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313B1 - 케이블 포설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313B1
KR102663313B1 KR1020220030711A KR20220030711A KR102663313B1 KR 102663313 B1 KR102663313 B1 KR 102663313B1 KR 1020220030711 A KR1020220030711 A KR 1020220030711A KR 20220030711 A KR20220030711 A KR 20220030711A KR 102663313 B1 KR102663313 B1 KR 102663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usher
status information
feeder
push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3563A (ko
Inventor
김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조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조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조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30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313B1/ko
Publication of KR2023013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3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는, 케이블의 이송 경로의 시작점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피더, 케이블의 이송 경로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어, 피더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을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푸셔, 푸셔 간의 케이블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카메라 및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케이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푸셔의 모터 속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이송 경로 상에서 케이블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 장치{CABLE LAYING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케이블의 경로에 다수의 포설 장치를 구비하고, 장치 간 케이블의 견인 속도와 모터 부하율을 모니터링하여 전 구간 케이블 견인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장에는 각종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고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많은 케이블이 포설된다.
종래에는, 케이블 포설을 위하여 윈치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당기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인양 속도가 느리고 케이블에 걸리는 강한 장력으로 인하여 케이블의 잦은 손상이 문제가 되었다.
또한, 장비의 결함 혹은 이물질 유입 등으로 인해 케이블의 슬립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케이블 이송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케이블의 견인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케이블에 과도한 장력이 걸리거나 반대로 케이블이 적체되는 구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특히,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케이블 이송 경로의 전 구간을 직접 확인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케이블 이송 경로의 전 구간에서 케이블의 견인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1220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장비 간 케이블의 견인 속도와 모터 부하율을 모니터링하여 전 구간 케이블 견인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는, 케이블의 이송 경로의 시작점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피더, 케이블의 이송 경로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어, 피더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을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푸셔, 푸셔 간의 케이블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카메라 및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케이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푸셔의 모터 속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이송 경로 상에서 케이블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블 상태 정보는, 케이블의 장력, 직진도 및 경로 방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는, 푸셔 간의 거리, 푸셔 상에서의 케이블의 슬립 여부 및 푸셔의 결함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푸셔 상태 정보를 더 측정한다.
또한, 제어기는, 케이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케이블의 적체 정도를 판단하고 적체 정도에 대응되는 푸셔의 모터 속도의 제어값을 도출하여 모터 속도를 조절하며, 푸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케이블의 적체 원인을 판단하고 작업자 단말에 알람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피더와 푸셔는, 케이블의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케이블을 이송 방향으로 송출하는 회전 드럼 및 회전 드럼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 드럼을 통과하는 케이블을 일정 압력으로 압착함으로써 슬립을 방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가압부재는, 진공 레귤레이터를 구비하여, 케이블의 직경이 불균일한 형태로 인입되더라도 직경별 기 설정된 가압 범위 내에서 가압력을 유지시킨다.
또한, 피더는, 모터가 DC 서보 모터로 제공됨에 따라, 회전 드럼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함으로써, 케이블의 송출 및 회수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방법은, 케이블의 이송 경로의 시작점에 피더를 설치하여,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피딩 단계, 케이블의 이송 경로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푸셔를 사용하여, 피더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을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푸싱 단계, 카메라를 사용하여, 푸셔 간의 케이블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및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케이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푸셔의 모터 속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이송 경로 상에서 케이블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비 간 케이블의 견인 속도와 모터 부하율을 모니터링하여 전 구간 케이블 견인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와 작업자 단말의 통신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케이블 이송 경로에서 케이블 적체 현상이 발생한 환경을 나타낸 예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크기, 두께 및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실제 케이블 포설 장치에서는 이와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배선의 연결 구조는 편의를 위해 간략하게 도시된 것으로써, 이와 다른 연결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소정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 하부, 측부 등을 표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장치의 회전이나 배치에 따라 지칭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피더(110), 푸셔, 카메라 및 제어기(13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피더(110)는 케이블(20)의 이송 경로의 시작점에 설치되어, 케이블(20)을 감거나 풀어주는 기능을 한다.
푸셔는, 케이블(20)의 이송 경로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어, 피더(110)로부터 인출된 케이블(20)을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이 다수의 푸셔를 구비함에 따라, 케이블(20) 이송에 필요한 힘을 이송 경로의 소정 간격마다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견인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커브 구간과 같이 굴곡이 형성된 이송 경로에서도 푸셔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케이블(20)의 이송이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피더(110)와 푸셔는 하우징(111,121), 회전 드럼(112,122) 및 가압부재(113,123)의 세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1,121)은 케이블(20)의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며, 회전 드럼(112,122)은 하우징(111,121)의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케이블(20)을 이송 방향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한다.
가압부재(113,123)는 회전 드럼(112,122) 및 회전 드럼(112,122)의 상부에 배치되어 회전 드럼(112,122)을 통과하는 케이블(20)을 일정 압력으로 압착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회전 드럼(112,122)을 통과하여 케이블(20)이 인출되기까지 회전 드럼(112,122)과 가압부재(113,123) 사이에서 압착됨으로써 케이블(20)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출되게 되며 케이블(20)의 장력 차이에서 기인하는 슬립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피더(110)는 이 외에도 회수된 케이블(20)이 저장되는 저장부(114)와 지면 상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바퀴와 같은 이동부재(115)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일 예로서, 피더(110)의 모터는 DC 서보 모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 드럼(112,122)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함으로써, 케이블(20)의 송출 및 회수가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일 예로서, 가압부재(113,123)는 진공 레귤레이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블(20)의 직경이 불균일한 형태로 인입되더라도 직경별 기 설정된 가압 범위 내에서 가압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어서, 카메라(미도시)는, 푸셔 간의 케이블(20) 상태 정보 및 푸셔 상태 정보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케이블(20) 상태 정보는, 케이블(20)의 장력, 직진도 및 경로 방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푸셔 상태 정보는, 푸셔 간의 거리, 푸셔 상에서의 케이블(20)의 슬립 여부 및 푸셔의 결함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20) 상태 정보와 푸셔 상태 정보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는 각각의 푸셔 상에 구비되거나 이웃하는 푸셔 사이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푸셔 사이에 다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의 배치 위치는 특정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블(20)의 상태와 푸셔의 상태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위치라면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어서, 제어기(130)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케이블(20)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푸셔의 모터 속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이송 경로 상에서 케이블(20)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기(130)는, 케이블(20)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케이블(20)의 적체 정도를 판단하고 적체 정도에 대응되는 푸셔의 모터 속도의 제어값을 도출하여 모터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30)는, 푸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케이블(20)의 적체 원인을 판단하고 작업자 단말에 알람 신호를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100)가 상술한 구성들을 포함함에 따라, 윈치 드럼을 사용하여 케이블(20)을 당김으로써 케이블(20)의 포설 작업을 수행하던 종래 기술 대비 케이블(20)의 이송 및 견인이 매우 용이해지는 이점을 가진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카메라의 구성과 함께 장력 센서(미도시)를 추가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장력 센서(미도시)는 이웃하는 푸셔 간 케이블(20)의 장력을 각각 측정하여 제어기(130)로 전송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130)는 제공받은 다수의 장력 값을 상호 비교하여 각 푸셔들의 모터 속도의 제어값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이웃한 푸셔들 간의 케이블(20) 장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장력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경우, 정확한 장력 값을 측정할 수 있게 되므로, 푸셔 장비의 모터 속도의 보다 세밀한 조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카메라를 기본 구성으로 포함함에 따라, 단순히 장력 센서(미도시)만을 사용하여 케이블(20)의 장력만을 측정하는 것이 아닌, 케이블(20)의 슬립 혹은 적체 현상의 원인이 되는 작업 환경과 푸셔 장비의 결함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측정된 장력에 따라 모터 속도를 기계적으로 조절하는 방식 대비, 본 발명의 경우, 케이블(20)의 장력 이슈가 발생하는 원인을 진단하여 푸셔 장비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므로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케이블 포설 장치를 하나의 작업자 단말 상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와 작업자 단말의 통신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100)는 케이블 이송 경로를 구간별로 그룹화하여 각 그룹의 푸셔들을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기(130)를 마련하고, 제어기(130)들 각각은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작업자 단말(300)이 각 그룹을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기(130)들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에 따라, 하나의 작업자 단말(300)을 통해 다수 개의 제어기(130)를 동시에 원격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작업장에 배치된 복수의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제어기(130)들이 작업자 단말(300)과 통신 가능하여, 작업자 단말(300) 상에서 복수의 케이블 포설 작업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이 때, 제어기(130)에는 사물인터넷(IoT) 기반 네트워크(20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지그비(Zigbee), 알에프(RF), 와이파이(WiFi), 3G, 4G, LTE, LTE-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의 무선통신, 또는 인터넷,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300)은 제어기(130)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핸드폰, PDA, PC, 랩탑, 태블릿 PC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는 CCTV 혹은 Pan, Tilt, Zoom 기능이 포함된 PTZ 네트워크 카메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영상의 회전, 확대 등이 원격 및 실시간으로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사진 혹은 영상은 실시간으로 제어기(130)로 전송되며, 작업자 단말(300)을 통해 케이블 이송 경로 및 작업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제어기(130)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100)의 제어기(130)와 작업자 단말(300)이 통신 가능하도록 제공됨에 따라, 케이블 이송 경로의 전 구간에 걸쳐 푸셔의 모터 속도 및 문제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관리자가 문제 발생 위치에 직접 투입되지 않고도 각 푸셔의 모터 속도를 개별적으로 실시간 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사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6를 참조하면, 먼저, 케이블의 이송 경로의 시작점에 피더(110)를 설치하여, 케이블을 풀어주는 피딩 단계(S110)가 수행된다.
이후, 케이블의 이송 경로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푸셔를 사용하여, 피더(110)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을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푸싱 단계(S120)가 수행된다.
이어서, 이웃하는 푸셔 사이에 각각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사용하여, 케이블 상태 정보 및 푸셔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S130)가 수행된다.
이 때, 케이블 상태 정보는 케이블의 장력, 직진도 및 경로 방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푸셔 상태 정보는 이웃하는 푸셔 간의 거리, 푸셔 상에서의 케이블의 슬립 여부 및 푸셔의 결함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각각의 푸셔의 모터 속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이송 경로 상에서 케이블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제어 단계(S140)가 수행된다.
해당 단계에서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케이블 상태 정보 및 푸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케이블의 적체 정도를 판단하고 제어기(130)를 통해 적체 정도에 대응되는 푸셔의 모터 속도의 제어값을 도출하여 모터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케이블 이송 경로에서 케이블 적체 현상이 발생한 환경을 나타낸 예시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케이블의 이송 경로 상에 배치된 푸셔들을 제1 푸셔(120a) 및 제2 푸셔(120b) 및 제3 푸셔(120c)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푸셔(120b) 및 제3 푸셔(120c) 사이에 적체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제1 푸셔(120a) 및 제2 푸셔(120b) 간의 직진도가 높고 장력은 과도하게 측정될 수 있으며, 제2 푸셔(120b) 및 제3 푸셔(120c) 간의 직진도가 낮게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푸셔(120b)의 모터 속도가 평균값 보다 낮게 측정될 수 있으며, 제어기(130)는 이러한 케이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케이블의 적체 정도에 대응되는 모터 속도의 제어값을 도출하여 제2 푸셔(120b)의 모터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적체를 해소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푸셔(120b)와 제3 푸셔(120c) 사이의 케이블 직진도는 낮은데 반해 장력이 높게 측정되는 경우, 경로 방해 요소가 존재하는 지 유무를 판단하여 적체 원인을 판단할 수도 있다.
방해 요소가 확인된 경우, 제어기(130)는 작업자 단말에 케이블 적체 현상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 적체 원인 및 해결 방법 등을 포함하는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2 푸셔(120b)와 제3 푸셔(120c) 간의 경로 방해 요소가 존재하지 않고 모터 속도에도 문제가 없는데 반해 적체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푸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푸셔(120c)의 결함 혹은 케이블이 인입 및 인출되는 제3 푸셔(120c)의 유입구 혹은 배출구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도 7과 같은 적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 정보와 같은 푸셔 상태 정보를 통해 문제 원인을 진단하고 작업자 단말에 문제 발생 에 의해 문제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종래에는 케이블에 과도한 장력이 걸리거나 적체 구간이 발생하는 경우, 문제의 해결을 위해 작업자가 케이블 이송 경로에 직접 투입되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하지만,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이 카메라의 구성을 포함함에 따라, 작업자가 직업 케이블 이송 라인 전 구간을 확인하지 않고도 각 구간에서의 케이블 직진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 장치는 제어기의 구성을 포함함에 따라, 각각의 푸셔의 모터 속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케이블의 적체 구간을 해소하고 전 구간에서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더하여, 케이블 이송 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기는 단순히 케이블의 장력과 직진도를 판단하여 푸셔의 모터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물 존재 여부와 슬립 현상 발생 여부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 적체 및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거나 적체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을 함께 판단하여 문제 발생에 대한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케이블 포설 장치
110 : 피더
120 : 푸셔
111, 121 : 하우징
112, 122 : 회전 드럼
113, 123 : 가압부재
114 : 저장부
115 : 이동부재
130 : 제어기
20 : 케이블
200 : 네트워크
300 : 관리자 단말

Claims (8)

  1. 케이블의 이송 경로의 시작점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피더;
    상기 케이블의 이송 경로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어, 상기 피더로부터 인출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푸셔;
    상기 푸셔 간의 케이블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상기 케이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기 푸셔의 모터 속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상기 이송 경로 상에서 상기 케이블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케이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의 적체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적체 정도에 대응되는 상기 푸셔의 상기 모터 속도의 제어값을 도출하여 상기 모터 속도를 조절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상태 정보는,
    상기 케이블의 장력, 직진도 및 경로 방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푸셔 간의 거리, 상기 푸셔 상에서의 상기 케이블의 슬립 여부 및 상기 푸셔의 결함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푸셔 상태 정보를 더 측정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푸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의 적체 원인을 판단하고 작업자 단말에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5. 케이블의 이송 경로의 시작점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피더;
    상기 케이블의 이송 경로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어, 상기 피더로부터 인출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푸셔;
    상기 푸셔 간의 케이블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상기 케이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기 푸셔의 모터 속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상기 이송 경로 상에서 상기 케이블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피더와 상기 푸셔는,
    상기 케이블의 이송 경로 상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을 이송 방향으로 송출하는 회전 드럼; 및
    상기 회전 드럼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드럼을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을 일정 압력으로 압착함으로써 슬립을 방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진공 레귤레이터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블의 직경이 불균일한 형태로 인입되더라도 직경별 기 설정된 가압 범위 내에서 가압력을 유지시키는 케이블 포설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는,
    상기 모터가 DC 서보 모터로 제공됨에 따라, 상기 회전 드럼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송출 및 회수가 용이한 케이블 포설 장치.
  8. 케이블의 이송 경로의 시작점에 피더를 설치하여,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피딩 단계;
    상기 케이블의 이송 경로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푸셔를 사용하여, 상기 피더로부터 인출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푸싱 단계;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기 푸셔 간의 케이블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상기 케이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의 적체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적체 정도에 대응되는 상기 푸셔의 모터 속도의 제어값을 도출하여 각각의 상기 푸셔의 모터 속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상기 이송 경로 상에서 상기 케이블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 방법.
KR1020220030711A 2022-03-11 2022-03-11 케이블 포설 장치 KR102663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711A KR102663313B1 (ko) 2022-03-11 2022-03-11 케이블 포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711A KR102663313B1 (ko) 2022-03-11 2022-03-11 케이블 포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563A KR20230133563A (ko) 2023-09-19
KR102663313B1 true KR102663313B1 (ko) 2024-05-03

Family

ID=8819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711A KR102663313B1 (ko) 2022-03-11 2022-03-11 케이블 포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3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710B1 (ko) 2010-03-29 2010-09-14 대덕전력 주식회사 지중전력구 3상 배전케이블 동시 풀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풀링 자동화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204B1 (ko) 1999-03-19 2001-11-03 변정환 케이블 당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710B1 (ko) 2010-03-29 2010-09-14 대덕전력 주식회사 지중전력구 3상 배전케이블 동시 풀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풀링 자동화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563A (ko)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52097A1 (en) Conveyor Belt Monitoring System
EP3205483B1 (en) Additive manufacturing quality control systems
DE19705735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spektion wenigstens eines Antennenzweigs, insbesondere in einem Fahrzeug
KR102663313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US20140267746A1 (en) Closed circuit video monitoring system
KR101238247B1 (ko) 전력구 케이블 포설 감시 시스템
CN109553014B (zh) 卷扬装置和具有该卷扬装置的起重设备
US9501807B2 (en) Detecting system and detecting method for products
KR101086385B1 (ko) 케이블 포설시스템
WO2022104685A1 (zh) 一种冰块运载或下放过程中的纠偏系统
CN106353760A (zh) 基于超声波测距的皮带检测报警系统
US11929791B2 (en) Communication system
CN103964153B (zh) 一种远程操控、自动运行的蔗渣耙齿运输装置
KR20180095162A (ko) Cctv 카메라 데이터 송신 장치의 이상 검출 시스템
JP6970158B2 (ja) 管路内のケーブル布設方法
CN211392936U (zh) 一种远程传输设备及多点驱动系统
JP2020183307A (ja) ベルトコンベア監視システム
CN108217250A (zh) 金属基卷材开料防跑偏自动调整控制系统
CN104326216A (zh) 可报警的物料运输位移限制装置
CN114394493A (zh) 爬行器线缆盘同步收放线的控制方法、系统、设备及装置
CN114249262A (zh) 缆绳收放装置及其控制方法、绞车
KR20150027375A (ko) 전력구에서의 초고압 케이블 포설 시스템
KR101439833B1 (ko) 관로에서의 초고압 케이블 포설 시스템
CN208994991U (zh) 一种基于物料检测的抓斗起重机控制系统
EP1231097A1 (en) Method to regulate the tension for stretching machines and relativ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