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249B1 - Tissue storage case - Google Patents

Tissue storage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249B1
KR102663249B1 KR1020230036708A KR20230036708A KR102663249B1 KR 102663249 B1 KR102663249 B1 KR 102663249B1 KR 1020230036708 A KR1020230036708 A KR 1020230036708A KR 20230036708 A KR20230036708 A KR 20230036708A KR 102663249 B1 KR102663249 B1 KR 102663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se
tissue
teaching
bridg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방승민
Original Assignee
방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승민 filed Critical 방승민
Priority to KR1020230036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2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2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슈 수납케이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적층된 복수개의 티슈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티슈가 외부로 인출되는 제1개구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제1개구부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되도록 제2개구부가 구비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개구부를 차폐 가능한 커버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2개구부 내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개구부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티슈의 인출 시 상기 티슈와 접촉하는 복수개의 교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티슈와 접촉하는 부분에 돌기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issue storage cas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having a plurality of stacked tissues inserted therein and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tissues are pulled out, a case disposed around the first opening, fixed to the case, and a case having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tissues are pulled out. a fixing part provided with a second opening to correspond to the fixing part, a cov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and capable of shielding the second opening, and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fixing part into the second opening, It i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first opening,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that contact the tissue when the tissue is pulled out,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has a protrusion on a portion that contacts the tissue. .

Description

티슈 수납케이스{Tissue storage case}Tissue storage cas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티슈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tissue storage case.

티슈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다. 이러한 티슈를 수납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케이스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위생, 편의성 등을 위하여 티슈가 수분이 함유하고 있는 형태의 물티슈를 복수개 적층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물티슈는 합성수지 재질의 케이스에 내부에 수납되며, 케이스에 구비된 홀을 통하여 하나씩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에 구비된 홀에는 마름방지 스티커가 배치되어 물티슈의 수분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홀 주변에는 커버가 배치되어 이중으로 홀을 차폐함으로써 물티슈를 오랜 기간 동안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issues are very useful in various fields. Various types of cas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store such tissues. Recently, for reasons of hygiene, convenience, etc., there is a trend to use multiple wet tissues stacked in a form that contains moisture. These wet tissues are stored inside a cas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can be pulled out one by one to the outside through holes provided in the case. At this time, an anti-drying sticker is placed in the hole provided in the case to prevent moisture from the wet tissue from leaking out. Additionally, a cover is placed around the hole in the case to double shield the hole, allowing the wet tissue to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와 같은 물티슈를 홀로부터 인출하는 경우 물티슈의 적층으로 인하여 한 장씩 인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물티슈를 한 장씩 인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When withdrawing wet tissues as described above from a hole,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wet tissues cannot be pulled out one by one due to stacking of wet tissues. Various structures are being developed to extract wet tissues one by on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물티슈를 하나씩 인출 가능한 티슈 수납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 tissue storage case from which wet tissues can be withdrawn one by on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적층된 복수개의 티슈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티슈가 외부로 인출되는 제1개구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제1개구부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되도록 제2개구부가 구비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개구부를 차폐 가능한 커버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2개구부 내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개구부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티슈의 인출 시 상기 티슈와 접촉하는 복수개의 교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티슈와 접촉하는 부분에 돌기를 구비한 티슈 수납케이스를 개시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stacked tissues are inserted and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tissues are pulled out, disposed around the first opening and fixed to the case, and A fixing part provided with a second opening to correspond to the first opening, a cov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and capable of shielding the second opening, and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fixing part into the second opening. It i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first opening,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that contact the tissue when the tissue is pulled out,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has a protrusion on a portion that contacts the tissue. Disclosed is a tissue storage case provided with a.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실리콘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may be silic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접철 가능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may be foldabl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스를 마주보는 면에 홈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on the side facing the cas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교지편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자세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is provided on one side and may further include a posture maintaining part that maintains the folded state of the teaching piec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티커의 제거 시 스티커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물티슈의 인출 시 한 장씩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impede the movement of the sticker when the sticker is removed. Additionally,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withdraw wet tissues one at a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슈 수납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교지편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교지편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티슈 수납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티슈 수납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ssue storag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assembly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chool branch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teaching material shown in Figure 2.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issue storage case shown in Figure 1 in us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issue storage case shown in FIG. 1 in use.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Meanwhil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es not rule out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슈 수납케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교지편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교지편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ssue storag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assembly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chool branch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teaching material shown in Figure 2.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티슈 수납케이스(100)는 케이스(110), 마름방지스티커(130) 및 커버 어셈블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4 , the tissue storage case 100 may include a case 110, an anti-drying sticker 130, and a cover assembly 120.

케이스(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주머니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케이스(110)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티슈가 하나씩 인출되는 제1개구부(111)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개구부(111)는 마름방지스티커(130)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마름방지스티커(130)의 제거 시 케이스(110)의 내부가 제1개구부(111)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Case 110 may have a space formed inside and may be in the form of a pocket. At this time, the case 11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Additionally, the case 110 may be arranged as a first opening 111 through which tissues are pulled out one by one. At this time, the first opening 111 is such that the anti-drying sticker 130 is removably disposed, so that when the anti-drying sticker 130 is removed, the inside of the case 110 can be expo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11.

커버 어셈블리(120)는 케이스(110)에 고정되는 고정부(121), 고정부(1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커버(123) 및 고정부(121)에 배치되는 교지편(1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ver assembly 120 may include a fixing part 121 fixed to the case 110, a cover 123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121, and a teaching piece 122 disposed on the fixing part 121. You can.

고정부(121)는 케이스(1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1)에는 제1개구부(111)에 대응되도록 제2개구부(12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개구부(121a)는 제1개구부(11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잇다. The fixing part 12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110 or may be fixed through a separate member. At this time, the fixing part 121 may include a second opening 121a to correspond to the first opening 111. In this case, the second opening 121a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opening 111.

커버(123)는 고정부(12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커버(123)는 제2개구부(121a)를 완전히 차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The cover 123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21. At this time, the cover 123 can completely shield or open the second opening 121a.

교지편(122)은 고정부(121)에 배치되어 제2개구부(121a)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교지편(122)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교지편(12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교지편(122)은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aching piece 122 may be disposed on the fixing part 121 and protrude toward the second opening 121a.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122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122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lurality of school papers 12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case where the first school paper 122a and the second school paper 122b are included.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제2개구부(121a)의 중심 부분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은 서로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교지편(122a)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school station (122a) and the second school station (122b)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rst bridge piece (122a) and the second bridge piece (122b) may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and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second opening (121a). Since the first teaching piece 122a and the second teaching piece 122b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similarly to each oth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first teaching piece 122a.

제1교지편(122a)은 고정부(121)에 배치되는 제1교지편바디부(122a-1) 및 제1교지편고정부(122a-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chool piece (122a) may include a first school piece body portion (122a-1) and a first school piece fixing portion (122a-2) disposed on the fixing portion (121).

제1교지편바디부(122a-1)는 고정부(1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teaching piece body portion 122a-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ortion 121.

제1교지편바디부(122a-1)는 접철 가능할 수 있다. 제1교지편바디부(122a-1)는 일면에 홈(122a-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122a-1a)은 제1교지편바디부(122a-1)가 접힐 때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제1걸림돌기(122a-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걸림돌기(122a-3)가 배치되는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측면은 제2교지편(122b)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제1걸림돌기(122a-3)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측면은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걸림돌기(122a-3)는 다양한 평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 들면, 제1걸림돌기(122a-3)의 평면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타원의 일부, 반원 등일 수 있다. The first school body part 122a-1 may be foldable. The first teaching piece body portion 122a-1 may have a groove 122a-1a formed on one side. This groove (122a-1a) can be a reference point when the first bridge piece body portion (122a-1) is folded. A plurality of first stopping protrusions 122a-3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bridge piece body portion 122a-1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side of the first bridge piece body portion 122a-1 on which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 122a-3 is disposed may be the side facing the second bridge piece 122b.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s 122a-3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side of the first bridge piece body portion 122a-1 may be formed in an uneven shape. The plurality of first stopping protrusions 122a-3 may include various planar shapes. For example, the planar shape of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 122a-3 may be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or square, a portion of an ellipse, a semicircle, etc.

상기와 같은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끝단은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끝단의 경사는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길이방향(예를 들면, 도 2의 X방향)에 대해서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끝단의 폭은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경사진 끝단은 티슈가 걸림으로써 티슈를 케이스(110)에서 인출 시 다른 티슈가 같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교지편바디부(122a-1)는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어 티슈의 인출 시 티슈에 적당한 저항을 줄 뿐만 아니라 티슈의 인출로 인한 제1교지편(122a)이 고정부(12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끝단이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티슈와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어 티슈에 의해 제1교지편바디부(122a-1)에 가해지는 힘이 과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end of the first teaching piece body portion 122a-1 as described above may be inclined. For example, the inclination of the end of the first bridge piece body portion 122a-1 is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ridge piece body portion 122a-1 (for example, the X direction in FIG. 2). can be formed.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end of the first bridge piece body portion 122a-1 may become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bridge piece body portion 122a-1 increases. The inclined end of the first teaching piece body portion 122a-1 can prevent other tissues from coming out together when the tissue is pulled out from the case 110 by catching the tissue. At this time, the first bridge piece body portion 122a-1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to not only provide appropriate resistance to the tissue when the tissue is pulled out, but also causes the first bridge piece 122a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portion 121 due to the tissue being pulled out. Separation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end of the first bridge piece body portion 122a-1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contact area with the tissue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end of the first bridge piece body portion 122a-1 is formed straight,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tissue can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teaching body portion 122a-1 from becoming excessive.

제1교지편고정부(122a-2)는 제1교지편바디부(122a-1)가 접철될 때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접철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1교지편고정부(122a-2)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교지편고정부(122a-2)는 벨크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교지편고정부(122a-2)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1교지편고정부(122a-2)의 접철 시 제1교지편바디부(122a-1)가 서로 중첩되는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제1교지편바디부(122a-1)를 접철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교지편고정부(122a-2)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교지편고정부(122a-2)는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접철 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두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제1교지편고정부(122a-2)는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접철 시 서로 부착됨으로써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접철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교지편고정부(122a-2)는 스냅단추 형태인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제1교지편고정부(122a-2)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접철 시 제1교지편바디부(122a-1)의 접철 상태를 유시지시키는 모든 구조 및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chool paper fixing part 122a-2 can maintain the folded state of the first school paper body part 122a-1 when the first school paper body part 122a-1 is folded. The first school magazine fixing unit 122a-2 may have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first school magazine fixing part 122a-2 may be formed in a Velcro shape. In this case, the first school paper fixing parts (122a-2)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disposed between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first school paper body part (122a-1) when the first school paper fixing parts (122a-2) are folded. Thus, the first teaching piece body portion 122a-1 can be maintained in a folded state. 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chool paper fixing unit 122a-2 may include a magnet. In this case, the first school piece fixing part 122a-2 may include two magnets that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hen the first school piece body part 122a-1 is folded. Through this, the two first bridge piece fixing parts (122a-2)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re attach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bridge piece body portion (122a-1) is folded, thereby allowing the first bridge piece body portion (122a-1) to be folded. The status can be maintained. 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chool mail fixing unit 122a-2 may be in the form of a snap button. The first school paper fixing part 122a-2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the folded state of the first school paper body part 122a-1 is maintained when the first school paper body part 122a-1 is folded. It can include all structures and devices that indicate maintenance.

상기와 같은 경우 제1교지편(122a) 및 제2교지편(122b) 중 적어도 하나는 접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교지편(122a) 및 제2교지편(122b) 중 적어도 하나를 접음으로써 티슈 또는 마름방지스티커(130)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원활히 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case, at least one of the first school piece 122a and the second school piece 122b can be fold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hinder or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tissue or anti-dry sticker 130 by fold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aching pieces 122a and 122b.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티슈 수납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티슈 수납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issue storage case shown in FIG. 1 in us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issue storage case shown in FIG. 1 in use.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티슈 수납케이스(100)는 케이스(110) 내부에 수납된 복수개의 티슈(TS)를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이때, 티슈(TS)는 수분을 포함하는 물티슈 형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tissue storage case 100 can pull out a plurality of tissues TS stored inside the case 110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tissue TS may be in the form of a wet tissue containing moisture.

상기와 같은 경우 커버(123)를 회동시켜 제2개구부(121a)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개구부(111)에는 마름방지스티커(130)가 배치되어 제1개구부(111)를 차폐시킨 상태일 수 있다. In the above case, the second opening 121a can be opened by rotating the cover 123. At this time, an anti-drying sticker 130 may be placed in the first opening 111 to shield the first opening 111.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은 접힌 상태이거나 전개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은 초기에 접힌 상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school piece 122a and the second school piece 122b may be in a folded state or an unfolded stat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school piece 122a and the second school piece 122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case where they are initially in a folded state.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와 같은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은 제1개구부(111)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평면 상에서 볼 때,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은 제1개구부(111)의 끝단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개구부(111)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일 수 있으며,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은 제1개구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When viewed in plan, the first teaching piece 122a and the second teaching piece 122b as described above may be arrang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opening 111 overlaps. In particular, when viewed in plan, the first bridge piece 122a and the second bridge piece 122b may be arrang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end of the first opening 111. In addition, the first opening 111 may be in the form of a long hole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and the first bridge piece 122a and the second bridge piece 122b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111. It can be.

상기와 같이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이 접철된 상태에서 마름방지스티커(130)를 제거하여 제1개구부(111)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은 플렉서블한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은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opening 111 can be opened by removing the anti-rust sticker 130 while the first teaching piece 122a and the second teaching piece 122b are folded. In this case, the first school piece 122a and the second school piece 122b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the first teaching piece 122a and the second teaching piece 122b may include synthetic resin, rubber, silicon, etc.

마름방지스티커(130)를 제거한 후 티슈(TS)를 인출하기 전에 제1교지편(122a) 및 제2교지편(122b) 중 적어도 하나를 전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 모두 전개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fter removing the anti-drying sticker 130 and before pulling out the tissue T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aching pieces 122a and 122b may be deploy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case where both the first school paper 122a and the second school paper 122b are developed.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이 모두 전개되면, 티슈(TS)를 제1개구부(111)를 통하여 케이스(110)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이때, 티슈(TS)는 복수개가 적층되는 형태이므로 한 장씩 인출될 때 다른 티슈(TS)가 따라 나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은 티슈(TS) 및 티슈(TS)를 따라 나오는 다른 티슈(TS)와 접촉함으로써 티슈(TS)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다. 특히 제1교지편(122a)의 제1걸림돌기(122a-3) 및 제2교지편(122b)의 제2걸림돌기(122b-3)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됨으로써 티슈(TS)의 양단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When both the first and second teaching pieces 122a and 122b are deployed, the tissue TS can be pulled out of the case 110 through the first opening 111. At this time, since a plurality of tissues TS are stacked, when each sheet is pulled out, other tissues TS may follow.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teaching pieces 122a and 122b may apply frictional force to the tissue TS by contacting the tissue TS and other tissues TS coming out along the tissue TS. In particular,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22a-3 of the first cross piece 122a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22b-3 of the second cross piece 122b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respectively, at both ends of the tissue TS. can be contacted.

상기와 같이 사용하다가 티슈(TS)를 인출하지 않을 때 마름방지스티커(130)로 제1개구부(111)를 차폐할 수 있다. 이때,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을 접어 마름방지스티커(130)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부(121)는 제1교지편(122a)의 끝단과 제2교지편(122b)의 끝단이 수납 가능하도록 수납홈(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교지편(122a) 및 제2교지편(122b) 중 적어도 하나를 접는 경우 제1교지편(122a) 및 제2교지편(122b) 중 적어도 하나의 끝단은 고정부(121)의 수납홈에 수납됨으로써 제1교지편(122a) 및 제2교지편(122b) 중 적어도 하나는 고정부(121)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tissue TS is not removed during us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opening 111 can be shielded with an anti-drying sticker 130. At this time, the first bridge piece 122a and the second bridge piece 122b can be fold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anti-drying sticker 130. In this case, the fixing part 121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groove (not shown) so that the end of the first teaching piece (122a) and the end of the second teaching piece (122b) can be accommodated. Therefore, when fold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teaching piece (122a) and the second teaching piece (122b), the end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teaching piece (122a) and the second teaching piece (122b) is accommodated in the fixing part 121. By being stored in the groove, at least one of the first teaching piece 122a and the second teaching piece 122b may not interfere with the fixing part 121.

상기와 같은 경우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 각각은 케이스(110) 측으로 접힐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이 전개된 경우에도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은 케이스(110) 측으로 접히려는 복원력이 제공함으로써 티슈(TS)의 이동에 따라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이 쉽게 티슈(TS)의 이동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티슈(TS)에 마찰력을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다. In the case described above, each of the first teaching piece 122a and the second teaching piece 122b may be folded toward the case 110. Through this, even when the first teaching piece (122a) and the second teaching piece (122b) are deployed, the first teaching piece (122a) and the second teaching piece (122b) are provided with a restoring force to fold toward the case 110. As the tissue TS moves, the first and second cross pieces 122a and 122b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being folded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issue TS, and frictional force is clearly provided to the tissue TS. can do.

상기와 같이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이 접히는 경우 제1교지편고정부(122a-2)와 제2교지편고정부(122b-2) 각각은 제1교지편(122a)과 제2교지편(122b)을 접힌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When the first school paper (122a) and the second school paper (122b) are fold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chool paper fixing unit (122a-2) and the second school paper fixing unit (122b-2) each hold the first school paper (122a). ) and the second teaching piece (122b) can be maintained in a folded state.

따라서 티슈 수납케이스(100)는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티슈(TS)를 한 장씩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티슈 수납케이스(100)는 마름방지스티커(130)의 제거나 마름방지스티커(130)를 다시 붙이는 경우 마름방지스티커(130)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Accordingly, the tissue storage case 100 not only increases user convenience, but also makes it possible to withdraw tissues TS one by one. Additionally, the tissue storage case 100 may not obstruct the path of the anti-dry sticker 130 when the anti-dry sticker 130 is removed or the anti-dry sticker 130 is reattached.

또한, 티슈 수납케이스(100)는 교지편을 접는 경우 교지편을 접힌 상태로 유지히는 것이 가능하다. Additionally, the tissue storage case 100 is capable of maintaining the paper in a folded state when the paper is folded.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will includ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s long as they fall withi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티슈 수납케이스
110: 케이스
120: 커버 어셈블리
130: 마름방지스티커
100: Tissue storage case
110: case
120: cover assembly
130: Anti-dry sticker

Claims (6)

적층된 복수개의 티슈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티슈가 외부로 인출되는 제1개구부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제1개구부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되도록 제2개구부가 구비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개구부를 차폐 가능한 커버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2개구부 내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개구부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티슈의 인출 시 상기 티슈와 접촉하며, 외팔보 형태로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교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교지편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2개구부 내부로 돌출되는 제1교지편;
상기 제1교지편의 길이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제1교지편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교지편과 함께 상기 티슈가 인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교지편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제2개구부로 돌출되는 제2교지편;을 포함하고,상기 제1교지편 및 상기 제2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티슈와 접촉하는 부분에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돌기는 상기 공간을 바라보는 상기 제1교지편 및 상기 제2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상기 제1교지편 및 상기 제2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티슈 수납케이스.
A case having a plurality of stacked tissues inserted therein and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tissues are pulled out;
a fixing part disposed around the first opening, fixed to the case, and having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a cover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and capable of shielding the second opening;
It is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fixing part into the second opening, i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first opening, contacts the tissue when the tissue is pulled out,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in a cantilever shape. Includes a school magazine;
The plurality of school journals,
a first bridge piece protruding from the fixing part into the second opening;
I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ridge piec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ridge piece to form a space from which the tissue is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first bridge piece, and the and a second bridge piece protruding from the second opening,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bridge piece and the second bridge piece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issu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on a sid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bridge piece and the second bridge piece facing the spac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bridge piece and the second bridge piece. Tissue storage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실리콘인 티슈 수납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A tissue storage case wher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is made of silic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스 측으로 접철 가능하며, 상기 복수개의 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가 접철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의 접철된 부분은 상기 케이스를 마주보도록 배치된 티슈 수납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is foldable toward the case,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is folded, the folded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is a tissue storage arranged to face the case.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스를 마주보는 면에 홈을 구비하는 티슈 수납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A tissue storage cas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has a groove on a side facing the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교지편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자세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티슈 수납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is provided on one side, and a posture maintaining part that maintains the folded state of the teaching piece. The tissue storage case further inclu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교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티슈 수납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A tissue storage cas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aching pieces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KR1020230036708A 2023-03-21 2023-03-21 Tissue storage case KR1026632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708A KR102663249B1 (en) 2023-03-21 2023-03-21 Tissue storage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708A KR102663249B1 (en) 2023-03-21 2023-03-21 Tissue storage 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249B1 true KR102663249B1 (en) 2024-05-03

Family

ID=9107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708A KR102663249B1 (en) 2023-03-21 2023-03-21 Tissue storage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24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026A (en) * 2015-07-31 2017-02-08 유승태 open and close cover for wet tissue case
KR20170017222A (en) * 2015-08-06 2017-02-15 나노폴리(주) Pop-up type wet tissue cap capable of installing it to film pack for packaging wet tissue
KR102164257B1 (en) * 2019-10-07 2020-10-12 노대수 Open and close cover for wet tissue case
JP2022007569A (en) * 2020-06-26 2022-01-13 株式会社赤ん坊カンパニー Detachable wet tissue take-out structure and wet tissue take-out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026A (en) * 2015-07-31 2017-02-08 유승태 open and close cover for wet tissue case
KR20170017222A (en) * 2015-08-06 2017-02-15 나노폴리(주) Pop-up type wet tissue cap capable of installing it to film pack for packaging wet tissue
KR102164257B1 (en) * 2019-10-07 2020-10-12 노대수 Open and close cover for wet tissue case
JP2022007569A (en) * 2020-06-26 2022-01-13 株式会社赤ん坊カンパニー Detachable wet tissue take-out structure and wet tissue take-out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3249B1 (en) Tissue storage case
WO2018020968A1 (en) Writing implement case
JP3986247B2 (en) container
JP3775627B2 (en) container
JP3147065U (en) School desk drawer
KR20060109031A (en) Index and file having same
KR200494699Y1 (en) sketchbook
JPH04191705A (en) Surplus length storage device of optical fiber cable
CA1097172A (en) Packaging of phonograph records
US1211533A (en) Bill-fold and card-case.
KR102285558B1 (en) Photo wallet
JP3234324U (en) card case
KR20230000446U (en) Sketchbook
JP2004299193A (en) Box file
KR200345041Y1 (en) Portable case for cassette tape
JP7083158B2 (en) Umbrella bag bundle, holding structure of umbrella bag bundle, bag opening device
JPH0621865Y2 (en) Storage bag opening fixing member
JP7319649B2 (en) writing instrument case
JP4315612B2 (en) Fusing tray
KR101839132B1 (en) Yarn sample book
KR0139799Y1 (en) Case of calendar on a table
JPS6190288A (en) Card shaped recording device
JP2023083817A (en) Upper knee equipment displacement prevention tool
JP2529401Y2 (en) In-vehicle cassette box device
JP2004299237A (en) Box 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