널을 스피커와 마이크의 진동판으로 이용하고 미드 프레임과 메인 보드를 스피커와 마이크 배치 공간을 회피하는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두께의 증가 없이 스피커와 마이크를 표시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display panel as a diaphragm for the speaker and microphone, and manufactures the mid frame and main board in a structure that avoids the space for placing the speaker and microphone, so that the speaker and microphone can be plac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mobile device. It can be placed in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표시장치의 화면 상에 스피커와 마이크가 배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패널들 간 방진 소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시패널에 접착된 방진 소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표시패널 상에 접착된 스피커와 마이크 구조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peaker and microphone arranged on the screen of a display device.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st-proof material between the display panels shown in FIG. 3.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st-proof material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5.
Figures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speaker and microphone glued on the display panel.
9 and 10 are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 상에', ' ~ 상부에', ' ~ 하부에', ' ~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top', 'on top', 'at the bottom', 'next to ~', 'right next to' Alternatively,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parts plac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실시예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entirely, and various techn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It may be possible.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 FED), 및 전계 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등의 표시장치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를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무기발광 표시장치와 유기 발광 표시장치로 구별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ased on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1000)는 호스트 시스템(300), 표시장치, 스피커(10) 및 마이크(20)를 구비한다.1 and 2, the mobile devic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st system 300, a display device, a speaker 10, and a microphone 20.

표시장치는 제1 및 제2 화면(100A, 100B), 제1 화면(100A)을 구동하는 제1 화면 구동부(210), 및 제2 화면(100B)을 구동하는 제2 화면 구동부(220)를 포함한다. 제1 화면 구동부(210)는 호스트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된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제1 화면(100A)의 픽셀들에 기입한다. 제2 화면 구동부(220)는 호스트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된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제2 화면(100B)의 픽셀들에 기입한다.The display device includes first and second screens 100A and 100B, a first screen driver 210 that drives the first screen 100A, and a second screen driver 220 that drives the second screen 100B. Includes. The first screen driver 210 writes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received from the host system 300 into pixels of the first screen 100A. The second screen driver 220 writes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received from the host system 300 into pixels of the second screen 100B.

표시장치의 화면(100A, 100B) 상에 스피커(10)와 마이크(20)가 배치된다. 스피커(10)는 제1 화면(100A) 상에 배치되고, 마이크(20)는 제2 화면(100B)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A speaker 10 and a microphone 20 are disposed on the screens 100A and 100B of the display device. The speaker 10 may be placed on the first screen 100A, and the microphone 20 may be placed on the second screen 100B, or vice versa.

표시장치의 제1 및 제2 화면(100A, 100B)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표시패널 상에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100A and 100B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implemented on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S. 3 to 6.

제1 화면(100A)과 제2 화면(100B)은 풀 터치 스크린을 구성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동작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대기 상태 또는 슬립 상태에서 소비 전력을 낮추고 화면의 일부만 구동하는 저휘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저휘도 모드는 올웨이즈 온 모드(Always on mode, AoD) 또는 파셜 모드(Partial Mode)에서 정의된 화면의 일부 픽셀들을 미리 설정된 저휘도로 구동하여 미리 설정된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 저휘도 모드에서 제1 및 제2 화면(100A, 100B) 중 어느 하나만 구동될 수 있다. 제2 화면(100B)이 작은 경우에, 저휘도 모드에서 제2 화면(100B)만 구동되고 제1 화면(100A)의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표시장치의 화면 구동부(210, 220)는 노멀 구동 모드(normal driving mode)에서 제1 및 제2 화면(100A, 100B)을 구동하여 풀 터치 스크린 상에 입력 영상을 표시하고, 대기 상태 또는 슬립 상태에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제2 화면(100B)만 구동할 수 있다. The first screen 100A and the second screen 100B can form a full touch screen and operate as one screen. Mobile devices can operate in a low-brightness mode in a standby or sleep state,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driving only a portion of the screen. The low brightness mode displays preset information on the screen by driving some pixels of the screen defined in Always on mode (AoD) or Partial Mode at a preset low brightness. In low brightness mode,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100A and 100B can be driven. When the second screen 100B is small, only the second screen 100B may be driven in the low brightness mode and the power of the first screen 100A may be turned off. The screen drivers 210 and 220 of the display device drive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100A and 100B in a normal driving mode to display an input image on a full touch screen and are in a standby or sleep stat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nly the second screen 100B can be driven.

호스트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의 전체 기능을 제어한다. 호스트 시스템(300)은 AP(Application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300)은 주변 기기들에 연결되어 주변 기기들 간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The host system controls the entire functionality of the mobile device. The host system 300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Processor (AP). The host system 300 is connected to peripheral devices and controls input/output between peripheral devices.

호스트 시스템(300)은 화면 구동부(210, 220)와 오디오 신호 처리부(30)에 연결된다. 호스트 시스템(300)은 입력 영상의 비디오 신호(Vsig)와 오디오 신호(Asig)를 수신받는다. 호스트 시스템(300)은 오디오 신호 처리부(30)에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고, 비디오 신호(Vsig)를 화면(100A, 100B)의 해상도에 맞는 영상 신호의 픽셀 데이터로 변환하여 화면 구동부들(210, 220)에 공급한다.The host system 300 is connected to the screen drivers 210 and 220 and the audio signal processor 30. The host system 300 receives a video signal (Vsig) and an audio signal (Asig) of an input image. The host system 300 supplies an audio signal to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0, converts the video signal Vsig into pixel data of an image signal suitable for the resolution of the screens 100A and 100B, and displays the screen drivers 210 and 220. ) is supplied to.

오디오 신호 처리부(30)는 호스트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Asig)의 노이즈를 제어하여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12)에 공급하고, DAC는 디지털 데이터인 오디오 신호(Asig)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0)로 출력하여 오디오 신호를 재현한다. 마이크(20)에 의해 출력되는 마이크 신호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22)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오디오 신호 처리부(30)로 공급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30)는 ADC(2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0 controls the noise of the audio signal (Asig) received from the host system 300 and supplies it to the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12), and the DAC converts the audio signal (Asig), which is digital data, into analog. It is converted into a signal and output to the speaker 10 to reproduce the audio signal. The microphone signal output by the microphone 20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through an 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 22) and supplied to the audio signal processor 30. The audio signal processor 30 removes noise from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ADC 22 and transmits it to the host system.

스피커(10)의 진동판과 마이크(20)의 진동판은 근접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0)와 마이크(20)는 진동판을 공유할 수 있다. 스피커(10)의 진동판과 마이크(20)의 진동판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표시패널과 일체화될 수 있다. 스피커(10)와 마이크(20)의 진동판들이 근접 배치거나 스피커(10)와 마이크(20)가 하나의 진동판을 공유하면, 스피커(10)의 신호와 마이크(20)의 신호가 상호 간섭될 수 있다. The diaphragm of the speaker 10 and the diaphragm of the microphone 20 may be placed close to each other. Additionally,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may share a diaphragm. The diaphragm of the speaker 10 and the diaphragm of the microphone 20 may be integrated with the display panel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S. 3 to 6. If the diaphragms of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are placed close together or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share one diaphragm, the signal from the speaker 10 and the signal from the microphone 20 may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re is.

오디오 신호 처리부(30)는 노이즈 제거 필터를 포함한다. 노이즈 제거 필터는 스피커(10)로 출력될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20)로부터 수신된 마이크 신호를 비교하여 원치 않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노이즈 제거 필터는 신호 세기나 주파수 필터링 방법으로 스피커(10)의 진동으로 마이크 신호에 더해진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노이즈 제거 필터는 마이크(20)의 진동으로 인하여 스피커(10)로 출력될 오디오 신호에 더해진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0 includes a noise removal filter. The noise removal filter can remove unwanted noise by comparing the audio signal to be output to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20. The noise removal filter can remove noise added to the microphone signal due to the vibration of the speaker 10 by using signal strength or frequency filtering. On the contrary, the noise removal filter can remove noise added to the audio signal to be output to the speaker 10 due to the vibration of the microphone 20.

호스트 시스템(300)은 센서부, 입력부, 통신부, 인터페이스부, 메모리, 및 전원 공급부 등에 연결된다. 센서부는 화면(100A, 100B)에 배치된 터치 센서, 이미지 센서, 심박 센서,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 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및 생체 인식 센서(지문 센서, 홍채 인식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st system 300 is connected to a sensor unit, an input unit, a communication unit, an interface unit, a memory, and a power supply unit. The sensor unit includes a touch sensor, image sensor, heart rate sensor, proximity sensor, illumination sensor, acceleration sensor, magnetic sensor, and gravity sensor arranged on the screens 100A and 100B. (G-sensor), gyroscope sensor, motion sensor, RGB sensor, infrared sensor, fingerprint scan sensor, ultrasonic sensor, and biometric sensors (fingerprint sensors, iris recognition sensors). The image sensor may include a camera.

입력부는 마이크(20). 터치 센서, 및 키패드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표시장치, 음향 출력 모듈, 햅팁 모듈, 및 광 출력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is a microphone (20). Includes a touch sensor, a keypad, etc. 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an audio output module, a haptip module, and an optical output module.

인터페이스부는 호스트 시스템(300)과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 포트, 및 이어폰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host system 300 and external devices. The interface unit includes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and an audio I/O (Input/Output) port. , a video I/O port, and an earphone port.

메모리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바일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데이터,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기본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모바일 기기나 웨어러블 기기의 출고 당시에 기본적으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 기본 기능은 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및 발신 기능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emory may store preset data and command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or application, a mobile device, or a wearable device. At least some of the application programs can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 program that executes at least basic functions among the applications is stored in memory by default at the time of shipment of the mobile device or wearable device, such as incoming and outgoing calls, receiving and sending messages. It may be a function,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전원 공급부는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모바일 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한다. 전원 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The power supply unit receives external and internal power and generates the power necessary to operate the mobile device.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battery.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패널들(110, 120) 간 방진 소재를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ust-proof material between the display panels 110 and 120 shown in FIG. 3.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제1 표시패널(110), 제1 화면 구동부(210), 제2 표시패널(120), 제2 화면 구동부(220), 및 타이밍 콘트롤러(200)를 구비한다. 3 and 4,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panel 110, a first screen driver 210, a second display panel 120, a second screen driver 220, and a timing controller. (200) is provided.

제1 및 제2 표시패널들(110, 120)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제1 및 제2 표시패널들(110, 120) 각각은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가 표시되는 픽셀 어레이를 포함한다.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110 and 120 are physically separate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110 and 120 includes a pixel array on which pixel data of an input image is displayed.

제1 화면(100A)은 제1 표시 패널(110)의 픽셀 어레이 상에 구현된다. 제2 화면(100B)은 제2 표시 패널(120)의 픽셀 어레이 상에 구현된다. 제1 화면(100A)은 노멀 구동 상태(Normal driving mode)에서 입력 영상이 표시되고 대기 상태 또는 슬립 상태에서 구동되지 않는 큰 화면일 수 있다. 제2 화면(100B)은 제1 화면(100A)의 아래에 배치되어 대기 상태 또는 슬립 상태에서 저휘도 모드로 동작하여 미리 설정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first screen 100A is implemented on the pixel array of the first display panel 110. The second screen 100B is implemented on the pixel array of the second display panel 120. The first screen 100A may be a large screen that displays an input image in a normal driving mode and does not drive in a standby or sleep state. The second screen 100B is disposed below the first screen 100A and operates in a low brightness mode in a standby or sleep state to display preset information.

제1 및 제2 화면들(100A, 100B) 각각의 픽셀 어레이는 데이터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되는 게이트 라인들(또는 스캔 라인들)을 포함하고,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픽셀 영역들에 배치된 픽셀들(101)을 포함한다. 픽셀들(101)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Each pixel array of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100A and 100B includes data lines and gate lines (or scan lines) that intersect the data lines, and is formed by the data lines and the gate lines. It includes pixels 101 arranged in definable pixel areas. Pixels 101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제1 및 제2 표시패널(120, 120)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라 함)와 같은 자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BLU) 없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의 표시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무기발광 표시장치와 유기 발광 표시장치로 구별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라 함)가 픽셀들 각각에 형성된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시야각 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블랙 계조를 완전한 블랙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명암비(contrast ratio)와 색재현율이 우수하다. 무기 발광 표시장치는 양자점 표시장치 또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nels 120 and 120 use self-luminous devices such as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o display images without a backlight unit (BLU). Electroluminescence displays can be implemented as display panels and can be divided into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OL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Diode, OLED”) is formed in each pixe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not only have a fast response speed and excellent luminous efficiency, brightness, and viewing angle, but also have excellent contrast ratio and color gamut because they can express black gradations in complete black. The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quantum dot display device or a micro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제1 표시패널(110)의 배면 상에 스피커(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패널(110)이 스피커(10)의 진동판과 일체화된다. 제2 표시패널(120)의 배면 상에 마이크(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패널(120)이 마이크(20)의 진동판과 일체화된다. A speaker 10 may be disposed on the back of the first display panel 110. The first display panel 110 is integrated with the diaphragm of the speaker 10. A microphone 20 may be disposed on the back of the second display panel 120. The second display panel 120 is integrated with the diaphragm of the microphone 20.

마이크(20)가 사용자의 입과 가까운 제2 표시패널(120) 상에 배치되어야 음성 정보 전달에 유리하다. 제1 표시패널(110)의 화면이 크기 때문에 제1 표시패널(100)이 스피커(10)의 진동판으로 이용되면 상대적으로 큰 음량으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의 귀에 가깝게 제1 화면(100A) 상에 스피커(10)가 배치된다. 사용자의 입에 가깝게 제2 화면(100B) 상에 마이크(20)가 배치된다. It is advantageous to transmit voice information when the microphone 20 is placed on the second display panel 120 close to the user's mouth. Since the screen of the first display panel 110 is large, when the first display panel 100 is used as a diaphragm of the speaker 10, an audio signal can be output at a relatively high volume. Accordingly, in the mobile device, the speaker 10 is placed on the first screen 100A close to the user's ears. The microphone 20 is placed on the second screen 100B close to the user's mouth.

제1 표시패널(110)과 제2 표시패널(120) 사이에 진동을 흡수하거나 차단하는 방진 소재(Anti-Vibration material, 141)가 배치된다. 방진 소재(141)는 수지(resin), 천연/인공 고무, 폼패드, 실리콘 패드, 및 접착 테이프 등 방진 효과가 있는 방진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방진 소재(141)는 제1 표시패널(110)과 제2 표시패널(120) 사이의 음향의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방진 소재(141)는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n anti-vibration material 141 that absorbs or blocks vibra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isplay panel 110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120. The dustproof material 141 may be a dustproof material with a dustproof effect, such as resin, natural/artificial rubber, foam pad, silicone pad, and adhesive tape. Additionally, the vibration-proof material 141 can block sound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display panel 110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120. The dust-proof material 141 may be expressed as an enclosure or a baffle, but is not limited to these terms.

제1 표시패널(110)과 제2 표시패널(120)은 도 4의 예와 같이 커버 글라스(Cover glass, 130) 상에 접착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패널들(110, 120)의 전면이 접착제(140)로 커버 글라스(130)에 접착된다. 접착제(140)는 투명도가 높은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ly Clear Resi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OCA와 OCR은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 효과가 있다. 도 4의 예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1 표시패널(110)의 측면과 제2 표시패널(120)의 측면 사이에 방진 수지(141)가 충진된다. 방진 수지(141)로 인하여, 스피커(10)의 진동이 제2 표시패널(120)로 전파되지 않고, 마이크(20)의 진동이 제1 표시패널(110)로 전파되지 않는다. 방진 수지(141)는 OCA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first display panel 110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120 may be adhered to a cover glass 130 as in the example of FIG. 4 to form one plane. The front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s 110 and 120 are adhered to the cover glass 130 with an adhesive 140. The adhesive 140 may be either OCA (Optically Clear Adhesive) or OCR (Optically Clear Resin), which have high transparency, but is not limited thereto. OCA and OCR have an anti-vibration effect that absorbs vibration. In the example of FIG. 4 , the vibration-proof resin 141 is filled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display panel 110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120 that face each other. Due to the anti-vibration resin 141, the vibration of the speaker 10 does not propagate to the second display panel 120 and the vibration of the microphone 20 does not propagate to the first display panel 110. The dustproof resin 141 may be OCA, but is not limited thereto.

표시패널들(110, 120)의 픽셀 어레이에 인셀 타입(In-cell type), 온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애드 온 타입(Add on type)으로 터치 센서들이 배치되어 풀 터치 스크린이 구현될 수 있다. Touch sensors are placed in the pixel array of the display panels 110 and 120 in an in-cell type, on-cell type, or add on type to implement a full touch screen. You can.

제1 화면 구동부(210)는 제1 화면(100A)의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112), 제1 화면(100A)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펄스(또는 스캔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114) 등을 포함한다. 제2 화면 구동부(220)는 제2 화면(100B)의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122), 제2 화면(100B)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펄스(또는 스캔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124) 등을 포함한다.The first screen driver 210 includes a data driver 112 for supplying a data voltage to the data lines of the first screen 100A and a gate pulse (or scan pulse) to the gate lines of the first screen 100A. It includes a gate driver 114 that sequentially supplies power. The second screen driver 220 is a data driver 122 for supplying a data voltage to the data lines of the second screen 100B and provides a gate pulse (or scan pulse) to the gate lines of the second screen 100B. It includes a gate driver 124 that supplies power sequentially.

타이밍 콘트롤러(200)는 호스트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된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112, 122)로 전송한다. 타이밍 콘트롤러(200)는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에 동기되어 호스트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되는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제1 화면 구동부(210)와 제2 화면 구동부(2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The timing controller 200 transmits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received from the host system 300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drivers 112 and 122. The timing controller 200 controls the operation timing of the first screen driver 210 and the second screen driver 220 using a timing signal received from the host system 300 in synchronization with the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시패널(100)에 접착된 방진 소재를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st-proof material adhered to the display panel 100 shown in FIG. 5.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 제1 화면 구동부(210), 제2 화면 구동부(220), 및 타이밍 콘트롤러(201)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ures 5 and 6,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a first screen driver 210, a second screen driver 220, and a timing controller 201.

표시패널(100)은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표시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가 표시되는 픽셀 어레이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의 픽셀 어레이 상에서 제1 화면(100A)과 제2 화면(100B)이 분리된다. 픽셀 어레이는 데이터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되는 게이트 라인들(또는 스캔 라인들)을 포함하고,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픽셀 영역들에 배치된 픽셀들(101)을 포함한다. 픽셀들(101)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panel of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pixel array on which pixel data of an input image is displayed. The first screen 100A and the second screen 100B are separated on the pixel array of the display panel 100. The pixel array includes data lines, gate lines (or scan lines) that intersect the data lines, and pixels (101) arranged in pixel areas that can be defined by the data lines and gate lines. ) includes. Pixels 101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제1 화면(100A)은 노멀 구동 상태에서 입력 영상이 표시되고 대기 상태 또는 슬립 상태에서 구동되지 않는 큰 화면이다. 제2 화면(100B)은 제1 화면(100A)의 아래에 배치되어 대기 상태 또는 슬립 상태에서 저휘도 모드로 동작하여 미리 설정된 정보를 표시한다. The first screen 100A is a large screen that displays an input image in a normal driving state and does not drive in a standby or sleep state. The second screen 100B is disposed below the first screen 100A and operates in a low brightness mode in a standby or sleep state to display preset information.

표시패널(100)의 배면 상에 스피커(10)와 마이크(20)가 접착되어 표시패널(100)이 스피커(10)와 마이크(20)의 진동판 역할을 겸한다.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의 귀에 가깝게 제1 화면(100A) 상에 스피커(10)가 배치된다. 사용자의 입에 가깝게 제2 화면(100B) 상에 마이크(20)가 배치된다.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ar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100, so that the display panel 100 also serves as a diaphragm for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In a mobile device, a speaker 10 is disposed on the first screen 100A close to the user's ears. The microphone 20 is placed on the second screen 100B close to the user's mouth.

표시패널(100)은 스피커(10)와 마이크(20)의 진동판과 일체화된다. 스피커(10)와 마이크(20)의 진동판이 공유되기 때문에 스피커(10)와 마이크(20)가 동시에 진동할 경우 서로 간의 간섭이 발생한다. 스피커(10)와 마이크(20) 사이에서 진동 전파 또는 음향을 분리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10)와 마이크(20) 사이의 위치에서 표시패널(100)의 배면에 방진 소재(142)가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0 is integrated with the diaphragm of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Since the diaphragm of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is shared, interference occurs when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vibrate simultaneously. In order to isolate vibration propagation or sound between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a vibration-proof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100 at the position between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as shown in FIG. (142) can be placed.

표시패널(100)의 픽셀 어레이에 인셀 타입(In-cell type), 온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애드 온 타입(Add on type)으로 터치 센서들이 배치되어 풀 터치 스크린이 구현될 수 있다.A full touch screen can be implemented by placing touch sensors in the pixel array of the display panel 100 in an in-cell type, on-cell type, or add-on type.

제1 화면 구동부(210)는 제1 화면(100A)의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113), 제1 화면(100A)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펄스(또는 스캔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115) 등을 포함한다. 제2 화면 구동부(220)는 제2 화면(100B)의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123), 제2 화면(100B)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펄스(또는 스캔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125) 등을 포함한다. 제1 화면(100A)과 제2 화면(100B) 사이에서 데이터 라인들에 연결된 경우, 두 개의 데이터 구동부(113, 123) 중 하나로 제1 화면 구동부(210)와 제2 화면 구동부(210)의 데이터 라인들이 구동될 수 있다.The first screen driver 210 includes a data driver 113 for supplying a data voltage to the data lines of the first screen 100A and a gate pulse (or scan pulse) to the gate lines of the first screen 100A. It includes a gate driver 115 that supplies power sequentially. The second screen driver 220 includes a data driver 123 for supplying a data voltage to the data lines of the second screen 100B and a gate pulse (or scan pulse) to the gate lines of the second screen 100B. It includes a gate driver 125 that supplies power sequentially. When connected to the data lines between the first screen 100A and the second screen 100B, data of the first screen driver 210 and the second screen driver 210 are transmitted to one of the two data drivers 113 and 123. Lines can be driven.

타이밍 콘트롤러(201)는 호스트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된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113, 123)로 전송한다. 타이밍 콘트롤러(201)는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에 동기되어 호스트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되는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제1 화면 구동부(210)와 제2 화면 구동부(2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The timing controller 201 transmits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received from the host system 300 to the data drivers 113 and 123. The timing controller 201 controls the operation timing of the first screen driver 210 and the second screen driver 220 using a timing signal received from the host system 300 in synchronization with the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스피커(10)와 마이크(20)는 보이스 코일(voice coil)을 이용한 다이나믹 방식 또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압전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이나믹 방식은 고음에서 저음까지 다양한 음역으로 신호를 재현할 수 있고, 별도의 전원 공급없이 구동이 가능하여 모바일 기기에 유리하고, 외부 환경 변화에 특성이 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이나믹 방식은 압전 방식에 비하여 생산 단가가 낮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압전 방식은 필름형 스피커와 필름형 마이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다이나믹 방식으로 구현된 스피커(10)와 마이크(20)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may be implemented using a dynamic method using a voice coil or a piezoelectric method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The dynamic method can reproduce signals in a variety of sound ranges from high to low sounds, can be operated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which is advantageous for mobile devices, and has the advantage that its characteristics do not change due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dynamic method has a lower production cost and is superior in durability compared to the piezoelectric method. The piezoelectric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a film-type speaker and a film-type microphone. 7 and 8 illustrate the structures of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implemented in a dynamic mann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7 및 도 8은 표시패널(100, 110, 120) 상에 접착된 스피커(10)와 마이크(20)의 구조(10)를 상세히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스피커(10)와 마이크(20) 모두 다이나믹 방식으로 구현되면, 스피커(10)와 마이크(20)의 구조는 도 8과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FIGS.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in detail the structure 10 of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glued on the display panel 100, 110, and 120. If both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are implemented in a dynamic manner, the structures of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shown in FIG. 8.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스피커(10)와 마이크(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스피커(10)와 마이크(20) 각각은 보이스 코일(71)이 감겨진 보빈(bobbin, 72), 및 영구 자석(76)이 체결된 플레이트(74, 75)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ures 7 and 8,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Each of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includes a bobbin 72 on which a voice coil 71 is wound, and plates 74 and 75 on which a permanent magnet 76 is fastened.

보빈(72)은 표시패널(100, 110, 120)의 배면에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로 접착된다. 플레이트(74, 75)는 영구 자석(76)을 사이에 두고 분리된 탑 플레이트(top plate, 74)와 보텀 플레이트(bottom plate, 75)로 나뉘어진다. 보텀 플레이트(75)는 보빈(71)에 삽입된 센터 폴(center pole, 73)을 포함한다.The bobbin 72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100, 110, and 120 with adhesive or double-sided adhesive tape. The plates 74 and 75 are divided into a top plate 74 and a bottom plate 75 separated by a permanent magnet 76 in between. The bottom plate 75 includes a center pole 73 inserted into the bobbin 71.

스피커(10)에서, DAC(12)와 증폭기에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전류가 보이스 코일(71)에 흐르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발생되는 힘에 의해 영구 자석(76)이 움직인다. 영구 자석(76)과 연동하여 플레이트(74, 75)와 보빈(72) 및 표시패널(100, 110, 120)이 움직인다. 표시패널(100, 110, 120)이 스피커(10)의 진동판으로 진동하여 음파 또는 음향을 발생시킨다.In the speaker 10, when the current of the analog audio signal input to the DAC 12 and the amplifier flows through the voice coil 71, the permanent magnet 76 moves by the force generated according to Fleming's left hand rule. The plates 74 and 75, the bobbin 72 and the display panels 100, 110 and 120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permanent magnet 76. The display panels 100, 110, and 120 vibrate with the diaphragm of the speaker 10 to generate sound waves or sounds.

마이크(20)의 경우, 음파에 따라 표시패널(100, 110, 120)이 진동하고, 표시패널(100, 110, 120)에 연동하여 영구 자석(76)이 진동하면서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따라 보이스 코일(71)에 전류가 흘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보이스 코일(71)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마이크 신호는 증폭기와 ADC(22)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In the case of the microphone 20, the display panel 100, 110, and 120 vibrates according to the sound wave, and the permanent magnet 76 vib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display panel 100, 110, and 120, thereby generating the voice according to Fleming's right-hand rule.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71 and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microphone signal generated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voice coil 71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through an amplifier and ADC 22.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모바일 기기의 구성 요소들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조립된 모바일 기기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표시장치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스피커(10)와 마이크(20)의 진동판이 분리되도록 스피커(10)와 마이크(20) 사이에서 표시패널들(110, 120)이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9 and 10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components of a mobile device.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device in which the components shown in FIG. 9 are assembled.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has display panels 110 and 120 separated between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so that the diaphragms of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are separated, as shown in FIGS. 3 and 4. It has a structur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는 표시장치의 표시패널들(110, 120), 커버 글라스(cover glass, 130), 미드 프레임(Mid frame, 132), 메인 보드(main board, 134), 미드 프레임 커버(mid frame cover, 136), 배터리(138) 및 백 커버(back cover, 131)를 구비한다.9 and 10,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 panels 110 and 120, a cover glass 130, a mid frame 132, and a main board of the display device. , 134), a mid frame cover (136), a battery (138), and a back cover (131).

커버 글라스(130)는 강화 유리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들(110, 120)의 전면이 커버 글라스(130)에 접착제(140)를 매개로 접착된다.The cover glass 130 may be implemented as tempered glass. The front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s 110 and 120 are adhered to the cover glass 130 using an adhesive 140.

커버 글라스(130)와 백 커버(131) 사이의 공간에 표시장치의 표시패널들(110, 120), 미드 프레임(132), 메인 보드(134), 미드 프레임 커버(136), 배터리(105) 등이 적층된다.In the space between the cover glass 130 and the back cover 131, display panels 110, 120, mid frame 132, main board 134, mid frame cover 136, and battery 105 of the display device are placed. etc. are laminated.

모바일 기기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제1 표시패널(110)의 배면에 스피커(10)가 배치된다. 모바일 기기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제2 표시패널(120)의 배면에 마이크(20)가 배치된다. 표시패널들(110, 120)의 전면은 커버 글라스(130)에 접착제(140)를 매개로 접착된다. 표시패널들(110, 120)이 대향하는 측면에 방진 소재(141)가 배치된다.A speaker 10 is disposed on the back of the first display panel 110 to be located at the top of the mobile device. The microphone 20 is disposed on the back of the second display panel 120 to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obile device. The front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s 110 and 120 are adhered to the cover glass 130 using an adhesive 140. A dustproof material 141 is disposed on the side where the display panels 110 and 120 face each other.

미드 프레임(132)과 미드 프레임 커버(136)는 표시패널들(110, 120)과 메인 보드(134)를 지지한다. 미드 프레임(132)은 표시패널들(110, 120)을 지지하고, 미드 프레임 커버(136)는 메인 보드(134)를 지지한다. 표시패널들(110, 120)과 메인 보드(134)는 미드 프레임(132)을 사이에 두고 공간적으로 분리된다.The mid frame 132 and the mid frame cover 136 support the display panels 110 and 120 and the main board 134. The mid frame 132 supports the display panels 110 and 120, and the mid frame cover 136 supports the main board 134. The display panels 110 and 120 and the main board 134 are spatially separated with the mid frame 132 in between.

표시패널들(110, 120)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브 IC는 가요성 회로 기판(FPCB)을 통해 메인 보드(134)에 연결된다. 드라이브 IC는 화면 구동부(210, 220), 타이밍 콘트롤러(200, 201) 및 도시하지 않은 전원 회로 등을 포함하여 표시패널들(110, 120)을 구동한다. 메인 보드(134)는 호스트 시스템(300)를 포함한다. 메인 보드(134)에 카메라(40), 각종 센서, 및 주변 기기들이 연결된다.A drive IC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s 110 and 120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134 through a flexible circuit board (FPCB). The drive IC drives the display panels 110 and 120, including screen drivers 210 and 220, timing controllers 200 and 201, and a power circuit (not shown). The main board 134 includes a host system 300. A camera 40, various sensors, and peripheral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main board 134.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조립되면, 모바일 기기의 두께(t)는 7-9mm 정도일 수 있다. 스피커(10)와 마이크(20)는 모바일 기기의 두께 증가 없이 표시패널들(110, 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표시패널들(110, 120)과 미드 프레임 커버(136) 사이에 배치된 미드 프레임(132)과 메인 보드(134)는 스피커(10)와 마이크(20)를 간섭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일 예로, 미드 프레임(132)은 스피커 배치 공간인 홀(hole, 132a)과, 마이크 배치 공간인 홀(132b)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홀(132a)은 스피커를 수용할 수 있으며, 홀(132b)은 마이크를 수용할 수 있다.Whe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9 are assembled, the thickness (t) of the mobile device may be about 7-9 mm. The speaker 10 and microphone 20 can be placed on the display panels 110 and 120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mobile device. To this end, the mid frame 132 and the main board 134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s 110 and 120 and the mid frame cover 136 must be desig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peaker 10 and microphone 20. . As an example, the mid frame 132 includes a hole 132a that is a speaker placement space and a hole 132b that is a microphone placement space. For example, the hole 132a can accommodate a speaker, and the hole 132b can accommodate a microphone.

메인 보드(134)는 마이크가 수용 공간을 회피하도록 L자 형태의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메인 보드(134)는 스피커 수용 공간인 홀(134a)을 포함한다. 스피커(10)는 미드 프레임(132)과 메인 보드(134)에 형성된 홀들(132a, 134a)에 수용될 수 있다. 마이크(20)는 미드 프레임(132)에 형성된 홀(132b)에 수용될 수 있다. 미드 프레임(132)과 메인 보드(134)는 카메라 배치 공간인 홀들(132c, 134c)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ard 134 may be manufactured in an L-shaped structure to avoid the microphone accommodation space. The main board 134 includes a hole 134a that is a speaker accommodation space. The speaker 10 can be accommodated in the holes 132a and 134a formed in the mid frame 132 and the main board 134. The microphone 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le 132b formed in the mid frame 132. The mid frame 132 and the main board 134 may include holes 132c and 134c, which are camera placement spaces.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모바일 기기의 구성 요소들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조립된 모바일 기기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표시장치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스피커(10)와 마이크(20)의 진동판이 하나의 표시패널(100)로 구현된 구조를 갖는다.11 and 12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components of a mobile device.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device in which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1 are assembled.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aphragm of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are implemented as a single display panel 100, as shown in FIGS. 5 and 6.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는 표시패널(100), 커버 글라스(130), 미드 프레임(132), 메인 보드(134), 미드 프레임 커버(136), 배터리(138), 및 백 커버(131)를 구비한다.11 and 12,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a cover glass 130, a mid frame 132, a main board 134, a mid frame cover 136, and a battery 138. , and a back cover 131.

표시패널(100)의 전면은 커버 글라스(130)에 접착제(140)를 매개로 접착된다. 스피커(10)는 표시패널(100)의 상단에 배치되고, 마이크(20)는 표시패널(100)의 하단에 배치된다. 스피커(10)와 마이크(20) 사이에서 표시패널(100)의 배면에 방진 소재(142)가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100 is adhered to the cover glass 130 using an adhesive 140. The speaker 10 is placed at the top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microphone 20 is placed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panel 100. A dustproof material 142 may be dispos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100 between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스피커(10)와 마이크(20)는 모바일 기기의 두께 증가 없이 표시패널(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표시패널(100)과 미드 프레임 커버(136) 사이에 배치된 미드 프레임(132)과 메인 보드(134)는 스피커(10)와 마이크(20)를 간섭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일 예로, 미드 프레임(132)은 스피커 배치 공간인 홀(132a)과, 마이크 배치 공간인 홀(132b)을 포함한다.The speaker 10 and microphone 20 can be placed on the display panel 100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mobile device. To this end, the mid frame 132 and the main board 134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mid frame cover 136 must be desig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peaker 10 and the microphone 20. As an example, the mid frame 132 includes a hole 132a, which is a speaker placement space, and a hole 132b, which is a microphone placement space.

메인 보드(134)는 마이크(20)를 회피하는 L자 형태로 제작된다. 메인 보드(134)는 스피커 배치 공간인 홀(134a)을 포함한다. 스피커(10)는 미드 프레임(132)과 메인 보드(134)에 형성된 홀들(132a, 134a)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배치된다. 마이크(20)는 미드 프레임(132)에 형성된 홀(132b)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배치된다. 미드 프레임(132)과 메인 보드(134)는 카메라 배치 공간을 정의하는 홀들(132c, 134c)를 포함한다.The main board 134 is manufactured in an L shape to avoid the microphone 20. The main board 134 includes a hole 134a, which is a space for placing speakers. The speaker 10 is placed in a space defined by the mid frame 132 and the holes 132a and 134a formed in the main board 134. The microphone 20 is placed in a space defined by the hole 132b formed in the mid frame 132. The mid frame 132 and the main board 134 include holes 132c and 134c that define a camera placement spac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폴더블 기기(foldable device), 롤러블 기기(rollable device), 벤더블 기기(bendable device), 플렉서블 기기(flexible device), 커브드 기기(curved device),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표시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paper) 기기, 샤이니지(signage) 기기, 게임기기,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유기발광 조명장치 또는 무기발광 조명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가 조명장치에 적용될 경우, 조명 및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device, a video phone, a smart watch, a watch phone, a wearable device, a foldable device, and a rollable device. (rollable device), bendable device, flexible device, curved device, electronic notebook, e-book,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player , mobile medical devices, desktop PC, laptop PC, netbook computer, workstation, navigation, vehicle navigation, vehicle display device, television, wallpaper device, Shiny It can be applied to signage devices, gaming devices, laptops, monitors, cameras, camcorders, and home appliances. Additionally,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lighting device or an inorganic light emitting lighting device. When a sound generator is applied to a lighting device, it can function as a light and speak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제1 화면 상에 배치되는 스피커, 제2 화면 상에 배치되는 마이크, 스피커와 마이크 사이에 배치되는 방진 소재,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제1 화면의 픽셀들에 기입하는 제1 화면 구동부, 및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제2 화면의 픽셀들에 기입하는 제2 화면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aker disposed on a first screen, a microphone disposed on a second screen, a dustproof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and a device for writing pixel data of an input image into pixels of the first screen. It includes a first screen driver and a second screen driver that writes pixel data of the input image to pixels of the second scree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에 연결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마이크에 연결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로 전송하고,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오디오 신호 처리부는 노이즈 제거 필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to-analog converter connected to a speaker,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connected to a microphone, and an audio signal received from a host system are transmitted to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and a microphone signal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is transmitted to the host system. It may include a transmitting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may remove noise from the audio signal and the microphone signal using a noise removal filter.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화면의 픽셀 어레이가 배치된 제1 표시패널, 및 제2 화면의 픽셀 어레이가 배치된 제2 표시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방진 소재는 제1 표시패널의 측면과 제2 표시패널의 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isplay panel on which a pixel array of a first screen is arranged, and a second display panel on which a pixel array of a second screen is arranged, and the dust-proof material may be used for the first display panel.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ide of the panel and the sid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화면의 픽셀 어레이와 제2 화면의 픽셀 어레이가 배치된 표시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방진 소재는 스피커와 마이크 사이에서 표시패널 상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panel on which a pixel array of a first screen and a pixel array of a second screen are disposed, and a dustproof material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between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는 제1 화면을 제공하는 제1 표시패널, 제2 화면을 제공하는 제2 표시패널, 표시패널들의 전면에 배치된 커버 글라스, 제1 표시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된 스피커, 제2 표시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된 마이크, 및 제1 표시패널과 제2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된 방진 소재를 포함한다.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panel providing a first screen, a second display panel providing a second screen, a cover glas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s, a speaker disposed on the back of the first display panel, It includes a microphone disposed on the back of the second display panel, and a dustproof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first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들의 배면과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된 미드 프레임, 미드 프레임과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된 메인 보드, 메인 보드와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된 미드 프레임 커버, 및 미드 프레임과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된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미드 프레임은 스피커를 수용하는 제1 홀과, 마이크를 수용하는 제2 홀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d frame disposed betwee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s and the back cover, a main board disposed between the mid frame and the back cover, a mid frame cover disposed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back cover, and a mid frame disposed between the back cover and the back cover of the display panels. It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dis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back cover, and the mid-frame may include a first hole for accommodating a speaker and a second hole for accommodating a microphone.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보드는 마이크가 수용되는 공간을 회피하고, 스피커를 수용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ard may avoid a space for accommodating a microphone and may include a hole for accommodating a speaker.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노멀 구동 모드에서 제1 및 제2 화면을 구동할 수 있고, 대기 상태 또는 슬립 상태에서 제2 화면만 구동하는 화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driver may drive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in a normal drive mode, and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driver that drives only the second screen in a standby state or a sleep sta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제1 화면과 제2 화면을 제공하는 제1 표시패널, 표시패널의 전면에 배치된 커버 글라스, 표시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된 스피커, 표시패널의 배면 상에 배치된 마이크, 및 스피커와 마이크 사이에서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된 방진 소재를 포함한다.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panel that provides a first screen and a second screen, a cover glas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a speaker dispos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and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It includes a microphon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dustproof material dispos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between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들의 배면과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된 미드 프레임, 미드 프레임과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된 메인 보드, 메인 보드와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된 미드 프레임 커버, 및 미드 프레임과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된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미드 프레임은 스피커를 수용하는 제1 홀과, 마이크를 수용하는 제2 홀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d frame disposed betwee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s and the back cover, a main board disposed between the mid frame and the back cover, a mid frame cover disposed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back cover, and a mid frame disposed between the back cover and the back cover of the display panels. It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dis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back cover, and the mid-frame may include a first hole for accommodating a speaker and a second hole for accommodating a microphone.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보드는 마이크의 수용 공간을 회피하고, 스피커를 수용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ard may avoid a space for accommodating a microphone and may include a hole for accommodating a speaker.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노멀 구동 모드에서 제1 및 제2 화면을 구동할 수 있고, 대기 상태 또는 슬립 상태에서 제2 화면만 구동하는 화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driver may drive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in a normal drive mode, and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driver that drives only the second screen in a standby state or a sleep stat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ten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se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what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10 : 스피커 12 : DAC
20 : 마이크 22 : ADC
30 : 오디오 신호 처리부 100A : 제1 화면
100B : 제2 화면 100, 110, 120 : 표시패널
112, 122, 113, 123 : 데이터 구동부
114, 115, 124, 125 : 게이트 구동부
200, 201 : 타이밍 콘트롤러 130 : 커버 글라스
131 : 백 커버 132 : 미드 프레임
134 : 메인 보드 136 : 미드 프레임 커버
138 : 배터리 140 : 접착제
141, 142 : 방진 소재 210 : 제1 화면 구동부
220 : 제2 화면 구동부 300 : 호스트 시스템
1000 : 모바일 기기
10: Speaker 12: DAC
20: Microphone 22: ADC
30: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00A: First screen
100B: Second screen 100, 110, 120: Display panel
112, 122, 113, 123: data driving unit
114, 115, 124, 125: Gate driver
200, 201: Timing controller 130: Cover glass
131: back cover 132: mid frame
134: Main board 136: Mid frame cover
138: Battery 140: Adhesive
141, 142: dustproof material 210: first screen driving unit
220: second screen driver 300: host system
1000: mobile device

Claims (8)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에 배치된 커버 글라스;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스피커;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상기 스피커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마이크; 및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과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미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미드 프레임은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에는 상기 스피커가 수용되고, 상기 제2 홀에는 상기 마이크가 수용되고,
상기 화면은 제1 화면과 제2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제2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a display panel providing a screen;
a cover glass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a speaker dispos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a microphone dispos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and spaced apart from the speaker; and
It includes a mid frame disposed betwee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back cover,
The mid frame includes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The speaker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hole, and the microphone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le,
The screen includes a first screen and a second screen,
The speaker is dispos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displaying the first screen,
The microphone is dispos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that displays the second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프레임과 상기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보드; 및
상기 메인 보드와 상기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미드 프레임 커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main board disposed between the mid frame and the back cover; and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mid-frame cover disposed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back co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는 상기 제1 홀과 함께 상기 스피커가 수용되는 제3 홀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display device includes the main board including the first hole and a third hole in which the speaker is accommoda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는 상기 마이크가 수용되는 공간과 중첩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3,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main board is formed in a shape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pace where the microphone is accommod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화면을 제공하는 제1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화면을 표시하는 제2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first display panel providing the first screen and a second display panel displaying the second screen,
The speaker is disposed on the back of the first display panel,
The display device is wherein the microphone is disposed on the back of the second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 각각은,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접착되고 보이스 코일이 감겨진 보빈; 및
상기 보이스 코일과 연동하는 영구 자석이 체결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Each of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a bobbin attached to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and wound with a voice coil;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ate to which a permanent magnet interoperating with the voice coil is fast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라스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cover glass is bonded to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using an adhesiv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A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KR1020230044551A 2017-12-19 2023-04-05 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6634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551A KR102663412B1 (en) 2017-12-19 2023-04-05 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797A KR102388246B1 (en) 2017-12-19 2017-12-19 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0220046260A KR102519943B1 (en) 2017-12-19 2022-04-14 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0230044551A KR102663412B1 (en) 2017-12-19 2023-04-05 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260A Division KR102519943B1 (en) 2017-12-19 2022-04-14 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561A KR20230053561A (en) 2023-04-21
KR102663412B1 true KR102663412B1 (en) 2024-05-10

Family

ID=6705687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797A KR102388246B1 (en) 2017-12-19 2017-12-19 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0220046260A KR102519943B1 (en) 2017-12-19 2022-04-14 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0230044551A KR102663412B1 (en) 2017-12-19 2023-04-05 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797A KR102388246B1 (en) 2017-12-19 2017-12-19 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0220046260A KR102519943B1 (en) 2017-12-19 2022-04-14 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882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264A (en) 2020-06-01 2021-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17B1 (en)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2725B2 (en) * 1989-01-26 1997-08-20 松下電工株式会社 Hands free phone
JP4056518B2 (en) 2004-11-09 2008-03-05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101146530B1 (en) * 2005-08-30 201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 panel having a function of speaker
US9124965B2 (en) * 2012-11-08 2015-09-01 Dsp Group Ltd. Adaptive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speakers
JP6075163B2 (en) * 2013-03-29 2017-02-08 富士通株式会社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waterproofing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838781B2 (en) * 2014-05-27 2017-12-05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ound coupling
KR102205835B1 (en) * 2014-10-31 202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Micro Speak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60090986A (en) * 2015-01-22 2016-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at Display Device Having Speaker and Mick Therein
KR102399550B1 (en) * 2015-11-20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482059B1 (en) * 2016-05-02 2022-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Scre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17B1 (en)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702A (en) 2019-06-27
KR20220054555A (en) 2022-05-03
KR102519943B1 (en) 2023-04-10
KR20230053561A (en) 2023-04-21
KR102388246B1 (en)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2018B2 (en) Display apparatus
KR102606499B1 (en) Electroni device
KR102415651B1 (en) Mobile terminal
KR102468709B1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key module
KR102206242B1 (en) Mobile terminal
KR20160096927A (en) Mobile terminal
KR20150124710A (en) Mobile terminal case and mobile terminal
KR102663412B1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60009914A (en) Mobile terminal
KR20160122514A (en) Mobile terminal
KR20130032195A (en) Mobile device
EP3145180A1 (en)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112127A (en) Mobile terminal
KR20170028164A (en) Mobile terminal
KR20160018164A (en) Mobile terminal
CN110572758B (en) Polaroid,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123814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ensor unit
KR20160054777A (en) Display module and mobilterminal having it
KR20150132994A (en) Mobile terminal
KR20200069602A (en) Display apparatus
CN210518433U (en) Electronic device
KR102192820B1 (en) Mobile terminal
KR20190061226A (en) Electronic apparatus
KR20170050672A (en) Mobile terminal for supporting a touch input with a capacitive type and a resisitive type
KR101587178B1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